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7436A - Intelligent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rfid - Google Patents

Intelligent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rfi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7436A
KR20120077436A KR1020100139382A KR20100139382A KR20120077436A KR 20120077436 A KR20120077436 A KR 20120077436A KR 1020100139382 A KR1020100139382 A KR 1020100139382A KR 20100139382 A KR20100139382 A KR 20100139382A KR 20120077436 A KR20120077436 A KR 20120077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gnition
unit
human body
wireless
access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93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72628B1 (en
Inventor
박찬호
Original Assignee
(주)유토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토닉스 filed Critical (주)유토닉스
Priority to KR102010013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2628B1/en
Publication of KR20120077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74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6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Abstract

PURPOSE: An intelligent access managing system which uses a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s provided to recognize the passing of an access gate without any special action of an accessor, thereby automatically performing access management. CONSTITUTION: The first receiving unit(20A) receives an RF signal from an RFID unit in the first recognition domain. The second receiving unit(20B) receives a wireless signal from an RFID unit in the second recognition domain placed after the first recognition domain. A system control unit(30) calculates the number of passing people through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sent with an RF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unit and performs access authentic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of information sent with RF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receiving unit. The system control unit records the management of diligence and laziness based on the number of the people and the access authentication.

Description

무선인식을 이용한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INTELLIGENT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RFID}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INTELLIGENT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RFID}

본 발명은 출입 관리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무선인식기술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ccess manag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최근에는 RFID 기술을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이를테면 인적사항 등 인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RFID 카드 또는 태그를 소지하고 이를 무선으로 인식/인증하여 출입 통제와 근태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Recently, many access management systems using RFID technology have been applied. For example, it possesses an RFID card or tag that stores data necessary for authentication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and wirelessly recognizes / authenticates it to perform access control and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RFID는 비접촉 인식이 가능한 무선 인식 기술이기 때문에 출입통제와 근태관리 등 출입관리시스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RFID 기술을 이용하는 출입관리 시스템에서는 게이트에 리더기를 설치하고 RFID 태그를 휴대한 출입자가 게이트를 통과하는 것으로 인증과 통제가 가능하다.Since RFID is a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capable of contactless recognition, it can be usefully used for access control systems such as access control and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In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RFID technology, a reader is installed in the gate and an accessor carrying an RFID tag can be authenticated and controlled.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RFID 기술을 이용한 출입관리 시스템은 자동인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용이 확대되고 있지만 반면에 여러 가지 문제점 또한 노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인원이 게이트를 통과할 때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사람이 섞여서 통과하거나 한 사람이 여러 개의 태그를 휴대하여 게이트를 통과할 경우 이를 제대로 식별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종종 발생한다.However, although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existing RFID technology is being expanded in that it can be automatically recognized, various problems are also exposed. For example, when a large number of people pass through a gate, a person who does not have a tag passes through a mixture of people, or a person carries a plurality of tags to pass through the gate, which often causes a problem of not properly identifying them.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기존 기술로서 한국특허 제10-0943757호가 개시된 바 있다. 이는 RF리더기 외에 적외선센서를 더 설치하여 RF리더기의 인식 수와 적외선센서의 인식 수를 비교함으로써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출입자를 색출/통제하는 기술이다.Korean Patent No. 10-0943757 has been disclosed as an existing technology to supplement this problem. In addition to the RF reader, an infrared sensor is installed to compare the number of recognition of the RF reader with that of the infrared sensor.

그러나 이 특허기술은 매우 단순한 방식으로 다양한 조건에 상황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애로가 있다. 실제 현장에서는 갖가지 돌발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어느 출입자는 게이트를 통과하는 도중에 적외선센서 또는 RF리더기 하나 에서만 인식된 후 되돌아 나가는 경우에 에러가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가 실제 빈번하게 발생되며 이를 바로잡기 위해서는 해당 게이트의 통과를 중지시키고 수작업으로 데이터를 정리하고 있다.However, this patented technology is very difficult to apply to the situation under various conditions in a very simple manner. This is because various accidents occur in the actual site. For example, an error occurs when a person passes through a gate and is recognized by only one infrared sensor or RF reader and then returns. This happens frequently, and in order to correct it, we have to stop the passage of the gate and clean up the data manually.

또한 이 특허기술은 단순히 태그를 소지하지 않은 출입자를 통제하는 데에만 적용된다는 단점이 있다. 한 명의 출입자가 다수의 태그를 소지하고 게이트를 통과할 경우 나아가 태그 미소지자와 2개 이상을 소지한 자가 섞여서 게이트를 통과할 경우에 이를 식별하여 통제할 수 있는 대처 방안이 없고 그에 대하여 제시하지 않고 있다.In addition, the patented technology has a drawback that it is applied only to controlling a person who does not have a tag. If a single person carries multiple tags and passes through the gate, there is no countermeasure that can be identified and controlled in case of passing through the gate by mixing a tag micro holder and two or more persons. have.

특히, 건설현장, 중공업 분야 작업장과 같이 작업자의 인원수 체크가 필수적인 분야에서는 대리 출근과 같은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들 분야에서는 작업자의 임금이 비용에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며, 이를 정확하게 관리하지 못하는 경우 실제로 일한 작업자의 수에 비해 과당청구가 발생하기 쉽다. 이 경우 비용적인 손해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공정계획까지 차질을 빗게 되어 결과적으로 이중의 손실이 입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field where the check of the number of workers is essential, such as construction site and heavy industry workplace, it is most important to prevent cheating such as proxy work. In these sectors, workers' wages represent a significant part of the cost, and if they are not managed correctly, fraudulent claims are more likely to occur than the number of workers actually working. This not only leads to costly damage, but also disrupts process planning, resulting in double losses.

따라서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서 보다 정밀하게 출입자의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there is a demand for a system that can more accurately manage accessors in various situations and conditions.

본 발명은 무선인식을 이용함으로써 출입자의 특별한 인식행위 없이 자동으로 출입인증이 이루어지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n which access authentic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without using a user's special recognition by using wireless recognition.

본 발명은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at can be recogniz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본 발명은 권한 없는 사람의 출입은 물론 대리 인증까지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preventing unauthorized access as well as proxy authentication.

본 발명은 출입자가 휴대하는 무선인식유닛의 인식을 통해 출입관리를 수행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 시스템은: 제1인식영역 내에 있는 무선인식유닛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장치부; 상기 제1인식영역 이후에 배치되는 제2인식영역 내에 있는 무선인식유닛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장치부; 및 제1수신장치부가 수신한 무선신호와 함께 전달되는 ID정보의 인식을 통해 통과한 인원수를 산출하고, 제2수신장치부가 수신한 무선신호와 함께 전달되는 ID정보의 인식을 통해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that performs access management by recognizing a wireless recognition unit carried by an accessor, the system comprising: a first reception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a wireless recognition unit in a first recognition area; Device section; A second receiving device unit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a wireless recognition unit in a second recognition area disposed after the first recognition area; And calculating the number of person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ID information delivered with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device, and performing the access authentication by recognizing the ID information delivered with the wireless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receiving device. It includes; a system control unit.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인원수와 상기 출입인증 기반으로 출입통제 및 근태관리를 위한 기록을 수행한다.The system control unit records the access control and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persons and the access authentication.

상기 제1수신장치부와 상기 제2수신장치부에 각각 포함되어 구비되거나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제1활성부와 제2활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활성부와 상기 제2활성부 각각은 상기 제1인식영역과 상기 제2인식영역 내의 무선인식유닛을 웨이크업시킨다.Further comprising a first active portion and a second active portion included in or provided separately from each of the first receiving device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device portion, wherein each of the first active portion and the second active portion is the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in the first recognition area and the second recognition area is woken up.

상기 무선인식유닛은 웨이크업 상태에서 저장하고 있던 정보와 웨이크업을 위해 수신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한다.The radio recognition unit transmits a radio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wake up state and information received for wake up.

상기 제1 및 제2인식영역 각각의 전후에 통과하는 인체를 감지하도록 전방인체감지 센서부 및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인식영역 각각에서 상기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를 통과한 수를 가산하고 상기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를 통과한 수를 감산한 수와 상기 제1 및 제2인식영역 내에서 인식되는 무선인식유닛의 수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에러로 판단한다.A front human body sensor and a rear human body sensor to detect a human body passing before and aft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and the system controller detects the front human body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If the number passed through the sensor unit and the number passed through the rear human body sensor unit are not equal to the number of wireless recognition units recognized in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it is determined as an error.

상기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와 상기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는 통과하는 인체의 방향성을 감지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front human body sensor unit and the rear human body sensor unit may include at least two or more sensors to detect the direction of the human body passing through.

상기 제1 및 제2인식영역 내 상기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와 상기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1활성부와 상기 제2활성부의 웨이크업 신호의 송출개시를 위한 웨이크업용 센서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웨이크업용 센서가 인체를 감지할 때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한다. Wake-up sensors are provided between the front human body sensor part and the rear human body sensor part in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for starting the transmission of the wake-up signal of the first active part and the second active part. When the wakeup sensor detects a human body, the wakeup signal transmits the wakeup signal.

본 발명은 출입자가 특별한 행위 없이 출입게이트를 통과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인식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출입관리 시스템은 정확한 출입인증은 물론 출입자의 수를 산출한다. 또한 근태관리를 위한 근거자료로 제공될 수 있으며, 무선인식유닛의 대리휴대와 같은 부정행위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2차에 걸쳐서 인식을 행하기 때문에 2가지 인식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부분적인 에러와 상관없이 상대적으로 신속하게 출입자를 통과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다수의 인원을 일시에 통과시키면서도 정확한 근태관리가 필요한 공사현장과 같은 작업장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that is automatically recognized by the person passing through the access gate without any special action. This access management system calculates the number of accessors as well as accurate access authentication. In addition, it can be provided as evidence for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and it can prevent fraudulent acts such as surrogate carrying of radio recognition unit. 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recognition over two steps, the two recognition data can be compared and corrected, so that a person can be passed relatively quickly regardless of partial errors. In this regard,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rticularly suitable for workplaces such as construction sites that require accurate time and attendance while passing a large number of personnel at a tim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이 출입게이트에 설치된 형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a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평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무선인식유닛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무선수신장치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의 동작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is a view showing the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a wireless recogn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the access gate, Figure 2a is a side view and Figure 2b is a plan view.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wireless recognition unit employed in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wireless receiving apparatus employed in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and 5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flow of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먼저 간략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은 출입인증을 통해 권한 없는 자가 출입게이트를 통과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출입인원수를 파악하여 정확한 근태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무선인식기술을 이용하는 출입인증 시스템들은 단순히 출입자의 권한 여부만을 체크하는 방식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시스템들은 많은 인원이 출입하게 되는 공사현장, 조선소, 탄광, 지하철 공사현장, 제철소와 같은 출입인증과 더불어 근태관리까지 하여야 하는 작업장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이를테면 이러한 작업장 등에서는 한 사람의 작업자가 두 개 이상의 인식유닛을 부정으로 휴대하여 소위 대리출근을 행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부정행위를 막을 수 있고, 또한 출입게이트에서 작업자들의 신속한 통과가 이루어질 수 있는 시스템은 제공한다. 이는 비접촉 무선인식기술과 2중 인식시스템을 채용함으로써 가능하다.Briefly, the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ystem that not only prevents unauthorized persons from passing through the access gate through access authentication, but also enables accurat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by identifying the number of access persons. . The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using the existing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is a majority of the way to simply check the authority of the accessor. However, these existing systems are not suitable for workplaces that require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such as construction sites, shipyards, coal mines, subway construction sites, and steel mills where many people enter and exit. For example, in such a workplace, a worker may carry two or more recognition units in an unjust manner and carry out so-called proxy work.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ystem that can prevent such misconduct and also allows the rapid passage of workers at the entrance gate. This is possible by employing a contactless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and a dual recognition system.

도 1,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의 출입관리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이 출입게이트에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2a, and 2b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block diagram of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and 2b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the wireless recogn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pplied to the access gate.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출입자가 휴대하는 무선인식유닛의 인식을 통해 출입관리를 수행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으로서, 제1수신장치부(20A), 제2수신장치부(20B), 및 시스템제어부(3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for performing the access management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carried by the person, the first receiving device 20A, the second receiving device 20B, and the system The control unit 30 is included.

제1수신장치부(20A)와 제2수신장치부(20B)는 각각 제1인식영역(A)과 제2인식영역(B)를 가진다. 이러한 제1 및 제2인식영역(A 및 B)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제1 및 제2수신장치부(20A, 20B)의 웨이크업 신호의 전파 범위에 해당한다.The first receiving device portion 20A and the second receiving device portion 20B have a first recognition area A and a second recognition area B,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A and B correspond to the propagation ranges of the wake-up signals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device units 20A and 20B, as will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에서는 제1수신장치부(20A)와 제2수신장치부(20B)가 각각 제1인식영역(A)과 제2인식영역(B) 내의 출입자가 휴대한 무선인식유닛(10)으로부터 무선신호를 수신한다. 여기서 수신되는 무선인식유닛(10)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신호는 각 무선인식유닛(10)이 저장하는 정보 외에 각 제1 및 제2 수신장치부(20A, 20B)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ceiver 20A and the second receiver 20B are carried by the person in the first recognition area A and the second recognition area B, respectively. A radio signal is received from the radio recognition unit 10. The radio signal received from the radio recognition unit 10 may include information received from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 20A and 20B in addition to the information stored by each radio recognition unit 10. .

시스템제어부(30)는 제1수신장치부(20A)와 제2수신장치부(20B)로부터 수신한 제1수신장치부(20A)의 정보와 무선인식유닛(10)의 정보, 제2수신장치부(20B)의 정보와 무선인식유닛(10)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이용하여 출입 인원수를 산출하고 출입인증을 수행한다.The system control unit 30 receives information of the first receiving device unit 20A received from the first receiving device unit 20A and the second receiving device unit 20B, the information of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and the second receiving device. Using the radio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of the unit 20B and the information of the radio recognition unit 10 to calculate the number of access persons and performs the access authentication.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은 제1수신장치부(20A)의 인식을 통해 출입인원수를 산출하고 나서, 제2수신장치부(20B)의 인식을 통해 출입인증을 수행하며, 이들을 기반으로 하여 근태관리에 필요한 기록을 행한다.Preferably, the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number of access persons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first receiving apparatus unit 20A, and then performs the access authentication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second receiving apparatus unit 20B, and based on these, Record the time and attendance required.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채용되는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먼저 무선인식유닛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출입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무선인식유닛의 일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First,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will be described. 3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wireless recognition unit employed in the acces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 적용되는 무선인식유닛(10)은 태그, 카드, 디바이스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출입자가 신분증으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작업장 내에서 위치추적과 안전관리 등에 이용될 수 있는 요소이다. 무선인식유닛(10)은 기본적으로 제어부(110)와, 무선통신모듈(120), 메모리(130), 센서부(140) 및 전원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무선인식유닛(10)은 사용자인터페이스(160), 표시부(170), 알람부(180), 비상호출버튼(19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appli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tag, a card, a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used as an identification card by an accessor and may be used for location tracking and safety management in the workplace. .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basically includes a control unit 110,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a memory 130, a sensor unit 140, and a power supply unit 150.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terface 160, a display unit 170, an alarm unit 180, an emergency call button 190, and the like.

무선통신모듈(120)은 무선인식유닛(10)이 무선수신장치(2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다. 메모리(130)는 작업자(휴대자)의 정보 등을 저장한다. 센서부(140)는 착용자의 위험 등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20 is an element necessary for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wireless receiving device 20. The memory 130 stores information of a worker (carrier) and the like. The sensor unit 140 may include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a wearer's danger.

이와 같은 무선인식유닛(10)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출입게이트(100)를 통과할 때에 제1활성부와 제2활성부로부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여 활성될 때 저장하고 있는 정보를 제1수신장치부(20A)의 제1활성부의 정보 혹은 제2수신장치부(20B)의 제2활성부의 정보를 포함하여 무선신호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인식유닛(10)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신호를 제1 또는 제2수신장치부(20A 또는 20B)가 구별하여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 있다.As described later,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receives a wake-up signal from the first active part and the second active part when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gate 100, and stores the information stored when activated. Information of the first active part of the part 20A or information of the second active part of the second receiving device part 20B may be transmitted as a radio signal. Therefore, the radio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adio recognition unit 10 may be selectively received by the first or second receiver 20A or 20B.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에 채용되는 무선수신장치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무선수신장치는 출입자가 휴대하는 무선인식유닛(10)과 무선통신을 통하여 인식을 행하는 장치이다.4 shows a wireless receiving apparatus employed in a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dio receiver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n apparatus for performing recognition through radio communication with the radio recognition unit 10 carried by an accessor.

본 실시예에서는 무선수신장치가 제1수신장치부(20A)와 제2수신장치부(20B)로 설치된다. 제1 및 제2수신장치부(20A, 20B)는 각각 제어부(21), 센서부(22), 무선통신모듈(23), 태그인식부(24), 메모리(25), 경광부(26), 및 외부통신부(27)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wireless receiving device is provided with the first receiving device portion 20A and the second receiving device portion 20B.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device units 20A and 20B respectively include a control unit 21, a sensor unit 22,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 a tag recognition unit 24, a memory 25, and a warning unit 26. , And an external communication unit 27.

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수신장치부(20A, 20B)는 각각 무선통신모듈(23)에 제1활성부와 제2활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각각 출입자가 휴대하는 무선인식유닛(10)을 웨이크업시키는 무선신호를 송출함으로써 제1인식영역(A)과 제2인식영역(B)을 형성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활성부가 제1 및 제2수신장치부(20A, 20B)에 각기 포함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들을 별도의 요소로서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무선통신모듈(23)은 제1 및 제2활성부를 통해 제1 및 제2인식영역(A, B) 내의 무선인식유닛(10)을 예를 들어, 125KHz와 같은 저주파수로 활성시킨다. 활성된 무선인식유닛(10)이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고주파수 예를 들어 2.4GHz로 송출하면 무선통신모듈(23)은 이를 수신한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device units 20A and 20B may respectively include a first active part and a second active part in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 Each of them forms a first recognition area A and a second recognition area B by transmitting a radio signal for waking up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carried by the pers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active parts are included in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device parts 20A and 20B, respectively, but these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elements.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3 activates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in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A and B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active parts at a low frequency, for example, 125 KHz. When the activated radio recognition unit 10 transmits a radio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t a high frequency, for example, 2.4 GHz, the radio communication module 23 receives it.

무선인식유닛(10)으로부터 수신된 정보는 제어부(21)의 제어 하에 태그인식부(24)에서 인식된다. 정상 인식이 될 경우에 제어부(21)는 인식정보, 예를 들어 무선인식유닛(10)으로부터의 정보와 수신장치 자신의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외부통신부(27)를 통해 시스템제어부(30)로 전송한다. 물론, 태그인식부(24)는 제1 및 제2수신장치부(20A, 20B)에 구비되지 않고 시스템제어부(30)에 구비되어 인식동작을 시스템제어부(3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is recognized by the tag recognition unit 2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1. In the case of the normal recognition, the control unit 21 transmits the radio signal including the recognition information, for example, information from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and information of the reception device itself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27 through the system control unit 30. To send. Of course, the tag recognition unit 24 may be provided in the system control unit 30 instead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device units 20A and 20B to perform the recognition operation in the system control unit 30.

경광부(26)는 에러동작 시에 에러 시그널을 알람하는 장치이고, 메모리(25)는 제1 및 제2수신장치부(20B)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과 자체 정보 등을 저장하는데 이용되는 요소이다.The warning part 26 is an apparatus that alarms an error signal during an error operation, and the memory 25 is an element used to store a program and its own inform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device units 20B. .

제1 및 제2수신장치부(20A, 20B)에 각각 포함되는 센서부(22)는 다수개의 센서 또는 센서군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예컨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이다. 이들 센서는 본 실시예에서 정확한 인식 수와 부정행위를 방지하는 데 이용되고, 또한 제1 및 제2활성부의 웨이크업 신호 송출 개시를 위한 감지를 수행한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여 센서부(22)의 구성과 동작에 대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The sensor unit 22 included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device units 20A and 20B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nsors or sensor groups, for example, a human body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a human body. These sensors are used in this embodiment to prevent accurate recognition numbers and cheating, and also perform detection for initiating wake-up signal transmission of the first and second active portions.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ensor unit 22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제1 및 제2수신장치부(20A, 20B)의 센서부(2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S1, S2, S6, S7)와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S4, S5, S9, S10)을 포함한다. 제1수신장치부(20A)의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S1, S2)와 제2수신장치부(20B)의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S6, S7)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통과자의 통과를 감지함과 동시에 통과자의 이동방향을 체크한다. 따라서 통과자가 정상적으로 진행을 할 경우에는 정상 처리가 되지만, 다시 되돌아 나오거나 할 경우에는 에러 신호를 발생한다. 이 경우 설정에 따라 시스템제어부(30) 또는 해당 수신장치부(20A 또는 20B)의 제어부(21)는 경광부(26)를 통해 에러를 알람한다. 마찬가지로 제1수신장치부(20A)의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S4, S5)와 제2수신장치부(20B)의 후방 인체감지 센서(S9, S10)가 바람직하게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통과자의 통과를 감지함과 동시에 통과자의 이동방향을 체크한다. 통과자가 정상적으로 진행하지 않을 경우에 시스템제어부(30) 또는 제2수신장치부(20B)의 제어부(21)는 경광부(26)를 통해 에러를 알람한다.The sensor part 22 of the 1st and 2nd receiving device parts 20A and 20B is the front human body sensor part S1, S2, S6, S7 and the rear human body sensor part S4, S5, S9 as shown in figure. , S10). Preferably, at least two or more front human body sensor units S1 and S2 of the first receiver unit 20A and the front human body sensor units S6 and S7 of the second receiver unit 20B are provided. It detects the passing of the passer and check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sserby. Therefore, if the passer proceeds normally, the processing is normal, but if it passes back, an error signal is generated. In this case, according to the setting, the control unit 21 of the system control unit 30 or the receiving device unit 20A or 20B alarms the error through the warning unit 26. Similarly, at least two or more rear human body sensor sensors S4 and S5 of the first receiver 20A and the rear human body sensor S9 and S10 of the second receiver 20B are preferably provided. It detects the passing of and check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asser-by. If the passerby does not proceed normally, the control unit 21 of the system control unit 30 or the second receiving unit unit 20B alarms the error through the warning unit 26.

시스템제어부(30)는 제1수신장치부(20A)의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S1, S2)를 통과한 인원수를 가산하고 다시 제1수신장치부(20A)의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S4, S5)를 통과한 인원수를 감산하여 인식중인 인원수를 계산한다. 그런 후 시스템제어부(30)는 현재 제1인식영역(A) 내에서 인식중인 인식유닛 수와 인식중인 인원수를 비교한다. 이들이 같을 경우에는 정상처리하여 계속적으로 가산함으로써 전체 출입자 인원수를 산출한다.The system control unit 30 adds the number of person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ront human body sensor units S1 and S2 of the first receiver unit 20A, and again the rear human body sensor unit S4 and the first receiver unit 20A. The number of people recognized is subtracted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people who have passed S5). Thereafter, the system controller 30 compares the number of recognition units currently recognized and the number of persons currently recognized in the first recognition area A. FIG. If they are the same, the total number of visitors is calculated by normal addition and continuous addition.

제2수신장치부(20B)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시스템제어부(30)는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S6, S7)를 통과한 인원수를 가산하고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S9, S10)를 통과한 인원수를 감산한 후 인식중인 인원수를 계산하고 그와 현재 제2인식영역(B) 내에서 인식중인 인식유닛 수를 비교한다. 같을 경우에는 정상처리하여 현재 인식중인 무선인식유닛(10)에 대하여 출입인증을 행한다.Similarly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ceiving device unit 20B, the system control unit 30 adds the number of persons that have passed through the front human body sensor units S6 and S7, and counts the number of persons who have passed through the rear human body sensor units S9 and S10. After subtracting, the number of people being recognized is calculated, and the number of recognition units currently recognized in the second recognition area B is compared. In the same case, access authentication is performed for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currently recognized by normal processing.

또한, 시스템제어부(30)는 최종적으로 제1수신장치부(20A)에서 정상적으로 인식된 무선인식유닛의 수와 제2수신장치부(20B)에서 정상적으로 인식된 무선인식유닛의 수가 동일한지를 체크할 것이다.Also, the system controller 30 will finally check whether the number of wireless recognition units normally recognized by the first receiving device unit 20A and the number of wireless recognition units normally recognized by the second receiving device unit 20B are the same. .

위에서도 잠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수신장치부(20A)와 제2수신장치부(20B)의 각 센서부(22)는 웨이크업용 센서(S3, S8)를 구비한다. 웨이크업용 센서(S3, S8)는 인체의 통과를 감지한다. 감지신호가 발생되면 제1 및 제2수신장치부(20A, 20B)의 제어부(21)는 무선인식유닛(10)을 활성시키기 위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한다. 웨이크업 신호는 예컨대 저주파수의 무선신호일 수 있다. 이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무선인식유닛(10)은 웨이크업 신호를 검출하여 활성되고 활성된 상태에서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게 된다. 여기서 송출되는 웨이크업 신호의 전파 범위가 제1 및 제2인식영역(A, B)가 될 수 있다. 이는 무선인식유닛(10)의 전원관리와 관련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채용하는 이러한 방식 외에 다른 웨이크업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하여야 한다.As briefly described above, each sensor unit 22 of the first receiving unit 20A and the second receiving unit 20B includes wake-up sensors S3 and S8. Wake-up sensors (S3, S8) detect the passage of the human body. When the detection signal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21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device units 20A and 20B transmits a wake-up signal for activating the radio recognition unit 10. The wakeup signal may be, for example, a low frequency radio signal.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receiving the wakeup signal detects the wakeup signal and transmits a radio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in an activated and activated state. Herein, the propagation range of the wake-up signal transmitted may be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A and B. This is related to the power management of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it should be noted that other wake-up method may be applied in addition to this method employed in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에서는 도 5a 및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의 동작의 흐름을 설명한다. 도 5a는 제1수신장치부(20A)와 시스템제어부(30)의 동작을 보여주고, 도 5b는 제2수신장치부(20B)와 시스템제어부의 동작을 보여준다.Hereinafter, the flow of operation of the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s 5a and 5b. FIG. 5A shows the operation of the first receiving device unit 20A and the system control unit 30, and FIG. 5B shows the operation of the second receiving device unit 20B and the system control unit.

먼저 도 5a를 참조하여, 예를 들어 작업자와 같은 무선인식유닛(10)을 휴대 또는 착용한 출입자가 본 실시예의 시스템이 설치된 출입게이트(100)로 진입하면 먼저 제1수신장치부(20A)의 제1인식영역(A)의 앞에 설치된 전방 인체감지 센서(S1, S2)가 순차적으로 감지를 하게 된다. 그러면, 그 감지신호는 제어부(21)의 제어 하에 외부통신부(27)를 통해 시스템제어부(30)로 전송된다(단계 101).First, referring to FIG. 5A, when a person carrying or wearing a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such as an operator enters the entrance gate 100 in which the system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the first receiver 20A The front human body detecting sensors S1 and S2 installed in front of the first recognition area A are sequentially detected. Then, the detec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controller 30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unit 27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1 (step 101).

감지신호를 수신한 시스템제어부(30)는 인식중인 인원수에 그를 가산한다(단계 301).Upon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the system controller 30 adds it to the number of persons being recognized (step 301).

다시 그 출입자가 계속 앞으로 걸어가서 웨이크업용 센서(S3)를 통과하면 이를 감지한 웨이크업용 센서(S3)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1수신장치부(20A)의 제1활성부(본 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모듈(23)에 포함됨)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한다(단계 102).When the person walks forward again and passes through the wake-up sensor S3, the first active part of the first receiving unit 20A (in this embodiment, wirelessly) according to the detected signal of the wake-up sensor S3. The communication module 23 transmits a wake-up signal (step 102).

단계 102에서 송출된 웨이크업 신호에 의해 활성된 출입자의 무선인식유닛(10)은 정보를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이를 제1수신장치부(20A)가 수신하여 인식동작을 수행한다(단계 103). 그리고 인식동작의 결과를 시스템제어부(30)로 전송한다.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of the person who is activated by the wake-up signal transmitted in step 102 transmits a radio signal including information, and the first receiving device 20A receives this to perform a recognition operation (step 103). Then, the result of the recognition operation is transmitted to the system controller 30.

시스템제어부(30)는 제1수신장치부(20A)로부터 정상인식된 인식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인식중인 인원수에 가산한다(단계 302). 여기서의 인식중인 인원수란 제1인식영역(A) 내에 있는 출입자수를 의미한다.When the system controller 30 receives the recognized recognition information from the first receiver 20A, the system controller 30 adds it to the number of persons being recognized (step 302). The number of persons being recognized here means the number of persons in the first recognition area A. FIG.

이어, 그 출입자가 계속 걸어가면 제1수신장치부(20A)의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S4, S5)에 의해 감지되며, 제1수신장치부(20A)는 감지신호를 시스템제어부(30)로 전송한다(단계 104).Subsequently, if the person continues to walk, it is detected by the rear human body sensor parts S4 and S5 of the first receiver 20A, and the first receiver 20A sends the detection signal to the system controller 30. Transmit (step 104).

단계 104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시스템제어부(30)는 그 수를 인식중인 인원수에서 감산한다(단계 303).Upon receiving the detection signal of step 104, the system controller 30 subtracts the number from the number of people being recognized (step 303).

이어 시스템제어부(30)는 인식중인 인원수와 인식중인 유닛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304). 제1인식영역(A)에서 인식중인 인원수와 인식중인 유닛수가 다를 경우에 에러신호를 발생한다. 에러신호는 예를 들어, 제1수신장치부(20A)의 경광부(26)(전방측)를 통해 알람동작을 수행할 것이다.The system controller 30 then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of people being recognized and the number of units being recognized are the same (step 304). An error signal is generated when the number of people being recognized and the number of units being recognized in the first recognition area A are different. The error signal may perform an alarm operation through, for example, the light receiving portion 26 (front side) of the first receiving device portion 20A.

정상처리가 된 경우에는 시스템제어부(30)는 단계 305에서 총인식수를 산출하게 된다. 총인식수는 총 출입자수와 같을 것이며, 총인식수의 산출은 계속 가산하여 나가는 방식으로 계속될 것이다.In the case of normal processing, the system controller 30 calculates the total recognition number in step 305. The total count will be equal to the total number of visitors, and the calculation of the total count will continue to add up.

이어 그 출입자는 계속하여 제2수신장치부(20B)의 제2인식영역(B)으로 진입하고, 제2수신장치부(20B)에 의한 인식을 거치게 된다. 제2수신장치부(20B)의 제2인식영역(B)에서의 인식동작 역시 상술한 제1수신장치부(20A)의 제1인식영역(A)에서의 인식동작과 동일하다(단계 105 내지 108, 단계 306 내지 310). 다만, 단계 310에서 제2인식영역(B)에서의 인식을 통해 최종 출입인증과 총출입자수를 산출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person who enters into the second recognition area B of the second receiver 20B and undergoes recognition by the second receiver 20B. The recognition operation in the second recognition region B of the second receiving device portion 20B is also the same as the recognition operation in the first recognition region A of the first receiving device portion 20A (steps 105 to 105). 108, steps 306-310). However, in step 310, the final access authentication and the total number of participants are calculated through the recognition in the second recognition area B.

이와 같이, 2단계에 걸친 인식동작으로 나누어서 인식수와 출입인증을 행하는 것은 정확한 인원수 산출과 출입인증을 수행하면서 게이트에서의 출입의 진행 중단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performing the number of recognition and the access authentication by dividing the recognition operation over the two stages can minimize the interruption of the entrance and exit at the gate while performing the accurate number calculation and access authentication.

이를테면, 우선적으로 무선인식유닛(10)을 휴대하지 않은 권한 없는 출입자의 출입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선인식유닛의 대리휴대와 같은 부정행위의 색출이 가능하다. 부정행위의 예로서는 인식유닛의 대리휴대나 출입게이트에서 인식처리만을 하고 실질적으로 근무위치로 들어가지 않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실제 기존의 출입관리 시스템에서는 출입자(출근자)가 출입게이트에서 인식을 행한 후 옆으로 빠져나가는 행위를 하여도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인식영역의 인식과 제2인식영역의 인식을 수행하기 때문에 이러한 부정행위가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통로에서 역으로 진행하는 것도 전혀 가능하지 않다. 또한, 부분적인 문제가 발생했더라도 본 시스템에서는 출입진행의 정지 없이 차후 제1인식영역의 인식데이터와 제2인식영역의 인식데이터를 비교하여 보정할 수 있기 때문에, 출입게이트에서 원활하고 신속한 통과가 가능하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not only to prevent entrance of unauthorized persons who do not carry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10 first, but also to detect misconduct such as surrogate carrying of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Examples of misconduct may include a case where only the recognition processing is performed at the surrogate carrier of the recognition unit or the entrance gate, and the user does not actually enter the working position. Indeed, in the existing access control system, there is no way to prevent this even if the person (going person) recognizes the entrance gate and exits to the sid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cognition of the first recognition region and the recognition of the second recognition region are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such misconduct is basically prevent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lso not possible to proceed backward from the passage. In addition, even if a partial problem occurs, the system can compare and correct the recognition data of the first recognition area and the recognition data of the second recognition area in the future without stopping the entrance. It is possible.

이러한 본 발명의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작업인원이 투입되는 현장에 매우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협렵업체나 협력팀에 부분적인 작업을 위임하는 경우에 정확한 근무인원을 산출하여 근태관리에 반영할 수 있다.Such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very well to the site where a large number of working people are put. In particular, in case of delegating partial work to a partner company or a cooperative team, accurate workforce can be calculated and reflected in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무선인식유닛 20A:제1수신장치부 20B:제2수신장치부
21:제어부 22:센서부 23:무선통신모듈
24:태그인식부 25:메모리 26:경광부
27:외부통신부 S1,S2,S6,S7:전방 인체감지 센서부
S4,S5,S8,S9:후방 인체감지 센서부 S3,S8:웨이크업용 센서
30:시스템제어부 A:제1인식영역 B:제2인식영역
10: wireless recognition unit 20A: first receiving unit 20B: second receiving unit
21: control unit 22: sensor unit 23: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24: Tag recognition section 25: Memory 26: Hard part
27: External communication unit S1, S2, S6, S7: Front human body detection sensor unit
S4, S5, S8, S9: Rear human body sensor part S3, S8: Wake-up sensor
30: system control unit A: first recognition area B: second recognition area

Claims (7)

출입자가 휴대하는 무선인식유닛의 인식을 통해 출입관리를 수행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으로서:
제1인식영역 내에 있는 무선인식유닛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1수신장치부;
상기 제1인식영역 이후에 배치되는 제2인식영역 내에 있는 무선인식유닛으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제2수신장치부; 및
제1수신장치부가 수신한 무선신호와 함께 전달되는 정보의 인식을 통해 통과한 인원수를 산출하고, 제2수신장치부가 수신한 무선신호와 함께 전달되는 정보의 인식을 통해 출입인증을 수행하는 시스템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An intelligent access control system that performs access management by recognizing a wireless recognition unit that a person carries:
A first receiving device unit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a radio recognition unit in the first recognition area;
A second receiving device unit for receiving a radio signal from a wireless recognition unit in a second recognition area disposed after the first recognition area; And
The system control unit calculates the number of persons passing through the recognition of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long with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first receiving unit, and performs the access authentication by recognizing the information transmitted along with the radio signal received by the second receiving unit. Containing;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인원수와 상기 출입인증 기반으로 근태관리를 위한 기록을 수행하는 것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ystem control unit is to perform a record for time and attendance management based on the calculated number of persons and the access authentication,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수신장치부와 상기 제2수신장치부에 각각 포함되어 구비되거나 별도로 구비되는 제1활성부와 제2활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활성부와 상기 제2활성부 각각은 상기 제1인식영역과 상기 제2인식영역 내의 무선인식유닛을 웨이크업시키는 것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further comprising a first active part and a second active part included or separately included in the first receiving device part and the second receiving device part, respectively,
Each of the first active part and the second active part wakes up the wireless recognition unit in the first recognition area and the second recognition area.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무선인식유닛은 웨이크업 상태에서 저장하고 있던 정보와 웨이크업을 위해 수신한 정보 포함하는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The radio recognition unit is to transmit a radio signal includ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wake-up and the information received for the wake-up,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인식영역 각각의 전후에 통과하는 인체를 감지하도록 전방인체감지 센서부 및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시스템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인식영역 각각에서 상기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를 통과한 수를 가산하고 상기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를 통과한 수를 감산한 수와 상기 제1 및 제2인식영역 내에서 인식되는 무선인식유닛의 수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에러로 판단하는 것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ont human body sensor unit and a rear human body sensor unit to detect a human body passing before and after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The system controller adds the numb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ront human body sensor 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and subtracts the numb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rear human body sensor and within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If the number of recognized radio recognition unit is not the same, it is determined as an error,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와 상기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는 통과하는 인체의 방향성을 감지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The front human body sensor unit and the rear human body sensor unit comprises at least two or more sensors to detect the direction of the human body passing through,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인식영역 내 상기 전방 인체감지 센서부와 상기 후방 인체감지 센서부의 사이에는 상기 제1활성부와 상기 제2활성부의 웨이크업 신호의 송출개시를 위한 웨이크업용 센서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웨이크업용 센서가 인체를 감지할 때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송출하는 것인 ,
무선인식을 이용하는 지능형 출입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ake-up sensors are provided between the front human body sensor part and the rear human body sensor part in the first and second recognition areas for starting the transmission of the wake-up signal of the first active part and the second active part. When the wake-up sensor detects a human body to send the wake-up signal,
Intelligent access management system using wireless recognition.
KR1020100139382A 2010-12-30 2010-12-30 Intelligent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rfid KR1011726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382A KR101172628B1 (en) 2010-12-30 2010-12-30 Intelligent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rfi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9382A KR101172628B1 (en) 2010-12-30 2010-12-30 Intelligent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rf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7436A true KR20120077436A (en) 2012-07-10
KR101172628B1 KR101172628B1 (en) 2012-08-08

Family

ID=46710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9382A KR101172628B1 (en) 2010-12-30 2010-12-30 Intelligent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rfi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262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944B1 (en) * 2015-04-30 2016-07-04 창신정보통신(주) Access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wireless signal det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2944B1 (en) * 2015-04-30 2016-07-04 창신정보통신(주) Access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system using wireless signal det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2628B1 (en) 2012-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89272A (en) Intelligent security control system special for garden
US11188806B2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a person
JP4910191B2 (en) Protective equipment wearing detection system and protective equipment with ID-TAG
US201700679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objects
US6750765B1 (en) Tracing of transponder-tagged objects
US20150379795A1 (en) Active Detection Typ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mart Door Lock Controller
US7557712B2 (en) Systems and method for monitoring equipment
US200702419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tracking via tag readings
US20120313759A1 (en) Tracking system for persons and/or objects
US10593139B2 (en) Method of granting access on a route based upon route taken
US1142371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access and intent identification using mobile phones
KR100772013B1 (en) Rfid system for locating and tracking a moving object and communication method of between rf tag and reader
JP2006344158A (en) Access control system
JP2015502622A (en) Alarm tracking system and method with improved confidentiality
KR20120074718A (en) Work si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ing real time location system
KR20120074719A (en) Indoor worksit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and radio receiver
KR101172628B1 (en) Intelligent entrance control system using rfid
JP2007226379A (en) Monitor object zone management system
KR20150123587A (en) A security system linked a pass
KR20230126316A (en) AI Labor Management Service System Using Smartphone Tagging based on NFC
KR20110059337A (en) Entrance security management system using position date of tag
RU2158444C2 (en) Electronic monitoring system/network
Ulku The Next Generation In Personnel\/People Tracking: Active RFID Technology Has Allowed for Enhanced Security and Safety
JP6644503B2 (en) Electronic name tag system
JP2013191051A (en) Entrance and exit manageme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