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942A - Elastic pressing member for mountain-climbing stick, connecting structure with the same and mountain-climbing stick with the connect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Elastic pressing member for mountain-climbing stick, connecting structure with the same and mountain-climbing stick with the connectin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942A
KR20120076942A KR1020100138724A KR20100138724A KR20120076942A KR 20120076942 A KR20120076942 A KR 20120076942A KR 1020100138724 A KR1020100138724 A KR 1020100138724A KR 20100138724 A KR20100138724 A KR 20100138724A KR 20120076942 A KR20120076942 A KR 201200769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elastic pressing
circumferential surface
climbing stick
clim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7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18455B1 (en
Inventor
송윤재
Original Assignee
송윤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윤재 filed Critical 송윤재
Priority to KR1020100138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8455B1/en
Publication of KR2012007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9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4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9/00Apparatus for mountaineering
    • A63B29/08Hand equipment for climb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00Sticks with supporting, hanging or carry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A45B2009/007Shafts of adjustable length, e.g. telescopic shaf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05Walking st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PURPOSE: A spiral elastic pressing device for an alpenstock, a connection pipe fixing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the alpenstock including the same are provide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cracks in the joint of a connection pipe. CONSTITUTION: An alpenstock comprises a handle, first to third connection pipes, a terminal pipe, and a tip unit. The first to third connection pipe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pipe and are made of carbon fiber textile sheet. An elastic pressing unit(130) comprises a body unit(131) and a division piece(132). The body unit comprises an outer incline unit and a cylindrical plane unit.

Description

등산용 지팡이의 탄성 가압구, 이를 포함하는 연결관 고정구조 및 이들을 구비하는 등산용 지팡이 {Elastic pressing member for mountain-climbing stick, connecting structure with the same and mountain-climbing stick with the connecting structure}Elastic pressing hole of climbing stick, connector fixing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climbing stick having them {Elastic pressing member for mountain-climbing stick, connecting structure with the same and mountain-climbing stick with the connecting structure}

본 발명은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지팡이에 있어서 카본 파이버로 된 연결관이 벌어지거나 잘 터지지 않도록 형상이 개선된 탄성 가압구와 이를 포함하는 연결관 고정구조 및 이들을 채택한 등산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e for climbing, and more particularly, in a cane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necting pipes formed using a carbon fiber sheet or a carbon fiber fabric sheet, the shape of the carbon fiber connecting pipe is so that it does not open or break easi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elastic pressing device, a connector fixing structure including the same, and a hiking stick employing the same.

등산용 지팡이는 등산객의 보행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최근에 등산객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등산용 지팡이의 수요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Climbing canes are intended to assist hikers in walking. As the demand for hikers has recently increased, the demand for climbing canes is increasing day by day.

종래의 일반적인 등산용 지팡이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손잡이와 이에 연결되는 지주관(1), 상기 지주관의 하단에 다단으로 연결되는 연결관(2,3,4)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단의 연결관들은 사용자의 신장이나 필요에 따라 슬라이딩 수축시켜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As shown in FIG. 1, a conventional climbing cane includes a handle and a support tube 1 connected to the handle and a connecting pipe 2, 3, and 4 connected to the bottom of the support tube in multiple stages. The multi-stage connector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by sliding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user's height or need.

이와 같은 등산용 지팡이의 지주대 또는 연결관으로는 알루미늄과 같은 경금속의 재료로 이루어진 중공관을 채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나, 최근에는 카본 소재의 등산용 지팡이도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카본 소재의 지팡이는 카본 파이버 시트를 사용하여 중공관 형상으로 제조한 것으로서 카본 소재의 특성상 강도와 탄성력은 매우 우수한 반면 무게는 매우 가벼워 최근에 등산용 지팡이에 채택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As a prop or a connecting pipe of the climbing stick, a hollow tube made of a light metal material such as aluminum is generally used, but a climbing stick of carbon material has recently appeared. The cane of carbon material is manufactur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using a carbon fiber sheet, and the carbon material has excellent strength and elasticity, but has a very light weight, so it is recently adopted to a climbing cane.

이러한 다단의 연결관을 가지는 등산용 지팡이는 필요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데, 서로 인접한 연결관 사이에 위치하는 원뿔대 형상의 테이퍼 부재와 하단이 다수의 분할편으로 이루어진 탄성 가압구에 의하여 하부의 연결관을 상부의 연결구 내부로 수축시키거나 연장시켜 그 길이를 조절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Climbing cane having a multi-stage connection tube can be adjusted as needed, the connection of the lower portion by the elastic pressure port consisting of a truncated taper member and a lower end of the truncated conical taper positioned between the adjacent adjacent tube It is common to adjust the length of the tube by shrinking or extending it into the upper connector.

도2 내지 도6에서는 종래의 다양한 지팡이 연결구조를 보여주고 있는데, 2 to 6 shows a conventional cane connection structure,

도2의 경우 종래의 일반적인 탄성 가압구의 형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3에서는 이와 같은 탄성 가압구를 이용한 연결관 고정구조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공개실용신안 실1992-0002248호 "피겔을 겸한 스키용 스틱의 높낮이 조절장치"에 개시된 것이다. In the case of Figure 2 shows the shape of a conventional general elastic pressing sphere,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the connector fixing structure using such an elastic pressing sphere, which discloses the utility model yarn 1992-0002248 "pigel Height adjusting device of the ski stick also serves.

종래의 탄성 가압구(4)는 중공 원통 형상의 몸체의 하단부에 절개선을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다수의 분할편이 형성되도록 한 것인데 탄성 가압구(4)의 내부로 외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신부(3A)가 파고듬으로써 분할편을 반경방향으로 확장시켜 연결관(1)의 내부를 마찰 가압함으로써 연결관 간의 결합거리를 조절하도록 한 것이다. Conventional elastic pressing hole 4 is to form a plurality of incisions on the lower end of the hollow cylindrical body to form a plurality of divided pieces, the elongated portion 3A in whic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to be inclined into the elastic pressing hole (4) By digging), the split piece is extended radially to frictionally press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pipe 1 so as to adjust the coupling distance between the connecting pipes.

이러한 탄성 가압구의 원리는 대부분의 다른 등산용 지팡이에도 그대로 적용되고 있으며, 도4 내지 도6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변형예들을 보여주고 있다. 도4는 등록특허 제0982703호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에 개시된 것이고, 도5는 등록특허 제0383229호 "등산용 지팡이의 조립장치"에 개시된 것이며, 도6은 등록실용신안 제0334041호 "등산용 지팡이의 길이 조절구"에 개시된 것이다. The principle of this elastic pressing device is applied to most other climbing sticks as it is, Figures 4 to 6 show these various modifications. Figure 4 is disclosed in Patent No. 0982703 "fixing device of a sports stick of variable length", Figure 5 is disclosed in Patent No. 0383229 "assembly device of the climbing stick", Figure 6 is a utility model registered It is disclosed in 0334041 "length control of the climbing stick."

전술한 탄성 가압구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도4의 가압편(268), 도5의 잠금부재(400), 도6의 가압구(40)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탄성 가압구의 경우 분할편을 형성하는 다수개의 절개홈(도4의 262,264, 도6의 44, 46)이 세로로 수직하게 형성되므로 테이퍼 부재(도4의 240, 도5의 220)가 탄성 가압구의 내주면을 파고드는 경우 분할편이 탄성 가압구의 반경방향으로 확장하여 연결관의 내주면을 가압하게 된다. Corresponding to the above-mentioned elastic pressing opening, there is a pressing piece 268 of FIG. 4, a locking member 400 of FIG. 5, and a pressing opening 40 of FIG. 6.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lastic pressing hole, since a plurality of cutout grooves 262, 264 of FIG. 4 and 44, 46 of FIG. 6 are vertically formed vertically, the tapered members 240, 220 of FIG. When digging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pressing hole, the split piece expands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astic pressing hole to pres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탄성 가압구를 카본 파이버 시트로 제조된 연결관의 결합구조에 채택하는 경우 연결관의 결합부위가 카본 파이버의 섬유 배열방향을 따라서 갈라지거나 터져버리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By the way, when the elastic pressing hole of the structure is adopted in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onnection pipe made of carbon fiber shee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upling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breaks or bursts along the fiber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rbon fiber.

도7은 종래의 탄성 가압구를 채택한 등산용 지팡이 연결부의 파손 상태도이다. 도면은 등산용 지팡이(20)의 연결 부분 중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서 직경이 큰 제1연결관(21)과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2연결관(22)의 연결 부위의 파손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면의 제1 및 제2연결관(21,22)은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25)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다. 도면에서 연결링(23) 부근에 제2연결관(22)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크랙(24)이 형성된 것을 관찰할 수 있다. Figure 7 is a broken state diagram of the climbing stick connection portion employing a conventional elastic pressing hole. The drawing shows an enlarged part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limbing cane 20, and shows a broken state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21 having a large diameter and the second connecting pipe 22 having a relatively small diamete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tubes 21 and 22 in the figure are manufactured using the carbon fiber fabric sheet 25. In the figure it can be observed that the cracks 24 ar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22 near the connecting ring 23.

이와 같은 크랙(24)이 발생하는 이유는 테이퍼 부재의 경사진 외주면의 전진이동에 의하여 탄성 가압구의 분할편이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벌어지면서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카본 파이버 간의 간격을 벌리기 때문이다. 즉, 도7에서 카본 파이버는 크랙(24)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뻗어 있는데 외측으로 확장되는 분할편의 가압력에 의하여 나란하게 배열된 수많은 가닥의 카본 파이버가 서로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The reason why such a crack 24 occurs is because the divided pieces of the elastic pressing holes are expand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spread apart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inclin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member, there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carbon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That is, in FIG. 7, the carbon fiber extends in parallel with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crack 24, and the phenomenon in which the carbon fibers of many strands arranged side by side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divided pieces that extend outwards are caused to spread.

연결관의 재료가 되는 카본 파이버 시트는 일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카본 파이버를 프리 프레그처리한 것으로서 카본 섬유의 길이방향이나 사선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대하여는 매우 강한 강도를 나타내나 나란하게 배열된 카본 섬유들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당기는 힘에 대하여는 취약한 강도를 나타낸다. The carbon fiber sheet,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pipe, is a prepreg treated carbon fiber arranged in one direction, and has a very strong strength against the force ac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arbon fiber, but is arranged side by side. The strength is weak for the pulling forc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bon fibers.

따라서, 카본 파이버 시트로 제조되는 지주대(연결관)의 우수한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되, 카본 지주대의 연결부위가 파손되지 않도록 하는 탄성 가압구의 개발이 요청되었다.
Therefore, while maintaining the excellent properties of the strut (connecting tube) made of carbon fiber sheet, it has been required to develop an elastic pressure port that does not damage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arbon strut.

공개실용신안 실1992-0002248호 "피겔을 겸한 스키용 스틱의 높낮이 조절장치"Published Utility Model No. 1992-0002248 "Adjustment device for the height of ski sticks combined with the gel" 등록특허 제0982703호 "길이가 가변되는 스포츠용 스틱의 고정장치"Patent No. 0982703 "Fixing device of a sports stick with a variable length" 등록특허 제0383229호 "등산용 지팡이의 조립장치"Registered Patent No. 0383229 "Assembling device of climbing stick" 등록실용신안 제0334041호 "등산용 지팡이의 길이 조절구"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34041 "Length Adjuster of Climbing Cane"

본 발명은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로 된 등산용 지팡이의 연결관들의 연결부위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카본 파이버의 섬유 배열방향을 고려하여 탄성 가압구의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탄성 가압구의 분할편이 확장되어 연결관의 내주면을 가압하는 경우에도 연결관의 연결부위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breakage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of the climbing stick made of carbon fiber sheet or carbon fiber fabric shee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lasticity by designing the structure of the elastic pressing sphere in consideration of the fiber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carbon fiber Even if the split piece of the pressure port is expanded to press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so as not to cause cracks i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connecting pip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연결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테이퍼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확장되어 연결관을 가압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하여 개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일정 간격 이격하여 사선방향의 절개홈을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각 절개홈을 경계로 하는 다수개의 분할편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지팡이의 탄성 가압구를 제안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o exte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member formed on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tube formed by using a carbon fiber sheet or a carbon fiber fabric sheet, the center portion is fixed up and down By forming a plurality of oblique inci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paced apar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opening to penetrate the plurality of divided pieces to be formed in the diagonal direction We propose an elastic pressing hole of a climbing stick.

여기서, 상기 몸체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쉬가 중앙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장착되는 원뿔대 형상의 외측 경사부와, 내측면에 상기 테이퍼 부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측 테이퍼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절개홈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평탄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body portion is formed in the outer inclined portion of the truncated conical shape in which the bush is form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opening, and the inner taper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tapered member is inclined on the inner surfa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may be formed of a cylindrical flat portion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이때, 상기 사선방향의 절개홈은 볼록부와 오목부가 번갈아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blique cutting groove may be formed in a zigzag alternately with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로 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하광상협(下廣上狹)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테이퍼 부재와, 상기 테이퍼 부재의 경사진 외주면 상에 내주면이 접촉하도록 결합하는 전기의 탄성 가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등산용 지팡이의 연결관 고정구조가 아울러 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nnecting tube made of a carbon fiber sheet or a carbon fiber fabric sheet, and a tapered member formed at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connecting tube, the inclined surface of which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n addition, there is also shown a connector fixing structure of the climbing cane, including an electric pressing device which is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clin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member.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로 된 다수개의 연결관과, 최상단의 연결관에 결합하는 손잡이와, 최하단의 연결관에 결합하는 착지 팁부와, 이웃하는 연결관 간의 결합부위에 장착되는 전기의 연결관 고정구조를 가지는 등산용 지팡이가 제시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onnectors made of carbon fiber sheets or carbon fiber fabric sheets, a handle coupled to the uppermost connector, a landing tip coupled to the lowermost connector, and a neighboring connector Climbing sticks having an electrical connector fixing structure mounted on the joints of the liver are provided.

여기서, 상기 연결관은 내측의 카본 파이버 시트층과 외측의 섬유시트층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공관 형상으로 할 수 있다.
Here, the connecting tube may have a hollow tube shape consisting of a double layer of an inner carbon fiber sheet layer and an outer fiber sheet layer.

본 발명에 의하면 탄성 가압구의 절개홈과 이에 의하여 분할되는 분할편이 사선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테이퍼부재와의 결합으로 인하여 분리된 각 분할편들이 확장되는 경우에도 카본 파이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확장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카본 파이버 간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아 파손의 우려가 없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cision groove and the divided piece divided by the elastic pressing hole are formed to be inclined diagonally, even when each divided piece is expanded due to the coupling with the taper member, the expansion force in the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bon fiber is expanded. As a result, the gap between the carbon fibers is not widened and there is no fear of breakage.

특히, 연결관으로서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와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연결 부위의 강도가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In particular, when the carbon fiber fabric shee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elastic press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connecting pip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ength of the connecting portion is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는 종래의 세로형 절개홈을 가지는 탄성 가압구에 비하여 연결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마찰력을 증가시켜 연결관 고정력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press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increasing the friction force 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by increasing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lastic pressing hole having a longitudinal incision groove has an advantage of excellent connector fixing force.

도1은 종래의 일반적인 등산용 지팡이의 개략적인 외관도.
도2는 종래의 탄성 가압구의 일 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
도3은 종래의 탄성 가압구가 장착된 지팡이 연결부의 종단면도.
도4는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지팡이 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5는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지팡이 고정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6은 종래의 다른 예에 의한 탄성 가압구의 사시도.
도7은 종래의 탄성 가압구를 채택한 등산용 지팡이 연결부의 파손 상태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지팡이의 외관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가압구의 외관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가 장착된 연결관 고정부의 구조도.
도11은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가 연결관의 카본 파이버에 미치는 힘의 방향 을 예시적으로 표현한 개념도.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가압구의 외관 사시도.
도13은 도12의 탄성 가압구가 장착된 연결관 고정부의 단면 구조도.
도14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탄성 가압구의 외관 사시도.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등산용 지팡이의 외관도.
도21은 도20의 절단선 XXI-XXI에 따른 횡단면도.
1 is a schematic external view of a conventional general hiking stick.
Figure 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lastic pressing sphere.
Figure 3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cane connection is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elastic pressing hole.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ne fix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Figure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ane fixing means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conventional example.
Figure 7 is a broken state of the climbing stick connection portion employing a conventional elastic pressing hole.
Figure 8 is an external view of a climbing stick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press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structural view of the connector fixing part is equipped with an elastic pressing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conceptual diagram exemplarily illustrating a direction of a force exerted on the carbon fiber of the connecting pipe by the elastic press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connector fixing member to which the elastic pressing hole of FIG. 12 is mounted; FIG.
14 to 19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ternal view of a climb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cross sectional view along cut line XXI-XXI in FIG. 20; FIG.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된 다수개의 실시예들에서는 모두 동일한 원칙에 의하여 일관성 있게 도면부호를 정의하였으므로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각 실시예 간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Since a plurality of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ave been consistently defin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by the same principle, overlapping description of the same member will be omitted and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mbodiments.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등산용 지팡이의 외관도이고,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 가압구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10은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가 장착된 연결관 고정부의 구조도이다. 8 is an external view of a climbing sti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pressing too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 structural view of a connector fixing part equipped with the elastic pressing tool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등산용 지팡이(100)는 손잡이(101), 상기 손잡이(101)의 하단에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1 내지 제3 연결관(111,112,113), 최하단에 배치되는 말단관체(114) 및 말단관체(114)의 하단에 배치되는 착지 팁부(115)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16,117,118은 각 연결관 사이에 장착되는 연결링을 나타낸다. Climbing can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handle 101,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pipes (111, 112, 113) are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lower end of the handle 101, the terminal tube 114 and the terminal tube (located at the bottom end) It consists of a landing tip portion 115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114. 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116, 117, and 118 denote connecting rings mounted between the respective connecting pipes.

제1 내지 제3 연결관(111~113)은 각각 중공 관체의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서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를 서로 직교하도록 교차시켜 배열한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된다. Each of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pipes 111 to 113 has a shape of a hollow tube and is formed by using a carbon fiber fabric sheet or a carbon fiber fabric sheet arranged by crossing the carbon fibers so as to cross at right angles to each other.

상기 각 연결관(111~113)을 형성하는 카본 파이버 시트는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다수의 카본 파이버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을 프리 프레그(prepreg)처리하여 형성된다. 즉 카본 파이버를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열가소성 수지 등의 수지에 함침시켜 제조한다. The carbon fiber sheets forming the connecting pipes 111 to 113 are formed by prepreg treating a plurality of carbon fibers or carbon fiber fabrics arranged side by side in one direction. That is, it is manufactured by impregnating carbon fiber in resin, such as an epoxy resin, a polyester resin, and a thermoplastic resin.

이렇게 형성한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를 재단 -> 적층?권회공정 -> 테이핑 공정 -> 열처리/냉각공정 -> 탈심공정 -> 연마공정의 순서를 거치도록 하면 비로소 중공관 형상의 카본 연결관(또는 지주대:111~113)이 완성된다. When the carbon fiber sheet or carbon fiber fabric sheet thus formed is cut-> lamination and winding process-> taping process-> heat treatment / cooling process-> decentering process-> polishing process The coffin (or props: 111-113) is completed.

카본 연결관(111~113)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공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specific process of forming the carbon connection pipe (111 ~ 113) as follows.

먼저 환봉 형상의 맨들릴(미도시)의 외주면 전체에 탈형이 용이하도록 이형체를 도포한 다음, 그 위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소정 길이로 적당히 재단된 프리 프레그 처리된 카본 파이버 시트를 맨드릴의 외주면에 감아 접착한다. 구체적으로는 카본 파이버 시트의 끝 부분을 맨드릴의 표면에 접착한 다음 롤링장치(미도시)에 의하여 카본 파이버 시트를 맨드릴에 적층?권회한다. 이를 롤링 공정라 한다. First, a release body is applied to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und bar-shaped mandrel (not shown) to facilitate demoulding, and then an adhesive is applied thereon. The prepreg treated carbon fiber sheet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is woun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ndrel and bonded. Specifically, the end of the carbon fiber sheet is bonded to the surface of the mandrel, and then the carbon fiber sheet is laminated and wound on the mandrel by a rolling device (not shown). This is called a rolling process.

상기 롤링 공정을 마친 맨드릴 적층체의 최외면에 테이핑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필름을 감는다. 이를 테이핑 공정이라 하며, 상기 필름으로는 PET 필름이나 OPP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테이핑 공정은 롤링 공정을 거친 제품을 성형하기 전에 수행하는 것으로서 각 시트층 사이에 잔존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제품의 내부 적층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The film is wound around the outermost surface of the mandrel laminate after the rolling process using a taping device (not shown). This is called a taping process,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PET film or an OPP film as the film. This taping process is carried out before molding the product after the rolling process, to discharge the remaining air between each sheet layer to the outside and to increase the degree of internal lamination of the product.

이후, 테이핑 된 맨드릴과 시트 적층체를 일정시간 동안 단계적으로 온도를 가변시킴으로써 성형시킨 후 맨드릴을 탈형하게 된다. 이때 바람직한 성형 온도는 약 80~150 ℃ 범위이고, 가열시간은 약 1~4 시간 정도가 적당하다. Then, the tapered mandrel and sheet laminate are mold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step by step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the mandrel is demolded. At this time, the preferred molding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about 80 ~ 150 ℃, heating time is about 1 ~ 4 hours is suitable.

마지막으로 탈형된 카본 연결관(111~113) 본체의 양단부를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필름을 탈피한 후, 카본 연결관(111~113) 본체의 외주면을 센타레스 연마공정으로 연마한다. Finally, both ends of the demolded carbon connector tubes 111 to 113 are cut to the required lengths, and after peeling off the fil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rbon connector tubes 111 to 113 body is polished by a centerless polishing process.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서 제조된 카본 연결관(111~113)은 무게가 가벼울 뿐 아니라 강도가 우수하고 탄성력이 매우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Carbon connectors manufactured through such a process (111 ~ 113) is not only light in weight,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strength and excellent elasticity.

도8에 도시한 실시예의 연결관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를 적용하여 제조한 것을 예로 들고 있다.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는 일 방향으로만 배열한 카본 파이버 시트에 비하여 탄성 가압구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장력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등산용 지팡이에 보다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In the connecting tub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8, an example manufactured by applying a carbon fiber fabric sheet is taken as an example. The carbon fiber fabric sheet has a merit of being stronger in tensile force generated by the elastic pressing hole than the carbon fiber sheet arranged only in one direction, and thus may be more suitable for a walking stick.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130)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하여 개방되는 몸체부(131)와 상기 몸체부(131)의 하단에 다수개 이격하도록 형성되는 분할편(132)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9, the elastic pressing hole 1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plit portion 132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a plurality of body portions 131 having a central portion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a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31. )

상기 몸체부(131)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에는 내주면에 나사산(136a)이 형성되는 부쉬(136)가 장착된다. In the opening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31, a bush 136 having a thread 136 a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몸체부(131) 하단에는 사선방향으로 다수의 절개홈(133)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개홈(133)은 탄성 가압구(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하여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133)을 사선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에 따라 다수개의 분할편(132) 역시 각 절개홈(133)을 경계로하여 사선방향으로 배치되며, 각 분할편(132) 역시 탄성 가압구(130)의 원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배치된다.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133 are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at the bottom of the body portion 131, and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133 ar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elastic pressing hole 130. As the inclined groove 133 is formed to be inclined in a diagonal direction, a plurality of divided pieces 132 are also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f the incision grooves 133, and each divided piece 132 is also an elastic pressing hole 130. Are arranged spiral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이와 같은 탄성 가압구(130)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로 된 제2연결관(112)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는 테이퍼부재(121)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장착된다. As shown in FIG. 10, the elastic pressing hole 130 is mounted to contac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member 121 fixedly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ng pipe 112 made of a carbon fiber fabric sheet.

상기 테이퍼부재(121)의 상단에 형성되는 환봉부재(122)의 외주면 일부에는 나사산(122a)이 형성되어 탄성 가압구(130)에 장착되는 부쉬(136)의 나사산(136a)에 나합한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23은 상기 환봉부재(122)의 선단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이탈방지부재를 나타낸다. A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und bar member 12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taper member 121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122a to be screwed to the thread 136a of the bush 136 mounted to the elastic pressing hole 130. 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23 denotes a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mount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round bar member 122.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130)는 환봉부재(122)의 나사산(122a)을 타고 나사운동을 하면서 승강하게 되는데, 탄성 가압구(130)가 하강하는 경우 테이퍼부재(121)의 외주면 형상에 의하여 각 분할편(132)이 서로 벌어지게 된다. The elastic pressure por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fted while moving the screw rod 122a of the round bar member 122, when the elastic pressure port 130 is lowered b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hape of the tapered member 121 The divided pieces 13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그런데,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130)의 경우 종래의 탄성 가압구와는 달리 각 분할편이 탄성 가압구의 반경방향으로만 벌어지는 것이 아니라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인 사선방향으로도 벌어지게 된다. 따라서, 제1연결관(111)의 재료인 나란하게 배열된 카본 파이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게 된다. 즉, 나란하게 배열된 카본 파이버 간을 서로 떨어뜨리는 방향으로 잡아 당기지 않고 나란하게 배열된 카본 파이버들의 사선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인장력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탄성 가압구에 비하여 카본 파이버 배열에 미치는 악영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By the way, in the case of the elastic pressing devic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the conventional elastic pressing device, each of the divided pieces is not only open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elastic pressing hole but also in the diagonal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Therefore, a tensile force is appli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bon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which is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111. That is, without pulling the carbon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in a direction in which they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obliquely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carbon fibers arranged side by sid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adverse effect on the carbon fiber arrangement a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elastic pressing sphere.

이러한 원리는 제1연결관(111)의 소재로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를 채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단, 연결관의 소재를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로 하는 경우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130)와 조합하여 더욱 강한 강도를 가지게 되는 이점이 있다. This principle is the same even when the carbon fiber fabric sheet is adopted as the material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111. However, when the material of the connecting pipe is made of a carbon fiber fabric shee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has a stronger strength in combination with the elastic pressing por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1은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가 연결관의 카본 파이버에 미치는 힘의 방향 을 예시적으로 표현한 개념도이다. 도면에서 화살표 'd-d'의 방향이 배열된 카본 파이버들의 길이 방향이고, 화살표 'a-a' 방향으로 카본 파이버 가닥들이 나란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절개홈이 세로 방향으로 수직하게 직선으로 형성된 탄성 가압구를 사용하는 경우 카본 파이버에 미치는 힘인 인장력이 화살표 'a-a'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므로 카본 파이버 간을 벌리게 되고 결국 카본 파이버의 길이방향인 화살표 'd-d' 방향을 따라서 크랙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11 is a conceptual diagram exemplarily expressing the direction of the force applied to the carbon fiber of the connecting tube of the elastic pressing sphe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d-d'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ranged carbon fibers, and the carbon fiber strands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a'.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an elastic pressing hole formed in a straight line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in the prior art, the tensile force, which is a force applied to the carbon fiber, acts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a', thus spreading the space between the carbon fibers and eventually the length of the carbon fiber. The crack is generat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arrow 'dd'.

그러나,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130)에 의하면 분할편(132)이 벌여져 확장되는 경우에도 카본 파이버에 미치는 인장력이 도시한 화살표 'b-b' 또는 'c-c' 방향으로 작용하게 되어 카본 파이버 간의 간격이 벌어져 크랙이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However, according to the elastic pressing device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split piece 132 is opened and expanded, the tensile force acting on the carbon fiber acts in the direction of arrow 'bb' or 'cc' as shown, so that the gap between the carbon fibers This will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카본 파이버는 그 섬유 배열의 특성상 섬유의 길이방향과 사선방향으로는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130)를 적용하게 되면 카본 파이버 소재의 연결관이 파손될 우려가 없게 된다. Carbon fibers are known to have excellent strength in the longitudinal and diagonal directions of fiber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ber arrangement. Therefore, when the elastic pressing port 13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re is no fear that the connection pipe of the carbon fiber material is damaged.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성 가압구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13은 도12의 탄성 가압구가 장착된 연결관 고정부의 단면 구조도이다. 1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pressing to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of a connector fixing part equipped with the elastic pressing tool of FIG. 12.

전술한 실시예의 탄성 가압구(130)는 외주면 형상이 단순한 원통형 또는 원뿔대 형상을 가지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부는 원뿔대의 형상을 가지고 하부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조합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원통 형상의 하부 구조의 내주면은 원뿔대 형상의 테이퍼부재(121)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내측 테이퍼부(141c)가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 가압구(140)의 상부 외주면에는 위에서 아래로 내려올수록 직경이 커지도록 외측 경사부(141a)가 형성되며, 하부 외주면에는 위에서 아래로 직경이 일정하도록 상기 외측 경사부(141a)에서 연장되는 평탄부(141b)가 형성된다. The elastic pressing hole 13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has a cylindrical or truncated cone shape having a simpl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portion has a truncated cone shape and a lower portion has a cylindrical shape. In addition, an inner tapered portion 141c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lower structure to correspon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hape of the truncated taper member 121. That is, the outer inclined portion 141a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lastic pressing hole 140 so as to increase in diameter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extends from the outer inclined portion 141a so that the diameter is constant from the top to the low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lat portion 141b is formed.

여기서 상기 내측 테이퍼부(141c)의 직경은 이에 결합하는 테이퍼부재(121)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한다. 즉, 도13의 경우 내측 테이퍼부(141c)에 테이퍼부재(121)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 위치에서 같은 높이에 있는 내측 테이퍼부(141c)의 직경이 대응하는 위치의 테이퍼부재(121)의 직경보다 커야한다는 의미이다. 실제로 이 상태에서는 직경이 큰 테이퍼부재(121)에 의하여 탄성 가압구(140)의 몸체부(141)의 분할편(142)이 외측으로 확장되어 벌어진 형상을 가지게 되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벌어지지 않은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The diameter of the inner tapered portion 141c is slightly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apered member 121 coupled thereto. That is, in FIG. 13, the tapered member 121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inner tapered portion 141c. At this position, the taper member 121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tapered portion 141c at the same height is shown. Means that it must be larger than the diameter. In this state, the tapered member 121 has a diameter of the divided piece 142 of the body portion 141 of the elastic pressing hole 140 is expanded to the outside and has a shape that is opened, but in the drawing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Not shown based on state.

이처럼 탄성 가압구(140)의 상?하부를 원뿔대 형상과 원통형 형상으로 조합하여 형성하게 되면, 테이퍼부재(121)의 밀착 삽입시 각 분할편(142)이 제1연결관(111)이 내주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하여 고정력이 향상된다. 즉, 테이퍼부재(121)가 탄성 가압구(140)의 내측 테이퍼부(141c)로 삽입되면서 분할편(142)을 외측으로 벌릴 때 탄성 가압구(140)의 평탄부(141b)의 외측면 전체가 제1연결관(111)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종래에 비하여 접촉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elastic pressing hole 140 are formed in such a way as to form a truncated cone and a cylindrical shape, each of the divided pieces 142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111 when the tapered member 121 is closely inserted. The contact area is increased, and the fixing force is improved. That is, when the taper member 121 is inserted into the inner tapered portion 141c of the elastic pressing hole 140 and the split piece 142 is spread outward, the entire outer surface of the flat portion 141b of the elastic pressing hole 140 is opened. Is able to contac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connecting pipe 111 is to increase the contact friction force compared to the prior art.

본 실시예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하부의 원통형 형상의 평탄부(141b)의 외면에 다수개의 사선 방향 절개홈(143)과 분할편(142)이 형성되는 이치는 마찬가지이다.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diagonal cut grooves 143 and the divided pieces 142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ylindrical flat portion 141b. The same is true.

도14 내지 도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의한 탄성 가압구의 외관 사시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절개홈(133,143)이 직선 형태를 이루고 있으나, 본 실시예들에서는 각 절개홈(153~203)들이 모두 볼록부(153a~203a)와 오목부(153b~203b)가 번갈아 배치되도록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14 to 19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press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lurality of cutout grooves 133 and 143 formed in the diagonal direction form a straight line, but in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cutout grooves 153 to 203 is a convex portion 153a to 203a and a concave portion ( 153b to 203b are alternately arranged in a zigzag pattern.

도14 및 도17의 경우에는 연속하는 각 볼록부(153a,183a)와 오목부(153b,183b)가 사각형상이며, 도15 및 도18의 경우에는 각 볼록부(163a,193a)와 오목부(153b,193b)가 곡선을 이루며, 도16 및 도19의 경우에는 볼록부(173a,203a)와 오목부(173b,203b)가 연속하여 마루와 골의 형태를 띄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14 and 17, the convex portions 153a and 183a and the concave portions 153b and 183b are rectangular in shape. In the case of Figs. 15 and 18, the convex portions 163a and 193a and the concave portions. 16 and 19, the convex portions 173a and 203a and the concave portions 173b and 203b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floor and a valley.

이러한 다양한 구조의 절개홈(153~203)을 가지는 탄성 가압구의 변형예들(150~200)도 모두 카본 파이버의 크랙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본 파이버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게 되는 구조이다. All of the modified examples 150 to 200 of the elastic pressing holes having the cut grooves 153 to 203 having various structures are also structures in which tensile force is applied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rbon fiber to prevent cracking of the carbon fiber. .

본 발명의 탄성 가압구(130~200)들의 경우 종래 수직 절개홈을 가지는 탄성 가압구에 비하여 연결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면적이 증대되어 마찰력이 증가함으로써 연결관 고정력이 우수해지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elastic pressing holes 130 to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rea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ng pipe is in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lastic pressing hole having a vertical incision groove, thereby increasing the frictional force, thereby providing an excellent connector fixing force.

도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등산용 지팡이의 외관도이고, 도21은 도20의 절단선 XXI-XXI에 따른 횡단면도이다. 20 is an external view of a climbing sti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cutting line XXI-XXI of FIG. 20.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내지 제3 연결관(111~113)을 카본 파이버 시트의 단일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층으로 구성한다. 즉,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카본 파이버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로 된 카본 파이버 시트층(112a) 위에 섬유시트층(112b)을 형성하는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pipes 111 to 113 are not formed of a single layer of carbon fiber sheets but are composed of two layers. That is, the fiber sheet layer 112b is formed on the carbon fiber sheet layer 112a made of carbon fibers or carbon fiber fabrics arranged in one direction.

상기 섬유시트층(112b) 역시 프리 프레그 처리된 것으로서 천연 또는 합성섬유로서 나뭇잎, 나뭇결 무늬와 같은 위장무늬나 상표, 로고, 캐릭터 도안 등이 나염처리 또는 전사처리된 것을 사용한다. The fibrous sheet layer 112b is also prepreg treated as natural or synthetic fibers, such as camouflage patterns such as leaves and wood grain patterns, or trademarks, logos, character designs, or the like.

이와 같이 탄성 시트인 카본 파이버 시트층(112a)과 비탄성 시트층인 섬유시트층(112b)을 조합하여 형성하는 경우 연결관(111~113)의 외관이 수려할 뿐 아니라 연결관(111~113)의 강도가 보강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제1내지 제3 연결관(111~113)의 외주면에 전사지나 스티커를 부착하여 외관을 장식하는 경우 장식 무늬가 잘 마모되거나 벗겨짐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처럼 카본 파이버 시트층(112a) 위에 섬유시트층(112b)을 중첩하여 형성하는 경우 무늬가 잘 벗겨지지 않고 전사지나 스티커를 별도를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s such, when the carbon fiber sheet layer 112a, which is an elastic sheet, and the fiber sheet layer 112b, which is an inelastic sheet layer, are formed in combination, not only the appearance of the connecting pipes 111 to 113 is beautiful but also the connecting pipes 111 to 113.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rength of the reinforcement. In particular, the decorative sheet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to third connecting pipes (111 to 113) to decorate the appearance, the decorative pattern is well worn or peeled off as compared to the fiber sheet on the carbon fiber sheet layer 112a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where the layers 112b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pattern may not be peeled off well and the process of attaching the transfer paper or the sticker may be omitted.

상기 카본 파이버 시트층(112a) 위에 섬유시트층(112b)을 형성하는 방법은 위에서 기술한 각 연결관(111~113)의 제조공정 중 적층?권회 공정에서 맨드릴에 감겨진 카본 파이버 시트층 위에 섬유시트를 추가로 감은 후 이후의 공정을 전술한 것과 동일하게 진행하면 된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fiber sheet layer 112b on the carbon fiber sheet layer 112a may include forming a fiber on the carbon fiber sheet layer wound on the mandrel during the lamination and winding process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nnecting pipes 111 to 113 described above. After further winding the sheet, the subsequent steps may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지팡이의 연결관들의 연결부위에 장착되는 탄성 가압구에 관한 것으로서 분할편의 확장력에 의하여 카본 파이버 시트로 된 연결관의 연결부위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연결구조에 채택하게 되면 강도, 중량 및 탄성력의 면에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카본 파이버 소재의 등산용 지팡이를 널리 보급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astic pressing hole mounted 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of the cane made of carbon fiber sheet or carbon fiber fabric sheet,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ion pipe made of carbon fiber sheet is broken by the expansion force of the split piece. It is to prevent becoming. Therefore, if the present invention is adopted in the connection structure, it will be able to widely spread the climbing stick made of carbon fiber material exhibiting excellent performance in terms of strength, weight and elastic force.

100: 등산용 지팡이 101: 손잡이
111~113: 제1 내지 제3 연결관 114: 말단 관체
115: 착지 팁부 116~118: 제1 내지 제3 연결링
112a: 카본 파이버 시트 112b: 섬유시트
121: 테이퍼 부재 122: 환봉 부재
122a: 나사산 123: 이탈방지부재
130~200: 탄성 가압구 131~201: 몸체부
132~202: 분할편 133~203: 절개홈
153a~203a: 볼록부 153b~203b: 오목부
100: hiking stick 101: handle
111 to 113: first to third connecting pipes 114: terminal pipe
115: landing tip portion 116 to 118: first to third connection ring
112a: carbon fiber sheet 112b: fiber sheet
121: taper member 122: round bar member
122a: thread 123: release preventing member
130 to 200: elastic pressing holes 131 to 201: body portion
132-202: Split piece 133-203: Incision groove
153a-203a: convex portions 153b-203b: concave portions

Claims (6)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하부 연결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테이퍼 부재의 외주면 상에서 확장되어 상부 연결관의 내주면을 가압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앙부가 상하로 관통하여 개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일정 간격 이격하여 사선방향의 절개홈을 다수개 형성함으로써 각 절개홈을 경계로 하는 다수개의 분할편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지팡이의 탄성 가압구. Body portion which is exten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apered member formed on the distal end of the lower connecting pipe formed by using a carbon fiber sheet or a carbon fiber fabric sheet to pressurize and fix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pipe, and has a central portion penetrating upward and downward. And elastically pressing the climbing stick,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divided pieces bounding each cutting groove are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by forming a plurality of diagonal cut grooves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phras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부쉬가 중앙의 개구부에 삽입하여 장착되는 원뿔대 형상의 외측 경사부와, 내측면에 상기 테이퍼 부재의 외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내측 테이퍼부가 경사지게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절개홈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원통 형상의 평탄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지팡이의 탄성 가압구.
The method of claim 1,
The body portion has a truncated outer inclined portion having a truncated conical shape in which a bush having a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serted into a central opening, and an inner tapere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hape of the tapered member is inclined on the inner surface, and a plurality of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are inclined. Elastic pressing hole of the climbing stick,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groove is made of a cylindrical flat portion formed in an oblique direc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선방향의 절개홈은 볼록부와 오목부가 번갈아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지팡이의 탄성 가압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oblique incision groove is an elastic pressing hole of the climbing stick,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vex portion and the concave portion are alternately formed zigzag.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로 된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외주면에 하광상협(下廣上狹)의 경사면이 형성되는 테이퍼 부재와, 상기 테이퍼 부재의 경사진 외주면 상에 내주면이 접촉하도록 결합하는 제1항 또는 제2항의 탄성 가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등산용 지팡이의 연결관 고정구조. A connecting tube made of a carbon fiber sheet or a carbon fiber fabric sheet, a tapered member formed on the distal end of the connecting tube, the tapered member having an inclined surface of a lower light cooperating side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n inclined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apered member A connector fixing structure for a climbing stick, comprising the elastic pressing tool of claim 1 or 2 coupled 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n contact therewith. 카본 파이버 시트 또는 카본 파이버 직물 시트로 된 다수개의 연결관과, 최상단의 연결관에 결합하는 손잡이와, 최하단의 연결관에 결합하는 착지 팁부와, 이웃하는 연결관 간의 결합부위에 장착되는 제4항의 연결관 고정구조를 가지는 등산용 지팡이. 4. A plurality of connectors made of carbon fiber sheets or carbon fiber fabric sheets, a handle for engaging the uppermost connector, a landing tip for engaging the lowermost connector, and a coupling between the adjacent connectors Climbing cane with connector fixing structur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내측의 카본 파이버 시트층과 외측의 섬유시트층의 이중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공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산용 지팡이.
The method of claim 5,
The connecting tube is a climbing stick,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tube consisting of a double layer of the inner carbon fiber sheet layer and the outer fiber sheet layer.
KR1020100138724A 2010-12-30 2010-12-30 Elastic pressing member for mountain-climbing stick, connecting structure with the same and mountain-climbing stick with the connecting structure KR1012184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724A KR101218455B1 (en) 2010-12-30 2010-12-30 Elastic pressing member for mountain-climbing stick, connecting structure with the same and mountain-climbing stick with the connectin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724A KR101218455B1 (en) 2010-12-30 2010-12-30 Elastic pressing member for mountain-climbing stick, connecting structure with the same and mountain-climbing stick with the connecting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942A true KR20120076942A (en) 2012-07-10
KR101218455B1 KR101218455B1 (en) 2013-01-04

Family

ID=46710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724A KR101218455B1 (en) 2010-12-30 2010-12-30 Elastic pressing member for mountain-climbing stick, connecting structure with the same and mountain-climbing stick with the connectin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845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4062U1 (en) * 2021-02-24 2021-05-05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Гусев ASSEMBLY STICK FOR SPORT, TOURISM AND HIK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526Y1 (en) * 1998-03-21 2000-06-01 김중식 An alpenstock
KR100488770B1 (en) * 2003-09-06 2005-05-12 라제건 Locking device for assemblable walking stick
AT7093U1 (en) * 2003-12-15 2004-10-25 Komperdell Sportartikel Gmbh CLAMPING DEVICE FOR TELESCOPICALLY SLIDING TUBES
KR100768638B1 (en) * 2006-12-05 2007-10-18 손대업 Connector for sti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4062U1 (en) * 2021-02-24 2021-05-05 Владимир Васильевич Гусев ASSEMBLY STICK FOR SPORT, TOURISM AND HI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8455B1 (en) 2013-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93617A1 (en) One piece polygonal carbon fiber rod with integral spine
RU2679304C2 (en) Inflatable medical balloons with continuous fiber wind
JP5050255B2 (en) Sport stick fixing device with variable length
KR101028165B1 (en) The fixing instrument for a pipe
KR980000508A (en) Wooden baseball bat coated with composite material,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ame
CZ2002490A3 (en) Process for producing a bicycle wheel hub,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and a hub thus obtained
KR101499474B1 (en) Method for Producing pipe
KR101218455B1 (en) Elastic pressing member for mountain-climbing stick, connecting structure with the same and mountain-climbing stick with the connecting structure
KR101332936B1 (en) A safety walking stick
EP2729222B1 (en) Shuttlecock
US20210025231A1 (en) Composite Rung for a Ladder and Method
KR101218881B1 (en) A mountain-climbing stick with a spiral type elastic fixing means
KR20120076946A (en) Connecting means for mountain-climbing stick and mountain-climbing stick with the same
CN110934115A (en) Fishing rod and rod body
US9622567B2 (en) Cleaning broom
US2192040A (en) Ferrule for an umbrella stick and the like
KR20120041997A (en) Cane
CN110934114B (en) Fishing rod and rod body
JP4311534B2 (en) Earhead
US2144141A (en) Umbrella and the like frame structure
US9708849B1 (en) Curtain assembly
KR200400475Y1 (en) Connecting Structure of Tent Pole
CN211268237U (en) Novel fishing rod with improved strength
US20040123889A1 (en) Connection of stretchers or ribs and joints of umbrellas
KR200222686Y1 (en) Pole for supporting tent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