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963A - 덮개의 개방 거리를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 - Google Patents

덮개의 개방 거리를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4963A
KR20120084963A KR1020110006311A KR20110006311A KR20120084963A KR 20120084963 A KR20120084963 A KR 20120084963A KR 1020110006311 A KR1020110006311 A KR 1020110006311A KR 20110006311 A KR20110006311 A KR 20110006311A KR 20120084963 A KR20120084963 A KR 20120084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member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cov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 상 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브
Priority to KR102011000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4963A/ko
Publication of KR2012008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9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4Integrated protective display lid, e.g. for touch-sensitive display in handhel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개방길이를 획기적으로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덮개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1팔부재와 상기 덮개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2팔부재가 관절부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구성되고 접거나 펼침에 따라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켜 개폐하는 접이팔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덮개의 개방 거리를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n increased open range of cover and folding arm device for the same}
본 발명은 본체 상에 개폐 가능케 설치된 덮개를 가지는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덮개를 미닫이식으로 개폐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접이팔기구에 관한 것이다.
슬라이드 개폐방식의 기존의 휴대형 전자기기는 덮개가 최대한 개방된 상태에서도 적어도 일부는 본체와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덮개를 본체의 폭만큼 개방할 수 없다.
더구나 슬라이드 개폐방식의 기존의 휴대형 전자기기는 본체와 덮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플렉시블 피씨비(Flexible PCB)가 덮개의 이동거리를 보장하면서도 접혀서 중첩된 상태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 폭의 약 57 ~ 58%정도까지만 개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덮개를 본체의 가장자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 개방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형 전자기기에 비해 덮개를 많이 개방할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형 전자기기에 비해 두께를 줄일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형 전자기기에 비해 덮개를 많이 개방할 수 있으면서도 개방된 덮개를 틸팅시킬 수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통형으로 감기거나 원통형으로 감긴 상태에서 다시 풀려서 평판상으로 펼쳐질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개폐할 수 있는 있는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덮개;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1팔부재와 상기 덮개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2팔부재가 관절부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구성되고 접거나 펼침에 따라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켜 개폐하는 접이팔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관절부에는 상기 접이팔기구를 펼치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팔부재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1팔부재와 상기 제2팔부재의 대응 위치에 상기 제2팔부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와 피걸림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관절부에는 일단은 상기 제1팔부재와 상기 제2팔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 가장자리의 편심부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그리고 좌우 요동 가능케 지지되어 상기 제1팔부재에 대한 상기 제2팔부재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중심에 대한 상기 편심부의 좌우 위치가 바뀌고 상기 편심부의 좌우 위치에 따라 상기 제2팔부재가 접히는 방향 또는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상기 어느 하나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요동부재를 구비하는 요동탄성지지구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접이팔기구는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 쪽의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이팔기구는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된 것이 좋다.
상기 한 쌍의 접이팔기구의 두 제1팔부재는 동시에 같은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동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이팔기구의 내부를 따라 플렉시블 피씨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렉시블 피씨비는 상기 접이팔기구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짐에 따라 감기거나 풀릴 수 있고 상기 관절부에 배치되는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본체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덮개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덮개에 연결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접이팔기구는 틸팅기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틸팅 가능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의 개폐 시 상기 가이드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덮개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피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팔기구는 제1팔부재; 및 관절부를 통해 상기 제1팔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제1팔부재에 대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제2팔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팔부재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제1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제1회동연결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제2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제2회동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관절부에는 상기 접이팔기구를 펼치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제2팔부재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1팔부재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걸려 상기 제2팔부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관절부에는 일단은 상기 제1팔부재와 상기 제2팔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 가장자리의 편심부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그리고 좌우 요동 가능케 지지되어 상기 제1팔부재에 대한 상기 제2팔부재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중심에 대한 상기 편심부의 좌우 위치가 바뀌고 상기 편심부의 좌우 위치에 따라 상기 제2팔부재가 접히는 방향 또는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상기 어느 하나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요동탄성지지구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접이팔기구는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접이팔기구의 두 제1팔부재는 동시에 같은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동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이팔기구의 내부를 따라 플렉시블 피씨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렉시블 피씨비는 상기 접이팔기구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짐에 따라 감기거나 풀릴 수 있고 상기 관절부에 배치되는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제1몸체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몸체에 연결하기 위한 제1연장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제2몸체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에 연결하기 위한 제2연장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가진다.
경우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원통형으로 감기는 일 회전방향으로 힘을 받아서 원통형으로 감길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1팔부재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2팔부재가 관절부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고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원통형으로 감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풀어서 평판상으로 펼치거나 상기 평판상으로 펼쳐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다시 원통형으로 감기는 것을 허용하는 접이팔기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는 본체의 가장자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 덮개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는 기존의 것에 비해 덮개를 많이 개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는 기존의 것에 비해 휴대형 전자기기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는 기존의 것에 비해 덮개를 많이 개방할 수 있도록 해주면서도 덮개를 틸팅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는 디스플레이부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개방 거리를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 1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플렉시블 피씨비의 확대사시도,
도 5 내지 8은 덮개가 닫힌 상태, 반 개방된 상태, 완전 개방된 상태 및 틸팅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덮개가 틸팅된 상태에서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
도 12는 도 11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도 12 휴대형 전자기기를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14는 접이팔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5는 조립된 접이팔기구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 접이팔기구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틸팅지지구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 틸팅지지구의 정면도,
도 19는 도 17 틸팅지지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리사시도,
도 21은 도 1 휴대형 전자기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분리사시도,
도 22는 도 20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3은 도 22의 휴대형 전자기기를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4는 도 22에 나타낸 휴대형 전자기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6은 도 25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도 27은 도 25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원통형으로 감긴 상태의 측면도,
도 28은 피걸림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덮개의 개방 거리를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의 일례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도 1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 도 4는 플렉시블 피씨비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1 내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200)는 본체(210)와 덮개(250) 및 본체(210)와 덮개(250) 사이에 설치되어 덮개(250)를 본체(210)에 대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팔기구(100)를 구비한다. 덮개(250)는 접이팔기구(100)를 통해 본체(210) 상에 중첩되어 닫힌 상태로 있다가 접이팔기구(100)가 펼쳐지면 본체(210)의 상면을 따라 대략 본체(210)의 상면과 평행하게 수평이동하면서 개방되었다가, 접이팔기구(100)가 접히면 다시 닫힌 상태로 복귀한다.
본체(210)의 표면에는 디스플레이 또는 키입력을 위한 버튼이 설치될 수 있다. 덮개(250)의 표면에는 바람직하게 디스플레이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본체(210)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제1몸체로 칭해질 수 있고, 덮개(250)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제2몸체로 칭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덮개(250)는 경우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로 칭해질 수 있다.
접이팔기구(100)는 제1팔부재(111)와 제1팔부재(111)에 관절부(130)를 통해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소정 각도까지 회동되어 펼쳐질 수 있고,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접을 수 있는 제2팔부재(121)를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팔부재(121)는 제1팔부재(111)의 끝단 상면에 겹쳐진 상태로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나, 제1팔부재(111)와 제2팔부재(121)의 연결방식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 부분이다. 즉, 제2팔부재(121)의 단부를 제1팔부재(111)의 단부 저면에 겹쳐 연결하는 방식, 제1팔부재(111)의 단부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제2팔부재(121)의 단부를 삽입하여 연결하는 방식 또는 그 반대로 하는 방식, 제1팔부재(111)의 단부 및 제2팔부재(121)의 단부 모두에 홈을 형성하여 서로의 단부가 타측 단부의 홈에 삽입되게 하여 연결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체(210)의 상면이 수평하게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제1팔부재(111)의 단부는 거기에 형성된 제1회동연결부(112)를 통해 본체(210)에 수평방향으로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고, 제2팔부재(121)의 단부는 거기에 형성된 제2회동연결부(122)를 통해 덮개(25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접이팔기구(100)를 접거나 펼침에 따라 덮개(250)는 본체(210)의 상면을 따라 이동되어 본체(210)에 대해 슬라이드식으로 개폐된다. 제1회동연결부(112) 쪽의 제1팔부재(111)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돌기(1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113)는 뒤에서 설명되는 동조부재(17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동시에 같은 각도로만 동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돌기(113)의 설치 위치는 두 제1팔부재(111)에서 서로 다르다. 그 이유는 접이팔기구(100)가 접거나 펼쳐질 때, 두 제1팔부재(111)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이다.
접이팔기구(100)는 바람직하게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된다.
일측의 접이팔기구(100)를 구성하는 제1팔부재(111)와 제2팔부재(121)에는 뒤에서 설명되는 요동탄성지지구(140)와 플렉시블 피씨비(150)를 수용하기 위한 홈(114, 1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타측의 접이팔기구(100)는 그의 제1팔부재(111)에만 요동탄성지지구(140)를 수용하기 위한 홈(11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관절부(130)의 제1팔부재(111)에는 제2팔부재(121)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걸림턱(115)이 형성되어 있다.
기존의 슬라이드 개폐식 휴대형 전자기기에서, 덮개의 개폐장치는 반드시 덮개와 본체 사이에 개재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두께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에,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100)에서, 접이팔기구(100)는 바람직하게 본체(210)의 앞쪽 측면에 형성된 접이팔기구장착부(212)에 설치되어 접이팔기구(100)를 전방으로 펼치거나 후방을 향해 후퇴하여 접을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접이팔기구(100)는 덮개(250)와 본체(210) 사이에는 개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200)는 기존의 것에 비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
접이팔기구(100)의 관절부(130)에는 요동탄성지지구(1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요동탄성기구(140)는 접이팔기구(100)가 설계자가 정한 임의의 각도 이상 펼쳐진 상태에서는 접이팔기구(100)가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접이팔기구(100)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설계자가 정한 임의의 각도 미만으로 펼쳐진 상태에서는 접이팔기구(100)가 접히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접이팔기구(10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요동탄성지지구(140)는 접힘유지구 및 펼침유지구의 2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한다.
위와 같은 기능을 하는 요동탄성지지구(140)는 스프링(141)과 이 스프링(141)의 지지를 받는 요동부재(143)를 구비한다. 요동부재(143)는 그 일단이 제2팔부재(121)의 단부 가장자리에 있는 편심부(125)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이 요동부재(143)의 타단은 제1팔부재(111)에 설치된 스프링(141)에 탄성적으로 그리고 좌우 요동 가능케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팔부재(111)에 대해 제2팔부재(121)가 회동함에 따라 제2팔부재(121)의 회전중심에 대한 편심부(125)의 좌우 위치가 바뀐다. 즉, 편심부(125)가 제2팔부재(121)의 회전중심에 대해 오른쪽에 있느냐 왼쪽에 있느냐에 따라 제2팔부재(121)가 접히는 방향 또는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제2팔부재(121)의 편심부(125)에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스프링(141)의 내부로는 축(145)을 설치하여 스프링(141)이 수축 시 측방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의 접이팔기구(100) 내부에는 플렉시블 피씨비(150)가 설치된다. 플렉시블 피씨비(150)는 본체(210)와 덮개(2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전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한쪽 접이팔기구(100)에만 또는 양쪽 접이팔기구(100) 모두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플렉시블 피씨비(150)는 접이팔기구(100)를 접거나 펼칠 때 접이팔기구(100)의 동작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손상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시블 피씨비(150)는, 관절부(130)에 배치되며 접이팔기구(100)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짐에 따라 감기거나 풀릴 수 있는 감김부(151)를 구비한다. 이 감김부(151)에는 감김부(151) 내측에서 하방으로 빠져 나와 본체(210) 쪽으로 연장되어 본체(210)에 연결되며 제1팔부재(111) 내부에 장착되는 제1연장부(153)와 감김부(151) 외측에서 절곡되어 덮개(250) 쪽으로 연장되어 덮개(250)에 연결되며 제2팔부재(121) 내부에 장착되는 제2연장부(155)가 연결되어 있다. 제1연장부(153)와 제2연장부(155)의 단부는 본체(210)와 덮개(250)의 내부 구조와 제1연장부(153)와 제2연장부(155)의 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의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덮개(250)에 연결되는 제2연장부(155)의 단부 역시 감김부와 같이 원형으로 감긴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210)와 덮개(250) 간에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경우 또는 뒤에서 설명되는 플렉시블 디슬플레이의 일단이 본체(25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는 경우 이러한 플렉시블 케이블은 필요치 않다.
제1회동연결부(112) 반대편의 제1팔부재(111)에는 돌기축(116)이 형성되어 있고, 제2회동연결부(122) 반대편의 제2팔부재(121)에는 돌기축(116)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축구멍(126)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축(116)의 단부 외주면에는 원주를 따라 홈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축(116)은 축구멍(126)과 감김부(151) 내측의 구멍을 통과하여 위쪽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된 부분에 와셔(160)가 결합되고, 그 위에서 돌기축(116) 단부의 홈에 체결링(162)이 결합된다. 플렉시블 피씨비(150) 위에 뚜껑(164, 165)이 결합된다.
제2회동연결부(122)는 상방으로 돌출된 원형돌기 형상을 하고 있고, 그 단부에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회동연결부(122)는 덮개(250)의 저면에 뚫린 통공(252)을 통해 덮개(250) 내부로 돌출되고, 그 돌출된 부분에 사각와셔(166)가 개재되고, 홈에 체결링(168)이 결합된다.
덮개(250)가 개방되는 방향 쪽의 본체(210)의 일 측면에는 틸팅기구(220)가 설치되어 있다. 틸팅기구(220)는 접이팔기구(100)를 틸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틸팅지지구(221)와 이 틸팅지지구(221)에 소정 각도 회동 가능케 설치된 틸팅부재(226)를 구비한다. 틸팅지지구(221)는 바람직하게, 한 쌍이 스크루(S) 등을 통해 본체(210)에 좌우로 간격을 두고 고정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도 17 내지 19를 참조하여 뒤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틸팅부재(226)는 양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된 틸팅축(227)을 통해 틸팅지지구(221)에 회동 가능케 장착되는 것으로, 그 저면부에 제1팔부재(111)를 회동 가능케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228)이 좌우로 간격을 두고 한 쌍이 구비되어 있다. 이 틸팅축(227) 둘레에는 틸팅지지구(221)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홈(22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27a)은 뒤에서 설명되는 틸팅지지구(221)의 내측으로 돌출된 틸팅작용부(221g)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틸팅부재(226)의 틸팅을 허용한다. 이 홈(227a)은 도 19에 나타낸 틸팅지지구(221)에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도 17에 나타낸 틸팅지지구(221)에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이 틸팅부재(226)의 상면부에는 접이팔기구(100)가 접힌 상태에서 제2팔부재(121)의 제2회동연결부(1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반원형태의 홈(229)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229)에는 덮개(250)가 닫혀있을 때는 접이팔기구(100)의 힘에 의해 후퇴하여 있다가 덮개(250)가 개방될 때 전진하여 홈(229)이 외부로 드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마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틸팅부재(226)의 전면에는 접이팔기구(100)가 접힌 상태에서 전면개구(230)를 막아주기 위한 회동마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마개와 회동마개의 설치는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하여 수행할 수 있다.
홈(229) 바깥쪽으로 덮개(250)가 흔들리지 않고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T자형 가이드(232)가 결합되는 가이드결합부(231)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되는 측면부에 가이드(23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233)이 삽입되는 핀공(234)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232)는 덮개(250)의 내부에서 피안내부(254)를 통해 가이드결합부(23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핀(233)에 의해 틸팅부재(226)에 고정된다.
틸팅부재(226)의 하부에는 상면에 동조부재 장착홈(235)이 형성되어 있는 동조부재지지부(236)가 설치되어 있다. 동조부재 장착홈(235)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팔부재(111)의 저면에 형성된 돌기(113)를 안내하기 위한 원호홈(23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두 원호홈(237)의 형성 방향은 서로 반대이다. 이는 접이팔기구(100)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두 제1팔부재(111)의 회전방향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이다. 경우에 따라, 양측 가장자리의 두 홈(229) 중 하나를 중앙부에 형성하고, 일측 접이팔기구(100)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두 접이팔기구(100)의 회전방향을 같게, 즉, 두 접이팔기구(100)가 접히거나 펼쳐질 때, 두 제1팔부재(111)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할 수 있고, 이 경우 두 원호홈(237)은 같은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하고, 그에 따라 돌기(113)의 위치와 동조부재(170)의 형상도 바뀌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200)는 한 쌍의 접이팔기구(100)의 두 제1팔부재(111)를 연결하는 동조부재(170)를 구비한다. 이 동조부재(170)는 동조부재 장착홈(235)에 장착된 상태에서, 두 제1팔부재(111)의 저면에 각각 형성된 두 돌기(113)를 서로 연결하여 두 제1팔부재(111)가 동시에 같은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 동조부재(170)의 양측 가장자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꺾인 부분에 돌기(113)가 삽입될 수 있는 통공(17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동조부재(170)는 동조부재 장착홈(235)에서 전후 및 좌우로 유동될 수 있어야 되므로, 동조부재 장착홈(235)은 동조부재(170)보다 크게 형성된다.
덮개(250)는 제2팔부재(121)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접이팔기구(100)를 접거나 펼침에 따라 본체(210)의 상면을 따라 측방으로 이동하면서 개폐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바닥부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직선으로 형성된 피안내부(254)를 구비한다. 이 피안내부(254)는 덮개(250)의 개폐 시 가이드(232)의 안내를 받는 부분으로, 덮개(250)가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경우에 따라, 가이드(232)와 피안내부(254)는 형성되지 않고, 덮개(250)가 오로지 제2팔부재(121)에만 연결된 구성을 취할 수 있다. 이 경우 덮개(250)가 측방으로 본체(210)의 가장자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 덮개(25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5 내지 8은 덮개가 닫힌 상태, 반 개방된 상태, 완전 개방된 상태 및 틸팅상태를 각각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덮개가 틸팅된 상태에서의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내지 4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50)가 본체(210)에 중첩되어 닫힌 상태에서 덮개(250)를 그 개방방향으로 밀면 접이팔기구(100)가 펼쳐지면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 정도 개방된다. 이에 따라 제2팔부재(121)가 제1팔부재(111)에 접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고 있던 요동부재(143)는 제1팔부재(111)를 따라 약간 후퇴하면서 편심부(125)의 회동에 따라 요동된다. 요동부재(143)가 탄성력을 가하는 방향이 관절부(130)의 중심을 지난 후부터는 요동부재(143)는 제2팔부재(121)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덮개(250)를 본체(210)에 대해 완전히 개방시킨다. 즉, 덮개(250)를 외력으로 일정 거리 이상 이동시킨 후부터는 요동탄성기구(140)의 탄성력에 의해 덮개(250)가 자동으로 개방된다. 덮개(250)를 닫는 경우는 덮개(250)를 개방하는 과정의 역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덮개(250)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까지 이동하는 동안, 본체(210)의 앞쪽 끝단 부근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232)는 덮개(250)에 형성된 피안내부(254)를 안내하며 덮개(250)가 좌우로 요동되는 것과 위로 들리는 것을 방지한다.
접이팔기구(100)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질 때, 플렉시블 피씨비(150)의 제1연장부(153)와 제2연장부(155)는 감김부(151)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접히거나 펼쳐진다.
도 7의 상태에서 덮개(250)에 위쪽으로 힘을 가하면 덮개(250)는 틸팅축(227)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틸팅되고, 그 상태에서 덮개(250)를 다시 아래쪽으로 살짝 누르면 틸팅기구(220)의 작동으로 덮개(250)는 도 8과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틸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덮개(250)의 틸팅 상태를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덮개(250) 상의 터치스크린을 터치하여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때 보다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아래쪽으로 힘을 가하면 도 7에 나타낸 상태로 덮개(250)가 다시 펼쳐진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앞 실시예에서 설명한 요동탄성지지구 대신에 관절부(130)에 제1팔부재(111)와 제2팔부재(121)가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토션 스프링(147)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팔부재(121)에는 홈 형태의 걸림부(127)를 형성하고 본체(210)에는 제2팔부재(121)가 접힌 상태에서 걸림부(127)에 삽입되어 제2팔부재(121)를 잡아주는 피걸림부(238)를 설치하여 덮개(25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피걸림부(238)는 스프링(238a)에 탄성적으로 지지된 핀이 바람직하다. 핀은 본체(210)에 형성된 홈 형태의 피걸림부수용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 이상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필걸림부수용부의 턱에 걸릴 수 있도록 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핀 대신에 볼이 사용될 수 있다.
걸림부(127)와 피걸림부(238)는 서로 맞물려 접이팔기구(10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다가 일정 이상 힘이 가해지면 맞물림이 해제되어 접이팔기구(100)가 펼쳐지는 것을 허용하면 되므로, 그 설치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걸림부(127)와 피걸림부(238)는 제2팔부재(121)와 제1팔부재(111)의 대응위치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토션 스프링(147)은 펼침유지구이고, 걸림부(127)와 피걸림부(238)는 접힘유지구이다.
토션 스프링(147) 대신에 접이팔기구(100)를 펼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접힘유지구로는 걸림부(127)와 피걸림부(238) 대신에 제1팔부재(111)와 제2팔부재(121) 내부로 또는 외부로 줄을 설치하여 이 줄을 감거나 풀어주는 방식 등 여타의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있어서 접힘유지구나 펼침유지구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팔부재(111)를 본체(210)에 적절한 마찰력을 가지고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고, 또 제2팔부재(121)를 제1팔부재(111)에 적당한 정도의 마찰력을 가지고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사람이 덮개(250)를 작동시킨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나머지는 앞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 휴대형 전자기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 휴대형 전자기기를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13에 나타낸 휴대형 전자기기(200)는 틸팅기구 없이 접이팔기구(100)가 고정지지구(221a)를 통해 본체(210)에 고정된 구성된 것이다. 두 접이팔기구(100)의 두 제1팔부재(111)는 동조부재(17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동조부재(170)의 일단 및 타단의 서로 반대되는 측면에 기어이(173)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동조부재(170)는 동조부재지지부(236)의 동조부재 장착홈(235)에 전후 및 좌우로 이동 가능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팔부재(111)의 저면에 이 기어이(173)들에 물리는 원형의 기어부(113a)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두 접이팔기구(100)는 기어부(113a)들을 통해 동조부재(170)의 기어이(173)들에 물려있기 때문에 항상 같은 각도로 회전한다.
경우에 따라, 관절부(130)는 제1팔부재(111)에 형성된 원통홈(117)과 이 원통홈(117)에 결합되는 압정 모양의 결합축(135)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관절부(130)에 설치되어 접이팔기구(100)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제1팔부재(111)와 제2팔부재(121)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은 도 10에서와 같은 토션 스프링(147)이 사용된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9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4는 접이팔기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5는 조립된 접이팔기구의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 접이팔기구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플렉시블 피씨비(150)는 두 접이팔기구(10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틸팅기구(220)는 앞에서 설명한 본체(210)의 구성요소에 포함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접이팔기구(100)에 부착되어 만들어질 수 있다. 접이팔기구(100)가 완전히 펼쳐진 상태는 도 15를 보면 알 수 있고, 접이팔기구(100)가 완전히 접혀서 틸팅기구(220) 속으로 들어간 상태는 도 16을 보면 알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9를 통해 설명한 접이팔기구와 같다.
도 17은 틸팅지지구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 틸팅지지구의 정면도이다.
도 17과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틸팅지지구(221)는 스크루 등으로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공(221a)들이 형성된 플랜지부(221b)를 구비한다. 이 플랜지부(221b)의 일 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틸팅작용부(221g)가 형성되어 있다. 이 틸팅작용부(221g)는 틸팅축(227)과 상호작용하여 틸팅부재(226)가 틸팅 및 틸팅해제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3을 통해 설명한 틸팅부재(226)의 양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틸팅축(227)이 삽입될 수 있는 원형의 축지지부(221c)를 구비한다. 축지지부(221c)의 일측 내측면에 홈(221d)이 형성되고, 이 홈(221d)에 볼(221e)과 탄성체(221f)가 장착되어 있다. 축지지부(221c)의 중심에서 볼(221e)이 접촉되는 탄성체(221f)의 표면까지의 거리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작아진다. 이에 따라 축지지부(221c)에 장착된 틸팅축(221c)이 도 18의 화살표 방향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볼(221e)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간이 넓은 상방으로 이동하여 틸팅축(227)이 회전되는 것을 허용한다.
축지지부(221c)에 장착된 틸팅축(227)이 화살표의 반대방향인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볼(221e)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공간이 좁은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축을 반대편으로 가압하여 틸팅축(227)이 회전되지 않도록 잡아준다. 볼(221e)은 탄성체(221f)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틸팅부재와 거기에 결합된 접이팔기구와 덮개 등은 본체에 대해 소정 각도 틸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의 볼(221e)을 지지하는 탄성체(221f)는 자료 또는 명령어 입력을 위해 화면을 터치하는 정도의 힘을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이 탄성체(221f)는 사람이 덮개의 틸팅을 해제하고자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을 가하면 탄성변형 되면서 틸팅축(227)이 강제로 회전되는 것은 허용하여야 한다. 즉, 자료 또는 명령어 입력을 위해 덮개에 설치되는 화면을 터치할 때의 힘보다 훨씬 큰 힘으로 덮개(250)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볼(221e)을 지지하고 있던 탄성체(221f)가 변형되면서 덮개(250)의 틸팅상태가 해제될 수 있어야 한다. 이 때 탄성체(221f)가 변형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탄성체(221f) 저부의 홈(221d)은 부분적으로 깊게 형성되어 있다.
도 19는 도 17 틸팅지지구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탄성체(221f)와 볼(221e)의 위치를 서로 바꾸어 볼(221e)이 틸팅작용부(221g)의 측면에 형성된 개구(227h)를 통해 앞에서 설명한 홈(227a)의 벽면과 접촉되도록 할 수 있다. 볼(221e)이 홈(227a)의 벽면과 작용한다는 점에서 도 17에 나타낸 것과 차이가 있고, 나머지 동작원리는 도 17과 18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접이팔기구(100) 1개를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2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팔부재(111)는 제1회동연결부를 통해 본체(210)의 좌우 중앙부에 인접한 위치에 회동 가능케 설치되고, 제2팔부재(121)의 제2회동연결부(122)는 덮개(250)의 좌우 중앙부 가장자리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에서, 제1팔부재(111)의 길이는 제2팔부재(121)의 길이보다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20에서 제1팔부재(111)의 설치 위치가 본체(210)의 중앙부 홈(229)의 오른쪽에 있는 경우 제2팔부재(121)가 제1팔부재(111)보다 더 길어질 수 있다. 즉, 제1팔부재(111)와 제2팔부재(121)의 길이는 접이팔기구(100)가 접히는 방향, 제1팔부재(111)의 설치위치, 제2팔부재(121)와 덮개(250)의 연결부위의 위치 등에 따라 결정된다.
이 접이팔기구(100)로는 내부에는 플렉시블 피씨비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내부에 요동탄성지지구가 설치된 것과 제2팔부재(121)와 본체(210)부의 대응 위치 또는 제2팔부재(121)와 제1팔부재(111)의 대응위치에 걸림부와 피걸림부가 형성된 것 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접이팔기구(100)가 1개 사용되는 것이므로 동조부재는 필요치 않다.
이 실시예에서, 접이팔기구(100)는 앞에서 설명한 틸팅부재(226)를 갖는 틸팅기구(220)를 통해 본체(210)에 설치되어 있어 덮개(250)를 개방 한 상태에서 틸팅 가능하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9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21은 도 1 휴대형 전자기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부분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도 1의 가이드(232)와 피안내부(254) 없이 오로지 접이팔기구(100)를 통해서만 본체(210)와 덮개(250)를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2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이팔기구(100)가 펼쳐진 상태의 길이를 크게 하는 경우 덮개(250)가 측방으로 본체(210)의 가장자리를 벗어나는 위치까지 덮개(250)를 개방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9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22는 도 20의 변형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의 휴대형 전자기기를 저면에서 보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경우에 따라, 1개의 접이팔기구(100)가 회동 가능케 설치되는 접이팔기구장착부(212)를 본체(210)의 좌우 양단 사이의 일부에 스크루(S)를 통해 고정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2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이팔기구장착부(212)의 일측 가장자리에 제1회동연결부(112)가 측방으로 삽입될 수 있는 홈(212a)을 형성하고, 상하로 형성된 축구멍(212b)을 통해 지지축(228)을 결합하여 접이팔기구(100)를 설치할 수 있다.
이 실시예 역시, 접이팔기구(100)를 1개만 이용하기 때문에 동조부재 등이 필요치 않다. 이 실시예는 접이팔기구(100)를 2개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그 구조가 단순하다.
이 실시예의 휴대형 전자기기(200)에 틸팅기능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이팔기구장착부(212)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도 1 내지 3에 설명한 것과 같은 틸팅축을 형성하고, 그 양측에 틸팅지지부를 설치하여 구성하면 된다.
나머지는 도 20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24는 도 22에 나타낸 휴대형 전자기기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접이팔기구장착부(212)는 바닥부(212c)를 제외하고는 모두 본체(210)의 좌우 양단 사이의 일부분에 일체로 형성하고, 접이팔기구(100)를 지지축(228)에 장착한 후에 그 저부에서 바닥부(212c)를 조립하도록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200)를 구성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22와 23을 통해서 설명한 것과 같다.
위의 실시예들에서 덮개로는 지금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플렉시블하지 않아서 말릴 수 없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두루마리처럼 말릴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사용될 수 있음은 쉽게 알 수 있다.
도 25 내지 2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전자기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펼쳐진 상태의 측면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원통형으로 감긴 상태의 측면도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 내지 27에 나타낸 휴대형 전자기기(202)는 본체(210)를 구비한다. 이 본체(210)의 선단에는 홈(2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홈(240)에 감김축(244)에 원통형으로 감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210)의 상면에는 홈(240)의 뒤쪽에 보조디스플레이(242)가 설치되어 있다. 경우에 따라 보조디스플레이(242) 대신에 버튼들이 설치될 수 있다.
본체(210)의 앞쪽 측면에는 앞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제1팔부재(111)와 제2팔부재(212)를 구비하는 접이팔기구(100)가 설치되어 있다. 제1팔부재(111)는 본체(210)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고, 제2팔부재(121)의 단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의 끝단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있다. 제1팔부재(111)와 제2팔부재(121)는 관절부(130)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접거나 펼칠 수 있다.
감김축(244)은 바람직하게, 태엽스프링(246)에 의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원통형으로 감기는 일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받고 있다. 감김축(244)에 일 회전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태엽스프링(246) 이외의 다른 종류의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어떤 경우에는 감김축(244)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태엽스프링(246) 대신에 모터 또는 수동회전을 위한 회전손잡이가 이용될 수 있다. 감김축(244)과 태엽스프링(246)은 경우에 따라 접이팔기구(100)의 단부에 설치되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원통형으로 감길 수 있도록 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의 외측 단부가 본체(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어떤 경우에는 감김축(244)과 태엽스프링(246)이 본체(210)와 접이팔기구(100)의 단부 양측 모두에 설치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가 양측 모두에 감길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7에 나타낸 휴대형 전자기기(202)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의 단부 또는 제2팔부재(121)의 단부를 앞쪽으로 당기면 접이팔기구(100)가 펼쳐지면서 원통형으로 감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를 풀어서 도 25와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상으로 펼친다. 접이팔기구(100)가 접히면 평판상으로 펼쳐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태엽스프링(246)에 의해 다시 감김축(244) 주위에 원통형으로 감기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260)는 본체(210)에 직접 연결되기 때문에 접이팔기구(100) 내부로 앞에서 설명한 플렉시블 피씨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도 28은 피걸림부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피걸림부(238)를 구성하는 핀은 본체(210)에 형성된 홈 형태의 피걸림부수용부(238b)에 설치된 상태에서 일정 이상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필걸림부수용부(238b)의 턱에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피걸림부(238)의 단부는 필걸림부수용부(238b)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가 제2팔부재(121)에 형성되어 있는 홈 형태의 걸림부(127)에 결합되어 제2팔부재(121)가 펼쳐지지 못하도록 잡아준다. 경우에 따라 핀 대신에 볼이 피걸림부(238)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피걸림부(238)는 스프링(238a)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팔기구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덮개를 슬라이드식으로 개폐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차 휴대형 전자기기의 본체에 설치되어 두루마리 형태로 말릴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접거나 펼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100: 접이팔기구 111: 제1팔부재
112: 제1회동연결부 121: 제2팔부재
122: 제2회동연결부 130: 관절부
140: 요동탄성지지구 147: 토션 스프링
150: 플렉시블 피씨비 170: 동조부재
200, 202: 휴대형 전자기기 210: 본체
212: 접이팔기구장착부 220: 틸팅기구
232: 가이드 250: 덮개
254: 피안내부

Claims (15)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덮개;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1팔부재와 상기 덮개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2팔부재가 관절부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구성되고 접거나 펼침에 따라 상기 덮개를 상기 본체의 상면을 따라 이동시켜 개폐하는 접이팔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에는 상기 접이팔기구를 펼치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팔부재와 상기 본체 또는 상기 제1팔부재와 상기 제2팔부재의 대응 위치에 상기 제2팔부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와 피걸림부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에는 일단은 상기 제1팔부재와 상기 제2팔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 가장자리의 편심부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그리고 좌우 요동 가능케 지지되어 상기 제1팔부재에 대한 상기 제2팔부재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중심에 대한 상기 편심부의 좌우 위치가 바뀌고 상기 편심부의 좌우 위치에 따라 상기 제2팔부재가 접히는 방향 또는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상기 어느 하나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요동부재를 구비하는 요동탄성지지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팔기구는 상기 덮개가 개방되는 방향 쪽의 상기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팔기구는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접이팔기구의 두 제1팔부재는 동시에 같은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동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팔기구의 내부를 따라 플렉시블 피씨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렉시블 피씨비는 상기 접이팔기구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짐에 따라 감기거나 풀릴 수 있고 상기 관절부에 배치되는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본체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덮개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덮개에 연결되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팔기구는 틸팅기구를 통해 상기 본체에 틸팅 가능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가이드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덮개에는 상기 가이드에 결합되어 상기 덮개의 개폐 시 상기 가이드의 안내를 받으며 상기 덮개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피안내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10. 제1팔부재; 및
    관절부를 통해 상기 제1팔부재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상기 제1팔부재에 대해 접혀지거나 펼쳐질 수 있는 제2팔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팔부재에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제1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제1회동연결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휴대형 전자기기의 제2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하기 위한 제2회동연결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접이팔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에는 상기 접이팔기구를 펼치려는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키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2팔부재에는 상기 제2팔부재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제1몸체 또는 상기 제1팔부재의 대응 위치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걸려 상기 제2팔부재가 접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접이팔기구.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에는 일단은 상기 제1팔부재와 상기 제2팔부재 중 어느 하나의 단부 가장자리의 편심부에 회동 가능케 연결되고 타단은 다른 하나에 스프링을 통해 탄성적으로 그리고 좌우 요동 가능케 지지되어 상기 제1팔부재에 대한 상기 제2팔부재의 회동각도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회전중심에 대한 상기 편심부의 좌우 위치가 바뀌고 상기 편심부의 좌우 위치에 따라 상기 제2팔부재가 접히는 방향 또는 펼쳐지려는 방향으로 상기 어느 하나에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요동탄성지지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접이팔기구.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팔기구는 좌우로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접이팔기구의 두 제1팔부재는 동시에 같은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동조부재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접이팔기구.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팔기구의 내부를 따라 플렉시블 피씨비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플렉시블 피씨비는 상기 접이팔기구가 접힌 상태에서 펼쳐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짐에 따라 감기거나 풀릴 수 있고 상기 관절부에 배치되는 감김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제1몸체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몸체에 연결하기 위한 제1연장부와 상기 감김부에서 상기 제2몸체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몸체에 연결하기 위한 제2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의 접이팔기구.
  15.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원통형으로 감기는 일 회전방향으로 힘을 받아서 원통형으로 감길 수 있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1팔부재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회동 가능케 연결된 제2팔부재가 관절부를 통해 상호 회동 가능케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고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원통형으로 감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풀어서 평판상으로 펼치거나 상기 평판상으로 펼쳐진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다시 원통형으로 감기는 것을 허용하는 접이팔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전자기기.
KR1020110006311A 2011-01-21 2011-01-21 덮개의 개방 거리를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 KR201200849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311A KR20120084963A (ko) 2011-01-21 2011-01-21 덮개의 개방 거리를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6311A KR20120084963A (ko) 2011-01-21 2011-01-21 덮개의 개방 거리를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963A true KR20120084963A (ko) 2012-07-31

Family

ID=46715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6311A KR20120084963A (ko) 2011-01-21 2011-01-21 덮개의 개방 거리를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496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01560B (zh) 電子裝置
TWI550384B (zh) 用於資訊裝置之傾斜機構
KR100675734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WO2019134693A1 (zh)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KR100705063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
WO2019134696A1 (zh) 一种内折柔性屏移动终端铰链及内折柔性屏移动终端
EP2421231B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JP2011048536A (ja) 電子機器
JP2011166742A (ja) スライド式電子装置
WO2018157729A1 (zh) 折叠终端
RU2397617C2 (ru) Корпус портативн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открываемый/закрываемый посредством сдвига/поворота (варианты),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модуль для д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и узел д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варианты)
KR100675731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KR100875857B1 (ko) 휴대전화기용 스윙힌지
KR20120084963A (ko) 덮개의 개방 거리를 증가시킨 휴대형 전자기기 및 이를 위한 접이팔기구
KR101144136B1 (ko) 와이드 디스플레이부를 갖는 폴더형 휴대단말기
KR101144608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60097471A (ko) 양방향 회전힌지를 갖는 스위블 힌지기구 및 그 스위블 힌지기구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17597B1 (ko)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모듈
JP2008106803A (ja) ヒンジ機構および携帯端末
KR100376318B1 (ko) 휴대형 이동단말기의 자동개폐 장치
WO2011004863A1 (ja) 折畳スクリーン
KR200404579Y1 (ko) 상다리의 접철구조
KR101218683B1 (ko) 헤드 부상구조를 갖는 힌지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TWM446260U (zh) 掀蓋式觸控螢幕輔助支撐裝置
KR20110054898A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