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6971A - USB hub apparatus having charging fucntion - Google Patents

USB hub apparatus having charging fucn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6971A
KR20120086971A KR1020110008361A KR20110008361A KR20120086971A KR 20120086971 A KR20120086971 A KR 20120086971A KR 1020110008361 A KR1020110008361 A KR 1020110008361A KR 20110008361 A KR20110008361 A KR 20110008361A KR 20120086971 A KR20120086971 A KR 20120086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usb hub
current
terminal
usb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83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상현
강두식
Original Assignee
태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8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6971A/en
Publication of KR20120086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697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3Arrangements for using multiple switchable power supplies, e.g. battery and A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PURPOSE: A USB(Universal Serial Interface) hub device including a charging function is provided to easily charg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rechargeable battery without connecting to an exclusive charger for the portable device. CONSTITUTION: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310) converts provided AC power supply into DC power supply. A host terminal USB connector receives currents through a USB power input pin which a host terminal is connected to by splitting the DC power supply. A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receives charging currents through the USB power input pin which a slave terminal is connected to by splitting the DC power supply. A USB hub controller(370) controls USB communication between the host and the slave by connecting to data input pins of two of the connectors.

Description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USB hub apparatus having charging fucntion}USB hub apparatus with charging function

본 발명은 USB 허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USB 허브에서 복수의 USB 포트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USB 허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B hub device, and relates to a USB hub device that provides a charging function for device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USB ports in the USB hub.

최근 멀티미디어 컴퓨터, 홈 네트워크(Home network)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컴퓨터 환경과 컴퓨터를 중심으로 한 통신환경이 대두되면서 컴퓨터가 제어하게 되는 주변기기가 급속히 증가하게 되었다.Recently, as a new type of computer environment, such as a multimedia computer, a home network, and a communication environment centered on a computer, a peripheral device controlled by a computer has rapidly increased.

이에 따라 현재와 같은 컴퓨터와 주변기기의 1:1 접속방법으로는 주변기기의 확장성이라는 측면에서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는 판단 하에 컴퓨터와 전화관련 업체 및 모니터 업체가 주도가 되어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와 주변기기의 접속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As a result, the current 1: 1 connection between computers and peripheral devices has reached saturation in terms of scalability of peripheral devices. I came up with a way.

그 결과, 유에스비(Universal Serial Bus : 이하, 'USB'라 한다)와 IEEE 1394(이하‘1394’라 한다)가 컴퓨터를 중심으로한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Protocol)로, 그리고 USB와 1394를 채용하는 디바이스 베이(Device bay)가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의 새로운 접속매체로서 표준으로 부각되었다.As a result, USS (Universal Serial Bus) and IEEE 1394 (hereinafter referred to as '1394') are new communication protocols centered on computers, and devices adopting USB and 1394. Device bays have emerged as the standard of new connectivity between computers and peripherals.

USB와 1394는 응용 프로그램의 증가에 따라 최근 들어 개인용 컴퓨터 시스템(이하‘PC’라 약칭한다)에 부착하는 각종 주변기기들이 늘어나면서 PC 슬롯이 수용할 수 있는 한계를 초과하게 되고, 각기 그 형상이 다른 주변기기들의 커넥터들을 통일화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PC운용의 편리함을 주고자 PC와 전화관련 업체 및 모니터 업체가 주도가 되어 지원하려는 핫플러깅(Hot plugging) 또는 핫 플러그-앤드-플레이(Hot plug-and-play) 개념의 새로운 통신 프로토콜이다.As USB and 1394 increase in applications, the number of peripheral devices attached to personal computer systems (hereinafter, simply abbreviated as' PC's) has increased recently, exceeding the limits that PC slots can accommodate. Hot plugging or hot plug-and-play, led by PC and telephone companies and monitor companies, to provide users with the convenience of PC operation by unifying the connectors of peripheral devices. ) Is a new communication protocol.

USB는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규약(Protocol)으로서, USB 통신규약을 지원하기 위해 컴퓨터의 마더보드 상에는 주제어기(Host Controller)가 장착되고, 컴퓨터와 주변기기는 별도의 연결수단인 USB 허브(HUB)를 통해 접속된다.USB is a protocol that supports communication between a computer and peripheral devices. A host controller is mounted on the motherboard of a computer to support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computer and peripheral devices are connected as USB. It is connected via a hub.

컴퓨터의 중앙 처리기(이하, CPU라 칭함)와 직접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상기 주제어기는, 컴퓨터와 주변기기의 접속을 제어하고 연결 도중에 발생하는 에러를 검출하며, 추가 연결되는 주변기기에 적당한 통신 주소(ADRESS)를 할당하고, 주변기기와 컴퓨터가 충돌하지 않고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중재하는 등 USB 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의 관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The main controller, which directly communicates with a computer's central proces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PU), control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peripheral device, detects an error occurring during the connection, and has an appropriate communication address (ADRESS) for the additional peripheral device. It performs overall management and control of the USB communication system by allocating and arbitrating so that peripherals and computers can share resources without conflict.

상기 USB 허브는 소정 개수(4 개 또는 7 개 등)의 커넥터(Connector)를 가지며, USB 통신규약이 지원되는 컴퓨터와 주변기기가 USB 커넥터와 잘 맞물릴 수 있게 형성된 커넥터를 갖춘다.The USB hub has a predetermined number of connectors (such as four or seven), and has a connector formed so that a computer and a peripheral device supporting the USB communication protocol can be easily engaged with the USB connector.

이와 같이 컴퓨터, 주변기기, USB 허브에 각각 구비된 커넥터를 체결하여 컴퓨터와 주변기기 사이에 USB 허브를 접속하는 경우, 컴퓨터에서 주변기기로 전송되거나 주변기기로부터 컴퓨터로 역전송되는 데이터 또는 전원은 일단 USB 허브에 입력되고, USB 허브의 중계에 따라 각 목적지(Destination)로 전송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connecting a USB hub between a computer and a peripheral device by fastening connectors provided on the computer, peripheral device, and USB hub, data or power transmitted from the computer to the peripheral device or reversely transmitted from the peripheral device to the computer is first input to the USB hub. The data is transmitted to each destination according to the relay of the USB hub.

이때, USB 허브를 기준으로 컴퓨터와 USB 허브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나 전원의 흐름을 업스트림(UP-STREAM)이라 칭하고, 반면에 USB 허브와 주변기기 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나 전원의 흐름을 다운스트림(DOWNSTREAM)이라 칭한다. 동일한 개념으로, USB 허브에 구비된 커넥터 중 컴퓨터와 맞물리는 커넥터는 업스트림 포트(PORT)로, 주변기기와 맞물리는 커넥터는 다운스트림 포트로 칭한다.At this time, the flow of data or power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USB hub based on the USB hub is called upstream, while the flow of data or power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USB hub and the peripherals is called downstream. It is called. In the same concept, among the connectors provided in the USB hub, the connector that engages with the computer is called an upstream port, and the connector that engages with a peripheral device is called a downstream port.

업스트림 포트는 보통 한 개, 다운스트림 포트는 복수 개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다운스트림 포트에 다른 USB 허브를 연결하고 새로 연결된 USB 허브에 주변기기를 추가 접속해 나가는 방식으로 최대 127 개의 주변기기를 컴퓨터에 연결할 수 있다.In most cases, there is one upstream port and multiple downstream ports, and up to 127 peripherals can be connected to the computer by connecting another USB hub to the downstream port and adding additional peripherals to the newly connected USB hub. have.

한편, USB 호스트 시스템인 컴퓨터는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나, USB 허브 및 USB 허브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들은 상기 USB 호스트 시스템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한다. 최근에는 USB 허브 자체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USB 허브 및 주변 기기를 구동시키는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 computer that is a USB host system is powered by itself and operates, but a USB hub and peripheral devices connected to the USB hub are powered by the USB host system. Recently, a product that is powered by the USB hub itself to drive the USB hub and peripherals has also been released.

그러나, 이와 같이 USB 허브에서 전원 공급이 가능하더라도 USB 허브에서는 주변 기기에 대한 구동 전원만 공급할 뿐 충전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컴퓨터 또는 USB 허브를 통해 충전하고자 할 경우, 주변 기기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가 작아서 장시간 충전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다.However, even though the USB hub can be powered in this way, the USB hub provides only the driving power for peripheral devices and does not provide a charging function. Therefore, if you want to charge through a computer or a USB hub, there is an inconvenience to be charg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peripheral device is small.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USB 허브를 통해 자체 전력을 주변 기기에 공급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다운스트림 전원 포트에 연결된 각 주변기기에 5V/500mA의 전력을 공급한다. 한편, 컴퓨터를 통해 공급되는 버스 전력은 이보다 낮은 5V/100mA의 전력을 공급한다.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모니터 등 대부분의 주변기기들은 5V/100mA의 전력으로 충분히 구동 가능하나,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이 최소 5V/500mA의 전력이 공급되어야만 동작 가능한 주변기기도 있다. 따라서, 사용전력이 높은 주변기기까지 수용하려면 USB 허브 자체에서 공급되는 전력으로 구동하여야 한다.More specifically, when powering its own peripherals through a USB hub, it typically supplies 5V / 500mA to each peripheral connected to the downstream power port. The bus power supplied by the computer, on the other hand, provides lower 5V / 100mA power. Most peripherals, such as keyboards, mice, joysticks, and monitors, can run at 5V / 100mA, but some peripherals require a minimum of 5V / 500mA, such as digital cameras. Therefore, in order to accommodate peripherals with high power consumption, they must be driven by the power supplied by the USB hub itself.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컴퓨터 또는 USB 허브를 통한 전원 공급은 주변 기기가 동작할 수 있고, 최소한의 데이터 통신만이 가능하도록 전력이 공급된다. 따라서, 주변 기기에 내장된 충전지 등에 충전 가능한 충분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 기기마다 전용으로 제공되는 별도의 충전기를 연결하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the power supply through the conventional computer or the USB hub is powered so that the peripheral device can operate and only minimal data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refore, in order to supply sufficient power that can be charged to a rechargeable battery built in a peripheral device, it is inconvenient to connect a separate charger provided exclusively for each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은 USB 허브의 전원을 통해 USB 허브에 연결된 주변 기기를 충전시킬 수 있는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B hub device having a charging function capable of charging a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hub through the power of the USB hub.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USB 허브의 전원을 통해 USB 허브에 연결된 주변 기기를 충전하고, 충전 여부를 USB 허브에서 감지하여 충전 상태를 표시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SB hub device having a charging function for charging a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a USB hub through a power source of the USB hub, and detecting whether the battery is charged by the USB hub to display a charging stat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는,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시키는 SMPS부; 상기 SMPS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류를 분기하여 호스트 단말이 접속되는 USB 전원 입력 핀으로 전류를 공급받는 호스트 단말 USB 커넥터; 상기 SMPS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류를 분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이 접속되는 USB 전원 입력 핀으로 충전 전류를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 및 상기 호스트 단말 USB 커넥터의 데이터 입력 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의 데이터 입력 핀과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 단말 USB 커넥터에 연결되는 호스트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간의 USB 통신을 제어하는 USB 허브 제어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SB hub device having a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MPS unit for converting the supplied AC power to DC; A host terminal USB connector for supplying current to a USB power input pin to which a host terminal is connected by branching the DC current converted through the SMPS unit; At least one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for supplying charging current to a USB power input pin to which at least one slave terminal is connected by branching the DC current converted through the SMPS unit; At least one host terminal connected to the data input pin of the host terminal USB connector and the data input pin of the at least one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and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and the at least one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And a USB hub controller for controlling USB communication between one slave terminal.

이때, 상기 USB 허브 장치는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로 공급되는 부하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부하 전류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LED를 점등시키는 충전 상태 감지 및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USB hub device further comprises a charge state detection and display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oad current supplied to each of the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the LED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measured load current amount; do.

한편, 상기 충전 상태 감지 및 표시부는 상기 해당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로 공급되는 부하 전류량이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VCC 전원에 의해 베이스 단자가 스위칭되어 제1 색상의 LED를 점등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ate of charge detection and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istor for lighting the LED of the first color by switching the base terminal by the VCC power supply when the amount of load current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is more than the set value .

또한, 상기 충전 상태 감지 및 표시부는 상기 해당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로 공급되는 부하 전류량이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VCC 전원이 제2 색상의 LED로 공급되어, 상기 제2 색상의 LED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harge state detection and display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CC power is supplied to the LED of the second color when the amount of load current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is greater than the set value, to turn on the LED of the second color. .

이때, 상기 USB 허브 장치는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시키는 SMPS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전송되는 전류를 일정 값으로 출력시키는 정전류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USB hub device is further provided in the rear end of the SMPS unit for converting the supplied AC power to a direct current regulator for outputting a current transmitted to a predetermined valu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또한, 상기 USB 허브 장치는 상기 각 USB 커넥터의 전단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전압값을 일정 값으로 출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SB hub devic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constant voltage regulator configured to output a voltage value of a current supplied from the front end of each of the USB connectors to a predetermined value.

아울러, 상기 USB 허브 장치는 상기 호스트 단말 USB 커넥터의 전단에서 상기 호스트 단말 USB 커넥터에 연결된 호스트 단말로부터 상기 USB 허브 장치로 역방향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USB hub device further comprises a diode for preventing a reverse current from flowing into the USB hub device from the host terminal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USB connector in front of the host terminal USB connector.

본 발명에 따르면, 충전지를 포함하는 각종 휴대용 전자 기기에서 전용 충전 장치를 연결하지 않고서도, USB 허브를 통해 용이하게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harge through a USB hub without connecting a dedicated charging device in variou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including a rechargeable battery.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휴대용 전자 기기마다 별도의 충전기를 휴대하거나 구비하여야 충전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USB 허브를 통해 USB 포트를 구비한 모든 전자 기기의 충전이 가능하므로, 하나의 장치로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rge only when a portable charger or a separate charger is provided for each portable electronic device, but a single device can be charged through the USB hu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charge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콘센트를 통해 USB 허브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공급된 전원을 USB 허브에 연결된 다수의 전자 기기에 동시에 충전 전원으로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전자 기기를 충전할 경우 다수의 콘센트를 연결하거나 다수의 충전기 장치를 복잡하게 연결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supplying power to a USB hub through a single outlet, and charging the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by supplying the supplied power to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connected to the USB hub with charging power at the same time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connect an outlet or complicated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charger devices can be preven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 포트에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감지 및 충전 상태 표시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USB hub device having a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B hub device having a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of a USB hub device having a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USB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charge detection and charge stat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USB 허브에서 USB 허브에 연결된 주변 기기에 단순히 구동 전력만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충전 전력까지 공급 가능한 USB 허브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USB 허브에 연결된 각 주변 기기에 대한 충전 상태를 감지하여 표시하는 USB 허브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USB hub device capable of supplying charging power instead of simply supplying driving power to a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hub in the USB hub.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USB hub device for detecting and displaying the state of charge for each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hub.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능 USB 허브 장치(100)는 USB 호스트 시스템으로서 컴퓨터(110)가 마스터 장치로서 연결되고, 각종 주변 기기(120)들이 슬레이브 장치로서 연결된다. 예컨대, 상기 USB 허브 장치(100)에 연결되는 주변 기기로는 휴대폰(120a), 키보드(120b), 마우스(120c), MP3 플레이어(120d) 등을 포함하여 USB 연결 수단을 가지는 어떠한 전자 기기도 가능하다.1 is a view show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USB hub device having a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charging function USB hub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B host system, in which a computer 110 is connected as a master device, and various peripheral devices 120 are connected as slave devices. For example, a peripheral device connected to the USB hub device 100 may be any electronic device having a USB connection means, including a mobile phone 120a, a keyboard 120b, a mouse 120c, an MP3 player 120d, and the like. Do.

한편, 상기 키보드(120b) 또는 마우스(120c)의 경우에는 최소한의 구동 전력만 공급하여도 사용에 문제가 되지 않으나, 휴대폰(120a), MP3 플레이어(120d), 디지털 카메라(미도시) 등 충전 수단을 가지고 있는 전자 기기의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라 USB 허브 장치(100)에서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eyboard 120b or the mouse (120c) is not a problem to use even if the supply of the minimum driving power, the charging means such as mobile phone (120a), MP3 player (120d), digital camera (not shown) In the case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above, the USB hub device 100 may provide a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능 USB 허브 장치(100)를 통해 각 주변 기기(120)에 대한 구동 전력 뿐만 아니라, 충전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주변 기기를 충전시킬 수가 있게 된다.That is, the peripheral device can be charged by supplying charging power as well as driving power for each peripheral device 120 through the charging function USB hub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USB 호스트 시스템은 컴퓨터(110)에는 자체적으로 전력이 공공되기 때문에 USB 허브 장치(100)를 통한 별도의 충전이 필요없으므로, 불필요한 전력이 컴퓨터(110)로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된다. 또한, USB 허브 장치(100)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주변 기기(120)의 충전 상태를 LED(Light Emitted Diode) 등과 같은 수단에 의해 표시할 수가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USB host system does not need to be charged separately through the USB hub device 100 because the power is shared by the computer 110 itself, the USB host system is controlled so that unnecessary power is not supplied to the computer 110.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B hub device 100 may display the charging state of each peripheral device 120 by means such as a light emitting diode (LED).

이와 같이 함으로써, USB 연결 수단이 구비된 각종 전자 기기들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USB 허브 장치(100)를 통해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별도의 충전지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동시에 여러개의 전자 기기를 충전하기 위해 많은 콘센트를 차지하거나, 다수의 충전 장치에 의한 복잡한 선 연결의 불편함도 줄일 수가 있다.By doing so, various electronic devices equipped with USB connection means can be simultaneously charged through one USB hub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separate rechargeable battery.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outlets may be used to charge several electronic devices at the same time, or the inconvenience of complicated line connection by a plurality of charging devices may be reduced.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능 USB 허브 장치(100)의 세부 구조 및 회로를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structure and circuit of the charging function USB hub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to 5.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USB 허브 장치(100)는 전원 공급부(210), USB 허브 제어부(220), 충전 감지부(230), 충전 상태 표시부(240), USB 인터페이스부(2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USB hub device having a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he USB hub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supply unit 210, a USB hub controller 220, a charge detector 230, a charge state display unit 240, and a USB interface unit 250. And the like.

전원 공급부(210)는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등과 같이 콘센트 등을 통해 입력된 교류(AC)를 적정 크기의 직류(DC)로 변환시키는 회로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직류로 변환된 전류는 USB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연결된 각 슬레이브 단말(120)의 구동 전류 및 충전 전류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부(210)는 USB 허브 제어부(220)를 비롯한 USB 허브(100)의 각 구성 회로에 구동 전류를 공급한다. 한편, 상기 전원 공급부(210)의 공급 전력은 자체 전력 공급이 가능한 호스트 단말(110)(예컨대, 컴퓨터)로는 공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wer supply unit 210 includes a circuit for converting an alternating current (AC) input through an outlet, such as a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into a direct current (DC) of an appropriate size. As such, the current converted into direct current is provided as a driving current and a charging current of each slave terminal 120 connected through the USB interface unit 250. In addition, the power supply unit 210 supplies a driving current to each component circuit of the USB hub 100 including the USB hub controller 220. On the other hand, the power supply of the power supply unit 210 is preferably controlled so as not to be supplied to the host terminal 110 (for example, a computer) capable of supplying its own power.

USB 허브 제어부(220)는 USB 허브 장치(100)가 USB 허브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호스트 단말(110)과 슬레이브 단말(12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게 된다. 이에 대한 세부 기능은 일반적인 USB 허브 제어의 기능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USB hub controller 220 controls data communication between the host terminal 110 and the slave terminal 120 so that the USB hub device 100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USB hub. The detailed function of this is the function of general USB hub control,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USB 인터페이스부(250)는 호스트 단말(110) 또는 각 슬레이브 단말(120)이 USB 허브 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USB 규격에 맞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USB 커넥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력 공급을 위한 VCC 핀과 데이터 전송을 위한 D+, D- 핀을 포함한다. 또한, 접지(GND)를 위한 핀도 포함된다.The USB interface unit 250 provides a connector conforming to the USB standard so that the host terminal 110 or each slave terminal 120 can be connected to the USB hub device 100. The USB connector generally includes a VCC pin for power supply and a D + and D- pin for data transmission, as shown in FIGS. 3 and 4. Also included is a pin for ground (GND).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전 감지부(230)는 호스트 단말 또는 각 슬레이브 단말(120)의 충전 상태를 감지하고, 이를 충전 상태 표시부(240)의 각 연결디바이스에 대응되는 LED(241, 242)를 통해 표시한다. 예컨대, 슬레이브 단말 #1(120)이 충전 상태이면 충전 상태 표시부(240)의 슬레이브 #1 단말에 대응되는 녹색 LED(242)를 점등하며, 슬레이브 단말 #3(120)이 미충전 상태이면 충전 상태 표시부(240)의 슬레이브 #3 단말에 대응되는 적색 LED(242)를 점등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rge detector 230 detects the charging state of the host terminal or each slave terminal 120, and the LED 241, corresponding to each connection device of the charge state display unit 240, 242). For example, when the slave terminal # 1 120 is in the charged state, the green LED 242 corresponding to the slave # 1 terminal of the charge state display unit 240 is turned on. When the slave terminal # 3 120 is in the uncharged state, the charged state is turned on. The red LED 242 corresponding to the slave # 3 terminal of the display unit 240 is turned on.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허브 장치(10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B hub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90 내지 265V의 AC 전원이 콘센트를 통해 공급되면, 퓨트(FUSE)를 거쳐 SMPS(310)에서 DC 전원으로 변환된다. 예컨대, 5~48V의 직류 전류로 변환된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USB hub device having a charging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when AC power of 90 to 265V is supplied through an outlet, it is converted into DC power in the SMPS 310 via FUSE. For example, it is converted into a DC current of 5 to 48V.

상기 변환된 직류 전류는 정전류 레귤레이터(320)를 통해 일정 전류가 유지되어 출력되며, 각 USB 커넥터(360)의 USB 전원 핀으로 입력된다. 이때, 상기 각 USB 커넥터(360)로 입력되는 전류는 정전압 레귤레이터(330)를 통해 일정 전압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연결된 각 전자 기기가 과전압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호스트 단말의 커넥터로 연결되는 정전압 레귤레이터(330a)의 출력단에는 다이오드(350)가 추가되며, 상기 다이오드(350)에 의해 호스트 단말로부터 USB 허브 장치(100)로 전력이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onverted DC current is maintained while outputting a constant current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regulator 320, is input to the USB power pin of each USB connector 360. At this time, the current input to each of the USB connector 360 to supply a constant voltage through the constant voltage regulator 330, it is possible to prevent each connected electronic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overvoltage. Meanwhile, a diode 350 is add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constant voltage regulator 330a connected to the connector of the host terminal, and the diode 350 prevents power from flowing in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host terminal to the USB hub device 100. can do.

USB 허브 제어부(370)는 USB 허브 장치(100)에 연결된 호스트 단말 및 각 슬레이브 단말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USB 허브 고유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호스트 단말과 연결되는 커넥터(360a)의 데이터 통신용 D+ 및 D- 핀과 연결되며, 각 슬레이브 단말과 연결되는 커넥터(360b, 360c, 360d)의 데이터 통신용 D+ 및 D- 핀과 연결된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슬레이브 단말이 3개 연결 가능한 회로로 도시되어 있으나, 4개 이상으로도 동일하게 확장 가능함은 자명하다.The USB hub controller 370 performs a USB hub-specific function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host terminal and each slave terminal connected to the USB hub device 100. Accordingly, the D + and D- pins for data communication of the connector 360a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are connected, and the D + and D- pins for data communication of the connectors 360b, 360c, and 360d connected to each slave terminal. Meanwhile, in FIG. 3, three slave terminals may be connected to the circuit, but the same may be extended to four or more slave terminal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충전 상태 감지 및 표시부(340)에서는 각 커넥터(360)에 연결된 전자 기기의 부하 전류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부하 전류량에 따라 LED의 출력을 변경시킴으로써 충전 상태를 LED로 표시할 수가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charging state detection and display unit 3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easuring the load current amount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each connector 360, and changes the output of the LED according to the measured load current amount LEDs Can be displayed.

즉, 특정 커넥터(360)를 통해 연결된 전자 기기의 부하 전류가 일정 전류 이하로 작을 경우에는 해당 전자 기기가 완충되어 충전을 위한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LED의 출력 회로를 녹색 LED로 스위칭함으로써, 녹색 LED를 점등시키게 된다. 반면, 특정 커넥터(360)를 통해 연결된 전자 기기의 부하 전류가 일정 전류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전자 기기가 미충전 된 상태로서 충전을 위한 전류가 계속 공급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LED의 출력 회로를 적색 LED로 스위칭함으로써, 적색 LED를 점등시키게 된다That is, when the load current of an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rough a specific connector 360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rent, the electronic device is fully charged and the current for charging is not supplied. Thus, by switching the output circuit of the LED to a green LED, , The green LED will be turned on. On the other hand, if the load current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hrough the specific connector 360 is greater than a certain current, the electronic device is not charged and the current for charging is continuously supplied. By switching on, the red LED lights up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커넥터(360)에 연결된 전자 기기의 부하 전류량을 측정하여 해당 전자 기기의 충전 상태를 효과적으로 LED를 통해 표시할 수가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current amount of the electronic device connected to each connector 360 is measured to effectively display the charging state of the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LED.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각 세부 구성의 회로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circuit of each detailed configuration implemen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 연결 포트에서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는 호스트 단말과 연결되는 커넥터(360a)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의 (b)는 슬레이브 단말 #1과 연결되는 커넥터(360b)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SMPS(310), 정전류 레귤레이터(320) 및 정전압 레귤레이터(330a)를 통과한 직류 전원(VCC)이 호스트 단말과 연결되는 커넥터(360a)의 전원 공급 핀(PW)으로 입력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USB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360a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and FIG. 4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360b connected to the slave terminal # 1. As shown in (a) of FIG. 4, a power supply pin of the connector 360a to which a DC power supply VCC passed through the SMPS 310, the constant current regulator 320, and the constant voltage regulator 330a is connected to a host terminal. PW).

이때, 상기 도 3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이오드(350)에 의해 호스트 단말로부터 USB 허브 장치(100)로 전력이 역방향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레이브 단말에 연결되는 커넥터(360b)의 회로는 다이오드가 추가되지 않으며, 정전류 레귤레이터(320) 및 정전압 레귤레이터(330b)를 통과한 직류 전원(VCC)이 호스트 단말과 연결되는 커넥터(360b)의 전원 공급 핀(PW)으로 입력된다. 또한, 각 커넥터(360)의 DATA- 및 DATA+ 핀은 데이터 통신을 위한 핀으로서 USB 허브 제어부(370)와 연결되어 각 단말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3, power may be prevented from flowing in the reverse direction from the host terminal to the USB hub device 100 by the diode 350. 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b) of FIG. 4, the circuit of the connector 360b connected to the slave terminal does not include a diode, and th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VCC) passing through the constant current regulator 320 and the constant voltage regulator 330b is The power supply pin PW of the connector 360b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is input. In addition, the DATA- and DATA + pins of each connector 360 are pins for data communication, and are connected to the USB hub controller 370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between each terminal.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 감지 및 충전 상태 표시부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의 (a)는 호스트 단말에 대한 충전 감지 및 충전 상태 표시부의 회로 구성이며, 도 5의 (b)는 슬레이브 단말에 대한 충전 감지 및 충전 상태 표시부의 회로 구성이며, 도 5의 (c)는 USB 허브 장치에 대한 전원 공급을 나타내는 회로 구성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ircuit configuration of a charge detection and charge state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a) is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harge detection and charge state display unit for the host terminal, Figure 5 (b) is a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charge detection and charge state display unit for the slave terminal, Figure 5 (c) Is a circuit configuration showing the power supply to the USB hub device.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호스트 단말 또는 슬레이브 단말로 공급되는 부하 전류(HOST_VCC 또는 USB1_VCC)를 입력받아 일정 전류값 이상이면, VCC에 의한 전류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입력되어 적색 LED로 전류가 흐르도록 함으로써 적색 LED가 점등된다. 따라서, 해당 호스트 단말 또는 슬레이브 단말이 충전중인 상태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when a load current HOST_VCC or USB1_VCC supplied to a host terminal or a slave terminal is received and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current value, the current by VCC is input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to be red. The red LED is turned on by letting the current flow through the L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host terminal or the slave terminal is in the charging state.

반면, 호스트 단말 또는 슬레이브 단말로 공급되는 부하 전류(HOST_VCC 또는 USB1_VCC)를 입력받아 일정 전류값 이하이면, VCC에 의한 전류가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로 입력되지 않고 녹색 LED로 흐르게 되어 녹색 LED가 점등된다. 따라서, 해당 호스트 단말 또는 슬레이브 단말이 완충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the load current (HOST_VCC or USB1_VCC) supplied to the host terminal or the slave terminal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current value, the current by the VCC flows to the green LED instead of being input to the base of the transistor, thereby turning on the green L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host terminal or the slave terminal is in a buffered state.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spect to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illustrat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100 : 충전 기능 USB 허브 장치 110 : USB 호스트 단말
120 : USB 슬레이브 단말 210 : 전원 공급부
220 : USB 허브 제어부 230 : 충전 감지부
240 : 충전 상태 표시부 250 : USB 인터페이스부
310 : SMPS 320 : 정전류 레귤레이터
330 : 정전압 레귤레이터 340 : 충전 상태 감지 및 표시부
350 : 다이오드 360 : USB 연결 포트
370 : USB 허브 제어부
100: charge function USB hub device 110: USB host terminal
120: USB slave terminal 210: power supply
220: USB hub control unit 230: charge detection unit
240: charge status display unit 250: USB interface unit
310: SMPS 320: constant current regulator
330: constant voltage regulator 340: charge state detection and display
350: Diode 360: USB connection port
370: USB hub control

Claims (7)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시키는 SMPS부;
상기 SMPS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류를 분기하여 호스트 단말이 접속되는 USB 전원 입력 핀으로 전류를 공급받는 호스트 단말 USB 커넥터;
상기 SMPS부를 통해 변환된 직류 전류를 분기하여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이 접속되는 USB 전원 입력 핀으로 충전 전류를 공급받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 및
상기 호스트 단말 USB 커넥터의 데이터 입력 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의 데이터 입력 핀과 연결되어, 상기 호스트 단말 USB 커넥터에 연결되는 호스트 단말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레이브 단말 간의 USB 통신을 제어하는 USB 허브 제어부;를 포함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
SMPS unit for converting the supplied AC power to direct current;
A host terminal USB connector for supplying current to a USB power input pin to which a host terminal is connected by branching the DC current converted through the SMPS unit;
At least one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for supplying charging current to a USB power input pin to which at least one slave terminal is connected by branching the DC current converted through the SMPS unit; And
At least one host terminal connected to the data input pin of the host terminal USB connector and the data input pin of the at least one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and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USB connector and the at least one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And a USB hub controller for controlling USB communication between slave terminals of the USB hub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허브 장치는,
상기 각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로 공급되는 부하 전류량을 측정하여, 상기 측정된 부하 전류량에 따라 서로 다른 색상의 LED를 점등시키는 충전 상태 감지 및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B hub device,
USB hub having a charging function further comprises a; charging state detection and display unit for measuring the amount of load current supplied to each of the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the LED of different colors according to the measured load current amount;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 감지 및 표시부는,
상기 해당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로 공급되는 부하 전류량이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VCC 전원에 의해 베이스 단자가 스위칭되어 제1 색상의 LED를 점등시키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ate of charge detection and display unit,
And a transistor configured to switch the base terminal by the VCC power to light the LED of the first color when the amount of load current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상태 감지 및 표시부는,
상기 해당 슬레이브 단말 USB 커넥터로 공급되는 부하 전류량이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VCC 전원이 제2 색상의 LED로 공급되어, 상기 제2 색상의 LED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tate of charge detection and display unit,
The VCC power supply is supplied to the LED of the second color when the amount of load current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slave terminal USB connector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t value, thereby turning on the LED of the second col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허브 장치는,
공급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변환시키는 SMPS부의 후단에 구비되어 전송되는 전류를 일정 값으로 출력시키는 정전류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B hub device,
USB hub device having a charging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stant current regulator for outputting a current transmitted at a predetermined value provided in the rear end of the SMPS unit for converting the supplied AC power to D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허브 장치는,
상기 각 USB 커넥터의 전단에서 공급되는 전류의 전압값을 일정 값으로 출력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정전압 레귤레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B hub device,
And at least one constant voltage regulator for outputting a voltage value of a current supplied from a front end of each of the USB connectors to a predetermine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SB 허브 장치는,
상기 호스트 단말 USB 커넥터의 전단에서 상기 호스트 단말 USB 커넥터에 연결된 호스트 단말로부터 상기 USB 허브 장치로 역방향 전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다이오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기능을 갖는 USB 허브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SB hub device,
And a diode which prevents a reverse current from flowing from the host terminal connected to the host terminal USB connector to the USB hub device at a front end of the host terminal USB connector.
KR1020110008361A 2011-01-27 2011-01-27 USB hub apparatus having charging fucntion KR2012008697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61A KR20120086971A (en) 2011-01-27 2011-01-27 USB hub apparatus having charging fucn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8361A KR20120086971A (en) 2011-01-27 2011-01-27 USB hub apparatus having charging fucn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6971A true KR20120086971A (en) 2012-08-06

Family

ID=46872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8361A KR20120086971A (en) 2011-01-27 2011-01-27 USB hub apparatus having charging fucn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6971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839A1 (en) * 2014-10-22 2016-04-28 Palagonia Charles A Ii Low voltage receptacles for smart phones
CN105932751A (en) * 2016-06-30 2016-09-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Parameter setting method and device and charging base
KR101658367B1 (en) * 2015-04-26 2016-09-2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quick charge device for using a slope detection
WO2023235407A1 (en) * 2022-06-01 2023-12-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nfigurable charging devic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4839A1 (en) * 2014-10-22 2016-04-28 Palagonia Charles A Ii Low voltage receptacles for smart phones
KR101658367B1 (en) * 2015-04-26 2016-09-2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A switched mode power supply quick charge device for using a slope detection
CN105932751A (en) * 2016-06-30 2016-09-07 努比亚技术有限公司 Parameter setting method and device and charging base
WO2023235407A1 (en) * 2022-06-01 2023-12-07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 configurable charging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43265B (en) Universal Serial Bus (USB) C-port for automatically configuring computing devices
CN108351677B (en) Port controller with power supply contract negotiation capability
US11061457B1 (en) Dynamic sharing of power among USB type-c power delivery (USB-C/PD) ports
US7523338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support USB enumeration of a bus powered handheld device
US20030110403A1 (en) System for shared power supply in computer peripheral devices
US8473758B2 (en) I/O port power control system and method
JP2005318795A (en) Laptop computer charged using ethernet connection
KR101499309B1 (en) Usb hub can multi-charge mobile equipment
US9235248B2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and power distribution circuit
KR100763948B1 (en)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USB Universial Serial Bus Hub
TWI611648B (en) Two way charging-discharging circuit structure
GB2395820A (en) Communication hub for bus powered devices with a rechargeable power source for providing power to high power devices
KR20130122266A (en) System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charging in host mode
TWI591477B (en) Electronic device
KR20120086971A (en) USB hub apparatus having charging fucntion
CN210804404U (en) Display with USB Type C interface
US20190104586A1 (en) Controlling a power adaptor light-emitting diode (led) indicator
TWI451235B (en) Connecting module for coupling output ends of a host device to an external storage device and coupling method thereof
US20100231179A1 (en) Power management circuit to manage distribution of received power and a portable apparatus having the same
US20130300214A1 (en) Transmission cable,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switching operation mode of the electronic device
CN110955623A (en) Display with USB Type C interface
US20220350387A1 (en) USB/Thunderbolt to Ethernet Adapter with Dynamic Multiplex Power Supply
US11449121B2 (en) Product detection device, product detection system and product detection method applied thereto
KR101237424B1 (en) Computer comprising non-limited current USB connector
TWM577529U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