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978A -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978A
KR20120076978A KR1020100138768A KR20100138768A KR20120076978A KR 20120076978 A KR20120076978 A KR 20120076978A KR 1020100138768 A KR1020100138768 A KR 1020100138768A KR 20100138768 A KR20100138768 A KR 20100138768A KR 20120076978 A KR20120076978 A KR 20120076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dentification code
information
code group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8562B1 (ko
Inventor
이상범
옥창석
박세철
윤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3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562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5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는,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의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콘텐츠의 등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콘텐츠의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 코드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식별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등록 요청된 콘텐츠와 매칭시켜 등록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분산 처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NTENTS USING IDENTIFICATION CODE}
본 발명은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과 네트워크 인프라의 보급 확대로 인해, 사용자들의 원하는 콘텐츠를 생산하여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 사업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 셀룰러 폰, PDA, 데스트 탑 PC 및 랩탑 PC 등과 같은 다양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LAN(Local Area Network),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QR-CODE(Quick Response-CODE),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WLAN(Wireless LAN),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서 상기한 콘텐츠 제공 사업자들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콘텐츠 제공 사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다양한 경로와 다양한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에 대응되는 콘텐츠를 관리해야 하는 부담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각 콘텐츠 별로 의미 기반의 코드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이는, 콘텐츠 별로 관리 시스템이 다수이거나 새로운 의미 기반 코드 체계가 생성되면 이를 위한 해석 정보를 새로 갱신해야 하며, 단일 시스템이 다수의 코드 해석 정보를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서버의 부하가 걸리거나 트래픽 부하를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수 많은 콘텐츠를 체계적으로 분산 관리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는,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의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콘텐츠의 등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콘텐츠의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 코드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식별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등록 요청된 콘텐츠와 매칭시켜 등록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분산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는,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전송 요청으로부터 제 1 식별 코드 그룹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제 1 식별 코드 그룹 분석부, 상기 제 1 식별 코드 그룹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요청으로부터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제 2 식별 코드 그룹 분석부 및 상기 제 1 식별 코드 그룹 및 제 2 식별 코드 그룹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콘텐츠의 위치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위치 검색부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은 (a)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등록 정보가 수신되면, 콘텐츠 분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콘텐츠의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분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등록 요청된 콘텐츠와 매칭시켜 등록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분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전송 요청으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의 아이디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시스템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의 식별자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시스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시스템으로 상기 특정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e) 상기 미리 정해진 시스템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특정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된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의 과제 해결 수단 중 하나에 의하면,
콘텐츠의 체계적인 분산 관리가 이루어지므로, 원소스 멀티 유즈(One source - Multi Use)가 가능하다
또한, 추후 새로운 단말에 맞춤화된 콘텐츠를 서비스해야 하는 경우, 기존 콘텐츠를 재사용할 수 있다.
또한, RFID 코드 또는 OID(Object IDentifier)와 같은 종래의 코드와 연동이 가능하여, 확장성 및 호환성이 고려된 솔루션에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등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조회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 코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참고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 및 콘텐츠 관리 서버(400)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는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콘텐츠를 등록한다.
이때,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는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로부터 콘텐츠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수신하고, 콘텐츠 사업자로부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콘텐츠 등록 정보를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콘텐츠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해당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정보, 개인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 콘텐츠의 종류에 대한 정보 및 해당 콘텐츠를 관리하는 기관에 대한 정보 등을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인터페이스는 해당 콘텐츠를 생성한 국가, 지역, 회사 및 해당 콘텐츠를 배포하는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CP)에 대한 정보 등을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입력 박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는 특정 콘텐츠를 이용(스트리밍 전송 또는 다운로드 등) 하기 위해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고,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로부터 해당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에서 콘텐츠의 위치 정보는,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미리 정해진 콘텐츠 관리 서버(400)의 이름, IP 주소, 포트 번호 및 UR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는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해당 콘텐츠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관리 서버(400)로 해당 콘텐츠를 요청하고, 콘텐츠 관리 서버(400)로부터 해당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참고로,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가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직접 접속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가 콘텐츠를 이용하기 위해 접속한 별도의 웹 서버(미도시)가 존재하는 경우,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는 해당 웹 서버(미도시)를 통해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로 접속할 수도 있다.
따라서,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가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직접 접속한 경우 외에도, 별도의 웹 서버(미도시)를 통해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접속하는 간접적인 접속 또한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로의 접속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 예를 들어,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폰, 노트북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하여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연결되는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는 RFID, QR-CODE 및 USN 등을 통하여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접속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가 접속되어 콘텐츠 등록을 요청하면,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로 콘텐츠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후,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로부터 콘텐츠 등록을 위한 ‘콘텐츠 등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콘텐츠 등록 정보로부터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한다.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추출된 각 정보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제 1 식별 코드 그룹 및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제 1 식별 코드 그룹 및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포함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제 1 식별 코드 그룹은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정보, 개인 인증 정보, 콘텐츠의 종류 및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코드의 생성 주체, 즉, 콘텐츠 관리 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1 식별 코드 그룹을 ‘메타 코드’라 칭하도록 한다.
또한, 제 2 식별 코드 그룹은 콘텐츠를 생성한 국가, 지역, 회사, 콘텐츠를 배포하는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CP) 및 콘텐츠의 아이디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EPC, SGTIN, Mobile RFID Code 등과 같은 의미 기반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의미 기반 코드’라 칭하도록 한다.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서 생성하는 식별 코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X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콘텐츠에 대한 식별 코드를 생성한 후,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메타 코드에 포함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시스템인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콘텐츠를 전송한다.
또한,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포함된 식별 코드를 분석한다.
즉, 식별 코드에 포함된 메타 코드와 의미 기반 코드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에 기초하여, 요청된 콘텐츠가 저장된 위치 정보, 즉,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대한 정보는 콘텐츠 관리 서버(400)의 이름, IP 주소, 포트 번호 및 UR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관리 서버(400)는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콘텐츠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요청된 콘텐츠를 검색하여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는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를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인터페이스 제공부(310), 코드 정보 추출부(320), 식별 코드 생성부(330) 및 콘텐츠 분산 처리부(340)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인터페이스 제공부(310)는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가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콘텐츠 등록을 요청하면, 해당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로 콘텐츠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한편, 코드 정보 추출부(320)는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콘텐츠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식별 코드 생성부(330)에서 콘텐츠에 부여할 식별 코드를 생성할 수 있도록,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한다.
한편, 식별 코드 생성부(330)는 코드 정보 추출부(320)에서 추출한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식별 코드를 해당 콘텐츠와 매핑시켜 등록한다.
식별 코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X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콘텐츠 분산 처리부(340)는 식별 코드 생성부(330)에서 생성된 식별 코드, 더 상세하게는 식별 코드에 포함된 메타 코드에 기초하여, 해당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콘텐츠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
이때, 콘텐츠 분산 처리부(340)는 해당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관리 서버(400)의 이름, IP 주소, 포트 번호 및 URL 등을 포함하는 ‘콘텐츠 위치 정보’를 별도의 저장소(미도시)에 저장할 수도 있다.
참고로, 콘텐츠 관리 서버(400)는 콘텐츠와 해당 콘텐츠의 식별 코드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는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를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메타 코드 분석부(350), 의미 기반 코드 분석부(360) 및 콘텐츠 위치 검색부(370)를 포함한다.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하면, 메타 코드 분석부(350)는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요청에 포함된 식별 코드로부터 메타 코드를 추출하여 분석한다.
즉, 메타 코드에는 단말 정보와 개인 인증 정보 및 콘텐츠 종류와 관리 기관, 즉,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대한 코드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메타 코드 분석부(350)는 단말기 정보, 개인 인증 정보 및 콘텐츠의 종류를 확인한 후,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위치 검색부(370)로 전달한다.
한편, 의미 기반 코드 분석부(360)는 요청된 콘텐츠에 대한 국가 코드, 회사 코드, CP 코드, 지역 코드 및 콘텐츠 코드 등을 포함하는 의미 기반 코드를 분석한다.
즉, 콘텐츠를 생성한 국가, 지역, 회사, 콘텐츠를 배포하는 콘텐츠 프로바이더를 확인하고, 상기 콘텐츠의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콘텐츠 위치 검색부(370)로 전달한다.
참고로, 의미 기반 코드 분석부(360)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별, 콘텐츠의 종류별 또는 콘텐츠를 관리하는 기관별 등으로 각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처리하는 의미 기반 코드 분석부(360)가 존재할 수 있고, IPTV 서비스를 위한 셋탑 박스에 제공되는 콘텐츠를 처리하는 의미 기반 코드 분석부(360)가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콘텐츠 위치 검색부(370)는 메타 코드 분석부(350)와 의미 기반 코드 분석부(360)로부터 전달된 콘텐츠 관리 서버(400)에 대한 정보와 콘텐츠의 아이디에 기초하여 요청된 콘텐츠의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 요소를 의미하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등록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가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콘텐츠 등록을 요청하면,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로 콘텐츠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S401).
단계 S401 후,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100)로부터 콘텐츠 등록 정보를 수신한다(S402).
단계 S402 후,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콘텐츠 등록 정보로부터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각 정보를 추출한다(S403).
단계S403 후,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추출된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 코드 및 의미 기반 코드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S404).
단계 S404 후,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단계 S402에서 등록 요청된 콘텐츠에 대하여 단계 S404에서 생성된 식별 코드를 부여한다(S405).
단계 S405 후,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식별 코드에 포함된 메타 코드에 기초하여, 등록 요청된 콘텐츠를 저장할 콘텐츠 관리 서버(400)로 전송한다(S406).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조회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의 구성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흐름도를 설명하도록 한다.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가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에 접속하여 특정 콘텐츠를 요청하면,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로부터 콘텐츠 요청을 수신한다(S501).
단계 S501 후,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수신한 콘텐츠 요청에 포함된 식별 코드로부터 메타 코드를 추출하여 분석한다(S502).
단계 S502 후,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수신한 콘텐츠 요청에 포함된 식별 코드로부터 의미 기반 코드를 추출하여 분석한다(S503).
단계 S503 후,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300)는 요청된 콘텐츠의 위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해당 콘텐츠를 요청한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로 전송한다(S504).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 코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메타 코드란 의미 기반 코드(예 : EPC, SGTIN, Mobile RFID Code 등) 및 코드 생성 주체(콘텐츠 관리 주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코드로서, 단말 정보 및 개인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와, 콘텐츠 종류 및 관리 기관을 포함하는 콘텐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 정보는 단말 맞춤화 콘텐츠 제공 또는 N 스크린 연계를 위한 정보로서, 각각의 단말 종류를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는 코드가 부여된 것이며, 개인 인증 정보는 개인 맞춤화를 위한 정보로서,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 정보에 대한 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콘텐츠 종류는 동영상, 음원, Native App, Web App 등의 콘텐츠 종류를 파악할 수 있는 헤더 정보를 포함하며, 각 콘텐츠의 종류별로 카테고리수와 비트수를 고려하여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관리 기관은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는 시스템의 위치, 즉, 콘텐츠를 실제로 제공하는 기관을 파악하기 위한 정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메타 코드를 활용하여 다양한 의미 기반 코드를 해석할 수 있으며, 의미 기반 코드가 추가되거나 변경될 시에도 분석 정보를 가지고 있는 메타 코드를 기반으로 코드와 매칭되는 콘텐츠를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200)에게 서비스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
200 :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
300 : 콘텐츠 분산 처리 서버
310 : 인터페이스 제공부
320 : 코드 정보 추출부
330 : 식별 코드 생성부
340 : 콘텐츠 분산 처리부
350 : 메타 코드 분석부
360 : 의미 기반 코드 분석부
370 : 콘텐츠 위치 검색부
400 : 콘텐츠 관리 서버

Claims (12)

  1.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로부터 콘텐츠 등록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로 상기 콘텐츠의 등록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상기 콘텐츠의 등록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콘텐츠의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는 코드 정보 추출부,
    상기 추출된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식별 코드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등록 요청된 콘텐츠와 매칭시켜 등록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콘텐츠 분산 처리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거나 입력할 수 있는 복수의 입력 박스를 포함하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정보 각각에 대응하는 코드를 조합하여 제 1 식별 코드 그룹 및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 1 식별 코드 그룹 및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포함하는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별 코드 그룹은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정보, 개인 인증 정보, 상기 등록된 콘텐츠의 종류 및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 생성부는 콘텐츠 종류의 카테고리수와 비트수를 고려하여 상기 콘텐츠 종류에 대한 코드를 부여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식별 코드 그룹은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생성한 국가, 지역, 회사,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배포하는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CP) 및 상기 콘텐츠의 아이디에 대한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콘텐츠 관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분산 처리부는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저장할 시스템의 이름, IP 주소, 포트 번호 및 UR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미리 정해진 시스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전송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8.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전송 요청으로부터 제 1 식별 코드 그룹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제 1 식별 코드 그룹 분석부,
    상기 제 1 식별 코드 그룹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전송 요청으로부터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추출하여 분석하는 제 2 식별 코드 그룹 분석부 및
    상기 제 1 식별 코드 그룹 및 제 2 식별 코드 그룹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콘텐츠의 위치를 검색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콘텐츠 위치 검색부
    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제 1 식별 코드 그룹 분석부는 상기 전송 요청으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는 단말기 정보, 개인 인증 정보, 상기 특정 콘텐츠의 종류 및 상기 특정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1 식별 코드 그룹을 추출하고, 상기 단말기 정보, 개인 인증 정보 및 상기 콘텐츠의 종류를 확인하여 상기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위치 검색부로 전달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제 2 식별 코드 그룹 분석부는 상기 전송 요청으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를 생성한 국가, 지역, 회사, 상기 특정 콘텐츠를 배포한 콘텐츠 프로바이더(Contents Provider;CP) 및 상기 콘텐츠의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식별 코드 그룹을 추출하고, 상기 특정 콘텐츠를 생성한 국가, 지역, 회사, 상기 특정 콘텐츠를 배포한 콘텐츠 프로바이더를 확인하여 상기 콘텐츠의 아이디에 대한 정보를 상기 콘텐츠 위치 검색부로 전달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콘텐츠의 위치는 상기 특정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위치 검색부는 상기 시스템의 이름, IP 주소, 포트 번호 및 URL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콘텐츠 관리 장치.
  12.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콘텐츠 등록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콘텐츠에 대한 등록 정보가 수신되면, 콘텐츠 분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수신된 콘텐츠의 등록 정보로부터 상기 식별 코드 생성을 위한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콘텐츠 분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등록 요청된 콘텐츠와 매칭시켜 등록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콘텐츠를 미리 정해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c)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전송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 분산 관리 서버에서, 상기 전송 요청으로부터 상기 특정 콘텐츠의 아이디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시스템의 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의 식별자 및 상기 미리 정해진 시스템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시스템으로 상기 특정 콘텐츠를 요청하는 단계 및
    (e) 상기 미리 정해진 시스템에서, 상기 특정 콘텐츠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특정 콘텐츠를 상기 콘텐츠 이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텐츠 관리 방법.
KR1020100138768A 2010-12-30 2010-12-30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328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768A KR101328562B1 (ko) 2010-12-30 2010-12-30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768A KR101328562B1 (ko) 2010-12-30 2010-12-30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978A true KR20120076978A (ko) 2012-07-10
KR101328562B1 KR101328562B1 (ko) 2013-11-12

Family

ID=46710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768A KR101328562B1 (ko) 2010-12-30 2010-12-30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5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551A1 (ko) * 2015-11-11 2017-05-18 주식회사 더에스와이지연구원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는 숫자열 기반의 실시간 정보 유통 시스템 및 정보 유통 방법
KR20200046451A (ko) * 2018-10-24 2020-05-07 테크온미디어(주) P2p 기반의 콘텐츠 유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6659A (ko) * 2004-05-06 2005-11-11 (사)한국디지털콘텐츠산업협회 멀티미디어 콘텐츠 식별코드를 활용한 운영시스템 및 활용 방법
KR100796928B1 (ko) * 2004-08-19 2008-01-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한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82551A1 (ko) * 2015-11-11 2017-05-18 주식회사 더에스와이지연구원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는 숫자열 기반의 실시간 정보 유통 시스템 및 정보 유통 방법
US10582275B2 (en) 2015-11-11 2020-03-03 The Syg Institute Co., Ltd. Real-time digit string-based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using smart terminal and method thereof
KR20200046451A (ko) * 2018-10-24 2020-05-07 테크온미디어(주) P2p 기반의 콘텐츠 유통 방법과 이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팅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8562B1 (ko)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6221B2 (ja) Nfc対応デバイスにアプリケーションをインストールする方法及びnfc対応デバイス、サーバノード、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9032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ome network access using phone numbers, and system thereof
CN101729442B (zh) 一种实现内容共享的方法和装置
US201100107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pplication using application identifier
JP6074514B2 (ja) 特徴情報の取得方法、装置、ネットワーク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11399756B (zh) 一种数据存储方法、数据下载方法及装置
US20070067400A1 (en) User matching server, user matching method and user matching program
CN103843308A (zh) 跨越多个计算设备分布的应用的执行
US201700174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an application in a user terminal
US20120089708A1 (en) Identifier management server, application service platform, method and system for recognizing device using identifier of sensor node
CN102265657B (zh) 管理简档的方法和系统
KR20120060596A (ko) 유비쿼터스 객체의 클라우드 기반 통신을 위한 자원관리 장치 및 방법
US10140347B2 (en) Exposing data to query generating applications using usage profiles
JP2017503371A (ja) 環境コンテキストを共有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1328562B1 (ko)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344886B (zh) 提供媒体服务器的内容的设备、方法和系统
US2018021841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gital product using user account synchronization
US9531820B2 (en) Contents providing scheme using identification code
CN102685220A (zh) 一种基于web页面的数据交互方法及系统
KR20090011439A (ko) 통신 네트워크에서의 서비스 모듈 다운로딩 시스템 및 방법
US8359383B2 (en) Ubiquitous service framework system for supporting service in multiple domain and method thereof
US777355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communication method
CN113055254A (zh) 一种地址配置方法、装置、接入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321102B1 (ko) 멀티 도메인에서 동일 서비스 지원을 위한 u-서비스 프레임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210513A (ja) ドメイン名別ビューアクセス制御方法及びdnsサーバシステム装置及びドメイン名別ビュー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及びドメイン名別ビューアクセス制御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