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90627A - Water-saving apparatus for controling fluid flow - Google Patents

Water-saving apparatus for controling fluid f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90627A
KR20120090627A KR1020110011158A KR20110011158A KR20120090627A KR 20120090627 A KR20120090627 A KR 20120090627A KR 1020110011158 A KR1020110011158 A KR 1020110011158A KR 20110011158 A KR20110011158 A KR 20110011158A KR 20120090627 A KR20120090627 A KR 201200906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housing
water
fluid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1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6128B1 (en
Inventor
오병길
정민호
박준일
Original Assignee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6128B1/en
Publication of KR20120090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06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6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61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6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asily mountable on the outlet of t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2001/026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with flow restricting devices

Abstract

PURPOSE: A water saving device is provided to easily control a rate of flow at the end of a discharge port. CONSTITUTION: A water saving device comprises a housing(10), an insert(20), a control ring(30), an aerator(40). The housing is connected to a discharge port. The insert is rotatably inserted into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control ring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insert. The aerator is placed in a lower part of the housing. The insert is rotated, and a rate of fl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controlled by rotating control ring at a constant angle.

Description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Water-saving Apparatus for Controling Fluid Flow} Water-saving Apparatus for Controling Fluid Flow

본 발명은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면용 수도꼭지 등의 수전에서 유체의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의 사용시에도 동일한 세팅 값에 의해 유량이 토출되도록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water discharge port of the fluid in the faucet, such as washbasin faucet to adjust the flow rate as desired by the user, by the same setting value when used by other users It relates to a water-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so that the flow rate is discharged.

일반적으로, 공공 시설이나 가정에서 수도꼭지를 사용하다보면 무의식중으로 다량의 물을 흘려보내게 되므로 원하지 않게 물을 낭비하게 된다. 낭비되는 물을 절약하기 위해 수도꼭지의 핸들을 매번 조정하여 물의 양을 조절한다. 그러나, 수도꼭지의 핸들을 미세 각도로 조정하여 물을 사용하기에는 사용자에게 큰 불편이 있고, 사용할 때마다 매번 미세 각도로 조정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수도꼭지의 핸들을 조정하는 사이에 물이 토출되어 낭비되므로 실질적인 물 절약이 이루어지기 어렵다.In general, the use of a faucet in a public facility or at home will unconsciously drain a large amount of water, which is an unwanted waste of water. To save wasted water, adjust the handle of the faucet each time to adjust the amount of water. However,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use water by adjusting the handle of the faucet at a fine angle, and it takes time and effort to adjust the fine angle every time it is used. Since water is discharged and wasted between adjusting the handle of the faucet, substantial water saving is difficult to achieve.

한편, 종래의 절약형 에어레이터(aerator)를 수도꼭지의 토수구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이 많이 요구되는 상황에서는 사용자가 큰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이로 인해 절약형 에어레이터를 일반 에어레이터로 재시공함으로써 이와 같은 절약형 에어레이터는 의미 없는 장치에 전락하였다.On the other hand, when a conventional economy aerator is installed and used in the tap of the faucet, the user complains of great inconvenience in a situation where much water is required. As a result, the economizer has been rebuilt into a general aerator, thereby reducing the economizer to a meaningless device.

그리고 종래의 메인 앵글 밸브를 조정하여 세팅하는 방식은 원하는 유량을 얻기 위해 사용할 때마다 사용자는 세면 도기 하부에 허리를 숙여 재세팅해야 하므로 이 또한 큰 불편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method of adjusting and setting the main angle valve has a great inconvenience because the user must reset the lower back of the washbasin whenever it is used to obtain a desired flow rate.

이와 같이, 수도꼭지 사용시 의미 없이 흘려보내는 물을 절약하고, 편리하게 원하는 양만큼의 물을 세팅하고 고정할 수 있는 절수 장치가 필요하다.
As such, there is a need for a water-saving device that saves water flowing meaninglessly when using a faucet, and conveniently sets and secures the desired amount of wate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의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지며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정링(adjustment ring)과, 이에 동심으로 조립되어지는 오링(O-ring) 및 인서트(insert)와, 상기 오링과 인서트를 수용하는 하우징(housing)으로 구성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손쉽게 유체 토수구 끝에서 유량을 조절하고 고정할 수 있어 물 절약을 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adjustment ring (adjustment ring) which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water discharge port of the fluid and can adjust the flow rate, O-ring and insert (insert) that is assembled concentrically By using the flow control water-saving device composed of a housing for receiving the O-ring and the insert,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and fix the flow rate at the end of the fluid discharge port, thereby saving wat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는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접속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서트와,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서트와 연결되는 조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링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조정링과 연결된 상기 인서트가 회전하여 상기 유체 토수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water-saving wat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ousing which is attached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luid discharge port, the insert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And an adjusting ring connected to the insert with the housing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insert connected to the adjusting ring rotates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rotating the adjusting ring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It is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fluid to be.

상기 하우징은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개구가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정 길이를 따라 내외부를 관통하는 연결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have an inlet opening through which fluid flows into the upper surface, and a connection opening penetr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alo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formed.

상기 인서트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유체의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ser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hol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rmed.

상기 조정링은 상기 하우징의 연결개구를 통해 상기 인서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adjustment ring may be connected to the insert through the connection opening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는 상기 조정링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유입개구와 상기 유입홀의 교차면적의 크기가 조정됨으로써 유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ater-saving device for flow rat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adjusting the discharge area of the fluid by adjusting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opening and the inlet hole by rotating the adjustment r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는 상기 인서트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공기를 포함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ater-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may further include an aerato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 to include air in the fluid flowing from the insert and to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상기 인서트는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에는 오링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인서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부드럽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insert may be formed with one or more O-ring grooves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O-ring groove is fitted so that the insert is smoothly rotatabl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는 상기 인서트의 유입홀의 상부에 상기 유입홀의 모양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저면과 접촉하여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The water-saving device for flow rate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acking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inlet hole of the insert to match the shape of the inlet hole to prevent leakage of fluid from the fluid discharge port by contacting the upp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t can be characterized by.

상기 조정링의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조정링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의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인서트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링 연결홈 및 상기 인서트 연결홈 사이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들에 삽입부착되는 연결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ing ring is formed with an adjustment ring connect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n insert connecting groove with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and a connection opening of the housing is formed between the adjusting ring connecting groove and the insert connecting groove.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netrating projection is further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s.

상기 조정링은 외주면이 요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The adjustment ring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rregular shap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를 유체 토수구 끝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사용자가 손쉽게 유량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유체를 절약할 수 있다. 그리고 조정링을 한번 고정해 놓으면 매번 사용시마다 조절할 필요가 없어 일정량의 유량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imply install the flow rate water saving device to the end of the fluid discharge port,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flow rate can save the fluid. And once the adjustment ring is fixed, there is no need to adjust it every time you can get a certain amount of flow.

또한, 본 발명의 유지 보수시 사용 여부에 구애받지 않으며, 수압에 의한 부하가 없고, 범용적인 세면기 수전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In addition,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o use during maintenan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load by the hydraulic pressure, can be applied to all of the universal washbasin fauce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자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B-B선을 따라 자른 인서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C-C선을 따라 자른 인서트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의 D-D선을 따라 자른 조정링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E-E선을 따라 자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링을 구비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링을 구비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가 유체 토수구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회전에 따라 유입개구와 유입홀의 교차면적의 크기가 조정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water 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aving device for flow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of a water 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top plan view of the water saving device for flow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water conservation device for flow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water 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taken along line AA of FIG. 5.
8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e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9 is a front view of an inse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10 is a top plan view of an inse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ert taken along line BB of FIG. 9.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ert taken along line CC of FIG. 10.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djusting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lan view of an adjusting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justing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justment ring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4.
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front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top plan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21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taken along line EE of FIG. 19.
Figure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op of the water flow control device having an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perspective view from below of a water flow adjusting device having an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fluid discharge port.
2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p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opening and the inlet ho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structure of the water-saving wat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가 완성 조립된 상태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하부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100)는 하우징(10), 인서트(20) 및 조정링(3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내부에 인서트(20)를 수용하고, 상기 조정링(30)은 링 형태로서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하부에는 에어레이터(40)를 구비할 수 있다. 1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low control water sa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and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flow control water sav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and 2, the water flow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an insert 20, and an adjustment ring 30. The housing 10 accommodates the insert 20 therein, and the adjustment ring 30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the form of a ring.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0 may be provided with an aerator 40.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면 즉,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접속되는 부분에는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체 토수구는 수도꼭지 토수구일 수 있고, 상기 유체는 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에어레이터(40)는 유체가 마지막으로 배출되는 부분으로서 상용적으로 사용되는 망의 형태로 형성되어 망을 통하여 유체가 배출될 수 있다. An inlet opening 12 through which fluid flows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at is, a portion attached to and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luid discharge port. The fluid jet may be a faucet jet and the fluid may be water. In addition, the aerator 4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network which is commercially used as a part in which the fluid is discharged last, and the fluid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network.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100)의 단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100)의 상부 평면도 및 하부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살펴보면, 하우징(10)의 내주면에 인서트(2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조정링(30)이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인서트(20) 및 조정링(30)은 상기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어, 상기 조정링(30)을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회전시키면 상기 인서트(20)도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서 함께 회전한다. 즉, 상기 조정링(30)을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조정링(30)과 연결된 상기 인서트(20)가 회전하여 상기 유체 토수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조절될 수 있다. 3 is a front view of the water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 flow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nd Figure 6 is a water flow control device 100 for flow contr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 Is a top plan view and a bottom plan view. 3 to 6, the insert 2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adjusting ring 30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insert 20 and the adjustment ring 3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 the housing 10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insert 20 is rotated by sliding the adjustment ring 30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It also rotates together inside the housing 10. That is,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from the fluid discharge port by rotating the insert 20 connected to the adjustment ring 30 by rotating the adjustment ring 30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at an angle. This can be adjusted.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인서트(20)가 회전할 수 있도록 인서트(20)의 외주면에 오링(24)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오링(24)이 끼워지는 오링홈(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상부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저면과 접촉하여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26)은 고무와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내부를 관통하는 유체의 유입홀(28)이 형성된다. 따라서, 하우징(10)의 유체 유입개구(12)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인서트(20)의 유체의 유입홀(28)로 들어가서 하부의 에어레이터(4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Referring to FIG. 4, an O-ring 24 may be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20 so that the insert 20 can rotate, and an O-ring groove 22 into which the O-ring 24 is fitted may be formed. .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 20 may further include a packing 26 for contacting the upp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prevent leakage of fluid flowing out of the fluid discharge port. The packing 26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An inflow hole 28 of the fluid penetrating the inside of the insert 20 is formed. Accordingly,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inlet 12 of the housing 10 enters the inlet hole 28 of the fluid of the insert 20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ower aerator 40.

한편, 도 7은 도 5의 A-A선을 따라 자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조정링(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인서트(20)도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인서트 연결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조정링(30)의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조정링 연결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 연결홈(34)과 조정링 연결홈(32) 사이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연결개구(14)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들(32, 34)에 삽입부착되는 연결돌기(29)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ter-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Referring to FIG. 7, an insert connecting groove 34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20 so that the insert 20 also rotates as the adjusting ring 30 is rot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 30, an adjustment ring connecting groove 32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Between the insert connecting groove 34 and the adjustment ring connecting groove 32 is a connecting projection 29 which i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ng opening 14 of the housing 10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s 32 and 34. Is formed.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서트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살펴보면, 인서트(20)에는 유입홀(28)이 형성되어 상부면으로부터 하부면까지 상기 인서트(2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오링(24)이 끼워질 수 있도록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오링홈(22)에는 오링(24)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인서트(20)가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 부드럽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인서트 연결홈(34)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인서트 연결홈(34)에 연결돌기(29)가 삽입 부착될 수 있다.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e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9 is a front view of the inse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10 is a top plan view of an insert according to the invention. 8 to 10, the inlet hole 28 is formed in the insert 20 so as to penetrate the insert 20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lower sur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20 is formed with one or more o-ring grooves 22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o that the O-ring 24 may be fitted. The O-ring 24 may be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22 such that the insert 20 may be smoothly rotatable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addition, an insert connecting groove 34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20 so that the connecting protrusion 29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 connecting groove 34.

도 11은 도 9의 B-B선을 따라 자른 인서트의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0의 C-C선을 따라 자른 인서트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살펴보면, 인서트(20)의 상부면에 유체 유입홀(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인서트 연결홈(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상부 및 하부를 관통하는 유체 유입홀(28)은 두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오링(24)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 깊이의 오링홈(22)이 복수개로 상기 인서트(20)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0)가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할 때 상기 오링(24)이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서 부드럽게 회전가능하다.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ert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9, an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ert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10. 11 and 12, a fluid inlet hole 28 is formed in an upper surface of the insert 20, and an insert connection groove 34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i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Two fluid inlet holes 28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 20 may be forme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20 may have a plurality of O-ring grooves 22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so that the O-ring 24 may be inserted into a shape surrounding the insert 20. When the insert 2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and rotates, the O-ring 24 is inserted, so that the insert 20 can be rotated smoothly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4의 D-D선을 따라 자른 조정링의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살펴보면, 조정링(30)은 하우징(1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조정링(30)의 내경이 상기 하우징(10)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상기 조정링(30)은 일정 두께로 형성되며, 조정링(30)의 내주면에는 인서트(20)와 연결돌기(29)로 연결될 수 있도록 조정링 연결홈(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정링 연결홈(32)은 일정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조정링(30)은 하우징(10)을 사이에 두고 하우징(10)의 연결개구(14)를 관통하여 인서트(20)와 연결된다.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djusting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plan view of the adjusting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djustment ring taken along the line D-D of FIG. 13 to 16, the inner ring of the adjusting ring 30 i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housing 10 so that the adjusting ring 3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adjusting ring 30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adjusting ring connecting groove 3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ing ring 30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insert 20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29. The adjusting ring connecting groove 32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adjustment ring 30 is connected to the insert 20 through the connection opening 14 of the housing 10 with the housing 10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조정링(30)을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유체의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정링(10)을 회전시키면, 조정링(10)과 연결된 인서트(20)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인서트(20)에 관통 형성된 유입홀(28)과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유입개구(12) 사이의 교차면적의 크기가 조정될 수 있다. 교차면적의 크기를 크게 조정하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많아지고, 교차면적의 크기를 작게 조정하면 배출되는 유체의 양이 적어진다. As the adjusting ring 30 is rotat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housing 10, the discharge of the fluid may be adjusted. That is, when the adjusting ring 10 is rotated, the insert 20 connected to the adjusting ring 10 rotates together, and the inflow hole 28 formed through the insert 20 and the inflow formed in the housing 10 are rotated.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between the openings 12 can be adjusted. If the size of the cross area is largely adjusted,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is increased. If the size of the cross area is small, the amount of fluid is discharged.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정면도이며,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살펴보면, 하우징(10)의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의 연결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는 인서트(20)가 삽입될 공간으로 남아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는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연결개구(14)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에는 상기 조정링(30)이 외주면에 회전가능하도록 부착된다. 상기 하우징(10)의 내주면에는 인서트(2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상기 조정링(30)과 인서트(20)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개구(14)를 통해 연결돌기(29)로 연결되어, 조정링(3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일체적으로 인서트(2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17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front view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to 19, an inflow opening 12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a connection opening 1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0 remains a space into which the insert 20 is to be inserted.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fluid discharge port, and the adjustment ring 30 is rotatably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a portion where the connection opening 14 of the housing 10 is formed. The insert 20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adjusting ring 30 and the insert 2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rotrusion 29 through the connecting opening 14 formed in the housing 10, thereby integrally as the adjusting ring 30 is rotated. Insert 20 can also be rotated together.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상부 평면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우징의 하부 평면도이며, 도 22는 도 19의 E-E선을 따라 자른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2를 살펴보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유입개구(12)는 하우징(10)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므로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체가 유입개구(12)를 통해 하우징(10) 내부로 흘러 들어온다.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는 연결개구(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개구(14)는 마주보는 형태로 소정 길이만큼 하우징(10)의 외주면을 따라 개방되어 있다. 상기 연결개구(14)의 개방 각도만큼 조정링(30)이 회전될 수 있다. 20 is a top plan view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bottom plan view of the hou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taken along line E-E of FIG. 20 to 22, an inlet opening 12 through which fluid is introduced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Since the inflow opening 12 is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fluid flows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inflow opening 12 from the fluid discharge port. Connection openings 14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connection opening 14 is open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by a predetermined length in an opposing form. The adjustment ring 30 may be rotated by the opening angle of the connection opening 14.

도 23 및 도 24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정링을 구비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살펴보면, 상기 조정링(30)은 외주면이 요철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조정링(30)은 앞서 설명한 형태로 하우징(10), 인서트(20) 및 에어레이터(40)와 함께 조립되고, 조정링(30)의 외주면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돌릴 때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도록, 그리고 조정링(30)의 회전 각도를 비교적 정확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23 and 24 are respectively a top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provided with an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S. 23 and 24, the adjustment ring 3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hape. That is, the adjustment ring 30 is assembled together with the housing 10, the insert 20 and the aerator 40 in the form described abov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justment ring 30 is prevented from slipping when the user grips by hand. And it can be formed in a concave-convex shape so that the rotation angle of the adjustment ring 30 can be fixed relatively accurately.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가 토수구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및 도 26을 살펴보면, 유체 토수구 끝에 본 발명의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가 부착되어 접속된다. 우선,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조정링(30)이 부착되고, 하우징(10) 내부에 인서트(20)가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저면과 상기 인서트(20)의 상부면 사이에는 패킹(26)이 끼워질 수 있는데, 상기 패킹(26)은 인서트(20)의 유입홀(28)의 상부에 상기 유입홀(28)의 모양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의 상부 저면과 접촉하여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는 오링(24)이 구비되어 하우징(10) 내에서 부드럽게 회전가능하다. 상기 인서트(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인서트 연결홈(34)에는 연결돌기(29)가 상기 하우징(10)의 외주면에 일정 길이로 형성된 연결개구(14)를 관통하여 끼워지고, 상기 연결돌기(29)는 상기 조정링(30)의 내주면에 형성된 조정링 연결홈(32)에 끼워진다. 상기 인서트(20)의 하부에는 상기 인서트(20)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2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공기를 포함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레이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레이터(40)의 유체가 마지막으로 외부로 배출되는 부분은 망의 형태일 수 있다. 인서트(20)를 거쳐 망 형태의 에어레이터(40)를 통과함으로써 유체는 잘게 부서질 수 있고, 공기가 포함되어 결과적으로 유체의 배출량을 줄일 수 있다. 2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water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ter flow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stalled in the water discharge port. 25 and 26, the water discharge devic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fluid discharge port. First, the adjustment ring 30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insert 2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A packing 26 may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insert 20, wherein the packing 26 is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hole 28 of the insert 20. It is disposed to match the shape of the hole 28 can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prevent leakage of fluid flowing out of the fluid discharge por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20 is provided with an O-ring 24 to smoothly rotate in the housing 10. In the insert connecting groove 34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20, a connecting protrusion 29 is inserted through the connecting opening 14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29 is provided. ) Is fitted into the adjustment ring connecting groove 32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djustment ring (30).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 20 may further include an aerator 40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 20 to include air in the fluid flowing from the insert 20 to discharge to the outside. The last part of the fluid of the aerator 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may be in the form of a net. By passing through the insert 20 and through the networked aerator 40, the fluid can be crushed and air can be included,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he discharge of the fluid.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정링의 회전에 따라 유입개구와 유입홀의 교차면적의 크기가 조정되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을 살펴보면, 조정링(30)이 하우징(10)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조정링(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하우징(10)의 상부면에 구비된 유입개구(12)와 인서트(20)의 상하부를 관통하는 유입홀(28)이 정확히 일치하게 되면, 상기 유입개구(12)로부터 상기 유입홀(28)로 유체의 100%가 상기 유입홀(28)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조정링(30)을 회전시켜 상기 유입홀(28)과 유입개구(12)의 교차면적의 크기를 줄일수록 그만큼 상기 유입개구(12)로 흘러들어간 유체가 상기 유입홀(28)로 들어가는 양이 줄어든다. 결국, 상기 유입홀(28)과 유입개구(12)의 교차면적이 0인 경우에는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2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p of adjusting the size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opening and the inlet hol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ooking at Figure 27, since the adjustment ring 30 is rotatably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10, the user can rotate the adjustment ring 30 in one direction. When the inlet opening 12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inlet hole 28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insert 20 exactly match, the inlet opening 12 from the inlet opening 12 to the inlet hole 28. 100% of the fluid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let hole (28). The amount of fluid flowing into the inlet opening 12 into the inlet opening 28 by reducing the size of the intersection area between the inlet opening 28 and the inlet opening 12 by rotating the adjustment ring 30. This decreases. As a result, when the intersection area between the inlet hole 28 and the inlet opening 12 is zero, there is no fluid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하우징(10), 인서트(20) 및 조정링(30)을 조합한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를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하고, 조정링(30)을 사용자가 손쉽게 회전시킴으로써,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양을 간단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는 유체를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조정링(30)을 한번 고정해 놓으면 매번 사용시마다 조절할 필요가 없어 일정량의 유량을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다.In this way, a flow rate water-saving device combining the housing 10, the insert 20, and the adjustment ring 30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fluid discharge port, and the user easily rotates the adjustment ring 30 so that the fluid flows in from the fluid discharge port. Since the amount of fluid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can be easily adjusted, the fluid used can be saved. In addition, once the adjustment ring 30 is fixed onc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each time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obtain a certain amount of flow rate.

이상에서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10: 하우징 12: 유입개구
14: 연결개구 20: 인서트
22: 오링홈 24: 오링
26: 패킹 28: 유입홀
29: 연결돌기 30: 조정링
32: 조정링 연결홈 34: 인서트 연결홈
40: 에어레이터 100: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10: housing 12: inlet opening
14: Opening 20: Insert
22: O-Ring Home 24: O-Ring
26: packing 28: inlet hole
29: connecting protrusion 30: adjusting ring
32: adjusting ring connecting groove 34: insert connecting groove
40: Aerator 100: Water saving device for flow rate adjustment

Claims (10)

유체 토수구 끝에 부착되어 접속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인서트;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하우징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인서트와 연결되는 조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링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조정링과 연결된 상기 인서트가 회전하여 상기 유체 토수구로부터 외부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A housing attached to and connected to the fluid discharge port end;
An insert rotatably inserted into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A rotatably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the adjustment ring being connected to the insert with the housing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insert is connected to the adjustment ring to rotate the adjustment r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 to adjust the amount of fluid discharged from the fluid discharge port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부면에 유체가 유입되는 유입개구가 형성되며, 외주면의 일정 길이를 따라 내외부를 관통하는 연결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housing is formed in the inlet opening for the fluid flow in the upper surface, the water flow control device for water flow contro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opening penetrates the inside and outside alo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상하부를 관통하는 유체의 유입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insert is a water-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let hole of the fluid pass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링은 상기 하우징의 연결개구를 통해 상기 인서트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The adjustment ring is water-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insert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링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유입개구와 상기 유입홀의 교차면적의 크기가 조정됨으로써 유체의 배출량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controlling the discharge of the fluid by adjusting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let opening and the inlet hole by rotating the adjustment ring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t an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의 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인서트로부터 유입되는 유체에 공기를 포함시켜 외부로 배출시키는 에어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d an aerator connect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sert to include air in the fluid flowing from the insert and to discharge the air to the out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는 외주면을 둘러싸는 하나 이상의 오링홈이 형성되고, 상기 오링홈에는 오링이 끼워짐으로써 상기 인서트가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부드럽게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insert is formed at least one O-ring groov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O-ring groove is inserted into the O-ring groove so that the insert is smoothly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의 유입홀의 상부에 상기 유입홀의 모양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 저면과 접촉하여 유체 토수구로부터 유출되는 유체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low rate control water saving device further comprises a packing for preventing the leakage of fluid flowing out of the fluid discharge port in contact with the upper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is dispos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hole of the insert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링의 내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조정링 연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의 외주면에는 일정 깊이의 인서트 연결홈이 형성되며, 상기 조정링 연결홈 및 상기 인서트 연결홈 사이에 상기 하우징의 연결개구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홈들에 삽입부착되는 연결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djusting ring is formed with an adjustment ring connecting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n insert connecting groove with a predetermined depth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ert, and a connection opening of the housing is formed between the adjusting ring connecting groove and the insert connecting groove. Flow-through water-sav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projection is further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grooves through.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링은 외주면이 요철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조절용 절수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djustment ring is water-saving device for adjusting the flow 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concave-convex shape.
KR1020110011158A 2011-02-08 2011-02-08 Water-saving Apparatus for Controling Fluid Flow KR1012561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158A KR101256128B1 (en) 2011-02-08 2011-02-08 Water-saving Apparatus for Controling Fluid F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1158A KR101256128B1 (en) 2011-02-08 2011-02-08 Water-saving Apparatus for Controling Fluid Fl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0627A true KR20120090627A (en) 2012-08-17
KR101256128B1 KR101256128B1 (en) 2013-04-23

Family

ID=4688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1158A KR101256128B1 (en) 2011-02-08 2011-02-08 Water-saving Apparatus for Controling Fluid F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6128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779A (en) * 1996-07-10 1998-01-27 Inax Corp Automatic faucet
JP4100693B2 (en) * 2004-09-07 2008-06-11 アイ・ランドシステム 株式会社 Flow control valve
JP2007154975A (en) 2005-12-02 2007-06-21 Tsuneaki Ito Flow control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6128B1 (en)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31411U (en) Water spouting device, faucet and shower device
US20090194613A1 (en) Shower head apparatus with adjustable water flow rate control
US8689830B2 (en) Spin controlled faucet outlet structure
KR101135338B1 (en) Water-saving adapter for controling fluid flow
KR101323466B1 (en) Water saving apparatus
RU2588907C1 (en) Two-valve mixer with separate control of temperature and water pressure
US7448403B2 (en) Faucet co-operating with shower head
US2134966A (en) Faucet
KR101256128B1 (en) Water-saving Apparatus for Controling Fluid Flow
CN107345588B (en) Time-delay self-closing water-saving tap with temperature-regulating knob on button
JP3187887U (en) Multi-function faucet with silence and pressure regulation
CN215290402U (en) Water-saving valve for water tap
KR102092224B1 (en) Fluid flow regulator for faucet
JP2005120691A (en) Water-saving implement and water-saving device
CN205618764U (en) Seasoning rack's time delay self -closing water -saving tap is taken to button
CN205559859U (en) Take tap of overflow device
CN211315204U (en) Flow regulating valve for time-delay water tap
CN212368848U (en) A diverging device for bathing equipment
KR100841022B1 (en) A structure of the water volume control valve which is easy the water supply and interception
KR200396838Y1 (en) Tap water valve having a water-discharge control valve
CN207316131U (en) A kind of foreline valve for shower faucet
CN215410371U (en) Multifunctional concealed shower main body
TWM619294U (en) Sanitary pipe joint capable of adjusting flow rate
CN107420586A (en) One kind shower temperature control tap
CN208778761U (en) A kind of regulating flow quantity t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