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1637A - Method for providing ui for each user,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and device apply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providing ui for each user,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and device apply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1637A
KR20120091637A KR1020110011524A KR20110011524A KR20120091637A KR 20120091637 A KR20120091637 A KR 20120091637A KR 1020110011524 A KR1020110011524 A KR 1020110011524A KR 20110011524 A KR20110011524 A KR 20110011524A KR 20120091637 A KR20120091637 A KR 20120091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identifier
icon
area
service prov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5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필승
강성훈
천가원
윤여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1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91637A/en
Publication of KR2012009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163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3User authentication using certific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06F21/35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communicating wireless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Abstract

PURPOSE: A UI(User Interface) supplying method, a service performing method, and a device applying the same are provided to conveniently use a device by using the device without passing through a login process. CONSTITUTION: An access recognizing unit(820) detects access to a user in an access recognition area. A manipulating unit(850) receives the manipulation of the user. A display unit(840) displays the inputted image. A controlling unit(870) displays an icon for indicating access of the user on a screen. The controlling unit displays a personal area allocated to the user.

Description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Method for providing UI for each user,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and device applying the same}Method for providing UI for each user,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and device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UI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서비스 수행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viding a UI for each user, a method for performing a service, and a device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It relates to the applied device.

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예를 들어, 가정에는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으며, 기업에는 사내 네트워크 망을 이용한 회의실 등이 구축되고 있다. 또한, 정부에서는 네트워크 망을 통해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한 하나의 도시를 건설하는 유씨티 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A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developed, an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devic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o provide respective services is being established. For example, home networks are being built in homes, and meeting rooms using in-house network networks are being built in businesses. In addition, the government is actively carrying out the U-City business to build a city with a ubiquitous environment through a network.

이와 같은 네트워크 환경에 포함된 기기는 한명의 사용자가 아닌 여러 명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 인증과정을 거쳐야 한다. Devices included in such a network environment tend to be used by several users instead of one user. Therefore, the user must go through a user authentication process in order to use a specific device.

하지만, 사용자는 특정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 매번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로그인 과정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기기의 사용을 시작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들을 다른 기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필요한 파일들을 복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since the user has to log in by inputting an ID and password every time in order to use a specific device, it is inconvenient to start using the device. 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files stored in the user's computer in another device, it is inconvenient that the user has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copying the necessary files to their computer.

사용자는 네트워크 환경에 접속된 기기를 단순한 과정을 거쳐 사용하는 것을 원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네트워크 환경에 접속된 기기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The user wants to use a device connected to a network environment through a simple process.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method for enabling a user to conveniently use devices connected to a network environ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상기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사용자가 접근하였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고,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에게 할당된 화면 영역인 개인화 영역을 표시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displays an ic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and selects the icon A method of providing a user-specific UI for displaying a personalization area, which is a screen area allocated to a user, when a manipulation is inputted is provided, and a device apply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특정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고, 사용자의 위치 이동이 검출되면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특정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splay a specific icon on the screen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as access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and to move the specific ic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of the user when the user's position movement is detected. It is to provide a UI for each us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UI 제공방법은, 접근인식 영역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사용자가 접근하였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화면 영역인 개인화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for providing a user-specific UI includes: detecting whether a user approaches an access recognition area; If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displaying an ic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accessed the screen; And when an operation of selecting the icon is input, displaying a personalization area that is a screen area allocated to the user.

그리고, 상기 검출단계는, 접근인식 영역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와 함께,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검출할 수도 있다. The detecting step may detect the approaching direction of the user along with whether the user approaches the approach recognition area.

또한, 상기 아이콘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의 화면 영역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할 수도 있다. In the displaying of the icon, the icon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area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ing direction of the user.

그리고, 상기 개인화 영역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의 화면 영역에 상기 개인화 영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In the displaying of the personalized area, the personalized area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area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ing direction of the user.

또한, 상기 검출단계는, 접근인식 영역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와 함께, 사용자의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detecting step may detect the user's information together with whether the us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그리고, 상기 검출단계는, 사용자의 ID 카드, 사용자의 생체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검출할 수도 있다. In the detecting step, the user's information may be detected through the user's ID card and the user's biometric authentication.

또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 ID, 패스워드, 사용자 이름, 사용자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아이콘과 함께 표시할 수도 있다. The information of the use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 ID, a password, a user name, a user picture, and the displaying of the icon may display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user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con.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moving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of the user.

또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의 하단이 화면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The moving may include: moving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of the user, while the bottom of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is displayed to face outward of the screen.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can also be moved.

그리고, 사용자의 위치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기기로 이동된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to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to be moved to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또한,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근의 검출이 종료된 경우,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moving the icon or the personalized area from the screen when the detection of the user's access is terminated while the icon or the personalized area is display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접근인식 영역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접근 인식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recogni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user approached 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An operation unit receiving an operation of a user;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가 상기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사용자가 접근하였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이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화면 영역인 개인화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input image;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n ic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accessed the screen, and assigns to the user when an operation for selecting the icon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personalized area that is a screen area.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UI 제공방법은, 접근인식 영역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특정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접근인식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의 위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ser-specific UI providing method,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cting whether the user approached with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If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displaying a specific icon on the screen; Detecting a user's movement 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And moving the ic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of the user when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user is detected.

그리고,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아이콘의 하단이 화면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콘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The moving may include moving the icon in a state in which a lower end of the icon is display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creen while moving the ic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of the user.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면 중 어느 한 면의 접근인식 영역 내에 복수의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복수의 아이콘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The devic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rfaces, and the detecting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may include detecting whether a plurality of users have approached an access recognition area of one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and displaying the icons. A plurality of icons for each user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그리고,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개인화 영역을 표시할 수도 있다. When an operation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is input, a personaliz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may be displaye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서비스 수행 방법은, 접근인식 영역 내에 식별자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식별자가 상기 접근인식 영역에 근접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식별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performing a service of a device may include detecting whether an identifier is close to an access recognition area, 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 identifier is close to the access recognition area, identifying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r. And receiving the service provider's address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er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corresponding service from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obtained service provider's address.

또한, 상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the receiving of the identifier information, the identifier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a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identifier.

또한, 상기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상호 연결 및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performing interconnection and authentication with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obtained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여기서, 상기 상호 연결 및 인증은, 비밀키 매커니즘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terconnection and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secret key mechanism scheme.

또한,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livering user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er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또한, 상기 식별자의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는 매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매핑 테이블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and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are stored in the form of a mapping table, and the obtaining of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may obtain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mapping table.

또한, 상기 식별자는 자신의 네트워크 상에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식별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dentifier periodically broadcasts the address of a service provider on its network, and obtaining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may include the device joining the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to broadcast the broadcast.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can be obtained.

또한, 상기 식별자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기준으로 상기 식별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cting of whether the identifier is close may include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er is close based on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of the beacon signal.

또한, 상기 식별자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의 SSID, Mac Address 및, Network mo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detecting of whether the identifier is close may include detecting the identifi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SID, the Mac address, and the network mod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identifier is close. .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이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전자 칠판, 스마트 TV, 키니스크 및 광고판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vice may be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and the service provider may be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blackboard, a smart TV, a kinisk, and a billboard.

또한,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이며, 상기 디바이스는 전자 칠판, 스마트 TV, 키니스크 및 광고판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dentifier may be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and the device may be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blackboard, a smart TV, a kinisk, and a billboard.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는, 접근인식 영역 내에 식별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접근 인식부, 상기 식별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식별자가 상기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식별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고,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the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ess recogni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identifier 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the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r and detects that the identifier has access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r, obtain an address of a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er information, and receive a service from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obtained service provider address.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식별자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may receive the identifier information from a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identifier.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상호 연결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perform mutual connection and authentication with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obtained service provider address.

또한, 상기 상호 연결 및 인증은, 비밀키 매커니즘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connection and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secret key mechanism scheme.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er and perform user authentication.

또한, 상기 식별자의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는 매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configured to store the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in the form of a mapping table, wherein the controller may obtain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mapping table stored in the storage. have.

또는, 상기 식별자는 자신의 네트워크 상에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dentifier may periodically broadcast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on its network, and the controller may acquire the address of the broadcasted service provider by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

또한, 상기 접근 인식부는, 상기 비콘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기준으로 상기 식별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access recognizer may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er is close to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of the beacon signal.

또한, 상기 접근 인식부는, 상기 식별자의 SSID, Mac Address 및, Network mo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의 근접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The access recognition unit may detect the identifi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SID, the Mac address, and the network mod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and detect whether the detected identifier is close.

또한,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이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전자 칠판, 스마트 TV, 키니스크 및 광고판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vice may be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and the service provider may be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blackboard, a smart TV, a kinisk, and a billboard.

또는,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이며, 상기 디바이스는 전자 칠판, 스마트 TV, 키니스크 및 광고판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dentifier may be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and the device may be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blackboard, a smart TV, a kinisk, and a billboard.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상기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사용자가 접근하였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고,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에게 할당된 화면 영역인 개인화 영역을 표시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네트워크 환경에 접속된 디바이스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사용자는 별도의 로그인 과정을 거치지 않고 디바이스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디바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a screen area assigned to the user is displayed when an operation for selecting the icon is displayed, and an ic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is inpu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user-specific UI providing method for displaying the personalization area and a device applying the same,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devices connected to the network environment. In particular, since the user can use the device only by accessing the device without going through a separate login process, the user can use the device very conveniently.

또한, 사용자가 기기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바이스를 다른 사용자와 함께 사용할 때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연결 포인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별 개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ser can use the personalized service just by accessing the device. In addition, when using the device with other users can be provided to use as a connection point for a specific us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rsonal service for each user without going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탑(Table Top)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탑이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정보도 인식한 경우,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탑이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정보는 인식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테이블탑의 왼쪽 면으로 접근한 경우,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접근 알림수단이 발광소자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위치 이동시 테이블탑에 표시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이 같이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터치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영역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위치 이동시 테이블탑에 표시된 개인화 영역이 같이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사용자가 테이블탑의 제4 영역에서 벗어난 경우, 테이블탑의 개인화 영역이 사라지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명의 사용자가 테이블탑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600)와 테이블탑(100)이 서로 연동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UI 제공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럭도,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탑의 한쪽 면에 2명의 사용자가 접근한 경우 사용자별 접근인식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에 대해 도시한 도면,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탑의 한쪽 면에 2명의 사용자가 접근한 경우 사용자별 개인화 영역이 표시된 화면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근 인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a 내지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링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able 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is displayed when a tabletop recognizes a user's access and also recognizes user'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when a tabletop recognizes a user's approach and does not recognize the user'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C is a view showing a screen on which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is displayed when a user approaches the left side of the tableto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user access notification means is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E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displayed on a tabletop when a user moves a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ouching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B illustrates a screen displaying a personalization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ersonalization region displayed on a tabletop when a user moves a 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disappearance of the personalized area of the tabletop when the user leaves the fourth area of the tabletop;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wo users use a table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smart board 600 and the tabletop 1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user-specific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FIG.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n access recognition icon for each user when two users approach one side of a table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 personalization area for each user when two users approach one side of a tableto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rvice per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ccess recogni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A to 13D illustrate a service link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r authentic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per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ervice per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rvice per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er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탑(Table Top)(10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테이블 형태로 구현된 컴퓨터 장치이며, 테이블의 상판에 디스플레이(110)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able top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tabletop 100 is a computer device implemented in a table form,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isplay 110 is mounted on the top plate of the table.

또한, 테이블탑(100)은 접근 인식부를 통해 사용자가 접근인식 영역 내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테이블탑(100)은 4개의 변으로 구성된 사각형 테이블 형태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접근 인식부는 각 변에 배치된 제1 접근인식 센서(126), 제2 접근인식 센서(127), 제3 접근인식 센서(128), 및 제4 접근인식 센서(129)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recognizes whether the user has approached with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through the access recognition unit. Table top 100 has a rectangular table form consisting of four sides. Accordingly, the approach recognition unit includes a first approach recognition sensor 126, a second approach recognition sensor 127, a third approach recognition sensor 128, and a fourth approach recognition sensor 129 disposed on each side.

그리고, 테이블탑(100)은 각 변에 대해 제1 영역(121), 제2 영역(122), 제3 영역(123), 및 제4 영역(124) 내로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영역(121) 내지 제4 영역(124)은 각 변의 중심으로부터 1 ~ 1.5 m 정도의 범위가 될 수 있다. 즉, 접근인식 영역은 테이블탑(100)이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영역으로써, 도 1의 경우 제1 영역(121) 내지 제4 영역(124)이 접근인식 영역에 해당된다.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recognizes whether the user approaches each side of the first area 121, the second area 122, the third area 123, and the fourth area 124. . For example, the first region 121 to the fourth region 124 may be in a range of about 1 to 1.5 m from the center of each side. That is, the access recognition area is an area in which the tabletop 100 recognizes the user's approach. In FIG. 1, the first area 121 to the fourth area 124 correspond to the access recognition area.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제1 영역(121)의 방향을 상 방향(위쪽 방향), 제2 영역(122)의 방향을 우 방향(오른쪽 방향), 제3 영역(123)의 방향을 하 방향(아래쪽 방향), 제4 영역(124)의 방향을 좌방향(왼쪽 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rection of the first region 121 is the upward direction (upward direction), the direction of the second region 122 is the right direction (righ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third region 123 is the downward direction (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fourth region 124 are defined as the left direction (left direction).

제1 영역(121)은 제1 접근인식 센서(126)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검출되는 영역이고, 제2 영역(122)은 제2 접근인식 센서(127)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검출되는 영역이고, 제3 영역(123)은 제3 접근인식 센서(128)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검출되는 영역이고, 제4 영역(124)은 제4 접근인식 센서(129)에 의해 사용자의 접근이 검출되는 영역이다. The first area 121 is an area where the user's approach is detected by the first access recognition sensor 126, and the second area 122 is an area where the user's approach is detected by the second access recognition sensor 127. The third area 123 is an area in which the user's approach is detected by the third access recognition sensor 128, and the fourth area 124 is detected by the fourth access recognition sensor 129. Area.

테이블탑(100)은 다양한 형태의 접근 인식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근 인식부는 ID 카드 리더, 무선통신모듈, 또는 인체감지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ID 카드를 ID 카드리더에 접근시킨 경우, 테이블탑(100)은 ID 카드 리더를 통해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ID 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테이블탑(100)은 RF, Zigbee, Bluetooth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ID 카드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음성, 각막, 얼굴 또는 지문 등을 인식하는 생체인증을 이용한 인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ID카드 또는 사용자의 음성, 각막, 얼굴 또는 지문 등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누구인지도 인식할 수도 있다.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a user's approach using various types of access recognition units. In detail, the access recognition unit may use an ID card reade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human body sensor. For example, when the user accesses the ID card to the ID card reader, the tabletop 100 recognizes the user's access through the ID card reader. In addition, when the user has an ID card, the tabletop 100 may detect the ID card of the us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RF, Zigbee, Bluetooth,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the user's approach using a human body sensor using biometric authentication to recognize the user's voice, cornea, face or fingerprint.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the user's ID card or the user's voice, cornea, face, or fingerprint, to recognize who the user is.

또한,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어느 방향에 접근했는지를 인식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테이블탑(100)은 사각 테이블이므로 4개의 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테이블탑(100)은 4개의 면 중 어느 면 쪽으로 사용자가 접근했는지를 인식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which direction the tabletop 100 has approached. For example, the table top 100 of FIG. 1 has four faces because it is a rectangular table. Accordingly,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which of the four surfaces the user approaches.

이를 위해, 테이블탑(100)은 4개의 면에 각각 하나씩 접근 인식 센서가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테이블탑(100)에는 상하좌우의 각 면에 4개의 접근 감지 센서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이블탑(100)은 각 센서들에서 검출되는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가장 강한 신호가 검출되는 센서의 위치로 사용자가 접근하였음을 인식한다. To this end, the table top 100 may be provided with one approach recognition sensor on each of four surfaces. For example, the tabletop 100 of FIG. 1 may be equipped with four approach detection sensors on each side of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compares the strengths of the signals detected by the sensors, and recognizes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position of the sensor where the strongest signal is detected.

이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접근 인식부를 통해 사용자가 접근했는지 여부 및 사용자가 어느 방향에서 접근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As such,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has approached and in which direction the user has approached through the access recognition unit.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접근한 경우의 테이블탑(100)의 동작에 대해 도 2a 내지 도 2e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abletop 100 when the user approaches i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to 2E.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탑(100)이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정보도 인식한 경우,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10)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2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10 when the tabletop 100 recognizes a user's approach and also recognizes a user'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위쪽 면으로 접근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위쪽 면으로 접근하였음을 인식하고 사용자 접근 인식 아이콘(210)을 화면의 위쪽 부분에 표시한다. As shown in FIG. 2A,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upper side of the tabletop 100, the tabletop 100 recognizes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upper side and displays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10 on the upper side of the screen. Mark it.

또한,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접근과 함께 사용자 정보도 인식할 수 있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100)의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10)에 "사용자 A"라고 기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테이블탑(100)은 접근한 사용자가 "사용자 A"임을 인식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user information with the user's access. As shown in FIG. 2A,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10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abletop 100 may be identified as “user A”. That is, the tabletop 100 recognizes that the approaching user is “user A”.

여기에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에 관련된 정보들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자 ID, 패스워드, 사용자 이름, 사용자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The user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and includes at least one of a user ID, a password, a user name, and a user picture.

여기에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10)은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에 접근하였음을 테이블탑(100)이 인식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해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10)이 화면에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10)을 선택하면,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을 사용하기 위한 의도로 접근한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즉, 테이블탑(100)은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10)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을 사용하기 위한 의도의 접근인지 아니면, 테이블탑(100)의 사용 의도가 없는 우연한 접근인지를 구별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10 refers to an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to indicate that the tabletop 100 recognizes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tabletop 100.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10 while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10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tabletop 100 is approached by the user with the intention of using the tabletop 100. You will be judged. That is, the tabletop 100 uses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10 to distinguish whether the user intends to use the tabletop 100 or an accidental approach without the intention of using the tabletop 100. You can do it.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10)은 GUI 상의 아이콘으로 표시되며, 검출된 사용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10)에는 사용자의 ID, 사용자의 이름 및 사용자의 사진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가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10 may be displayed as an icon on the GUI, and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user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together. For example,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10 may also display at least one of a user ID, a user name, and a photo image of the user.

반면,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누구인지 인식할 수 없는 경우, 사용자를 게스트(GUEST)로 인식한다. 이에 대해, 도 2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tabletop 100 cannot recognize who the user is, the tabletop 100 recognizes the user as a guest.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B.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탑(100)이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사용자의 정보는 인식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20)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2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20 when the tabletop 100 recognizes a user's approach and does not recognize the user's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100)이 사용자의 접근만 인식하고 사용자의 정보는 인식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20)에는 "GUEST"라고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B, when the tabletop 100 recognizes only the user's access and does not recognize the user's information, the user may recognize that the "GUEST" is displayed on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20.

또한, 테이블탑(100)이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직접 입력받을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블탑(100)이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 정보 입력화면을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정보가 모두 입력되면, 테이블탑(100)은 입력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20)에 입력된 사용자의 ID를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when the tabletop 100 does not recognize the user's information, the tabletop 100 may directly receive the user's information from the user. In detail, when the tabletop 100 does not recognize the user's information, the tabletop 100 displays a user information input screen. When all of the user information is input by the user, the tabletop 100 stores the input user information and displays the ID of the user input in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20.

또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20)은 다양한 위치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2c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왼쪽 면으로 접근한 경우,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30)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In addition,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20 may be displayed at various locations.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C. 2C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30 when a user approaches the left side of the tabletop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접근한 방향에 따라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30)을 다른 위치에 표시한다. 즉,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의 화면 영역에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는 사용자가 접근한 위치에서 가까운 화면 영역에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30)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30)을 쉽게 인지하게 하기 위함이다. The tabletop 100 displays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30 in different locati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approaches. That is, the tabletop 100 displays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on a screen area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ing direction of the user. This is for the user to easily recognize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30 by displaying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30 in the screen area near the user access position.

따라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왼쪽 면으로 접근한 경우,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30)은 화면의 왼쪽부분에 표시된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2C,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left side of the tabletop 100,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30 is displayed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이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사용자의 접근방향에 가까운 부분의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접근으로 인해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이 표시되었음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the tabletop 100 displays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on the screen near the user's approach direction. Therefore, the user can intuitively recognize that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is displayed due to his access.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블탑(100)이 사용자의 접근을 알리기 위해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30)을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방식의 사용자 접근 알림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접근 알림수단은 발광소자나 소리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접근 알림수단이 발광소자인 경우를 도 2d를 참고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tabletop 100 displays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30 to notify the user's access. However, other methods of accessing the user may be used. Specifically, the user access notification means may be implemented using a light emitting element or a sound. A case where the user access notification means is a light emitting devic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 2D.

도 2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접근 알림수단이 발광소자인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각 면에 제1 발광소자(250), 제2 발광소자(252), 제3 발광소자(254), 및 제4 발광소자(256)가 포함한다. 2D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he user access notification means is a light emit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D, the table top 100 includes a first light emitting device 250, a second light emitting device 252, a third light emitting device 254, and a fourth light emitting device 256 on each surface thereof. Include.

그리고,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에 접근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접근한 것으로 인식된 면의 발광소자를 발광시킨다. 도 2d의 경우,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위쪽 면으로 접근하였으므로, 테이블탑(100)은 위쪽에 배치된 제1 발광소자(250)를 발광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tabletop 100, the tabletop 100 emits light emitting devices having a surface recognized as approached by the user. In the case of FIG. 2D, since the user approaches the upper surface of the tabletop 100, the tabletop 100 emits light of the first light emitting device 250 disposed above.

이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발광소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였음을 표시할 수도 있다. As such, the tabletop 100 may display that the user's approach is recognized by us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위치 이동시 테이블탑(100)에 표시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60)이 같이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위쪽 면에 있다가 왼쪽 면으로 이동한 경우,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60)은 화면의 위쪽 부분에서 왼쪽 부분으로 이동된다. 즉,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표시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60)의 위치를 사용자가 이동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2E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60 displayed on the tabletop 100 being moved together when the user moves a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E, when the user moves to the left side of the tabletop 100,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60 moves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en to the left portion. That is, when the user moves the position, the tabletop 100 moves the position of the displayed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60 to the position where the user moved.

또한,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60)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동안,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60)의 하단이 화면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60)을 이동시킨다.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60)이 화면의 윗쪽에서 왼쪽으로 이동될 때,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60)의 하단부분은 화면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화면의 위쪽방향을 향하다가 화면의 왼쪽방향을 향하도록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60)을 뒤집히거나 삐뚤어진 방향이 아닌 정방향으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while the tabletop 100 moves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60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moved position, the bottom of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60 is displayed to face outward of the screen.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60 is moved. As shown in FIG. 2E, when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60 is moved from the top of the screen to the left side, the bottom portion of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60 is direc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creen to maintain the screen. You can see that it has changed to face upward on the screen and then toward the left side of the screen. This is to allow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60 to be viewed in the forward direction instead of being flipped or skewed in any direction.

이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260)을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이동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사용자 인식 아이콘(260)을 터치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since the tabletop 100 moves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260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he user can more conveniently touch the user recognition icon 260.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도 3c를 참고하여, 개인화 영역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310)을 터치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the personalization area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3C. 3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ouching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3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테이블탑(100)이 사용자 접근을 인식하였음을 알리는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면,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선택하여 테이블탑(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선택하면, 사용자에게 적합한 메뉴를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테이블탑(100)의 화면은 터치스크린이고, 사용자는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테이블탑(100)의 사용을 시작할 수도 있다. When the tabletop 100 displays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indicating that the user access is recognized on the screen, the user can select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displayed on the screen to use the tabletop 100.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the tabletop 100 displays a menu suitable for the user on the screen. For example, the screen of the tabletop 100 is a touch screen, and the user may start using the tabletop 100 by touching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화 영역(320)이 표시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터치하면,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화면영역인 개인화 영역(320)을 화면에 표시한다.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의 화면 영역에 개인화 영역(320)을 표시한다. 테이블탑(100)이 사용자로부터 가까운 화면영역에 개인화 영역(320)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개인화 영역(320)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3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n which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B, when a user touches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of the tabletop 100, the tabletop 100 displays a personalization area 320, which is a screen area that the user can use, on the screen. The tabletop 100 displays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in a screen area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user. The tabletop 100 displays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in a screen area close to the user,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more conveniently.

여기에서, 개인화 영역(320)은 테이블탑(100)의 화면 영역에서 사용자 개인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할당된 화면 영역을 의미한다. 그리고, 테이블탑(100)의 화면에서 개인화 영역(32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모든 사용자가 함께 사용하는 공유영역이 된다. 개인화 영역에는 사용자가 개인적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메뉴가 표시된다. Herein,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refers to a screen area allocated for use by a user in the screen area of the tabletop 100. The remaining area of the tabletop 100 except for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becomes a shared area that all users use together. In the personalization area, a menu suitable for personal use by the user is displayed.

예를 들어, 개인화 영역(320)에는 테이블탑(100)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개인폴더, 사용자의 개인 컴퓨터의 공유폴더, 인터넷 웹사이트의 개인 블로그, 및 네트워크 상에 접속된 친구 리스트 등이 표시된다. For example,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displays a user's personal folder stored in the tabletop 100, a shared folder of the user's personal computer, a personal blog of an Internet website, and a list of friends connected on the network.

또한, 개인화 영역(320)에는 사용자의 시간대별 사용률이 높은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별 사용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시간대별로 어떤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지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매주 수요일 오후 3시에 테이블탑(100)에서 메일을 확인하는 경우, 테이블탑(100)은 오후 3시에는 개인화 영역에 메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아이콘을 개인화 영역(320)에 표시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may automatically display an application having a high usage rate for each time zone. In this case, the tabletop 100 may determine which application the user uses for each time zone by referring to the log of the application for each user. For example, if the user checks the mail on the tabletop 100 every Wednesday at 3:00 pm, the tabletop 100 displays an icon in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that executes the mail application in the personalization area at 3:00 pm. Will be displayed.

도 3b의 경우, 개인화 영역(320)은 개인폴더(321), 즐겨찾기(323), 및 PC 공유폴더(325) 메뉴가 표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개인화 영역(320)은 이외에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메뉴라면 어느 것이라도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case of FIG. 3B,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shows a state where a personal folder 321, a favorite 323, and a PC shared folder 325 menu are displayed. However,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to any menu that can be used by the user.

이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사용자별로 개인화 영역(320)을 화면에 표시해 주기 때문에, 사용자는 테이블탑(100)에서 개인의 영역을 할당받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since the tabletop 100 displays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for each user on the screen, the user can be assigned to use the personal area of the tabletop 100.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위치 이동시 테이블탑(100)에 표시된 개인화 영역(320)이 같이 이동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위쪽 면에 있다가 왼쪽 면으로 이동한 경우, 개인화 영역(320)은 화면의 위쪽 부분에서 왼쪽 부분으로 이동된다. 즉,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표시된 개인화 영역(320)의 위치를 사용자가 이동한 위치로 이동시킨다. 3C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displayed on the tabletop 100 moves together when the user moves the lo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C, when the user is on the upper side of the tabletop 100 and moves to the left side,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is mov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screen to the left part. That is, when the user moves the position, the tabletop 100 moves the displayed personalization area 320 to the position where the user moves.

또한,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개인화 영역(320)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동안, 개인화 영역(320)의 하단이 화면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된 상태에서 개인화 영역(320)을 이동시킨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 영역(320)이 화면의 윗쪽에서 왼쪽으로 이동될 때, 개인화 영역(320)의 하단부분은 화면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유지하기 위해, 화면의 위쪽방향을 향하다가 화면의 왼쪽방향을 향하도록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어떤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개인화 영역(320)을 뒤집히거나 삐뚤어진 방향이 아닌 정방향으로 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while the tabletop 100 moves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moved position,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is displayed in such a manner that the bottom of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is directed outward of the screen. Move). As shown in FIG. 3C, when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is moved from the top of the screen to the left side, the bottom portion of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is directed upward of the screen to mainta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screen. You can see that it has changed to face the left side of the screen.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view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in the forward direction instead of being flipped or skewed in any direction.

이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화면에 표시된 개인화 영역(320)을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이동시키기 때문에,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개인화 영역(320)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As such, since the tabletop 100 moves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user, the user can use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more conveniently.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사용을 종료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제4 영역(124)에서 벗어난 경우, 테이블탑(100)의 개인화 영역(320)이 사라지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4, a case in which the user ends the use of the tabletop 100 will be describe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at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of the tabletop 100 disappears when the user leaves the fourth area 124 of the tabletop 10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4 영역(124)을 벗어난 경우, 테이블탑(100)의 접근 인식부는 사용자의 접근을 더 이상 인식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블탑(100)은 이를 사용자가 사용을 종료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개인화 영역(320)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leaves the fourth area 124, the access recognition unit of the tabletop 100 no longer recognizes the user's approach. Therefore, the tabletop 100 determines that the user ends the use, and causes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to disappear from the screen.

또한,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제4 영역(124)을 벗어나더라도 일정시간의 대기시간을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즉, 사용자가 제4 영역(124)을 벗어나더라도 대기시간 내에 사용자가 다시 제4 영역(124)으로 돌아오면, 테이블탑(100)은 계속 개인화 영역(320)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반면, 사용자가 제4 영역(124)을 벗어나고 대기시간이 경과하면, 테이블탑(100)은 개인화 영역(320)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한다.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may have a waiting time of a predetermined time even if the user leaves the fourth area 124. That is, even if the user leaves the fourth area 124, when the user returns to the fourth area 124 again within the waiting time, the tabletop 100 continues to display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on the screen.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leaves the fourth area 124 and the waiting time elapses, the tabletop 100 causes the personalization area 320 to disappear from the screen.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제4 영역(124)을 벗어나더라도 일정 시간의 재사용 시간가능 동안 개인화 영역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해 둔다. 따라서, 사용자가 재사용가능 시간 내에 다시 제4 영역(124) 내로 접근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가 이전에 사용했던 개인화 영역을 그대로 다시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제4 영역(124)에서 실수로 벗어나 있었더라도 쉽게 테이블탑(100)을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tabletop 100 stores the information about the personalization area in the memory for a certain time of reuse even if the user leaves the fourth area 124. Therefore, when the user approaches the fourth area 124 again within the reusable time, the tabletop 100 displays the personalization area that the user previously used on the screen as it is.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reuse the tabletop 100 even if the user accidentally deviates from the fourth region 124.

도 4에 대한 설명에서, 접근인식 영역이 제4 영역(124)인 경우를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 다른 접근인식 영역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1의 제1 영역(121), 제2 영역(122), 및 제3 영역(123)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description of FIG. 4, the case in which the access recognition area is the fourth area 124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it can be applied to other access recognition areas. For example, it may be applied to the first region 121, the second region 122, and the third region 123 of FIG. 1.

지금까지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테이블탑(100)의 사용자 접근 인식 및 개인화 영역 제공 과정을 통한 사용자별 UI 제공방법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So fa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 user-specific UI providing method through the user access recognition and personalization area providing process of the tabletop 100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본 실시예에서는, 한명의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테이블탑(100)은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동시에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테이블탑(100)은 각 사용자에게 개인화 영역을 할당하여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에 대해,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a case where one user uses the tabletop 100 has been described, but the tabletop 100 may be used simultaneously by a plurality of users. In this case, the tabletop 100 allocates a personalization area to each user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2명의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을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화면에 사용자 A의 개인화 영역(510)과 사용자 B의 개인화 영역(520)이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2명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테이블탑(100)은 사용자 각각에 대해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 및 개인화 영역을 표시하게 된다.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two users use the tabletop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tabletop 100 may confirm that the personalization area 510 of the user A and the personalization area 520 of the user B are displayed on the screen. In this manner, the tabletop 100 may be used by two or more users at the same time. The tabletop 100 displays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and a personalization area for each user.

또한, 테이블탑(100)은 각 사용자의 개인화 영역을 통해 서로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A가 자신의 개인화 영역(510)에 표시된 파일을 사용자 B의 개인화 영역(520)으로 드래그한 경우, 탑테이블(100)은 드래그된 파일을 사용자 A의 개인화 영역(510)에서 사용자 B의 개인화 영역(520)으로 복사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ersonalization area of each user. For example, if user A drags a file displayed in his personalization area 510 to user B's personalization area 520, the top table 100 drags the dragged file from user A's personalization area 510. Copy to user B's personalization area 520.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블탑(100)이 하나인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2개 이상의 테이블탑이 서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 환경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 도 6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case where there is one tabletop 100 is described, but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wo or more tabletops may be applied to an environment connected to each other.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보드(600)와 테이블탑(100)이 서로 연동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 보드(600)와 테이블탑(100)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스마트 보드(600)도 테이블탑(100)과 마찬가지로 사용자 접근인식이 가능하다.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ase in which the smart board 600 and the tabletop 100 are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the smart board 600 and the tabletop 100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smart board 600, like the tabletop 100,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user access.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에서 스마트 보드(600)로 이동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스마트 보드(600)로 사용자의 개인화 영역(610)에 관한 정보를 전송한다. 그리고, 스마트 보드(600)는 사용자의 접근이 인식되면, 테이블탑(100)으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의 개인화 영역(610)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화 영역(610)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When the user moves from the tabletop 100 to the smart board 600, the tabletop 1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personalization area 610 of the user to the smart board 600. When the user's approach is recognized, the smart board 600 displays the personalization area 610 on the screen by us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personalization area 610 of the user received from the tabletop 100.

이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기기에 개인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서로 연동할 수도 있다. 또한, 테이블탑(100)은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기기에 개인화 영역뿐만 아니라,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서로 연동할 수도 있다.As such, the tabletop 100 may interwork with each other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the personalization area to other devices that are communicatively connected.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ransmitting information on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as well as a personalization area to another device that is communicatively connect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테이블탑(100)의 형태가 4각 테이블 형태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테이블탑(100)의 형태는 원형, 육각 등 어떤 형태이더라도 가능하다. 또한, 테이블탑(100)에 배치된 접근인식 센서도 그 개수 및 배치 형태에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hape of the table top 100 is described as being a quadrangular table form, but in addition to the shape of the table top 100 may be any shape, such as circular, hexagonal. In addition,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the proximity recognition sensor disposed on the tabletop 100, of cours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적용되는 디바이스가 테이블탑(100)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여 개인화 영역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라면 어떤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는 테이블탑 이외에도 스마트 보드 및 TV 등이 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device to be applied is limited to the tabletop 100, but in addition to this, any device that provides a personalization area by recognizing a user's approach may be applied. For example, the device may be a smart board and a TV in addition to the tabletop.

이하에서는, 도 7을 참고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술한 디바이스의 사용자별 UI 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별 UI 제공방법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7에서 디바이스는 테이블탑(100)인 것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referring to FIG. 7, the user-specific UI providing method of the device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 to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7 is a flowchart provided to explain a user-specific UI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7, the device is described as being a tabletop 100.

일단,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접근이 인식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10). 테이블탑(100)이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는 방법에 관하여는 도 1을 참고하여 상술한바 있다. First, the tabletop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approach is recognized (S710). A method of recognizing a user's approach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사용자의 접근이 인식된 경우(S710-Y),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지 판단한다(S720). 사용자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S720-Y), 테이블탑(100)은 도 2a와 같이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S730).If the user's access is recognized (S710-Y), the tabletop 100 determines whether the user's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S720). When the user's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S720-Y), the tabletop 100 displays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on the screen as shown in FIG. 2A (S730).

반면, 사용자 정보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S710-N), 테이블탑(100)은 사용자 정보 입력창을 표시한다(S723). 그리고, 테이블탑(100)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입력받는다(S726). 그 후에, 테이블탑(100)은 입력된 정보를 참고하여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한다(S730).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S710-N), the tabletop 100 displays a user information input window (S723). The tabletop 100 receives user information from the user (S726). Thereafter, the tabletop 100 displays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on the screen by referring to the input information (S730).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은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화면에서 표시되는 위치가 달라진다. 또한, 도 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할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이 표시되는 위치를 사용자의 이동 위치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As shown in FIG. 2C,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is display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user's loca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E, when the user moves the position, the tabletop 100 may move the position where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is displayed according to the movement position of the user.

한편, 사용자 정보가 인식되지 않은 경우(S710-N), 사용자가 사용자 인증 없이 게스트로써 테이블탑(100)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100)이 게스트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표시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information is not recognized (S710-N),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tabletop 100 as a guest without user authentication, as shown in Figure 2b, the tabletop 100 is a guest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It may be implemented to indicate.

그 후에, 테이블탑(100)은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40). 사용자는 테이블탑(100)에 마련된 조작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을 선택할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tabletop 100 determines whether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is selected (S740). The user may select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by using a manipulation device provided in the tabletop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A, the user may select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by touching the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사용자가 사용자 접근 아이콘을 선택하면(S740), 테이블탑(100)은 화면에 사용자를 위한 개인화 영역을 표시한다(S750).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 영역에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뉴가 표시된다. 또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인화 영역은 사용자의 이동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도 있다.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r access icon (S740), the tabletop 100 displays a personalization area for the user on the screen (S750). As shown in FIG. 3B, various menus that a user can use are displayed in the personalization area. 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3C, the personalization area may be moved together as the user moves.

그 후에,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접근인식이 종료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76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접근인식 영역에서 벗어난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접근인식이 종료된 것으로 판단한다.Thereafter, the tabletop 100 determines whether the access recognition of the user is terminated (S760).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is out of the access recognition area, the tabletop 100 determines that the access recognition of the user is finished.

사용자의 접근인식이 종료된 경우(S760-Y), 테이블탑(100)은 개인화 영역의 표시를 중단하게 된다(S770). When the access recognition of the user is terminated (S760-Y), the tabletop 100 stops displaying the personalization area (S77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여 사용자별 UI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테이블탑(100)은 사용자의 접근만으로 사용자를 인식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복잡한 로그인 과정 없이 테이블탑(100)에서 개인화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rough this process, the tabletop 100 recognizes the user's approach and provides a user-specific UI. In particular, since the tabletop 100 recognizes the user only by the user's access, the user can use the personalized service in the tabletop 100 without a complicated login process.

한편,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디바이스의 블럭도를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는 기능 블럭(810), 접근 인식부(820), 통신부(830), 디스플레이(840), 조작부(850), 저장부(860) 및 제어부(870)를 구비한다.8 shows a block diagram of a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As shown in FIG. 8, the device includes a function block 810, an access recognition unit 820, a communication unit 830, a display 840, an operation unit 850, a storage unit 860, and a control unit 870. do.

기능 블럭(810)은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디바이스가 테이블탑인 경우 기능 블럭(810)은 테이블탑 기능을 수행하고, 디바이스가 스마트 보드인 경우 기능 블럭(810)은 디지털 회의에 필요한 스마트 보드의 기능을 수행한다.The function block 810 performs a device native function. If the device is a tabletop, the function block 810 performs a tabletop function, and if the device is a smart board, the function block 810 performs a function of a smart board required for a digital conference.

접근 인식부(820)는 사용자가 접근인식 영역 내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접근 인식부(820)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인식 센서를 포함한다. 접근인식 센서의 개수는 센서의 종류 및 배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들어, 접근 인식부는 ID 카드 리더, 무선통신모듈, 또는 인체감지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access recognizer 820 recognizes whether the user has approached with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The access recognizer 820 includes at least one approach recognition sensor. The number of approach recognition sensors depends on the type and arrangement of the sensors. For example, the access recognition unit may use an ID card reade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human body sensor.

접근 인식부(820)는 사용자가 디바이스의 어느 방향에 접근했는지를 인식할 수도 있다. 접근 인식부(820)는 접근인식 센서가 배치된 위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인식할 수 있다. The access recognizer 820 may recognize which direction the user approaches. The approach recognition unit 820 may recognize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user by using the position where the access recognition sensor is disposed.

이와 같이, 디바이스는 접근 인식부(820)를 통해 사용자가 접근했는지 여부 및 사용자가 어느 방향에서 접근했는지를 인식할 수 있다. 접근 인식부(820)의 기능에 대해서는 도 1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As such, the device may recognize whether the user has approached and in which direction the user has approached through the access recognizer 820. Since the function of the access recognizer 820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통신부(830)는 주변의 디바이스들과 함께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주변의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830 communicates with the peripheral devices by accessing a network configured with the peripheral devices.

디스플레이(840)는 기능 블럭(810)의 기능 수행 결과를 표시한다. 또한, 디스플레이(840)는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필요한 GUI가 표시된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840)는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 및 개인화 영역을 표시한다. The display 840 displays the result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the function block 810. In addition, display 840 shows a GUI required to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display 840 displays a user access recognition icon and a personalization area.

조작부(85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조작부(850)는 디바이스에 마련된 터치스크린, 버튼 등을 포함한다. The operation unit 850 is a means for inputting a user command.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850 includes a touch screen, a button, and the like provided in the device.

저장부(860)는 서비스 수행에 이용되는 파일, 컨텐츠, 기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또한, 저장부(860)는 사용자별 ID 정보 및 사용자별 개인화 영역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다. The storage unit 860 is a storage medium that stores files, contents, and other data used to perform a service. The storage unit 860 stores ID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personalization area information for each user.

그리고, 제어부(870)는 전술한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의 단계들을 수행하여, 디바이스가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고 개인화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게 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870 performs the steps of the flowchart illustrated in FIG. 7 so that the device recognizes the user's approach and displays the personalization area on the screen.

본 실시예에서는, 한명의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의 한 면을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테이블탑(100)은 한 면에 2인 이상의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에 대해,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only a case where one user uses one side of the tabletop 100 has been described, but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an access of two or more users on one sid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9A and 9B.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탑(100)의 한쪽 면에 2명의 사용자가 접근한 경우 사용자별 접근인식 아이콘이 표시된 화면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 면에 2명의 사용자가 테이블탑(100)에 접근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2명의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하게 된다. 테이블탑(100)의 접근 인식부(820)는 복수의 사용자가 접근인식 영역 내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에 대한 접근 인식은 접근 인식부(820)의 하나의 접근인식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접근인식 센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테이블탑(100)은 2인 이상의 사용자의 ID 카드를 인식하여, 2인 이상의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할 수도 있다. 또한, 테이블탑(100)은 한쪽 면에 복수 개의 인체감지센서가 장착되어, 한쪽 면에 대한 복수의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할 수도 있다. 9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n access recognition icon for each user when two users approach one side of the tabletop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A, when two users approach the tabletop 100 on one side, the tabletop 100 recognizes the access of two users. The access recognition unit 820 of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whether a plurality of users have approached with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Approach recognition for a plurality of users may be performed by one access recognition sensor of the access recognition unit 820, or may be performed by a plurality of access recognition sensors. For example,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ID cards of two or more users, thereby recognizing the access of two or more users.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may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human body detection sensors on one side, and may recognize a plurality of user's access to one side.

그리고, 테이블탑(100)은 2명의 사용자 각각의 접근인식 아이콘을 표시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탑(100)의 화면에 사용자 A에 대한 제1 접근인식 아이콘(910) 및 사용자 B에 대한 제2 접근인식 아이콘(920)이 화면에 함께 표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abletop 100 displays an access recognition icon of each of the two user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A, the first access recognition icon 910 for user A and the second access recognition icon 920 for user B are displayed together on the screen of the tabletop 100. You can see that.

이와 같이, 2인 이상의 사용자가 한 면에 접근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별로 접근인식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As such, when two or more users approach one side, the tabletop 100 displays an access recognition icon for each user on the screen.

또한, 테이블탑(100)은 2인 이상의 사용자가 한 면에 접근한 경우, 사용자별 개인화 영역을 한 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에 대해, 도 9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탑(100)의 한쪽 면에 2명의 사용자가 접근한 경우 사용자별 개인화 영역이 표시된 화면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In addition, when two or more users approach one side, the tabletop 100 may display a personalization area for each user on one side.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B. 9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ing a personalization area for each user when two users approach one side of the tabletop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a의 사용자가 접근인식 아이콘을 터치 조작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별로 개인화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도 9b는 도 9a의 2명의 사용자가 접근인식 아이콘을 터치한 결과 화면이 된다. 도 9a에서 2명의 사용자가 각각 제1 접근인식 아이콘(910) 및 제2 접근인식 아이콘(920)을 터치한 경우, 도 9b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사용자 A를 위한 제1 개인화 영역(930) 및 사용자 B를 위한 제2 개인화 영역(940)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즉, 복수의 접근인식 아이콘들 중 어느 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테이블탑(100)은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개인화 영역을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user of FIG. 9A touches the access recognition icon, the tabletop 100 displays a personalization area for each user on the screen. FIG. 9B is a result screen when two users of FIG. 9A touch the access recognition icon. In FIG. 9A, when two users touch the first access recognition icon 910 and the second access recognition icon 920, the tabletop 100 may display the first personalization area 930 for user A as shown in FIG. 9B. ) And the second personalization area 940 for user B are displayed on the screen. That is, when an operation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access recognition icons is input, the tabletop 100 displays a personaliz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이와 같이, 2인 이상의 사용자가 한 면에 접근한 경우, 테이블탑(100)은 사용자별로 개인화 영역을 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As such, when two or more users approach one side, the tabletop 100 displays a personalization area for each user on the screen.

상술한 바와 같이, 테이블탑(100)은 각 면에 대해 복수의 사용자의 접근을 인식할 수 있으며, 각 사용자별로 접근인식 아이콘 및 개인화 영역을 제공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tabletop 100 may recognize the access of a plurality of users on each surface, and provide an access recognition icon and a personalization area for each user.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rvice per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따르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은 디바이스(1000), 식별자(20) 및 서비스 제공자(2000)의 상호 작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service per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performed by the interaction of the device 1000, the identifier 20, and the service provider 2000.

디바이스(1000)는 서비스를 제공받는 객체로서, 식별자(20)를 매개체로 하여 서비스 제공자(20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디바이스(1000)는 사용자(10)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거치형, 비거치형, 휴대용 기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device 1000 is an object provided with a service, and may receive a service from the service provider 2000 through the identifier 20. Here, the device 1000 may be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the user 10, for example, a stationary, non-mounted, portable device, or the like.

구체적으로 디바이스(1000)는 식별자(20)로부터 제공받은 정보로부터 주변의 서비스들을 파악하고 수신한 정보의 신호 세기로부터 식별자(20)와의 거리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해 줄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device 1000 may identify surrounding services from information provided from the identifier 20, determine a distance from the identifier 20 from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provide the service to the user.

식별자(20)는 디바이스(1000)가 감지 및 접근 유무를 판단할 수 있도록 정보/신호를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식별자(20)는 AP, Ad-hoc devic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identifier 20 plays a role of transmitting information / signal so that the device 1000 can detect whether the device 1000 is detected and accessed. Here, the identifier 20 may be implemented as an AP, an ad hoc device, or the like.

서비스 제공자(2000)는 서비스를 정의하고 제공해주는 주체로서, 디바이스(1000)에 정의된 서비스 정보를 제공해주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자(2000)는 예를 들어 스마트 TV, 전자 칠판, PC, Desktop PC, Notebook PC, Tabletop Display, Smart Board, Large Format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Tabl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The service provider 2000 is a subject that defines and provides a service, and serves to provide service information defined in the device 1000. Here, the service provider 2000 may be implemented as, for example, a smart TV, an electronic blackboard, a PC, a desktop PC, a notebook PC, a tabletop display, a smart board, a large format display device, a mobile device, a tablet, and the like.

이하에서는, 디바이스(1000)의 기능을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performing a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unctions of the device 1000.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1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디바이스(1000)는 기능 블럭(1010), 접근 인식부(1020), 통신부(1030), 저장부(1040) 및 제어부(1050)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FIG. 11, the device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unction block 1010, an access recognition unit 1020, a communication unit 1030, a storage unit 1040, and a controller 1050.

기능 블럭(1010)은 디바이스 본연의 기능을 수행한다. 만약, 디바이스가 스마트 TV인 경우 기능 블럭(1010)은 스마트 TV 기능을 수행하고, 디바이스가 전자 칠판인 경우 기능 블럭(810)은 디지털 회의에 필요한 스마트 보드의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디바이스(1000)는 키니스크, 전자 칠판, Desktop PC, Notebook PC, Tabletop Display, Smart Board, Large Format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Tablet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기능 블럭(1010) 또한, 그에 따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The function block 1010 performs a device native function. If the device is a smart TV, the function block 1010 performs a smart TV function. If the device is an electronic blackboard, the function block 810 performs a function of a smart board required for a digital conference. Alternatively, the device 1000 may be implemented as a kinisk, a copyboard, a desktop PC, a notebook PC, a tabletop display, a smart board, a large format display device, a mobile device, a tablet, and the like, and the function block 1010 may also be Function can be performed.

접근 인식부(1020)는 식별자(20)가 접근인식 영역 내에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인식한다. 접근 인식부(1020)는 적어도 하나의 접근인식 센서를 포함한다. 접근인식 센서의 개수는 센서의 종류 및 배치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접근 인식부는 ID 카드 리더, 무선통신모듈, 또는 인체감지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The access recognition unit 1020 recognizes whether the identifier 20 has approached with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The access recognition unit 1020 includes at least one approach recognition sensor. The number of approach recognition sensors depends on the type and arrangement of the sensors. For example, the access recognition unit may use an ID card reader,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human body sensor.

통신부(1030)는 주변의 디바이스들과 함께 구성되는 네트워크에 액세스하여 주변의 디바이스들과 통신을 수행한다.The communication unit 1030 accesses a network configured with the peripheral devices to communicate with the peripheral devices.

특히, 통신부(1030)는 식별자(20)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한다.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1030 functions to receive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r 20.

저장부(1040)는 서비스 수행에 이용되는 파일, 컨텐츠, 기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매체이다. 특히, 저장부(1040)는 후술하는 식별자 정보와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 간의 매핑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1040 is a storage medium that stores files, contents, and other data used to perform a service. In particular, the storage unit 1040 may store a mapping table between identifier inform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n address of a service provider.

제어부(1050)는 디바이스(1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105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device 1000.

특히, 제어부(1050)는 식별자(20)가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식별자(20)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030)를 제어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controller 1050 may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1030 to receive the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r 2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identifier 20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또한, 제어부(1050)는 통신부(1030)를 통해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고,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20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1050 may acquire an address of a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identifier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30, and control to receive a service from the service provider 2000 based on the obtained service provider address. have.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의 각 단계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each step of the service perform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근 인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n access recogni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접근 인식 단계는 지정된 식별자들을 스캔(또는 검색)하여 식별자들이 근접했음 또는 멀어졌음을 판단하는 단계로서 근접된 식별자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The access recognition step may acquire information of the proximity identifiers by scanning (or searching) the designated identifiers to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ers are near or far away.

식별자 스캔시 식별자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Beacon) 신호를 수신하여 식별자의 정보를 획득하며, 그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기준으로 식별자가 근접했음 또는 멀어졌음을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identifier is scanned, the receiver receives a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identifier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identifier, and based on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of the signal,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identifier is near or far away. .

또한, 식별자 지정은 SSID(Service Set IDentifier), Mac Address, Network mode(Ad-hoc mode, AP mode) 등을 기반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dentifier designation may be based on a service set identifier (SSID), a Mac address, a network mode (ad-hoc mode, AP mode), and the like.

도 13a 내지 1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링크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3A to 13D illustrate a service link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링크 단계는 인식된 식별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자(또는 서비스 제공 주체)의 주소를 획득하고, 상호 연결 및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The service linking step is a step of obtaining an address of a service provider (or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recognized identifier information, and performing interconnection and authentication.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0)는 식별자(20)로부터 수신한 식별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자(2000)의 주소를 획득하고, 서비스 제공자(2000)와 상호 연결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3A, the device 1000 may obtain an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2000 based on the identifi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identifier 20, and may interconnect and authenticate with the service provider 2000. .

이 경우, 디바이스(1000)는 도 1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 지정 주소 방식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2000)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vice 1000 may obtain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2000 according to an arbitrary designated address scheme as shown in FIG. 13B.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자(20)의 정보와 서비스 제공자(2000)의 주소 간의 매핑 테이블을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자(2000)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In detail, as illustrated, an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2000 may be obtained based on a mapping table betwee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20 and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2000.

또는, 디바이스(1000)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주소 획득 방식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1000)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evice 1000 may obtain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1000 according to the automatic address acquisition method as shown in FIG. 13C.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자(20)는 자신의 네트워크 상에서 서비스 제공자(20)의 주소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트하고, 디바이스(1000)는 식별자(20)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브로드캐스팅되는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the identifier 20 periodically broadcasts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20 on its network, and the device 1000 participates in the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20 to broadcast. You can get the address to be cast.

이어서,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장된 서비스 수행을 위해 서비스 제공자(2000)와 디바이스(1000) 간의 상호 인증이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상호 인증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시스템 구성에 따라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Subsequently, mutual authentication between the service provider 2000 and the device 1000 may be performed to perform the guaranteed service as illustrated in FIG. 13D. However, such mutual authentication is only an embodiment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system configuration.

한편, 상호 인증은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밀키 매커니즘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Meanwhile, mutual authentication may use a secret key mechanism scheme as shown.

비밀키 매커니즘 방식에 따르면, A(디바이스), B(서비스 제공자)는 서로 공통된 비밀키(k)를 가진다. A(디바이스)가 난수 R을 생성하여 B(서비스 제공자)에게 전달한다. B(서비스 제공자)는 전달받은 R을 기반으로 f(k, R)을 생성하여 A(디바이스)에 전달한다. 여기서, f(k, R)는 역변환이 불가능한 함수이다. A(디바이스)는 전달받은 f(k, R)값을 기반으로 B(서비스 제공자)를 인증하고, 인증에 성공하면 B(서비스 제공자)에게 f(k, f(k, R))을 생성하여 전달한다. B(서비스 제공자)는 전달받은 f(k, f(k, R))를 기반으로 A(디바이스)를 인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cret key mechanism, A (device) and B (service provider) have a common secret key k. A (device) generates a random number R and passes it to B (service provider). B (service provider) generates f (k, R) based on the received R and delivers it to A (device). Here, f (k, R) is a function that cannot be inversely transformed. A (device) authenticates B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received value of f (k, R), and if authentication succeeds, generates f (k, f (k, R)) to B (service provider) To pass. The B (service provider) may authenticate A (device) based on the received f (k, f (k, R)).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4 is a view for explaining a user authentication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 인증 단계는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개인화된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고 인증받는 단계이다. 다만, 이러한 사용자 인증은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시스템 구성에 따라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user authentication step is a step of transmitting and authenticating user information to receive personalized service from a service provider. However, such user authentication is only an embodiment and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system configura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0)에서 사용자 정보(ID, password 등)를 서비스 제공자(2000)로 전송하고,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자(2000)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서비스 제공자(2000)는 사용자 인증에 성공하였을 경우 서비스 수행을 위한 토큰(Token)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As illustrated, the device 1000 may transmit user information (ID, password, etc.) to the service provider 2000, and the service provider 2000 may perform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the user information. Thereafter, when the user authentication is successful, the service provider 2000 may generate and transmit a token for performing the service.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ervice perform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서비스 수행 단계는 상위 서비스에서 정의한 프로토콜에 따라 상호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채널을 생성하고, 이를 관리하는 단계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디바이스 간 통신 형식은 도시된 바와 같이 XML을 사용하며, Request/Response 형식의 Asynchronous 기반의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The service execution step may be a step of creating a channel so as to perform a mutual service according to a protocol defined by a higher service and managing the same. In this case, the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format uses XML as shown and can provide an Asynchronous-based channel in the Request / Response format.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6 is a diagram for describing a service per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도 16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사용자(10)가 식별자(20)를 지니고 디바이스(1000)에 접근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2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16, 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0, the user 10 may have an identifier 20 to access the device 1000. Here, the identifier 20 may be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device.

이 경우, 근접 인식 단계에서는, 디바이스(1000)가 식별자(2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proximity recognition step, the device 1000 may obtain information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dentifier 20.

또한, 서비스 링크 단계에서는, 식별자(2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서비스 제공 주체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rvice link step,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dentifier 20.

이어서, 사용자 인증 단계에서는, 식별자(2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기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제공자에게 사용자를 인증을 요청하여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Subsequently, in the user authentication step, previously registered user information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dentifier 20, and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by requesting a user to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obtained user information. Can

이 후, 서비스 수행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프로필, 작업 환경 등을 제공받아 디바이스(1000)에 적용할 있다.Subsequently, in the service performing step, the user may receive a user profile, a work environment, and the like, and apply the same to the device 1000.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7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rvice per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사용자(10)가 디바이스(1000)를 지니고 식별자(20)에 접근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다바이스(1000)는 사용자 단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According to FIG. 17, unlike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0, the user 10 may have a device 1000 and access the identifier 20. Here, the device 1000 may be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device.

이 경우, 근접 인식 단계에서는, 디바이스(1000)가 식별자(2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자(20)는 상점과 같은 서비스 관련 업체에 구비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In this case, in the proximity recognition step, the device 1000 may obtain information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dentifier 20. Here, the identifier 20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provided in a service related company such as a store.

또한, 서비스 링크 단계에서는, 디바이스(1000)가 식별자(2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기초로 하여 해당 네트워크에 참여하고, 네트워크 상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서비스 제공자(2000)의 주소를 획득하여 서비스 제공자(2000)와 상호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service linking step, the device 1000 joins the corresponding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identifier 20, obtains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2000 that is broadcasted on the network, and obtains the service provider 2000. Mutual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이어서, 사용자 인증 단계에서는, 디바이스(1000)가 서비스 제공자(2000)에 사용자 정보를 전송하여 사용자의 근접을 알리고 토큰을 획득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the user authentication step, the device 1000 may transmit the user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er 2000 to inform the proximity of the user and obtain a token.

이 후, 서비스 수행 단계에서는, 서비스 제공자(2000)는 사용자에게 맞는 메뉴, 쿠폰 등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the service performing step, the service provider 2000 may provide a service such as a menu, a coupon, etc. suitable for the user.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수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ervice perform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8에 도시된 디바이스의 서비스 수행 방법에 따르면, 우선, 접근인식 영역 내에 식별자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한다(S1810).According to the method of performing a service of the device shown in FIG. 18, first, it is detected whether an identifier is close to an access recognition area (S1810).

S1810 단계에서, 식별자가 접근인식 영역에 근접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식별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한다(S1820).In operation S1810,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identifier is close to the access recognition region, identifi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identifier (S1820).

S1820 단계에서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한다(S1830).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is obtained based on the identifier information received in step S1820 (S1830).

이어서, S1830 단계에서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다(S1840).Subsequently, the service is provided from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obtained in step S1830 (S1840).

한편,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820)에서는, 식별자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신호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820, the identifier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a beacon signal transmitted periodically by the identifier.

또한, S1830 단계에서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와 상호 연결 및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상호 연결 및 인증은, 비밀키 매커니즘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rvice provider may interconnect and authenticate with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obtained in operation S1830. In this case, interconnection and authentication may be performed using a secret key mechanism scheme.

또한, 서비스 제공자에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ser information can be delivered to the service provider and user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한편, 식별자의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는 매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S1830 단계)에서는, 매핑 테이블을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Meanwhile, the identifier information and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are stored in the form of a mapping table. In operation S1830,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may be obtained based on the mapping table.

또는, 식별자는 자신의 네트워크 상에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S1830 단계)에서는, 디바이스가 식별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identifier periodically broadcasts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on its network, and in the step of obtaining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S1830), the device joins the corresponding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to broadcast the broadcast.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can be obtained.

식별자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1810)에서는, 식별자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기준으로 식별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810, whether the identifier is close, whether the identifier is close may be determined based on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of a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identifier.

또한, 식별자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1810)에서는, 식별자의 SSID, Mac Address 및, Network mo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식별자를 검출하고, 검출된 식별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peration S1810, whether the identifier is close or not, the identifier may be detected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SID, the Mac Address, and the network mod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identifier is close.

여기서,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로 구현되고, 서비스 제공자는 스마트 TV, 전자 칠판, PC, Desktop PC, Notebook PC, Tabletop Display, Smart Board, Large Format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Tablet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도 10 및 도 17에 도시된 실시 예). Here, the device is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the user, and the service provider is implemented as a smart TV, a copyboard, a PC, a desktop PC, a notebook PC, a tabletop display, a smart board, a large format display device, a mobile device, a tablet, and the 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0 and 17).

또는, 식별자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로 구현되고, 디바이스가 스마트 TV, 전자 칠판, PC, Desktop PC, Notebook PC, Tabletop Display, Smart Board, Large Format Display Device, Mobile Device, Tablet 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16에 도시된 실시 예). Alternatively, the identifier may be implemented as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and the device may be implemented as a smart TV, a blackboard, a PC, a desktop PC, a notebook PC, a tabletop display, a smart board, a large format display device, a mobile device, a tablet, or the like. It is also possible (an embodiment shown in Fig. 16).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기기에 접근하는 것만으로 개인화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바이스를 다른 사용자와 함께 사용할 때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연결 포인트로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별 개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use the personalized service only by accessing the device. In addition, when using the device with other users can be provided to use as a connection point for a specific us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ersonal service for each user without going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embodiment,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the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테이블탑 110 : 디스플레이
121 : 제1 영역 122 : 제2 영역
123 : 제3 영역 124 : 제4 영역
126 : 제1 접근인식 센서 127 : 제2 접근인식 센서
128 : 제3 접근인식 센서 129 : 제4 접근인식 센서
210, 220, 230, 260 : 사용자 접근인식 아이콘
320 : 개인화 영역
600 : 스마트 보드
810 : 기능블럭 820 : 접근 인식부
830 : 통신부 840 : 디스플레이
850 : 조작부 860 : 저장부
870 : 제어부
1000: 디바이스 2000: 서비스 제공자
10: 사용자 20: 식별자
1010: 기능블럭 1020: 접근 인식부
1030: 통신부 1040: 저장부
1050: 제어부
100: tabletop 110: display
121: first region 122: second region
123: third region 124: fourth region
126: first approach recognition sensor 127: second approach recognition sensor
128: third approach recognition sensor 129: fourth approach recognition sensor
210, 220, 230, 260: user accessibility icon
320: personalization area
600: smart board
810: function block 820: access recognition unit
830: communication unit 840: display
850: operation unit 860: storage unit
870 control unit
1000: device 2000: service provider
10: user 20: identifier
1010: function block 1020: access recognition unit
1030: communication unit 1040: storage unit
1050: control unit

Claims (38)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사용자별 UI 제공방법에 있어서,
접근인식 영역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사용자가 접근하였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화면 영역인 개인화 영역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In the UI for each user of a device having a display,
Detecting whether a user has approached within an access recognition area;
If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displaying an ic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accessed the screen; And
And displaying a personalization area, which is a screen area allocated to the user, when an operation for selecting the icon is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접근인식 영역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와 함께, 사용자의 접근 방향을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ng step,
Method for providing a user-specific UI,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approach direction of the user, along with whether or not the user approached with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의 화면 영역에 상기 아이콘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icon display step,
And providing the icon on a screen area of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ing direction of the use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영역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접근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의 화면 영역에 상기 개인화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2,
The personalization area display step,
And providing the personalized area on a screen area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pproaching direction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접근인식 영역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와 함께, 사용자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etecting step,
Method for providing a user-specific UI,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user's information, along with whether or not the user 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단계는,
사용자의 ID 카드, 사용자의 생체인증을 통해 사용자의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detecting step,
Method for providing a user-specific UI, characterized in that for detecting the user's information through the user's ID card, the user's biometric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 ID, 패스워드, 사용자 이름, 사용자 사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상기 검출된 사용자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아이콘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5,
The information of the user,
At least one of a user ID, password, username, and user picture,
The icon display step,
At least one of the detected user information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icon.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moving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of the user when the movement of the position of the user is detected.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의 하단이 화면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8,
The moving step,
While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is mov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of the user,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is moved while the bottom of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is displayed to face outward of the screen. User-specific UI provid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위치가 유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기기로 이동된 것으로 검출되면,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location of the user is detected to be moved to an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the icon or the information about the personalization area to the external device. How to provide UI.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접근의 검출이 종료된 경우, 상기 아이콘 또는 상기 개인화 영역을 화면에서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if the detection of the user's approach is terminated while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is displayed, removing the icon or the personalization area from the screen.
접근인식 영역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접근 인식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조작부;
입력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가 상기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사용자가 접근하였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이 화면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이 상기 조작부를 통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된 화면 영역인 개인화 영역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n access recogni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 us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An operation unit receiving an operation of a user;
A display unit which displays an input image;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display an icon indicating that the user has accessed the screen, and when an operation for selecting the icon is input through the operation unit, the user is assigned to the user. And 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personalization area that is a screen area.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디바이스의 사용자별 UI 제공방법에 있어서,
접근인식 영역 내에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사용자가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특정 아이콘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접근인식 영역 내에서 사용자의 이동을 검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위치 이동이 검출되면, 상기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In the UI for each user of a device having a display,
Detecting whether a user has approached within an access recognition area;
If it is detected that the us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displaying a specific icon on the screen;
Detecting a user's movement 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And
If the user's position movement is detected, moving the icon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of the us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아이콘을 화면상에서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아이콘의 하단이 화면의 바깥쪽 방향을 향하도록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3,
The moving step,
And moving the icon in a state in which a lower end of the icon is displayed to face an outward direction of the screen while the icon is moved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moved position of the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복수개의 면을 포함하고,
상기 검출단계는,
상기 복수개의 면 중 어느 한 면의 접근인식 영역 내에 복수의 사용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며,
상기 아이콘 표시단계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 각각에 대한 복수의 아이콘들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device comprises a plurality of faces,
The detecting step,
Detects whether a plurality of users has approached with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urfaces,
The icon display step,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icons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users on a screen.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화 영역 표시단계는,
상기 복수의 아이콘들 중 어느 한 아이콘을 선택하는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아이콘에 대응되는 개인화 영역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UI 제공방법.
16. The method of claim 15,
The personalization area display step,
And a personalizat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icon is displayed when an operation of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icons is input.
디바이스의 서비스 수행 방법에 있어서,
접근인식 영역 내에 식별자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식별자가 상기 접근인식 영역에 근접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식별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In the service performing method of the device,
Detecting whether an identifier is within a proximity recognition area;
If it is detected that the identifier is close to the access recognition area, receiving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r;
Obtaining an address of a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er information; And
Receiving a corresponding service from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obtained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Receiving the identifier information,
And receiving the identifier information from a beacon signal periodically transmitted by the identifi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상호 연결 및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interconnecting and authenticating with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obtained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결 및 인증은,
비밀키 매커니즘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20. The method of claim 19,
The interconnection and authentication,
A service execu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using a secret key mechanism.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ransmitting user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er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의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는 매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매핑 테이블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and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are stored in the form of a mapping table.
Obtaining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And obtaining an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mapping tabl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자신의 네트워크 상에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가 상기 식별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identifier periodically broadcasts the service provider's address on its network,
Obtaining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And the device joins the corresponding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to obtain the address of the broadcasted service provider.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비콘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기준으로 상기 식별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Detecting whether the identifier is close,
And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identifier is in proximity to the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value of the beacon sig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가 근접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식별자의 SSID, Mac Address 및, Network mo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Detecting whether the identifier is close,
And detecting the identifi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SID, the Mac address, and the network mod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and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identifier is in proximity.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이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전자 칠판, 스마트 TV, 키니스크 및 광고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The device is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and the service provider is at least one of a copyboard, a smart TV, a kinisk and a billboard.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이며, 상기 디바이스는 전자 칠판, 스마트 TV, 키니스크 및 광고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수행 방법.
18. The method of claim 17,
And the identifier is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and the device is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blackboard, a smart TV, a kinisk, and an advertisement board.
접근인식 영역 내에 식별자가 접근하였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접근 인식부;
상기 식별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식별자가 상기 접근인식 영역에 접근한 것으로 검출된 경우, 상기 식별자로부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식별자 정보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고,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An access recogni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an identifier has accessed within the access recognition area;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r; And
If it is detected that the identifier has approached the access recognition area, control the communication unit to receive identifier information from the identifier, obtain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received identifier information, and obtain the address of the obtained service provider.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o receive a service from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information.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식별자가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비콘 신호로부터 상기 식별자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8,
The communication unit,
And receiving the identifier information from a beacon signal transmitted periodically by the identifier.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와 상호 연결 및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8,
The control unit,
Device for interconnecting and authenticating with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obtained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결 및 인증은,
비밀키 매커니즘 방식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30,
The interconnection and authentication,
Device performed using a secret key mechanism schem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자에 사용자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8,
The control unit,
Device for delivering user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er and performing user authentication.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의 정보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는 매핑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매핑 테이블을 기초로 상기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8,
The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and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in the form of a mapping table;
The control unit,
And obtaining the address of the service provider based on the mapping table stored in the storage.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자신의 네트워크 상에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식별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네트워크에 참여하여 상기 브로드캐스팅되는 서비스 제공자의 주소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8,
The identifier periodically broadcasts the service provider's address on its network,
The control unit,
And joining the corresponding network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to obtain the address of the broadcasted service provider.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인식부는,
상기 비콘 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값을 기준으로 상기 식별자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8,
The access recognition uni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identifier is close to the received signal based on a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RSSI) value of the beacon signal.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인식부는,
상기 식별자의 SSID, Mac Address 및, Network mode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기초로 상기 식별자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식별자의 근접 여부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8,
The access recognition unit,
And detecting the proximity of the detected identifier based on at least one of the SSID, the Mac address, and the network mode information of the identifier.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이며, 상기 서비스 제공자는 전자 칠판, 스마트 TV, 키니스크 및 광고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8,
The device is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wherein the service provider is a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copyboard, smart TV, kinisk and billboard.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자는 사용자가 소지한 사용자 단말 장치이며, 상기 디바이스는 전자 칠판, 스마트 TV, 키니스크 및 광고판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바이스.
The method of claim 28,
And the identifier is a user terminal device possessed by a user, and the device is at least one of an electronic blackboard, a smart TV, a kinisk, and a billboard.
KR1020110011524A 2011-02-09 2011-02-09 Method for providing ui for each user,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and device applying the same KR2012009163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524A KR20120091637A (en) 2011-02-09 2011-02-09 Method for providing ui for each user,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and device appl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524A KR20120091637A (en) 2011-02-09 2011-02-09 Method for providing ui for each user,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and device apply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1637A true KR20120091637A (en) 2012-08-20

Family

ID=4688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524A KR20120091637A (en) 2011-02-09 2011-02-09 Method for providing ui for each user,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and device apply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9163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62133B2 (en)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each user,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and device applying the same
US10942993B2 (en) User terminal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user mod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250847B2 (en) Image form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EP3037954B1 (en) Method of generating workform by using byod service and mobile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Chong et al. A survey of user interaction for spontaneous device association
RU2710941C2 (en) Electronic conference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said device and digital pen
JP61030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ogram, and image processing system
KR101281384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thereof
CN102725723A (en) Using a gesture to transfer an object across multiple multi-touch devices
EP2987269B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US1127197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JP2017212694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20091637A (en) Method for providing ui for each user, method for performing service and device applying the same
US1035661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at executes a process based on a user operation received from an operator
CN108228068A (en) Terminal matching method, device, computer installation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JP2017041698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program, and communication method
US11082461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2605469B1 (en) Contents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