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1178A - Vacuum cleaner with dust visualization device - Google Patents

Vacuum cleaner with dust visualiz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1178A
KR20120081178A KR1020127011325A KR20127011325A KR20120081178A KR 20120081178 A KR20120081178 A KR 20120081178A KR 1020127011325 A KR1020127011325 A KR 1020127011325A KR 20127011325 A KR20127011325 A KR 20127011325A KR 20120081178 A KR20120081178 A KR 20120081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dial
housing
air
communicat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13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56531B1 (en
Inventor
황만태
황정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81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11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53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PURPOSE: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visualizing unit is provided to easily remove dust in the inside of a housing unit of a dust visualizing unit due to external air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unit becaus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ust visualizing unit are connected by rotating a dial unit. CONSTITUTION: A vacuum cleaner comprises a sucking nozzle(100) and a dust visualizing unit. The dust visualizing unit is composed of an air-dust separating member, a housing unit, and an air guiding unit. The air-dust separating member formed in one side of the sucking nozzle comprises an opening(223) where dust and air are discharged and an air flowing hole. The air flowing hole and the opening are independently arranged so that the air can flow. The air guiding unit is formed in the housing unit to be rotated, thereby selectively guiding air outside of the housing unit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Description

먼지 가시화 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VACUUM CLEANER WITH DUST VISUALIZATION DEVICE}VACUUM CLEANER WITH DUST VISUALIZATION DEVICE}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청소 중 흡입되는 먼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볼 수 있도록 하는 먼지가시화장치를 구비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clea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cleaner having a dust visualizing device for allowing a user to visually see dust sucked during cleaning.

진공청소기는 진공압을 이용하여 먼지와 공기를 빨아들인 후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여 청소면을 청소하는 전기제품으로서, 그 기본적인 구성을 보면,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되는 흡입관과, 상기 흡입관에 연결되는 흡입노즐을 포함한다.A vacuum cleaner is an electric appliance that sucks dust and air using vacuum pressure and then separates the dust and air to clean the cleaning surface. The basic configuration includes a main body, a suction pip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a connection to the suction pipe. And a suction nozzle.

사용자가 본체를 작동시켜 진공압이 본체 내에 형성된 상태에서 흡입관을 잡고 흡입노즐의 이동방향을 조절하면서 청소면을 청소하면, 청소면에 있던 먼지와 공기가 상기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관을 거쳐서 상기 본체로 유입된다. 그리고, 먼지와 공기가 분리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main body to hold the suction pipe while the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e main body and cleans the cleaning surface while adjust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uction nozzle, dust and air on the cleaning surface flow into the main body through the suction nozzle and the suction pipe. . Then, dust and air are separated.

그런데, 사용자 입장에서 청소하는 도중에 먼지가 제대로 흡입되고 있는지, 흡입되고 있는 먼지의 양은 얼마나 되는지에 대해 알고 싶은 수요가 있었고, 이러한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흡입노즐 일측에 먼지가시화 장치를 부착하였다.However, there was a demand to know whether dust is being sucked properly and how much dust is being sucked while cleaning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o meet this demand, a dust visualization device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suction nozzle.

종래 기술의 먼지가시화 장치의 경우, 그 내부에 흡입되어 누적되었던 먼지가 먼지가시화장치의 내부 틈새에 끼여서 나중에 내부를 분리하여 청소해주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case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of the prior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dust accumulated and sucked in the interior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is caught in an internal gap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so that the interior is separated and cleaned later.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먼지가시화 장치 내부의 공기유동이 원활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그 내부에 있는 먼지가 구성요소간의 틈새에 끼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smoothly maintain the air flow inside the dust visualization device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dust inside the gap between the components. .

또한, 본 발명은 먼지가시화 내부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시켜 그 내부에 있던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cuum cleaner that can easily remove the dust in the interior by introducing external air into the dust visualizatio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노즐에 의하여 흡입되는 먼지가 누적되는 먼지가시화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먼지가시화 장치는; 상기 흡입노즐의 일측에 마련되되, 먼지 및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과 별도로 마련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유동홀을 포함하는 공기 먼지분리부재와; 상기 먼지분리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상기 하우징부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안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the suction nozzle; A dust visualization device provided in the suction nozzle to accumulate dust sucked by the suction nozzle; The dust visualization device is; An air dust separation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nozzle and including an opening through which dust and air are discharged and an air flow hol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pening; A housing part in which the dust separation member is accommodated; The vacuum cleaner may be provided to be rotatable in the housing unit and optionally include an air guide device for guiding air outside the housing unit into the housing uni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을 보면,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노즐에 의하여 흡입되는 먼지가 누적되는 먼지가시화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먼지가시화 장치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먼지분리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연통공이 마련된 다이얼부를 구비하는 공기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한다.In another aspect of the invention, the suction nozzle; A dust visualization device provided in the suction nozzle to accumulate dust sucked by the suction nozzle; The dust visualization device is; A housing having a transparent or semi-transparent material, a dust separating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 dial having a communication hole coupled to the housing to selectively communicate the outside with the inside of the housing by a rotational movement. It provides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air guide member.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여 먼지가시화 장치에 유입된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먼지가시화 장치 내부 틈새에 먼지가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can be more smoothly escaped, and also,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foreign matter from being caught in the gap between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또한, 먼지가시화 장치의 일측에 마련되는 다이얼부를 회전시킴으로써 먼지가시화 장치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킴으로써, 외부의 공기를 그 내부로 유입시켜 먼지가시화 장치의 하우징부 내부에 있는 먼지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In addition, by rotating the dia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to communicate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it is possible to easily remove the dust inside the housing portion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by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There is also an advantag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및 먼지가시화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과 먼지가시화 장치의 결합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먼지가시화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먼지가시화 장치에서의 선회류의 궤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먼지가시화 장치의 먼지분리부재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의한 먼지가시화 장치의 먼지분리부재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먼지가시화 장치에서 다이얼부가 회전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먼지가시화 장치에서 다이얼부가 회전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먼지가시화 장치에서 하우징부에 먼지가 잔류하고 누적되는 것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의한 먼지가시화 장치에서 하우징부에 먼지가 제거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nozzle and the dust visualization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the suction nozzle and the dust visualization device of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trajectory of the swirl flow in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of the dust separating member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of a dust separating member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dial portion is rotated in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dial is rotated in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that dust is accumulated and accumulated in a housing part in the apparatus for visualizing dus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dust from the housing part in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함은 물론이다.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implement other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bu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f course.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본체(10)와, 흡입관(20)과, 상기 흡입관(20)과 연결되는 흡입노즐(100)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흡입관(20)은 흡입노즐(100)과 연결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연장된 형태의 제1흡입관(21)과, 상기 제1흡입관(21) 및 상기 본체(10)와 연결되며 주름관 형태로 마련되는 제2흡입관(22)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 suction pipe 20, and a suction nozzle 100 connected to the suction pipe 20. The suction pipe 20 is An extended first suction pipe 21 having a length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100 is adjusted, and a second suction pipe 22 connected to the first suction pipe 21 and the main body 10 and provided in a corrugated pipe shape. ).

상기 흡입노즐(100)의 일측에는 원통형의 먼지가시화장치(200)가 마련된다.One side of the suction nozzle 10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dust visible device 200.

상기 먼지가시화장치(200)는 상기 진공청소기 동작시 먼지와 공기가 유입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진공청소기가 먼지를 흡입하는 동작 중 임을 알 수 있게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ust visualizing apparatus 200 performs a function of allowing the user to know that the vacuum cleaner is currently in the operation of sucking dust by introducing dust and ai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acuum cleaner.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노즐(100)과 상기 먼지가시화 장치(200)의 구성을 보면 아래와 같다.As shown in FIG. 2, the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nozzle 100 and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200 is as follows.

상기 흡입노즐(100)의 외관은 상부케이스(110)와 하부케이스(120)로 나뉘며,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하부에는 흡입유로(121)와, 상기 흡입유로(121)와 인접하게 마련되어 상하운동을 하면서 청소면을 가격하는 펀칭부재(132)가 마련된다.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suction nozzle 100 is divided into an upper case 110 and a lower case 120, and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20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uction passage 121 and the suction passage 121, the upper and lower A punching member 132 is provided that strikes the cleaning surface while exercising.

그리고, 상기 상부케이스(110)와 상기 하부케이스(120) 사이에는 상기 펀칭부재의 상하운동을 유발할 수 있도록 상기 펀칭부재(132)와 연결되는 동력발생부(131)를 포함한다.And, between the upper case 110 and the lower case 120 includes a power generating unit 131 connected to the punching member 132 to caus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punching member.

상기 하부케이스(120)의 상부 후방측에는 상기 흡입유로(121)와 연통되며 상기 먼지가시화 장치(200)의 일부가 장착되는 장착홈(123)이 마련되는데, 상기 장착홈(123)은 대략 원통형태로 마련되다.The upper rear side of the lower case 120 is provided with a mounting groove 123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passage 121 and to which a part of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200 is mounted. The mounting groove 123 has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To be prepared.

구체적으로 보면 상기 장착홈(123)의 상부는 상기 흡입노즐(100)의 상부케이스(110)의 후방에 마련되는 반원통형태의 홈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홈(123)의 하부는 상기 흡입노즐(100)의 하부케이스(120) 후방에 마련되는 반원통형태의 홈에 의하여 형성된다.Specifically, the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groove 123 is made by a semi-cylindrical groove provided in the rear of the upper case 110 of the suction nozzle 100,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groove 123 is the suction It is formed by a semi-cylindrical groove provided behind the lower case 120 of the nozzle 100.

상기 흡입노즐(100)의 후방에 마련되는 제1흡입관(21)은 상기 흡입노즐(100)에 직접적으로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장착홈(123)에 그 일부가 끼워지는 흡입관 연결부재(140)에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흡입노즐(100)과 연결된다.The first suction pipe 21 provided at the rear of the suction nozzle 100 is not directly inserted into the suction nozzle 100, but a portion of the suction pipe connecting member 140 fitted into the mounting groove 123. It is connected to the suction nozzle 100 in the form connected to.

상기 흡입관 연결부재(140)의 전방측은 반원통 형태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흡입관 연결부재(140)의 후방측은 상기 제1흡입관(21)이 연결될 수 있도록 관 형태로 형성된다.The front side of the suction pipe connecting member 140 is formed with a semi-cylindrical groove, the rear side of the suction pipe connecting member 140 is formed in a tube shape so that the first suction pipe 21 can be connected.

이러한 흡입관 연결부재(140)의 전방측에 상기 먼지가시화장치(200)의 일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홈(123)에 상기 흡입관 연결부재(140) 및 상기 먼지가시화장치(200)가 장착된다.The suction pipe connecting member 140 and the dust visualizing device 200 are mounted in the mounting groove 123 in a state where a part of the dust visualizing device 200 is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suction pipe connecting member 140. .

상기 먼지가시화장치(200)는 연결부재(210)와, 상기 연결부재(210)의 단부에 마련되는 먼지분리부재(220)와, 상기 먼지분리부재(220)를 수용하며 상기 연결부재(210)와 연결되는 하우징부(230)와, 상기 하우징부(230)의 단부에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안내장치(240)를 포함한다.The dust visualizing apparatus 200 accommodates the connecting member 210, the dust separating member 220 provid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the dust separating member 220 and the connecting member 210. And a housing unit 230 connected to the housing unit 230 and an air guide unit 240 provided at an end of the housing unit 230 to selectively guide external air into the housing unit 230.

상기 연결부재(210)는 관 형태로 마련되고, 외주면의 일측에는 상기 흡입유로(121)와 연통되는 흡입구(211)가 마련되고, 상기 흡입구(211)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흡입관(21)과 연통되는 토출구(212)가 마련된다.The connection member 210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ube, and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vided with a suction port 211 communicated with the suction passage 121, the opposite side of the suction port 211 and the first suction pipe 21 and A discharge port 212 in communication is provided.

상기 흡입구(211)의 상부측에는 지지플레이트(213)가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플레이트(213)는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211)와 상기 흡입유로(121) 사이에 있는 공간을 덮는 밀폐부재 역할을 하여 이 공간에 들어온 먼지가 상부로 이동하지 않고 상기 흡입구(211)로 바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A support plate 213 protrudes from an upper side of the suction port 211, and the support plate 213 opens a space between the suction port 211 and the suction passage 121 as shown in FIG. 3. It acts as a sealing member to cover so that the dust entered into this space can be introduced directly into the suction port 211 without moving upward.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210)의 단부에는 상기 먼지분리부재(220)가 장착되는데, 상기 먼지분리부재(220)는 사이클론 방식을 이용하여 먼지와 공기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As shown in Figure 2,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210,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serves to separate dust and air using a cyclone method. .

이러한 상기 먼지분리부재(220)의 구성을 보면, 상기 연결부재(210)와 결합되는 중공관 형태의 결합부(221)와, 상기 결합부(221)의 일측에 연결되고 외측으로 갈수록 그 지름이 순차적으로 감소하는 콘 형태로 마련되는 먼지분리부(222)와, 상기 먼지분리부(222)의 단부에 형성되어 공기 및 먼지가 토출되는 개구부(223)을 포함한다.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the coupling portion 221 of the hollow tube shape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210, the diameter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upling portion 221 and toward the outside The dust separator 222 is provided in a sequentially decreasing cone shape, and an opening 223 formed at an end of the dust separator 222 to discharge air and dust.

한편, 상기 결합부(221)에 인접한 상기 먼지분리부(222)의 외주면에는 원환형태의 리브부재(224)가 마련되는데, 상기 리브부재(224)는 상기 먼지분리부(222)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벽공간 사이의 틈새만큼의 높이를 가져서 먼지가 그 틈새 사이로 끼어서 고정되는 것을 방지한다.Meanwhile, an annular rib member 224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22 adjacent to the coupling part 221, and the rib member 224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22. It has a height as large as a gap between the inner wall spaces of the housing part 230 to prevent dust from being clamped between the gaps.

또한, 상기 리브부재(224)는 상기 먼지분리부(222) 주위에서 먼지 및 공기가 선회하는 경우, 먼지 및 공기가 상기 리브부재(224)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그 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rib member 224 serves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dust and air to move along the surface of the rib member 224 when dust and air pivot around the dust separator 222. Sometimes.

그리고, 상기 결합부(221)의 테두리에는 상기 연결부재(210)와 상기 결합부(22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225)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돌기(225)가 상기 연결부재(210)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210)와 상기 먼지분리부재(220)가 고정결합된다.In addition, a fixing protrusion 225 for fixing the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coupling part 221 is provided at the edge of the coupling part 221. The fixing protrusion 225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member 210 so that the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are fixedly coupled.

그리고, 이러한 결합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210)의 내부공간과 상기 먼지분리부재(220)의 내부공간이 연통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inner space of the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inner space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ma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such a combination.

상기 하우징부(230)는 상기 먼지분리부재(220)를 수용하면서 상기 연결부재(210)의 외주면과 결합된다.The housing 230 is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210 while receiving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상기 하우징부(230)가 상기 먼지분리부재(220)를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도1참조,10 )내부에 진공압 형성이 되면, 상기 흡입노즐(100)을 통과한 공기 및 먼지가 상기 흡입유로(121)와, 연결부재(210),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부재(220)를 통과한 후 상기 개구부(223)에서 토출되어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로 유입된다.When the vacuum is formed in the main body (see FIG. 1 and 10) while the housing unit 230 accommodates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the air and dust passing through the suction nozzle 100 are discharged. Afte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assage 121, the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the suction passage 121 is discharged from the opening 223 an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30.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에 유입된 공기와 먼지는 상기 먼지분리부(222) 외주면을 회전하는데, 무게가 있는 먼지는 그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벽면을 따라서 이동하다가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에 누적된다.Air and dust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30 rotate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or 222, and the heavy dust moves along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230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then the housing. Accumulated inside the unit 230.

그리고,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개구부(223)로 재차 유입된 후 상기 연결부재(210)의 토출구(212)를 통과하여 상기 제1흡입관(21)을 따라 상기 본체(도1참조, 10)로 유입된다.In addition,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flows into the opening 223 again and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along the first suction pipe 21 to the main body (see FIG. 1 and 10). Flows into.

상기 하우징부(230)의 상세한 구성을 보면, 소정의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제1몸체부(231)와, 상기 제1몸체부(231)의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1몸체부(231)보다 그 직경이 약간 작은 제2몸체부(232)를 포함한다.Looking a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ousing 230, the first body portion 231 having a predetermined internal space, and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body portion 231, the first body portion 231 The second body portion 232 is slightly smaller in diameter.

제2몸체부(232)의 일면에는 상기 하우징부(230)의 외부와 상기 내부를 연통시키는 제1연통공(233)이 마련된다.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32 is provided with a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to communicate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230.

상기 제2몸체부(232)의 일면의 중심에는 후술할 다이얼 커버부재(250)의 고정축(251)이 삽입되는 삽입공(234)이 마련되고, 상기 제1몸체부(231)의 내측 테두리부에는 상기 연결부재(210)와 고정결합되는 고정부(235)가 마련된다.An insertion hole 234 into which the fixed shaft 251 of the dial cover member 25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one surfac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32, and an inner edge of the first body portion 231 is provided. The part is provided with a fixed part 235 is fixedly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210.

상기 제2몸체부(232)는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다이얼부(241)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The second body portion 23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dial portion 241 provided to be rotatable.

상기 다이얼부(241)는 상기 제2몸체부(232)의 단면형상에 대응되는 형태의 커버플레이트와(241)와, 상기 커버플레이트(241)의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241)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해지도록 마련되는 파지부(242)를 포함한다.The dial portion 241 is formed on the cover plate 241 and the edge of the cover plate 241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cond body portion 232 and the thickness of the cover plate 241 It is formed to be thicker and includes a grip portion 242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user's grip.

상기 커버플레이트(241)의 중심에는 후술할 다이얼 커버부재(250)의 고정축이 관통하는 관통공(243)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플레이트(241)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제1연통공(233)과 선택적으로 연통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연통공(244)이 마련된다.The center of the cover plate 241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43)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of the dial cover member 250 to be described later, the other portion of the cover plate 241 is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244 which is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mmunicated with.

그리고, 상기 다이얼부(241)의 양면상에는 제2몸체부(232)와 상기 다이얼커버부재(250)가 각각 수용되도록 상기 커버플레이트(241)의 외면과 상기 파지부의 내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용홈(245)이 마련된다And, on both sides of the dial portion 241,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plate 241 and the inner wall of the gripping portion so that the second body portion 232 and the dial cover member 250 are accommodated, respectively. (245) is prepared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250)는 상기 수용홈(245)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al cover member 250 is preferably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receiving groove 245.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250)의 양면 중 상기 수용홈(245)에 면접하는 면의 중심에는 상기 제2몸체부(232)의 삽입공(23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축(251)이 돌출되는 형태로 마련된다.A fixed shaft 251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insertion hole 234 of the second body part 232 at the center of the surface of the dial cover member 25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groove 245. It is prepared in the form.

그리고,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250)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제1,2연통공(233,234)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3연통공(254)이 마련된다.In addition, the other portion of the dial cover member 250 is provided with a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communication holes 233 and 234.

상기 하우징부(230)의 제2몸체부(232)에 마련되는 제1연통공(233)과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250)의 제3연통공(254)은 그 위치가 변함이 없다. 왜냐하면 상기 하우징부(230)와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250)가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기 때문이다.The position of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provided in the second body part 232 of the housing part 230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of the dial cover member 250 is not changed. This is because the housing part 230 and the dial cover member 250 are installed in a fixed state.

한편, 상기 제1연통공(233)과 상기 제3연통공(254)은 상호 간에 마주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연통공(244)의 위치 변화에 따라서 상기 제1연통공(233)과 상기 제3연통공(254)이 연통 또는 차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is preferably formed to face each other. This is to allow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to communicate or be block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4.

상기 다이얼부(241)는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기 때문에, 상기 제2연통공(244)의 위치는 변화하며,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부(241)를 조작하여 상기 제2연통공(244)의 위치가 상기 제1연통공(233)과 상기 제3연통공(254)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될 수 있다.Since the dial part 241 is rotatably provided,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4 is changed, and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4 is changed by a user operating the dial part 241. When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portion 230 may be in communication.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다이얼부(241)를 조작하여 상기 제2연통공(244)이 상기 제1연통공(233)과 상기 제3연통공(254)의 사이를 벗어나면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부와 외부의 연통이 차단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dial part 241 agai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4 moves away from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and the housing part 230.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is blocked.

도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가시화 장치(200)는 상기 흡입노즐(100)의 후방 일측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흡입노즐(100)에 의하여 흡입된 먼지 및 공기는 상기 먼지가시화 장치(200) 내부에 유입되고 먼지분리 과정을 거친 후에 상기 제1흡입관(21)으로 유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200 is inserted into a rear side of the suction nozzle 100, and the dust and air sucked by the suction nozzle 100 are the dust visualization apparatus 200. ) Flows into the first suction pipe 21 after being introduced into the inside and undergoing a dust separation process.

상기 하우징부(230)는 투명한 재질을 가진 부재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내부의 구성이 모두 외부에 보여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술한 먼지 분리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부에 누적된 먼지 또한 외부에 그대로 보여진다.Since the housing part 230 is made of a member having a transparent material, all of its internal configuration is shown to the outside, and accordingly, it accumulates inside the housing part 230 through the above-described dust separation process. Dust can also be seen on the outside.

한편, 상기 다이얼부(241)에 마련되는 파지부(242)의 직경은 상기 하우징부(23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파지부(242)가 상기 하우징부(230)보다 외경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파지가 보다 용이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diameter of the gripping portion 242 provided in the dial portion 241 is preferably formed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using portion 230, which is the gripping portion 242 than the housing portion 230 This is to make the user's gripping easier by protruding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그리고, 상기 파지부(242)의 외면의 일부에는 파지홈(242a)이 형성되어 사용자의 파지에 의한 회전시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gripping groove 242a is formed on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gripping portion 242 so that the sliding phenomenon does not occur when the user rotates by the gripping.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분리부재(220)의 먼지분리부(222)의 외주면에는 상기 개구부(223)과 별도로 공기의 유동을 위한 공기유동홀(226)이 마련된다.As shown in FIG. 4, an air flow hole 226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22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to separate the air from the opening 223.

상기 공기유동홀(226)은 상기 하우징(230) 내부에 있던 공기가 보다 원활하게 상기 먼지분리부재(220)를 통과하여 상기 연결부재(210)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air flow hole 226 is for allowing the air inside the housing 230 to move more smoothly through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and to move toward the connection member 210.

또한,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부(241)를 조작하여 상기 먼지가시화장치(200)외부에 있던 공기를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로 유입시키는 경우, 먼지가 상기 개구부(223) 뿐만 아니라 상기 공기유동홀(226)을 통해서도 토출될 수 있도록 위하여 상기 공기유동홀(226)을 마련한 것이다.In addition, when a user manipulates the dial part 241 to introduce air that is outside the dust visualizing device 200 into the housing 230, dust may not only open the opening 223 but also the air flow hole. The air flow hole 226 is provide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226.

상기 먼지분리부(223)의 외주면에는 이를 따라 원환 형태로 형성된 리브부재(225)가 마련되는데, 상기 리브부재(22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먼지분리부(222)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벽면 사이의 간격을 메우기 위한 것이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23 is provided with a rib member 225 formed in an annular shape according to this, the rib member 225 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22 and the housing por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for filling the space | interval between the inner wall surfaces of 230. As shown in FIG.

상기 리브부재(225)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에서 선회하는 먼지 기타 이물질이 선회하다가 상기 리브부재(225) 뒤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By the rib member 225,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that is pivoting inside the housing unit 230 is prevented from moving to the rear of the rib member 225.

상기 리브부재(225)는 상기 먼지분리부(222) 외주면 전체를 감싸는 것이 아니라, 상기 공기유동홀(226)이 마련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감싸는 형태가 된다.The rib member 225 does not surround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or 222, but has a shape except for enclosing a portion where the air flow hole 226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리브부재(225)는 상기 공기유동홀(226)보다 상기 개구부(223)방향으로 더 나오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rib member 225 is disposed to extend more toward the opening 223 than the air flow hole 226.

이는, 상기 리브부재(225)보다 상기 공기유동홀(226)이 상기 개구부(223)방향으로 더 나오게 되면, 상기 리브부재(225)를 따라 움직이던 먼지 기타 이물질이 상기 공기유동홀(226)로 빠져나오게 되기 때문에 먼지 분리기능을 제대로 할 수 없기 때문이다.This, when the air flow hole 226 is more than the rib member 225 in the direction of the opening 223, the dust and other foreign matter moving along the rib member 225 to the air flow hole 226 This is because the dust separation function cannot be performed properly.

즉, 상기 개구부(223)을 통하여 먼지 및 이물질과 공기가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되고, 선회류에 의하여 상기 먼지 및 이물질이 선회하면서 일부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 누적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리브부재(225) 방향으로 움직인 후, 리브부재(225)를 따라서 선회한다.That is, dust, foreign matter and air are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opening 223, while the dust and foreign matter is swiveled by swirl flow, a part of which accumulates inside the housing, and the other part of the rib member 225. After moving in the direction of "), it rotates along the rib member 225.

이 상태에서 선회류가 시작하는 부분인 상기 개구부(223)의 위치점과 상기 리브부재(225)간의 거리가, 상기 개구부(223)의 위치점과 상기 공기유동홀(226)사이의 거리보다 짧아야 상기 리브부재(225)를 따라서 이동하는 먼지 및 이물질이 상기 공기유동홀(226)로 빠지지 않고 계속적으로 선회운동을 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point of the opening 223 and the rib member 225, which is a portion where the swirl flow starts, must be shor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osition point of the opening 223 and the air flow hole 226. Dust and foreign matter moving along the rib member 225 may be continuously rotated without falling into the air flow hole 226.

비록, 상기 공기유동홀(226)이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리브부재(225)가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선회하는 먼지 기타 이물질의 관성에 의하여 선회운동을 할 수 있다.Although the rib member 225 is not provided at the portion where the air flow hole 226 is formed, the pivoting motion may be performed by the inertia of the dust or other foreign matter that is turning.

한편, 상기 공기유동홀(226)의 주위에는 상기 리브부재(225)와 연결되는 절곡리브(227)가 마련되어 상기 상기 공기유동홀(226)을 둘러싼다. 상기 절곡리브(227)는 상기 공기유동홀(226)을 둘러쌀 수 있도록 "ㄷ"자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 bending rib 227 connected to the rib member 225 is provided around the air flow hole 226 to surround the air flow hole 226. The bending rib 227 is preferably provided in a "c" shape to surround the air flow hole (226).

상기 절곡리브(227)의 역할도 상기 리브부재(225)와 마찬가지로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부에 있던 먼지 기타 이물질이 상기 먼지분리부(222)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부사이에 끼여서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Like the rib member 225, the bending rib 227 also has a dust and other foreign matter inside the housing 230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ust separator 222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230. This is to prevent it from being clamped in the

상기 공기유동홀(226)은 상기 연결부재(210)의 토출구(212)와 동일한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연결부재(210)의 흡입구(도2참조, 211)가 향하는 방향과 정반대 방향이다.The air flow hole 226 is preferably disposed to fac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scharge port 212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which i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ction port (see Fig. 2, 211) of the connecting member 210 is directed. It is the opposite direction.

이와 같이 상기 공기유동홀(226)의 위치를 지정한 이유는, 상술한 상기 연결부재(210)의 흡입구(211) 및 토출구(212), 그리고 상기 먼지분리부(222)에 마련되는 개구부(223)에 의하여 형성되는 선회류의 강도가 상기 공기유동홀(226) 근처에서 상대적으로 제일 약화되고, 그 부분에 먼지 및 이물질이 제일 적게 위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designating the position of the air flow hole 226 as described above is that the openings 223 provided in the suction port 211 and the discharge port 212 and the dust separation unit 222 of the connection member 210 described above. This is because the strength of the swirl flow formed by this is relatively weakened in the vicinity of the air flow hole 226, and dust and foreign matters may be located in the least portion thereof.

이러한 선회류의 강도는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The strength of this swirl flow is as shown in FIG.

선회류의 강도가 제일 약화되면 그 속도도 상대적으로 다른부분에서보다 느려지게 되고, 이에 의하여 공기유동홀(226)근처에서 공기의 압력이 다른 부분보다 높아지기 때문에 공기가 상기 공기유동홀(226)을 통과하여 상기 진공압이 형성된 본체 방향으로 보다 원활하에 움직일 수 있다.When the strength of the swirl flow is the weakest, the speed is also relatively slower than in other parts, whereby the air pressure increases near other parts of the air flow hole 226 than in the other parts. It can move more smoothly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through which the vacuum pressure is formed.

만약에 공기유동홀(226)이 상기 먼지분리부(222)의 하부에 마련되면 그 부분에 쌓이는 먼지(D)가 상기 공기유동홀(226)을 통과하여 외부로 상기 연결부재(도2 참조, 210)방향으로 움직인다.If the air flow hole 226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22, dust (D) accumulated in the portion passes through the air flow hole 226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see FIG. 2, Direction 210).

또한, 공기유동홀(226)이 상기 먼지분리부(222)의 상부에 마련되면 그 부분에서 속도가 제일 높아져서 압력이 낮아져서 상기 본체방향으로의 공기의 이동이 다른 곳보다 덜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ir flow hole 226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dust separation unit 222, the speed is the highest in the portion, the pressure is lowered so that the movement of air in the direction of the main body less than other places.

이는 이 부분에서 진공압과의 압력차이가 제일 낮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pressure difference with the vacuum pressure in this part is the lowest.

그에 따라서 먼지가 분리된 공기를 상기 개구부 이외의 다른 곳을 통하여 상기 연결부재(210)방향으로 보낸다는 본래의 취지가 퇴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original effect of sending dust separated air toward the connecting member 210 through the place other than the opening may be discolored.

도6는 연결부재 및 먼지분리부재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도, 상기 연결부재(1210)의 외주면의 일측에는 흡입구(1211)가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는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6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dust separating member. Here, the suction port 12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210, and the discharge port (not shown)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상기 연결부재(1210)에 결합되는 상기 먼지분리부재(1220)는 원통형태로 마련되는 원통부(1221)와, 상기 원통부(1221)에서 일측으로 돌출되는 콘형상부(1222)를 포함한다.The dust separation member 1220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1210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1221 having a cylindrical shape and a cone portion 1222 protruding to one side from the cylindrical portion 1221.

상기 콘형상부(1222)의 단부에는 공기 및 먼지가 토출되는 개구부(1223)이 마련되며, 상기 원통부(1221)의 외주면에 공기 유동홀(1224)이 마련된다. 상기 콘형상부(1222)의 외주면에는 상기 원통부(1221)의 표면까지 이어져 있는 연결리브(1225)가 마련된다.An opening 1223 through which air and dust are discharged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e portion 1222, and an air flow hole 1224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221.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e portion 1222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rib 1225 extending to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221.

상기 연결리브(1225)는 상기 원통부(1224)의 표면과 상기 콘형상부(1222) 표면에서의 선회류의 발전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렇게 상기 연결리브(1225)에 의하여 방해를 받은 선회류는 상기 원통부(1221)의 외주면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connecting rib 1225 is for preventing the development of swirl flow on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224 and the cone-shaped portion 1222, the swirl flow interrupted by the connecting rib 1225 is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221 is moved.

이에 의하여 상기 선회류는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를 따라 주로 형성된다.As a result, the swirl flow is mainly formed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상기 공기유동홀(1224)은 상기 연결리브(1225)에 인접하게 형성되는데, 이 또한, 이 부분에서의 공기의 유동이 제일 늦기 때문이며, 이에 의하여 공기가 상기 공기유동홀(1224)을 통과하여 상기 먼지분리부재(1220)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air flow hole 1224 is formed adjacent to the connecting rib 1225, which is also due to the slowest flow of air in this portion, whereby air passes through the air flow hole 1224 It may flow into the dust separation member 1220.

도7은 연결부재와 먼지분리부재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도 상기 연결부재의 외주면의 일측부에는 흡입구(1211)가 형성되고, 그 반대편에는 토출구(미도시)가 형성된다.Fig. 7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dust separating member. Here, the suction port 1211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discharge port (not shown) is formed at the opposite side.

상기 먼지분리부재(1220)는 원통부(1221)와, 콘형상부(1222)로 구분되는데, 역시 상기 콘형상부(1222)의 일단부에 개구부(12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원통부(1221)의 외주면에도 제2실시예처럼 공기유동홀(1224)이 마련된다.The dust separating member 1220 is divided into a cylindrical portion 1221 and a cone-shaped portion 1222. An opening 122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one-shaped portion 1222, and the cylindrical portion 1221 is formed. An air flow hole 1224 is also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s in the second embodiment.

다만, 제2실시예와 다른 점 중의 하나는, 상기 공기유동홀(1224) 이외에 별도의 흡입홀(1226)을 상기 원통부(1221)의 일면부에 형성한 것이다.However, one of the differences from the second embodiment is that a separate suction hole 1226 is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221 in addition to the air flow hole 1224.

이는 상기 싸이클론 작용에 의하여 회전하는 먼지가 상기 흡입홀(1226)을 통하여 재차 먼지분리부재(1220)내측으로 유입된 후, 상기 연결부재(1210)를 통과한 후 상기 흡입관(도1참조, 20)의 안내를 받아 상기 본체(도1참조, 40)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This is because the dust rotated by the cyclone action flows into the dust separating member 1220 again through the suction hole 1226, and then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210 and then the suction pipe (see FIG. 1, 20). In order to be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see Fig. 1, 40) under the guidance of).

도4와 도6에서 도시된 먼지분리부재(220, 1220)의 경우 하우징 내부에 먼지가 쌓이는 것을 선호하는 사용자를 위한 것이나, 도7에서 도시된 먼지분리부재(1220)의 경우, 하우징 내부에 먼지가 쌓이는 대신에 일정량의 먼지가 선회하는 모습만 보는 것을 선호하는 사용자를 위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s 220 and 1220 shown in FIGS. 4 and 6, the user prefers to accumulate dust in the housing, but in the case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1220 shown in FIG. It is for users who prefer to see only a certain amount of dust turning instead of stacking.

따라서, 상기 흡입홀(1226)이 상기 원통부(1221)의 일면상에 마련되되, 상기 콘형상부(1222)의 바로 옆에 형성되면, 상기 개구부(1222)에서 토출된 먼지는 공기와 함께 상기 하우징 내부를 선회하다가 상기 흡입홀(1226) 내부로 유입된다.Accordingly, when the suction hole 1226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1221, and is formed right next to the cone shape portion 1222, the dust discharged from the opening 1222 is formed together with air in the housing. While turning inside, the suction hole 1226 flows into the inside.

이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미도시)내부에서 선회하는 먼지 및 이물질의 양이 일정하게 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amount of dust and foreign matter turning inside the housing part (not shown) may be constant.

도8과 9는 상기 다이얼부(241)의 조작 전과 조작 후를 도시한 것이다.8 and 9 show before and after the operation of the dial portion 241.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얼부(241)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도4참조, 23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다이얼부(241)의 조작을 위한 외력이 제거되면 원상태로 그 위치가 복귀되어 상기 하우징부(230)의 외부와 내부를 차단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user rotates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dial part 241 communicates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see FIG. 4 and 230), and operates the dial part 241.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position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o block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230.

이를 위하여 상기 다이얼부(241)에는 다이얼부(241)의 위치 복귀를 위한 탄성부재(246)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부재(246)는 토션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dial 241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246 for returning the position of the dial 241, the elastic member 246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form of a torsion spring.

즉,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 즉, 다이얼부(241)를 회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3연통공(254)에 상기 다이얼부의 중심플레이트(241)의 면이 보이게 된다. 이는 상기 하우징부(230)의 제1연통공(도4참조, 233)과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250)의 제3연통공(254)이 연통되지 않음을 의미한다.That is,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8, that is, the state in which the dial 241 is not rotated, the surface of the center plate 241 of the dial is visible in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This means that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of the housing part 230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of the dial cover member 250 do not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이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부재(246)는 변형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In this state, the elastic member 246 maintains an undeformed state.

그러나, 도9에서 도시한 상태, 즉, 상기 다이얼부(241)를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1연통공(233), 제2연통공(244), 제3연통공(254)이 상호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연통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도4참조,23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However, in the state shown in FIG. 9, that is, in the state in which the dial part 241 is rotated,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4,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are the same position. As shown in FIG. 4,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housing portion (see FIG. 4 and 2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reby cre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external air can flow into the interior.

다만, 이때, 상기 탄성부재(246)는 그 형상이 변형되고, 이에 따라서 복원력이 상기 다이얼부(241)의 회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작용한다.However,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246 is deformed, so that the restoring force act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ial portion 241.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부(241)를 놓으면,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다이얼부(241)가 원상태로 복귀하여 도8과 같은 상태가되어,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부와 외부 간의 연통을 차단한다.When the user releases the dial part 241 in this state, the dial part 24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by a restoring force, and the state becomes as shown in FIG. 8, thereby preven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230. do.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기로 하겠다.Hereinafter, an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본체(도1참조, 10)가 작동하여 상기 본체 내부에 진공압이 발생하면, 상기 흡입노즐(도1참조, 100)을 통하여 먼지와 공기가 유입된다.As shown in FIG. 10, when a vacuum cleaner is generated inside the main body of the vacuum cleaner (see FIG. 1 and 10), dust and air are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nozzle (see FIG. 1 and 100). .

상기 흡입노즐(100)을 통과한 먼지와 공기는 상기 연결부재(210)에 마련되는 흡입구(211)에 유입되고, 상기 흡입구(211)를 통과한 먼지와 공기는 상기 먼지분리부재(220)의 내부로 이동한 후에, 상기 먼지분리부재(220)의 단부에 마련되는 개구부(223)을 통하여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로 토출된다.The dust and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nozzle 100 ar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211 provided in the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dust and air passing through the suction port 211 are separated from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After moving to the inside, it is discharged into the housing portion 230 through the opening 223 provided at the end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여기서,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에서는 선회류가 발생하고, 이러한 선회류는 상기 먼지분리부(222)의 주위를 돌면서 회전을 한다.Here, the swirl flow is generated in the housing portion 230, the swirl flow rotates around the dust separator 222.

이러한 선회류에 포함되어 있는 먼지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벽면을 회전하다가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부 바닥에 누적된다. 한편,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다시 상기 개구부(223)와 상기 공기유동홀(226)을 통하여 상기 먼지분리부재(220) 내부로 유입된다.The dust included in the swirl flow rotate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230 by centrifugal force and accumulates on the inner bottom of the housing part 230. On the other hand,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is introduced into the dust separation member 220 through the opening 223 and the air flow hole 226 again.

그리고, 상기 먼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연결부재(210)에 마련되는 토출구(212)로 토출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먼지는 투명한 재질의 하우징부(230) 내부에 잔류한다.Then, the air separated from the dust is discharged to the discharge port 212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mber 210. By this action, the dust remains in the housing 230 of the transparent material.

이러한 작용이 계속됨에 따라서 하우징부(230) 내부에는 잔류하는 먼지의 양이 증가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먼지흡입 및 분리작용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As this action continues, the amount of dust remaining inside the housing 230 increases,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at the dust suction and separation actions are continuously performed.

이러한 먼지 분리작용 중에는 상기 흡입구(211)를 통한 외기 이외에는 다른 부분을 통한 외기 유입이 방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다이얼부(241)는 상기 하우징부(230)에 마련되는 제1연통공(233)과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250)에 마련되는 제3연통공(254) 사이를 차단하여 이 부분들을 통한 외기의 유입을 방지한다.During the dust separation operation, since the inflow of outside air through other parts other than the outside air through the suction port 211 should be prevented, the dial part 241 and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230 and the By blocking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provided in the dial cover member 250 to prevent the inflow of outside air through these parts.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 작동 중에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에 잔류하여 누적된 먼지의 양이 너무 많다고 사용되는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다이얼부(241)를 회전시킨다.As shown in Fig. 11, the user rotates the dial part 241 when the amount of dust remaining in the housing 230 is accumulated and used during the vacuum cleaner operation.

상기 다이얼부(24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연통공(233)과,제2연통공(244), 그리고 제3연통공(254)이 서로 동일한 위치에 오게 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하우징 부(23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된다.Rotating the dial part 241 causes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233,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244,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254 to be in the same position, and thus the housing part 230. Inside and outside are in communication.

이때,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는 상기 본체에서 발생한 진공압에 의하여 그 내부압력이 외부 대기압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부(230)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는 경우, 외부의 공기가 상기 제1,2,3연통공(233,244,254)을 통과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된다.At this time, the inside of the housing 230 is a state in which the internal pressur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external atmospheric pressure by the vacuum pressure generated in the main body. Therefore, wh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2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utside air flows into the housing throug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mmunication holes 233, 244, 254.

하우징부(23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에 잔류하고 누적되었던 먼지와 함께 상기 먼지배출부재(220)의 개구부(223)과 상기 공기유동홀(226)을 통하여 상기 먼지분리부재 내부로 유입된다.Air introduced into the housing 230 is accumulated through the opening 223 and the air flow hole 226 of the dust discharge member 220 together with the dust remaining and accumulated in the housing 230. It flows into the separating member.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210)에 마련되는 토출구(212)로 이동하여 상기 흡입관(도1참조, 20)을 타고 상기 본체(도1참조, 10)로 이동한다.Then, it moves to the discharge port 212 provided in the connecting member 210 to the suction pipe (see Fig. 1, 20) to the main body (see Fig. 1, 10).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에 잔류하던 먼지가 제거되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상기 다이얼부(241)가 회전되어 상기 제1,2,3연통공(233,244,254)이 연통되는 상태가 해제되기 전까지 지속된다.As a result, dust remaining in the housing 230 is removed, and the air flows in the state in which the first, second, and third communication holes 233, 244, 254 communicate with the dial 241. It lasts until it is released.

한편, 사용자가 상기 다이얼부(241)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손을 떼면 상기 다이얼부(241)는 상기 탄성부재(도8참조,246) 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복귀하고, 이에 따라서 도10과 같이 상기 제1,3연통공(233,254) 사이의 연통상태가 해제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eleases his hand while rotating the dial 241, the dial 241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see Figs. 8 and 246). The communication state between the first and third communication holes 233 and 254 is released.

이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부(230) 내부와 외부 간의 연통도 해제되고, 다시 상기 하우징부(230)에 상기 흡입노즐(도1참조,100)을 통과한 먼지가 잔류하고 누적되는 상황이 반복된다.As a result,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housing part 230 is also released, and the situation in which dust passing through the suction nozzle (see FIG. 1 and 100) remains and accumulates again in the housing part 230.

Claims (17)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노즐에 의하여 흡입되는 먼지가 누적되는 먼지가시화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먼지가시화 장치는;
상기 흡입노즐의 일측에 마련되되, 먼지 및 공기가 토출되는 개구부 및 상기 개구부과 별도로 마련되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공기유동홀을 포함하는 공기 먼지분리부재와;
상기 먼지분리부재가 수용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부 내부로 상기 하우징부 외부의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안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A suction nozzle;
A dust visualization device provided in the suction nozzle to accumulate dust sucked by the suction nozzle;
The dust visualization device is;
An air dust separation memb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uction nozzle and including an opening through which dust and air are discharged and an air flow hol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opening;
A housing part in which the dust separation member is accommodated;
And an air guide device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to selectively guide the air outside the housing part into the hous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가시화 장치는
상기 흡입노즐과 상기 먼지분리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흡입노즐과 연통하여 상기 흡입노즐에서 흡입된 먼지 및 공기를 상기 먼지분리부재 및 상기 하우징부로 안내하는 흡입구와;
상기 먼지분리부재 및 하우징부에서 빠져나오는 공기 및 먼지를 상기 흡입노즐과 본체를 연결하는 흡입관 방향으로 안내하는 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dust visualization device is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suction nozzle and the dust separation member and the housing portion,
The connection member may include a suction port communicating with the suction nozzle to guide the dust and air sucked from the suction nozzle to the dust separation member and the housing part;
And a discharge port for guiding air and dust from the dust separation member and the housing part in a direction of a suction pipe connecting the suction nozzle and the main body.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먼지분리부재의 단부의 중심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연통공은 상기 개구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먼지분리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opening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The air communication hole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pening.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재의 표면과 상기 하우징부의 내벽면 사이에 마련되어 먼지가 상기 먼지분리부재의 표면과 상기 하우징부 내벽면 사이의 틈새에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리브부재는 상기 먼지분리부재의 표면을 따라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A rib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to prevent dust from being caught in a gap between the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a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part;
The rib member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along the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재는 상기 공기연통공의 일부를 둘러싸는 절곡리브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ib member is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connected to the bending ribs surrounding a portion of the air communication ho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부재는 상기 공기연통공보다 상기 토출구에 소정거리만큼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And the rib member is disposed closer to the discharge ho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n the air communication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재는 콘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먼지분리부재의 단부 중심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동홀은 경사면 형태로 형성되는 상기 먼지분리부재의 표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ust separation member is provided in a cone shape,
The opening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The air flow hole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separation member is formed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분리부재는 원통부와, 상기 원통부에서 돌출되는 콘형상부를 포함하되, 상기 개구부은 상기 콘형상부의 단부에 마련되고,
상기 공기유동홀은 상기 원통부의 표면상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3,
The dust separation member includes a cylindrical portion and a cone-shaped portion protruding from the cylindrical portion, wherein the opening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e-shaped portion,
The air flow hole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cylindrical por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동홀은 상기 흡입구에 인접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8,
The air flow hole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portion adjacent to the inle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장치는 제1연통공이 형성되는 하우징부의 단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연통공을 구비하는 다이얼부와;
상기 다이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되며 그 중심부가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단부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제2연통공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제3연통공을 구비하는 다이얼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air guide device may include a dial unit rotatably installed at an end portion of the housing unit in whic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and having a second communication hole;
And a dial cover member provided to cover the dial part, the center part of which protrudes, the dial cover member fixed to the end of the housing part and having a third communication hole selectively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단부 또는 상기 다이얼부와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다이얼부를 회전시키는 강제력이 해제되면 상기 다이얼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0,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an end portion of the dial part and the housing part or between the dial part and the dial cover member to return the dial part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forcing force for rotating the dial part is releas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는 회동운동시, 상기 제1,2,3연통공을 상호간에 연통시켜 상기 하우징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al unit is a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econd, third communication hol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provided to communic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d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과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되,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는 상기 하우징부의 일면과 결합되는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다이얼부는 상기 고정축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al portion is rotatably provided between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and the dial cover member,
The dial cover member includes a fixed shaft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wherein the dial portion comprise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pass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는 그 양면에 마련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일단부와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를 각각 수용하는 수용홈과, 그 외주면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0,
The dial portion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accommodating groove for accommodating one end of the housing portion and the dial cover member, and a gripping portion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ser.
흡입노즐과;
상기 흡입노즐에 마련되어 상기 흡입노즐에 의하여 흡입되는 먼지가 누적되는 먼지가시화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먼지가시화 장치는;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의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 내부에 마련되는 먼지분리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어 회전운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하우징부의 외부와 내부를 연통시킬 수 있는 연통공이 마련된 다이얼부를 구비하는 공기안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A suction nozzle;
A dust visualization device provided in the suction nozzle to accumulate dust sucked by the suction nozzle;
The dust visualization device is;
Transparent or translucent housing portion,
A dust separation member provided inside the housing;
And an air guide member coupled to the housing part and having a dial part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hole for selectively communicating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housing part by a rotational movement.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는 제1연통공과;
상기 다이얼부에 마련되는 제2연통공과;
상기 다이얼부에 결합되는 다이얼 커버부재에 마련되는 제3연통공을 포함하되, 상기 제2연통공은 상기 다이얼부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제1연통공과 상기 제3연통공 사이를 연통시키도록 상기 다이얼부의 표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16. The method of claim 15,
A first communication hole provided in the housing;
A second communication hole provided in the dial part;
And a third communication hole provided in the dial cover member coupled to the dial part, wherein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selectively communicates betwee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and the third communication hol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dial part. Vacuum cleaner,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dial.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부와 상기 다이얼 커버부재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다이얼부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The method of claim 16,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dial part and the dial cover member to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ial part.
KR1020127011325A 2010-03-10 2010-03-10 Vacuum cleaner with dust visualization device KR10135653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0/001479 WO2011111883A1 (en) 2010-03-10 2010-03-10 Vacuum cleaner with dust visualization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1178A true KR20120081178A (en) 2012-07-18
KR101356531B1 KR101356531B1 (en) 2014-01-29

Family

ID=44563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1325A KR101356531B1 (en) 2010-03-10 2010-03-10 Vacuum cleaner with dust visualization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356531B1 (en)
CN (1) CN102905595B (en)
AU (1) AU2010347852B2 (en)
WO (1) WO2011111883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127A (en) * 2014-11-26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Power Controlling Method for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200054450A (en) 2018-11-10 2020-05-20 송난나 The mugwort roast eg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874A (en) * 1995-01-04 1996-08-17 구자홍 Dust accumula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in dust bag of vacuum cleaner
KR200211751Y1 (en) * 1998-12-31 2001-02-01 송영소 Dust collection tester for vacuum cleaner
JP4507352B2 (en) * 2000-05-18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Vacuum cleaner
US7418763B2 (en) * 2003-02-26 2008-09-02 Black & Decker Inc. Hand vacuum with filter indicator
JP2004290342A (en) * 2003-03-26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acuum cleaner
CN2624807Y (en) * 2003-06-13 2004-07-14 卞庄 Inspection window for a dust settling pocket of a dust collector
CN1565363A (en) * 2003-06-17 2005-01-19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Indicator of vacuum cleaner
KR20080092063A (en) * 2007-04-11 2008-10-15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Dust sensing unit for use in a vacuum cleaner
KR101457423B1 (en) * 2008-06-17 2014-11-06 삼성전자주식회사 Unit for sensing amount of air flowing and clea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3127A (en) * 2014-11-26 2016-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Power Controlling Method for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20200054450A (en) 2018-11-10 2020-05-20 송난나 The mugwort roast eg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347852B2 (en) 2013-09-12
CN102905595B (en) 2015-07-01
CN102905595A (en) 2013-01-30
KR101356531B1 (en) 2014-01-29
AU2010347852A1 (en) 2012-09-20
WO2011111883A1 (en) 201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5309B2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EP1674019B1 (en) Dust collection unit and vacuum cleaner with the same
TWI643597B (en) Vacuum cleaner
US9078548B2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KR20130137580A (en)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 handy-type cleaner having the same
TW201731433A (en) Vacuum cleaner
KR100768076B1 (en) A dust collector for duster
JP2004358252A (en)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and handle assembly for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the cyclone dust collecting device
KR20030071374A (en) Cyclone-typ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JP2006141977A (en) Cyclone dust-collecting apparatus
KR102665028B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TW202021521A (en) Cleaner
KR101356531B1 (en) Vacuum cleaner with dust visualization device
US10925449B2 (en) Cleaner
KR20120061784A (en) Dust collecting apparatus by water washing
JP2007000446A (en) Upright vacuum cleaner
KR20070087357A (en) Vacuum cleaner
JP6365374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113271832B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1984569B1 (en) A dust collecting device and a vacuum cleaner including the dust collecting devic
KR102095103B1 (en) Vacuum cleaner
JP2006296984A (en) Vacuum cleaner
KR101136667B1 (en) Vacuum Cleaner
JP5907038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20070032840A (en) Dust collect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