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2267A -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 - Google Patents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2267A
KR20120082267A KR1020110003660A KR20110003660A KR20120082267A KR 20120082267 A KR20120082267 A KR 20120082267A KR 1020110003660 A KR1020110003660 A KR 1020110003660A KR 20110003660 A KR20110003660 A KR 20110003660A KR 20120082267 A KR20120082267 A KR 20120082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puzzle
terminal
pieces
c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섭
Original Assignee
김종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섭 filed Critical 김종섭
Priority to KR102011000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2267A/ko
Publication of KR2012008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22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11Input form cards, tapes, discs
    • A63F2009/2419Optical
    • A63F2009/242Bar c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퍼즐에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포함되므로 퍼즐의 완성시에 상기 코드의 조합이 완성되므로 단말기에서 상기 코드를 인식하여 영상이나 홍보영상이나 음악이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에서 인식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인식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에 있어서, 상면에 도형, 문자, 숫자, 그림 중 어느 하나가 도시되어 다 수개가 끼움식으로 맞춰지는 퍼즐조각; 상기 다 수개의 퍼즐조각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호 분리되는 퍼즐조각에 걸쳐 포함되므로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지므로 완성되는 코드; 및 상기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읽어들여서 검색 및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Puzzle with a code capable of perceiving to smart phone}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카메라 또는 스캐너와 같이 코드의 스캐닝 기능을 갖는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퍼즐에 포함되므로 단말기에서 상기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검색 및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에서 인식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에 관한 것이다.
아동들의 문제해결 능력을 고양하기 위해서 예로부터 다양한 놀이기구들이 개발되어 왔다. 그 대표적인 예로 칠교놀이와, 소마큐브 등을 들 수 있다. 칠교놀이는 평면을 이루는 모양들을 조합하여 다양한 모양을 만들도록 하여 창의성을 키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소마 큐브는 공간을 형성하는 모양들을 조합하여 다양한입체 형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놀이는 모양의 예시를 통해서 이와 동일한 모양으로 맞추는 방식으로 놀이를 진행한다. 예를 들면, 칠교놀이의 경우 사각형 모양, 사다리꼴 모양 혹은 더 발전하여 다양한 사물의 형상을 닮은 모양을 예시로 들고, 이와 동일한 모양으로 맞추는 방식으로 놀이를 한다. 또한, 소마 큐브의 경우, 1차적으로 육면체 모양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모양을 예시를 들어 이를 맞추는 방식으로 놀이를 한다. 이러한 놀이들은 어린이들의 공간지각 능력을 향상시키고, 문제 해결 능력을 배양해 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놀이외에 다양한 동물이나 영화 캐릭터, 그림을 퍼즐조각으로 맞추도록 하는 퍼즐이 등장하여 아동에서 부터 성인들 까지 폭넓은 연령대가 즐기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연령대가 즐길 수 있는 퍼즐은 상업적 이득을 위해 다양한 형태로서 출시되고 있으나 현재 사업중인 업체나 제품등의 숫자는 매우 많기 때문에 업체별 경쟁이 매우 치열한 실정이다. 따라서 퍼즐 제조업체는 보다 많은 재미와 학습효과 또는 홍보를 위한 아이디어를 통해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고자 노력하는 중이다.
이와 같은 퍼즐업체 및 그 제품은 주로 도안이나 문양 및 캐릭터에 의존하여 제품의 판매를 기대하고 있으나 다수의 업체와 제품이 난립하는 현시점에서는 시각적인 도안이나 캐릭터의 인지도에만 의존하여 고객의 눈을 끌기에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퍼즐조각 마다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코드가 분할되어 포함되므로 상기 퍼즐조각이 맞춰지면서 완성된 코드를 단말기에서 스캔하여 상기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읽어들여 검색 및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또 다른 재미와 제품의 광고 및 교통이나 관광, 명언과 같은 다양한 정보와 음악이나 동영상의 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단말기에서 인식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에 있어서, 상면에 도형, 문자, 숫자, 그림 중 어느 하나가 도시되어 다 수개가 본체에 끼움식으로 맞춰지는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 일정한 형태의 무늬와 형상을 갖고 디지탈정보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에 포함되는 코드; 및 코드를 스캔하는 카메라와 상기 코드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캔기능을 갖는 카메라 또는 스캐너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 포함), PDA,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테블릿PC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코드를 스캔하여 상기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QR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에 분할된 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는, 제2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드는 상기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제1실시예 내지 제4실시예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은 액자, 상기 퍼즐조각이 끼움되는 판형상의 본체를 포함하는 지지부재의 그룹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코드는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 퍼즐조각에서 단말기에서 인식가능한 코드가 포함되므로 퍼즐의 완성후에 상기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나 이미지 또는 상식 정보와 홍보를 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새로운 재미를 더해줄 수 있고, 제작자는 업체의 홍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재미와 홍보 및 정보제공을 통한 제품의 판매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40)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30)가 부여된 퍼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40)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30)가 부여된 퍼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40)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30)가 부여된 퍼즐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40)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30)가 부여된 퍼즐은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서 다 수개가 끼움식으로 결합되는 퍼즐조각(20)과, 상기 퍼즐조각(20)에 도안되는 코드(3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평면 또는 기타 형상을 갖고 상기 퍼즐조각(20)이 맞춤끼움되도록 평면상에서 빈 공간을 형성하는 끼움부(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는 다양한 도형이나 그림이 도시되어 있으며, 사용 연령대를 고려하여 만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나 유명 연예인의 사진도 될 수 있으며 이는 제작자의 의도나 기획에 따라서 변경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퍼즐조각(20)은 상기 끼움부(11)가 형성되는 본체(10)에 의해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와 같은 본체(10)가 아닌 액자(도시되지 않음)와 같은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됨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은 적어도 액자 또는 상기 끼움부(11)가 구성되는 판 형상의 본체(10)와 같이 상기 퍼즐조각(20)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그룹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코드(30)는 상기 퍼즐조각(20)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적어도 본체 또는 액자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지지부재의 그룹에 설치됨도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의 범위에 해당된다.
상기 끼움부(11)는 상기 본체(10)의 일부분 또는 전체에서 상기 퍼즐조각(20)이 끼워지는 빈 공간을 형성하며, 내측으로 퍼즐조각(20)이 끼워지도록 내측에 빈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빈공간의 외측으로 테두리(12)를 형성한다. 상기 테두리(12)는 상기 다수개의 퍼즐조각(20)중에서 가장 외측의 퍼즐조각(20)이 끼움되도록 상기 퍼즐조각(20)의 형상과 조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상기 단말기(40)는 상기 퍼즐조각(20)에 포함되는 코드(30)를 스캔하는 카메라와 상기 코드(30)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단말기로서, 스캔기능을 갖는 카메라 또는 스캐너가 구비되는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 포함), PDA,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테블릿PC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상기 단말기(40)는 각각의 퍼즐조각(20)에서 하나의 퍼즐조각에 하나의 코드 또는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으로 분할되는 코드를 스캐닝하여 상기 코드에 포함된 정보를 출력 및 검색한다.
상기 퍼즐조각(20)은 상면에서 각각의 도형의 일부분또는 그림의 일부분이 각각 도시되어 있거나 또는 달력을 구성하기 위한 숫자나 문자등이 각각 포함되어 상기 끼움부(11) 및 테두리(12)에 끼움식으로 상호간에 결합되어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퍼즐조각(20)은 상면에 도형이나 문자 또는 그림이 도안되어 있으며 상기 코드(30)가 각각의 퍼즐조각(20)에 걸쳐서 도안되므로 상기 코드의 일부가 도안된 퍼즐조각이 맞춰지면 단말기(40)에서 카메라를 이용한 스캔이 가능하게 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코드(30)는 상기 퍼즐조각 하나에 완성된 코드 전체가 포함될 수 있고, 또는 상기 퍼즐조각(20)을 지지하는 본체(10)의 상면에 포함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응용예중 어느 하나에 해당된다.
상기 코드(30)는, 예를 들면, QR코드(30)(QR code)로서 흑백 격자 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이차원 바코드(30)중의 QR코드(30)를 포함한다. 상기 QR코드(30)는 Quick Response에서 유래한 용어로써 종래에 많이 쓰이던 바코드(30)의 용량 제한을 극복하고 그 형식과 내용을 확장한 2차원의 바코드(30)로 종횡의 정보를 가져서 숫자외에 문자의 데이터를 저장하므로 보통 디지털 카메라나 전용 스캐너로 읽어들여 활용한다. 이와 같은 QR코드(30)는 단말기(40)에서 읽어들여 상기 QR코드(30)에 지정된 정보를 상기 단말기(40)에서 검색 및 출력가능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상기 코드(30)는 상기 QR코드(30)를 포함하게 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20)에 걸쳐서 하나의 코드(30)가 분할 형성되므로 상기 퍼즐조각(20)이 맞춤되므로 하나의 정보를 저장하는 코드(30)로 완성되어 상기 단말기(40)에서 스캔하여 해당 코드(30)에 포함된 정보를 검색 및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퍼즐조각에 하나의 코드가 분할됨 없이 전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QR코드(30)는 본 발명의 요지를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써 언급된 것이며 상기와 같은 QR코드(30)가 아닌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코드(30)와 단말기(40)과 같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정보의 검색 및 출력 가능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해당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40)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30)가 부여된 퍼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설명을 개시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호 분리되어 별도로 보관중인 다수개의 퍼즐조각(20)을 상기 본체(10)의 끼움부(11)에 끼우게 된다. 이때 상기 퍼즐조각(20)의 상면에는 하나의 도안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사용자는 상기 도안의 형태에 따라서 상기 다수개의 퍼즐조각(20)을 맞춰가면서 상기 도안의 형태를 완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퍼즐조각(20)은 본 발명에 해당되는 코드(30)가 포함된 것으로 각각의 퍼즐조각(20)으로 일부가 분할되거나 또는 하나의 퍼즐조각(20)에 하나의 코드(30)가 포함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퍼즐조각(20)을 도안에 따라서 맞추다 보면 퍼즐과 코드가 완성되도록 형성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퍼즐조각(20)의 상면에 도시된 도안을 완성하기 위하여 퍼즐조각(20)을 완성하면 분할된 코드(30)가 맞춰지거나 또는 코드(30)가 포함된 퍼즐조각(20)이 끼워지므로 코드(30)가 완성된다.
따라서 완성된 퍼즐(20)은 상면에 하나의 도안이 표시되며, 완성된 도안의 일부분에 코드(30)가 포함된다. 이후에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40)에 포함된 카메라로 상기 코드(30)를 스캔하고, 단말기(40)에 저장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므로 상기 코드(30)에 포함된 정보를 읽어드여서 온라인을 상기 코드(30)에 포함된 정보를 검색하여 출력한다.
또는 상기 코드(30)는 상기 본체의 상면 어느 일부에 설치될 수도 있거나 또는 하나의 퍼즐조각(20)에 완성된 코드 전체가 포함됨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코드(30)에 포함되는 정보는 예를 들면, 개인의 정보, 동영상, 이미지, 웹페이지에 게시된 관광, 역사, 지리와 같은 상식정보와 같이 상기 코드(30)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40)의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에 의하여 검색될 수 있는 정보중에서 어느하나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40)를 통하여 완성된 퍼즐에 포함되는 코드(30)에 포함된 정보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이나 동영상 및 일반 상식정보를 접할 수 있어서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11: 끼움부
12 : 테두리 20 : 퍼즐조각
30 : 코드 40 : 단말기

Claims (5)

  1. 상면에 도형, 문자, 숫자, 그림 중 어느 하나가 도시되어 다 수개가 끼움식으로 맞춰지는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20);
    일정한 형태의 무늬와 형상을 갖고 디지탈정보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20)에 포함되는 코드(30); 및
    코드(30)를 스캔하는 카메라와 상기 코드(30)를 인식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스캔기능을 갖는 카메라 또는 스캐너 중 어느 하나가 구비되는 휴대용 전화기(스마트폰 포함), PDA,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테블릿PC 중 어느 하나로서 상기 코드(30)를 스캔하여 상기 코드(30)에 포함된 정보를 출력하는 단말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40)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30)가 부여된 퍼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30)는
    QR코드(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40)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30)가 부여된 퍼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30)는
    하나 이상으로 분할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에 분할된 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가 부여된 퍼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2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가 부여된 퍼즐.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퍼즐조각(30)은
    적어도 액자, 상기 퍼즐조각이 끼움되는 본체(10)를 포함하는 지지부재의 그룹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코드(30)는 상기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가 부여된 퍼즐.
KR1020110003660A 2011-01-13 2011-01-13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 KR201200822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660A KR20120082267A (ko) 2011-01-13 2011-01-13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660A KR20120082267A (ko) 2011-01-13 2011-01-13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2267A true KR20120082267A (ko) 2012-07-23

Family

ID=46714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660A KR20120082267A (ko) 2011-01-13 2011-01-13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226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8556B2 (en) 2013-11-27 2017-03-21 Yu-Jeong SHIN Binder composition and hardcore panel fabrication
CN109766975A (zh) * 2018-12-21 2019-05-17 北京印刷学院 二维码覆盖红外互补识别防伪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98556B2 (en) 2013-11-27 2017-03-21 Yu-Jeong SHIN Binder composition and hardcore panel fabrication
CN109766975A (zh) * 2018-12-21 2019-05-17 北京印刷学院 二维码覆盖红外互补识别防伪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aty et al. The greatest comic book of all time: Symbolic capital and the field of American comic books
Davidson Cross-media communications: An introduction to the art of creating integrated media experiences
Einstein Advertising: What everyone needs to know®
Lundberg et al. Conceptualising on-screen tourism destination development
Lashinsky Inside Apple: The secrets behind the past and future success of Steve Jobs's iconic brand
Waters QR codes for dummies
JP2009183390A (ja) ジグソーパズル
Boellstorff et al. Transplatform: culture, context, and the intellivision/atari VCS rivalry
Rius-Ulldemolins et al. From top-down urban planning to culturally sensitive planning? Urban renewal and artistic activism in a neo-bohemian district in Barcelona
KR20120082267A (ko) 단말기에서 인식 가능한 코드가 부여된 퍼즐
Wang et al. The Future Museum shapes the museum future: A progressive strategy of the National Palace Museum adopting new media art exhibitions as a marketing tool
Correia The fluid consumer: Next generation growth and branding in the digital age
Caldwell et al. Editorial design
Fleming et al. Chinese Urban Shi-nema: Cinematicity, Society and Millennial China
Gupta Small Business: Creating Value Through Entrepreneurship
Kleeman Books and reading are powerful with kids, but content discovery is challenging
Smith Sounds Like HBO: The Politics of Mold in Treme's Opening Credits
Budelmann et al. Brand Identity Essentials, Revised and Expanded: 100 Principles for Building Brands
Carman Visual Design Concepts for Mobile Games
Varaprasad et al. Gaining mindshare and timeshare: marketing public libraries in Singapore
Mills Future dialogs for illustration
Save Marketing in a mobile-first world: Tackling the why and the how
Chambers et al. 1990s dinomania: Public and popular cultures of palaeontology from Jurassic Park to Friends
Leichman Depth Match: Performance, History, and Digital Games
Baverstock et al. How to get a job in publishing: a really practical guide to careers in books and magaz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