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3073A -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3073A
KR20120083073A KR1020110004513A KR20110004513A KR20120083073A KR 20120083073 A KR20120083073 A KR 20120083073A KR 1020110004513 A KR1020110004513 A KR 1020110004513A KR 20110004513 A KR20110004513 A KR 20110004513A KR 20120083073 A KR20120083073 A KR 20120083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onnector
groove
straight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344B1 (ko
Inventor
강종웅
민지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Priority to KR102011000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344B1/ko
Publication of KR20120083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3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3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3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로써,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단자부를 개폐시키는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는, 외부로 개방된 인출홈이 형성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상기 인출홈에 삽입되고, 측면에 단자부가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케이스와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출홈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에는 탄성변형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 PORTABLE DEVICE WITH POP-UP TYPE CONNECTOR }
본 발명은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로써, 휴대단말기의 케이스에 형성된 단자부를 개폐시키는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MP3플레이어나 디지털카메라, PDA, 내비게이션, 핸드폰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의 충전 또는 데이터 입출력 수단으로 USB(Universal Serial Bus)가 널리 사용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에 USB케이블 등을 연결하기 위해 단자부가 형성된다.
휴대단말기에 형성된 단자부는 외부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로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휴대단말기의 단자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무커버 등으로 단자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사용자가 단자부를 사용할 때마다 고무커버를 벗겨내고 다시 삽입해야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하였다.
또한, 단자부를 개폐시키는 고무커버가 휴대단말기에 대해 독립적으로 형성될 경우 고무커버를 벗겨내어 단자부를 개방시킬 경우 고무커버의 분실위험이 있으며, 고무커버가 휴대단말기에 일체로 형성되어 단자부를 개폐시킬 경우 반복적인 개폐동작으로 인해 고무커버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단자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삽입 및 돌출시켜 단자부를 쉽게 개폐시키면서 단자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는, 외부로 개방된 인출홈이 형성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상기 인출홈에 삽입되고, 측면에 단자부가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케이스와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출홈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에는 탄성변형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단이 상기 커넥터에서 연장되어 길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선부와; 상단이 상기 직선부의 상단과 연통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부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와; 일단이 상기 경사부의 하단과 연통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부와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상단이 상기 걸림부의 타단과 연통되고, 하단이 상기 직선부의 하단과 연통되는 해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자부가 상기 인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가 상기 인출홈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변형량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변형량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직선부의 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변형량보다 크며,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기 가이드부가 탄성변형되는 방향은 동일하다.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커넥터를 누르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탄성변형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커넥터를 누르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해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직선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직선부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직선부를 따라 상기 직선부의 상단으로 이동한다.
상기 직선부의 상단은 상기 경사부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를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삽입 배치된다.
상기 해제부는, 상단이 상기 걸림부의 타단과 연통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부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압축부와; 일단이 상기 압축부의 하단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직선부의 하단과 연통되는 복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압축부의 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변형량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변형량보다 크다.
상기 인출홈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측면에는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에 단자부가 형성된 커넥터를 삽입 및 돌출시켜 단자부를 쉽게 개폐시킬 수 있고, 커넥터가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됨으로써 단자부에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는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탄성변형되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걸림부 및 복원부를 따라 자동으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돌기가 가이드홈을 따라 쉽게 이동하여 작동이 편리하다.
또한, 직선부의 일단은 경사부의 일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가이드돌기가 직선부에서 경사부로 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에 형성된 돌출부가 레일홈을 따라 상하 이동함으로써, 가이드부의 탄성복원력이 커넥터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작용하여도 커넥터를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시켜 단자부를 개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일방향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타방향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가이드홈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7은 도 1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커넥터가 돌출되어 단자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일방향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타방향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가이드홈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1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커넥터가 돌출되어 단자부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팝업형 커넥터(200)가 장착된 휴대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 커넥터(200) 및 탄성부재(3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00)는 제1케이스(110)와 상기 제1케이스(110)의 정면에 결합되는 제2케이스(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케이스(120)의 정면에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된다.
이러한 상기 케이스(100)에는 외부로 개방된 인출홈(101)이 형성된다.
상기 인출홈(101)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방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커넥터(200)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홈(101)을 형성하는 상기 제1케이스(110)와 제2케이스(120)의 하부에는 지지홈(10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홈(102)에는 지지대(103)의 하부가 고정되게 삽입된다.
상기 지지대(103)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홈(102)에 수직으로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탄성부재(300)가 삽입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홈(101)이 형성된 상기 제1케이스(110)의 정면과 상기 제2케이스(120)의 배면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레일홈(111,121)이 형성된다.
상기 레일홈(111,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110)에 형성된 제1레일홈(111)과 상기 제2케이스(120)에 형성된 제2레일홈(12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레일홈(111)과 제2레일홈(121)은 상호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레일홈(111)과 제2레일홈(121)을 따라 상기 커넥터(2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출홈(101)이 형성된 상기 제1케이스(110)의 정면에는 가이드홈(112)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1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부(113), 경사부(114), 걸림부(115) 및 해제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직선부(113)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단이 하단보다 높게 형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선부(113)의 우측이 좌측보다 높게 형성된다.
도 6은 우측이 상기 케이스(100) 즉, 상기 제1케이스(110) 및 제2케이스(120)의 상단이고 좌측이 상기 케이스(100)의 하단이다.
상기 경사부(114)는 상단이 상기 직선부(113)의 상단과 연통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부(113)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114)는 좌측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114)의 상단은 상기 직선부(113)의 상단과 연통되고, 상기 직선부(113)의 상단은 상기 경사부(114)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부(114)의 하단(Z5)은 상기 직선부(113)의 하단(Z3)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115)는 일단이 상기 경사부(114)의 하단과 연통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부(113)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15)는 일단(Z5)과 타단(Z1)이 좌우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115)는 후술할 가이드부(210)의 하단이 탄성변형되는 궤적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해제부는 상단이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과 연통되고, 하단이 상기 직선부(113)의 하단과 연통된다.
이러한 상기 해제부는 압축부(116)와 복원부(1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압축부(1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이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과 연통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부(113)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압축부(116)는 상기 경사부(114)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압축부(116)는 상하 수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200)가 상기 인출홈(101)에 삽입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형성하였다.
상기 복원부(117)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압축부(116)의 하단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직선부(113)의 하단과 연통된다.
그리고 상기 복원부(117)는 상기 걸림부(115)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해제부는 상기 압축부(116)와 복원부(117)로 구분하지 않고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과 상기 직선부(113)의 하단(Z3)을 직선으로 직접 연결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인출홈(101)에 삽입되고, 측면에 단자부(201)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부(201)는 도 7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휴대단말기를 충전하거나 다른 전자기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USB케이블 등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200)의 하부에는 승강부(203)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부(20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200)의 좌측 하부에 배치되어 하단이 상기 지지홈(102)과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부(203)의 전후 양면에는 돌출부(204,205)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204,20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홈(111)에 삽입되는 제1돌출부(204)와 상기 제2레일홈(121)에 삽입되는 제2돌출부(205)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레일홈(111) 및 제2레일홈(121)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돌출부(204,205)가 상기 레일홈(111,12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커넥터(20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인출홈(101)에 대해 삽입 또는 돌출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레일홈(111,121)을 따라 상하 이동하는 상기 돌출부(204,205)는 상기 레일홈(111,121)의 상단 및 하단에 접하여 상기 커넥터(200)의 상하 이동거리를 제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203)의 내부에는 스프링홈(206)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홈(20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향으로 개방되어 상기 탄성부재(300)가 삽입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200)의 상부에는 푸시돌기(207)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푸시돌기(207)는 상기 커넥터(200)의 상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커넥터(200)를 하방향으로 누르기 용이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200)의 하부에는 가이드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10)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200)의 하부에서 상기 승강부(203)의 반대 방향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210)는 상단이 상기 커넥터(200)에서 연장되어 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홈(112)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21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210)는 탄성변형되며 상기 가이드홈(112)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 탄성부재(300)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출홈(101)에서 상기 케이스(100)와 커넥터(20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재(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상기 지지대(103)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기 스프링홈(206)에 삽입된다.
이러한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커넥터(200)가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커넥터(20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한다.
상기 커넥터(200)가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상기 단자부(201)가 외부로 개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0)에 상기 커넥터(200)를 삽입 및 돌출시켜 상기 단자부(201)를 쉽게 개폐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단자부(201)에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에 따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의 작동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도 7과 같이 상기 커넥터(200)가 상기 인출홈(101)에 삽입되어 상기 단자부(201)가 밀폐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부재(300)는 상기 커넥터(200)에 의해 압축된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210)는 좌측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가이드홈(112)에 고정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300)가 상기 커넥터(20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함으로써, 하방향 즉, Z2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10)는 탄성변형된 상태에서 우측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좌측 즉, Z5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11)에 상방향 및 우측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여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 고정 배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 고정 배치됨으로써,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인출홈(101)에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단자부(201)는 폐쇄되어 상기 단자부(201)에 먼지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과 같이 상기 커넥터(200)가 상기 인출홈(1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푸시돌기(207)를 누르면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가이드홈(112)을 따리 이동하면서 상기 커넥터(200)가 외부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푸시돌기(207)를 누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서 상기 압축부(116)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압축부(116)의 하단(Z2)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커넥터(200)가 하강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00)를 더 압축시키고, 상기 가이드부(210)는 좌측으로 탄성변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압축부(116)의 하단(Z2)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변형량은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변형량보다 크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서 상기 압축부(116)의 하단(Z2)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복원력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직선부(113)의 하단(Z3)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해제부는 상기 압축부(116)와 복원부(117)로 구분하지 않고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과 상기 직선부(113)의 하단(Z3)을 직선으로 직접 연결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해제부를 상기 압축부(116)와 복원부(117)로 구분하여 형성하고, 상기 압축부(116)의 하단(Z2)에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변형량은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변형량보다 크게 됨으로써,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서 상기 직선부(113)의 하단(Z3)으로 이동하려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가이드돌기(211)를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직선부(113)의 하단(Z3)에 배치되면, 상기 가이드부(210)는 탄성변형되었던 형상이 원상태로 복원되고,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상기 직선부(113)를 따라 상승하며 상기 커넥터(200)를 상승시킨다.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상기 직선부(113)를 따라 상승하여 상기 경사부(114)의 상단(Z4)에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직선부(113)의 상단은 상기 경사부(114)의 상단과 연통되고, 상기 직선부(113)의 상단은 상기 경사부(114)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직선부(113)를 따라 상기 직선부(113)의 상단으로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상기 경사부(114)의 상단(Z4)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경사부(114)의 상단(Z4)에 배치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단자부(201)가 개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넥터(200)가 돌출되어 상기 단자부(201)가 개방됨으로써, USB케이블 등을 상기 단자부(201)에 연결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상기 커넥터(200)가 상기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어 상기 단자부(201)가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푸시돌기(207)를 누르면,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제1돌출부(204)와 제2돌출부(205)가 각각 상기 제1레일홈(111) 및 제2레일홈(121)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하방향으로 하강한다.
하강하는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탄성부재(300)를 압축시키고,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상기 경사부(114)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부(210)는 좌측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가이드부(210)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커넥터(200)의 이동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상기 돌출부(204,205)가 레일홈(111,12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200)를 안정적으로 상하 이동시켜 상기 인출홈(101)에 대해 삽입 및 돌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경사부(114)의 상단(Z4)에서 하단(Z5)로 이동한다.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경사부(114)의 하단(Z5)에 배치되면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변형량은 최대가 되고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걸림부(115)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 배치된다.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변형량은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경사부(114)의 하단(Z5)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변형량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직선부(113)의 하단(Z3)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변형량보다 크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211)는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서 임의로 Z5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된 상기 탄성부재(300) 및 상기 가이드부(2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Z2방향으로 임의로 이동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걸림부(115)의 타단(Z1)에 고정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200)는 상기 인출홈(101)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시키고 상기 단자부(201)는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푸시돌기(207)를 한번 누르면 상기 탄성부재(300) 및 가이드부(2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211)가 상기 가이드홈(112)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 배치됨으로써 작동이 편리하다.
본 발명인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케이스, 101 : 인출홈, 102 : 지지홈, 103 : 지지대, 110 : 제1케이스, 111 : 제1레일홈, 112 : 가이드홈, 113 : 직선부, 114 : 경사부, 115 : 걸림부, 116 : 압축부, 117 : 복원부, 120 : 제2케이스, 121 : 제2레일홈, 200 : 커넥터, 201 : 단자부, 203 : 승강부, 204 : 제1돌출부, 205 : 제2돌출부, 206 : 스프링홈, 207 : 푸시돌기, 210 : 가이드부, 211 : 가이드돌기, 300 : 탄성부재,

Claims (7)

  1. 외부로 개방된 인출홈이 형성된 휴대단말기용 케이스와;
    상기 인출홈에 삽입되고, 측면에 단자부가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케이스와 커넥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인출홈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에는 탄성변형되며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단이 상기 커넥터에서 연장되어 길게 형성되고, 하단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홈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직선부와;
    상단이 상기 직선부의 상단과 연통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부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부와;
    일단이 상기 경사부의 하단과 연통되고,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부와 가까워지도록 형성된 걸림부와;
    상단이 상기 걸림부의 타단과 연통되고, 하단이 상기 직선부의 하단과 연통되는 해제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자부가 상기 인출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가 상기 인출홈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변형량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변형량보다 작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직선부의 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변형량보다 크며,
    상기 가이드홈에서 상기 가이드부가 탄성변형되는 방향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커넥터를 누르면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경사부를 따라 하단으로 이동하여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탄성변형되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경사부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고정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배치되어 있을 때,
    상기 커넥터를 누르면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해제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직선부의 하단에 배치되고, 상기 직선부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직선부를 따라 상기 직선부의 상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의 상단은 상기 경사부의 상단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기 직선부를 따라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는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경사부의 상단에 삽입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해제부는,
    상단이 상기 걸림부의 타단과 연통되고, 하단으로 갈수록 상기 직선부와 멀어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 압축부와;
    일단이 상기 압축부의 하단과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직선부의 하단과 연통되는 복원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압축부의 하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변형량은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걸림부의 타단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부의 탄성변형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홈에는 상기 가이드부의 길이방향으로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의 측면에는 상기 레일홈을 따라 이동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KR1020110004513A 2011-01-17 2011-01-17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KR1012213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513A KR101221344B1 (ko) 2011-01-17 2011-01-17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4513A KR101221344B1 (ko) 2011-01-17 2011-01-17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3073A true KR20120083073A (ko) 2012-07-25
KR101221344B1 KR101221344B1 (ko) 2013-01-11

Family

ID=4671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4513A KR101221344B1 (ko) 2011-01-17 2011-01-17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3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3987A (zh) * 2018-02-02 2018-05-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9218477A (zh) * 2018-10-29 2019-01-15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摄像头装置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1777A (en) * 1997-11-21 1999-10-26 3Com Corporation Breakaway physical/electrical media jack
US7009847B1 (en) 2004-12-20 2006-03-07 Inventec Multimedia & Telecom Corporation Connector concealment mechanism for computer peripheral device
KR20090023872A (ko) * 2007-09-03 2009-03-06 김현주 원터치 방식의 유에스비 인입 장치
KR20100004314A (ko) * 2008-07-03 2010-01-13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용 스트랩 홀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23987A (zh) * 2018-02-02 2018-05-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8023987B (zh) * 2018-02-02 2024-03-2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CN109218477A (zh) * 2018-10-29 2019-01-15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一种摄像头装置及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344B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348030B (zh) 线对板连接器组合
US8840410B2 (en) Pop-up mechanism having a sliding pushing pillar coupled to a spring
CN104103960B (zh) 电源插座
CN102619421B (zh) 一种锁扣装置
CN102904314A (zh) 可收纳数据线的移动电源
US8349480B1 (en) Electronic device with detachable battery
KR101221344B1 (ko) 팝업형 커넥터가 장착된 휴대단말기
US9040818B2 (en) Dust-proof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200453131Y1 (ko) 배터리 접속단자
US8481189B2 (en) Battery receptacle
CN209200216U (zh) 一种电子设备充电接口结构
TW201403487A (zh) 電子卡連接器
CN206272022U (zh) 一种带usb充电装置的墙壁电源插座
CN205304300U (zh) 无线充电设备
CN212183570U (zh) 具有防尘功能的手机充电接口及手机
CN210517260U (zh) 一种充电头
CN108462237B (zh) 一种防水电池座充
WO2013039089A1 (ja) 電子機器およびコネクタ
CN208127928U (zh) 内置安全伸缩pin端子的手机充电座
CN210926549U (zh) 一种数据传输线以及usb数据线接口
US9380137B2 (en) Electronic device
CN104124717B (zh) 充电器
CN217741742U (zh) 一种内置蓝牙耳机的三防手机
CN215646283U (zh) 一种多功能充电宝
CN216214563U (zh) 一种用于连接器的防误插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