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518A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518A
KR20120078518A KR1020100140844A KR20100140844A KR20120078518A KR 20120078518 A KR20120078518 A KR 20120078518A KR 1020100140844 A KR1020100140844 A KR 1020100140844A KR 20100140844 A KR20100140844 A KR 20100140844A KR 20120078518 A KR20120078518 A KR 2012007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put
hangul
character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여일
Original Assignee
김여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여일 filed Critical 김여일
Priority to KR102010014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8518A/ko
Publication of KR2012007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5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바람직한 한글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소위 천지인이나 나랏글 문자 입력 방식을 개선하여 키버튼간의 이동 횟수 및 운지 거리를 단축시키고, 한글의 모아쓰기 특성 및 한글 문자입력 키패드의 국제표준화에도 적합한 문자 배열 및 입력 방식을 제공하기 위하여,
특히 기본모음 10개를 “ㅣ,ㅏ,ㅑ”와 “ㅓ,ㅕ,ㅗ,ㅛ” 그리고 “ㅡ,ㅜ,ㅠ”의 3개 그룹으로 나누어, 키패드의 오른쪽에 위치한 3번과 6번 그리고 9번 키버튼에 각각 배치함을 기본으로 하여,
원하는 문자의 대부분을 해당 키를 1회 또는 2-3회 연타하여 불러내도록 함으로써, 운지의 키버튼 선택 이동 횟수 및 이동 거리를 단축시켜 주며,
아울러 한글의 모아쓰기 특성에 따른 제 위치에서의 문자의 변경 표시 및 입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국제 표준화로 되어있는 영문 알파벳 키패드와 마찬가지로, 24개의 완성된 한글 기본자음 및 모음을 2번에서 9번까지의 8개 숫자 키버튼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 {KOREAN CHARACTER DIVIDE AND ARRANGE METHOD USING THE NUMBER INPUT KEY O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은 전화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이하 "단말기"라 칭함) 등의 숫자 입력 키버튼을 이용한 바람직한 한글 문자 입력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글 모음 문자를 입력함에 있어서,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위 천지인 방식은, 한글의 모음을 천지인(ㆍ, ㅡ, ㅣ)의 3개 획으로 분리하여 키패드의 상부에 위치한 3개의 숫자 키버튼에 각각 배치하여 이 획을 서로 조합하여 모음을 형성시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며,
또한, 두번째로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진 소위 나랏글 방식은, 기본 단모음 6개를 4개의 키버튼에 나누어 배치시켜 놓고, 일단 기본 모음을 불러낸 다음에 추가로 가획버튼(*)을 눌러서 가로획 “ㅡ”나 세로획 “ㅣ”를 가획시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인 바,
상기의 우리나라 대표적인 두가지 문자 입력방식 모두가, 문자입력시 키버튼 간의 이동 횟수 및 운지 거리를 많으며, 문자 입력방법 숙지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더욱 손쉽고 빠른 문자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또한 국제적인 표준화에도 부합하도록 구성된 이동 단말기의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에는 문자 메시지 서비스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숫자 입력키를 이용한 문자입력 키패드가 구비되는바, 이러한 문자입력 키패드는 이동 단말기에 구비된 3열4단 12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키버튼에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어떤 방식으로 조합하여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서 한글 문자 입력의 빠르기와 편리함이 좌우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사용하고 있는 천지인 방식에 있어서, 특히 한글 모음을 입력할 경우에, 문자의 한 획마다 키를 자주 번갈아 가며 이동시켜 주어야 함으로써,
다른 문자 입력 방식보다 운지의 이동 횟수가 많아짐에 따라 운지의 이동 거리도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모음을 키패드의 상부측 1, 2, 3번 키버튼에 배열해 놓음으로써, 양손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자음과 모음을 번갈아 가며 입력해야 하는 한글 문자입력의 특성상, 좌우의 양쪽 손가락이 서로 자주 부딪치거나 교차 되어 원활한 문자입력에 불편을 초래하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그리고, 모음 "ㅓ"나 "ㅜ"를 입력해야 할 경우에, 한글쓰기의 기본 획순방향인 좌에서 우방향 또는 상에서 하방향이라는 개념과는 반대로 우에서 좌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켜 눌러주어야 하는 모순된 경우가 자주 발생하며,
더욱이, "ㆍ"으로 시작되는 중성모음을 입력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일단 입력된 초성자음과는 별도로 초성자음의 우측에 따로 떨어져 표시된 후에 "ㅣ"나 "ㅡ"가 선택된 다음에야 비로소 앞서 입력된 초성자음과 결합한 문자를 표시하게 되는바,
이는 한글의 모아쓰기와는 다르게 갑자기 영문 알파벳처럼 풀어쓰기 형태로 표기됨으로써,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대한 예측이 어려우며, 오류여부 판단 및 확인이 늦어져, 정확하고 빠른 문자입력에 지장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나랏글 방식에 있어서도 기본모음뿐만 아니라 기본자음까지도 획 추가 버튼(*)을 이용한 가획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제자리 연타방식 보다 키버튼 간의 이동이 많아 운지 거리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입력방식을 숙지하고 실행하는데에도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또한 문자입력을 위하여 12개의 모든 키버튼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한/영/숫자 변환용 키버튼이나 또는 특수 문자나 기호 입력용 키버튼을 필요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천지인이나 나랏글 방식 모두가 국제 표준화로 되어 있는 영문 알파벳 자판에서의 완성문자 배치와는 달리 획을 조합하거나 더하여 완성된 문자를 형성시키도록 함으로써, 국제 표준화에 어려움이 있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 모음 10개를 “ㅣ,ㅏ,ㅑ”와 “ㅓ,ㅕ,ㅗ,ㅛ” 그리고 “ㅡ,ㅜ,ㅠ”의 3개 그룹으로 나누고,
기본 자음 14개는 “ㄱ,ㄴ,ㅋ”, “ㄷ,ㄹ,ㅌ”, “ㅁ,ㅂ,ㅍ”, “ㅇ,ㅈ,ㅊ” 그리고 “ㅅ,ㅎ”의 5개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의 그룹을 숫자 1번과 0번 키버튼을 제외한 2-9번의 키버튼에 각각 나누어 배치하여, 원하는 문자의 해당 키를 연타하거나 조합시켜 필요로 하는 모든 한글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지의 키버튼 선택 이동 횟수 및 이동 거리를 단축시켜 주며,
국제 표준화로 되어있는 영문 알파벳 키패드와 마찬가지로, 0번과 1번의 키버튼을 특수 기능키나 특수 문자 입력키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더욱 편리하고 빠른 한글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키패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기존의 천지인 방식이나 나랏글 방식에 비하여, 키버튼간의 이동 횟수 및 운지 거리를 단축시켜 더욱 빠른 문자입력이 가능하며,
기본 모음 10개를 키패드의 우측 3-6-9번 키버튼에 배치하여, 한글의 모아쓰기 특성에 따른 제 위치에서의 문자변경 표시 및 입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입력하려는 문자키에 대한 위치 판단과 오류문자 확인 및 수정이 매우 빠르고,
유사음끼리의 배치로 인하여 효과적인 연상 연출이 가능하며, 문자 입력방법의 숙지 및 암기가 쉬워서, 초보자나 시각 장애인도 더욱 손쉽고 빠른 한글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국제 표준화로 되어 있는 영문 알파벳 자판과 마찬가지로 완성문자를 배치함으로써, 국제 표준화에도 부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지닌 키패드를 제공한다.
도 1은 기존 천지인 방식의 한글 기본자음과 모음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 키패드
도 2는 기존 나랏글 방식의 한글 기본자음과 모음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 키패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기본모음과 자음의 구성 및 배열의 예를 나타낸 키패드의 기본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기본자음의 구성 및 배열 방식을 다르게 한 예를 나타낸 키패드의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기본모음의 구성 및 배열 방식의 일부를 다르게 한 예를 나타낸 키패드의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키버튼에 표시한 문자를 더욱 상세하게 표기한 예를 나타낸 키패드
본 발명은 휴대 전화기나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한글 문자 입력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의 소위 천지인이나 나랏글 문자 입력 방식을 개선하여 키버튼간의 이동 횟수 및 운지 거리를 단축시켜, 손쉽고 빠른 한글 문자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며,
특히 한글의 모아쓰기 특성에 적합한 문자 배열 및 입력 방식을 제공하며,
기존의 영문 알파벳 국제 표준자판과 마찬가지로 0번이나 1번 키버튼을 특수 문자 입력이나 특수 기능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글 문자입력 키패드의 국제 표준화에도 부합하도록 구성된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한글 문자 입력 키패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기존 천지인 방식의 한글 기본모음과 자음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 키패드로서, 키패드의 상부 1, 2, 3번 키버튼에 각각 한글 모음의 기본획인 천지인을 뜻하는 "ㅣ", "ㆍ"와 "ㅡ"를 배치하고, 키패드의 하부 4, 5, 6, 7, 8, 9, 0번 키버튼에는 한글 기본자음 14개를 2개씩 묶어서 7개의 키버튼에 각각 나누어 배치시켜 놓은바,
예를 들어, 한글 모음 "ㅏ"나 "ㅑ"를 입력시켜야 할 경우에는 1번의 "ㅣ"키버튼을 누른 다음에 2번의 "ㆍ"키버튼으로 손가락을 이동시켜 1회 또는 2회 눌러 주어야 하며, "ㅓ"나 "ㅕ"의 경우에는 2번의 "ㆍ" 키버튼을 1회 또는 2회를 누른 다음에, 운지를 획순과는 반대방향인 좌측의 1번 "ㅣ" 키버튼 쪽으로 손가락을 이동시켜 1회 눌러주어야 하며, 그리고 "ㅗ"나 "ㅛ"의 경우는 2번의 "ㆍ" 키버튼을 1회 또는 2회 누른 다음에 3번의 "ㅡ" 키버튼으로 손가락을 이동시켜 1회 눌러주어 하며, "ㅜ"나 "ㅠ"의 경우에는 3번의 "ㅡ" 키버튼을 1회 누른 다음에, 운지를 획순과는 역으로 2번의 "ㆍ" 키버튼 쪽으로 손가락을 이동시켜 1회 또는 2회를 눌러주어 문자입력을 수행하여야 함으로써,
한글 모음 "ㅡ"와 "ㅣ"를 제외한 모든 한글 모음 문자 입력시 최소 2회 이상의 키버튼 변경 선택이 이루어지게 되는바, 이로 인하여 운지의 이동 거리가 많아짐으로써,한글 모음 문자의 빠른 입력에 불편을 초래하며,
또한, 한글쓰기의 기본 획순방향인 상에서 하방향, 좌에서 우방향이라는 개념과 정반대인 우에서 좌방향으로 손가락을 이동시켜 눌러야 하는 불편이 따르며,
특히, "ㆍ"으로 시작되는 중성모음을 입력해야할 경우에, 이미 입력해 놓은 초성자음의 우측에 초성자음과는 별도로 따로 떨어져 독립적으로 표시된 후에 "ㅣ"나 "ㅡ"가 선택된 다음에야 비로소 앞서 입력된 초성자음과 결합된 문자를 표시하게 되어 있는바, 이는 한글의 모아쓰기와는 다르게 풀어쓰기 형태로 표기됨으로써,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에 대한 예측이 어려우며, 오류여부 판단 및 확인이 늦게 이루어져서, 보다 정확하고 빠른 문자입력에 지장을 일으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영문 알파벳 키패드가 24개의 완성 문자를 배치해 놓은 것과는 달리, 기본자음 14개는 완성문자를 배치하였으나 기본모음 10개는 우선 상기의 천지인 3개의 획을 조합하여 완성문자를 형성시킨 다음에, 자음과 조합시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국제 표준화에도 어려움이 따르는 등의 단점이 있다.
도 2는 기존 나랏글 방식의 한글 기본자음과 모음의 배열 상태를 나타낸 키패드로서,
기본모음뿐만 아니라 기본자음까지도 획추가 버튼(*)을 이용한 가획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제자리 연타방식 보다 키버튼 간의 이동이 많아 운지 거리가 길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입력방식을 숙지하고 실행하는데에도 많은 노력과 시간을 필요로 하며, 또한 문자입력을 위하여 12개의 모든 키버튼을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특수 문자나 기호의 입력용이나 변환 기능키를 필요로 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으며,
이러한 입력방식도 상기의 천지인 방식과 마찬가지로, 완성 문자가 아닌 표시된 기본 문자에 가획을 시켜 완성 문자를 형성시킨 다음에, 이를 다른 문자와 조합시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국제 표준화에 역시 어려움이 따르는 등의 단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한글 기본모음과 자음의 구성 및 배열의 예를 나타낸 키패드의 기본 개념도로서,
기본 모음 10개를 “ㅣ,ㅏ,ㅑ”와 “ㅓ,ㅕ,ㅗ,ㅛ” 그리고 “ㅡ,ㅜ,ㅠ”의 3개 그룹으로 나누어, 키패드의 오른쪽에 위치한 3번과 6번 그리고 9번의 3개 키버튼에 각각 배치시켜 놓으며,
기본 자음 14개는 “ㄱ,ㄴ,ㅋ”, “ㄷ,ㄹ,ㅌ”, “ㅁ,ㅂ,ㅍ”, “ㅇ,ㅈ,ㅊ” 그리고 “ㅅ,ㅎ”의 5개 그룹으로 나누어, 키패드의 왼쪽에 위치한 2, 4, 5, 7, 8번의 5개 키버튼에 각각 나누어 배치시켜 놓음으로써,
원하는 문자의 해당 키버튼을 연타하거나 키버튼 변경에 의한 문자를 조합시켜, 필요로 하는 모든 한글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운지의 키버튼 이동 횟수 및 이동 거리를 단축 시켜주며, 0번과 1번의 키버튼을 특수 문자 입력이나 기능키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유사음끼리의 배치로 인하여 직관성이 좋으며, 문자 입력방법의 숙지 및 암기가 쉬워서, 초보자나 시각 장애인이라도 더욱 손쉽고 빠른 한글 문자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한글 모음을 입력할 경우에 한글의 모아쓰기 특성에 따라 처음부터 초성자음의 좌측 또는 하측에 위치하여, 키버튼의 연타횟수에 따른 문자변경과 키버튼의 변경에 의한 겹모음의 조합이 이루어져 원하는 문자가 입력됨으로써,
입력하려는 문자키에 대한 위치 판단과 오류문자 확인 및 수정이 매우 쉽고 빠르게 수행되도록 하며,
또한, 국제 표준화 되어있는 영문 알파벳 키패드와 마찬가지로, 24개의 완성된 한글 기본자음 및 기본모음 문자를 2번에서 9번까지 8개의 키버튼에 각각 나누어 배치시켜 놓음으로써, 전화기나 휴대폰 또는 이동단말기 등의 숫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문자 입력 키패드의 국제 표준화에도 매우 부합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지닌 키패드를 제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기본자음의 구성 및 배열 방식을 다르게 한 예를 나타낸 키패드의 참고도로서,
기본 모음의 구성 및 배열 방식은 상기 도 3의 기본 개념도와 마찬가지로, 10개의 숫자 키버튼 가운데 3, 6, 9번의 3개의 키버튼에 배치하고, 기본자음 14개는 천지인 방식과 유사한 방법으로 자음을 2개씩 묶어 1번과 0번 키버튼을 포함한 나머지 7개의 숫자 키버튼에 나누어 배치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비록 1번과 0번의 숫자키를 특수 문자나 기능키로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대신에, 자음을 입력할 경우에 보다 적은 누름 횟수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키패드를 제공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한글 기본모음의 구성 및 배열 방식의 일부를 다르게 한 예를 나타낸 키패드의 참고도로서,
기본 모음의 구성 및 배열 방식에 있어서 3번 및 9번 키버튼에 배치된 모음은 그대로 하고, 다만 6번 키버튼에 배치된 4개의 모음 "ㅏ,ㅑ,ㅗ,ㅛ"에서 "ㅗ,ㅛ"를 분리하여 8번 키버튼에 배치하고, 0번 키버튼을 제외한 나머지 5개의 숫자 키버튼 즉 1, 2, 4, 5, 7번 키버튼에 기본자음 14개를 기본 개념도와 마찬가지로 구성하여 분산 배치함으로써, 상기의 도 4에서 예시된 경우와 마찬가지로, 비록 1번의 숫자키를 특수 문자나 기능키로 활용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는 대신에, 모음을 입력할 경우에 보다 적은 누름 횟수로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키패드를 제공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키버튼에 표시한 문자를 더욱 상세하게 표기한 예를 나타낸 키패드의 참고도로써, 도 3의 기본 개념도를 더욱 상세하게 표시하여 한글 문자 입력을 수행하는 초보자나 외국인에게 실제의 모든 한글의 기본자음과 모음을 직접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더욱 손쉬운 문자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를 제공한다.
참고로, 하기의 <표 1>은 한글 모음 입력 방식에 대한 기존의 천지인 방식과 나랏글 방식과 본 발명의 문자입력 방식의 비교표로서,
한글 기본모음 10자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키버튼의 타수 합계는 본 발명과 천지인 방식이 나랏글 방식보다는 다소 많으나,
키버튼의 변경 선택 및 이동 횟수는 본 발명의 문자입력 방식이 천지인 방식이나 나랏글 방식에 비하여 훨씬 적음으로써, 기존 방식에 비하여 훨씬 쉽고 빠른 문자의 입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한글
기본 모음
숫자 키버튼의 입력 순서
한글 겹모음
숫자 키버튼의 입력 순서
천지인 나랏글 본 발명 천지인 나랏글 본 발명
1-2 3 33 1-2-1 3-9 333
1-22 3-* 333 1-22-1 3-*-9 333+3
2-1 33 6 2-11 33-9 6-3
22-1 33-* 66 22-11 33-*-9 66-3
2-3 6 666 2-3-1 6-9 666-3
22-3 6-* 6666 2-3-1-2 6-3 666-33
3-2 66 99 2-3-1-2-1 6-3-9 666-33+3
3-22 66-* 999 3-2-1 66-9 99-3
3 0 9 3-22-1 66-3 99-6
1 9 3 3-22-11 66-3-9 99-6-3
( 선택키 / 총타수 ) (18/22) (14/18) (10/22) 3-1 0-9 9-3
주) *: 획추가 입력 키버튼, +: 같은 키버튼 잠시(2-3초) 대기후 연타
마찬가지로, 하기의 <표 2>는 한글 자음 입력 방식에 대한 기존의 천지인 방식과 나랏글 방식과 본 발명의 문자입력 방식의 비교표로서,
한글 기본자음 14자를 입력하는데 있어서 키버튼의 타수 합계는 본 발명 방식이 5개 키버튼 만을 사용하는 관계로 같은 키버튼의 연타횟수가 늘어남으로써, 나랏글 방식이나 천지인 방식에 비하여 다소 많은 편이나,
키버튼의 변경 선택 및 이동 횟수에 있어서는 기본자음 14개를 7개 키버튼에 나누어 배치시킨 천지인 방식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방식이 나랏글 방식에 비하여 훨씬 적음을 알 수 있으며,
이것은 키버튼의 변경없이 오직 한 개의 키버튼을 1-3회 연타하여 모든 자음을 표기할 수 있음을 나타낸 것으로서, 문자의 가획을 위하여 키버튼간을 오가며 문자를 조합 구성하여야 하는 나랏글 방식에 비하여 훨씬 쉽고 빠른 문자의 입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한글
기본 자음
숫자 키버튼의 입력 순서 한글
기본/쌍 자음
숫자 키버튼의 입력 순서
천지인 나랏글 본 발명 천지인 나랏글 본 발명
4 1 2 44 1-* 222
5 2 22 66 2-** 444
6 2-* 4 77 2-* 555
55 4 44 88 4 77
00 5 5 ( 선택키 / 총타수 ) (14/21) (21/23) (14/27)
7 5-* 55 444 1-# 2222
8 7 7 666 2-*-# 4444
0 8 8 777 5-*-# 5555
9 7-* 88 888 7-# 777
99 7-** 888 999 7-*-# 8888
주) *: 획추가 입력 키버튼, #: 쌍자음 입력 키버튼,
+: 같은 키버튼 잠시(2-3초) 대기후 연타
하기 <표 3>은 예를 들어, "아름다운 삼천리 금수강산" 문구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필요한 입력 키버튼의 변경 선택횟수/입력 타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천지인 방식은 0-1-2, 55-3-00, 6-1-2, 0-3-2-5, 8-1-2-00, 99-2-1-5, 55-1, 4-3-00, 8-3-2, 4-1-2-0, 8-1-2-5의 순서로 모두 43회의 타수 중에 무려 37회의 키버튼 변경 선택 및 이동이 이루어지며,
나랏글 방식은 8-3, 4-0-5, 2-*-3, 8-66-2, 7-3-5, 777-33-2, 4-9, 1-0-5, 7-66, 1-3-8, 7-3-2의 순서로 모두 35회의 타수 중에 30회의 키버튼 변경 선택 및 이동이 이루어지며,
본 발명의 방식은 8-33, 44-9-5, 4-33, 8-99-22, 7-33-5, 888-6-22, 44-3, 2-9-5, 7-99, 2-33-8, 7-33-22의 순서로 모두 43회의 타수가 이루어져 천지인 방식과 비슷한 횟수의 타수가 필요하나, 키버튼 변경 선택 및 이동횟수는 단지 29회로써,
특히 12개의 키버튼을 모두 활용하는 나랏글 방식에 비하여 비록 타수는 약간 많으나, 오직 8개의 숫자 키버튼 만을 사용하는 본 발명의 문자입력 방식이 오히려 키버튼 변경 선택 및 이동 횟수에 있어서는 가장 적은 횟수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한글 문자 입력 방식이 운지 이동거리를 줄여 줌으로써, 타 입력 방식에 비하여 더욱 쉽고 빠른 한글 문자의 입력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입력 방식 키선택/타수
천지인 방식 3/3 3/5 3/3 4/4 4/5 4/5 2/3 3/4 3/3 4/4 4/4 37/43
나랏글 방식 2/2 3/3 3/3 3/4 3/3 3/6 2/2 3/3 2/3 3/3 3/3 30/35
본발명 방식 2/3 3/4 2/3 3/5 3/4 3/6 2/3 3/3 2/3 3/4 3/5 29/43
본 발명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한글 문자 배열 방법 및 입력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

  1. 전화기나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숫자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입력 키패드에 있어서, 특히, 기본 모음 10개를 “ㅣ,ㅏ,ㅑ”와 “ㅓ,ㅕ,ㅗ,ㅛ” 그리고 “ㅡ,ㅜ,ㅠ”의 3개 그룹으로 나누어, 키패드의 오른쪽에 위치한 3번과 6번 그리고 9번 키버튼에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
  2. 상기의 3개 그룹에 있어서,
    6번 키버튼에 배치된 "ㅓ,ㅕ,ㅗ,ㅛ" 그룹을 "ㅓ,ㅕ"와 "ㅗ"ㅛ"로 2개의 그룹으로 추가 분할시켜, "ㅓ,ㅕ"그룹은 6번 키버튼에 그대로 배치시키고, "ㅗ,ㅛ"그룹을 8번 키버튼에 각각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키버튼을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
KR1020100140844A 2010-12-31 2010-12-3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 KR201200785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844A KR20120078518A (ko) 2010-12-31 2010-12-3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844A KR20120078518A (ko) 2010-12-31 2010-12-3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518A true KR20120078518A (ko) 2012-07-10

Family

ID=46711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844A KR20120078518A (ko) 2010-12-31 2010-12-31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851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83849A1 (ko) * 2013-12-03 2015-06-11 주식회사 아게르냐 터치스크린용 amharic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US10423327B2 (en) 2013-06-04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key pad input received on touch screen of mobile termina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23327B2 (en) 2013-06-04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key pad input received on touch screen of mobile terminal
WO2015083849A1 (ko) * 2013-12-03 2015-06-11 주식회사 아게르냐 터치스크린용 amharic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411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입력방법
KR100750653B1 (ko) 한글 입력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2007851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및 배치 방법
KR2012005932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숫자 입력키를 이용한 한글 문자 배열 방법 및 입력 방식
CN103677302A (zh) 手机中文快捷拼音输入的方法
KR100637745B1 (ko) 한글 키패드
KR1004868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글자판
KR100377416B1 (ko) 전화기와 상기 전화기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
KR100659379B1 (ko) 휴대 단말기의 자판 및 그 배열 방법
KR101329298B1 (ko) 모바일 단말수단의 한글 입력 시스템
KR20060033275A (ko) 휴대폰의 한글입력방법 및 영어입력방법
KR100577675B1 (ko) 한글 키패드
KR100626680B1 (ko) 단말용 영문 입력장치
CN101251769A (zh) 双.单按(击)键创意组合手机.数字器件.电脑.计算机汉语输入法
KR100536553B1 (ko) 한글 키패드
CN101377718B (zh) 拨珠输入装置和方法以及便携式设备
KR101196003B1 (ko) 휴대폰의 일본어 문자 입력 방법
JP6924752B2 (ja) 端末機のタッチスクリーンを用いた漢字と数字の入力キーボード及びその入力方法
JP2010186204A (ja) 入力装置
KR200254882Y1 (ko) 유니버살 단축자판
KR20070031076A (ko)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1039482B1 (ko) 스마트 조합식 문자 입력 키패드
KR200290468Y1 (ko) 전화기
KR100398668B1 (ko) 한글자모 배열과 입력방법
JP5021715B2 (ja) 日本語文字入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