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468A - Frame for storage box - Google Patents

Frame for storage box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468A
KR20120081468A KR1020110002818A KR20110002818A KR20120081468A KR 20120081468 A KR20120081468 A KR 20120081468A KR 1020110002818 A KR1020110002818 A KR 1020110002818A KR 20110002818 A KR20110002818 A KR 20110002818A KR 20120081468 A KR20120081468 A KR 20120081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orage box
stopper
holder
accommod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선우찬
Original Assignee
화영종합물산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영종합물산 (주) filed Critical 화영종합물산 (주)
Priority to KR1020110002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1468A/en
Publication of KR20120081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46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10Structural combination of fuel element, control rod, reactor core, or moderator structure with sensitive instruments, e.g. for measuring radioactivity, strain
    • G21C17/112Measuring 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 F16F15/023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fluid means with at least one gas sp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08Protective devices, e.g.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1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resistiv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PURPOSE: A frame for a storage box capable of spreading for securing more storage space is provided to enable users to easily assemble the frame by fitting a side frame to an upper frame. CONSTITUTION: A frame for a storage box includes an upper frame(11), side frames(12), and a holder(13). The upper frame is mounted on the upper inside edge of a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box,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The side frames are rotatably fitted to the side of the upper frame, and can be vertically unfolded for forming a separate storage space. The holder is fitted to the side frames, and includes holes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side frames to the upper frame and slots connected to the holes.

Description

수납박스용 프레임{Frame for storage box}Frame for storage box {Frame for storage box}

본 발명은 각종 물품을 수납 보관하는 수납박스 내부에 펼침과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박스를 사용할 때 펼쳐 수납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면 프레임의 측방향에서 측면 프레임을 간단히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하여 조립을 편리하게 하고, 수납박스를 적층식으로 쌓아 사용할 때 상부 수납박스에 수납된 물품의 누적된 하중이 하부 수납박스에 가해지더라도 하부 수납박스의 프레임이 분해되지 않고 처음 조립상태를 그대로 유지토록 하여 안정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측면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납박스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납박스용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rame that can be expanded and folded inside a storage box for storing and storing various items, so that the storage space can be secured when the storage box is used, and particularly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The assembly of the side frame is easy to assemble, making it easy to assemble, and when the stacked storage boxes are stacked, the frame of the lower storage box is not disassembled even if the accumulated load of the items stored in the upper storage box is applied to the lower storage box.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box frame capable of maintaining stability by maintaining an assembled state as it is, and also selectively adjusting a storage space of a storage box by adjusting a height of a side frame.

수납박스는 내부 수납공간에 다양한 물품을 저장 보관하는 것으로, 물품을 저장할 경우에는 내부에 설치된 프레임을 펼쳐 수납공간을 확보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펼쳐진 프레임을 접어 수납공간을 제거함으로써 얇은 상태로 보관하게 된다. The storage box stores and stores various items in the internal storage space. When storing the goods, the storage space is removed by expanding the frame installed inside to secure the storage space. As a result, it is stored in a thin state.

따라서, 많은 물품을 효율적으로 저장 보관할 경우에는 프레임을 펼쳐 확보된 수납공간에 물품을 저장한 수납박스 복수 개를 다단식으로 적층되게 쌓아 보관하게 되면, 장소가 협소하더라도 많은 물품을 간편하게 수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when storing and storing a large number of items efficiently, if a plurality of storage boxes storing the items are stacked and stacked in a multi-stage manner in a storage space secured by extending the frame, many items can be easily stored even if the place is narrow. .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 수납박스의 일 실시예는 실용신안등록 제438375호에 기재되어 있는데, 물품을 수납할 경우 내부에 설치된 프레임을 펼쳐 수납공간을 확보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 부피를 줄여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프레임을 접어 수납박스의 두께를 얇게 한다.
One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storage box used for this purpose is describ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438375. When storing an article,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frame installed therein to secure a storage space and to reduce the volume when not in use. Fold the frame to make the storage box thin.

도 1은 상기 종래 수납박스의 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이 프레임은 수납박스의 상부를 형성하는 사각 프레임(50)이 구비되고, 상기 사각 프레임(50) 양단에 회동관(54)이 용접되며, 상기 회동관(54)에는 수납박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회동지지대(52)가 끼움 조립된 형태로 구성되었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of the conventional storage box,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square frame 50 forming a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box, the rotary tube 54 is welded to both ends of the square frame 50 , The pivoting tube 54 was configured in the form assembled by the rotation support 52 to form the side of the storage box.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수납박스용 종래 프레임은 회동지지대(52)를 끼우기 위해서는 크기가 작은 상기 회동관(54)을 별도의 수작업으로 용접해야 하므로 용접에 따른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상기 회동관(54)을 사각 프레임(50)과 평행하게 용접하지 않을 경우 이에 조립된 양측 회동지지대(52)는 서로 비틀어지게 되므로, 결국 수납박스가 바른 사각형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frame for a storage box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quires welding the small size of the rotating pipe 54 by a separate manual operation in order to fit the rotation support 52, thereby increasing the number of working hours due to welding, thereby reducing productivity. If the rotary tube 54 is not welded in parallel with the square frame 50, both of the pivot supports 52 assembled thereon are twist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torage box does not maintain the correct rectangular shape and thus does not have a beautiful appearance. There was a problem.

또한, 회동지지대(52)를 회동관(54)에 조립할 때는 회동지지대(52)를 벌린 다음 절곡된 일측 삽입부위(52a)를 회동관(54)에 삽입한 다음 반대측 삽입부위(52a)를 그와 대응되는 회동관(54) 내부에 삽입해야 하므로 조립이 불편하고, 더욱이 상기 회동지지대(52)가 2개이므로 상기 조립과정을 두 번에 걸쳐 반복해야 하므로 조립공수도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assembling the rotation support 52 to the rotation tube 54, open the rotation support 52, and then insert one bent insertion portion 52a into the rotation tube 54 and then insert the opposite insertion portion 52a. Assembly is inconvenient because it must be inserted into the rotating tube 54 corresponding to the assembly, and furthermore, because the rotation support 52 is two, the assembly process has to be repeated twice.

무엇보다도, 종래 프레임의 가장 큰 문제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수납박스를 적층식으로 쌓아 사용할 경우에 발생되는데, 상부층에 수납된 물품의 무게에 의해 하부층의 수납박스는 많은 하중을 받게 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면 하부층 수납박스의 회동지지대(52)는 누적된 물품의 하중을 이기지 못하고 점차 벌어져 결국 회동관(54)에서 빠지는 문제가 있었다.(도 2의 최하부층 수납박스 참조)Above all, the biggest problem of the conventional frame occurs when the storage box is stacked and used to store a large number of items as shown in Figure 2, the storage box of the lower layer by the weight of the items stored in the upper layer If a lot of load is received, and this state persists, the rotation support 52 of the lower layer storage box does not overcome the load of the accumulated goods, and gradually opens up, eventually falling out of the rotation tube 54. (Lower layer storage in FIG. 2) See box)

이와 같이 회동지지대(52)의 삽입부위(52a)가 회동관(54)에서 빠지게 되면 수납박스는 사각 프레임(50)과 회동지지대(52)에 의해 형성된 수납공간이 해체되므로, 이와 같이 하부층에 위치한 수납박스의 프레임의 조립상태가 해체되어 지지력이 상실되면 상부층에 적층된 수납박스들은 순간 중심을 잃고 무너지는 심각한 문제가 있었다.
As such, when the insertion portion 52a of the rotation support 52 is removed from the rotation tube 54, the storage box is dismantled in the storage space formed by the rectangular frame 50 and the rotation support 52, and thus located on the lower layer. When the assembly state of the frame of the storage box is dismantled and the support force is lost, the storage boxes stacked on the upper layer have a serious problem of losing their center and collapse.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수납박스 프레임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면 프레임의 측방향에서 측면 프레임을 간단히 끼워맞춤식으로 조립하여 조립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수납박스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storage box frame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storage box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by assembling the side frame in the side frame of the upper frame simply fit In providing a fr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박스를 적층식으로 쌓아 많은 물품을 수납하더라도 상부 수납박스에 수납된 물품의 누적된 하중이 하부 수납박스에 가해지더라도 하부 수납박스의 프레임이 분해되지 않고 처음 조립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수납박스를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tack the storage boxes stacked to accommodate a large number of items even if the accumulated load of the items stored in the upper storage box is applied to the lower storage box, the frame of the lower storage box is not disassembled as it was originally assembled state It is to provide a frame for the storage box to maintain the storage box can be used stably.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측면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수납박스의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수납박스용 프레임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for a storage box that can selectively adjust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box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납박스용 프레임의 일 실시예는, 수납박스의 수납공간 상단 내측 테두리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는 상면 프레임;One embodiment of a frame for a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upper frame having a ring shape to be mounted on the upper inner edge of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box;

상기 상면 프레임의 측방향에서 착탈가능하고 상면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며, 상면 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펼칠 때 수납박스를 세워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 및A side frame detachable from the side of the top frame and rotatable in an assembled state on the top frame, and a storage box standing up to form a storage space when the storage box is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op frame; And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을 상면 프레임에 착탈가능 및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단부에 상면 프레임을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 속으로 상면 프레임이 수용되는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과 연통되게 상면 프레임의 두께보다 얇은 폭으로 슬롯이 절개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면 프레임을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갖는 홀더;를 포함한다.
A hole for receiving the top frame formed at an end thereof to be fixed to the side frame and to detachably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side frame to the top frame and to provide an entrance for receiving the top frame into the hole; And a holder having a gripping member configured to hold the top frame accommodated therein by cutting the slot into a width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p fram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le.

본 발명에 따른 수납박스용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는, 수납공간 상단 내측 테두리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는 상면 프레임;Another embodiment of the storage box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frame having a ring shape to be mounted on the upper inner edge of the storage space;

상기 상면 프레임의 측방향에서 착탈가능하고 상면 프레임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며, 높이 조절수단에 의해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상면 프레임과 직각방향으로 펼칠 때 수납박스를 세워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 및Detach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and rotatable in the assembled state on the upper frame, the height is selectively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when the storage box is erected to extend the storage frame in the perpendicular direction to the upper frame Forming a side frame; And

상기 측면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을 상면 프레임에 착탈가능 및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단부에 상면 프레임을 수용하는 구멍이 형성되며 이 구멍 속으로 상면 프레임이 수용되는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과 연통되게 상면 프레임의 두께보다 얇은 폭으로 슬롯이 절개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면 프레임을 파지하는 파지부재를 갖는 홀더;를 포함한다.
A hole for receiving the top frame formed at an end thereof to be fixed to the side frame and to detachably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side frame to the top frame and to provide an entrance for receiving the top frame into the hole; And a holder having a gripping member configured to hold the top frame accommodated therein by cutting the slot into a width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p fram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le.

본 발명은 제조공정에서 종래와 같이 용접작업을 하지 않고 측면 프레임에 홀더를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성형하게 되므로,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older is molded in the insert frame in the side frame without welding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s in the prior art, there is an advantage to increase the productivity by simplify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뿐만 아니라, 조립공수에 있어서도 상면 프레임의 측면에서 홀더의 슬롯 부분을 밀어 넣기만 하면 상면 프레임과 측면 프레임이 간단히 조립되므로 조립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assembly maneuver simply push the slot portion of the holder from the side of the upper frame is simply assembled because the upper frame and the side frame has the advantage of easy assembly.

또한, 본 발명의 프레임이 적용된 수납박스 내부에 물품을 수납한 다음 이들 수납박스를 적층식으로 쌓아 사용하는 과정에서 측면 프레임에 무거운 하중이 작용하여도 홀더가 상면 프레임에서 빠지지 않게 되므로 수납공간이 견고하게 유지되어 물품을 안정되게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storage space is firm because the holder does not fall out of the upper frame even when a heavy load acts on the side frame in the process of storing the goods in the storage box to which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n stacking the storage boxes in a stacked manner. It is maintained so that the article can be stored stably.

그리고, 본 발명의 프레임은 물품의 수납량에 따라 측면 프레임의 높낮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수납박스의 수납공간의 면적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area of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box by selectiv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according to the storage amount of the artic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ovide convenience in use.

도 1은 종래 수납박스용 프레임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수납박스를 적층식으로 쌓아 사용시 회동지지대가 빠지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프레임이 2개 조립된 수납박스용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프레임이 4개 조립된 수납박스용 프레임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2개의 측면 프레임에 높낮이 조절수단이 장착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4개의 측면 프레임에 높낮이 조절수단이 장착된 도면
도 7은 도 5의 측면 프레임을 이용하여 수납공간의 높이를 크게 조절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프레임을 접어 수납공간을 제거한 상태의 수납박스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분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높낮이 조절수단이 적용된 프레임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사용 전 상태 측면 개념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수단의 사용 후 상태 측면 개념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의 로킹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의 로킹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로킹장치의 로킹해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상면 프레임과 홀더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수직으로 펼쳐지게 조립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홀더가 수평으로 접힌 상태를 보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for a conventional storage box
2 is a view illustrating a phenomenon in which the pivoting support is pulled out when the stacking conventional storage box is used.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for a storage box assembled with two side fr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for a storage box assembled with four side fr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height-adjusting means is mounted on the two side fr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height-adjusting means is mounted on the four side fra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of great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torage space by using the side frame of FIG.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orage box folded state remove the storage space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to which the height adjustment means of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onceptual view of the state before use of the height adjustmen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onceptual view of the state after use of the height adjustmen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nlock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locked state of the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unlocked state of a lock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frame and th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holder is unfolded vertically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that the holder is horizontally folded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납박스용 프레임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torage box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납박스용 프레임은 측면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무에 따라 크게 2가지 실시예로 구분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torage box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divided into two embodiments according to whether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can be adjusted.

먼저, 측면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는 기본형 수납박스용 프레임을 설명한다.First, the frame for the basic storage box that can not adjust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will be described.

상기 기본형 수납박스용 프레임(10)은 크게 상면 프레임(11), 상기 상면 프레임(11)에 조립되는 측면 프레임(12), 및 상기 상면 프레임(11)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측면 프레임(12)을 상면 프레임(11)에 조립시키는 홀더(13)를 포함한다.
The frame 10 for the basic storage box is largely assembled with a top frame 11, a side frame 12 assembled to the top frame 11, and a side frame 12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op frame 11. It includes a holder (13) for assembling the upper frame (11).

상기 상면 프레임(11)은 수납박스(B)의 수납공간(H) 상단 내측 테두리에 장착되는 것으로, 링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면 프레임(11)은 수납박스(B)의 형상에 따라 링형상이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The upper frame 11 is mounted on the upper inner edge of the storage space (H) of the storage box (B), it is configured in a ring shape. The upper frame 11 may be deform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storage box (B).

예컨대,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수납박스(B)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됨을 감안하여 상면 프레임(11)의 형상을 모서리가 라운딩처리된 직사각형 형태로 도시하였다.
For example,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pe of the upper frame 11 is illustrat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rounded corners in consideration of the storage box B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상기 측면 프레임(12)은 홀더(13)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상면 프레임(11)에 조립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 프레임(12)은 상기 상면 프레임(11)의 측방향에서 끼워맞춤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면 프레임(11)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며, 도면에서와 같이 상면 프레임(11)과 수직방향으로 펼칠 때 수납박스(B)를 세워 내부에 수납공간(H)을 형성하게 된다.The side frame 12 is assembled to the upper frame 11 via the holder 13. More specifically, the side frame 12 is detachably assembl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1, is rotatable in the assembled state on the upper frame 11, the upper frame as shown When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11) and the storage box (B) to stand up to form a storage space (H) inside.

상기 측면 프레임(12)은 수납박스(B)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U" 형상으로 절곡되는데, 절곡형상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으로 절곡될 수 있다. 측면 프레임(12)은 도 3과 같이 상면 프레임(11) 양측에 2개가 조립될 수 있고, 도 4와 같 사방에 4개가 조립될 수 있다. The side frame 12 is bent in a "U" shape to support the side of the storage box (B), the bending shape is not limited to this may be bent in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As shown in FIG. 3, two side frames 12 may be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frame 11, and four may be assembled on all sides as shown in FIG. 4.

이러한 측면 프레임(12)은 상면 프레임(11)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홀더(13)에 의해 360도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다. 이는 종래 프레임이 360도 회전이 불가능한 것과 대비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12)이 360도 회전가능하다는 것은 조립시 어느 방향에서 조립하여도 문제가 없으므로 방향성에 구속되지 않는 특징이 있고, 이로 인하여 조립의 편리성은 확보된다.
The side frame 12 may be freely rotated 360 degrees by the holder 13 in a state of being assembled to the upper frame 11. This contrasts with the conventional frame being unable to rotate 360 degrees. Since the side frame 12 is rotatable 360 degrees, there is no problem in assembling in any direction during assembly, and thus the side frame 12 is not limited to the directionality, thereby ensuring convenience of assembly.

상기 홀더(13)는 상면 프레임(11)에 측면 프레임(12)을 착탈가능하게 또한 회전가능하게 조립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요소이다.The holder 13 is an important element in that the side frame 12 is detachably and rotatably assembled to the upper frame 11.

상기 홀더(13)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조과정에서 상기 측면 프레임(12)의 일단부와 인서트 사출성형방식으로 제조된다. The holder 13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manufactured by insert injection molding with one end of the side frame 12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상기 홀더(13)는 측면 프레임(12)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는데, 상기 측면 프레임(12)을 상면 프레임(11)에 착탈가능 및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단부에 상면 프레임(11)을 수용하는 구멍(13a)이 형성되고, 이 구멍(13a) 속으로 상면 프레임(11)이 수용되는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13a)과 연통되게 상면 프레임(11)의 두께보다 얇은 폭으로 슬롯(13b)이 절개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면 프레임(11)을 파지하는 파지부재(13c)를 갖는다. The holder 13 is assembled to be fitted to the side frame 12, which receives the top frame 11 at the end to detachably and rotatably connect the side frame 12 to the top frame 11; A hole 13a is formed, and the slot 13 has a width that i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top frame 11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hole 13a so as to provide an entrance through which the top frame 11 is received. 13b) is cut out and has a holding member 13c for holding the upper frame 11 accommodated therein.

이와 같이 합성수지로 구성된 홀더(13)는 구멍(13a)과 연통되게 슬롯(13b)이 절개된 형태의 파지부재(13c)를 가지는데, 이 파지부재(13c)는 슬롯(13b)과 인접부분이 탄성작용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조립시 상면 프레임(11)의 측면에 상기 슬롯(13b)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홀더(13)를 밀게 되면 슬롯(13b)의 입구가 벌어지면서 탄성을 축적하게 되고, 상기 상면 프레임(11)이 구멍(13a) 속으로 삽입되면 축적된 탄성이 풀리면서 파지부재(13c)는 상면 프레임(11)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The holder 13 made of synthetic resin as described above has a gripping member 13c having a slot 13b cut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e 13a. The gripping member 13c has an adjacent portion with the slot 13b. It becomes elastic. Therefore, when the holder 13 is push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lot 13b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of the upper frame 11 during assembly, the inlet of the slot 13b is opened to accumulate elasticity, and the upper frame 11 is When inserted into the hole 13a, the accumulated elasticity is released and the gripping member 13c restrains the upper frame 11 from escaping.

따라서, 홀더(13)는 상면 프레임(11)의 측방향에서 간단히 조립되고, 이 상태에서 수납박스(B)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홀더(13)에 연결된 측면 프레임(12)을 수직방향으로 펼치게 되면 측면 프레임(12)이 수납박스(B)의 측면을 지지하면서 수납박스(B)의 수납공간(H)을 형성하게 되고, 수납박스(B)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기 측면 프레임(12)을 수평방향으로 접어 복원시킨다. Accordingly, the holder 13 is simply assembl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1, and in this state, the side frame 12 connected to the holder 13 is unfold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store the article in the storage box B. When the side frame 12 supports the side of the storage box (B) to form a storage space (H) of the storage box (B), when not using the storage box (B) the side frame 12 Fold horizontally and restore.

한편, 상면 프레임(11)에서 측면 프레임(12)을 분리시킬 경우, 홀더(13)를 잡아당기게 되면 슬롯(13b)을 통해 홀더(13)가 상면 프레임(11)에서 빠져나오게 되므로 상면 프레임(11)에서 측면 프레임(12)은 간단히 분리된다.
Meanwhile, when the side frame 12 is separated from the top frame 11, when the holder 13 is pulled out, the holder 13 is pulled out of the top frame 11 through the slot 13b and thus the top frame 11. The side frame 12 is simply separated.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측면 프레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납박스용 프레임(10A)는 도 5 내지 도 16에 도시되고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Next, as another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box frame 10A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is shown in Figures 5 to 1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측면 프레임(12)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수납박스용 프레임(10A)의 경우도, 크게 구분하면 상면 프레임(11), 상기 상면 프레임(11)에 조립되고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측면 프레임(12), 및 상기 상면 프레임(11)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되어 측면 프레임(12)을 상면 프레임(11)에 조립시키는 홀더(13)를 포함한다.
Also in the case of the storage box frame 10A that can adjust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12, the upper side frame 12, the side frame 12 is assembled to the upper frame 11, the height can be adjusted And a holder 13 detachably assembled to the top frame 11 to assemble the side frame 12 to the top frame 11.

여기서, 상기 상면 프레임(11) 및 홀더(13)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Here, since the upper frame 11 and the holder 13 have already been described, further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avoid duplication.

상기 측면 프레임(12)은 홀더(13)를 매개체로 하여 상기 상면 프레임(11)의 측방향에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고, 상면 프레임(11)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며, 높이조절수단(120)에 의해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된다. The side frame 12 is detachably assembl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1 with the holder 13 as a medium, is rotatable in the assembled state to the upper frame 11, and the height adjusting means 120 The height is optionally adjusted by

이렇게 형성된 측면 프레임(12)은 상면 프레임(11)과 수직방향으로 펼칠 때 수납박스(B)를 세워 내부에 수납공간(H)을 형성하는 것은 동일하므로, 이에 관한 설명은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중복을 피하기 위해 더 이상 생략하고, 높이조절수단(120)에 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The side frame 12 thus formed is the same as forming the storage space (H) inside the storage box (B) when it is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upper frame 11, the description thereof has already been described to avoid duplication In order to omit any more, the height adjusting means 12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은 상기 홀더(13)에 의해 상면 프레임(11)에 착탈식으로 조립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120a), 상기 제1프레임(120a) 내부에 연장부(120b-1)가 삽입되는 제2프레임(120b), 상기 제1,2프레임(120a)(120b)을 고정/해지하는 로킹장치(120c)를 포함한다.
The height adjusting means 120 is a pair of first frame 120a detachably assembled to the upper frame 11 by the holder 13, and an extension part 120b-1 in the first frame 120a. ) Is inserted into a second frame (120b), and the locking device (120c) for fixing / unlocking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20a, 120b).

상기 제1프레임(120a)은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를 수용할 수 있도록 몸체가 중공형상으로 구성되고, 몸체 일단부가 상기 홀더(13)에 고정된다. 상기 몸체에는 높이 조절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안내공(120a-1)이 관통된다. 상기 안내공(120a-1)은 2개 이상 복수 개를 형성할 수 있고, 최상부의 안내공(120a-1)과 최하부의 안내공(120a-1) 사이의 간격이 수납공간(H)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한계범위가 된다.
The first frame (120a) is a body is formed in a hollow shape to accommodate the extension portion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one end of the body is fixed to the holder (13). The body has a plurality of guide holes (120a-1) for guiding the height adjustment. Two or more guide holes 120a-1 may be formed,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most guide hole 120a-1 and the lowermost guide hole 120a-1 is the height of the storage space H. It is the limit range that can be adjusted.

상기 제2프레임(120b)은 연장부(120b-1)가 제1프레임(120a)의 내부에 삽입되어 실제적으로 측면 프레임(1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2프레임(120b)은 길이방향 양단부에 절곡된 연장부(120b-1)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120b-1)는 제1프레임(120a)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프레임(120a)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져야 한다.
In the second frame 120b, the extension 120b-1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to actually adjust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12. To this end, the second frame 120b has extension portions 120b-1 that are ben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xtension portion 120b-1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It should have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120a.

상기 로킹장치(120c)는 제1프레임(120a)에 수용된 제2프레임(120b)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하고, 또한 고정위치를 변경할 때 임시로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로킹장치(120c)는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내부에 탄성력에 의해 돌출/삽입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120c-1)가 상기 제2프레임(120b)을 제1프레임(120a)에 삽입할 때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120b)을 고정함으로써 측면 프레임(12)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The locking device 120c fixes the second frame 120b accommodated in the first frame 120a so as not to fall out, and releases the fixed state temporarily when the fixing position is changed. In other words, the locking device 120c has a stopper 120c-1 installed to protrude / insert by an elastic force inside the extension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When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a-1) of the first frame (120a) by fixing the second frame (120b) to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12).

이러한 로킹장치(120c)는 여러 가지 실시예로서 나타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2가지 실시예가 도시된다.This locking device 120c may be represented by various embodiments, and two embodiments are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로킹장치(120c)의 제 1실시예는 도 9 및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내부에서 돌출/삽입 가능하게 수용되고, 돌출될 때 상기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되어 제1프레임(120a)을 고정하는 스토퍼(120c-1);The first embodiment of the locking device 120c is protruded / inserted into the extension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as shown in FIGS. 9 and 11 to 14, and can be protruded. A stopper (120c-1)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a-1) of the first frame (120a) to fix the first frame (120a);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토퍼(120c-1)가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0c-2); 및An elastic member (120c-2)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to provide elasticity so that the stopper (120c-1) may protrude; And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내부에 수용된 스토퍼(120c-1) 및 탄성부재(120c-2)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제2프레임(120b)의 내부와 연통된 통로를 폐쇄하는 마개(120c-3);를 포함한다.A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120b is disposed so that the stopper 120c-1 and the elastic member 120c-2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art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do not fall out. It includes a closing cap 120c-3.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실시예의 로킹장치(120c)는 탄성부재(120c-2)에 의해 스토퍼(120c-1)는 항상 밀려나게 되므로 제2프레임(120b)에 빠지지 않도록 수용된 상태에서 그 선단 일부가 제2프레임(120b) 외부로 돌출된 상태가 된다. Since the stopper 120c-1 is always pushed out by the elastic member 120c-2, the locking device 120c of the firs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part of the tip of the locking device 120c that is accommodated so as not to fall into the second frame 120b. The two frames 120b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그러므로, 상기 제2프레임(120b)을 제1프레임(120a) 내부로 삽입하게 되면 탄성력에 의해 밀려난 스토퍼(120c-1)는 도 14와 같이 제1프레임(120a)의 내벽과 밀착한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제1프레임(120a)의 계속된 삽입에 의해 스토퍼(120c-1)가 안내공(120a-1)과 일치되면 도 13과 같이 상기 스토퍼(120c-1)는 탄성부재(120c-2)의 탄성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안내공(120a-1) 외부로 돌출되어 제1,2프레임(120a)(120b)을 결속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second frame 120b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the stopper 120c-1 pushed by the elastic forc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first frame 120a as shown in FIG. In this state, when the stopper 120c-1 coincides with the guide hole 120a-1 by the continuous insertion of the first frame 120a, the stopper 120c-1 is the elastic member 120c as shown in FIG. Instantly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guide hole (120a-1) by the elastic force of -2) to bind the first and second frames (120a, 120b).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제1프레임(120a) 내부에 제2프레임(120b)을 삽입/인출시켜 스토퍼(120c-1)가 위치가 다른 복수 개의 안내공(120a-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결속되면, 그에 따라 측면 프레임(12)의 높이가 결정되어 수납박스(B)의 수납공간(H)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In this manner, when the stopper 120c-1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120a-1 having different positions by inserting / drawing the second frame 120b inside the first frame 120a. Thus,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12 is determined to be able to selectively adjust the storage space (H) of the storage box (B).

여기서, 상기 스토퍼(120c-1)는 볼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로킹장치(120c)의 기술적 사상을 만족할 수 있는 구조라면 기타 다양한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
Here, the stopper (120c-1) is shown in the shape of a ball, if the structure that can satisfy the technical idea of the locking device (120c) will be possible in other various forms.

상기 로킹장치(120c)의 제 2실시예는 도 15 내지 도 16과 같이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로킹장치(120c)는 탄성체로 구성된 몸체 일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턱(120c-4)이 돌출되어,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를 제1프레임(120a) 내부에 삽입할 때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120c-4)이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120b)을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걸림턱(120c-4)을 누를 때 상기 안내공(120a-1)에서 벗어나 제2프레임(120b)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탄성지지체(120c-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locking device 120c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15 to 16. That is, the locking device 120c has one end of a body made of an elastic body fixed inside the extension part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and the guide hole 120a-1 of the first frame 120a at the other end thereof. The locking jaw 120c-4 protrudes so that the locking jaw 120c-4 can be inserted into the locking jaw 120c-4 when the extension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120c-4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a-1 of the first frame 120a to fix the second frame 120b, 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locking step 120c-4, the guide hole 120a. It is possible to use an elastic support member 120c-5 which releases the fixing state of the second frame 120b from -1).

상기 탄성지지체(120c-5)는 탄성력이 우수한 스프링강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판상의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지지체(120c-5)의 고정방법은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외부에 수행하는 스폿용접, 또는 연장부(120b-1)를 관통하여 직접 탄성지지체(120c-5)의 단부를 용접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The elastic support 120c-5 preferably uses spring stee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form of a plate. In the method of fixing the elastic support 120c-5, spot welding is performed outside the extension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or directly through the extension 120b-1 to support the elastic support 120c-5. Can be used to weld the ends of the shell.

상기 걸림턱(120c-4)의 길이가 길면 길수록 안내공(120a-1)으로 돌출되는 길이가 길어지므로, 이 돌출길이에 비례하여 로킹상태가 견고하게 되므로 걸림턱(120c-4)의 돌출길이는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Since the longer the length of the locking jaw (120c-4), the longer the protruding length to the guide hole (120a-1), the locking state is firmly proportional to the protruding length, so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locking jaw (120c-4) Is optionally adjustabl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높이조절수단(120)은 도 10과 같이 중앙에 로킹장치(120c) 1개를 두고 그 양측에 2개의 지지프레임(120d)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20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with two supporting frames 120d on both sides with one locking device (120c) in the center as shown in FIG.

즉,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은 중공형상의 몸체 일단부가 상기 홀더(13)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에는 높이 조절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안내공(120a-1)이 관통되며, 상기 홀더(13)에 의해 상면 프레임(11)에 착탈 및 회전가능 고정되는 제1프레임(120a);That is, the height adjusting means 120 is fixed to one end of the hollow body of the holder 13, a plurality of guide holes (120a-1) for guiding the height adjustment is passed through the body, the holder ( A first frame 120a detachably and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frame 11 by 13);

중공형상의 몸체 일단부가 상기 홀더(13)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13)에 의해 제1프레임(120a)의 양측에서 상면 프레임(11)에 착탈 및 회전가능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20d);One end of the hollow body is fixed to the holder 13,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20d) which are detachably and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frame 11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120a) by the holder (13) ;

길이방향에 상기 제1프레임(120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 연장부(120b-2)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연장부(120b-2) 양측에 상기 지지프레임(120d)에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가 형성되는 제2프레임(120b); 및A central extension part 120b-2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ide surface of the central extension part 120b-2 is inserted to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120d. A second frame 120b formed; And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 내부에 탄성력에 의해 돌출/삽입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120c-1)가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를 제1프레임(120a)에 삽입/인출할 때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120b)을 고정함으로써 측면 프레임(12)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로킹장치(120c);를 포함한다.
A stopper 120c-1 installed protruding / insertable by an elastic force inside the center extension part 120b-2 of the second frame 120b is a center extension part 120b-2 of the second frame 120b. When the insertion into / withdrawal from the first frame (120a)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a-1) of the first frame (120a) to secure the second frame (120b) to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12) It includes; locking device 120c.

여기서, 상기 로킹장치(120c)는 도 13 내지 도 16에서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since the locking device 120c has already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to 16,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를 제1프레임(120a)에, 양 측면 연장부(120b-3)를 지지프레임(120d)에 각각 삽입하여 제2프레임(120b)을 제1프레임(120a)에 삽입하면, 중앙 연장부(120b-2)에 돌출된 스토퍼(120c-1) 또는 걸림턱(120c-4)이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측면 프레임(12)을 높이 조절가능하게 고정하게 된다. 이는 로킹장치(120c)가 중앙 연장부(120b-2) 1곳에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어 사용을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고, 또한 양측 지지프레임(120d)이 그와 대응되는 측면 연장부(120b-3)를 각각 수용하게 되므로 제2프레임(120b)은 삽입/인출시 흔들리지 않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entral extension part 120b-2 of the second frame 120b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and both side extension parts 120b-3 are respectively inserted into the support frame 120d. When the second frame 120b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the stopper 120c-1 or the locking jaw 120c-4 protruding from the central extension part 120b-2 is connected to the first frame 120a. Is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a-1) of the side frame 12 is fixed to the height adjustable. This is because the locking device (120c) is installed in one central extension (120b-2) has the advantage that the user can operate with one hand to facilitate the use, and both sides support frame (120d) corresponding side Since the extension portions 120b-3 are respectively accommodated, the second frame 120b is not shaken when inserted / drawn.

한편, 본 발명은 도 17 내지 도 19와 같이 상면 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홀더(13)를 원하는 각도, 예컨대 수직 및 수평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be able to position the holder 13 rotatably assembled to the upper frame 11 as shown in Figure 17 to 19 at a desired angle, for example vertical and horizontal.

이를 위한 구성은 상기 상면 프레임(11)은 상기 홀더(13)가 조립되는 둘레에 복수 개의 수용홈(14)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13)는 파지부재(13c) 내측면에 탄성력에 의해 돌출/복원하는 스토퍼(15a)를 설치하여 이 스토퍼(15a)가 상기 수용홈(14)에 삽입될 때 홀더(13)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장치(15)가 설치된다. 상기 수용홈(14)은 상기 스토퍼(15a)가 삽입될 때 홀더(13) 및 제1프레임(120a)이 수직 또는 수평상태에 위치하는 곳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For this purpose, the upper frame 1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4 around the holder 13 is assembled, the holder 13 is projected by the elastic for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13c) A guide device 15 for guiding the assembling position of the holder 13 when the stopper 15a is installed and the stopper 15a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is installed. The receiving groove 14 may be formed where the holder 13 and the first frame 120a are position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state when the stopper 15a is inserted.

여기서, 상기 안내장치(15)는 파지부재(13c) 내부에서 돌출/삽입 가능하게 수용되고, 돌출될 때 상기 수용홈(14)에 삽입되어 홀더(13)의 정지위치를 안내하는 스토퍼(15a);Here, the guide device 15 is received in the holding member (13c) protruding / insertable, the stopper (15a)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when guided to guide the stop position of the holder (13) ;

상기 파지부재(13c)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토퍼(15a)가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5b); 및An elastic member (15b) accommodated in the holding member (13c) to provide elasticity so that the stopper (15a) can protrude; And

상기 파지부재(13c) 내부에 수용된 스토퍼(15a) 및 탄성부재(15b)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파지부재(13c) 내부와 연통된 통로(13d)를 폐쇄하는 마개(15c);를 포함한다.And a stopper 15c that closes the passage 13d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holding member 13c so that the stopper 15a and the elastic member 15b accommodated inside the holding member 13c do not fall out.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상면 프레임(11)에 조립된 홀더(13)를 회전시키게 되면, 스토퍼(15a)가 상면 프레임(11)의 외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면 프레임(11)의 수용홈(14)에 상기 스토퍼(15a)가 삽입되면 홀더(13) 및 제1프레임(120a)은 수직 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수직으로 펼치지면 수납박스(B)의 수납공간(H)을 형성하여 사용상태가 되고, 수평으로 접히게 되면 수납공간(H)을 폐쇄하여 도 8과 같이 수납박스(B)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lder 13 assembled to the upper frame 11 is rotated, the stopper 15a rotates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11, and in this state. When the stopper 15a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of the upper frame 11, the holder 13 and the first frame 120a are maintain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state. The storage space (H) is formed to be in a use state, and when folded horizontally, the storage space (H) is closed and the storage box (B) is not used as shown in FIG.

10,10A : 수납박스용 프레임 11 : 상면 프레임
12 : 측면 프레임 13 : 홀더
14 : 수용홈 15 : 안내장치
13a : 구멍 13b : 슬롯
13c : 파지부재 120 : 높이조절수단
120a : 제1프레임 120b : 제2프레임
120c : 로킹장치 120d : 지지프레임
120a-1 : 안내공 120b-1 : 연장부
120b-2 : 중앙 연장부 120b-3 : 측면 연장부
120c-1 : 스토퍼 120c-2 : 탄성부재
120c-3 : 마개 120c-4 : 걸림턱
120c-5 : 탄성지지체
10,10A: Frame for storage box 11: Top frame
12: side frame 13: holder
14: receiving groove 15: guide device
13a: hole 13b: slot
13c: holding member 120: height adjustment means
120a: first frame 120b: second frame
120c: locking device 120d: support frame
120a-1: Guide hole 120b-1: Extension part
120b-2: center extension 120b-3: side extension
120c-1: stopper 120c-2: elastic member
120c-3: stopper 120c-4: locking jaw
120c-5: elastic support

Claims (9)

수납박스(B)의 수납공간(H) 상단 내측 테두리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는 상면 프레임(11);
상기 상면 프레임(11)의 측방향에서 착탈가능하고 상면 프레임(11)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며, 상면 프레임(11)과 직각방향으로 펼칠 때 수납박스(B)를 세워 내부에 수납공간(H)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12); 및
상기 측면 프레임(12)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12)을 상면 프레임(11)에 착탈가능 및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단부에 상면 프레임(11)을 수용하는 구멍(13a)이 형성되며 이 구멍(13a) 속으로 상면 프레임(11)이 수용되는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13a)과 연통되게 상면 프레임(11)의 두께보다 얇은 폭으로 슬롯(13b)이 절개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면 프레임(11)을 파지하는 파지부재(13c)를 갖는 홀더(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
An upper frame 11 having a ring shape to be mounted on an upper inner edge of the storage space H of the storage box B;
Detachable from the side of the upper frame 11 and rotatable in the assembled state on the upper frame 11, when the storage box (B) when open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frame 11, the storage space ( A side frame 12 forming H); And
A hole 13a is fixed to the side frame 12 to receive the top frame 11 at an end thereof so as to detachably and rotatably connect the side frame 12 to the top frame 11. The upper surface accommodated inside the slot 13b is cut in a widt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frame 11 to communicate with the hole 13a so as to provide an entrance for receiving the upper frame 11 into the hole 13a. And a holder (13) having a holding member (13c) for holding the frame (11).
수납박스(B)의 수납공간(H) 상단 내측 테두리에 장착될 수 있도록 링형상을 갖는 상면 프레임(11);
상기 상면 프레임(11)의 측방향에서 착탈가능하고 상면 프레임(11)에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며, 높이 조절수단에 의해 높이가 선택적으로 조절되어, 상면 프레임(11)과 직각방향으로 펼칠 때 수납박스(B)를 세워 내부에 수납공간(H)을 형성하는 측면 프레임(12); 및
상기 측면 프레임(12)에 고정되고, 상기 측면 프레임(12)을 상면 프레임(11)에 착탈가능 및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단부에 상면 프레임(11)을 수용하는 구멍(13a)이 형성되며 이 구멍(13a) 속으로 상면 프레임(11)이 수용되는 출입구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구멍(13a)과 연통되게 상면 프레임(11)의 두께보다 얇은 폭으로 슬롯(13b)이 절개되어 내부에 수용된 상면 프레임(11)을 파지하는 파지부재(13c)를 갖는 홀더(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
An upper frame 11 having a ring shape to be mounted on an upper inner edge of the storage space H of the storage box B;
Removabl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upper frame 11 and rotatable in the assembled state on the upper frame 11, the height is selectively adjusted by the height adjusting means, when unfol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frame 11 A side frame 12 standing up the storage box B to form a storage space H therein; And
A hole 13a is fixed to the side frame 12 to receive the top frame 11 at an end thereof so as to detachably and rotatably connect the side frame 12 to the top frame 11. The upper surface accommodated inside the slot 13b is cut in a width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frame 11 to communicate with the hole 13a so as to provide an entrance for receiving the upper frame 11 into the hole 13a. And a holder (13) having a holding member (13c) for holding the frame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은 중공형상의 몸체 일단부가 상기 홀더(13)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에는 높이 조절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안내공(120a-1)이 관통되는 한 쌍의 제1프레임(120a);
길이방향 양단부에 절곡된 연장부(120b-1)를 가지며, 상기 연장부(120b-1)가 제1프레임(120a) 내부에 삽입되는 제2프레임(120b); 및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내부에 탄성력에 의해 돌출/삽입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120c-1)가 상기 제2프레임(120b)을 제1프레임(120a)에 삽입할 때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120b)을 고정함으로써 측면 프레임(12)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로킹장치(12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2, The height adjustment means 120 is one end of the hollow body is fixed to the holder 13, as long as the plurality of guide holes (120a-1) for guiding the height adjustment through the body A pair of first frames 120a;
A second frame (120b) having an extension (120b-1) bent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xtension (120b-1)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And
A stopper 120c-1 installed to protrude / insert into the extension part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to insert the second frame 120b into the first frame 120a. It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a-1) of the first frame (120a) by locking the second frame (120b) locking device (120c) for selectiv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12; Frame for storage box.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120c)는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내부에서 돌출/삽입 가능하게 수용되고, 돌출될 때 상기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되어 제1프레임(120a)을 고정하는 스토퍼(120c-1);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토퍼(120c-1)가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0c-2); 및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내부에 수용된 스토퍼(120c-1) 및 탄성부재(120c-2)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제2프레임(120b)의 내부와 연통된 통로를 폐쇄하는 마개(120c-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cking device (120c) is accommodated protruded / insertable inside the extension portion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when the guide hole of the first frame (120a) A stopper (120c-1) inserted into the 120a-1 to fix the first frame (120a);
An elastic member (120c-2)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to provide elasticity so that the stopper (120c-1) may protrude; And
A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of the second frame 120b is disposed so that the stopper 120c-1 and the elastic member 120c-2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part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do not fall out. Closing cap 120c-3; Frame for a storage box comprising 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120c)는 탄성체로 구성된 몸체 일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턱(120c-4)이 돌출되어, 제2프레임(120b)의 연장부(120b-1)를 제1프레임(120a) 내부에 삽입할 때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120c-4)이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120b)을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걸림턱(120c-4)을 누를 때 상기 안내공(120a-1)에서 벗어나 제2프레임(120b)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탄성지지체(120c-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cking device 120c has one end of a body made of an elastic body fixed inside the extension part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and the guide hole of the first frame 120a at the other end thereof. The latching jaw 120c-4 protrudes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120a-1, and when the extension part 120b-1 of the second frame 120b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by the elastic force. The locking jaw 120c-4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a-1 of the first frame 120a to fix the second frame 120b, and the guide when the user presses the locking jaw 120c-4. Frame for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upport (120c-5) to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second frame (120b) off the ball (120a-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120)은 중공형상의 몸체 일단부가 상기 홀더(13)에 고정되고, 상기 몸체에는 높이 조절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 개의 안내공(120a-1)이 관통되며, 상기 홀더(13)에 의해 상면 프레임(11)에 착탈 및 회전가능 고정되는 제1프레임(120a);
중공형상의 몸체 일단부가 상기 홀더(13)에 고정되고, 상기 홀더(13)에 의해 제1프레임(120a)의 양측에서 상면 프레임(11)에 착탈 및 회전가능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120d);
길이방향에 상기 제1프레임(120a)에 삽입될 수 있도록 중앙 연장부(120b-2)가 형성되고, 상기 중앙 연장부(120b-2) 양측에 상기 지지프레임(120d)에 삽입될 수 있도록 측면 연장부(120b-3)가 형성되는 제2프레임(120b); 및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 내부에 탄성력에 의해 돌출/삽입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120c-1)가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를 제1프레임(120a)에 삽입/인출할 때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120b)을 고정함으로써 측면 프레임(12)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로킹장치(120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height adjusting means 120 is fixed to one end of the hollow body of the holder 13, a plurality of guide holes (120a-1) for guiding the height adjustment through the body, A first frame (120a) detachably and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frame (11) by the holder (13);
One end of the hollow body is fixed to the holder 13,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120d) which are detachably and rotatably fixed to the upper frame 11 on both sides of the first frame (120a) by the holder (13) ;
A central extension part 120b-2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ide surfaces of the central extension part 120b-2 can be inserted into the support frame 120d. A second frame 120b in which the extension part 120b-3 is formed; And
A stopper 120c-1 installed protruding / insertable by an elastic force inside the center extension part 120b-2 of the second frame 120b is a center extension part 120b-2 of the second frame 120b. When the insertion into / withdrawal from the first frame (120a)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a-1) of the first frame (120a) to secure the second frame (120b) to selectively adjust the height of the side frame (12) Locking device (120c); frame for a storage box comprising a.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120c)는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 내부에서 돌출/삽입 가능하게 수용되고, 돌출될 때 상기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되어 제1프레임(120a)을 고정하는 스토퍼(120c-1);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토퍼(120c-1)가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0c-2); 및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 내부에 수용된 스토퍼(120c-1) 및 탄성부재(120c-2)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 내부와 연통된 통로를 폐쇄하는 마개(120c-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locking device (120c) is accommodated protruded / insertable inside the central extension portion (120b-2) of the second frame (120b), when the guide hole of the first frame (120a) A stopper 120c-1 inserted into the 120a-1 to fix the first frame 120a;
An elastic member (120c-2) accommodated in the central extension portion (120b-2) of the second frame (120b) to provide elasticity so that the stopper (120c-1) may protrude; And
Central extension part 120b of the second frame 120b so that the stopper 120c-1 and the elastic member 120c-2 accommodated in the central extension part 120b-2 of the second frame 120b do not fall out. -2) a storage box frame comprising a; stopper (120c-3) for closing th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inside.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로킹장치(120c)는 탄성체로 구성된 몸체 일단부가 상기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 내부에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될 수 있도록 걸림턱(120c-4)이 돌출되어, 제2프레임(120b)의 중앙 연장부(120b-2)를 제1프레임(120a) 내부에 삽입할 때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턱(120c-4)이 제1프레임(120a)의 안내공(120a-1)에 삽입되어 제2프레임(120b)을 고정시키고, 사용자가 상기 걸림턱(120c-4)을 누를 때 상기 안내공(120a-1)에서 벗어나 제2프레임(120b)의 고정상태를 해제시키는 탄성지지체(120c-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
According to claim 6, The locking device (120c) is one end of the body made of an elastic body is fixed inside the central extension portion (120b-2) of the second frame (120b) and the other end guide hole of the first frame (120a) The latching jaw 120c-4 protrudes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120a-1, so that when the central extension portion 120b-2 of the second frame 120b is inserted into the first frame 120a, the locking jaw 120c-4 protrudes. When the locking jaw (120c-4) is inserted into the guide hole (120a-1) of the first frame (120a) to fix the second frame (120b), when the user presses the locking jaw (120c-4) Frame for the storage box,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support (120c-5) to release the fixed state of the second frame (120b) off the guide hole (120a-1).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면 프레임(11)은 상기 홀더(13)가 조립되는 둘레에 복수 개의 수용홈(14)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13)는 파지부재(13c) 내측면에 탄성력에 의해 돌출/복원하는 스토퍼(15a)를 설치하여 이 스토퍼(15a)가 상기 수용홈(14)에 삽입될 때 홀더(13)의 조립위치를 안내하는 안내장치(15)가 설치되며,
여기서, 상기 안내장치(15)는 파지부재(13c) 내부에서 돌출/삽입 가능하게 수용되고, 돌출될 때 상기 수용홈(14)에 삽입되어 홀더(13)의 정지위치를 안내하는 스토퍼(15a);
상기 파지부재(13c)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스토퍼(15a)가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5b); 및
상기 파지부재(13c) 내부에 수용된 스토퍼(15a) 및 탄성부재(15b2)가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파지부재(13c) 내부와 연통된 통로(13d)를 폐쇄하는 마개(115c);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박스용 프레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upper frame (11)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receiving grooves (14) around the holder 13 is assembled;
The holder 13 is provided with a stopper 15a protruding / restored by an elastic forc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ing member 13c so that the holder 13 is assembled when the stopper 15a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Guide device 15 for guiding the location is installed,
Here, the guide device 15 is received in the holding member (13c) protruding / insertable, the stopper (15a)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groove 14 when guided to guide the stop position of the holder (13) ;
An elastic member (15b) accommodated in the holding member (13c) to provide elasticity so that the stopper (15a) can protrude; And
And a stopper (115c) for closing the passage (13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f the holding member (13c) so that the stopper (15a) and the elastic member (15b2) accommodated inside the holding member (13c) does not fall out. Frame for storage box.
KR1020110002818A 2011-01-11 2011-01-11 Frame for storage box KR2012008146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818A KR20120081468A (en) 2011-01-11 2011-01-11 Frame for storage box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818A KR20120081468A (en) 2011-01-11 2011-01-11 Frame for storage box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468A true KR20120081468A (en) 2012-07-19

Family

ID=46713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818A KR20120081468A (en) 2011-01-11 2011-01-11 Frame for storage box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1468A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5342A (en) * 2014-03-18 2015-09-23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Storage System And Proces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6037278A (en) * 2016-07-31 2016-10-26 杨如双 Size-changeable folding removable box
US10214320B2 (en) 2014-03-18 2019-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orage system and proces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14762194A (en) * 2019-09-25 2022-07-15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Mobile terminal and card support device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25342A (en) * 2014-03-18 2015-09-23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Storage System And Proces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214320B2 (en) 2014-03-18 2019-0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torage system and proces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CN106037278A (en) * 2016-07-31 2016-10-26 杨如双 Size-changeable folding removable box
CN114762194A (en) * 2019-09-25 2022-07-15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Mobile terminal and card support device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6751A (en) Collapsible table
ES2679623T3 (en) Inserts for a sorting box
KR20120081468A (en) Frame for storage box
US5476184A (en) Insert for soft-sided duffel bag
KR101831840B1 (en) Folding box
KR101996504B1 (en) Multipurpose storage box
EP1253087A1 (en) Container
JP2003518969A (en) Portable music stand
US20130180982A1 (en) Foldable and Overlappable Carrier Box
KR101635611B1 (en) Fold type portable table
KR200438117Y1 (en) Foldable Support for Laundry Drying Stand
CN105877154A (en) Multifunctional folding table
JP2014514050A (en) stand
CN204378524U (en) A kind of Novel teacher stool
JP5985254B2 (en) Folding umbrella stand
KR101319158B1 (en) Coupling device for box using corrugated cardboard and box using corrugated cardboard comprising the same
CN106723755B (en) A kind of foldable umbrella handle of clamping device
KR101080822B1 (en) umbrella stand
CN210652499U (en) Collapsible portable fine arts drawing board
KR200443119Y1 (en) A Drop table
US20060006175A1 (en) Folding container
KR101846286B1 (en) Can be scaled cake stand
US20120067877A1 (en) Collapsible carrying device
CN206380831U (en) A kind of foldable umbrella handle of clamping device
KR20090007636U (en) folding type basket convenient for carriage and stor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