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952A - 가방 - Google Patents

가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952A
KR20120081952A KR1020120003770A KR20120003770A KR20120081952A KR 20120081952 A KR20120081952 A KR 20120081952A KR 1020120003770 A KR1020120003770 A KR 1020120003770A KR 20120003770 A KR20120003770 A KR 20120003770A KR 20120081952 A KR20120081952 A KR 201200819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ocket
bag
main body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3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형진
Original Assignee
신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형진 filed Critical 신형진
Publication of KR20120081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9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겉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포켓은, 내부에 단말기가 수납되는 단말기 수납 공간과, 상기 단말기 수납 공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 그리고 상기 단말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기 단말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노출 창을 갖는다.

Description

가방{BAG}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를 보관할 수 있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는 정보의 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이 결합된 이다. 최근 들어 태블릿PC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태블릿PC는 제품 및 제조 회사에 따라 그 크기 또한 다양하다. 최근 들어 유행하고 있는 태블릿PC의 경우 대략 7in 내지 10in 정도의 크기로 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은 크기로 인하여 태블릿PC를 휴대하기에는 다소 불편하다. 따라서, 태블릿PC의 보관성, 이동성, 사용성이 높은 보관 장치를 요구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12732호 (다용도 가방) 2006.02.09. 2)등록특허공보 제10-0527165호 (수납용 가방의 잠금장치) 2005.11.01.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보관, 이동, 사용성 따위가 향상된 가방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겉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포켓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포켓은, 내부에 단말기가 수납되는 단말기 수납 공간과, 상기 단말기 수납 공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 그리고 상기 단말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기 단말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노출 창을 갖는다.
상기 본체와 상기 단말기 포켓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단말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단말기를 지지하는 받침 패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방은, 일측이 상기 본체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포켓을 가리며, 상기 단말기 포켓의 노출 창과 연결된 개방 창을 갖는 단말기 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방은, 상기 개방 창에 장착되어 있는 투명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방은, 상기 단말기 덮개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투명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방은, 상기 개방 창을 가리고 있으며, 일측이 상기 단말기 덮개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절첩 도어 및 상기 절첩 도어의 내부면과 상기 단말기 덮개의 외부면 사이에 위치한 절첩 도어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첩 도어 개폐 부재는 스냅 단추, 매직 테이프, 영구 자석, 파스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가방은, 상기 단말기 덮개의 내부면과 상기 본체의 외부면 사이에 위치한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는 스냅 단추, 매직 테이프, 영구 자석, 파스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가방은, 상기 본체의 겉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포켓과 이웃한 보조 포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방은, 상기 단말기 포켓의 출입구 부분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단말기 포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태블릿PC와 같은 단말기를 본체의 겉 표면에 장착된 단말기 포켓에 수납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어 단말기의 휴대성, 보관성, 이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투명창에 의하여 단말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창이 단말기의 전면을 가리고 있어 단말기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고, 덮개가 단말기 포켓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단말기 송수신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방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단말기 케이스가 본체의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단말기 케이스에 단말기 주변 장치를 고정하는 클립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단말기 케이스와 스탠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에 단말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을 단말기 덮개가 가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단말기 덮개에 투명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도 10에 도시한 투명 도어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투명 도어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도 8에 도시한 단말기 덮개에 절첩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5는 도 8에 도시한 단말기 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7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이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 분리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단속 수단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
도 20은 도 7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2는 도 21에 도시한 각도 조절부의 제1 치차와 제2 치차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각도 조절부의 제1 치차와 제2 치차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가방을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방(200)은, 본체(210), 단말기 케이스(220), 그리고 클립(240)을 포함한다. 그러나 클립(240)은 생략될 수 있다.
본체(210)는 책, 서류 따위를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다. 본체(210)의 개방된 부분에는 본체 개폐 부재(211)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 개폐 부재(211)는 본체(210)의 개방된 부분을 단속한다. 본체 개폐 부재(211)는 지퍼, 스냅 단추 따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 개폐 부재(211)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체(210)를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어깨 따위에 멜 수 있도록 본체(210)에는 끈(212)이 장착되어 있다.
본체(210)의 전면에는 장착부(213)가 설치되어 있다.
장착부(213)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양측 끝이 본체(210)의 전면에 봉제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장착부(213)는 스냅 단추, 지퍼 따위로 고정될 수도 있다.
장착부(213)의 양측 끝 부분만 본체(210)에 고정되므로, 장착부(213)의 일면과 본체(210)의 전면 사이는 떨어져 있다. 장착부(213)와 본체(210) 사이에는 끼움 홀(214)이 형성된다.
한편, 본체(210)의 전면에는 보조 수납부(215)가 장착되어 있다. 보조 수납부(215)는 장착부(213)와 이웃한다. 보조 수납부(215)에는 노트북 보다는 작으며, 각종 정보를 수집, 저장, 작성, 검색 및 통신기능이 결합된 소형 단말기의 이어폰, 블루투스, 배터리, 젠더(gender)와 같은 주변 장치(3) 들이 수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단말기 케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단말기 케이스가 본체의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케이스(2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착부(213)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단말기 케이스(220)의 내부로 단말기(2)가 수납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220)는 케이스 몸체(211), 도어(212), 그리고 장착 브래킷(215)을 포함한다. 그러나 도어(212)는 생략될 수 있다.
케이스 몸체(211)는 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단말기(2)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211a)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몸체(211)의 상면에는 단말기(2)가 드나드는 출입구(211d)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몸체(211)의 전면 일부분에는 개방 창(211b)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 창(211b)을 통하여 수납 공간(211a)에 수납된 단말기(2)의 액정 부분이 보일 수 있다. 개방 창(211b)을 통하여 수납 공간(211a)에 수납된 단말기(2)의 액정을 조작할 수 있다.
한편, 개방 창(211b) 부분에는 액정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 패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보호 패널은 개방 창(211b)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보호 패널은 생략될 수 있다.
케이스 몸체(211)의 좌우 양 측면에는 접속 창(211c)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 창(211c)을 통하여 주변 장치(3)가 접속되는 단말기(2)의 접속 포트(2a)들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수납부(215)에 수납된 주변 장치(3)가 접속 창(211c)을 통하여 접속 포트(2a)에 접속될 수 있다.
도어(212)는 케이스 몸체(211)의 출입구(211d)에 위치한다. 도어(212)의 일측에는 도어 힌지부(213)가 형성되어 있고, 도어 힌지부(213)는 케이스 몸체(211)에 연결되어 있다. 도어 힌지부(213)는 케이스 몸체(211)의 상부 좌우 양 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도어(212)는 도어 힌지부(213)의 축(213a)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출입구(211d)를 열거나 닫을 수 있다.
한편, 도어 힌지부(213)와 케이스 몸체(211) 사이에는 도어(212)의 닫힌 상태를 유지하는 도어 닫힘 유지 부(214)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 닫힘 유지 부(214)는 구 형태의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돌기는 케이스 몸체(211)에서 돌출되어 있고 홈은 도어 힌지부(213)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돌기와 홈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도어(212)가 출입구(211d)를 닫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돌기와 홈이 연결된다. 돌기와 홈이 연결되면 도어(212)는 닫힌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도어(212)에 힘을 가하여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 시키면 돌기는 홈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때, 도어(212)는 도어 힌지부(213)의 축(213a)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출입구(211d)가 열릴 수 있다. 도어(212)가 열리면 단말기(2)는 수납 공간(211a)으로 출입할 수 있다.
장착 브래킷(215)은 본체(210)의 장착부(213)를 사이에 두고 케이스 몸체(211)의 배면과 마주한다. 장착 브래킷(215)의 상부측에는 브래킷 힌지부(216)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힌지부(216)는 케이스 몸체(211)의 상부측에 연결되어 있다. 브래킷 힌지부(216)는 장착 브래킷(215)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며, 케이스 몸체(211)의 상부 좌우 양측면에 연결되어 있다. 장착 브래킷(215)은 브래킷 힌지부(216)의 축(216a)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착 브래킷(215)의 하부측은 케이스 몸체(211)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장착 브래킷(215)의 하부측은 본체(210)와 장착부(213)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장착 브래킷(215)의 하부측은 장착부(213)의 끼움 홀(214)을 통과하며, 케이스 몸체(211)의 하부측에 접한다.
이때, 장착 브래킷(215)의 하부측이 들뜨지 않고 케이스 몸체(211)의 하부측에 접할 수 있도록 장착부(213)가 접하는 장착 브래킷(215)에는 장착부(213)를 수용하는 수용 홈(215a)이 형성되어 있다. 수용 홈(215a)은 장착 브래킷(215)의 가운데 부분이 본체(210)의 전면 방향으로 구부러지면서 형성된다.
케이스 몸체(211)의 하단부에 접한 장착 브래킷(215)의 하단부를 케이스 몸체(211)에 고정하기 위하여 장착 브래킷(215)의 하부측과 마주하는 장착 브래킷(215) 사이에는 인력으로 장착 브래킷(215)을 케이스 몸체(211)에 고정하는 고정부(217)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17)는 영구자석과 자성체로 형성되어 있다. 영구자석은 장착 브래킷(215)에 고정되어 있고, 자성체는 케이스 몸체(211)에 연결되어 있다. 영구자석과 자성체의 인력에 의하여 장착 브래킷(215)의 타측은 케이스 몸체(211)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한편, 브래킷 힌지부(216)와 케이스 몸체(211) 사이에는 브래킷 힌지부(216)의 축(216a)을 기준으로 케이스 몸체(211)가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브래킷 잠금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 잠금부(218)는 구 형태의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돌기는 케이스 몸체(211)에서 돌출되어 있고 홈은 브래킷 힌지부(216)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돌기와 홈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장착 브래킷(215)의 하부측이 케이스 몸체(211)에 접한 상태에서는 돌기와 홈은 연결되어 있다.
돌기와 홈이 연결되면 장착 브래킷(215)는 브래킷 힌지부(216)의 축(216a)을 기준으로 회전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장착부(213)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이스 몸체(211)를 상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는 홈에서 벗어날 수 있다. 이때, 케이스 몸체(211)는 브래킷 힌지부(216)의 축(216a)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케이스 몸체(211)가 회전한 상태에서 케이스 몸체(211)를 들어 올리면 장착 브래킷(215)은 끼움 홀(214)에서 빠질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본체(210)와 단말기 케이스(220)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스 몸체(211)의 저면에는 스탠드 접속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스탠드 접속부(230)를 이용하여 본체(210, 도 1 참조)에 분리된 단말기 케이스(220)를 삼각대(4) 위에 설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면, 클립(240)은 동작 스위치를 누름으로 동작되는 블루투스와 같은 주변 장치(3)를 단말기 케이스(220)에 고정하는 것으로 클립 몸체(241) 및 걸림턱(242a, 242b)을 포함한다.
클립 몸체(241)는 탄성력을 갖도록 알파벳 씨자 형태로 구부러져 있으며 주변 장치(3)를 감싸 안을 수 있다. 주변 장치(3)를 감싸는 클립 몸체(241)는 케이스 몸체(211)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주변 장치(3)의 동작 스위치는 접속 창(211c) 부분에 위치하도록 한다. 주변 장치(3)의 동작 스위치가 접속 창(211c) 부분에 위치하면, 동작 스위치는 외부 충격으로부터 눌러 지지 않는다.
걸림턱(242a, 242b)은 클립 몸체(241)를 케이스 몸체(211)에 고정하는 것으로, 클립 몸체(241)의 양측 끝에 위치하여 내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일측 걸림턱(242a)은 케이스 몸체(211)의 개방 창(211b) 부분에 걸리며, 타측 걸림턱(242b)은 케이스 몸체(211)의 배면 부분에 형성된 요홈(도시하지 않음)에 걸린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에 대하여 도 7 내지 도 2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에 단말기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을 단말기 덮개가 가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다른 가방(100)은, 본체(110) 및 단말기 포켓(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방(100)은 단말기 포켓(120)을 덮는 단말기 덮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책, 서류 따위를 보관할 수 있는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어 있다. 본체(110)의 개방된 부분에는 개방된 일측을 단속하는 본체 개폐 부재(111)가 장착되어 있다. 본체 개폐 부재(111)는 지퍼, 스냅 단추 따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 개폐 부재(111)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체(110)를 손으로 들고 다니거나, 어깨 따위에 멜 수 있도록 본체(110)에는 끈(112)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체(110)는 가죽, 천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단말기 포켓(120)은 본체(110)의 전면 겉 표면에 장착되어 있다. 단말기 포켓(120)의 내부에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전자 사전, 휴대 전화기, 태블릿PC 따위의 단말기(1)가 수납되는 단말기 수납 공간(121)이 형성되어 있다. 단말기 수납 공간(121)의 내부 둘레면에는 수납되는 단말기(1)를 완충 시켜 충격 따위를 완화하는 완충제(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포켓(120)의 일면에는 단말기 수납 공간(121)과 연결된 출입구(122)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단말기 포켓(120)의 전면에는 단말기 수납 공간(121)과 연결된 노출 창(1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는 출입구(122)를 통하여 단말기 수납 공간(121)으로 출입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수납 공간(121)에 위치한 단말기(1)의 전면 부분은 노출 창(123)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노출된 부분을 통하여 단말기 수납 공간(121)에 수납된 단말기(1)의 전면(액정)을 터치할 수 있다.
단말기 수납 공간(121)에 단말기(1)가 수납되면, 단말기 포켓(120)은 단말기(1)의 테두리 부분을 감싸게 된다. 아울러, 단말기 포켓(120)의 측면에는 단말기 수납 공간(121)에 수납된 단말기(1)에 이어폰, 충전기, 젠더(gender) 따위를 연결하기 위한 구멍(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 포켓(120)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가죽, 천 따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포켓(120)은 투명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 포켓(120)의 재질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본체(110)의 겉 표면과 단말기 포켓(120)의 사이에는 단말기 포켓(120)을 지지하는 받침 패널(124)이 배치되어 있다. 받침 패널(124)은 가죽, 천 따위로 만들어진 본체(110)의 지지력을 보강하여 단말기 포켓(120)을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받침 패널(124)은 단말기 포켓(120)을 지지하는 동시에 단말기 수납 공간(121)에 수납된 단말기(1)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받침 패널(124)은 본체(110) 보다 딱딱한 플라스틱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받침 패널(124)을 플라스틱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받침 패널(124)은 생략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단말기 포켓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도 7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이 가변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8는 도 17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 분리 사시도이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한 단속 수단을 나타낸 부분 단면 사시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포켓(120)은 단말기(1)의 크기에 따라 길이 또는 폭이 가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 포켓(120)은 제1 부재(120a), 제2 부재(120b), 그리고 단속 수단(127)을 포함한다.
제1 부재(120a)는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다. 제1 부재(120a)와 제2 부재(120b)는 마주한다. 제1 부재(120a)의 내부에는 일측이 개방된 삽입 홈(125)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삽입 홈(125)은 단말기 수납 공간(121)과 구획되어 있다.
제2 부재(120b)에는 삽입 홈(125)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126)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 부재(126)는 삽입 홈(125)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부재(120b)가 본체(110)에 장착되어 있고, 제1 부재(120a)가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다.
단속 수단(127)은 제2 부재(120b)의 이동 범위를 단속하여, 제2 부재(120b)가 제1 부재(120a)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단속 수단(127)은 걸림 공(127a), 볼(127b), 그리고 볼 탄성 부재(127c)를 포함한다.
걸림 공(127a)은 삽입 부재(126)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삽입 홈(125)의 내부 둘레면에는 걸림 공(127a)과 마주하는 장착 홀(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 홀에는 볼(127b)이 배치되어 있다. 볼(127b)은 걸림 공(127a)에 삽입될 수 있다. 장착 홀의 입구 부분은 볼(127b)을 어느 정도 감싸고 있다. 이에 따라 볼(127b)은 장착 홀에서 이탈하지 않는다.
볼 탄성 부재(127c)는 장착 홀에 위치하여 볼(127b)이 걸림 공(127a)에 걸리도록 탄성력을 부여 한다.
삽입 부재(126)가 슬라이드 이동할 때 볼(127b)이 걸림 공(127a)에 단계적으로 걸리면서 제2 부재(120b)의 이동 범위를 단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1)의 크기에 따라 단말기 포켓(120)의 길이 또는 폭을 가변 시켜 다양한 크기의 단말기(1)를 단말기 수납 공간(121)에 수납할 수 있다.
한편, 제1 부재(120a), 제2 부재(120b)와 본체(110) 사이에는 패널(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패널과 제1 부재(120a), 제2 부재(120b) 사이에는 가이드 레일(도시하지 않음)과 가이드 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이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부재(120a)와 제2 부재(120b)가 이동하여 단말기(1)기의 크기에 따라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단말기 포켓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는 도 7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이 회전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1는 도 20에 도시한 단말기 포켓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2는 도 121에 도시한 각도 조절부의 제1 치차와 제2 치차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1에 도시한 각도 조절부의 제1 치차와 제2 치차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포켓(120)은 본체(110)와 떨어져 있으며, 힌지 장치(170)로 본체(110)와 연결되어 있다. 힌지 장치(170)는 단말기 포켓(120)을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한다.
힌지 장치(170)는 힌지 축(171), 힌지 하우징(172), 그리고 각도 조절부(173)를 포함한다.
힌지 축(171)은 단말기 포켓(120)의 양측에 위치하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힌지 하우징(172)은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마주한다. 힌지 하우징(172)의 마주하는 부분에는 힌지 축(171)이 삽입되는 힌지 공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 축(171)은 힌지 공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기 포켓(12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 축(171)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각도 조절부(173)는 회전하는 단말기 포켓(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제1 치차(173a), 제2 치차(173b), 레버(173c), 그리고 치차 탄성 부재(173d)를 포함한다.
제1 치차(173a)는 양측에 위치한 힌지 축(171) 중 어느 하나의 힌지 축(171) 외부 둘레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2 치차(173b)는 힌지 하우징(172)의 힌지 공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하며 제1 치차(173a)와 맞물린다. 이때 제2 치차(173b)는 제1 치차(173a)를 감쌀 수 있도록 내접 기어 형태로 형성된다. 내접 기어인 제2 치차(173b)는 힌지 공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레버(173c)는 제2 치차(173b)를 제1 치차(173a)에서 분리 하는 것으로, 일측이 제2 치차(173b)에 결합되어 있고 타측이 힌지 하우징(172)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173c)는 손잡이와 샤프트로 이루어져 있다.
레버(173c)의 샤프트는 일측이 힌지 하우징(172)을 관통하여 제2 치차(173b)와 연결되어 있다. 이때 제2 치차(173b)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샤프트를 측면에서 본 단면 모양은 사각 모양이다. 이에 따라 샤프트가 관통된 힌지 하우징(172)의 관통공 또한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샤프트와 관통공은 스플라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레버(173c)의 손잡이는 샤프트의 타측에 위치하며 사용자가 잡을 수 있다. 손잡이 잡고 샤프트를 당기면 샤프트는 힌지 하우징(172) 외측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치차(173b)가 제1 치차(173a) 로부터 분리 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기 포켓(120)은 힌지 축(171)을 기준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치차 탄성 부재(173d)는 힌지 하우징(172)의 힌지 공 내부에 위치하여 제2 치차(173b)가 제1 치차(173a)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 한다. 이에 따라 단말기 포켓(120)이 회전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잡고 있던 레버(173c)의 손잡이를 놓게 되면 치차 탄성 부재(173d)의 탄성력에 의하여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치차(173b)가 제1 치차(173a)에 맞물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단말기 포켓(120)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된 상태를 유지 하게 된다.
이때, 단말기 포켓(120)은 그 중량에 의하여 본체(1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이때 단말기 포켓(120)이 회전하려면 제2 치차(173b)가 회전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2 치차(173b)와 연결된 레버(173c)의 샤프트가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힌지 하우징(172)의 관통공에 걸려 본체(110)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회전 되지 못하고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단말기 포켓(120)이 회전하기 위해서는 제2 치차(173b)가 제1 치차(173a)에서 분리되어야지만 회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9를 다시 참조하여 이탈 방지부(1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탈 방지부(160)는 단말기 수납 공간(121)에 수납되어 있는 단말기(1)가 출입구(122)를 통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탈 방지부(160)는 일측이 본체(110)의 겉 표면에 고정되어 있고, 타측은 단말기 포켓(120)의 전면에 매직 테이프, 영구 자석, 스냅 단추 따위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이탈 방지부(160)의 일측이 본체(1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단말기 포켓(1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탈 방지부(160)가 단말기 포켓(120)에서 분리되면 단말기(1)를 수납 공간(121)으로 드나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이탈 방지부(160)는 신축 가능한 고무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탈 방지부(160)는 가죽, 천 따위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단말기 덮개(150)는 단말기 포켓(120)에 수납된 단말기(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단말기 포켓(120)를 덮을 정도의 면적을 갖는다. 단말기 덮개(130)의 일측은 본체(110)와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접힐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 덮개(130)는 단말기 포켓(120)만을 덮는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전면을 전체적으로 덮을 수도 있다.
단말기 덮개(150)가 단말기 포켓(120)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 노출 창(123)을 통해 노출된 단말기(1)을 조작할 수 있도록, 단말기 덮개(150)에는 노출 창(123)과 연결된 개방 창(131)이 형성되어 있다. 개방 창(131)을 통해 노출 창(123)으로 노출된 단말기(1)의 전면을 조작할 수 있다.
단말기 덮개(130)의 타측 내부면과 본체(110)의 외부면 사이, 또는 단말기 덮개(130)의 양측 내부면과 본체(110)의 외부면 사이에는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132)가 장착되어 있다.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132)는 단말기 덮개(130)가 단말기 포켓(120)을 덮고 있을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그러나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포켓(120)이 힌지 축(171)을 기준으로 회전 하는 경우,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132)는 단말기 덮개(130)와 단말기 포켓(120) 사이에 위치할 수도 있다.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132)는 매직 테이프(magic tape), 영구 자석, 스냅 단추, 파스너(fasten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132)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기 포켓(120)과 이웃한 위치에는 단말기(1)의 이어폰, 충전기, 젠더(gender) 따위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보조 포켓(150)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 포켓(150)의 일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개방된 부분에는 신축 밴드(도시하지 않음) 따위가 결합되어 있다. 신축 밴드의 신축성에 의하여 개방된 부분이 오그려져 보조 포켓(150)에 보관된 물품의 분실을 방할 수 있다.
보조 포켓(150)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덮개(130)가 단말기 포켓(120)을 덮고 있을 때 단말기 덮개(130)로부터 벗어나 있을 수 있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덮개(13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를 참고하여 단말기 덮개에 장착된 투명 도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도 8에 도시한 단말기 덮개에 투명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단말기 덮개(130)의 개방 창(131)에는 투명 도어(140a)가 장착되어 있다. 투명 도어(140a)는 단말기 포켓(120)에 수납된 단말기(1)의 액정 부분을 가린다. 투명 도어(140a)는 단말기(1)의 액정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투명 도어(140a)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아크릴,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투명 도어(140a)에 의하여 단말기 덮개(130)를 열지 않고도 단말기 포켓(120)에 보관 중인 단말기(1)를 확인 할 수 있다. 즉, 투명 도어(140a)를 통하여 단말기(1)의 액정에 표시되는 영상, 문자, 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명 도어(140a)는 반 투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여 단말기 덮개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투명 도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는 도 10에 도시한 투명 도어가 가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은 도 10에 도시한 투명 도어가 세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한 투명 도어가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을 참고하면, 단말기 덮개(130)에는 가이드 부재(142)가 장착되어 있고, 가이드 부재(142)에는 투명 도어(140a)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투명 도어(140a)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따라 개방 창(131)이 열리거나 닫힐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2)는 투명 도어(140a)가 결합되는 슬라이드 홈(143)을 가지며, 단말기 덮개(130)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개방 창(131)을 사이에 두고 마주한다. 그러나 가이드 부재(142)는 단말기 덮개(130)의 외부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부재(142)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덮개(130)의 가로 방향 또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 덮개(130)의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42)가 배치되는 방향은 단말기 덮개(130)의 면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도어(140a)를 이동시켜 개방 창(131)을 열면 단말기 포켓(120)에 보관 중인 단말기(1)의 전면이 노출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단말기 덮개(130)를 열지 않고도 단말기(1)를 조작할 수 있다.
투명 도어(140a)를 이동 시킬 때 사용자가 투명 도어(140a)를 간편하게 잡을 수 있도록 투명 도어(140a)의 외측면에는 손잡이(141)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손잡이(141)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가이드 부재(142)는 아크릴, 합성수지 따위로 만들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를 참고하여 단말기 덮개에 장착된 절첩 도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도 8에 도시한 단말기 덮개에 절첩 도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고하면, 절첩 도어(140b)는 단말기 덮개(130)의 외부면에 위치하여 개방 창(131)에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절첩 도어(140b)의 일측은 단말기 덮개(130)와 연결되어 있다. 절첩 도어(140b)는 단말기 덮개(130)와 연결된 부분을 기준으로 움직여 개방 창(131)을 열거나 닫을 수 있다.
절첩 도어(140b)가 개방 창(131)을 닫으면, 단말기 포켓(120)에 수납된 단말기(1)의 액정 부분을 가린다. 투명 도어(140a)는 단말기(1)의 액정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절첩 도어(140b)가 개방 창(131)을 열면 단말기 포켓(120)에 수납된 단말기(1)의 액정 부분이 노출된다. 이렇게 되면 단말기 덮개(130)를 열지 않고도 단말기(1)를 조작하고, 단말기(1)의 액정에 표시되는 영상, 문자, 수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절첩 도어(140b)의 타측 내부면과 단말기 덮개(130)의 외부면 사이, 또는 절첩 도어(140b)의 양측 내부면과 본체(110)의 외부면 사이에는 절첩 도어 개폐 부재(144)가 장착되어 있다. 절첩 도어 개폐 부재(144)는 절첩 도어(140b)가 개방 창(131)을 닫고 있는 상태에서 열리지 않도록 고정한다.
절첩 도어 개폐 부재(144)는 매직 테이프(magic tape), 영구 자석, 스냅 단추, 파스너(fastener)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절첩 도어 개폐 부재 (144)에 대하여 한정하지 않는다. 절첩 도어 개폐 부재(144)는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132)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단말기(1)를 본체(110)에 장착된 단말기 포켓(120)에 수납한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어 단말기(1)의 휴대성, 보관성, 이동성이 향상된다. 또한, 투명 도어(140a), 절첩 도어(140b)에 의하여 단말기(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투명 도어(140a), 절첩 도어(140b)가 단말기(1)의 전면을 가리고 있어 단말기(1)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투명 도어(140a)가 단말기 포켓(120)을 덮고 있는 상태에서도 단말기(1)의 액정에 표시되는 영상, 문자, 수신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200: 가방
210: 본체 211: 본체 개폐 부재
212: 끈 213: 장착부
214: 끼움 홀 215: 보조 수납부
220: 단말기 케이스
211: 케이스 몸체 211a: 수납 공간
211b: 개방 창 211c: 접속 창
211d: 출입구 212: 도어
213: 도어 힌지부 213a: 축
214: 도어 닫힘 유지 부 215: 장착 브래킷
215a: 수용 홈 216: 브래킷 힌지부
216a: 축 217: 고정부
218: 브래킷 잠금부 230: 스탠드 접속부
240: 클립 241: 클립 몸체
242a, 242b: 걸림턱
100: 가방
110: 본체
111: 본체 개폐 부재 112: 끈
120: 단말기 포켓 120a: 제1 부재
120b: 제2 부재 121: 단말기 수납 공간
122: 출입구 123: 노출 창
124: 받침 패널 125: 삽입 홈
126: 삽입 부재 127: 단속 수단
127a: 걸림 공 127b: 볼
127c: 볼 탄성 부재 130: 단말기 덮개
131: 개방 창 132: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
140a: 투명 도어 141: 손잡이
142: 가이드 부재 143: 슬라이드 홈
140b: 절첩 도어 144: 절첩 도어 개폐 부재
150: 보조 포켓 160: 이탈 방지부
170: 힌지 장치 171: 힌지 축
172: 힌지 하우징 173: 각도 조절부
173a: 제1 치차 173b: 제2 치차
173c: 레버 173d: 치차 탄성 부재
1, 2: 단말기

Claims (20)

  1. 물품을 수납할 수 있고, 일면에 장착부가 형성된 본체 및
    상기 장착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내부에 단말기가 수납될 수 있는 단말기 케이스
    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케이스는,
    내부에 형성된 수납 공간으로 상기 단말기가 출입하도록 일측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단말기의 액정 부분이 노출되도록 전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케이스 몸체 및
    상기 장착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케이스 몸체의 배면과 마주하며, 일측이 상기 케이스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장착 브래킷
    을 포함하는
    가방.
  2. 제1항에서,
    상기 장착부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양측 끝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가방.
  3. 제1항에서,
    상기 띠 형태의 장착부와 접하는 상기 장착 브래킷의 일부분에는 상기 장착부를 수용하는 수용 홈이 형성되어 있는 가방.
  4. 제1항에서,
    상기 출입구에 위치하고, 상기 출입구를 단속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는 가방.
  5. 제1항에서,
    상기 장착 브래킷은,
    상기 장착 브래킷의 일측을 상기 케이스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브래킷 힌지부 및
    상기 장착 브래킷의 타측과 상기 케이스 몸체 사이에 위치하고, 인력으로 상기 장착 브래킷의 타측을 상기 케이스 몸체에 고정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가방.
  6. 제1항에서,
    상기 케이스 몸체의 양측에는 접속 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몸체의 출입구와 마주하는 타측면에는 스탠드 접속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단말기의 주변 장치는 상기 접속 창을 통하여 상기 단말기의 포트에 접속하는 가방.
  7. 제6항에서,
    상기 케이스 몸체의 측면에 상기 주변 장치를 고정하는 클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주변 장치를 감싸는 클립 몸체 및
    상기 클립 몸체의 양측 끝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 몸체에 걸리는 걸림턱
    을 포함하는
    가방.
  8.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겉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단말기 포켓
    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포켓은, 내부에 단말기가 수납되는 단말기 수납 공간과, 상기 단말기 수납 공간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 그리고 상기 단말기 수납 공간에 수납된 상기 단말기의 전면이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노출 창을 갖는
    가방.
  9. 제8항에서,
    일측이 상기 본체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포켓을 가리며, 상기 단말기 포켓의 노출 창과 연결된 개방 창을 갖는 단말기 덮개를 더 포함하는 가방.
  10. 제9항에서,
    상기 개방 창에 장착되어 있는 투명 도어를 더 포함하는 가방.
  11. 제9항에서,
    상기 단말기 덮개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투명 도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방.
  12. 제9항에서,
    상기 개방 창을 가리고 있으며, 일측이 상기 단말기 덮개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절첩 도어 및
    상기 절첩 도어의 내부면과 상기 단말기 덮개의 외부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절첩 도어를 단속하는 절첩 도어 개폐 부재
    을 더 포함하는 가방.
  13. 제9항에서,
    상기 단말기 덮개의 내부면과 상기 본체의 외부면 사이에 위치한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덮개 개폐 부재는 스냅 단추, 매직 테이프, 영구 자석, 파스너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가방.
  14. 제8항에서,
    상기 본체의 겉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단말기 포켓과 이웃한 보조 포켓을 더 포함하는 가방.
  15. 제8항에서,
    상기 단말기 포켓의 출입구 부분에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본체에 연결되어 있고, 타측이 상기 단말기 포켓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탈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가방.
  16. 제9항에서,
    상기 단말기 포켓은
    일측이 개방된 삽입 홈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와 마주하고,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되는 삽입 부재가 형성된 제2 부재, 그리고
    상기 삽입 부재와 상기 삽입 홈의 둘레면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삽입 부재의 이동 범위를 단속하는 단속 수단
    을 포함하는
    가방.
  17. 제16항에서,
    상기 단속 수단은
    상기 삽입 부재의 둘레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걸림 공,
    상기 삽입 홈의 내부 둘레면에 장착되어 상기 걸림 공에 걸리는 볼, 그리고
    상기 볼을 상기 걸림 공에 걸리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볼 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가방.
  18. 제8항에서,
    상기 단말기 포켓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포켓을 회전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연결하는 힌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가방.
  19. 제18항에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단말기 포켓 양측에 위치한 힌지 축,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힌지 축이 삽입된 힌지 하우징, 그리고
    상기 양측에 위치한 힌지 축 중 일측에 위치한 힌지 축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단말기 포켓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
    를 포함하는
    가방.
  20. 제19항에서,
    상기 각도 조절부는,
    상기 일측 힌지 축에 형성된 제1 치차,
    상기 제1 치차에 결합되어 있고 직선 이동하는 제2 치차,
    상기 힌지 하우징 외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2 치차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치차를 이동시키는 레버, 그리고
    상기 제2 치차가 상기 제1 치차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치차 탄성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치차에서 상기 제2 치차가 분리되면 상기 단말기 포켓은 힌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가방.
KR1020120003770A 2011-01-12 2012-01-12 가방 KR2012008195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3281 2011-01-12
KR1020110003281 2011-01-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952A true KR20120081952A (ko) 2012-07-20

Family

ID=46713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3770A KR20120081952A (ko) 2011-01-12 2012-01-12 가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195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390A1 (ko) * 2013-08-06 2015-02-12 Han Min-Hyung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CN106213728A (zh) * 2016-08-30 2016-12-14 蔡志坚 一种平板电脑手提包
JP2020137978A (ja) * 2019-02-28 2020-09-03 東陽市俊康文具有限公司 子供用筆収納バック
GB2592874A (en) * 2019-11-07 2021-09-15 Oxti Corp Carrying bag with exposed fixtur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20390A1 (ko) * 2013-08-06 2015-02-12 Han Min-Hyung 조절형 받침판부를 구비한 모바일기기 사용자용 가방
US9907373B2 (en) 2013-08-06 2018-03-06 Min-Hyung HAN Bag for a mobile device user with an adjustable support board
CN106213728A (zh) * 2016-08-30 2016-12-14 蔡志坚 一种平板电脑手提包
CN106213728B (zh) * 2016-08-30 2017-09-26 蔡志坚 一种平板电脑手提包
JP2020137978A (ja) * 2019-02-28 2020-09-03 東陽市俊康文具有限公司 子供用筆収納バック
GB2592874A (en) * 2019-11-07 2021-09-15 Oxti Corp Carrying bag with exposed fix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8140B2 (en) Mobile device enclosure system
US20120111881A1 (en) Protective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US9788621B2 (en)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
US20120113572A1 (en) Method and system for electronic device cases
ES2543617T3 (es) Accesorios de carcasa de dispositivos electrónicos portátiles y sistemas y métodos correspondientes
US20120103855A1 (en) Cases for electronic devices
US20140166707A1 (en) Apparatus with rotating disc for electronic devices and the like
US9345310B2 (en) Multifunctional strap system for handheld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7584841B2 (en) Holding device for holding and positioning a portable object
US8763795B1 (en) Dual support flap case
US20090120980A1 (en) Accessory Cas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3166286A2 (en) Device cover for accessory attachment
US20120037536A1 (en) Protective Case With Sliding Display Cover
US10406671B2 (en) Apparatus for gripping handheld devices
US20140057687A1 (en) Cellular phone case
US20120187706A1 (en) Hand grip for electronic devices
US20110294542A1 (en) Cell phone cover with integrated mirror and flip shield
US8923938B2 (en) Protective carrying apparatus for a cellular phone and essential personal items
KR20120081952A (ko) 가방
US20140116895A1 (en) Electronic device case
KR20000052260A (ko) 노트북 컴퓨터용 가방
JP2016509701A (ja) パーソナル電子デバイス用のラッチ・アンド・キャリー着脱可能メッセンジャ・バッグおよびショルダストラップ・アセンブリ
US8554292B1 (en) Wristband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631606B1 (en) Pocket for electronic device
US20220087386A1 (en) Multi-functional accessory attachment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