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888A -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 - Google Patents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888A
KR20120081888A KR1020110003265A KR20110003265A KR20120081888A KR 20120081888 A KR20120081888 A KR 20120081888A KR 1020110003265 A KR1020110003265 A KR 1020110003265A KR 20110003265 A KR20110003265 A KR 20110003265A KR 20120081888 A KR20120081888 A KR 20120081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able
output module
input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3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66188B1 (ko
Inventor
노성학
신성호
임종태
김경준
채웅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3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61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81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6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6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4Multichannel or multilink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를 유무선 탭 오프 장치로 교체하는 작업 시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의 분배기만을 분리하여 유무선 탭 오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교체 작업에 따른 서비스 단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의 입출력 모듈을 그대로 채용하여 분배기가 분리된 입출력 모듈에 어댑터 장치를 착탈 가능한 구조로 부착하고 어댑터 장치에 유무선 서비스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장치를 부착함으로써 서비스의 중단 없이 유무선 탭 오프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Tap-off apparatus, adapter and main body thereof}
본 발명은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를 유무선 탭 오프 장치로 교체하는 작업 시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의 분배기만을 분리하여 유무선 탭 오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교체 작업에 따른 서비스 단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가입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이나 IPTV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광 케이블을 통해 분배센터(20)에 광 신호를 제공하면 분배센터(20)는 각 셀(셀 #1 ... 셀 #N)마다 배치되어 광 케이블을 통해 연결된 ONU(Optical Network Unit)(30)에 광 신호를 분배한다. ONU(30)가 광 신호를 케이블 RF 신호로 변환하여 TBA(Trunk Bridge Amplifier)(40)에 전달하면 TBA(40)는 케이블 RF 신호를 증폭한다. 증폭된 케이블 RF 신호는 각 탭 오프 장치(50)에 전달되어 각 탭 오프 장치(50)에 연결된 가입자 단말에 서비스가 제공된다. 분배센터(20)에서 ONU(30)까지는 광 케이블이 연결되고 ONU(30)에서 탭 오프 장치(50)까지는 동축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탭 오프 장치(50)에는 유선 인터넷 가입자의 단말(PC)이 연결되어 가입자 단말은 탭 오프 장치(50)를 통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 받는다.
현재 유선 인터넷 서비스만 제공하는 유선 탭 오프 장치(50)를 무선랜(Wireless LAN: WLAN)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는 유무선 탭 오프 장치로 교체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의 규격이 제조사별로 상이하기 때문에 유무선 탭 오프 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미 시설되어 있는 유선 탭 오프 장치를 완전 철거한 후 무선 탭 오프 장치로 교체해야 하므로 교체 작업 동안 신호 단절에 의해 서비스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를 무선랜 서비스가 가능한 유무선 탭 오프 장치로 교체하는 작업을 할 때 신호 단절에 의해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한 유무선 탭 오프 장치 및 이의 설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탭 오프 장치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를 입력 받아 댁내로 분기하는 동시에 다른 입출력 모듈로 출력하는 입출력 모듈과, 상기 입출력 모듈에서 분기된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를 분리하는 어댑터 장치와, 상기 어댑터 장치에서 분리된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고 상기 어댑터 장치에서 분리된 케이블 RF 신호를 댁내 가입자에게 분배하는 동시에 상기 어댑터 장치에서 분리된 케이블 RF 신호를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랜 서비스를 수행하는 메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장치는 상기 입출력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메인 장치는 상기 어댑터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장치는 동축케이블에 연결된 입출력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입출력 모듈에서 분기된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를 분리하는 필터회로와, 상기 필터 회로에서 분리된 케이블 RF 신호를 기 설정된 분기 손실 값만큼 감쇄시키는 감쇄기를 포함하며, 상기 감쇄기는 상기 어댑터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장치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들어온 신호 중 케이블 RF 신호를 댁내 가입자에게 분배하는 동시에 무선랜 서비스를 위해 라우팅 하는 분배기와, 기 분배기로부터 라우팅 된 케이블 RF 신호를 입력 받아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과, 상기 케이블 모뎀에서 출력된 무선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모뎀과 상기 액세스포인트 간에 상호 감시 기능이 수행되어 상기 케이블 모뎀 또는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어느 한 쪽의 고장을 감지하면 어느 한 쪽에 대하여 전원 리셋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장치는 케이블 RF 신호를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 칩이 장착된 제1 보드와, 상기 무선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액세스포인트 칩이 장착된 제2 보드와, 상기 제1 보드 및 상기 제2 보드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드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제1 보드에 장착된 케이블 모뎀 칩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입자 망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유선 탭 오프 장치의 입출력 모듈을 그대로 사용함으로써 유무선 탭 오프 장치로의 교체 비용이 절감되며 케이블 작업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교체가 용이하고 신호 단절로 인한 서비스의 중단 없이 교체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의 입출력 모듈에 부착되는 어댑터 장치에 감쇄기가 착탈 가능한 구조를 적용하여 감쇄기를 바꿔 끼우는 것만으로 각 탭 오프 장치마다 설정되는 분기 손실 값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고, 분기 손실 값에 대응하는 무선 탭 오프 장치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탭 오프 장치에 내장되는 케이블 모뎀의 경우 DOCSIS 3.0 규격을 적용하여 최대 하향속도 400Mbps, 최대 상향속도 120Mbps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무선 액세스포인트의 경우 무선랜 카드를 2개 내장하여 2.4GHz뿐만 아니라 5GHz 대역의 무선랜 신호를 지원할 수 있기 때문에 액세스포인트가 2개 동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동시에 많은 무선랜 가입자의 접속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탭 오프 장치에 장애 발생시 자동 전원 리셋 기능이 수행되기 때문에 종래처럼 운용자가 직접 현장 출동을 하지 않고서도 장애 복구가 가능하므로 장애 조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이로써 운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탭 오프 장치의 메인 장치의 전면에 회전도어를 설치하여 내부 회로의 조립 및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가입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의 구성도.
도 2는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유무선 탭 오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장치의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장치의 내부 구조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탭 오프 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본 발명은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를 유무선 탭 오프 장치로 교체함에 있어서 신호 단절에 의한 서비스 중단이 없도록 하기 위해 새로운 구조의 유무선 탭 오프 장치를 제안한 것이다.
도 2는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유선 탭 오프 장치(50)는 동축케이블(41)을 통해 상호 연결된다. 유선 탭 오프 장치(50)는 입출력 모듈(51)과 분배기(52)를 포함한다. 입출력 모듈(51)은 동축케이블(41)을 통해 케이블 RF 신호 및 AC 신호를 입력 받아 케이블 RF 신호를 분배기(52)에 출력하는 동시에 케이블 RF 신호 및 AC 신호를 다른 유선 탭 오프 장치(50)의 입출력 모듈(미도시)에 출력한다.
분배기(52)는 입출력 모듈(51)로부터 케이블 RF 신호를 입력 받아 자신에게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가입자 단말(미도시)에 케이블 RF 신호를 분배함으로써 각 가입자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2b는 실제 유선 탭 오프 장치(50)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 동축케이블(41)을 통해 연결된 유선 탭 오프 장치(50)를 유무선 탭 오프 장치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동축케이블(41)에서 유선 탭 오프 장치(50)를 완전히 분리하고 유선 탭 오프 장치(50)가 제거된 동축케이블(41) 사이에 유무선 탭 오프 장치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교체 작업 시 동축케이블의 연결이 끊어지므로 서비스 중단 사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의 입출력 모듈(51)은 동축케이블(41)에 그대로 연결되어 있고 분배기(52)만을 떼어내어 유무선 탭 오프 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중단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탭 오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유무선 탭 오프 장치는 크게 입출력 모듈(51), 어댑터 장치(53), 메인 장치(57)로 구성된다. 입출력 모듈(51)은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의 입출력 모듈을 그대로 채용한다. 메인 장치(57)은 유선랜 서비스와 무선랜 서비스를 동시 제공할 수 있는 부분으로 분배기(52), AC-DC 컨버터(54), 액세스포인트(55), 케이블 모뎀(56)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의 입출력 모듈(51)에 어댑터 장치(53)을 부착하고 어댑터 장치(53)에 메인 장치(57)을 부착하여 유무선 탭 오프 장치를 설치하게 된다.
입출력 모듈(51)은 동축케이블(41)을 통해 케이블 RF 신호 및 AC 신호를 입력 받아 케이블 RF 신호 및 AC 신호를 어댑터 장치(53)에 출력하는 동시에 케이블 RF 신호 및 AC 신호를 다른 유선 탭 오프 장치(50)의 입출력 모듈(미도시)에 출력한다.
어댑터 장치(53)은 입출력 모듈(51)로부터 입력 받은 케이블 RF 신호 및 AC 신호를 각각 분배기(52) 및 AC-DC 컨버터(54)에 전달한다. 어댑터 장치(53)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AC-DC 컨버터(54)는 메인 장치(57)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AC-DC 컨버터(54)는 어댑터 장치(53)로부터 AC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DC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전원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AC-DC 컨버터(54)는 60V 또는 90V의 AC 신호를 12V의 DC 신호로 변환한다. AC-DC 컨버터(54)에서 출력된 DC 신호는 액세스포인트(55) 및 케이블 모뎀(56)에 공급되어 액세스포인트(55) 및 케이블 모뎀(56)을 동작시킨다.
분배기(52)는 어댑터 장치(53)로부터 케이블 RF 신호를 입력 받아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가입자 단말에 케이블 RF 신호를 분배한다. 또한 분배기(52)는 케이블 모뎀(56)에 케이블 RF 신호를 라우팅 하여 무선랜 서비스에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분배기(52)의 출력 단자는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와 마찬가지로 8분기 또는 16분기 포트를 갖는다. 분배기(52)의 출력 단자는 가입자 단말과 유선 결합되고 나머지 일부 출력 단자는 케이블 모뎀(56)과 결합된다. 도 3에서는 하나의 출력 단자가 케이블 모뎀(56)에 연결되어 있으나, 케이블 모뎀(56)에 연결되는 출력 단자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관리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55)는 케이블 모뎀(56)에서 출력된 무선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세스포인트(55)는 IEEE 802.11b, 11g, 11a, 11n 등의 규격을 지원한다.
액세스포인트(55)는 2.4GHz 대역의 무선랜 신호를 지원하는 제1 무선랜 카드 및 5GHz 대역의 무선랜 신호를 지원하는 제2 무선랜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세스포인트(55)는 2.4GHz 무선랜 카드 또는 5GHz 무선랜 카드를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무선랜 브리지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2개의 액세스포인트가 동작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케이블 모뎀(56)은 분배기(52)로부터 라우팅 된 케이블 RF 신호를 입력 받아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모뎀은 DOCSIS 3.0 규격을 적용하여 최대 하향속도 400Mbps, 최대 상향속도 120Mbps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케이블 모뎀(56)과 액세스 포인트(55)에 와치 독(watch dog) 기능을 추가하여 장애 발생시 자동 전원을 리셋 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케이블 모뎀(56)과 액세스포인트(55) 간에 상호 감시 기능이 수행되어 케이블 모뎀(56) 또는 액세스포인트(55)가 어느 한 쪽의 고장을 감지하면 어느 한 쪽에 대하여 전원 리셋을 명령하게 된다. 따라서 장애 발생시 자동 전원 리셋 기능에 의해 종래처럼 운용자가 직접 현장 출동을 하지 않고서도 장애 복구가 가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실제 어댑터 장치를 나타내고 도 4b는 어댑터 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장치(53)은 하나의 기판으로 구성되며 기판 상에 발룬(Balun: Balance-to-Unbalance) 회로 (531), 필터 회로(532), 감쇄기(533) 등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 장치(53)은 외관적으로 기판의 외주 면에 입출력 모듈(51)과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한 제1 체결부(201) 및 메인 장치(57)과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한 제2 체결부(203)를 구비한다.
동축케이블(41)을 통해 입출력 모듈(51)에 입력되는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는 불평형 신호(unbalanced signal)로서, 발룬 회로(531)는 입출력 모듈(51)에서 분기된 불평형 신호를 평형 신호(balanced signal)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불평형 신호란 2개의 선로의 조합을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전송 라인 상에서, 두 선로의 신호 크기(magnitude)가 다르게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즉, 선로의 한 가닥은 그라운드(GND)로, 나머지 한 가닥은 신호 선으로 이용하는 방식이다. 반면 평형 신호란 두 선로의 신호 크기가 같게 전송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즉, 어느 한 쪽 선로가 그라운드가 되는 것이 아니라, 2개의 선로가 모두 사인파형으로 신호를 보내는데 그 파형이 서로 180도 차이가 나는 경우이다.
필터 회로(532)는 발룬 회로(531)에서 평형 신호로 변환된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필터 회로(532)에서 분리된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는 각각 분배기(52)와 AC-DC 컨버터(54)에 출력된다.
감쇄기(533)는 어댑터 장치(53)의 기판 상에 착탈 가능한 형태로 장착된다. 감쇄기(533)는 필터 회로(532)에서 분리된 케이블 RF 신호를 기 설정된 분기 손실 값만큼 감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가입자 단말에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각 유무선 탭 오프 장치는 입력 받은 신호를 일정한 값만큼 감쇄시켜야 한다.
예를 들어, TBA(40)에 3개의 유무선 탭 오프 장치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TBA(40)에서 100dB의 신호가 제공되며 선로 손실은 없으며 각 유무선 탭 오프 장치의 최적 신호 세기는 74dB이고 분기 손실이 -3dB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첫 번째 탭 오프 장치는 74dB의 신호를 얻기 위해 -26dB만큼의 강제 감쇄를 해야 되고(즉 강제적인 분기 손실을 만들어야 함), 두 번째 탭 오프 장치는 첫 번째 탭 오프 장치의 분기 손실이 -3dB이므로 -23dB만큼의 강제 감쇄를 해야 되고, 세 번째 탭 오프 장치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탭 오프 장치에 의한 누적 분기 손실이 -6dB이므로 -20dB만큼의 강제 감쇄를 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각 탭 오프 장치에서 요구되는 강제 감쇄 값(강제 분기 손실 값)을 맞추기 위해 해당 분기 손실 값을 가진 감쇄기를 어댑터 장치(53)의 기판에 장착하면 된다. 따라서 분기 손실 값에 대응하는 무선 탭 오프 장치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장치의 외관 구성으로서 메인 장치의 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메인 장치(57)의 외관은 사각형의 하우징(57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570)의 전면에는 도어(571)가 설치되어 힌지(572)에 의해 도어(571)의 개폐가 가능하다.
하우징(570)의 외측에는 두 쌍의 안테나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커넥터(575a, 575b)에는 제1 안테나가 설치되고 제2 커넥터(576a, 576b)에는 제2 안테나가 설치된다.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는 각각 2.4GHz 안테나와 5GHz 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하우징(570)의 하부에는 분배기(52)가 설치되어 있다. 분배기(52)는 다수의 출력 단자로 구성되어 각 출력 단자에 가입자 단말과 케이블 모뎀(56)이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570)의 외면에는 내부 회로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데 적합한 방열 판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5에서는 도어(571)의 외면에만 방열 판 구조(579)가 도시되어 있으나, 하우징(570)의 다른 면에도 동일한 구조의 방열 판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메인 장치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571)의 내면에는 AC-DC 컨버터(54)를 포함하는 금속박스(577)가 부착되어 있고, 하우징(570)의 내면에는 기판(573)이 배치되어 있다. 기판(573)에는 액세스포인트 칩(573a) 등이 장착되어 있다.
도 6에서는 하나의 기판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아래 다른 기판이 적층 구조로 배치되며 그 아래 기판에는 케이블 모뎀 칩(673a)(도 7 참조)이 장착되어 있다.
도 7은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기판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하우징(570)의 내부에 제1 보드(673)와 제2 보드(573)(도 6의 기판과 동일)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다. 제1 보드(673)에는 케이블 모뎀 칩(673a)이 장착되어 있고, 제2 보드(573)에는 액세스포인트 칩(573a)이 장착되어 있다.
하우징(570)의 하부면(671)의 외부에는 방열 판 구조(679)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단차부(677)가 설치되어 있다. 단차부(677)에는 제1 보드(673)의 케이블 모뎀 칩(673a)이 접촉되어 있다. 케이블 모뎀 칩(673a)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열은 접촉된 단차부(677)를 통과하여 하부면(671)의 외부에 형성된 방열 판(679)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하부면(671)의 내부에 단차부(677)가 설치되어 있으나, 단차부(677)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케이블 모뎀 칩(673a)이 하부면(671)의 내부에 접촉할 수 있도록 제1 보드(673)가 하부면(671)의 내부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5 및 도7에서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570)의 도어(571)의 외부에는 방열 판 구조(579)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금속 박스(577)가 설치되어 있다. 금속 박스(577)에는 제2 보드(573)의 액세스포인트 칩(573a)이 접촉되어 있다. 액세스포인트 칩(573a)의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열은 접촉된 금속 박스(577)를 통과하여 도어(571)의 외부에 형성된 방열 판(579)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 탭 오프 장치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작업자는 동축케이블(41)에 연결된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에서 분배기(52)를 분리한다(S10).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에서 입출력 모듈(51)과 분배기(52)는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으므로 작업자는 입출력 모듈(51)에서 분배기(52)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작업자는 분배기(52)가 분리된 입출력 모듈(51)에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 장치(53)을 부착한다(S20). 작업자는 어댑터 장치(53)의 제1 체결부(201)에 나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입출력 모듈(51)에 어댑터 장치(53)을 부착한다.
작업자는 입출력 모듈(51)에 부착된 어댑터 장치(53)에 본 발명에 따른 메인 장치(57)을 부착한다(S30). 작업자는 어댑터 장치(53)의 제2 체결부(203)에 나사를 삽입하는 방식으로 어댑터 장치(53)에 메인 장치(57)을 부착한다.
다음 작업자는 메인 장치(57)의 외측 상단의 양 쪽에 부착된 제1 커넥터(575a, 575b)에 각각 제1 안테나(101a, 101b)을 설치한다. 제1 안테나(101a, 101b)는 상방을 향해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는 모듈(57)의 외측 하단의 양 쪽에 부착된 제2 커넥터(576a, 576b)에 각각 제2 안테나(103a, 103b)를 설치한다. 제2 안테나(103a, 103b)는 하방을 향해 설치할 수 있다. 제1 안테나와 제2 안테나는 각각 2.4GHz 안테나와 5GHz 안테나 중의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를 유무선 탭 오프 장치로 교체하는 작업 시 기존 유선 탭 오프 장치의 분배기만을 분리하여 유무선 탭 오프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교체 작업에 따른 서비스 단절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가입자 망에서 탭 오프 장치를 이용하여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10: 서비스 제공 장치 20: 분배 센터
30: ONU 40: TBA
50: 탭 오프 장치 51: 입출력 모듈
52: 분배기 53: 어댑터 장치
54: AC-DC 컨버터 55: 액세스포인트
56: 케이블 모뎀 57: 메인 장치

Claims (12)

  1. 동축케이블을 통해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를 입력 받아 댁내로 분기하는 동시에 다른 입출력 모듈로 출력하는 입출력 모듈과,
    상기 입출력 모듈에서 분기된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를 분리하는 어댑터 장치와,
    상기 어댑터 장치에서 분리된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전원으로 사용하고 상기 어댑터 장치에서 분리된 케이블 RF 신호를 댁내 가입자에게 분배하는 동시에 상기 어댑터 장치에서 분리된 케이블 RF 신호를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랜 서비스를 수행하는 메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어댑터 장치는 상기 입출력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메인 장치는 상기 어댑터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탭 오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축케이블을 통해 상기 입출력 모듈에 입력되는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는 불평형 신호(unbalanced signal)로서,
    상기 어댑터 장치는 상기 입출력 모듈에서 분기된 불평형 신호를 평형 신호(balanced signal)로 변환하는 발룬(balun) 회로와,
    상기 발룬 회로에서 평형 신호로 변환된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를 분리하는 필터 회로와,
    상기 필터 회로에서 분리된 케이블 RF 신호를 기 설정된 분기 손실 값만큼 감쇄시키는 감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탭 오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감쇄기는 상기 어댑터 장치에서 착탈 가능하며 상기 감쇄기의 교체에 따라 상기 케이블 RF 신호에 대한 분기 손실 값을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탭 오프 장치.
  4. 동축케이블에 연결된 입출력 모듈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어댑터 장치로서,
    상기 입출력 모듈에서 분기된 케이블 RF 신호와 AC 신호를 분리하는 필터회로와,
    상기 필터 회로에서 분리된 케이블 RF 신호를 기 설정된 분기 손실 값만큼 감쇄시키는 감쇄기를 포함하며,
    상기 감쇄기는 상기 어댑터 장치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장치는 상기 입출력 모듈과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한 제1 체결부와,
    상기 케이블 RF 신호를 댁내 가입자에게 분배하거나 상기 케이블 RF 신호를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여 무선랜 서비스를 수행하는 메인 장치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기 위한 제2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댑터 장치.
  6. 동축케이블을 통해 들어온 신호 중 케이블 RF 신호를 댁내 가입자에게 분배하는 동시에 무선랜 서비스를 위해 라우팅 하는 분배기와,
    상기 분배기로부터 라우팅 된 케이블 RF 신호를 입력 받아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과,
    상기 케이블 모뎀에서 출력된 무선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액세스포인트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모뎀과 상기 액세스포인트 간에 상호 감시 기능이 수행되어 상기 케이블 모뎀 또는 상기 액세스포인트가 어느 한 쪽의 고장을 감지하면 어느 한 쪽에 대하여 전원 리셋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포인트는 제1 무선랜 신호를 지원하는 제1 무선랜 카드 및 제2 무선랜 신호를 지원하는 제2 무선랜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랜 신호를 위한 제1 안테나 및 상기 제2 무선랜 신호를 위한 제2 안테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장치.
  9. 케이블 RF 신호를 무선랜 신호로 변환하는 케이블 모뎀 칩이 장착된 제1 보드와,
    상기 무선랜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액세스포인트 칩이 장착된 제2 보드와,
    상기 제1 보드 및 상기 제2 보드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보드가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면에 일정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상기 제1 보드에 장착된 케이블 모뎀 칩이 상기 하우징 내부의 일면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상기 케이플 모뎀 칩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방열 판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AC 신호를 DC 신호로 변환하는 A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금속 박스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드에 장착된 액세스포인트 칩은 제1 무선랜 신호를 지원하는 무선랜 카드와 제2 무선랜 신호를 지원하는 무선랜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인 장치.
KR1020110003265A 2011-01-12 2011-01-12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 KR101766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265A KR101766188B1 (ko) 2011-01-12 2011-01-12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3265A KR101766188B1 (ko) 2011-01-12 2011-01-12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888A true KR20120081888A (ko) 2012-07-20
KR101766188B1 KR101766188B1 (ko) 2017-08-14

Family

ID=46713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3265A KR101766188B1 (ko) 2011-01-12 2011-01-12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618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5637A (ja) * 2002-06-10 2004-01-15 Synclayer Inc 無線中継システム、及びリセット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66188B1 (ko) 201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2115B2 (en) Antenna radome with removeably connected electronics module
US8082007B2 (en) Messenger strand mounted pico-cell radio
US20160294568A1 (en) Packet energy transfer powered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s and integrated wireless fidelity system
US8797229B2 (en) Remote radio unit
US20160294500A1 (en) Packet energy transfer powered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macro antenna systems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therefor
US10429604B2 (en) Modular fiber optic cable splitter
US20150380806A1 (en) Mounting assembly for an integrated remote radio head and antenna system
KR20150028680A (ko) 원격 무선 장비
US11799771B2 (en) Circuitry for demarcation devices and methods utilizing same
EP3432486A1 (en) Base station signal matching device, and base station interface unit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omprising same
US9094105B2 (en) Method for using power lines for wireless communication
CN102223162A (zh) 合分路器、电梯移动信号覆盖的方法及其系统
CN102378203A (zh) 一种用于建筑物移动通信信号覆盖的数字光纤分布系统
KR101766188B1 (ko) 유무선 탭 오프 장치와 이를 구성하는 어댑터 장치 및 메인 장치
KR101152310B1 (ko) 전송단자함의 선로증폭장치
US10219053B2 (en) Fiber-to-coax conversion unit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602484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duction in power in transmission signals
CN202602637U (zh) 一种单纤星型rru监控传输装置
KR20200005187A (ko) 광전복합 케이블용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광전복합 케이블 어셈블리
CN202617123U (zh) 一种单纤链型rru监控传输装置
EP3937398A1 (en) Communication nod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comprising same
KR100443339B1 (ko) 이동통신기지국의 고주파분산 및 원격감시 제어장치
Haque et al. Fiber to the Antenna: Solution in integrated optical and wireless networks
CN106992817A (zh) 光接收装置及装备
BR102014021944B1 (pt) Método para instalação de um dispositivo de extensão de ponto de acesso de wifi em uma derivação de televisão a cabo, derivação de televisão a cabo, e dispositivo de extensão de ponto de acesso de wif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