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894A -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894A
KR20120076894A KR1020100138657A KR20100138657A KR20120076894A KR 20120076894 A KR20120076894 A KR 20120076894A KR 1020100138657 A KR1020100138657 A KR 1020100138657A KR 20100138657 A KR20100138657 A KR 20100138657A KR 20120076894 A KR20120076894 A KR 201200768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astening
tube
pai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0600B1 (ko
Inventor
김영준
Original Assignee
김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준 filed Critical 김영준
Priority to KR102010013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6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3/00Parallel bars or similar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한 쌍의 메인 프레임으로서, 각 메인 프레임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에 연접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각관; 및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의 타단에 체결되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각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PARALLEL BARS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에 각관을 끼우기만 하면 평행봉의 조립이 완료되어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조립을 해체한 후 휴대할 수 있으므로, 우천시 등 외부에서의 평행봉 사용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해체된 평행봉을 실내로 운반한 후 평행봉을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언제 어디서나 평행봉 사용이 가능한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행봉은 일정 높이를 갖는 두 쌍의 철재 또는 목재 기둥을 대지 등에 일정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하고 각 쌍의 기둥 상단부에 각각 횡목을 평행하게 고정 설치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평행봉을 이용하여 운동은 실시하게 되면 상체 각 관절의 조절능력과 평행감각 향상은 물론 협조성과 평행감각에 좋으며, 인체의 목, 흉근(가슴근육)과 삼각근(어깨근육) 및 삼두근(팔 뒤쪽) 등이 발달은 물론 근력과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어깨와 팔꿈치 및 손목관절의 기능성 장애의 회복과 효과가 있다.
특히, 발목을 평행봉에 걸로 허리를 뒤로 꺾을 경우 발목 근육, 허벅지 근육, 복부 근육 등이 발달하고 허리뼈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평행봉은 일반 운동장이나 그린 공원 등지는 물론 개천 주변이나 산책로 등 다양한 장소에 널리 설치되어 남녀노소에 무관하게 누구라도 쉽게 사용하여 운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 대부분의 평행봉은 실내가 아닌 외부 장소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악천우나, 고온 또는 저온 등 기상상황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에서 평행봉을 이용하여 운동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평행봉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고정설치된 것처럼 안정성이 보장된 휴대형 평행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언제 어디서나 사용자가 필요할 때마다 평행봉을 이용할 수 있도록 그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고정설치된 것처럼 안정성이 보장된 휴대형 평행봉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평행봉은, 한 쌍의 메인 프레임으로서, 각 메인 프레임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에 연접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각관; 및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의 타단에 체결되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각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메인부; 및 상기 메인부의 각 단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중공의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부는 상기 체결부로 연장되는 부분의 반대 위치에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각관은 상기 메인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를 통과하고, 상기 제2 각관은 상기 메인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를 통과하고,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상기 체결부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는 체결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에 나사를 죔으로써 상기 제1 각관 및 상기 제2 각관을 각각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된 제1 각관 및 제2 각관은 그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제1 각관 및 상기 제2 각관의 하측에는 고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평행봉의 조립방법은,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각 메인 프레임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에 연접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의 일단에 제1 각관을 체결하여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의 타단에 제2 각관을 체결하여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메인부; 및 상기 메인부의 각 단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중공의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부는 상기 체결부로 연장되는 부분의 반대 위치에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각관을 체결하여 한 쌍의 메임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각관을 상기 메인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를 통과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제2 각관을 체결하여 한 쌍의 메임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각관을 상기 메인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를 통과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상기 체결부는 서로 마주보고 있다.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는 체결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각관을 체결하여 한 쌍의 메임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홀에 나사를 죔으로써 상기 제1 각관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각관을 체결하여 한 쌍의 메임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홀에 나사를 죔으로써 상기 제2 각관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된 제1 각관 및 제2 각관은 그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길다.
상기 제1 각관 및 상기 제2 각관의 하측에는 고무가 부착되어 있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에 각관을 끼우기만 하면 평행봉의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조립을 해체한 후 휴대할 수 있으므로, 우천시 등 외부에서의 평행봉 사용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해체된 평행봉을 실내로 운반한 후 평행봉을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언제 어디서나 평행봉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조립된 각관의 경우, 일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뻗어있는 각관의 길이가 다른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뻗어있는 각관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평행봉 사용시 사용자의 과도한 동작에도 평행봉이 전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평행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각관의 하측에는 고무가 부착되어 있어 평행봉 사용시 평행봉이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평행봉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관의 하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평행봉의 조립순서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의 각 메인 프레임은 손잡이부(10), 상기 손잡이부(10)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부(20),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10)에 연접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20)에 연접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30)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30)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메인부(22); 및 상기 메인부(22)의 각 단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중공의 체결부(24,24')를 구비한다. 상기 메인부(22)에는 상기 체결부(24,24')로 연장되는 부분의 반대 위치에 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부(22)의 통공(23)에서부터 상기 체결부(24,24')의 끝단까지 그 내부가 비어 있는 형태이다. 후술할 각관은 상기 체결부(24,24')와 상기 메인부(22)의 통공(23)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24,24')와 상기 메인부(22)를 통과하게 된다.
또한, 체결부(24,24')의 상단에는 체결홀(25)이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홀이 마련되어 있으나,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결홀은 생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평행봉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각관(200)은 각 메인 프레임(100,100')의 받침부(20)의 일단에 체결되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을 연결하고 있다. 한편, 제2 각관(300)은 각 메인 프레임(100,100')에서의 받침부(20)의 타단에 체결되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을 연결하고 있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제1 각관(200)은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의 상기 메인부(22)의 일단부에서 상기 메인부(22)의 통공(23)과 상기 체결부(2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부(22)와 상기 체결부(24)를 통과하고 있다. 이로써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2 각관(300)은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의 상기 메인부(22)의 타단부에서 상기 메인부(22)의 통공(23)과 상기 체결부(24')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부(22)와 상기 체결부(24')를 통과하고 있다. 이로써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은 서로 연결된다. 이 때,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에서의 각 체결부(24,24')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24,24')의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체결홀(25)에 나사(26)가 죄어져 있다. 이는 상기 제1 각관(200) 및 상기 제2 각관(300)을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홀에 나사가 죄어져 있지만,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체결홀에 나사가 죄어져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고정된 제1 각관(200) 및 제2 각관(300)은 그 일단의 길이(L)가 타단의 길이(l)보다 길다. 즉, 일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뻗어 있는 제1 각관(200) 및 제2 각관(300)의 길이(L)가 다른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뻗어 있는 제1 각관(200) 및 제2 각관(300)의 길이(l)보다 길다. 이와 같이, 상기 길이(L)가 상기 길이(l)보다 길기 때문에 평행봉 사용자가 무리한 동작을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평행봉이 전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관의 하단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각관(200) 및 상기 제2 각관(300)의 하측에는 고무(40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고무(400)는 평행봉 사용시 상기 제1 각관(200) 및 상기 제2 각관(30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가 부착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고무가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평행봉의 조립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평행봉의 조립순서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4a를 참조하면,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을 준비한다(S10).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의 각 메인 프레임은 손잡이부(10), 상기 손잡이부(10)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10)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부(20),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10)에 연접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20)에 연접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30)를 구비한다. 상기 받침부(2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30)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메인부(22), 및 상기 메인부(22)의 각 단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중공의 체결부(24,24')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부(22)는 상기 체결부(24,24')로 연장되는 부분의 반대 위치에 통공(23)을 구비한다. 상기 체결부(24,24')의 상단에는 체결홀(25)이 마련되어 있다.
이 후,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의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20)의 일단에 제1 각관(200)을 체결하여(S20)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100')의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20)의 타단에 제2 각관(300)을 체결하여(S30)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각관(200)을 상기 메인부(22)의 일단부에서 상기 메인부(22)의 통공(23)과 상기 체결부(24)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메인부(22)와 상기 체결부(24)를 통과시키고(S20'), 상기 제2 각관(300)을 상기 메인부(22)의 타단부에서 상기 메인부(22)의 통공(23)과 상기 체결부(24')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메인부(22)와 상기 체결부(24')를 통과시킨다(S30'). 이 때, 제1 각관(200) 및 제2 각관(300)은 그 일단의 길이(L)가 타단의 길이(l)보다 길게 되도록 한다. 즉, 일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뻗어 있는 제1 각관(200) 및 제2 각관(300)의 길이(L)가 다른 메인 프레임(100')의 외측으로 뻗어 있는 제1 각관(200) 및 제2 각관(300)의 길이(l)보다 길게 되도록 한다. 상기 길이(L)가 상기 길이(l)보다 길기 때문에 평행봉 사용자가 무리한 동작을 하더라도 본 발명에 따른 평행봉이 전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0단계 및 상기 30단계 수행시에는 상기 각 메인 프레임(100,100')의 각 체결부(24,24')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다.
이 후, 상기 체결부(24)의 상기 체결홀(25)에 나사(26)를 죔으로써 상기 제1 각관(200)을 고정시키고(S22), 상기 체결부(24')의 상기 체결홀(25)에 나사(26)를 죔으로써 상기 제2 각관(300)을 고정시킨다(S32). 본 실시예에서는 S22 단계와 S32 단계를 포함하고 있지만, 대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S22 단계와 S32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에 각관을 끼우기만 하면 평행봉의 조립이 완료되므로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 조립을 해체한 후 휴대할 수 있으므로, 우천시 등 외부에서의 평행봉 사용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해체된 평행봉을 실내로 운반한 후 평행봉을 다시 조립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언제 어디서나 평행봉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조립된 각관의 경우, 일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뻗어있는 각관의 길이가 다른 메인 프레임의 외측으로 뻗어있는 각관의 길이보다 길기 때문에, 평행봉 사용시 사용자의 과도한 동작에도 평행봉이 전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평행봉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손잡이부 20: 받침부
22: 메인부 24,24': 체결부
25: 체결홀 26: 나사
30: 지지부 100,100': 메인 프레임
200: 제1 각관 300: 제2 각관
400: 고무

Claims (10)

  1. 한 쌍의 메인 프레임으로서, 각 메인 프레임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에 연접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의 일단에 체결되어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각관; 및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의 타단에 체결되는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각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메인부; 및 상기 메인부의 각 단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중공의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부는 상기 체결부로 연장되는 부분의 반대 위치에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각관은 상기 메인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를 통과하고,
    상기 제2 각관은 상기 메인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를 통과하고,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상기 체결부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는 체결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에 나사를 죔으로써 상기 제1 각관 및 상기 제2 각관을 각각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제1 각관 및 제2 각관은 그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
  5.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관 및 상기 제2 각관의 하측에는 고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
  6.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각 메인 프레임은,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평행한 상태로 상기 손잡이부의 하부에 위치된 받침부; 및 일단이 상기 손잡이부에 연접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받침부에 연접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의 일단에 제1 각관을 체결하여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받침부의 타단에 제2 각관을 체결하여 상기 한 쌍의 메인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의 조립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의 각 하단을 연결하는 메인부; 및 상기 메인부의 각 단부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중공의 체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메인부는 상기 체결부로 연장되는 부분의 반대 위치에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각관을 체결하여 한 쌍의 메임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각관을 상기 메인부의 일단부에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를 통과시키는 단계이고,
    상기 제2 각관을 체결하여 한 쌍의 메임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2 각관을 상기 메인부의 타단부에서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상기 메인부와 상기 체결부를 통과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각 메인 프레임의 상기 체결부는 서로 마주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의 조립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상단에는 체결홀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1 각관을 체결하여 한 쌍의 메임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홀에 나사를 죔으로써 상기 제1 각관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각관을 체결하여 한 쌍의 메임 프레임을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체결홀에 나사를 죔으로써 상기 제2 각관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의 조립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된 제1 각관 및 제2 각관은 그 일단의 길이가 타단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의 조립방법.
  10. 제6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각관 및 상기 제2 각관의 하측에는 고무가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평행봉의 조립방법.


KR1020100138657A 2010-12-30 2010-12-30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 KR101230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657A KR101230600B1 (ko) 2010-12-30 2010-12-30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657A KR101230600B1 (ko) 2010-12-30 2010-12-30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894A true KR20120076894A (ko) 2012-07-10
KR101230600B1 KR101230600B1 (ko) 2013-02-06

Family

ID=46710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657A KR101230600B1 (ko) 2010-12-30 2010-12-30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06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4654A (zh) * 2016-10-27 2017-03-08 东莞市天合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移动式双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507B1 (ko) * 2014-12-10 2016-09-09 김태화 실내용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998U (ko) * 2008-04-03 2008-05-13 임승수 실내용 평행봉 운동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74654A (zh) * 2016-10-27 2017-03-08 东莞市天合机电开发有限公司 一种移动式双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0600B1 (ko) 2013-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20252B2 (en) Collapsible gym equipment
US20130225372A1 (en) Apparatus for Performing Body Exercises Having Pivotally Mounted Stabilizers
CN102725037B (zh) 用于球类运动的可折叠球门装置
US20140200123A1 (en) Exercise apparatus including a dip bar
US20120115684A1 (en) Pull-Up Bar
US3920240A (en) Inclined portable exercise frame
US8783329B2 (en) Sun shader apparatus
US8715095B2 (en) Outdoor playground with shading apparatus
KR101230600B1 (ko) 휴대형 평행봉 및 이의 조립방법
CN107823840A (zh) 蹦床
CN106110611B (zh) 一种隔网类体育项目便携式球网柱
US11130011B2 (en) Closed trampoline frame and trampoline with the closed trampoline frame
US11426619B1 (en) Exercise rack
CN204522184U (zh) 一种便携式折叠篮架
CN204427348U (zh) 一种改良式蚊帐支架
CN202831776U (zh) 一种附属帐篷
CN204972916U (zh) 一种两用球网
CN204485174U (zh) 一种便携式蹦极床
CN210145379U (zh) 一种健身装置
CN206777659U (zh) 双杠
CN205164024U (zh) 带连杆扭腰踏步机
CN220656394U (zh) 一种田径跨栏
CN205866996U (zh) 一种支被架
CN203539968U (zh) 家庭快捷组装多功能健身器
CN219231385U (zh) 一种特殊儿童用可伸缩篮球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