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80466A -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80466A
KR20120080466A KR1020110001954A KR20110001954A KR20120080466A KR 20120080466 A KR20120080466 A KR 20120080466A KR 1020110001954 A KR1020110001954 A KR 1020110001954A KR 20110001954 A KR20110001954 A KR 20110001954A KR 20120080466 A KR20120080466 A KR 201200804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service provider
class
service user
netwo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주수
Original Assignee
송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주수 filed Critical 송주수
Priority to KR1020110001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80466A/ko
Publication of KR201200804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04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09B5/065Combinations of audio and video presentations, e.g. videotapes, videodiscs, televi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원가입 및 로그인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이용자를 검색하여 이용자 프로세스와 제공자 프로세스가 활성화되는 단계와, 서비스 제공자 프로세스에서 오픈 마켓 플레이스 중계 서버에 의해 제작 테이블과 관리 테이블로 분할된 서비스가 제공되어 사이버 강의실이 개설되거나 개설된 강좌의 교육이 실시되는 단계와, 서비스 이용자 프로세스에서 오픈 마켓 플레이스 중계 서버에 의해 검색 테이블과 교육 테이블로 분할된 서비스가 제공되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웹상담 프로세스를 수행하거나 신청한 사이버 강좌의 수업을 위한 교육이 실시되는 단계와, 개설된 수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애스크로 되어있는 서비스 이용자의 수업비용 결제금액에 수업진행의 페널티요소를 사전 모니터링에 의해 감가상각하는 수수료 정산 절차를 통하여 서비스제공자에게 서비스 제공비용이 지불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그 장치{Educational method and system for networking learners’ mobile devices and instructor’s e-board in class}
개시된 기술은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자, 음성, 화상 송수신을 이용하여 강사(선생)와 학생이 온라인 상에서 실시간으로 수행하는 멀티미디어 교육 시스템은 주지 공용의 기술로서, 일반적으로 홈페이지에 강사와 학생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클라이언트가 접속하고, 채팅 프로그램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대기실(채팅 창)에서 다수의 강사들이 각자 제시하는 다양한 커리큘럼의 강좌를 학생은 자유로이 선택하고 온라인 결제를 수행하면 특정의 개설 강의실(채팅 창)에서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의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선결제에 의한 문제로 교육의 질이 검증되지 못하는 문제와, 제한적인 강사가 제시하는 강의 중에서 강좌를 선택 수강하는 것은 결국 정형화된 강좌의 틀을 벋어나지 못하고 있는 문제와, 학생과 강사의 실시간에 따른 무분별하고 일시적인 접속과 검증되지 못하는 수업 진행에 따른 수준높은 강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강사가 관리하는 교실용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디바이스 네트워킹 시스템에 관한 기술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칠판을 이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체적이고 개략적인 구성 실시 예를 보인 순서도.
도 2는 도 1에 기재된 회원가입 프로세스의 <28> 바람직한 구성을 보인 순서도.
도 3은 도 1에 기재된 서비스이용자 프로세스의 구성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도 1에 기재된 서비스제공자 프로세스의 구성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도 3에 기재된 웹상담 프로세스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오픈 마켓 플레이스 관리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개시된 기술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또는 제3 항목”의 의미는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뿐만 아니라 제1, 제2 또는 제3 항목들 중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예를 들어, a, b, c, ...)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개시된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 및 도 2는 온라인 오픈 마켓 플레이스에서 상품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영 시스템의 전체적이고 개략적인 구성 및 회원가입 프로세스를 보인 순서도로, 본 발명은 통상의 로그인 검증을 통하여 비회원인 경우 회원가입프로세스(200)가 수행됨에 있어서, 회원으로 가입하는 주체가 되는 유저가 서비스 제공자(30)인지 서비스 이용자(20)인지를 선택(202)하도록 하여 유저에 의한 선택이 서비스 이용자(20)인 경우, 인적정보(203)와, 통지나 안내를 전송하기 위한 연락정보(204)와, 향후 교육을 희망하는 교육과정을 체크 박스 형태로 선택하는 단계(205)와, 간단한 샘플테스트나 스스로 자가진단하여 자신의 수준을 입력하는 레벨정보를 입력(206) 및 맞춤 교육을 위한 개설 희망 강좌를 입력하는 옵션선택(207)이 실시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모든 입력과정이 기록되어 테이블로 생성(208)되고 최종적으로 애스크로 방식에 의한 과금결제에 대한 동의 단계(209)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유저에 의한 선택이 서비스 제공자인 경우에는 인적정보(210)와, 통지나 안내를 전송하기 위한 연락정보(211)와, 서비스 이용자가 사후 필터링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맞춤 강의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색하기 위해 데이터로 활용될 강의 경력(212)과 학력 및 자격 정보를 입력(213)하는 단계와, 맞춤교육을 실시할 의사가 있는 지의 여부를 입력하는 옵션선택(214)이 실시되고 이를 통하여 상기 모든 입력과정이 기록되는 테이블로 생성(215)되고 최종적으로 애스크로에 의한 과금결제에 대한 동의 단계(216)를 수행하게 된다.
즉,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이용자를 분리하여 서비스 이용자 프로세스(500)와 서비스 제공자 프로세스(600)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단계(400)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 프로세스에서 오픈 마켓 플레이스 관리 서버(10)에 의해 제작 테이블과 관리 테이블로 분할된 서비스가 제공되고 사이버 강의실이 개설되거나 개설된 강좌의 교육이 실시되고, 서비스 이용자 프로세스에서 오픈 마켓 플레이스 관리 서버(10)에 의해 검색 테이블과 교육 테이블로 분할된 서비스가 제공되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웹상담 프로세스(520)를 수행하거나 신청한 사이버 강좌의 수업을 위한 교육이 실시되며, 개설된 수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애스크로 되어있는 서비스 이용자의 수업비용 결제금액에 수업진행의 페널티요소를 사전 모니터링에 의해 감가상각하는 수수료 정산절차를 통하여 서비스제공자에게 서비스 제공비용이 지불되는 것이다.
도 3은 도 1에 기재된 서비스이용자 프로세스의 구성 예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이와 같은 서비스 이용자 프로세스는 로그인한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검색 테이블과 수업테이블로 링크된 페이지가 클릭으로 선택되는 단계(502)와, 선택된 링크 페이지가 검색 테이블인 경우, 수업을 희망하는 개설 교육 과정이 출력되고 출력된 테이블에서 본인이 희망하는 과정을 찾기 위해 수업료, 강사 또는 공부방의 순위, 수업 분야별, 어학의 경우 읽기/쓰기/말하기/듣기의 파트별, 강의기간, 레벨 등이 포함되는 카테고리별로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 정렬이 되는 조건부 필터링 단계(503)가 수행된다.
이후 상기 조건부 필터링 단계를 통하여 희망하는 강의실을 선택하는 단계(504)와 선택된 강의실을 클릭하여 개설된 강의실에 동영상 등으로 구성된 강좌 샘플을 체험하는 단계(505)와, 체험한 강좌의 수업일정, 수업료, 수강현황을 조회하는 단계(506)와, 웹상담을 통하여 강좌에 대한 세부정보를 독출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507)와, 웹상담을 선택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와 통신할 수 있는 웹상담 프로세스(520)가 실행된다.
도 5는 도 3에 기재된 웹상담 프로세스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상기 웹상담 프로세스(520)는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신청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자의 회원가입시의 입력된 연락정보를 통하여 상담이 의뢰되었음을 알려주는 단계(522)와, 상기 서비스 제공자가 회신을 하는 경우(523), 상기 회신내용을 다시 서비스 이용자에게 회신하는 단계(524) 및 약속된 일정에 서버를 경유하여 상담이 완료(525)되면, 온라인결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수업료가 결제(526)되고 결제된 수업료는 과금 애스크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서버에 수업이 종료될 때까지 신탁되는 것이다.
또한, 선택된 링크 페이지가 수업 테이블인 경우, 신청한 강좌에 대한 강의 스케줄 표가 출력되는 단계(508)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제공된 과제 유무를 체크하는 단계(509)가 실행되고 이후 교육을 시작할 것인지를 선택하는 단계(510)와, 교육을 선택하는 경우 선택된 강좌에 참여하게 되는 단계(511) 및 강좌를 종료한 후 수업 내용에 대한 만족도를 체크하는 단계(512)와, 서비스 제공자의 과제에 대한 평가 및 서비스 제공자가 부여하는 점수에 의해 수업에 대한 학습 능력 향상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단계(513)가 마련되는 것이다.
도 4는 도 1에 기재된 서비스제공자 프로세스의 구성 예를 도시한 순서도로서, 상기 서비스 제공자 프로세스(600)는, 로그인한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제작 테이블과 강의 테이블로 링크된 페이지가 클릭으로 선택되는 단계(602)와;
선택된 링크 페이지가 제작 테이블인 경우, 카페나 블로그 형태로 서버에서 제공하는 오픈 마켓 플레이스 공간에 사이버 강의실을 개설하는 단계(603)가 수행되고, 개설된 강의실에서 강의할 내용에 따라 오픈 마켓 플레이스 서버(10)가 자체제작이나 구입을 통하여 보유한 화상프로그램, 음성프로그램, VOIP전화 프로그램 등의 솔루션을 선택하는 단계(604)가 수행된다.
이 단계에서 서비스 제공자는 외부에서 제작된 강사의 콘텐츠를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서버 운영자의 동의하에 탑제할 수 있으며, 서버 운영자는 다른 솔루션과의 충돌이나 호환성을 검토하여 허용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이와 같이 선택된 솔루션을 실행하는 단계(604)를 통하여 소프트웨어가 로딩(605)되고 실행된 솔루션을 통하여 강의할 영상물을 제작하거나, 실시간 강의인 경우 서비스 이용자가 체험할 수 있도록 강의샘플을 제작하는 단계(606)가 수행된다.
제작된 제작물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단계(607)를 거쳐 제작물에 대한 정보가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검색 가능하도록 광고로 생성되는 단계(608)를 실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서비스 제공자 프로세스는 선택된 링크 페이지가 강의 테이블인 경우는, 서비스 이용자의 의해 신청된 강좌의 강의목록이 스케줄링되는 단계(609)가 수행되고 상기 스케줄을 통하여 과목별 교육 진도를 확인하는 단계(610), 교육을 통한 수입에 대한 금융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단계(611) 및 수강자의 증감에 대한 갱신정보가 발생한 경우 통지하는 단계(612)가 서비스 제공자의 선택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후 서비스 제공자가 기재한 공지사항이 당해 강좌를 신청한 서비스 이용자에게 통지되는 단계(613)를 거쳐 강의를 시작하고자 하는 경우 이벤트(버튼)를 발생하면 서비스 이용자와의 교육이 서버에 의해 연결되는 단계(615)가 수행된다.
도 6는 본 발명에 의한 오픈 마켓 플레이스 관리서버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서비스 이용자(20)와 서비스 제공자(30)는 모두 무선통신망이나 인터넷 망을 통하여 문자메시지(MMS or SMS) 서버를 포함하는 왑(WAP)서버나 웹(WEB)서버(11)를 통하여 접속하여 강의실을 개설하거나 강좌를 선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서비스 이용자(20)와 서비스 제공자(30) 간에 웹상담과 결제가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이를 위하여 개설된 강의실과 웹상담 프로세스의 패킷과 화면을 캡쳐하여 수업의 시작과 종료의 과정에 따른 내부자거래나 위법행위가 있는 지를 감시하는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18)이 마련되고, 상기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18)에 의해 위법행위가 적발되는 경우, 서버 관리자에게 의해 해당 서비스 제공자에게 감점과 이후 수업료 정산시에 수수료를 차감하도록 이를 관리하는 페널티 가중 애플리케이션(12)이 마련된다.
또한, 서비스 이용자의 강의상품 구매(수업종료) 후 만족도를 체크하도록 하여 만족도의 등급에 따라 서비스 제공자의 순위(강사 순위)를 계산하는 인센티브 애플리케이션(15)과, 수업상품에 대한 신뢰성 있는 결제를 위한 온라인결제 애플리케이션(16) 및 상기 온라인결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서비스 이용자가 결제한 금액은 서비스 제공자에게 바로 지급되지 않고 수수료 정산이나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수업종료시까지 서버제공자에게 예치되도록 이를 관리하는 과금 애스크로 애플리케이션(14), 서비스 이용자의 수업상품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검색이 이루어지도록 서비스 제공자가 등록한 상품에 대한 정보를 테이블로 생성하고 이를 카테고리별로 관리하여 차순 정렬 기능과 텍스트 필드에 의한 검색 알고리즘을 제공하는 필터링 애플리케이션(1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온라인 오픈 마켓 플레이스에서 상품으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로그인 검증을 통하여 비회원인 경우 회원가입프로세스(200)가 수행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이용자를 분리하여 서비스 이용자 프로세스(500)와 서비스 제공자 프로세스(600)가 선택적으로 활성화되는 단계;
    개설된 수업이 정상적으로 수행된 경우 애스크로 되어있는 서비스 이용자의 수업비용 결제금액에 수업진행의 페널티요소를 사전 모니터링에 의해 감가상각하는 수수료 정산 절차를 통하여 서비스제공자에게 서비스 제공비용이 지불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
KR1020110001954A 2011-01-07 2011-01-07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804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954A KR20120080466A (ko) 2011-01-07 2011-01-07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1954A KR20120080466A (ko) 2011-01-07 2011-01-07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0466A true KR20120080466A (ko) 2012-07-17

Family

ID=46713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1954A KR20120080466A (ko) 2011-01-07 2011-01-07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804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0835B1 (ko) 쌍방향 맞춤형 온라인 교육 오픈 마켓 플레이스 운영 방법
Foreman The LMS guidebook: Learning management systems demystified
US2013017159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couraging regular participation in training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through a gamified training platform
US20130325665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having teaching and commerce subsystems
US20190019428A1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petency-Based Learning
US20200160740A1 (en) Maze training platform
Koomar et al. Using EdTech to Support Effective Data Monitoring: A Curated Resource List.
US2016030745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teaching and training people
KR20120080467A (ko) 외국어 말하기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원격 원어민 강사 네트워킹을 활용한 개인화된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US20170352040A1 (en) Healthy hands cooking platform
Mishra Mobile technologies in open schools
KR20120080466A (ko) 교실 수업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교사 전자 디스플레이 네트워킹을 이용한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20120080468A (ko) 단어 학습에 있어서 학습자 모바일 디바이스와 학습 사전/읽기 자료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통한 어휘 확장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Haney et al. Approaches and challenges of federal cybersecurity awareness programs
Blank et al. The national science foundation innovation corps™ teaching handbook
Torrance et al. Making Sense of xAPI
Telefónica MOOCs in the education of the future: digitizing training
KR102668664B1 (ko) Lms 솔루션 시스템
Zhou Usability Study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s) Platforms
Passey Independent evaluation of the aston pride phase 3 computers in the home project (2009 to 2011): Final report-March 2011
Etoro Coursepress Vs Learnworlds 2024–Ceate & Sell
Etoro Learnworlds File Upload 2024–Ceate & Sell
Clark-Wilson et al. A theory of change for parents and caregivers towards a technology-enhanced education system in Bangladesh
Etoro Landing Page In Learnworlds 2024–Ceate & Sell
Beknazarova PROSPECTS OF AN INTEGRATED APPROACH TO LEARNING AND THE DEVELOPMENT OF THE DISTANCE EDUCATIONAL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