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8040A -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8040A
KR20120088040A KR1020100102909A KR20100102909A KR20120088040A KR 20120088040 A KR20120088040 A KR 20120088040A KR 1020100102909 A KR1020100102909 A KR 1020100102909A KR 20100102909 A KR20100102909 A KR 20100102909A KR 20120088040 A KR20120088040 A KR 20120088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nformation
registration
gateway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훈
김석우
김의직
박진수
허성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0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8040A/ko
Publication of KR20120088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8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0Upper layer protocols adapted for application session management, e.g.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등록 관리 시스템은, IMS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 상기 단말의 세션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제어하는 호 세션 제어기, 상기 IMS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전송된 등록 요구 메시지와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유효한 단말이면,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등록을 관리하는 홈 가입자 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REGISTRATION OF MOBILE TERMINAL AND GATEWAY IN A IP MULTIMEDIA SUBSYSTEM}
본 발명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하여 단말과 게이트웨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세대 통신망은 초고속인터넷의 급속한 보급확산에 따른 유선 인프라의 확충에 뒤이어 데이터 네트워크와 음성 네트워크의 통합을 위한 광대역 통합망(BcN)으로 그 무게중심이 옮겨가고 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기존의 다양한 무선랜, CDMA2000 1x EV-DO 서비스 등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와 연계된 유무선 통합 네트워크의 구현이 주요 이슈화되고 있다. 그런데, 무선랜, CDMA2000 1x EV-DO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넓은 커버리지와 빠른 전송속도, 저렴한 이용요금 등의 특징을 지닌 차세대 무선인터넷 서비스로서 2.3GHz 휴대인터넷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휴대인터넷(WiBro)은 기존 무선인터넷 서비스가 가진 문제점을?보완하여 넓은 커버리지(coverage)와 빠른 전송속도, 저렴한 이용요금 등의 특징을 지닌 차세대 무선인터넷 서비스로서 새롭게 2.3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다.
그리고, IMS(IP Multimedia Subsystem)는 3GPP/3GPP2에서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의 핵심 네트워크(Core Network) 시스템으로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는 All IP 개념의 멀티미디어 코어(Core)망의 서브 시스템으로서 국제적인 글로벌 로밍(roaming)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시스템이다.
이러한 IMS는 IP기반의 개방형 구조 및 공통 서비스 플랫폼 구조로 초기 무선망의 코어 네트워크 표준화에서 출발했음에도 불구하고,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가 독립적인 구조로 발전하여 유무선 컨버전스 및 상이한 액세스 네트워크의 통합이 가능해 IP 기반의 신규 서비스 발굴을 통한 서비스 경쟁력 확보에 용이하다.
그런데, 종래에는 각 단말 또는 게이트웨이(이하, 단말이라 통칭함)가 IMS 네트워크에서 접속하는데 있어서, 접속 방식과 방법이 일관화되지 않았으며, 이런 이유로 체계적으로 단말을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단말이 IMS 네트워크에 등록하고자 할 경우, 단말의 가입자를 구분하기 위한 과정, 단말 식별자를 할당받는 과정, 단말이 이동 단말인지 게이트웨이인지 구분하기 위한 과정, 그리고, 단말이 어떤 게이트웨이에 속하는지 구분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하며, 이럴 경우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되고, 전체적으로 IMS 네트워크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IMS 네트워크에서 M2M(Machine-to-Machine)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서는 각 단말의 액세스 네트워크 방식 및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일관화되고 체계적으로 단말을 통합관리 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과 게이트웨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헤더 필드에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하여 접속 방식을 일관화하는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에서 단말 등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MS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과, 상기 단말의 세션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제어하는 호 세션 제어기와, 상기 IMS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와, 상기 전송된 등록 요구 메시지와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유효한 단말이면,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등록을 관리하는 홈 가입자 서버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에서 단말 등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IMS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1 과정과, 상기 단말의 세션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제어하는 과정과, 상기 전송된 등록 요구 메시지와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단말이 유효한 단말이면,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2 과정과, 상기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에 갱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컴퓨터 가독성 기록 매체에 있어서,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단말로부터 등록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의 세션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제어하는 제1 명령 셋과, 상기 수신된 등록 요구 메시지와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유효한 단말이면,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명령 셋과, 상기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에 갱신하는 제3 명령 셋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SIP 헤더 필드에 단말과 게이트웨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추가함으로써, 체계적으로 단말들과 게이트웨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IMS 네트워크에서 M2M(Machine-to-Machine)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 각 단말의 액세스 네트워크 방식 및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일관화되고 체계적으로 단말을 통합관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되고, 전체적으로 IMS 네트워크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IMS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낸 테이블.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IP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 기반에서 단말이 등록을 요청한 제1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 기반에서 단말이 등록을 요청한 제2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IMS 네트워크에 단말이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서술된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며 이동성이 보장된 이동 단말(mobile terminal)이거나, 또는 IMS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있는 게이트웨이 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을 M2M(Machine-to-Machine) 단말이라 하며, 본 발명에서는 '단말'로 통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통신에 있어서 세션이나 호(Call)를 관리하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를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SIP의 헤더 필드에 IMS 네트워크에 등록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하여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단말의 IMS 네트워크 등록을 가능하게 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은, IMS 네트워크와 직/간접적으로 등록 신청 또는 개통을 하기 위한 단말들과(110, 120), 상기 IMS 네트워크와 직접적으로 개통하지 못하는 단말을 관리하여 IMS 네트워크에 연결시켜주는 게이트웨이(130)와, 상기 단말들 또는 게이트웨이의 다양한 프로토콜 또는 통신 방식을 제공하는 액세스 네트워크(140)와, 단말들로부터 접속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들의 세션을 제어, 상태 유지, 단말 정보 관리 등을 제어하여 홈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 HSS)에게 단말의 등록 허락을 요청하는 호 세션 제어기(Call Session Control Function, CSSF)(150)와, 상기 호 세션 제어기로부터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단말 인증을 수행하는 홈 가입자 서버(160)와, 단말 식별자, SIP URI, 단말 타입, 게이트웨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17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MS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하는 단말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며 이동성이 보장된 이동 단말(mobile terminal)이거나, 또는 유선 통신망과 연결된 게이트웨이(Gateway)와 같은 디바이스(device)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을 M2M(Machine-to-Machine) 단말이라 불리며, 본 발명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간결하게 하기 위해 상기 이동 단말들(110, 120)을 제1 단말, 상기 게이트웨이(130)를 제2 단말로 통칭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단말을 '단말'이라 칭한다. 따라서, 상기 게이트웨이(130) 역시 단말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액세스 네트워크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말(110)과, IMS 네트워크에 직접연결이 안된 제 1 단말(120)을 IMS에 연결시켜주는 게이트웨이(130)와 같은 제2 단말이 있다. 이러한 단말들은 액세스 네트워크(140)에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등록 요청(Register Request) 메시지를 이용하여 등록 요청한다. 상기 등록 요청 메시지는 SIP를 통해 액세스 네트워크(140)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단말이 IMS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등록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면,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40)에 연결되어 있는 호 세션 제어기(150)는 홈 가입자 서버(160)에게 단말의 등록 여부를 요청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호 세션 제어기(150)는 단말의 세션 제어, 세션 상태 유지, 가입자 정보 관리, 가입자 등록 개시, QoS(Quality of Service) 제어, 과금 데이터 생성, 데이터 라우팅 및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40)와 홈 가입자 서버(160)간의 연결을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호 세션 제어기(150)로부터 단말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홈 가입자 서버(160)는 단말 인증을 수행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 가입자 서버(160)는 단말로부터 등록 요청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전송된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단말 정보를 저장부(170)에 질의하여, 상기 단말이 IMS 네트워크에서 관리되고 있는 단말인지를 저장부(170)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단말들의 등록 정보와 비교하여 체크한다. 상기 단말 정보는 단말의 식별자와 단말이 속해있는 호스트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예로서, SI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이 있다. 상기 SIP URI은 'userpart@hostpart'로 구성되며, 'userpart'는 단말 정보를 나타내고, 'hostpart'는 단말이 속한 호스트의 정보를 나타낸다. 그리고, 체크 결과, 단말이 IMS 네트워크에 유효한 단말이면, 단말의 등록 정보를 SIP 헤더 필드에 추가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등록 정보는 단말의 컴페니 정보, 디바이스 정보, 디바이스타입 정보, 게이트웨이 정보를 포함한다. 이러한 저장부(170)에 기 저장된 하나 이상의 단말들의 등록 정보는 테이블로 저장되어 있으며, 홈 가입자 서버(160)를 통해서 갱신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IMS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IMS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낸 테이블은 단말이 전송한 등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단말의 SIP URI를 이용하여 단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용된다.
즉, 홈 가입자 서버(160)는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의 등록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SIP URI 즉, 'userpart'와 'hostpart'를 통해 저장부(170)의 테이블에서 단말에 해당되는 정보들을 리딩한다.
상기 정보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어떤 고객에게 할당되어 있는지를 알려주는 컴페니 정보(예: CompanyID), 단말 번호를 할당하기 위한 디바이스 정보(예: DeviceID), 단말이 전술한 제1 단말인지 제2 단말인지를 나타내는 디바이스타입 정보(예: DeviceType), 및 상기 단말이 어느 게이트웨이에 속한 단말인지를 나타내는 게이트웨이 정보(예: ControlGW)가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SIP URI가 b1@m2m.com인 경우, 단말은 컴페니 정보가 'Company_B'에 할당되어 있고, 디바이스 정보는 'TER1'이고, 디바이스타입 정보는 이동 단말을 나타내는 'Device'이고, 게이트웨이 정보는 'TERGW1'이다. 홈 가입자 서버는 이러한 할당된 정보들을 SIP 헤더 필드에 추가하여 단말에 전송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홈 가입자 서버(160)는 단말이 송신한 SIP URI를 분석하여, 만일 유효하면, 단말이 어떤 고객에게 할당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 단말에 할당될 번호를 나타내는 정보, 단말이 이동 단말인지 아니면 게이트웨이인지를 나타내는 정보, 단말이 이동 단말일 경우 어떤 게이트웨이에 속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SIP의 헤더 필드에 추가하고, 이러한 정보들이 추가된 SIP 메시지를 호 세션 제어기를 통해 단말에게 전송한다. 그러나, 만일 SIP URI가 유효하지 않으면 등록을 거부한다.
그리고, 저장부(170)는 단말의 컴페니 정보, 디바이스 정보, 디바이스타입 정보, 게이트웨이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를 단말의 등록 정보라 한다.
상술한 정보들을 통해서 홈 가입자 서버(160)는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의 SIP URI가 유효하여 상기 저장부(170)에 포함되어 있으면, 단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하고, SIP 메시지의 헤더에 이러한 정보를 추가하여 단말에게 전송한다. 즉, 등록을 결정한다는 취지는 상기 홈 가입자 서버는 단말에게 상술한 정보 즉, 단말 가입자 구분을 나타내는 정보, DeviceID 할당을 나타내는 정보, 단말의 형태가 이동 단말인지 아니면 게이트웨이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 단말이 어떤 게이트웨이에 포함되는지를 구분하는 정보를 할당하여 단말의 등록 요청을 승인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보들은 등록 응답 메시지의 SIP 헤더에 포함되어 최종적으로 등록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 단말에게 전송되고, 이를 수신한 단말은 IMS 네트워크에 접속한다.
다시 말하면, 홈 가입자 서버(160)은 단말 인증 및 개통을 위해 테이블을 참조하여 유효하면, 단말에 컴페니 정보, 디바이스 정보, 디바이스타입 정보,게이트웨이 정보를 직접 설정할 필요 없이 이 테이블에 있는 정보를 이용해 단말을 인증하고 개통한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컴페니 정보, 디바이스 정보, 디바이스타입 정보,게이트웨이 정보를 변경하고자 할 때 각 단말 마다 설정할 필요없이 테이블을 활용해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단말의 가입자 변경, 디바이스 정보 및 게이트웨이 정보를 변경 또는 갱신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단말이 유효하지 않은 단말이면, 홈 가입자 서버(160)는 등록 거부 메시지의 헤더 필드에 상기 단말의 컴페니 정보, 디바이스 정보, 디바이스타입 정보,게이트웨이 정보를 널(Null) 값으로 할당하여 단말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등록 요구 메시지 및 등록 허가 메시지는 SIP를 통해 송수신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IP 메시지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IP 메시지의 구조는 메시지 종류를 나타내는 메서드 필드(METHODS field, 310)와, 단말이 IMS 네트워크에 등록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된 헤더 필드(HEADER field, 320)와, SIP 메시지의 내용과 통신에 필요한 속성값이 포함된 메세지 바디 필드(Message Body field, 330)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SIP 메시지의 메서드 필드(310)는 메시지의 START LINE에 표기되며, 메시지 종류, 등록 요청을 한 단말의 ID, 및 SIP의 버전을 포함한다. 그리고, 헤더 필드(320)는 송신단과 수신단의 주소,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중간에 위치한 노드의 주소, 상기 송신단과 수신단 주소에 접속한 횟수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단말 가입자 구분을 나타내는 정보, 단말에 할당된 식별자를 나타내는 정보, 단말의 형태가 이동 단말인지 아니면 게이트웨이인지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 단말이 어떤 게이트웨이에 포함되는지를 구분하는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메세지 바디 필드(330)는 메시지 내용과 통신에 필요한 속성 값을 담아 전달하는 필드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 기반에서 단말이 등록을 요청한 제1 예시도이다.
상기 예시도는 단말이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ak@m2m.com인 SIP URI를 전송하였으나, 단말이 전송한 SIP URI이 어느 가입자에게도 포함되어 있지 않아 등록이 거절되어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단말은 자신의 SIP URI가 ak@m2m.com을 가지며, 등록 요청을 호 세션 제어기(450)을 통해 홈 가입자 서버(460)에 전송한다. 상기 홈 가입자 서버(460)는 수신된 ak@m2m.com을 이용하여 단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저장부(470)에 저장된 테이블에서 ak@m2m.com이 어떤 가입자에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를 하고, 체크 결과, 어떤 가입자에도 포함되지 않았으면, 등록을 허가하지 않고, 이를 SIP 헤더 필드에 추가하여 단말에게 전송한다.
즉, 홈 가입자 서버는 컴페니 정보(CompanyID), 디바이스 정보(DeviceID), 디바이스타입 정보(DeviceType),게이트웨이 정보(ControlGW)의 값을 'Null' 값으로 하여 SIP 헤더 필드에 추가하여 단말에게 전송함으로써 인증이 실패되었음을 알린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IMS 네트워크 기반에서 단말이 등록을 요청한 제2 예시도이다.
상기 예시도는 단말이 등록을 요청하기 위해 ak1@m2m.com인 SIP URI를 홈 가입자 서버에게 전송하면, 홈 가입자 서버는 단말이 전송한 SIP URI이 Company_A에 포함되어 있고, DeviceID는 'AMR1'이고, DeviceType은 이동 단말임을 나타내는 'device'이지만, 단말이 어떤 게이트웨이에 속하는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ControlGW를 'Null'로 저장한다. 그리고, 홈 가입자 서버는 단말이 등록과 개통이 되었음 SIP 헤더에 포함하여 단말에게 서비스 제공이 가능함을 알린다.
다시 말하면, 단말은 자신의 SIP URI가 a1@m2m.com을 가지며, 등록 요청을 호 세션 제어기(550)을 통해 홈 가입자 서버(560)에 전송한다. 상기 홈 가입자 서버(560)는 수신된 a1@m2m.com을 이용하여 단말의 등록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저장부(570)에 저장된 테이블에서 a1@m2m.com이 어떤 가입자에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를 하고, 체크 결과, 컴페니에 'Company_A'으로 가입되어 있고, 디바이스가 'AMR1'이고, 디바이스타입이 'device'임을 확인한다. 그러나, 어떤 게이트웨이에 속하는지 알수 없기 때문에 게이트웨이 정보에는 'Null'로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2를 참조하면, 단말이 액세스 네트워크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1 단말인 경우, 디바이스타입은 당연히 'device'이고, 게이트웨이정보는 'Null'이거나, 또는 다양한 게이트웨이의 정보가 있을 수 있는 반면, 액세스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말이 게이트웨이인 경우, 디바이스타입은 'GW'가 되며, 게이트웨이 정보는 'itself'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이 IMS 네트워크에 단말이 등록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이 IMS 네트워크로 접속하기 위해 등록을 시도하고자 할 경우,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한다(S610, S612). 상기 등록 요구 메시지는 IMS 네트워크의 액세스 네트워크와 호세션 제어기를 거쳐 홈 가입자 서버로 전송된다. 그리고, IMS 네트워크에 접속하고자 하는 단말은 이동성이 보장된 이동 단말(mobile terminal)이거나, 또는 유선 통신망과 연결된 게이트웨이(Gateway)와 같은 디바이스(device)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을 M2M(Machine-to-Machine) 단말이라 불리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등록 요구 메시지는 단말의 SIP URI를 포함하고 있으며, SIP URI에는 'userpart@hostpart'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IMS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홈 가입자 서버는 상기 등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SIP URI와 저장부에 저장된 단말의 등록 정보를 비교한다(S614). 즉, 저장부에 저장된 등록 정보는 단말의 컴페니 정보(CompanyID), 디바이스 정보(DeviceID), 디바이스타입 정보(DeviceType), 게이트웨이 정보(ControlGW)를 포함한다. 이러한 정보들은 테이블로 구성되며, 단말이 송신한 SIP URI와 비교하여 단말의 현재 속한 컴페니 정보, 디바이스 정보, 디바이스타입 정보, 게이트웨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비교 결과, SIP URI에 해당되는 단말의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된 테이블에 존재하지 않으면, 단말의 등록 정보의 필드인 컴페니 정보(CompanyID), 디바이스 정보(DeviceID), 디바이스타입 정보(DeviceType), 게이트웨이 정보(ControlGW)를 모두 'Null' 값으로 할당한다(S616, S618). 그리고, 단말의 등록 요청을 거부하는 등록 거부 메시지에 'Null'로 할당된 단말의 등록 정보를 SIP 헤더 필드에 설정하여 등록을 요구한 단말에 전송한다(S620).
만일, 상기 과정(S616)에서 SIP URI에 해당되는 단말의 정보가 저장부에 저장된 테이블에 존재하면, 단말의 종류 별로 해당 등록 정보를 할당한다(S622). 즉, 상기 SIP URI가 존재하면, SIP URI에 해당되는 단말의 컴페니 정보, 디바이스 정보, 디바이스타입 정보, 및 게이트웨이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정보를 단말에 송신할 등록 허가 메시지인 SIP의 헤더 필드에 할당한다. 이 경우, 단말의 종류에 따라 M2MDeviceID, M2MDeviceType, M2MControlGW의 값이 구별되며, 예를 들어, i)Standalone인 M2M 단말(Gateway와 연동하지 않는 단말)의 경우에는 M2MDeviceID='deviceID', M2MDeviceType='Terminal', M2MControlGW = 'Null'로 기록되며, ii)GW와 연동하는 M2M 단말의 경우에는 M2MDeviceID='deviceID', M2MDeviceType='Terminal', M2MControlGW = 'GatewayID'로 기록되며, iii)M2M 단말이 GW인 경우에는 M2MDeviceID='GatewayID', M2MDeviceType='GWl', M2MControlGW = 'itself'로 기록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의 등록 개통을 허락하고, 단말의 등록 요청을 허락하는 등록 허락 메시지에 할당된 등록 정보를 SIP 헤더 필드에 설정하여 등록을 요구한 단말에 전송한다(S624). 단말은 이러한 허락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IMS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다. 그리고, 홈 가입자 서버는 상기 허락 메시지에 할당된 단말의 등록 정보 즉, 컴페니 정보, 디바이스 정보, 디바이스타입 정보, 및 게이트웨이 정보를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에 업데이트한다(S626).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제1 단말 120: 제2 단말
130: 게이트웨이 140: 액세스 네트워크
150: 호 세션 제어기 160: 홈 가입자 서버
170: 저장부

Claims (15)

  1.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등록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IMS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
    상기 단말의 세션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제어하는 호 세션 제어기,
    상기 IMS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단말의 등록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 및
    상기 전송된 등록 요구 메시지와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유효한 단말이면,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말의 등록을 관리하는 홈 가입자 서버
    를 포함하는 단말 등록 관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상기 IMS 네트워크에 직접 접속하는 이동 단말과, 상기 이동 단말을 상기 IMS 네트워크에 연결 제어하는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인 것인, 단말 등록 관리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가입자 서버는,
    상기 단말이 유효한 단말이면, 상기 단말의 컴페니 정보(CompanyID), 디바이스 정보(DeviceID), 디바이스 타입 정보(DeviceType), 및 게이트웨이 정보(ControlGW)를 상기 등록 허가 메시지의 헤더 필드에 할당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단말 등록 관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가입자 서버는,
    상기 단말이 유효하지 않은 단말이면, 등록 거부 메시지의 헤더 필드에 상기 단말의 컴페니 정보(CompanyID), 디바이스 정보(DeviceID), 디바이스타입 정보(DeviceType), 및 게이트웨이 정보(ControlGW)를 널(Null)값으로 할당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단말 등록 관리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구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정보를 나타내는 유저파트(userpart)와, 상기 단말이 속한 호스트의 정보를 나타내는 호스트파트(hostpart)를 포함하는 SIP URI(Session Initiation Protocol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인 것인, 단말 등록 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가입자 서버는,
    상기 전송된 등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SIP URI과,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SIP URI가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에 존재하면, 상기 SIP URI에 해당되는 컴페니 정보(CompanyID), 디바이스 정보(DeviceID), 디바이스타입 정보(DeviceType), 및 게이트웨이 정보(ControlGW) 값을 상기 단말의 종류 별로 구별하여 SIP 헤더 필드에 추가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단말 등록 관리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구 메시지 및 등록 허가 메시지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을 통해 송수신되는 것인, 단말 등록 관리 시스템.
  8.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에서의 단말 등록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IMS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등록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1 단계,
    상기 단말의 세션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등록 요구 메시지와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단말이 유효한 단말이면,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 2 단계, 및
    상기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에 갱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 등록 관리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단말의 컴페니 정보(CompanyID), 디바이스 정보(DeviceID), 디바이스타입 정보(DeviceType), 및 게이트웨이 정보(ControlGW)를 상기 등록 허가 메시지의 헤더 필드에 할당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단말 등록 관리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유효하지 않은 단말이면, 등록 거부 메시지의 헤더 필드에 상기 단말의 컴페니 정보(CompanyID), 디바이스 정보(DeviceID), 디바이스타입 정보(DeviceType), 및 게이트웨이 정보(ControlGW)를 널(Null)값으로 할당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단말 등록 관리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요구 메시지는,
    상기 단말의 정보를 나타내는 유저파트(userpart)와, 상기 단말이 속한 호스트의 정보를 나타내는 호스트파트(hostpart)를 포함하는 SIP URI(Session Initiation Protocol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인 것인, 단말 등록 관리 방법.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단계는,
    상기 전송된 등록 요구 메시지에 포함된 SIP URI과,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비교하는 것인, 단말 등록 관리 방법.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SIP URI가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에 존재하면, 상기 SIP URI에 해당되는 컴페니 정보(CompanyID), 디바이스 정보(DeviceID), 디바이스타입 정보(DeviceType), 및 게이트웨이 정보(ControlGW) 값을 상기 단말의 종류 별로 구별하여 SIP 헤더 필드에 추가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것인, 단말 등록 관리 방법.
  14. 컴퓨터 가독성 기록 매체에 있어서,
    IM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에 등록하기 위해 단말로부터 등록 요구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의 세션을 제어하고, 상기 단말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의 라우팅을 제어하는 제1 명령 셋과,
    상기 수신된 등록 요구 메시지와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단말이 유효한 단말이면,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2 명령 셋과,
    상기 등록 허가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단말의 등록 정보를 상기 저장된 등록 정보에 갱신하는 제3 명령 셋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가독성 기록 매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유효하지 않은 단말이면, 등록 거부 메시지의 헤더 필드에 상기 단말의 컴페니 정보(CompanyID), 디바이스 정보(DeviceID), 디바이스타입 정보(DeviceType), 및 게이트웨이 정보(ControlGW)를 널(Null)값으로 할당하여 상기 단말로 전송하는 제4 명령 셋
    을 더 포함하는 컴퓨터 가독성 기록 매체.
KR1020100102909A 2010-10-21 2010-10-21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88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909A KR20120088040A (ko) 2010-10-21 2010-10-21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2909A KR20120088040A (ko) 2010-10-21 2010-10-21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8040A true KR20120088040A (ko) 2012-08-08

Family

ID=46873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2909A KR20120088040A (ko) 2010-10-21 2010-10-21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804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2764A (zh) * 2012-09-29 2013-02-1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集成呼叫控制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32764A (zh) * 2012-09-29 2013-02-1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集成呼叫控制装置
CN102932764B (zh) * 2012-09-29 2015-04-1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集成呼叫控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57955A1 (zh) 设备接入方法、相关平台及计算机存储介质
CN110800331B (zh) 网络验证方法、相关设备及系统
US9301191B2 (en) Quality of service to over the top applications used with VPN
US8213934B2 (en) Automatic selection of a home agent
JP2022517176A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lan)をサポート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95493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uting proximity-based service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0879148B1 (ko) Iptv 서비스 인증 및 서비스 품질 제어 방법 및 그시스템
JP5091320B2 (ja) ポリシ決定機能のアドレス指定方法、ネットワーク構成要素、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100275248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selecting service network
US91308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figuring personal network using PN routing table
US980717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management
WO2014042446A2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특정 리소스에 대한 특정 권한 획득을 요청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180227299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an authentication server
US8665849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plementing inter-network roam, querying and attaching network
US108561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visited and home authentication servers
CN110572820B (zh) Ims终端的注册方法、装置、位置信息服务器及存储介质
CN103442328B (zh) 一种物联网终端的服务质量控制方法和系统
US10791464B2 (en) Method for establishing a secure connection
US2015031974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etwork resource impact of migrant wi-fi users
JP5937563B2 (ja) 通信基地局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2203216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aranteeing quality of service between a public network and a non-public network
US20200076494A1 (en) Communication system, relay server,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KR20120088040A (ko) Ims 네트워크에서 단말과 게이트웨이의 등록을 관리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163022B (zh) 面向垂直行业的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540202B2 (en) Secure cloud edge interconnect point sel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