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7544A - 핫 프레스 장치 - Google Patents

핫 프레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7544A
KR20120087544A KR1020110008806A KR20110008806A KR20120087544A KR 20120087544 A KR20120087544 A KR 20120087544A KR 1020110008806 A KR1020110008806 A KR 1020110008806A KR 20110008806 A KR20110008806 A KR 20110008806A KR 20120087544 A KR20120087544 A KR 20120087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member
heating plate
hot press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길
Original Assignee
티.비텔레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비텔레콤(주) filed Critical 티.비텔레콤(주)
Priority to KR1020110008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7544A/ko
Publication of KR2012008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75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2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by heating the blank or stamping associated with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6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4Heating or cooling presse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7/00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 B30B7/02Presses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arrangement of the pressing members having several platens arranged one above the o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00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 C09D17/004Pigment pastes, e.g. for mixing in paints containing an inorganic pigment
    • C09D17/005Carbon bl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열판에 설치된 가열 부재의 열효율이 뛰어나고, 가열판이 짧은 시간에 가열되는 핫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핫 프레스 장치는, 하부 가열판; 하부 가열판과 함께 금형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하부 가열판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가열판; 및 상부 가열판 및 하부 가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부재는 열 전달층, 열 전달층에 형성된 저항 발열 코팅층을 구비하며, 저항 발열 코팅층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저항 발열 코팅층이 가열되어 상부 가열판 및 하부 가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열된다.

Description

핫 프레스 장치{Hot press apparatus}
본 발명은 핫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열판에 설치된 가열 부재의 열효율이 뛰어나고, 가열판이 짧은 시간에 가열되는 핫 프레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핫 프레스 장치는 성형할 재료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통상적인 핫 프레스 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상기 핫 프레스에서 사용되는 시즈 히터(1)의 종단면도이다. 상기 핫 프레스 장치는 상부 가열판(30)과, 하부 가열판(20)과, 상부 가열판(30)과 하부 가열판(20)에 형성된 가열 부재 설치공(31) 및, 가열 부재 설치공(31)에 설치된 가열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가열부재로는 시즈 히터(sheath heater, 1)가 사용될 수 있다.
상부 가열판(30)과 하부 가열판(20)이 시즈 히터(1)에 의해서 가열된 상태에서 하부 가열판(20)이 상승하여 하부 가열판(20)에 위치한 금형(70)이 가압된다. 따라서, 가열판(20,30)으로부터 금형(70)으로 열이 전달되고, 최종적으로는 금형(70)에 의하여 성형품이 제조된다.
시즈 히터(1)는 가열 부재 설치공(31)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시즈 히터(1)는 파이프 형상의 보호관(8)의 내부에 니켈크롬 또는 철크롬 등의 재질로 형성된 코일 형상의 발열선(7)을 가지며, 발열선(7)의 양끝단에는 단자(4)가 연결되어 있고, 단자(4)는 절연체(9)에 의하여 지지된다.
시즈 히터(1)는, 전원이 단자(4)를 통해서 발열선(7)에 인가되어 발열선(7)이 먼저 가열되며, 다음으로 가열된 발열선(7)으로부터의 열이 보호관(8) 내부의 공기와 보호관(8)을 가열하게 된다. 즉, 시즈 히터(1)는 발열선(7)과 보호관(8) 사이가 이격되어 있어서 열효율이 좋지 않다.
뿐만 아니라, 시즈 히터(1)를 가열판(20,30)의 가열 부재 설치공(31)에 끼워 넣기 위해서는, 시즈 히터(1)의 보호관(8)의 외경이 가열 부재 설치공(31)의 내경보다 작아야 하고, 결국 시즈 히터(1)의 보호관(8)의 외경과 가열 부재 설치공(31)의 내경 사이의 간격(w)이 발생하게 되며, 이 간격(w) 사이의 공기층이 가열된 후에야 비로소 가열판(20,30)이 가열되기 때문에 열효율이 더욱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열 부재의 열효율이 뛰어난 핫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판을 가열하는 시간이 단축된 핫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판과 가열장치 사이의 간격을 없애거나 최소화한 핫 프레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핫 프레스 장치는, 하부 가열판; 하부 가열판과 함께 금형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하부 가열판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가열판; 및 상부 가열판 및 하부 가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부재는 열 전달층, 열 전달층에 형성된 저항 발열 코팅층을 구비하며, 저항 발열 코팅층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저항 발열 코팅층이 가열되어 상부 가열판 및 하부 가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열된다.
바람직하게, 핫 프레스 장치는, 상부 가열판의 상면 및 하부 가열판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면으로 형성되며 가열 부재가 설치되는 가열 부재 설치 구역; 가열 부재의 저항 발열 코팅층이 형성된 면과 접촉한 채로 가열 부재 설치 구역에 설치되는 단열재; 및 저항 발열 코팅층과 접촉하는 단열재의 일면의 반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가열 부재 및 단열재를 가열 부재 설치 구역에 고정 시키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부재는 평판 형상이다.
바람직하게, 저항 발열 코팅층은 도전성 도료 또는 도전성 고분자 소재로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열 전달층은 유리 또는 세라믹 재질이다.
또한, 전극은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박막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덮개에 의하여 눌리게 되는 단열재가 가열 부재를 가열 부재 설치 구역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단열재는 탄력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핫 프레스 장치에 의하면, 덮개와 가열 부재 사이에 단열재가 개재되고, 덮개가 이 단열재를 압박한 상태에서 가열 부재 및 단열재를 가열 부재 설치 구역에 고정시키기 때문에, 프레스 부재와 가열 부재 사이의 간격이 없거나 최소화된다.
또한, 프레스 부재와 가열 부재 사이의 간격이 최소화 되므로 가열판이 가열되는 시간이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가열 부재의 열효율이 뛰어나기 때문에 핫 프레스 장치의 가동 비용이 저렴해진다.
더욱이, 가열 부재가 직접 가열판과 접촉하게 되므로, 낭비되는 열이 줄어들어 대부분의 열이 직접적으로 가열판을 가열하는데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핫 프레스 장치의 주요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핫 프레스에서 사용되는 시즈 히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핫 프레스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가열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가열 부재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가열부재가 상부 가열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가열부재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상, 하, 좌, 우, 위, 아래에 대한 기준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핫 프레스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가열 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가열 부재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핫 프레스 장치(100)는 성형할 재료에 열 및 압력을 가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장치이다. 핫 프레스 장치(100)는 상부 가열판(30)과, 하부 가열판(20), 및 상부 가열판(30)과 하부 가열판(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가열 부재(10)를 구비한다. 여기서, 하부 가열판(20) 위에는 금형(70)이 배치된다.
하부 가열판(20)은 금형을 지지하며 상부 가열판(30)과 함께 금형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하부 가열판(20)은 유압기(80)에 의해서 승강하면서 금형을 가압한다. 하부 가열판(20)의 상승 및 하강은 승강 가이드 부재(40)에 의해 가이드된다.
상부 가열판(30)은 하부 가열판(20)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부 가열판(20)과 함께 금형(7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하부 가열판(20) 및 상부 가열판(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후술할 가열 부재(10)가 설치될 수 있도록 가열 부재 설치 구역(32)이 형성될 수 있다. 가열 부재 설치 구역(32)은 설치될 가열 부재(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가열 부재(10)가 평판 형상인 경우에는, 하부 가열판(20)의 하면 또는 상부 가열판(30)의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가열 부재(10)의 면적과 같거나 다소 넓은 면적의 함몰면의 형상을 갖는 가열 부재 설치 구역(32)이 형성된다.
상부 가열판(30)은 승강 가이드 부재(40)에 고정되고, 하부 가열판(20)은 유압기(80) 등에 의해서 승강 가이드 부재(4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핫 프레스 장치(100)에는 다양한 금형(70)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두 개 또는 그 이상으로 분리되는 금형(70) 블록을 조합하여 그 내부에 성형할 금속 또는 유리 또는 고분자 물질등의 재료등이 주입되는 방식의 금형(70)이라도 무방하고, 이외에도 하나의 금형(70) 블록에 성형할 재료를 올려 놓고 가열판(20,30)으로 재료를 금형(70)에 가압하여 성형하는 방식의 금형(70)이라도 무방하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열 부재(10)는 전체적으로 평판 형상을 취하며, 평판 형상의 열 전달층(11), 열 전달층(11)에 형성되는 저항 발열 코팅층(12), 저항 발열 코팅층(12)의 적어도 두 지점에 연결된 전극(13), 및 전극(13)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자부(14)를 포함한다. 한편, 단자부(14)에는 전원 케이블(15)이 연결된다.
가열 부재(10)는 상부 가열판(30) 및 하부 가열판(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하게 된다.
열 전달층(11)은 유리 또는 세라믹 등 전기 절연성과 내열성을 동시에 갖는 재질로 형성되며, 열 전달층(11)의 표면 중 일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저항 발열 코팅층(12)이 형성된다.
저항 발열 코팅층(12)은 전원이 인가되면 내부 저항에 의해 열을 발생시킨다. 저항 발열 코팅층(12)은 예컨대, 카본 블랙 등과 같은 도전성 도료나, 정온도계수(PTC;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특성을 갖는 도전성 고분자 소재를 열 전달층(11)의 표면에 코팅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저항 발열 코팅층(12)은 염화니켈(NiCl2), 염화제2철(FeCl3), 염화망간(MnCl2), 염화제2주석(SnCl4), 염화비스무스(BiCl3), 염화스티븀(SbCl3), 인디움 염화물(InCl3), 글리세린(C3H5(OH)3), 에탄올(C3H5OH), 붕산(H3BO5), 및 나노 분말 주석(Sn)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 물질을 증기 증착하는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저항 발열 코팅층(12)을 사용한 가열 부재는 기존의 시즈 히터(1)와 비교하였을 때, 낮은 전력으로도 작동 가능하며, 열효율이 훨씬 높다. 또한, 저항 발열 코팅층(12)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는 것에 의하여 저항 발열 코팅층(12)이 발산하는 온도를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저항 발열 코팅층(12)의 일측 가장자리와 타측 가장자리에는 각각 전극(13)이 연결되어 있는데, 전극(13)은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저항 발열 코팅층(12)에 인가한다. 여기서 전극(13)은 단자부(14)와 연결되어 있으며, 단자부(14)는 외부 전원(16)(미도시)과 전원 케이블(15)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통된다.
전극(13)은 반드시 저항 발열 코팅층(12)의 가장 자리 부위에 위치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저항 발열 코팅층(12)의 가장 자리 부위의 내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전극(13)이 반드시 저항 발열 코팅층(12) 상에만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가열 부재(10)가 전극(13)을 반드시 두 개만 구비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길게 형성된 전극(13)을 짧게 자른 형상을 갖고 있는 여러 개의 전극(13)이 저항 발열 코팅층(12)과 접한 채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극(13)이 저항 발열 코팅층(12)과 전기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면 위치변경이 가능하며, 도면에 도시된 전극(13)층의 배치 방향이나 구조나 개수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한정적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게다가, 열 전달층(11) 상에 저항 발열 코팅층(12)이 반드시 먼저 형성된 후에 그 다음으로 전극(13)이 형성되어야 할 필요도 없다. 따라서, 열 전달층(11) 상에 상술한 전극(13)이 먼저 형성되고, 그 다음으로 전극(13)이 형성된 열 전달층(11) 상에 저항 발열 코팅층(12)을 코팅하여도 무방하다.
전극(13)은 은(Ag) 또는 구리(Cu)와 같은 도전성 소재를 열 전달층(11) 상에 나노 코팅하거나, 저항 발열 코팅층(12) 상에 나노 코팅하거나, 열 전달층(11) 및 저항 발열 코팅층(12) 상에 나노 코팅하여 박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전극(13)에는 단자부(14)가 연결되어 있는데, 단자부(14)는, 외부 전원(16)으로부터 전원 케이블(15)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원을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연통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전극(13)이 박막 타입으로 형성되는 경우는 전극(13)에 직접 전원 케이블(15)을 연결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전원 케이블(15)을 단자부(14)에 연결하고, 단자부(14)를 전극(13)에 접촉시키게 된다.
단자부(14)의 전극(13)과 맞닿는 면을 전극(13)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하면 단자부(14)와 전극(13)이 안정적으로 접촉할 수 있게 된다. 단자부(14)도 전극(13)과 마찬가지로 은(Ag) 또는 구리(Cu)와 같은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다.
단자부(14)와 전극(13)을 납땜으로 연결하면, 저항 발열 코팅층(12)에서 발생한 열의 온도가 납의 녹는점보다 높은 경우에, 단자부(14)와 전극(13)이 분리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단자부(14)와 전극(13)을 맞닿게 한 채로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단자부(14)를 열 전달층(11)에 고정시키거나, 고정 클립 등을 사용하여 고정 클립이 단자부(14)를 압박한 채로 열 전달층(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4의 가열부재가 상부 가열판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가열부재의 Ⅶ-Ⅶ'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가열 부재 설치 구역(32)은 상부 가열판(30)의 상면에 함몰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가열 부재(10)는 가열 부재 설치 구역(32)의 저면과 접한 채로 배치되고, 더욱 자세하게는 열 전달층(11)의 양면 중 저항 발열 코팅층(12)이 형성된 면의 반대쪽 면이 가열 부재 설치 구역(32)의 저면에 접한다.
단열재(50)는 저항 발열 코팅층(12)이 형성된 면과 접한 채로 가열 부재(10) 상에 배치된다.
덮개(60)는 단열재(50)를 덮어 누른 상태에서 볼트(62)를 사용하여 상부 가열판(30)에 고정된다.
단열재(50)는, 저항 발열 코팅층(12)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의 대부분이 상부 가열판(30)의 하면을 가열하는데 사용되도록 해준다. 이를 위하여, 단열재(50)는 단열성이 있어야 하는데, 추가적으로 단열재(50)는 탄력성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전기 절연성도 높아야 한다.
상술한 것처럼 단열재(50)는 마치 쿠션과 같이 탄력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단열재(50) 위에 덮개(60)를 덮고 단열재(50)를 누르면서, 덮개(60)를 상부 가열판(30)에 고정시키면, 단열재(50)가 눌리게 되므로, 단열재(50)와 접촉한 채로 단열재(50)의 아래에 위치하는 가열 부재(10)가 가열 부재 설치 구역(32)에 자연히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낭비되는 열이 줄어들어서 대부분의 열이 직접적으로 상부 가열판(30)을 가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하는 단열재(50)의 탄력성이란, 단열재(50)를 눌러서 두께가 줄어들었을 때 원래 두께를 회복하기 위하여 눌린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단열재(5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반드시 눌리기 전의 두께를 100% 회복해야만 하는 정도의 탄력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가열 부재(10)를 가열 부재 설치 구역(32)에 충분히 밀착시킬 수 있을 정도의 힘을 가할 수 있으면 족하다.
또한, 단열재(50)는 전기 절연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만약 단열재(50)가 전기 절연성이 없다면, 전극(13) 또는 저항 발열 코팅층(12)에 인가되는 전류가 단열재(50)를 통하여 상부 가열판(30)에도 흐르게 되므로, 저항 발열 코팅층(12)이 외부전원에 의하여 충분히 가열될 수 없기 때문이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는 단열재(50)로는 KCC사에서 출시된 세라크울 블랭킷(Cerakwool Blanket) 제품이 있다. 그리고, 세라크울 블랭킷 제품 중, 특히, 1300 블랭킷 제품과 HTZ 블랭킷 제품 등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열재(50)에 요구되는 물성을 만족한다.
도 6 및 도 7에는 프레스 볼록에 가열 부재(10)가 1개만 설치되어 있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대체적 실시예로서, 가열 부재(10)가 2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즉, 가열 부재(10)보다 면적이 작은 가열 부재(10)가 프레스 볼록에(20,30) 복수 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본 명세서를 참조한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가열 부재(10)가 상부 가열판(30)에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가열 부재(10)는 하부 가열판(20)에도 설치될 수 있다. 하부 가열판(20)에 설치되는 가열 부재(10)는 상부 가열판(30)에 설치되는 가열 부재(10)와 대칭적으로 배치된다.
즉, 하부 가열판(20)의 하면에 가열 부재 설치 구역(32)이 형성되어 있으며, 먼저, 가열 부재 설치 구역(32)의 가장 저면에 가열 부재(10)가 배치되고, 단열재(50)는 가열 부재(10)와 접하여 있으며, 덮개(60)는 단열재(50)를 덮어 누른 상태에서 볼트(62) 등으로 하부 가열판(20)에 고정된다.
기타, 하부 가열판(20)에 설치되는 가열 부재(10)에 대한 설명은, 상부 가열판(30)에 설치되는 가열 부재(10)에 관한 상술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가열 부재 11 : 열 전달층
12 : 저항 발열 코팅층 13 : 전극
14 : 단자부 15 : 전원 케이블
16 : 외부 전원 17 : 발열선
18 : 보호관 19 : 절연체
20 : 하부 가열판 30 : 상부 가열판
32 : 가열 부재 설치 구역 40 : 승강 가이드 부재
50 : 단열재 60 : 덮개
62 : 볼트 70 : 금형
80 : 유압기 100 : 핫 프레스 장치

Claims (6)

  1. 성형할 재료에 열을 가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핫 프레스(hot press) 장치에 있어서,
    하부 가열판;
    하부 가열판과 함께 금형에 압력을 가할 수 있으며 하부 가열판의 상측에 배치된 상부 가열판; 및
    상부 가열판 및 하부 가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 가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 부재는 열 전달층, 열 전달층에 형성된 저항 발열 코팅층을 구비하며, 저항 발열 코팅층에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저항 발열 코팅층이 가열되어 상부 가열판 및 하부 가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프레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 가열판의 상면 및 하부 가열판의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함몰면으로 형성되며 가열 부재가 설치되는 가열 부재 설치 구역;
    가열 부재의 저항 발열 코팅층이 형성된 면과 접촉한 채로 가열 부재 설치 구역에 설치되는 단열재; 및
    저항 발열 코팅층과 접촉하는 단열재의 일면의 반대면과 접촉된 상태에서 가열 부재 및 단열재를 가열 부재 설치 구역에 고정시키는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가열 부재는 평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프레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저항 발열 코팅층은 도전성 도료 또는 도전성 고분자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프레스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열 전달층은 유리 또는 세라믹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프레스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전극은 도전성 소재로 형성된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프레스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덮개에 의하여 눌리게 되는 단열재가 가열 부재를 가열 부재 설치 구역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단열재가 탄력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핫 프레스 장치.
KR1020110008806A 2011-01-28 2011-01-28 핫 프레스 장치 KR201200875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806A KR20120087544A (ko) 2011-01-28 2011-01-28 핫 프레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806A KR20120087544A (ko) 2011-01-28 2011-01-28 핫 프레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7544A true KR20120087544A (ko) 2012-08-07

Family

ID=4687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806A KR20120087544A (ko) 2011-01-28 2011-01-28 핫 프레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754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24Y1 (ko) 2016-04-22 2017-01-2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방풍판 제조장치
KR102457835B1 (ko) * 2022-04-25 2022-10-26 (주)바이솔 발열층이 구비된 사출 금형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424Y1 (ko) 2016-04-22 2017-01-2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테크 방풍판 제조장치
KR102457835B1 (ko) * 2022-04-25 2022-10-26 (주)바이솔 발열층이 구비된 사출 금형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9700728A (es) Elemento de calentamiento con resistencia con pelicula delgada de gran area, y metodo.
CN110959918A (zh) 一种发热组件及电子雾化装置
CA2736652A1 (en) Flexible electrothermal plate
WO2008043187A1 (en) Layered electrically conductive structure and potentiometer comprising such a structure
CN205510437U (zh) 一种高分子电热板
CN105072710B (zh) 叠装大功率ptc加热器
CN103702833B (zh) 微结构化的热冲压模具
KR20120087544A (ko) 핫 프레스 장치
KR200492882Y1 (ko) 가열장치용 플렉시블 히터
EP3253177B1 (en) Double-sided thick film heating element having high thermal conductivity
JP2010062080A (ja) 面状発熱体
CN110996410A (zh) 一种耐高温石墨烯加热板的制造工艺
CN216632600U (zh) 一种金属3d打印机及其基板加热装置
JP5592706B2 (ja) シースヒータのリード線接続端子
CN111836412A (zh) 金属加热体及金属加热装置
CN2240820Y (zh) 一种电热膜发热体
CN111954320A (zh) 金属加热体的制造方法
EP0951202A3 (de) Kochplatte mit elektrisch leitfähiger Keramikplatte
JP5806622B2 (ja) インパルス式ヒートシーラー
CN204836612U (zh) 叠装大功率ptc加热器
CN205005280U (zh) 柔性可切割加热毯
WO2007029288A1 (ja) 通電加熱装置
CN108471648A (zh) 一种用于ptc电热装置的加热元件
CN212014440U (zh) 一种发热组件及电子雾化装置
CN220441922U (zh) 一种hnb加热元件及气溶胶产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