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687A - Method and system on contents delivering using contents optimized protocol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on contents delivering using contents optimized protoco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687A
KR20120077687A KR1020100139746A KR20100139746A KR20120077687A KR 20120077687 A KR20120077687 A KR 20120077687A KR 1020100139746 A KR1020100139746 A KR 1020100139746A KR 20100139746 A KR20100139746 A KR 20100139746A KR 20120077687 A KR20120077687 A KR 201200776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content
optimal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13012B1 (en
Inventor
장혁준
정미상
Original Assignee
(주)이와이드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와이드플러스 filed Critical (주)이와이드플러스
Priority to KR1020100139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3012B1/en
Publication of KR20120077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68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30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1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 H04L65/612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for supporting one-way streaming services, e.g. Internet radio for unicas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65Network streaming protocols, e.g. real-time transport protocol [RTP] or real-time control protocol [RTC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5Conversion or adaptation of application format or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6Special purpose or proprietary protocols or archite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URPOSE: A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through a correspondence protocol having optimized contents and a system thereof are provided to improve content transfer efficiency which includes the transfer speed of the contents by selecting an optimal protocol for the contents. CONSTITUTION: A system for providing optimal protocol contents(2000) is connected to a user terminal(1000) through a wired/wireless network(3000). The system for providing optimal protocol contents includes a SPAS(Smart Phone Application Server)(2100). The SPAS includes a protocol layer(2110), a base layer(2130), and an application layer(2120), etc. The SPAS is formed into a middleware for a Smart phone.

Description

콘텐츠 최적화된 대응 프로토콜을 통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on Contents Delivering Using Contents Optimized Protocol}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hrough content optimized response protocol {Method and System on Contents Delivering Using Contents Optimized Protocol}

본 발명은 콘텐츠 최적화된 대응 프로토콜을 통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단말기가 제1 프로토콜로 콘텐츠를 요청할 때, 요청되는 콘텐츠에 최적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요청된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콘텐츠 최적화된 대응 프로토콜을 통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through a content-optimized corresponding protocol, and more particularly, when a user terminal requests content through a first protocol, the requested content using a protocol optimized for the requested content is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ent providing method and a system through a content optimized corresponding protocol provided to a user terminal.

현재, 단말기와 서버가 통신을 수행할 때, 단말기에서 서버에 콘텐츠를 요청하는 프로토콜과 동일한 프로토콜을 통하여 서버의 콘텐츠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콘텐츠마다 독특한 속성이 무시된 채, 단말기로부터 요청 정보가 전송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콘텐츠를 제공하므로, 콘텐츠 제공 효율성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각 콘텐츠마다 그 콘텐츠의 속성이 다르며, 그 콘텐츠를 전달하기에 최적인 프로토콜이 대응될 수 있는 콘텐츠 최적화된 대응 프로토콜을 통한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Currently, when a terminal and a server perform communication, it is common to transmit the contents of the server to the terminal through the same protocol as the protocol for requesting the content from the terminal. Accordingly, since content is provided according to a protocol through which request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a terminal while a unique property is ignored for each cont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ntent providing efficiency is extremely degraded.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a content through a content-optimized corresponding protocol in which the content of the content is different for each content and a protocol optimal for delivering the content can be coped with.

현재 스마트폰에 제공되는 서버 시스템은 모바일 서비스 지원 시스템이라기 보다는 웹 서비스 지원시스템 표준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고, 별도로 모바일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개발 환경적인 측면 또는 지원 서비스적인 측면이 고려되지 않는 서비스를 제공을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WAS기반 스마트폰 서비스는 Http, https 프로토콜 만을 지원하여 스마트폰의 모바일 특성을 고려한 프로토콜(HTTP, OBEX, WSP, RPC, RSVP, SyncML)을 지원하지 않아, 향후 제공될 신기술에는 부적합한 문제가 있었다. 이에, 콘텐츠 최적화된 대응 프로토콜을 통한 콘텐츠 제공 방법이 구현되는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 서버 발명의 강하게 요청되어 왔다.Currently, the server system provided in the smartphone uses the web service support system standard rather than the mobile service support system, and provides a service that does not consider the development environment aspect or support service aspect of the mobile service separately. have. Accordingly, the WAS-based smartphone service that provides existing services only supports the Http and https protocols and does not support protocols (HTTP, OBEX, WSP, RPC, RSVP, SyncML) considering the mobile characteristics of smartphones. There was an inadequate problem with the new technology. Accordingly, there has been a strong demand for the invention of a smartphone-only application server that implements a content providing method through a content-optimized corresponding protocol.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첫번째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 최적화된 대응 프로토콜을 통한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The first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content providing method through a content-optimized corresponding protocol.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두번째 기술적 과제는 콘텐츠 최적화된 대응 프로토콜을 통한 콘텐츠 제공 방법이 구동되는 시스템을 제시하는 것이다.The second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system for driving a content providing method through a content-optimized corresponding protocol.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콘텐츠 요청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B) 상기 콘텐츠에 대한 최적 프로토콜로 제2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단계; (C) 상기 제2 프로토콜로 상기 콘텐츠를 랩핑(wrapping)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프로토콜로 랩핑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을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A) content request information using the first protocol from at least one or more user terminals; Receiving a; (B) selecting a second protocol as an optimal protocol for the content; (C) wrapping the content with the second protocol; And (D) transmitting the content wrapped in the second protocol to the user terminal.

상기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B) 단계의 최적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상기 요청 정보를 입수 받은 콘텐츠의 메타 정보를 이용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of selecting the optimal protocol of step (B) is preferably to use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obtained the request information of the content.

상기 (B) 단계의 최적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단계는 선별 우선 순위 정책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선별 우선 순위 정책 정보는 콘텐츠 요청 형태, 콘텐츠 종류, 콘텐츠 사이즈 및 출력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결정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of selecting the optimal protocol of step (B) is to use the screening priority policy information, wherein the screening priority policy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any one or more of a content request type, content type, content size and output program. Is preferably.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인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terminal is preferably a smart phon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콘텐츠 요청 정보를 입수 받고, 요청 정보를 입수 받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요청 정보 처리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최적 프로토콜로 제2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프로토콜 선별 엔진; 및 상기 제2 프로토콜로 상기 콘텐츠를 랩핑하는 콘텐츠 랩핑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요청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제2 프로토콜로 랩핑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 처리 요청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을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receives the content request information using the first protocol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the content reques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providing the content obtained the request information ; A protocol selection engine that selects a second protocol as an optimal protocol for the content; And a content wrapping engine for wrapping the content with the second protocol, wherein the content reques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requests the user terminal to transmit and process the content wrapped with the second protocol. A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is presented.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최적 프로토콜을 선별하기 위하여,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를 사용하는 것인 것을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ocol selection engine uses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to select an optimal protocol for the content.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이 사용하는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메타 정보인 것이며,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은 상기 콘텐츠의 상기 요청 정보를 입수 받은 콘텐츠의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타 정보로 상기 제2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used by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is me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uses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which has received the request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second information as the meta information. Preferably, the protocol is selected.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이 사용하는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는 선별 우선 순위 정책 정보인 것이며,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은 선별 우선 순위 정책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것이며, 상기 선별 우선 순위 정책 정보는 콘텐츠 요청 형태, 콘텐츠 종류, 콘텐츠 사이즈 및 출력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결정되는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used by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is screening priority policy information, and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is screening the second protocol using a screening priority policy, and the screening priority policy information is content. It is preferably determined by one or more of a request type, a content type, a content size, and an output program.

본 발명이 실시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콘텐츠마다 최적의 프로토콜이 선택되어 질 수 있어, 콘텐츠 전송 속도를 포함하여 콘텐츠 전송 효율성이 현격하게 높아진다.First, the optimal protocol can be selected for each content, which significantly increases the content delivery efficiency, including the content delivery rate.

둘째, 발명 기술인 SPAS 기술이 개발 완료되어 상용화된다면 초기에는 스마트폰 관련 신규 애플리케이션 서버 시스템 구축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WAS 서버의 역할을 스마트폰의 서비스 특성을 고려하여 확장하여 구축되는 것이고, 향후 서비스 차원의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플러그인(Plug in) 방식의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다.Second, if the invention technology is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after the completion of SPAS technology can be used initially to build a new application server system related to smartphones. It is built by extending the role of the existing WAS server in consideration of the servic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phone, and can be used as a plug-in platform supporting various applications in the future.

셋째, SPAS 서버 시스템이 있는 경우 위치기반 서비스, 음영지역처리, Push서비스, 동화상 전송서비스 등 스마트폰 특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쉽게 추가 지원 받을 수 있도록 패키지화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및 각 레이어에 해당 부분은 모듈화해서 버전을 관리할 수 있고 모듈 단위로 배포 가능한 제품으로 개발이 가능하다. Third, if there is a SPAS server system, it can be packaged so that smartphone-specific applications such as location-based service, shadow area processing, push service, and moving picture transmission service can be easily supported, and the application service and each part are modularized. Version can be managed and developed as a product that can be distributed in modules.

넷째, 향후 시장이 확대되고 스마트폰 서비스가 활성화 될 경우 대기업 외에도 중소기업도 스마트폰 서비스에 대한 시장 요구가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중소기업 차원의 서버구축은 어려운 현실이므로 현재 웹 호스팅 서비스와 같은 형태의 코로케이션 및 ASP 서비스로 확대될 수 있다.Fourth, if the market expands in the future and smartphone services become active, SMEs are expected to increase their market demand for smartphone services. However, since SME server construction is a difficult reality, it can be expanded to colocation and ASP services in the same form as web hosting services.

다섯째,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 전용서버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고, 서버연동 기능이 향상되며, 다양한 서비스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기업특화 서비스 기반을 제공하고, 신기술 대응 확장성을 제공한다. 보안성 및 안정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플러그인 방식의 플랫폼 제공이 가능하며, 관리 편의성 및 통합 시스템에 의해 구축비용이 감소되는 효과를 갖는다.Fifth, it can be utilized as various smart service dedicated server platform, server interworking function is improved, and can support various service protocols. It also provides a foundation for specialized services and provides scalability for new technologies. Improved security and stabilit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ug-in platform to support a variety of applications,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by the ease of management and integrated system.

여섯째, 스마트폰 서비스 제공 업체는 보다 안정적인 시스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으며, 표준화된 개발환경의 제공으로 구축자원을 절약할 수 있고, 보다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Sixth, the smartphone service provider can build a more stable system environment, save construction resources by providing a standardized development environment, and can provide a higher level of service.

도 1은 본 발명의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일부인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서버(SPAS)의 내부 구조에 관한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도 3은 Java EE 기반 SPAS의 레벨 별 구현 기술 요소에 관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일 실시예적 도면이다.
1 is a diagram of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internal structure of a smartphone application server (SPAS) that is part of an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of an implementation description element for each level of a Java EE-based SPAS.
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an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0)의 일 실시예적 구성에 관한 도면이다. 상기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0)는 유무선 네트워크(300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0)는 내부에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서버(SPAS(2100), Smart Phone Application Server)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상기 SPAS(2100)는 프로토콜 레이어(2110), 베이스 레이어(2130), 애플리케이션 레이어(2120)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SPAS(2100)는 스마트폰을 위한 미들웨어로 기존 WAS의 역할을 대체하는 기술로 아래의 그림 같이 크게 세가지 1) 프로토콜 레이어(2110), 2) 애플리케이션 레이어(2120), 3) 베이스 레이어로 구성되며 각각의 레이어는 WAS와 유사하나 스마트폰의 다양한 통신 및 서비스 환경을 고려하여 상호 보완되어 역할을 수행한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of an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2000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0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3000.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2000 may include a smartphone application server (SPAS 2100, Smart Phone Application Server) therein. The SPAS 2100 includes a protocol layer 2110, a base layer 2130, an application layer 2120, and the like. The SPAS 2100 is a technology that replaces the role of the existing WAS as middleware for a smart phone. The SPAS 2100 is composed of three types of 1) protocol layer 2110, 2) application layer 2120, and 3) base layer. Each layer is similar to WAS, but complements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various communication and service environments of smartphones.

운영체제 레이어는 Window 보다는 Hardware 적인 확장성을 감안해서 Unix OS를 권장하고, 이기종 OS 전환을 위해서 중요 엔진은 1) 시스템 Loading 및 모듈에 대한 관리를 위해서 Unix C, Window C를 이용 핵심 엔진을 구현하고, 2) 분산화 기반의 Multi-Processing 을 구현하며, 프로세스에 대한 통합관리를 위해서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spect Oriented Programming, 이하 AOP)를 구현하는 것이 더 타당하다.The operating system layer recommends Unix OS in consideration of hardware scalability rather than Window, and important engines for heterogeneous OS conversion are: 1) Implement core engines using Unix C and Window C for system loading and module management. 2) It implements decentralized multi-processing, and it is more appropriate to implement aspect-oriented programming (AOP)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processes.

Java J2EE부는 서버 시스템 구현을 위해 기본의 Servlet Architeture 의 근간으로 구현 기존의 표준화 된 채널 보안(SSL), 사용자 인증(X.509 인증지원), 서버 인증에 대한 구현을 공유한다. 최소의 Customizing 을 통해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트랜잭션 관리, 세션 유지, 부하 분산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계층화된 구조로 유연성과 기능 확장성이 우수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J2EE에서 지원되지 않는 Low Level Socket Streaming 서비스, J2EE에서 허용하지 않는 비메모리 세션, 세션에 대한 암호화 영역은 새로운 개념 설정과 구현이 필요한 부분이고, 국내외의 표준을 참조해서 구현하는 것이 좋다. Java J2EE part is based on basic Servlet Architeture for server system implementation. It shares existing standard channel security (SSL), user authentication (X.509 authentication support), and server authentication implementation. With minimal customization, it provi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efficient application transaction management, session maintenance, and load balancing. In additi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makes the business logic relatively easy to implement due to its flexibility and expandability. Low level socket streaming services not supported by J2EE, non-memory sessions not allowed by J2EE, and encryption areas for sessions are areas that require new concept setting and implementation.

Java J2EE 기반 SPAS 기술 요소는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 서버 구현 기술은 세부 요소기술로 메모리 관리 기술, 로그 관리 기술, 예외 처리 기술, 응용 모듈 표준화 기술로 나누어지고, 2) 인터페이스 구현 기술은 프로토콜 기술, 표준 인터페이스 기술로 나누어진다. 3) 응용모듈 구현 기술은 세부 요소기술로 암호화 모듈 기술, 압축 및 컨버전 모듈 기술, 동화상 지원 기술, 배포 모듈 기술로 나누어지고, 4) 운영모듈 구현 기술은 서버관리 모듈 기술, 성능테스트/점검 기술, 통합테스트/점검 모듈 기술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해서 Java EE기반 스마트폰 전용 애플리케이션 서버 기술은 총 4개의 주요 요소 기술과 총 13개의 세부 요소기술로 이루어져 구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Java J2EE-based SPAS technology element is divided into 1) server implementation technology into memory management technology, log management technology, exception handling technology, application module standardization technology, and 2) interface implementation. The technology is divided into protocol technology and standard interface technology. 3) Application module implementation technology is divided into detailed component technology into encryption module technology, compression and conversion module technology, moving picture support technology, and distribution module technology. 4) Operation module implementation technology includes server management module technology, performance test / checking technology, It is divided into integrated test / check module technology. In this way, a Java EE-based application server technology for smartphones can be implemented with four key element technologies and 13 detailed element technologies.

프로토콜 레이어(2110)는 필요한 각종 특화된 프로토콜(HTTP, WSP, RPC, RAP, SyncML)들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개발언어는 국제 표준인 Java EE 5 기반으로 제공하여 개발자는 물론 시스템담당자가 효율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점검 할 수 있는 관리자 화면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계층화된 구조로 유연성과 기능 확장성이 우수해 비즈니스 로직을 쉽고 효과적으로 구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Java EE 5 스펙을 준수하여 최적화된 서비스 및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구현 환경을 완벽히 지원하고, 사용자의 개발 편의성을 고려하여 설계된다. The protocol layer 2110 performs a function of providing various specialized protocols required (HTTP, WSP, RPC, RAP, SyncML). The development language is based on Java EE 5, an international standard, which not only provides the administrator screen for developers and system administrators to check efficient applications, but also makes the business logic easier and easier with its layered structure.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effectively. In addition, it fully supports the optimized service and SOA (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implementation environment by complying with the Java EE 5 specification, and is designed with user convenience in mind.

베이스 레이어는 데이터베이스 및 기간계 시스템 연동을 담당하는 레이어로 J2EE CA(Connector Architecture)로 CICS, IMS, SAP, Tandom, Ingres, MQ 등과의 통합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Jdom, Ibatis 등 데이터 연동 Framework과도 편리하게 연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이밖에 COM Bridge를 통한 COM/DCOM과의 연계, JNDI Bridge를 통한 LDAP과의 연계, JDBC Driver로 DB Pool연결을 지원한다. The base layer is a layer that is in charge of interworking with database and backbone system. It is a J2EE CA (Connector Architecture) to support integration with CICS, IMS, SAP, Tandom, Ingres, and MQ. It also supports convenient integration with data interworking frameworks such as Jdom and Ibatis. In addition, it supports connection with COM / DCOM through COM Bridge, connection with LDAP through JNDI Bridge, and DB Pool connection with JDBC Driver.

애플리케이션 레이어(2120)는 스마트폰에 특화된 서비스 기능 영역으로 Servlet 내부에서 호출하는 방식이 아니 관리자의 설정만을 통해서 메모리 영역에 로드 서비스가 가능한 기능을 포함한다. 기존의 Stub, Proxy 개념의 component 방식으로 구현해서 애플리케이션 Load가 Proxy 가 되고, 각각의 응용서비스가 Stub 가 되어 관리화면에서 설정만으로 서비스가 로딩 활성화 될 수 있는 기능이 포함된다. 메모리 및 로그, 예외처리의 안정성은 J2EE 의 JVM 기술에서 확보 하고, 통합관리를 위해 AOP 기능이 포함된다. SPAS의 특화된 가장 중요한 기능으로 애플리케이션 Load 에서는 다양한 응용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게 보장을 한다. The application layer 2120 is a service function area specialized for a smartphone, and includes a function capable of loading a service in a memory area only through setting of an administrator, not a method of calling from inside the servlet. Application load becomes Proxy by implementing component method of existing stub and proxy concept, and each application service becomes stub, and the function can be loaded and activated only by setting in the management screen. The stability of memory, log and exception handling is secured by J2EE JVM technology, and AOP function is included for integrated management. The most important special function of SPAS is that Application Load guarantees stable operation of various application services.

배포기능의 경우 배포자 인증 및 배포기기 등록, 프로그램 소개 및 Payment기능을 제공하며, 기기 보안 경우 기기사용에 대한 로그 확인 및 기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기기의 중요정보를 Wipe-out 을 통해 원격에서 해당 주요정보를 초기화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동화상 서비스의 경우 MPeg4, 5에 대한 동화상 표준에 따라 서비스 파일에 대한 표준화 작업, 변환 작업을 수행을 하고, 압축관련 코덱 서비스를 지원을 한다. iphone 및 android 운영 체제를 탑재한 스마트폰 관련 동화상 지원하며, 메일 첨부 파일 및 Groupware 문서에 대한 문서 변환 및 내부 관리 타입의 파일로 변환을 해서 보관을 하고, 특정 문서에 대해서는 접근통제를 통해 기업 내부의 File 관련 Clouding computing을 지원할 수 있다.In the case of distribution function, it provides distributor authentication, distribution device registration, program introduction and payment function.In case of device security, important information of device is remotely checked through Wipe-out by device log request and device user's request. It provides the function to initialize the information. In the case of moving picture service, it performs standardization work and conversion work for service files according to moving picture standards for MPeg4 and 5, and supports compression related codec service. It supports moving pictures related to smartphones equipped with iphone and android operating systems, converts documents for mail attachments and Groupware documents, and converts them into files of internal management type, and stores specific documents through access control. It can support file-related cloud computing.

한편, 애플리케이션 로더(애플리케이션 Loader )는 응용 서비스 모듈을 Stub 모델로 만들고, 애플리케이션 Loader 는 Stub component loader 의 기능을 제공 한다. 개발 표준이 적용된 Stub의 이식성을 감안 Proxy유형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1) 응용모듈에 대한 interface를 노출하고 노출 된 interface를 통해 서비스를 관리하고, 2) 응용 모듈 Stub에 Load, init,, unload, close 명령어를 통해 서비스 상태를 관리하고, 3) 개발 표준으로 개발된 Stub 에 대한 최적의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며, 4) 메모리 관리 및 예외처리, 로그 기능을 구현, 모듈 연동설정에 따라 모듈에 의존적인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pplication loaders make application service modules into stub models, and application loaders provide the functionality of a stub component loader. Considering the portability of stubs to which development standards are applied, it is desirable to implement them as proxy types. It 1) exposes interface to application module and manages service through exposed interface, and 2) manages service state through Load, init, unload, and close commands in application module stub, and 3) develops as development standard. It provides the optimal service environment for the specified stub, and 4) implements the memory management and exception handling, the log function, and the module dependent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module linkage setting.

한편, 관리자 기능을 위하여,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관리자 기능은 횡단관심사(cross-cutting concerns)에 대한 업무를 어느 시점에서든지 관리 할 수 있게 설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관리자 기능은 1) 접속 통계 및 서버 모니터닝 기능 구현, 애플리케이션 Loader 에서 운영 중인 응용 모듈에 대한 모니터닝 및 튜닝 계획 수립을 지원하고, 2) 편의성 측면에서 사용자의 서버 설정, context root, DB 설정정보 및 connection pool 을 관리하며, 3) Hang 된 Process에 대한 Process Kill 및 메모리 프리 기능을 구현 시스템의 가용성, 예외 상황 처리 가용성 향상을 위한 관리 기능 구현하고, 4) 클러스터 스위칭 설정 등을 통해 서버의 분산화(Decentralization) 를 구현. 서버 이중화 구현 및 한쪽 Server shutdown 시 지속적인 서비스 지원한다.On the other hand, for the manager function, it is necessary to be implemented in AOP (Aspect Oriented Programming) method. The manager function needs to be designed and developed to manage the work on cross-cutting concerns at any point in time. The administrator function supports 1) implementation of access statistics and server monitoring function, monitoring and tuning plan for application modules running in the application loader, and 2) user convenience server configuration, context root, DB configuration information and Manage connection pool, 3) Implement process kill and memory free function for hanged process, Implement management function to improve system availability, exception situation availability, 4) Decentralization of server through cluster switching setting ). Implement server redundancy and support continuous service in case of server shutdown.

이어, 본 발명 사상을 더욱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Nex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표 1은 스마트폰 콘텐츠에 최적인 프로토콜의 일례를 보여 주고 있다. 상기 콘텐츠 유형별로 표 1과 같은 최적 프로토콜이 대응될 수 있으며, 상기 대응 정보는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2123)에 저장될 수 있다.Table 1 shows an example of an optimal protocol for smartphone content. The optimal protocol shown in Table 1 may correspond to each content type,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stored in 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ing rule information 2123.

프로토콜protocol 콘텐츠 유형Content type HTTPHTTP 텍스트, 이미지Text, image HTTPSHTTPS 보안관련 텍스트정보Security related text information VoIPVoIP 음성 정보 데이터Voice information data RTSPRTSP 비디오 및 오디오Video and audio FTPFTP 파일 데이터File data NMEANMEA GPS정보GPS information RPRRPR 복구용 데이터Recovery data WAPWAP 근거리 무선 인터넷 사용 데이터 Near field wireless data SyncMLSyncML 텍스트 및 파일Text and files

표 2는 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이다.Table 2 describes the protocols.

프로토콜protocol 설명Explanation HTTPHTTP hypertext transfer 프로토콜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SHTTPS Hypertext Transfer 프로토콜 over Secure Socket 레이어 보안 관련된 영역이 추가 되어 있는 경우If th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over Secure Sockets layer security-related zone is added VoIPVoIP Voice over Internet 프로토콜 - 인터넷 폰을 위한 통신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communication protocol for Internet phones RTSPRTSP 비디오 오디오와 같은 연속된 스트리밍 서비스Continuous streaming services such as video audio FTPFTP file Transfer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 NMEANMEA GPS 관련 프로토콜GPS-related protocol RPRRPR resilient packet ring 장애복구형 패킷 링 장애가 날 경우 다음 과 같이 수정을 함resilient packet ring When a failover packet ring failure occurs, the following correction is made. WAPWAP Wireless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무선인터넷 관련 데이터 송수신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ireless Internet related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SyncMLSyncML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개발형 표준 프로토콜 클라이언트 서버간 데이터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 동기화시킴Development standard protocol for data synchronization Synchronize in case of data inconsistency between the servers

본 발명의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0)의 정보 처리 방법은 도 4에 예시되어 있다. 상기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0)는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기(1000)로부터 콘텐츠 요청 정보 수신(S11)하는 경우, 요청 콘텐츠에 대한 최적 프로토콜로 제2 프로토콜 선별(S12)하고, 제2 프로토콜로 콘텐츠 맵핑(S13)한 다음, 제2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000)에 전송(S14)하는 기능을 수행한다.A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20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 When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2000 receives the content request information from the user terminal 1000 transmitted using the first protocol (S11), the second protocol is selected as an optimal protocol for the requested content (S12), After mapping the content to the second protocol (S13), the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000 using the second protocol (S14).

스마트폰이 데이터 통신 방법을 선택하고, 특정한 콘텐츠를 서버로 요청하는 경우, 상기 특정한 콘텐츠에 대한 프로토콜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는 상기 스마트폰은 해당 데이터만 요청하여 기본통신인 HTTP를 통해 요청한다. 상기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0)는 요청된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베이스 레이어(2300)를 통해 콘텐츠의 기본 Meta data를 애플리케이션 레이어(2120)에 전달한다. 애플리케이션 레이어(2120)의 프로토콜 선별 엔진(2122)은 해당 콘텐츠에 최적화된 프로토콜을 맵핑하여 해당 프로토콜로 생성하여 프로토콜 레이어(2110)를 통해 전송한다. 프로토콜 레이어(2110)는 상기 해당 데이터를 암호화 모듈로 Meta Data를 암호화하고 전체 데이터를 압축 알고리즘을 통해 암호화하여 전송한다.When the smartphone selects a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requests a specific content from the server, when a protocol for the specific content is not specified, the smartphone requests only the corresponding data and makes a request through HTTP, which is a basic communication.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2000 delivers basic metadata of the content to the application layer 2120 through the base layer 2300 to provide the requested content. The protocol selection engine 2122 of the application layer 2120 maps the protocol optimized for the corresponding content, generates the corresponding protocol, and transmits the generated protocol through the protocol layer 2110. The protocol layer 2110 encrypts the corresponding data by using an encryption module and encrypts the entire data by using a compression algorithm.

상기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2000)의 프로토콜 선별 엔진(2122)은 상기 스마트폰이 요청하는 콘텐츠의 메타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 콘텐츠 메타 정보에는 콘텐츠명, 콘텐츠 종류, 콘텐츠 사이즈, 콘텐츠 파일 확장자, 콘텐츠 사용 형태, 콘텐츠 생성일, 콘텐츠 제작자, 콘텐츠 출처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2122)은 이러한 메타 정보 중에서 콘텐츠 종류나 콘텐츠 사이즈 등을 참조하여, 상기 콘텐츠 종류의 콘텐츠를 최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최적의 프로토콜이 무엇인지를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2123)를 참조하여 선택한다. 상기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2123)의 예시로는 표 1과 같은 정보가 있을 수 있다. 즉, 비디오나 오디오 파일의 경우에는 RTSP 프로토콜이 최적 프로토콜이라는 정보가 상기 대응 규칙 정보의 일례가 된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 레이어(2120)의 프로토콜 선별 엔진은 상기 콘텐츠의 메타 정보와 상기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2123)를 참조하여 상기 스마트폰이 요청하는 콘텐츠를 전송하기 위한 최적의 프로토콜을 선별한다. 최적 프로토콜이 선별되면, 콘텐츠 랩핑 엔진(2124)이 상기 전송할 콘텐츠를 상기 선별된 프로토콜로 랩핑한다. 예를 들어,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2123)로 avi, mov 파일은 동영상 파일이며, 동영상 파일은 RTSP 프로토콜이 최적 프로토콜로 대응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콘텐츠 요청 정보 처리부(2121)가 입수한 사용자가 요청하는 콘텐츠가 ***.avi 파일인 경우,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2122)은 상기 avi 유형의 파일에 대한 최적 프로토콜 대응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상기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2123)를 참조하여, avi 유형의 파일에는 RTSP 프로토콜이 최적 프로토콜이라고 선별할 수 있다. 이어, 상기 콘텐츠 랩핑 엔진(2124)은 ***.avi 파일을 RTSP 프로토콜로 랩핑(wrapping)한다. 이때, 상기 ***.avi 파일은 본 발명의 DB부(2400)의 콘텐츠 DB(241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사상은 콘텐츠가 아닌 파일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파일은 본 발명의 파일부(2500)에 저장되어 있다.The protocol selection engine 2122 of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2000 checks meta information of content requested by the smartphone. The content meta information may include a content name, a content type, a content size, a content file extension, a content usage form, a content creation date, a content creator, a content source, and the like.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2122 refers to the content type or content size among the meta information, and refers to 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2123 to find out what is the optimal protocol for optimally delivering the content of the content type. To select. Examples of 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2123 may include information as shown in Table 1 below.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video or audio file, the information that the RTSP protocol is an optimal protocol is an example of the corresponding rule information. In this case, the protocol selection engine of the application layer 2120 selects an optimal protocol for transmitting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smartphone by referring to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ing rule information 2123. Once the optimal protocol is selected, content wrapping engine 2124 wraps the content to be sent to the selected protocol. For example, as 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2123, the avi and mov files may be video files, and the RTSP protocol may correspond to the optimal protocol. In this case, if the content requested by the content reques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21 is a ***. Avi file,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2122 includes optimal protocol correspondence information for the avi type file. With reference to 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2123, it can be selected that the RTSP protocol is the optimal protocol for the avi type file. The content wrapping engine 2124 then wraps the ***. Avi file with the RTSP protocol. In this case, the ***. Avi file may be stored in the content DB 2410 of the DB unit 2400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the inventive concept may be applied to a file other than the content, and such a file is stored in the file unit 2500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때,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2122)은 최적 프로토콜 선별 시 선별 우선 순위 정책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선별 우선 순위 정책 정보는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2123)의 한 내용일 수 있다. 상기 우선 순위의 예는 1) 사용자요청, 백그라운드서비스, 데이터동기화 등과 같은 요청 형태, 2) 콘텐츠 종류, 3) 콘텐츠 사이즈, 4) 출력프로그램 등이 될 수 있다. 요청 형태에 따라, 최적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전체적인 효율성이 급증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콘텐츠 사이즈에 따라 최적 프로토콜을 선별하여 적용하는 것이 효율성이 클 경우가 있다. 반대로, 콘텐츠의 사이즈가 작거나, 백그라운드 서비스와 같이 긴급성이나 사용자 편의성이 크지 않을 경우에는 최적이 아닌 차선의 프로토콜이나, 기본인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도 크게 문제가 없을 경우가 많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2122 may utilize screening priority policy information when screening optimal protocols. The selection priority policy information may be one piece of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2123. Examples of the priority may include 1) a request form such as a user request, a background service, and data synchronization, 2) a content type, 3) a content size, and 4) an output program. Depending on the type of request, there may be cases where the overall efficiency increases rapidly when the optimal protocol is used, and it is sometimes more efficient to select and apply the optimal protocol according to the content size. On the contrary, when the size of the content is small or the urgency or user convenience such as a background service is not large, there may be many problems even when using the suboptimal protocol or the basic http protocol.

한편, 상기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는 자신이 요청 정보를 전송하는 제1 프로토콜과는 다른 프로토콜로 콘텐츠가 전송되어 올 수 있으므로, 상기 스마트폰에는 이러한 상황에 대한 정보 처리 프로세스가 포함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요청 프로토콜과 수신 프로토콜이 다른 경우에도 원활한 통신과 콘텐츠 향유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어플(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위해서 특정한 SDK(software development kit)가 공급될 필요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정보 처리 프로세스는 제1 프로토콜이 아닌 제2 프로토콜로 수신되는 콘텐츠도 수신하고, 전송되는 전체 데이터에서 필요한 콘텐츠 데이터 부분만을 입수하는 기능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content of the user's smart phone may be transmitted in a protocol different from the first protocol for transmitting the request information, it is natural that the smart phone must include an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for such a situation. will be. To this end, even if the request protocol and the reception protocol are different, a specific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may need to be supplied to develop a smartphone application (application) that supports smooth communication and content enjoyment. The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needs to support a function of receiving content received in a second protocol rather than a first protocol, and obtaining only the necessary content data portion from the entire data transmitted.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0)의 일례로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사상은 사용자 단말기(1000)가 스마트폰이 아니라 제1 프로트콜과 제2 프로토콜이 다른 경우에도 정보 처리 가능한 임의의 쌍방향 단말기이면 충분할 것이므로, 본 발명 사상은 이러한 임의의 쌍방향 단말기에도 적용됨은 당연할 것이다. 이 때, 상기 SPAS는 그 기능에 초점을 맞춰 해석해야 하며, 그 이름에 그 기능이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SPAS가 수행하는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가 스마트폰이 아닌 스마트 TV나, 개인용 컴퓨터나 태블릿 단말기가 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일 수 있기에, 이 경우 상기 SPAS는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단말기(1000)에 부응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smartphon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user terminal 1000. However, the present inventive concept is capable of processing information even when the user terminal 1000 is different from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Since any bidirectional terminal will suffice,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to any such bidirectional terminal. At this time, the SPAS should be interpreted focusing on the function, and the function is not limited to the name. That is,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SPAS may be the same even when the user terminal 1000 is a smart TV, a personal computer or a tablet terminal instead of a smartphone. It should be interpreted in response to 1000).

본 발명은 정보 통신 산업, 스마트폰 관련 산업, 콘텐츠 산업, 통신 산업 등 IT 산업 전반에 활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tilized in the overall IT industry, such as information communication industry, smartphone related industry, content industry, communication industry.

1000 : 사용자 단말기
3000 : 유무선 네트워크
2000 :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
2100 : SPAS(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서버, Smart Phone Application Server)
2110 : 프로토콜 레이어
2120 : 애플리케이션 레이어
2121 : 콘텐츠 요청 정보 처리부
2122 : 프로토콜 선별 엔진
2123 :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
2124 : 콘텐츠 맵핑 엔진
2130 : 베이스 레이어
2200 : J2EE
2300 : 운영체제 레이어
2400 : DB부
2410 : 콘텐츠 DB
2420 : 기타 DB
2500 : 파일부
1000: user terminal
3000: wired and wireless network
2000: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sion System
2100: SPAS (Smart Phone Application Server)
2110: protocol layer
2120: Application Layer
2121: content reques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2122: Protocol Screening Engine
2123: Content Protocol Response Rule Information
2124: Content Mapping Engine
2130: base layer
2200: J2EE
2300: operating system layer
2400: DB part
2410: Content DB
2420: other DB
2500: pile

Claims (10)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이,
(A)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콘텐츠 요청 정보를 입수 받는 단계;
(B) 상기 콘텐츠에 대한 최적 프로토콜로 제2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단계;
(C) 상기 제2 프로토콜로 상기 콘텐츠를 랩핑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2 프로토콜로 랩핑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In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A) receiving content request information using a first protocol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B) selecting a second protocol as an optimal protocol for the content;
(C) wrapping the content with the second protocol; And
(D) transmitting the content wrapped in the second protocol to the user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로토콜과 제2 프로토콜은 서로 다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And the first protocol and the second protocol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최적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단계는 상기 콘텐츠의 상기 요청 정보를 입수 받은 콘텐츠의 메타 정보를 이용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selecting the optimal protocol of step (B) is th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o use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received the request information of the conten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최적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단계는 선별 우선 순위 정책 정보를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선별 우선 순위 정책 정보는 콘텐츠 요청 형태, 콘텐츠 종류, 콘텐츠 사이즈 및 출력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결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of selecting the optimal protocol of step (B) is to use the screening priority policy information,
And the selection priority policy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at least one of a content request type, a content type, a content size, and an output progra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인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의 정보 처리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a smart phon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of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콘텐츠에 따른 최적 프로토콜을 선별하여, 선별된 최적 프로토콜로 콘텐츠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콘텐츠 요청 정보를 입수 받고, 요청 정보를 입수 받은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요청 정보 처리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최적 프로토콜로 제2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프로토콜 선별 엔진; 및
상기 제2 프로토콜로 상기 콘텐츠를 랩핑하는 콘텐츠 랩핑 엔진;을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요청 정보 처리부는 상기 제2 프로토콜로 랩핑된 상기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 처리 요청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
In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for selecting the optimal protocol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performing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content in the selected optimal protocol, the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is
A content reques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hich receives content request information using the first protocol from at least one user terminal and provides the content which received the request information;
A protocol selection engine that selects a second protocol as an optimal protocol for the content; And
And a content wrapping engine that wraps the content with the second protocol.
And the content request information processing unit requests the user terminal to process the content wrapped in the second protocol.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은 상기 콘텐츠에 대한 최적 프로토콜을 선별하기 위하여,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를 사용하는 것인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otocol selection engine is an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using 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to select the optimal protocol for the content.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이 사용하는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는 상기 콘텐츠의 메타 정보인 것이며,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은 상기 콘텐츠의 상기 요청 정보를 입수 받은 콘텐츠의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메타 정보로 상기 제2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used by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is me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uses the meta information of the content which has received the request information of the content, and the second information as the meta information. Optimal protocol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selecting a protoco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이 사용하는 콘텐츠 프로토콜 대응 규칙 정보는 선별 우선 순위 정책 정보인 것이며,상기 프로토콜 선별 엔진은 선별 우선 순위 정책을 사용하여 상기 제2 프로토콜을 선별하는 것이며,
상기 선별 우선 순위 정책 정보는 콘텐츠 요청 형태, 콘텐츠 종류, 콘텐츠 사이즈 및 출력 프로그램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결정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content protocol correspondence rule information used by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is screening priority policy information, and the protocol screening engine selects the second protocol using a screening priority policy.
The selection priority policy information is determined by one or more of a content request type, a content type, a content size, and an output progra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 프로토콜 콘텐츠 제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user terminal is a smart phone content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martphone.
KR1020100139746A 2010-12-31 2010-12-31 Method and System on Contents Delivering Using Contents Optimized Protocol KR1017130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746A KR101713012B1 (en) 2010-12-31 2010-12-31 Method and System on Contents Delivering Using Contents Optimized Protoco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746A KR101713012B1 (en) 2010-12-31 2010-12-31 Method and System on Contents Delivering Using Contents Optimized Protoc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687A true KR20120077687A (en) 2012-07-10
KR101713012B1 KR101713012B1 (en) 2017-03-08

Family

ID=4671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746A KR101713012B1 (en) 2010-12-31 2010-12-31 Method and System on Contents Delivering Using Contents Optimized Protoco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301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405A (en) * 2001-05-29 2004-05-12 바디1, 인크. Methods, systems, and software for automated growth of intelligent on-line communities
JP2004252884A (en) * 2003-02-21 2004-09-09 Ntt Docomo Inc Content delivery conversion device and content delivery conversion method
KR20050106393A (en) * 2002-12-27 2005-11-09 닐슨 미디어 리서치 인코퍼레이티드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metadata
JP2009246997A (en) * 2001-12-21 2009-10-22 Orang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Ltd Call process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405A (en) * 2001-05-29 2004-05-12 바디1, 인크. Methods, systems, and software for automated growth of intelligent on-line communities
JP2009246997A (en) * 2001-12-21 2009-10-22 Orange 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Ltd Call processing in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s
KR20050106393A (en) * 2002-12-27 2005-11-09 닐슨 미디어 리서치 인코퍼레이티드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coding metadata
JP2004252884A (en) * 2003-02-21 2004-09-09 Ntt Docomo Inc Content delivery conversion device and content delivery convers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3012B1 (en)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32196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multiple applications
CN108055248A (en) Remote invocation method, server and storage medium based on dubbo frames
CN103200212B (en) A kind of method and system realizing distributed conversation under cloud computing environment
US8117297B2 (en) System and method of device-to-server registration
US20080147671A1 (en) System for Running Web Applications Offline and Providing Access to Native Services
US20140280859A1 (en) Sharing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network resources download information
US20130125251A1 (en) Mobile Device Peripherals Management System and Multi-Data Stream Technology (MdS)
US20110282940A1 (en) Cloud-based web workers and storages
US94560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connector being able to adapt to newer features introduced to a messaging provider with only configuration changes
JP2010517156A (en) How to load software in mobile and desktop environments
WO2015062399A1 (en) Cloud service platform middleware and cloud uploading method
CA2969141C (en)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a for dynamic service deployment and methods and systems for utilizing same
CN104486388A (en) Accessing method and device of cloud storage file
CN115426391A (en) Remote procedure call protocol self-adaption method, related device and server
WO2016041322A1 (en) Method of forwarding in-application traffic on smart mobile terminal
US20130124693A1 (en) System, method, and device for executing a composite service
US8774599B2 (en) Method for transcoding and playing back video files based on grid technology in devices having limited computing power
CN111475761A (en) Client, server and content sharing control method
KR101713012B1 (en) Method and System on Contents Delivering Using Contents Optimized Protocol
CN103440134A (en) Webkit kernel-based storage resource service local extension method
CN104683419A (en) Communicat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android system and m2m (machine to machine)
CN110568996A (en) Local storage capacity expansion system based on device driver
RU2673018C2 (en) Systems and methods of managing communication endpoints
CN107948232A (en) Implementation method, data transmiss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are acted on behalf of based on Hook API
US10349115B2 (en) Multimedia cont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displaying remotely hosted con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