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4496A -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by mobile device and health care module and health care system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by mobile device and health care module and health care system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4496A KR20120084496A KR1020110005892A KR20110005892A KR20120084496A KR 20120084496 A KR20120084496 A KR 20120084496A KR 1020110005892 A KR1020110005892 A KR 1020110005892A KR 20110005892 A KR20110005892 A KR 20110005892A KR 20120084496 A KR20120084496 A KR 2012008449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device
- user
- information
- module
- emergenc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930 Pseudomyxoma Peritonei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690 polydopami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306 polymethylpent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Surge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이를 의료 기관에 알리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notifying a medical institution when an emergency occurs to a user and a health care system to which the same is applied.
근자에 이르러, 생활 환경의 향상과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수명 연장은 인구 고령화라는 사회 문제를 대두시켰으며, 인구 고령화로 인해 헬스 케어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recent years, the improvement of the living environment and the extension of lifespan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have raised the social problem of aging population, and the interest and demand for health care are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aging population.
한편, 통신 기술과 모바일 플랫폼의 비약적인 발전은, 전자 기술을 헬스 케어에 접목시키기에 까지 이르렀으며, 이에 따라 많은 헬스 케어 기기들이 탄생하게 되었다.Meanwhile,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mobile platform has led to the integration of electronic technology into healthcare, resulting in the creation of many healthcare devices.
하지만, 헬스 케어 기기들은 대부분 고가이므로 사용자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안겨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장치를 더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바 사용자에게 불편으로 작용할 수 있다.
However, since most of the health care devices are expensive, they not only impose an economic burden on the user, but may also be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carry more separate devic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모듈을 통해,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의료 기관에 알리는 응급상황 알림 방법 및 이를 적용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module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to receive and store health information and to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to inform the medical emergenc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otification method and a health care system applying the s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응급상황 알림 방법은, 모바일 기기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모듈로부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신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장착된 모듈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기기가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저장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In accordance with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includes: receiving, by a mobile device, user health information from a module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Storing, by the mobile device, user health information received; And when the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from the mounted module, transmitting, by the mobile device,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d user health information.
그리고, 본 응급상황 알림 방법은, 상기 모듈에 마련된 버튼을 상기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 상기 모듈이 상기 응급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발람직하다.The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provided in the module, generating, by the module, the emergency signal to the mobile device.
또한, 본 응급상황 알림 방법은, 상기 모듈이,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모듈이, 상기 모듈에 마련된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듈이, 수집한 사용자 건강 정보와 생성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collecting, by the module, the user health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Generating, by the module, the user health information by using a measurer provided in the module; And transmitting, by the module, the collected user health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user health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그리고,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의료 기관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ransmitting step, the mobile device transmits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health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또한, 본 응급상황 알림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의료 기관으로부터 응급 처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receiving, by the mobile device, first aid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and providing the first aid information to the user.
그리고, 본 응급상황 알림 방법은, 상기 모바일기기가 저장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주기적으로 의료 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기관으로부터 검진 안내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검진 안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the mobile device 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stored user health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And receiving the examination guide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providing the examination guide to the user by the mobile device.
또한, 상기 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착탈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Also, it is preferable that the module is detachable from the mobile devic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강관리 시스템은, 하기 모바일 기기에 장착되며, 사용자 건강 정보와 응급 신호를 하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모듈; 및 상기 모듈로부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모듈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저장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의료 기관으로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health care system, a module mounted on the following mobile device, and transmits the user health information and emergency signal to the mobile device; And a mobile device that receives and stores user health information from the module, and transmits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d user health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upon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modul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에 장착된 모듈을 통해,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사용자의 응급상황을 인지하여 의료 기관에 알릴 수 있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모바일 기기와 저가의 작은 모듈을 통해 구현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경제적인 부담으로부터 벗어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장치를 더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module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it is possible to receive and store health information and to recognize the emergency situation of the user to notify the medical institution. This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user's mobile device and a small module of low cost, so that the user can be freed from the economic burden, and also free from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a separat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강관리 모듈의 상세 블럭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알림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시퀀스 차트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health car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health care module shown in FIG. 1, and
3 is a sequence chart provided to explain an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건강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가능한 건강관리 시스템은, 기기들(10, 20, 30), 건강관리 모듈(100), 스마트폰(200) 및 의료기관 서버(300)가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구축된다. 구체적으로,1 is a diagram showing a health car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As shown in Figure 1, the health care system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he
1) 기기들(10, 20, 30)과 건강관리 모듈(100)은 무선으로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되고,1) the
2) 건강관리 모듈(100)과 스마트폰(200)은 물리적/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상호 통신 가능하며,2) the
3) 스마트폰(200)과 의료기관 서버(300)는 이동 통신망(M)을 통해 상호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3) The
생체 측정기기(10)는 사용자의 신장, 몸무게, 혈압, 혈당 등을 측정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하는 기기이다. 생체 측정기기(10)는 하나의 기기 또는 다수의 기기들로 구현가능하다.The
체력 측정기기(20)는 사용자의 근력, 지구력, 순발력 등을 측정하여 체력 정보를 생성하는 기기이다. 체력 측정기기(20)도 생체 측정기기(10)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기기 또는 다수의 기기들로 구현가능하다.The
운동 기기(30)는 사용자가 운동할 수 있도록 제작된 기기로, 사용자의 운동량을 측정하여 운동 정보를 생성한다. 운동 기기(30)도, 체력 측정기기(20) 및 체력 측정기기(20)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기기 또는 다수의 기기들로 구현가능하다.The
건강관리 모듈(100)은 스마트폰(200)에 착탈 가능한 모듈로, 기기들(10, 20, 30)로부터 생체 정보, 체력 정보, 운동 정보를 무선으로 수집한다. 뿐만 아니라, 건강관리 모듈(100)은 혈압, 혈당 등을 직접 측정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건강관리 모듈(100)은 수집/생성한 건강 정보(생체 정보, 체력 정보, 운동 정보)를 스마트폰(200)으로 전달한다.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강관리 모듈(100)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모듈(100)은 생체 측정기(110), 스마트폰 인터페이스(120), 프로세서(130),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40), 응급버튼(150)을 구비한다.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생체 측정기(110)는 사용자의 혈압, 혈당 등을 측정하여 생체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한 생체 정보를 후술할 프로세서(130)에 전달한다.The
스마트폰 인터페이스(120)는 스마트폰(200)에 물리적으로 장착되는 커넥터를 구비하며, 스마트폰(200)과 메세지,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이다.The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40)는 기기들(10, 20, 30)과 무선으로 메세지, 정보 등을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수단이다.The
응급버튼(150)은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누르는 버튼으로, 사용자가 자신의 몸에 이상이 발생하여 응급 처치가 필요한 경우에 응급 요청을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버튼이다.The
프로세서(130)는 생체 측정기(110)와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40)로부터 전달 받은 건강 정보를 스마트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스마트폰(200)으로 전달한다.The
또한, 사용자로부터 응급 요청이 있는 경우(즉, 응급버튼(150)이 눌러진 경우), 프로세서(130)는 응급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한 응급 신호를 스마트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스마트폰(200)에 전송하여, 응급상황 발생을 알린다.In addition, when there is an emergency request from the user (that is, when the
다시, 도 1을 참조한다. 스마트폰(200)은 건강관리 모듈(100)로부터 전달받은 건강 정보를 저장한다. 한편, 건강관리 모듈(100)로부터 응급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폰(200)은 이동 통신망(M)을 통해 의료기관 서버(300)에 응급상황을 알리는데, 이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Again, reference is made to FIG. 1. The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응급상황 알림 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시퀀스 차트이다.3 is a sequence chart provided to explain an emergency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관리 모듈(100)의 무선통신 인터페이스(140)는 기기들(10, 20, 30)로부터 사용자의 생체 정보, 체력 정보, 운동 정보를 수집하는 한편(S410), 생체 측정기(110)는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자체적으로 생성한다(S420).As shown in FIG. 3, the
그리고, 건강관리 모듈(100)의 프로세서(130)는 S410단계와 S420단계를 통해 수집/생성된 사용자의 건강 정보(생체 정보, 체력 정보, 운동 정보)를 스마트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스마트폰(200)으로 전달한다(S430).In addition, the
그러면, 스마트폰(200)은 S430단계에서 수신한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저장한다(S440).Then, the
한편, 사용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건강관리 모듈(100)의 응급버튼(150)이 조작되면(S450), 프로세서(130)는 응급 신호를 생성하여 스마트폰 인터페이스(120)를 통해 스마트폰(200)으로 전달한다(S460).On the other hand, if an emergency occurs in the user and the
S460단계를 통해 응급 신호가 수신되면, 스마트폰(200)은 사용자의 위치정보와 저장된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이동 통신망(M)을 통해 의료기관 서버(300)로 전송한다(S470).When the emergency signal is received in step S460, the
사용자의 위치정보는 GPS 위성신호를 이용하여 측정가능하다. 만약, 스마트폰(200)에 GPS 모듈이 없는 경우라면, 기지국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측정가능하다.The user's location information can be measured using GPS satellite signals. If the
의료기관은 S470단계를 사용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알게 되므로, 사용자를 병원으로 이송하기 위해 사용자 위치로 응급차를 보낼 수 있다.Since the medical institution knows that an emergency has occurred to the user at step S470, the medical institution may send an emergency vehicle to the user's location to transfer the user to the hospital.
또한, 의료기관 서버(300)는 S470단계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기초로 응급 처치 정보를 생성하여, 스마트폰(200)으로 전송한다(S480).In addition, the
그러면, 스마트폰(200)은 S480단계에서 수신된 응급 처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S490). 필요에 따라, 스마트폰(200)은 S480단계에서 수신된 응급 처치 정보를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Then, the
지금까지, 건강관리 시스템과 이 시스템을 이용한 응급상황 알림 과정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So far, the health management system and the emergency notification process using the system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위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건강정보는, 사용자에게 응급상황이 발생하여 건강관리 모듈(100)의 응급버튼(150)이 조작된 경우에 스마트폰(200)에서 의료기관 서버(300)로 전송되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므로, 이와 다르게 구현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user's health information is to be transmitted to the
다른 예로, 스마트폰(200)이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주기적으로 의료기관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현가능하다. 이때, 사용자의 건강 정보를 분석한 결과 검진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의료기관 서버(300)는 스마트폰(200)에 검진 안내 메세지를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한편, 위 실시예에 언급한 스마트폰(200)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일 예에 해당하는 것으로, 다른 모바일 기기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200) 외에, 모바일 PC, PDA, DMB 플레이어, PMP, MP3 플레이어, e-Book 등과 같은 모바일 기기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생체 측정기기 20 : 체력 측정기기
30 : 운동 기기 100 : 건강관리 모듈
110 : 생체 측정기 120 : 스마트폰 인터페이스
130 : 프로세서 140 : 무선통신 인터페이스
150 : 응급버튼 200 : 스마트폰
300 : 의료기관 서버 M : 이동 통신망10: biometric device 20: physical fitness measuring device
30: exercise device 100: health care module
110: biometric device 120: smartphone interface
130
150: emergency button 200: smartphone
300: medical institution server M: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laims (8)
상기 모바일 기기가 수신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장착된 모듈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기기가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저장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상황 알림 방법.
Receiving, by the mobile device, user health information from a module mounted on the mobile device;
Storing, by the mobile device, user health information received; And
And receiving, by the mobile device,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mounted module, transmitting, by the mobile device,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d user health information.
상기 모듈에 마련된 버튼을 상기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 상기 모듈이 상기 응급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상황 알림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when the user presses a button provided in the module, generating, by the module, the emergency signal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emergency signal to the mobile device.
상기 모듈이,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모듈이, 상기 모듈에 마련된 측정기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모듈이, 수집한 사용자 건강 정보와 생성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상황 알림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Collecting, by the module, the user health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Generating, by the module, the user health information by using a measurer provided in the module; And
And transmitting, by the module, the collected user health information and the generated user health information to the mobile device.
상기 전송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사용자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의료 기관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상황 알림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mitting step,
And the mobile device transmits the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user health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의료 기관으로부터 응급 처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상황 알림 방법.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receiving, by the mobile device, first aid information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and providing the first aid information to the user.
상기 모바일기기가 저장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주기적으로 의료 기관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의료 기관으로부터 검진 안내를 수신하면, 상기 모바일기기가 상기 검진 안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상황 알림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Periodically transmitting the stored user health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by the mobile device; And
And receiving the examination guide from the medical institution, providing the examination guide to the user by the mobile device.
상기 모듈은, 상기 모바일 기기에 착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급상황 알림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module, the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detachable to the mobile device.
상기 모듈로부터 사용자 건강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모듈로부터 응급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저장된 사용자 건강 정보를 의료 기관으로 전송하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관리 시스템.
A module mounted on the following mobile device and transmitting user health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signal to the following mobile device; And
And a mobile device that receives and stores user health information from the module, and transmits user location information and stored user health information to a medical institution upon receiving an emergency signal from the modu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5892A KR20120084496A (en) | 2011-01-20 | 2011-01-20 |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by mobile device and health care module and health care system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5892A KR20120084496A (en) | 2011-01-20 | 2011-01-20 |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by mobile device and health care module and health care system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4496A true KR20120084496A (en) | 2012-07-30 |
Family
ID=4671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5892A KR20120084496A (en) | 2011-01-20 | 2011-01-20 |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by mobile device and health care module and health care system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84496A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7598A (en) * | 2015-10-23 | 2017-05-0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emergency call about vehicle accident using medical information |
KR102648744B1 (en) * | 2023-08-17 | 2024-03-19 | 주식회사 에스지엘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atient information in case of emergency |
-
2011
- 2011-01-20 KR KR1020110005892A patent/KR20120084496A/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47598A (en) * | 2015-10-23 | 2017-05-08 |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requesting emergency call about vehicle accident using medical information |
KR102648744B1 (en) * | 2023-08-17 | 2024-03-19 | 주식회사 에스지엘 |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patient information in case of emergenc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3122372U (en) | Real-time health monitoring and intelligent warning system based on Android technology and Internet of Things | |
US8519835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sensory feedback | |
US10799124B2 (en) | Data transfer of a heart rate and activity monitor arrangement and a method for the same | |
CN104042196A (en) | Real-time health monitoring and intelligent pre-warning system and method | |
KR20180088020A (en)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20100019084A (en) | Handheld heathcare device and system for transmitting healthcare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JP2015513746A5 (en) | ||
CN102349829A (en) | Remote monitoring system of electrocardiosignal | |
EP3075310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bio signal | |
Ranganathan et al. | Rural Automatic Healthcare Dispatch with Real-Time Remote Monitoring | |
JP2013250681A (en) | Information processor,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thereof | |
US10667687B2 (en) | Monitoring system for physiological parameter sensing device | |
GB201113572D0 (en) | A portable device for the monitoring of medical conitions | |
Araujo et al. | Impact of capacity and discharging rate on battery life time: A stochastic model to support mobile device autonomy planning | |
KR101192842B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tandard health information | |
JP2015114761A (en) |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electronic equipment, method and program | |
KR20120084496A (en) |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by mobile device and health care module and health care system using the same | |
US20130225116A1 (en) | Method for notifying emergency by mobile device and health care module and health care system using the same | |
Al-Busaidi et al. | Wearable wireless medical sensors toward standards, safety and intelligence: a review | |
CN202699120U (en) | Wireless sphygmomanometer | |
Balasubramanian et al. | A scalable cloud Platform for Active healthcare monitoring applications | |
US20120157790A1 (en) | Physical examination method using mobile terminal, and gateway and mobile terminal for physical examination | |
KR20140062659A (en) | U-healthcar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healthcare information using health-avatar | |
US2019004361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ersonal emergency | |
Alqudah | The internet of things in healthcare: a survey for architecture, current and future applications, mobile application, and secur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