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892A -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892A
KR20120080892A KR1020110002355A KR20110002355A KR20120080892A KR 20120080892 A KR20120080892 A KR 20120080892A KR 1020110002355 A KR1020110002355 A KR 1020110002355A KR 20110002355 A KR20110002355 A KR 20110002355A KR 20120080892 A KR20120080892 A KR 20120080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device
relay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1203B1 (ko
Inventor
심재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직플랜트
Priority to KR1020110002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203B1/ko
Publication of KR2012008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시스템은, 제1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정보기기와, 제2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기로부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기기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서버; 및 상기 정보기기로부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연결 식별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2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기기 식별정보와 상기 연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중계 서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기기와 인터넷에 접속되는 정보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사용자 입력에 제약이 따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COMMUNICATING BETWEEN A COMMUNICATION DEVICE AND INFORMATION DEVICE}
본 발명은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기기와 인터넷에 접속되는 정보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함에 있어서, 일반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에 제약이 따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이동통신단말기는 고유한 기능인 전화통화 및 SMS(Short Message Service) 기능 이외에도, 인터넷 접속기능, 멀티미디어 재생 기능 등 다양한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최근에 이르러서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성능이 데스크톱 컴퓨터 등의 정보기기가 제공하는 인터넷 통신기능 및 데이터 처리기능과 비견하여 뒤지지 않을 만큼 뛰어난 성능을 제공하는 제품들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정보기기에 반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편의성이나 저장용량 및 기능의 확장성 등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제약이 따른다. 이에, 통상적으로 사용자들은 집이나 사무실 등의 고정된 장소에 구비된 데스크톱 컴퓨터와 이동통신단말기를 병행하여 사용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 중에 사용하므로 원격지에서 하나의 기기로 다른 기기를 제어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이동통신단말기에 저장된 정보를 데스크 탑 컴퓨터로 다운로드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문제 해결을 위해 통신사나 제조사의 상담원이 고객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상태를 조회하거나 제어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정보기기와 이동통신단말기 간에 원격제어를 수행하거나, 데이터 통신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등의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양자가 상호 접속하여야 한다.
그런데, 현재 정보기기와 이동통신단말기 등과 같은 기기들은 대부분 유동적인 네트워크 주소, 예컨대, 유동 IP를 사용하고 있어 일대일 접속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또한, 고유한 네트워크 주소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방화벽 등의 보안장치로 인해 차단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기기 간 통신로(session)를 설정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처야 하므로 비전문가가 일상적으로 사용하기는 용이하지 아니하다.
한편, 데이터 복사나 동기화의 경우에는, 인터넷 디스크 등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서, 한 기기에서 서버에 데이터를 업로드하고, 그 업로드한 데이터를 다른 기기에서 다운로드 받아 복사나 동기화를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데이터가 서버에 저장되므로 사적인 정보 유출의 우려가 있다. 또한, 원격 제어와 같이 실시간으로 제어 데이터가 송수신 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데이터의 서버 저장 방식을 적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기기와 인터넷에 접속되는 정보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함에 있어서, 일반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에 제약이 따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제1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정보기기와, 제2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기로부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기기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서버; 및 상기 정보기기로부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연결 식별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2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기기 식별정보와 상기 연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중계 서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통신망은, 유선 인터넷 및 무선 인터넷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전송서버는,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단문메시지(Short Message)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중계 서버는,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정보기기 식별정보 테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방법은, 제1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정보기기와, 제2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기가 통신중계 서버에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연결 식별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보기기가 상기 통신기기에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기기가 상기 통신중계 서버에 상기 수신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중계 서버에 설정된 상기 연결 식별정보와 상기 통신기기에서 수신된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중계 서버가 상기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통신망은, 유선 인터넷 및 무선 인터넷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보기기가 상기 통신기기에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단문메시지(Short Message)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신중계 서버가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정보기기 식별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은,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기기와 인터넷에 접속되는 정보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함에 있어서, 일반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 입력에 제약이 따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제어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제1통신망(10)에 접속 가능한 정보기기(100)와, 제2통신망(20)에 접속 가능한 통신기기(200)와, 정보기기(100)로부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통신기기(200)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서버(400)와, 정보기기(100)로부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연결 식별정보로 설정하고, 제2통신망(20)을 통해 통신기기(200)로부터 동일한 정보기기 식별정보가 수신된 경우, 해당 통신기기(200)와 정보기기(100) 간에 데이터 통신을 위한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여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중계 서버(300)를 포함한다.
제1통신망(10)은 TCP/IP(Transport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패킷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선 인터넷과 무선 인터넷을 포함한다.
제2통신망(20)은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망을 포함한다. 예컨대, WCDMA(Wideband CDMA),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등 다양한 이동통신 규격의 통신망을 포함한다.
정보기기(100)는 제1통신망(1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정보기기(100)는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넷 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기기(100)는 고유한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정보기기(100)의 고유한 식별정보는 통신기기(200)와의 통신로 설정을 위한 정보기기 식별정보로 사용되며, 이에, 정보기기(100)는 통신기기(200)와의 통신을 위해 각기 자신에게 부여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제1통신망(10)을 통해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기기 식별정보는 정보기기(100)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 혹은, 사용자가 설정한 식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보기기(100)는 사용자가 정보기기 식별정보나 통신기기 식별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사용자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정보기기(100)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통신중계 서버(300)에 접속하여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통신기기(200)는 제2통신망(20)을 통해 통화기능과 SMS 기능 등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제2통신망(20)을 통해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한다. 통신기기(200)는 정보기기 식별정보 수신 시, 통신중계 서버(300)에 접속하여 수신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통신기기(200)는 연결을 요청하는 상대방 정보기기(100)의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별도의 통신경로를 통해 전송 받으므로, 필요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기기(200)의 사용자에게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클릭이나 확인 버튼 누르기에 해당하는 단순한 동작을 함으로써 원하는 정보기기(100)와 연결할 수 있으므로, 입력에 대한 부담이 최소화되며, 동시에 원하는 상대방 정보기기와 연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다 간단하게, 통신기기(200)가 전송 받은 정보기기 식별 정보를 사용자와의 상호작용 없이 그대로 통신중계 서버(300)에 다시 전송하도록 구성한다면, 사용자는 아무런 입력도 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된다. 이때 사용자가 원하는 상대방 정보기기와 연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려면, 연결이 생성되는 진행 화면에 해당 상대방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표시하면 된다.
이 후, 통신기기(200)는 통신중계 서버(300)의 중계에 따라 해당 정보기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기기(200)는 스마트폰, 휴대전화, PDA 등, 통화기능과 SMS기능을 지원하는 다양한 휴대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메시지 전송서버(400)는 제1통신망(10)을 통해 정보기기(100)가 송신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제2통신망(20)을 통해 통신기기(200)에 송신한다. 통신기기(200)에 송신되는 정보기기 식별정보는 제2통신망(20)을 통해 제공 가능한 메시지, 예컨대, 단문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통신중계 서버(300)는 제1통신망(10)을 통해 정보기기(100)가 송신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제2통신망(20)을 통해 통신기기(200)가 송신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양자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 해당 통신기기(200)와 정보기기(100) 간에 논리적인 통신로를 설정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양자 간 통신로 연결 시 정보기기 식별정보는 연결 식별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통신중계 서버(300)는 정보기기(100)가 송신한 정보기기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정보기기 식별정보 테이블(350)을 포함한다. 정보기기 식별정보 테이블(350)은 정보기기 식별정보의 유일성을 보장하거나, 논리적 연결의 생성과 유지를 위해 참조된다. 정보기기 식별정보 테이블(350)은 DBMS로 구현되거나, 저용량 중계 서버의 경우 메모리에 존재하는 구조체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정보기기(100)에서 통신기기(200) 측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고자 하는 경우, 정보기기(100)는 인터넷 등의 제1통신망(10)을 통해 통신중계 서버(300) 및 메시지 전송서버(400)에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한다. 통신중계 서버(300)는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정보기기 식별정보 테이블(350)에 저장하고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연결 식별정보로 설정한다.
메시지 전송서버(400)는 제2통신망(20)을 통해 통신기기(200)에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전달한다.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통신기기(200)는 제2통신망(20)을 통해 통신중계 서버(300)에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한다.
이에, 통신중계 서버(300)는 해당 통신기기(200)와 정보기기(100)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논리적 연결을 생성한다. 통신중계 서버(300)는 논리적 연결에 따라 통신기기(200)와 정보기기(100) 간의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만 네트워크 구성상 상대방 기기의 연결을 받을 수 없는 정보기기(100) 간의 연결을 쉽게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의 입력 불편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원하는 상대방 정보기기(100)와 연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200)와 정보기기(100)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제어 상태도이다.
정보기기(100)는 제1통신망(10)을 통해 통신중계 서버(300)에 접속한다(S210).
정보기기(100)는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통신중계 서버(300)에 송신한다(S215). 정보기기 식별정보는 정보기기(100)에 부여된 고유 식별번호, 혹은, 사용자가 입력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직접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입력해야 하는 경우, 정보기기(100)는 소정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된 사용자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중계 서버(300)는 정보기기(1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연결 식별정보로 설정한다(S220). 통신중계 서버(300)는 정보기기 식별정보 테이블(350)에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정보기기 식별정보의 유일성을 보장하고 기기 간에 설정되는 통신로를 생성 및 유지하는 데에 참조할 수 있다.
정보기기(100)는 연결을 원하는 통신기기(200)에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별도의 경로를 통해 송신한다(S225). 예컨대, 정보기기(100)는 SMS 서버 등, 제2통신망(20)을 통해 메시지 송신이 가능한 서버 측에 정보기기 식별정보의 송신을 요청하여, 통신기기(200) 측에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정보기기(100)는 통신기기(200)와 사전에 정한 규격에 따라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포함한 SMS를 작성하여, 메시지 전송서버(400)에게 SMS의 전송을 요청하며, 메시지 전송서버(400)는 해당 SMS를 해당 통신기기(20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기기(200)는 통신중계 서버(300)에 접속하고(S230), 정보기기(100)로부터 전송 받은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통신중계 서버(300)에 전송한다(S235). 통신기기(200)는 SMS 수신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통신중계 서버(300)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 접속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이미 실행중인 경우에는 수신된 SMS 내용을 바로 통신중계 서버(3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SMS에 포함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추출하는 기능 또한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통신중계 서버(300)는 통신기기(200)로부터 수신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연결 식별정보로 설정하여 정보기기(100)와 통신기기(200) 간 데이터 통신을 위한 논리 연결을 생성한다(S240).
통신중계 서버(300)는 논리적 연결을 통해 양 기기 간 데이터 패킷을 중계한다(S245). 이에, 통신기기(200)와 정보기기(100) 간에 데이터 다운로드/업로드를 하거나 원격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200)와 정보기기(100)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의 제어 흐름도이다.
정보기기(100)가 제1통신망(10)을 통해 통신중계 서버(300)에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전송한다(S310). 즉, 정보기기(100)가 컴퓨터인 경우 인터넷을 통해 통신중계 서버(300)에 접속하여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정보기기(100)가 제2통신망(20)을 통해 통신기기(200)에 정보기기 식별정보 전송한다(S320). 여기서, 정보기기(100)는 인터넷을 통해 메시지 전송서버(400)에 정보기기 식별정보의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이에, 메시지 전송서버(400)에서는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통신기기(200) 측에 SMS 등의 형태로 전달할 수 있다.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통신기기(200)는 통신중계 서버(300)에 접속한다(S330). 이와 같이,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한 통신기기(200)가 통신중계 서버(300)에 접속하는 과정은, 통신기기(2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SMS 수신 이벤트 발생 시, 통신중계 서버(300)에 접속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거나, 응용 프로그램이 항상 실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SMS 수신 시 바로 통신중계 서버(300)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통신기기(200)는 SMS를 통해 수신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통신중계 서버(300)에 전송한다(S340). 여기서, SMS에 포함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통신중계 서버(300) 측에 전송하는 과정 또한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중계 서버(300)에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통신기기(200)와 정보기기(100) 간의 통신을 위한 논리적 연결을 생성한다(S350).
통신중계 서버(300)는 통신기기(200)와 정보기기(100) 간의 논리적 연결을 통해 양자 간 패킷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한다(S36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통신망에 접속되는 통신기기와 인터넷에 접속되는 정보기기를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함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을 최소화함으로써 일반 사용자들도 용이하게 연결이 가능하고 사용자 입력에 제약이 따르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 접속되어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와, 인터넷에 접속되어 있지만 네트워크 구성상 상대방 기기의 연결을 받을 수 없는 정보 기기 간에 데이터 송수신용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 : 제1통신망 20 : 제2통신망
100 : 정보기기 200 : 통신기기
300 : 통신중계 서버 350 : 정보기기 식별정보 테이블
400 : 메시지 전송서버

Claims (10)

  1. 제1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정보기기와, 제2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기로부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통신기기에 전달하는 메시지 전송서버; 및
    상기 정보기기로부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연결 식별정보로 설정하고, 상기 제2통신망을 통해 상기 통신기기로부터 수신된 정보기기 식별정보와 상기 연결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중계 서버를 포함하는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망은,
    유선 인터넷 및 무선 인터넷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전송서버는,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단문메시지(Short Message)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중계 서버는,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정보기기 식별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6. 제1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정보기기와, 제2통신망에 접속 가능한 통신기기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기가 통신중계 서버에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중계 서버가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연결 식별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정보기기가 상기 통신기기에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기기가 상기 통신중계 서버에 상기 수신된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통신중계 서버에 설정된 상기 연결 식별정보와 상기 통신기기에서 수신된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가 상호 일치하는 경우, 상기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논리적 연결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통신중계 서버가 상기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을 중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통신망은,
    유선 인터넷 및 무선 인터넷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통신망은,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기기가 상기 통신기기에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단문메시지(Short Message)와 멀티미디어 메시지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중계 서버가 상기 정보기기 식별정보를 저장하여 정보기기 식별정보 테이블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방법.
KR1020110002355A 2011-01-10 2011-01-10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KR10123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55A KR101231203B1 (ko) 2011-01-10 2011-01-10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55A KR101231203B1 (ko) 2011-01-10 2011-01-10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892A true KR20120080892A (ko) 2012-07-18
KR101231203B1 KR101231203B1 (ko) 2013-02-15

Family

ID=46713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355A KR101231203B1 (ko) 2011-01-10 2011-01-10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2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488A1 (ko) * 2013-09-23 2015-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기 별 응용 프로그램간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071053A (ko) * 2020-06-04 202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별 응용 프로그램간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865B1 (ko) * 2004-12-15 2007-02-08 알서포트 주식회사 에이알에스와 인터넷을 이용한 컴퓨터 원격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41488A1 (ko) * 2013-09-23 2015-03-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기기 별 응용 프로그램간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33163A (ko) * 2013-09-23 2015-04-0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별 응용 프로그램간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9720745B2 (en) 2013-09-23 201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specific communication between application programs
US10592303B2 (en) 2013-09-23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specific communication between application programs
US10592301B2 (en) 2013-09-23 2020-03-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specific communication between application programs
KR20200071053A (ko) * 2020-06-04 2020-06-1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별 응용 프로그램간 통신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203B1 (ko) 2013-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58883A (zh) 跨终端设备进行用户登陆的方法、装置、设备及系统
US10264051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licating a communication application on an auxiliary computing device
EP2908477B1 (en) Remote access method and device
US10887745B2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ile between different terminals
US20150350855A1 (en) Data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RU2676418C2 (ru) Способ и аппарат для специфичной для устройства связи между программами приложений
US10908889B2 (en) Method, user equipment, and application server for downloading application
US20170171496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creen Projection
JP5112532B2 (ja) 情報処理装置
CN104079597A (zh) 媒体流的转移方法和用户设备
US10616735B2 (en) Data update system, remote configuration device and data update method
CN104539508A (zh) 访问控制方法和装置
EP2770757A1 (en) Method and terminal for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rcs-e system
KR101231203B1 (ko)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JP2013153438A (ja) インターネットを介して移動端末間に通信接続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WO2014101421A1 (zh) 实现即时通信的方法及装置
US20160100021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destination information updating method, and record medium
US20120296989A1 (en) File transmission management system and file transmission management method for supporting file transmission in mobile messaging service
KR101447504B1 (ko) 사용자 단말기 및 그의 애플리케이션 간 데이터 공유 방법
CN105450894A (zh) 一种跨网络的手机传输图片到电视的方法
KR101274774B1 (ko) 재접속 메시지를 이용한 푸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83478B1 (ko) 통신기기와 정보기기 간 데이터 통신 시스템 및 통신 방법
CN105554112B (zh) 聊天表情的传输方法及系统
JP6728745B2 (ja) サーバおよびシステム
CN115002101B (zh) 云会议的文件共享方法及相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