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686A -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81686A KR20120081686A KR1020110002938A KR20110002938A KR20120081686A KR 20120081686 A KR20120081686 A KR 20120081686A KR 1020110002938 A KR1020110002938 A KR 1020110002938A KR 20110002938 A KR20110002938 A KR 20110002938A KR 20120081686 A KR20120081686 A KR 2012008168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compression
- saddle
- lower body
- compression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63B22/20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 A63B22/203—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for moving a support element in reciprocating translation, i.e. for sliding back and forth on a guide track in a horizontal pla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엉덩이가 얹히는 안장과, 상기 안장의 하부에 장착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는 압축스프링 및 상기 압축스프링에 접하는 압축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와, 상기 브래킷의 수직부에 상부가 중심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탄성부의 압축링을 압착하는 가압구가 상단에 결합되고 하부로는 다단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봉이 끼워지며 대칭으로 배치되어 한 조를 이루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조절봉 하단에 양측으로 연장되면서 양단에 롤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안장에 힘을 가하여 누르면서 무릎을 굽히면 회동부가 회전하여 하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상부의 가압구는 상기 탄성부의 압축링과 압축스프링을 압착하고 다시 안장에 가했던 힘을 중지하고 무릎을 세우면 회동부가 탄성부의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지는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을 하부 개방부분이 확장된 ""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의 중앙부분에 수직판과 받침판으로 이루어지는 격실부재를 용접 또는 나사못으로 장착하며, 상기 격실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양측 공간부에 상기 압축스프링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양측에 상기 압축링 및 회동부의 가압구가 접하도록 하며, 상기 회동부의 좁아지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회동부의 상단에 걸림구를 마련하고, 상기 걸림구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고정축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엉덩이가 얹히는 안장과, 상기 안장의 하부에 장착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는 압축스프링 및 상기 압축스프링에 접하는 압축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와, 상기 브래킷의 수직부에 상부가 중심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탄성부의 압축링을 압착하는 가압구가 상단에 결합되고 하부로는 다단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봉이 끼워지며 대칭으로 배치되어 한 조를 이루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조절봉 하단에 양측으로 연장되면서 양단에 롤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안장에 힘을 가하여 누르면서 무릎을 굽히면 회동부가 회전하여 하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상부의 가압구는 상기 탄성부의 압축링과 압축스프링을 압착하고 다시 안장에 가했던 힘을 중지하고 무릎을 세우면 회동부가 탄성부의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지는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을 하부 개방부분이 확장된 ""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의 중앙부분에 수직판과 받침판으로 이루어지는 격실부재를 용접 또는 나사못으로 장착하며, 상기 격실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양측 공간부에 상기 압축스프링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양측에 상기 압축링 및 회동부의 가압구가 접하도록 하며, 상기 회동부의 좁아지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회동부의 상단에 걸림구를 마련하고, 상기 걸림구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고정축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체의 허벅지 또는 종아리 부위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키고 체형의 교정이 가능하도록 한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종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상품화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다양한 운동기구를 구비한 스포츠센터 등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로서, 운동을 하려는 사람은 시간 및 비용을 투자해야 하나 시간에 제한을 받고 비용에 많은 부담을 갖는다. 특히, 사무직 종사자가 늘어나고 차량을 이용함으로 하체 운동시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하체를 단련시키려는 운동을 하거나 단련시키기 위한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품화되어 출시되고 있는 운동기구들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크기가 커서 넓은 공간에 운동기구를 설치해야만 사용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이에, 좁은 공간에서도 운동을 하는 운동기구들이 제안되었으며, 이들 하체의 근육을 단련시키는 운동기구는 대부분 발판 위에서 자전거 페달을 밟는 방식으로 무릎을 굽히고 펴는 동작을 통해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발판형 운동기구는 2개의 발판을 비틀림스프링의 탄성력 또는 실린더 유압의 이동 압력에 의한 하체의 근력을 강화시키는 것이므로 운동 중 무릎에 집중적인 힘이 전달되어 관절에 손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사용자 엉덩이가 얹히는 안장; 상기 안장의 하부에 장착되는 "ㄷ" 형태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수평부 중앙에 상단이 나사결합되는 축봉과, 상기 축봉에 끼워지는 압축스프링과, 상기 축봉으로 끼워진 후 압축스프링의 상단에 얹히는 압축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 상기 브래킷의 수직부에 상부가 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탄성부의 압축링의 상단을 압착하는 가압구가 상단에 결합되고, 하부로는 다단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봉이 끼워지며, 대칭으로 배치되어 한 조를 이루는 회동부; 및 상기 회동부의 조절봉 하단에 양측으로 연장되면서 양단에 롤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안장에 힘을 가하여 누르면서 무릎을 굽히면 회동부가 회전하여 하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상부는 상기 탄성부를 압착하고 다시 안장에 가했던 힘을 중지하고 무릎을 세우면 회동부가 탄성부의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지는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를 개발하였는데, 본 발명자는 이 발명에 대하여 제10-2010-0072145호(2010. 07. 26.)로 특허출원을 하였다.
상기 선출원된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는 크기가 작아 사용 및 보관 장소에 구애 없이 쉽게 이용이 가능하며,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고 세우는 근력운동을 할 때 회동부의 가압구가 탄성부의 압축링 및 압축스프링을 가압 및 해지하는 과정에서 무릎을 세우기 위한 힘을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으로 가능하므로 무릎 관절에 무리가 없어 안전하게 하체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그 구조가 단순화하고 압축스프링을 이용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므로 더욱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종래의 하체운동기구보다 사용이 편리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자가 선출원한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는 무릎을 굽히고 세우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이 중앙부위에 수직방향으로 장착되는 구성이므로 지지하기 위한 장착 구조가 복잡하고, 회동부의 가압구의 작동을 제한하는 브래킷의 구성 역시 복잡하여 부품비 및 조립비 등이 상승하여 제조원가가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압축스프링을 사용하므로 높은 탄성력을 지니도록 제작되므로 인위적인 힘을 사용하여 조립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작아 사용 및 보관 장소에 구애 없이 쉽게 이용이 가능하며 하체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을 단련시킬 때 무릎에 무리가 없도록 하는 장치를 제공하고, 그 구조를 개량하여 내구성을 증대시킴은 물론 조립의 편리성과 부품 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면서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는 사용자 엉덩이가 얹히는 안장과, 상기 안장의 하부에 장착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에 장착되는 압축스프링 및 상기 압축스프링에 접하는 압축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와, 상기 브래킷의 수직부에 상부가 중심축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탄성부의 압축링을 압착하는 가압구가 상단에 결합되고 하부로는 다단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봉이 끼워지며 대칭으로 배치되어 한 조를 이루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조절봉 하단에 양측으로 연장되면서 양단에 롤러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안장에 힘을 가하여 누르면서 무릎을 굽히면 회동부가 회전하여 하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상부의 가압구는 상기 탄성부의 압축링과 압축스프링을 압착하고 다시 안장에 가했던 힘을 중지하고 무릎을 세우면 회동부가 탄성부의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지는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을 하부 개방부분이 확장된 ""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의 중앙부분에 수직판과 받침판으로 이루어지는 격실부재를 용접 또는 나사못으로 장착하며, 상기 격실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양측 공간부에 상기 압축스프링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압축스프링의 양측에 상기 압축링 및 회동부의 가압구가 접하도록 하며, 상기 회동부의 좁아지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회동부의 상단에 걸림구를 마련하고, 상기 걸림구는 브래킷에 고정되는 고정축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크기가 작아 사용 및 보관 장소에 구애 없이 쉽게 이용이 가능하며, 안장에 앉은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고 세우는 근력운동을 할 때 회동부의 가압구가 탄성부의 압축링 및 압축스프링을 가압 및 해지하는 과정에서 무릎을 세우기 위한 힘을 압축스프링의 복원력으로 가능하므로 무릎 관절에 무리가 없어 안전하게 하체의 허벅지 및 종아리 근육을 단련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브래킷의 내부에 격실부재를 마련하여 2개의 압축스프링을 수평상태로 수용시키고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도록 브래킷에 회동부를 결합하는 구성을 개량함으로써 제조원가의 절감과 조립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기 사용으로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화하면 교체 또한 편리하고, 부가하는 캠부를 통해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의 강약을 편리하게 변화시켜 신체 조건에 적합한 탄성력으로 근력 강화운동이 가능한 매우 유용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3b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계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3b는 도 1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의 다른 실시 예를 일부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계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따른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결합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부호 1은 안장, 2는 브래킷, 3은 탄성부, 4는 회동부, 5는 슬라이드부를 나타낸다.
상기 안장(1)은 사용자의 엉덩이가 얹힐 때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바닥은 견고한 금속판이며, 그 상부로 우레탄 또는 스펀지로 성형하고 외피를 직물이나 가죽으로 감싸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허벅지의 안쪽이 편안하도록 모서리부분은 곡면을 이루면서 중간이 오목한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브래킷(2)은 도 2 및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안장(1)의 하부에 수평부가 통상적인 나사체결방식으로 장착되며 후술하는 탄성부(3) 및 회동부(4)를 장착하기 편리하도록 하부 개방부분이 확장된 "" 형상으로 단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브래킷(2)은 금속판을 절곡 형성하거나 주물로 성형하여 구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브래킷(2)의 중앙부분에는 수직판(21)과 받침판(22)으로 이루어지는 격실부재(23)를 장착하여 양쪽으로 공간부(24)를 마련하게 된다. 상기 격실부재(23)의 장착은 브래킷(2)의 단이진 부분에 받침판(22)을 통상적이 용접 또는 나사못의 고정을 통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격실부재(23)에 의해 제공되는 양측 공간부(24)에는 탄성부(3)를 구성하는 압축스프링(33)이 수평상태로 각각 배치되고, 상기 압축스프링(33)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회동부(4)의 가압구(42)가 각각 접하여 원활한 작동을 하도록 압축링(33)이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회동부(4)는 상기 브래킷(2)의 확장된 수직부에 상부가 중심축(41)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탄성부(3)의 압축링(33)의 상단을 압착하는 가압구(42)가 상단에 결합되고, 하부로는 다단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봉(43)이 끼워지며, 대칭으로 배치되어 한 조를 이루면서 상기 안장(1)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균형을 잡으면서 안장(1)의 높낮이 변화를 이루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4)의 조절봉(43) 하단에는 폭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면서 양단에 롤러(51)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5)가 장착되어 안장(1)을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도 3a의 확대도에서와 같이 압축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회동부(4)의 좁아지는 내측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회동부(4)의 상단에 걸림구(46)를 마련하고, 상기 걸림구(46)는 브래킷(2)에 고정되는 고정축(41')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어 회동부(4)의 회전각도를 제안하도록 구성하게 된다.
또한, 하체운동을 할 때 안정적인 자세를 용이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안장(1)에 손잡이(61)를 장착한 지지관(62)의 말단이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a에서와 같이 상기 브래킷(2)의 상부 중앙에는 장공의 끼움홈(25)을 천공하고, 상기 격실부재(23)의 수직판(21)의 상부에는 돌기편(26)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홈(25)에 상기 돌기편(26)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a 및 4b에서와 같이 격실부재(23)의 수직판(21) 대신에 다각형을 이루는 캠부(9)를 브래킷(2)에 수평상태로 장착하고, 상기 캠부(9)가 압축링(33')의 위치를 가변시킬 때 압축스프링(32)의 압축력이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캠부(9)는 브래킷(2)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미도시된 조정용 손잡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44는 조절봉(43)의 높낮이 조정을 위해 회동부(4)에 천공된 다수의 고정구멍, 45는 고정구멍(44)에 걸림 및 해지를 위한 걸림돌기, 8은 커버이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의 조립과정과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는 슬라이드부(5), 조절봉(43), 가압구(42) 및 걸림구(46)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한 조를 이루는 회동부(4)와, 안장(1) 및 격실부재(23)를 장착한 브래킷(2)과, 한 조를 이루는 압축스프링(32), 압축링(34), 중심축(41) 및 고정축(41')을 각각 준비한 상태에서, 먼저, 도 3a에서와 같이 중심축(41)을 이용해 회동부(4)를 브래킷(2)에 장착한 후 가상선의 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브래킷(42)과 격실부재(23)로부터 제공된는 공간(24)으로 압축스프링(32)과 압축링(33)을 끼워넣어 배치하게 된다. 이어서 회동부(4)를 중심축(41)을 중심으로 실선상태로 회동시킨 후 브래킷(2)에 고정축(41')을 장착하면 압축스프링(32)의 탄성력이 회동부(4)의 가압구(42)에 전달됨과 동시에 걸림구(46)가 상기 고정축(41')에 걸리게 되므로 회동부(4)가 더 이상 내측으로 회전할 수 없는 정지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과정을 반복하여 반대에도 압축스프링(32), 압축링(33), 회동부(4)를 중심축(41) 및 고정축(41')을 브래킷(2)에 용이하여 장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운동기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하체운동을 위한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적합하도록 조절봉(43)의 높낮이를 회동부(4)에 천공된 다수의 고정구멍(44) 및 걸림 및 해지를 위한 걸림돌기(45)를 이용하여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방법으로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하면 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5a에서와 같이 안장(1)의 높낮이에 따른 자세를 취하면서 앉게 된다. 상기 자세 중 조절봉(43)의 조정에 의해 안장(1)의 높이가 높으면 무릎이 완전히 펴진 상태이고, 안장(1)의 높이가 낮은 상태는 무릎이 조금 굽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무릎을 굽혀 신체를 낮추면 그 힘이 안장(1)으로 전달되고, 이어서 안장(1)은 브래킷(2)과 함께 하강하면서 지면에 접하고 있는 슬라이드부(5)의 롤러(51)에 최종적으로 그 힘이 전달되어 회전부(4)를 벌어지게 한다.
상기 회동부(4)가 회전하여 도 3b 및 도 5b와 같이 하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상부의 가압구(42)는 상기 탄성부(3)의 압축링(33)과 압축스프링(32)을 압착하게 되고, 다시 무릎을 세우면서 신체를 올리면 안장(1)에 가했던 힘은 중지됨과 동시에 회동부(4)가 탄성부(3)의 압축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므로 무릎을 세우는 동작시 힘이 무릎 관절에 전달되지 않으면서 무릎 손상 방지와 함께 하체 근육 단련을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5b와 같이 안장(1)에 앉은 상태에서 다리를 모두 앞으로 위치하여 허벅지 위주의 운동과, 양측으로 엇갈리게 위치시켜 허벅지와 종아리를 동시에 운동시킬 수 있다.
한편, 회동부(4)의 걸림부(46)는 브래킷(2)에 고정된 고정축(41')에 걸려 더 이상 내측으로 회동부(4)가 좁아지지 않으므로 압축스프링(32) 및 압축링(33)의 이탈을 방지시킴은 물론 작동시 즉시 압축스프링(32)의 탄성력이 가압구(42)를 통해 회동부(4)와 하체의 근육에 전달되며, 회동부(4)의 회전 각도의 범위를 제안할 수 있어 필요 이상 내측으로 좁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안정성을 유지하게 된다.
또한, 격실부재(23)를 갖는 브래킷(2)에 압축스프링(32), 압축링(33), 회동부(4)를 중심축(41) 및 고정축(41')을 용이하여 장착할 수 있는 것이므로, 역순을 통한 부품의 교체가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브래킷(2)의 끼움홈(25)과 격실부재(23)의 수직판(21) 상부에 형성된 돌기편(26)을 통해 편리하게 장착 위치를 찾을 수 있고, 상호 끼움 상태가 유지됨으로 더욱 견고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증대되는 것이다.
또한, 도 5a 및 5b에서와 같이 격실부재(23)의 수직판(21) 대신에 다각형을 이루는 캠부(9)를 브래킷(2)에 수평상태로 장착할 경우 캠부(9)의 둘레 면의 위치 변화에 따라 압축링(33')의 위치를 가변시킬 때 압축스프링(33)의 강선 간격이 변화로 이어지고, 이는 곧 압축스프링(33)의 압축력 강약 조정이 가능하여 신체 조건에 적합한 탄성력 설정을 통해 근력 운동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 안장 2: 브래킷
3: 탄성부 4: 회동부
5: 슬라이드부 21: 수직판
22: 받침판 23: 격실부재
24: 공간부 25: 끼움홈
26: 돌기편 32: 압축스프링
33: 압축링 41: 중심축
41': 고정축 42: 가압구
43: 조절봉 44: 고정구멍
45: 걸림돌기 46: 걸림구
51: 롤러 61: 손잡이
62: 지지관 8: 커버
9: 캠부
3: 탄성부 4: 회동부
5: 슬라이드부 21: 수직판
22: 받침판 23: 격실부재
24: 공간부 25: 끼움홈
26: 돌기편 32: 압축스프링
33: 압축링 41: 중심축
41': 고정축 42: 가압구
43: 조절봉 44: 고정구멍
45: 걸림돌기 46: 걸림구
51: 롤러 61: 손잡이
62: 지지관 8: 커버
9: 캠부
Claims (3)
- 사용자 엉덩이가 얹히는 안장(1)과, 상기 안장(1)의 하부에 장착되는 브래킷(2)과, 상기 브래킷(2)에 장착되는 압축스프링(32) 및 상기 압축스프링(32)에 접하는 압축링(33)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3)와, 상기 브래킷(2)의 수직부에 상부가 중심축(41)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탄성부(3)의 압축링(33)을 압착하는 가압구(42)가 상단에 결합되고 하부로는 다단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조절봉(43)이 끼워지며 대칭으로 배치되어 한 조를 이루는 회동부(4)와, 상기 회동부(4)의 조절봉(43) 하단에 양측으로 연장되면서 양단에 롤러(51)가 결합되는 슬라이드부(5)가 장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안장(1)에 힘을 가하여 누르면서 무릎을 굽히면 회동부(4)가 회전하여 하부가 벌어짐과 동시에 상부의 가압구(42)는 상기 탄성부(3)의 압축링(33)과 압축스프링(32)을 압착하고 다시 안장(1)에 가했던 힘을 중지하고 무릎을 세우면 회동부(4)가 탄성부(3)의 압축스프링(32)의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이루어지는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을 하부 개방부분이 확장된 "" 형상으로 절곡 형성하고, 상기 브래킷(2)의 중앙부분에 수직판(21)과 받침판(22)으로 이루어지는 격실부재(23)를 용접 또는 나사못으로 장착하며, 상기 격실부재(23)에 의해 제공되는 양측 공간부(24)에 상기 압축스프링(33)이 각각 배치시키고, 상기 압축스프링(33)의 양측에 상기 압축링(33) 및 회동부(4)의 가압구(42)가 각각 접하도록 하며, 상기 회동부(4)의 좁아지는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회동부(4)의 상단에 걸림구(46)를 마련하고, 상기 걸림구(46)는 브래킷(2)에 고정되는 고정축(41')에 걸려 회전이 정지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2)의 상부 중앙에는 장공의 끼움홈(25)을 천공하고, 상기 격실부재(23)의 수직판(21)의 상부에는 돌기편(26)을 형성하며, 상기 끼움홈(25)에 상기 돌기편(26)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 제1항에 있어서, 격실부재(23)의 수직판(21) 대신에 다각형을 이루는 캠부(9)를 브래킷(2)에 수평상태로 장착하고, 상기 캠부(9)가 압축링(33')의 위치를 가변시킬 때 압축스프링(33)의 압축력이 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938A KR20120081686A (ko) | 2011-01-12 | 2011-01-12 |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02938A KR20120081686A (ko) | 2011-01-12 | 2011-01-12 |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81686A true KR20120081686A (ko) | 2012-07-20 |
Family
ID=46713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2938A KR20120081686A (ko) | 2011-01-12 | 2011-01-12 |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81686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67512A (zh) * | 2016-12-30 | 2018-07-10 | 核动力运行研究所 | 一种用于容器内壁超声检查的探头托盘 |
-
2011
- 2011-01-12 KR KR1020110002938A patent/KR2012008168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267512A (zh) * | 2016-12-30 | 2018-07-10 | 核动力运行研究所 | 一种用于容器内壁超声检查的探头托盘 |
CN108267512B (zh) * | 2016-12-30 | 2024-06-11 | 核动力运行研究所 | 一种用于容器内壁超声检查的探头托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3117451B2 (ja) | 運動機械 | |
US7384381B2 (en) | Exercise arm assembly for exercise machine | |
US9301900B2 (en) | Body therapy apparatus | |
JP5346020B2 (ja) | 下半身運動機構 | |
US20190336817A9 (en) | Upper leg and hip exercise method and device to preserve knee and ankle joint while exercising. | |
US20040053757A1 (en) | Hip exerciser | |
US20170239515A1 (en) | Apparatus for physical exercises | |
US9782619B2 (en) | Muscles and bones stretching health device | |
US20160374893A1 (en) | Leg Therapy Apparatus | |
US9241865B2 (en) | Roller massage apparatus | |
KR200436589Y1 (ko) | 다리 스트레칭 기구 | |
KR101244716B1 (ko) | 허리운동이 가능한 회전판형 트위스트 스텝퍼 | |
KR20130134802A (ko) | 다리운동 겸용 복부 운동기구 | |
KR20120081686A (ko) |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 |
JP2009528127A (ja) | 多重リンクエクササイズマシン | |
KR101408910B1 (ko) | 다리운동기구가 구비된 의자 | |
KR101974454B1 (ko) | 다용도 운동기구 | |
KR200451925Y1 (ko) | 로윙 운동기구 | |
TWM536960U (zh) | 深蹲輔助裝置 | |
KR200450114Y1 (ko) | 하체 및 상체 운동기구 | |
KR200308616Y1 (ko) | 하체 운동기 | |
KR200435976Y1 (ko) | 다목적 운동 의자 | |
JP3087941U (ja) | 腹部運動用装置 | |
KR20120010543A (ko) | 하체 단련용 운동기구 | |
KR200476052Y1 (ko) | 근력 운동 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