KR20120093651A -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3651A
KR20120093651A KR1020110013347A KR20110013347A KR20120093651A KR 20120093651 A KR20120093651 A KR 20120093651A KR 1020110013347 A KR1020110013347 A KR 1020110013347A KR 20110013347 A KR20110013347 A KR 20110013347A KR 20120093651 A KR20120093651 A KR 20120093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field
mobile terminal
information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3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장묵
김현철
황인혜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10013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3651A/ko
Publication of KR20120093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36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각각 동조화된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현장학습 구성모드에서 구성한 모바일 학습구성을 실제 현장학습 장소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현장학습 수행모드로 되어 있는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상기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을 활용한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Mobile supporting system and method for field trip}
본 발명은 학교 등의 교육기관이 현장학습을 실시할 때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학습구성을 더할 수 있게 하고, 학습자가 현장학습 위치에서 현장학습과 더불어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학습구성을 추가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현장학습의 효과를 높여주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장학습은 학습자로 하여금 간접적인 체험을 통해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서 벗어나 직접체험을 통하여 지식을 얻게 해주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무조건 현장에 나간다고 해서 이와 같은 목적이 달성될 수는 없다. 준비가 없는 현장학습은 오히려 학습해야 할 내용을 충실하게 학습하지 못하고 수박 겉 핥기식의 피상적인 행사로 끝나는 경우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한편 현재 모바일 단말기는 정보통신기술 발전에 따라 크게 발달하였으며, 이중에서도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켜,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웹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이다. 기존의 휴대폰은 내장된 기능만을 사용할 수 있었지만 스마트폰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제작과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인터페이스와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또한 스마트폰은 위와 같은 인터넷서비스와 함께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한다. 위치기반서비스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에게, 사용자의 변경되는 위치에 따르는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콘텐츠 서비스들을 가리킨다. 위치기반서비스의 주요 장점은 무선 인터넷 사용자가 여러 위치를 이동하면서도 직접 주소나 지역 구분자를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는 점이며, GPS 측위 기술은 이를 가능하게 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 접근을 용이하게 해주는 주요 요소기술 중 하나이다. 그러나, 위치기반서비스를 실현하는 데에 GPS와 같은 위성 기반 측위 기술만이 하위 요소기술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통신 네트워크에는 단말의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한 고유의 위치 관리 메커니즘이 존재하며, 이를 기반으로 한 비GPS 위치기반서비스도 다수 존재한다. 대표적으로 2000년을 전후해 개발?보급되었던 이동통신 기지국을 이용하는 셀 방식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셀 방식의 오차범위가 큰 단점과 GPS 방식의 위성신호 특성상 반사?굴절이 잘 되는 고층 건물이나 실내 사용에서의 사용이 어려운 단점을 극복하고자 양 방식을 결합한 새로운 위치기반서비스 기술(고왈라, 포스퀘어 등)도 사용되고 있다.
한편,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은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이다. 기존의 가상 현실은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이용자가 가상의 세계에 몰입하도록 해 실제 세계를 볼 수 없었지만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의 기반위에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현실 세계만으로는 얻기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들을 보강해 제공할 수 있다. 완전한 가상세계를 전제로 하는 가상현실과는 달리 현실세계의 환경위에 가상의 대상을 결합시켜 현실의 효과를 더욱 증가시키는 것이다. 물리적 공간에 컴퓨팅 파워를 가진, 정보화된 인공물(information artefacts)이 가득 채워지게 되면 물리적 공간의 성격 자체가 변화하게 되며, 이러한 특징 때문에 단순히 게임과 같은 분야에만 한정된 적용이 가능한 기존 가상 현실과 달리 다양한 현실 환경에 응용이 가능하다. 유비쿼터스 환경에 적합한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각광받고 있으며 특히 스마트폰이 발달하면서 상용화되기 시작하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각종 기술의 발달을 고려할 때 현장학습을 실시할 때 현장에서의 실제 경험을 통한 학습에 더하여 모바일 단말기 상에서 위치기반 서비스, 증강현실 기술 등을 이용해 구성된 학습구성을 추가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된다면 현장학습의 내실을 더욱 다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현장학습을 실시할 때 현장학습의 학습구성자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학습구성을 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학습의 학습자는 현장학습 위치에서 현장학습과 더불어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학습구성을 추가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학습의 효과가 높아지도록 도와주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동조화된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구분되고,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구성모드에서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DB(Data Base)로 구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가 실행 상태인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장학습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근하면 상기 과제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에서 상기 과제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고, 상기 과제 정보에 대한 과제 해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 상기 현장학습 수행모드 및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지도기반의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는 현장학습을 수행중인 다수의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들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 상기 현장학습 수행모드 및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각각 동조화된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현장학습 지원 방법으로서, (a)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구성모드에서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DB(Data Base)로 구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가 실행 상태인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장학습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근하면 상기 과제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에서 상기 과제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고, 상기 과제 정보에 대한 과제 해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 상기 현장학습 수행모드 및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지도기반의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는 현장학습을 수행중인 다수의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들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 상기 현장학습 수행모드 및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방법을 제공한다.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모바일 단말기, 위치기반 서비스, 증강현실 기술 등 나날이 새롭게 발전하고 있는 각종 정보통신 기술을 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이루어지는 현장학습의 구성 및 수행에 적용한 본 발명의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을 활용할 경우, 학습구성자는 단조롭거나 수박 겉핥기 식으로 진행될 수 있는 현장학습에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학습구성을 더할 수 있게 되어 좀 더 밀도있는 현장학습을 구성할 수 있게 되고, 학습자는 현장학습의 직접적인 경험에 더하여 부가적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학습구성을 추가적으로 경험함으로써 현장학습의 흥미를 느끼게 되고 더불어 한차원 더 높은 학습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구성모드에서 현장학습을 구성하는 실시예이다.
[도 3]은 학습자의 모바일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에서 현장학습을 수행하는 실시예이다.
[도 4]는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현장학습을 감독하는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방법의 순서도이다.
Ⅰ.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본 발명은 인터넷,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단말기 및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현장학습이란 유치원, 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실시되는 소풍, 견학, 수학여행 등 교실을 벗어나서 이루어지는 모든 학습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 중 모바일 단말기로는 휴대전화 기능이 결합된 스마트폰과 휴대전화 기능은 생략된 스마트패드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청구항에 기재된 사항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면 모바일 단말기의 종류는 문제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모바일 단말기인 스마트폰과 관리서버를 통해 본 발명이 구현되는 예를 도식화한 첨부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리서버(10),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각각 동조화 되어 있는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20)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30)로 이루어져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2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구성모드에서 현장학습의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관리서버(1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10)는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정보를 DB(Data Base)로 구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가 실행상태인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30)가 상기 현장학습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근하면 상기 과제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30)로 송신하며,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3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에서 상기 과제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고, 상기 과제 정보에 대한 학습자의 과제 해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0)로 송신하며, 상기 관리서버(10)는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20)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2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2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현장학습이 제공하는 구성모드에서 현장학습을 구성하는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해당 위치에서의 과제 정보를 입력하는 것인데, 현장학습 위치는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가 지원하는 지도상에서 지정할 수도 있고,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에 사전 설정되어 있는 지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과제 정보는 특정 미션을 수행하는 것이거나 보물찾기 게임 방식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직접 현장을 답사하면서 과제정보를 설정하는 경우도 감안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학습구성모드의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학습자 정보의 입력시 현장학습을 수행할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30)에 대한 정보는 필수입력 사항이다. 현장학습을 수행할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30)로 상기 관리서버(10)가 상기 과제 정보를 송신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단말기(3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에서 현장학습을 수행하는 실시예가 나타나 있다.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30)가 전술한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20)가 미리 설정해 놓은 현장학습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급할 경우 상기 과제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고, 학습자는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30)는 상기 과제에 대한 과제 해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0)로 송신하게 된다. 학습자의 전체적인 현장학습 구성 파악과 길찾기 등을 위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현장학습 수행모드는 지도기반의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장학습 과제 수행 등과 관련해서는 증강현실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20)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현장학습을 감독하는 실시예이다.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20)는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30)가 상기 관리서버(10)로 송신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것인데, 이때 단순한 과제 해결 정보만이 아니라 현장학습을 수행중인 다수의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들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서 증강현실로 다수의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30)의 위치와 과제 수행완료 여부 등을 현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Ⅱ.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방법
본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각각 동조화된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에서 (a)단계 내지 (e)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현장학습 지원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a)단계
본 단계는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구성모드에서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학습구성자의 효율적인 학습구성을 위해 지도기반 또는 증강현실 유저인터페이스가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에서 지원될 수 있다. 학습구성자는 현장학습이 이루어질 현장학습 위치를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현장학습 구성모드가 지원하는 지도상 또는 증강현실 상에서 설정할 수 있으며, 현장학습을 수행할 학습자 정보 및위치설정 뒤에는 해당 현장학습 위치에서 학습자가 수행할 과제 정보를 입력하며,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입력 내용을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한다.
2. (b)단계
본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DB(Data Base)로 구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가 실행 상태인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장학습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근하면 상기 과제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이를 위해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학습자 정보와 일치하는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현장학습 수행모드를 감지한 뒤에는 해당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갱신하여야 한다.
3. (c)단계
본 단계는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에서 상기 과제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고, 상기 과제 정보에 대한 과제 해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이다. 상기 현장학습 수행모드는 학습자에게 현장학습의 전체적인 구성의 파악과 길찾기 등의 정보제공을 위해 지도기반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도 있고, 현장학습 밀도를 높여주도록 증강현실을 유저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도 있다. 학습자가 과제 해결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그 해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게 된다.
4. (d)단계
본 단계는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이다. 과제 해결 정보에는 과제를 해결한 학습자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관리서버는 이를 일단 저장한 후에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한다.
5.(e)단계
본 단계는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단계이다. 이때 단순한 과제 해결 정보만이 아니라 현장학습을 수행중인 다수의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들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더불어서 증강현실로 다수의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의 위치와 과제 수행완료 여부 등을 현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학습구성자는 본 단계에서 현장학습의 전체적인 진행 상황과 학습자 개개인별 과제 해결 현황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학습구성자는 현장학습의 전반적인 흐름에 대한 통제와 지도가 가능하다.
10 : 관리서버 20 :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
30 :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

Claims (6)

  1. 관리서버 및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동조화된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구분되고,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구성모드에서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DB(Data Base)로 구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가 실행 상태인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장학습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근하면 상기 과제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에서 상기 과제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고, 상기 과제 정보에 대한 과제 해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며,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것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 상기 현장학습 수행모드 및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지도기반의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는 현장학습을 수행중인 다수의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들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3. 제1항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 상기 현장학습 수행모드 및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4. 관리서버, 상기 관리서버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각각 동조화된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 및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현장학습 지원 방법으로서,
    (a)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구성모드에서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설정하여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현장학습 위치, 학습자 정보 및 과제 정보를 DB(Data Base)로 구축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가 실행 상태인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현장학습 위치로부터 일정 반경 이내에 접근하면 상기 과제 정보를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c)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수행모드에서 상기 과제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고, 상기 과제 정보에 대한 과제 해결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d) 상기 관리서버가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DB에 저장하고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e) 상기 학습구성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상기 과제 해결 정보를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결합된 디스플레이부에 현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방법.
  5. 제4항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 상기 현장학습 수행모드 및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지도기반의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제공하며,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는 현장학습을 수행중인 다수의 상기 학습자의 모바일 단말기들의 위치를 지도상에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방법.
  6. 제4항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상기 현장학습 구성모드, 상기 현장학습 수행모드 및 상기 현장학습 감독모드에서 유저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방법.




KR1020110013347A 2011-02-15 2011-02-15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936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347A KR20120093651A (ko) 2011-02-15 2011-02-15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3347A KR20120093651A (ko) 2011-02-15 2011-02-15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3651A true KR20120093651A (ko) 2012-08-23

Family

ID=46885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3347A KR20120093651A (ko) 2011-02-15 2011-02-15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36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659A (ko) * 2014-12-02 2016-06-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망을 이용한 스탬프 학습 장치 및 방법
WO2018079935A1 (ko) * 2016-10-26 2018-05-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습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659A (ko) * 2014-12-02 2016-06-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망을 이용한 스탬프 학습 장치 및 방법
WO2018079935A1 (ko) * 2016-10-26 2018-05-03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학습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nford Future location-based experiences
CN105243485A (zh) 基于bim网络技术的建筑工程管理系统平台
KR20180097853A (ko) 지식 맵 기반의 멀티 유저 게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Bergenti et al. Location-aware social gaming with AMUSE
KR101239273B1 (ko) 위치기반서비스와 증강현실기술을 이용한 분실물 찾기 시스템 및 분실물 찾기 방법
KR20120093651A (ko) 모바일 현장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Li et al. A platform on the cloud for self-creation of mobile interactive learning trails
Davies et al. Mobile cross reality for cultural heritage
Yasuoka et al. The advancement of world digital cities
CN106297452A (zh) 移动教育平台系统
KR101210282B1 (ko) 위치기반 가상 낙서판 인터페이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Baloian et al. The future role of HTML5 in mobile situated learning scenarios
Graf et al. An infrastructure for developing pervasive learning environments
Martin et al. Middleware for the development of context-aware applications inside m-Learning: Connecting e-learning to the mobile world
Chopvitayakun Mobile application implementing location based services framework with google cloud platform integration: SSRU development case
Coughlan et al. Designing for balance:'Out There and in Here'
Piovesan et al. U-SEA: a learning environment ubiquitous using cloud computing
Zeffiro The persistence of surveillance: The panoptic potential of locative media
KR101260483B1 (ko) 위치기반 가상 메모 시스템 및 방법
Zhang et al. Collaborative mixed reality annotations system for science and history education based on UWB positioning and low-cost AR glasses
Shi An interactive zoo guide: A case study of collaborative learning
Wu et al. Augmented reality navigation app and metadata icon design for children’s library
Li et al. Implementation Technology of the Smart Museum of the South China Sea Museum Based on UWB
KR20130007014A (ko) 모바일 가상 생태학습 시스템 및 방법
Wang et al.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obile learning platform based on WL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