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870A -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870A
KR20120076870A KR1020100138617A KR20100138617A KR20120076870A KR 20120076870 A KR20120076870 A KR 20120076870A KR 1020100138617 A KR1020100138617 A KR 1020100138617A KR 20100138617 A KR20100138617 A KR 20100138617A KR 20120076870 A KR20120076870 A KR 20120076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amp
external
ultraviolet lamp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2939B1 (ko
Inventor
곽진준
조득형
Original Assignee
곽진준
조득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진준, 조득형 filed Critical 곽진준
Priority to KR1020100138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9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7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외선램프; 상기 상판의 외부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일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배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하부를 덮도록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판커버;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기구와 일측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판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는 흡입팬 및 배기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팬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공기 오염이 우려되는 실내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통해 실내에 번식하고 있는 유해세균을 박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Air steriliz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의 공기 내 유해 세균을 제거하는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과거와 달리, 사무실 또는 집과 같은 실내에서 조명등을 이용하여 시간대와 상관없이 주로 활동하고 있지만, 이러한 실내에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유해세균이 번식하고 있어, 많은 이들에게 고통을 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들어 실내에 자외선살균기를 구비하여, 눈에 보이지 않는 유해세균의 번식을 방지하고, 박멸하는 것이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자외선살균기는 유해세균을 박멸하기 위해, 박멸대상인 유해세균에 254nm 의 자외선을 직접 조사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살균기는 유해세균이 육안으로 식별되지 않기 때문에, 실내 임의의 곳 또는 유해세균에 자외선을 직접 조사함으로써, 유해세균을 박멸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자외선살균기는 유해세균에 직접 자외선을 조사하거나, 유해세균이 번식하고 있다고 예상되는 공간에 직접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유해세균을 가장 확실하게 박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외선살균기는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유해세균을 박멸하기 위해, 유해세균이 번식하고 있다고 추정되는 공간에 직접 자외선을 조사함에 따라, 상기 공간에 사람이 위치하는 경우, 사람은 자외선살균기로부터 조사된 자외선을 직접 쪼이게 된다. 이처럼, 사람이 자외선을 직접적으로 쪼이게 되면, 일시적인 시력상실, 피부암 발생 등과 같은 심각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결국 해당공간에 위치하는 사람은 유해세균이 서식하고 있는 공기로부터 보호받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실내에 번식하고 있는 유해세균을 박멸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실내환경을 구현하도록 하는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공기 살균기는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외선램프; 상기 상판의 외부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일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배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하부를 덮도록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판커버;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기구와 일측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판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는 흡입팬 및 배기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팬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외선램프, 상기 흡입팬, 상기 배기팬 및 상기 필터의 구동 시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고, 상기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을 수행하는 전원부; 상기 자외선램프의 램프상태를 감시하여 램프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램프감지부; 외부의 공기오염상태를 감지하여 외부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자외선램프에 대한 독립제어, 외부제어 또는 센서제어 중 하나의 제어형태를 포함하는 제어형태정보를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스위치부; 외부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램프상태정보, 상기 외부상태정보, 상기 제어형태정보 및 상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를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점멸을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자외선램프의 정상동작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상태정보, 상기 외부상태정보, 상기 제어형태정보, 상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램프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자외선램프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 램프상태판단모듈;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독립제어정보, 외부제어정보 또는 센서제어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 이에 따른 독립제어신호 또는 센서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독립제어신호, 상기 외부제어신호 또는 상기 센서제어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외선램프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영상변류기(ZCT: Zero 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하는 램프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공기오염센서인 센서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자외선램프가 정상동작하는 경우 점등되거나, 상기 자외선램프가 비정상동작하는 경우 소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은 제어부가 자외선램프에 대한 램프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상태정보를 통해 상기 자외선램프가 정상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램프상태판단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외선램프의 정상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센서부가 외부의 공기오염상태를 감지하여 외부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외부상태감지단계; 스위치부가 상기 자외선램프에 대한 제어형태를 포함하는 제어형태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어형태수신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기초하여 독립제어, 외부제어 또는 센서제어 중 하나의 형태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원부를 통해 상기 자외선램프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램프제어단계; 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가 상기 자외선램프의 정상동작여부를 엘이디의 점멸로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램프상태판단단계의 수행 전, 전원부가 공기 살균기의 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단계; 및 램프감지부가 상기 공기 살균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외선램프의 램프상태를 감시하여 램프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램프감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외선램프의 비정상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전원부를 통해 상기 공기 살균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램프상태판단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독립제어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자외선램프를 점멸하도록 하는 독립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독립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독립제어과정을 수행하는 램프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외부제어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 외부장치로부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외부제어과정을 수행하는 램프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가 수신한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센서제어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외부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를 점멸하도록 하는 센서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센서제어과정을 수행하는 램프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외부의 공기오염값인 외부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상태정보 내 공기오염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공기오염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공기 살균기를 점등하도록 하는 램프제어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공기 오염이 우려되는 실내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통해 실내에 번식하고 있는 유해세균을 박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실내에 번식하고 있는 유해세균에 직접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공기살균기가 배치된 실내에 사람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공기살균기를 제어하여 사람에게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인체에 직접적인 자외선 조사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시력상실, 피부암 유발 등과 같은 각종 질환이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력상실 또는 피부암과 같은 질환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유해세균이 박멸되어, 쾌적한 실내공기 및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실내공기의 오염정도를 측정하여 자외선 조사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실내의 현재 공기오염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공기 살균기 내 자외선램프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를 통해 외부로 알려줌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자외선램프의 수명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빠른 교체를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실내에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조명등기구(LED등기구 및 OLED 등기구를 포함하는 조명등기구)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조명등기구의 온오프제어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살균기의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살균기의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살균기의 구성에 대하여 간략히 살펴보도록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살균기의 분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100)는 상판(110), 자외선램프(120), 컨트롤러(140), 상판커버(150), 흡입팬(156), 배기팬(157), 필터(158)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100)는 먼저, 램프를 배치하기 위한 상판(110)이 구비되고, 상기 상판(110)의 하부에 자외선방출을 위한 자외선램프(120)가 배치되고, 이 때, 상기 자외선램프(120)는 상기 상판(110)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자외선램프(120)는 184.9nm 및 253.7nm 의 파장대역을 갖는 자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램프(120)가 배치되는 상기 상판(110)의 외부에 컨트롤러(14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판(110)의 하부를 덮도록 상기 상판(110)의 하부에 상판커버(150)가 배치되는데, 이 때, 상기 상판커버(150)는 일측을 타공하여 공기 흡입을 위한 흡입구(152)가 구비되며, 타측면을 타공하여 공기 살균기 내 공기 배출을 위한 배기구(154)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판커버(150)의 내측에는 상기 흡입구(152)와 일측이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흡입팬(156) 및 상기 배기구(154)와 일측이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배기팬(157)이 구비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흡입구(152)와 상기 흡입팬(156)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158)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공기 살균기(100)는 사용자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살균기(100)의 상판커버(150)의 일측에 형성된 흡입구(152)를 통해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이 때, 상기 공기는 흡입팬(156)에 의해 상기 흡입구(152)를 통해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으며, 이 후, 상기 흡입구(152)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필터(158)를 통해 내부에 포함된 미세먼지가 걸러지고, 상기 상판(110)의 하부에 배치된 자외선램프(120)로 이동한다. 이 때, 상기 컨트롤러(140)에 의해 상기 자외선램프(120)가 온(ON) 상태로 동작하면, 상기 자외선램프(120)로 이동한 공기는 이동흐름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120)를 지나가면서, 상기 자외선램프(120)가 방출하는 자외선에 조사된다.
결국, 상기 자외선램프(12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이 조사된 공기는 내부에 포함된 유해세균이 조사된 상기 자외선으로 인하여 살균된다.
이후, 유해세균이 살균된 공기는 배기팬(157)에 의해 배기구(154)로 이동하여 공기 살균기(100)의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100)가 설치된 실내에는 자외선에 의해 유해세균이 살균된 공기가 순환하게 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살균기 중 컨트롤러의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살균기의 컨트롤러의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100)의 컨트롤러(140)는 전원부(141), 램프감지부(142), 센서부(143), 스위치부(144), 통신부(145), 제어부(146) 및 표시부(147)를 포함한다.
전원부(141)는 상기 공기 살균기(100)의 구성요소인 자외선램프(120), 흡입팬(156), 배기팬(157), 필터(158) 등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고, 발생된 전원을 상기 제어부(146)의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0), 흡입팬(156), 배기팬(157), 필터(158)로의 공급 또는 차단을 수행한다.
램프감지부(142)는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램프상태를 감시하고, 이에 따른 램프감시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램프감시정보는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정상동작 또는 비정상동작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램프감지부(142)는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영상변류기(ZCT: Zero Current Transformer)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143)는 상기 공기 살균기(100)의 외부에 공기오염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외부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이러한 센서부(143)는 공기오염측정을 위한 공기오염센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부상태정보는 공기오염상태를 측정한 공기오염값이다.
스위치부(144)는 상기 자외선램프(120)에 대한 독립제어, 외부제어 또는 센서제어 중 하나의 제어형태를 포함하는 제어형태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신한다.
통신부(145)는 사용자에 의해 입출력 명령이 가능한 외부장치와의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46)는 상기 램프정보, 상기 외부상태정보, 상기 제어형태정보 및 상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점멸을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점멸을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점멸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부(146)은 수신모듈, 램프상태판단모듈 및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수신모듈은 상기 램프감지부(142)로부터 상기 램프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센서부(143)로부터 상기 외부상태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스위치부(144)로부터 상기 제어형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145)로부터 상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램프상태판단모듈은 상기 램프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모듈은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독립제어정보, 외부제어정보 또는 센서제어정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그 판단에 따른 독립제어신호 또는 센서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독립제어신호, 상기 센서제어신호 또는 상기 통신부(145)가 수신한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점멸을 각각 제어한다.
표시부(147)는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정상동작여부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147)는 상기 자외선램프(120)가 정상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점등되거나, 상기 자외선램프(120)가 비정상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소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47)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복수 개의 엘이디를 구비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0)가 정상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초록색 엘이디를 점등하고, 상기 자외선램프(120)가 비정상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붉은색 엘이디를 점등할 수도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은 먼저, 전원부(141)가 공기 살균기(100)의 내부 구성요소(예를 들면, 자외선램프(120), 흡입팬(156), 배기팬(157), 필터(158) 등)에 전원을 인가한다(S210).
이어서, 램프감지부(142)가 상기 공기 살균기(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외선램프(120)의 정상동작여부를 나타내는 램프상태를 감시하고, 이에 따른 램프상태정보를 생성한다(S220).
이에 따라, 제어부(146)가 상기 램프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램프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램프상태정보가 자외선램프(120)의 정상동작상태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230).
이 때, 만약 상기 제어부(146)가 램프상태정보에 자외선램프(120)의 정상동작상태를 포함하지 않고, 비정상동작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전원부(141)를 통해 상기 공기 살균기(10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S240).
따라서, 상기 제어부(146)를 표시부(147)를 통해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비정상동작상태를 표시하도록 한다(S250).
이와 달리, 과정 230에서, 상기 제어부(146)가 상기 램프상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램프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램프상태정보가 자외선램프(120)의 정상동작상태를 포함한다고 판단한 경우, 센서부(143)가 본 발명인 공기 살균기(100)의 외부 공기오염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른 외부감지정보를 생성한다(S260). 이러한 외부감지정보는 외부 즉, 공기 살균기(100)가 설치된 실내의 실내공기에 대한 오염정도를 측정한 공기오염값이다.
이어서, 스위치부(144)가 사용자로부터 상기 자외선램프(120)에 대한 제어형태를 포함하는 제어형태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신한다(S270).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44)가 수신한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대하여 제어부(146)가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포함된 제어형태가 독립제어정보 또는 외부제어정보 또는 센서제어정보를 포함하는지 분석한다(S280).
이에 따라,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포함된 제어형태가 독립제어인 경우, 상기 제어부(146)는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120)의 점멸하도록 하는 독립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독립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0)가 점멸되도록 한다(S281). 이 때, 상기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는 예를 들어, 오후 10시부터 오전 12시까지는 일괄적으로 상기 자외선램프(120)를 점등하여, 실내의 사용자 움직임이 없는 시간이므로 공기살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일련의 절차를 말하며, 이러한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변경이 자유롭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독립제어형태는 사용자가 본 발명인 공기 살균기(100)를 실내에 구비해놓고 처음 프로세스만을 지정하면, 별도의 후속과정이 필요없이 일괄적으로 제어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는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포함된 제어형태가 외부제어인 경우, 상기 제어부(146)는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외부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0)를 점멸하도록 한다(S282). 이러한 외부제어형태는 외부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상기 자외선램프(120)를 점멸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사용자의 의견이 즉각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포함된 제어형태가 센서제어인 경우, 상기 제어부(146)는 센서부(143)로부터 수신한 외부상태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외부상태정보 내 포함된 공기오염값을 기준값과 비교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오염값이 상기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어부(146)는 공기 살균기(100)가 설치된 실내 공기에 유해세균이 많다고 판단하여 자외선램프(120)를 점등시키도록 하는 센서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46)는 이러한 상기 센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120)를 점등시키도록 한다(S283).
이후, 상기 제어부(146)는 상기 자외선램프(12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부(147)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S290).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공기 오염이 우려되는 실내에 배치되어, 자외선을 통해 실내에 번식하고 있는 유해세균을 박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실내에 번식하고 있는 유해세균에 직접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공기살균기가 배치된 실내에 사람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공기살균기를 제어하여 사람에게 자외선이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인체에 직접적인 자외선 조사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시력상실, 피부암 유발 등과 같은 각종 질환이 사용자에게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시력상실 또는 피부암과 같은 질환이 발생되지 않으면서도 유해세균이 박멸되어, 쾌적한 실내공기 및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실내공기의 오염정도를 측정하여 자외선 조사를 수행할 수 있어, 사용자가 현재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실내의 현재 공기오염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공기 살균기 내 자외선램프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여 표시부를 통해 외부로 알려줌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자외선램프의 수명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빠른 교체를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은 실내에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조명등기구(LED등기구 및 OLED 등기구를 포함하는 조명등기구)와 인접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조명등기구의 온오프제어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0: 공기 살균기 110: 상판
120: 자외선램프 140: 컨트롤러
150: 상판커버 152: 흡입구
154: 배기구 156: 흡입팬
157: 배기팬 158: 필터

Claims (15)

  1. 상판: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자외선램프;
    상기 상판의 외부에 배치되는 컨트롤러;
    일측면에 흡입구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배기구가 형성되어, 상기 상판의 하부를 덮도록 상기 상판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판커버;
    상기 흡입구 및 상기 배기구와 일측이 각각 연결되어 상기 상판커버의 내측에 구비되는 흡입팬 및 배기팬;
    상기 흡입구와 상기 흡입팬 사이에 배치되는 필터;
    를 포함하는 공기 살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외선램프, 상기 흡입팬, 상기 배기팬 및 상기 필터의 구동 시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고, 상기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을 수행하는 전원부;
    상기 자외선램프의 램프상태를 감시하여 램프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램프감지부;
    외부의 공기오염상태를 감지하여 외부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센서부;
    상기 자외선램프에 대한 독립제어, 외부제어 또는 센서제어 중 하나의 제어형태를 포함하는 제어형태정보를 외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입력받는 스위치부;
    외부장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램프상태정보, 상기 외부상태정보, 상기 제어형태정보 및 상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를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점멸을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거나, 상기 외부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자외선램프의 정상동작여부를 표시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램프상태정보, 상기 외부상태정보, 상기 제어형태정보, 상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모듈;
    상기 램프상태정보로부터 상기 자외선램프의 정상동작여부를 판단하는 램프상태판단모듈;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독립제어정보, 외부제어정보 또는 센서제어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 이에 따른 독립제어신호 또는 센서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독립제어신호, 상기 외부제어신호 또는 상기 센서제어신호에 각각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각각 제어하는 제어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감지부는
    상기 자외선램프의 누설전류를 측정하는 영상변류기(ZCT: Zero Current Transform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공기오염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자외선램프가 정상동작하는 경우 점등되거나, 상기 자외선램프가 비정상동작하는 경우 소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엘이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
  7. 제어부가 자외선램프에 대한 램프상태를 나타내는 램프상태정보를 통해 상기 자외선램프가 정상상태인지를 판단하는 램프상태판단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외선램프의 정상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센서부가 외부의 공기오염상태를 감지하여 외부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외부상태감지단계;
    스위치부가 상기 자외선램프에 대한 제어형태를 포함하는 제어형태정보를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제어형태수신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기초하여 독립제어, 외부제어 또는 센서제어 중 하나의 형태에 따라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전원부를 통해 상기 자외선램프로 인가되는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램프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표시부가 상기 자외선램프의 정상동작여부를 엘이디의 점멸로 표시하는 표시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상태판단단계의 수행 전,
    전원부가 공기 살균기의 내부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인가단계; 및
    램프감지부가 상기 공기 살균기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외선램프의 램프상태를 감시하여 램프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램프감지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상태판단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자외선램프의 비정상상태를 판단하는 경우, 전원부를 통해 상기 공기 살균기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제어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독립제어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자외선램프를 점멸하도록 하는 독립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독립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기설정된 프로세스에 의해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독립제어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제어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외부제어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 외부장치로부터 외부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외부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외부제어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제어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수신한 상기 제어형태정보에 센서제어정보가 포함된다고 판단한 경우, 상기 외부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를 점멸하도록 하는 센서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센서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외부상태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자외선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센서제어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상태정보는
    외부의 공기오염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제어단계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외부상태정보 내 공기오염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공기오염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공기 살균기를 점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살균기의 제어방법.

KR1020100138617A 2010-12-30 2010-12-30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25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617A KR101252939B1 (ko) 2010-12-30 2010-12-30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617A KR101252939B1 (ko) 2010-12-30 2010-12-30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870A true KR20120076870A (ko) 2012-07-10
KR101252939B1 KR101252939B1 (ko) 2013-04-09

Family

ID=4671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617A KR101252939B1 (ko) 2010-12-30 2010-12-30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939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407A (ko) * 2014-07-16 2016-01-26 유형근 실내오염지수센싱모듈과 연계된 스마트 더스트 발판
KR101706277B1 (ko) * 2015-09-25 2017-02-23 (주)시테코 살균장치
KR20180101838A (ko) * 2017-03-06 2018-09-14 에이치디에스 주식회사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이용한 공기 오염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KR102192053B1 (ko) * 2020-05-25 2020-12-16 주식회사 플라랩 공기순환형 자외선 공기살균기
CN112413796A (zh) * 2020-11-25 2021-02-26 北京新风航天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紫外脉冲激光的空气净化用杀菌装置
KR20210095318A (ko) * 2020-01-23 2021-08-02 나기원 이동형 전해수 살포 공기살균 소독기
KR20210095317A (ko) * 2020-01-23 2021-08-02 나기원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KR102337302B1 (ko) * 2021-04-28 2021-12-09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자동 살균 장치
WO2022092829A1 (ko) * 2020-10-29 2022-05-05 임미란 실내 공기 살균 장치
KR20220127339A (ko) * 2020-03-06 2022-09-19 유브이 파트너즈 아이엔씨 장비 소독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481B1 (ko) * 2017-03-31 2018-03-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기능을 갖는 배수구 마개
KR102478244B1 (ko) * 2021-12-03 2022-12-16 주성준 Uv 살균 소독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7563B1 (ko) * 2004-04-19 2006-04-07 허태균 실 내부 살균소독 및 공기 살균 정화기
KR200418459Y1 (ko) 2006-03-31 2006-06-12 최용림 모니터와 음성 알람기능을 구비한 구급차용 오존살균기
KR20080073472A (ko) * 2007-02-06 2008-08-11 김효수 천정 매입형 공기 살균 정화기
JP2008245693A (ja) 2007-03-29 2008-10-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清浄機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407A (ko) * 2014-07-16 2016-01-26 유형근 실내오염지수센싱모듈과 연계된 스마트 더스트 발판
KR101706277B1 (ko) * 2015-09-25 2017-02-23 (주)시테코 살균장치
KR20180101838A (ko) * 2017-03-06 2018-09-14 에이치디에스 주식회사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이용한 공기 오염 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KR20210095318A (ko) * 2020-01-23 2021-08-02 나기원 이동형 전해수 살포 공기살균 소독기
KR20210095317A (ko) * 2020-01-23 2021-08-02 나기원 전해수를 이용한 스탠드형 공기 살균소독기
KR20220127339A (ko) * 2020-03-06 2022-09-19 유브이 파트너즈 아이엔씨 장비 소독
US11911530B2 (en) 2020-03-06 2024-02-27 Uv Partners, Inc. Equipment disinfection
KR102192053B1 (ko) * 2020-05-25 2020-12-16 주식회사 플라랩 공기순환형 자외선 공기살균기
WO2022092829A1 (ko) * 2020-10-29 2022-05-05 임미란 실내 공기 살균 장치
CN112413796A (zh) * 2020-11-25 2021-02-26 北京新风航天装备有限公司 一种基于紫外脉冲激光的空气净化用杀菌装置
KR102337302B1 (ko) * 2021-04-28 2021-12-09 주식회사 네오세미텍 자동 살균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939B1 (ko) 2013-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939B1 (ko) 공기 살균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939355B1 (ko) 가시광 살균기능 겸용 led 조명등기구
KR101924119B1 (ko) 살균기능이 구비된 led 조명등기구용 전원공급장치
JP6607623B1 (ja) 紫外線照射装置
JP6495642B2 (ja) イオン発生機
KR101346576B1 (ko) 살균 엘이디 조명등
KR102080217B1 (ko) 살균용 욕실 조명 및 이를 이용한 살균 방법
KR20200121118A (ko) 엘리베이터 버튼용 자동 살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22020045A (ja) 空気および表面除菌システム
KR100943991B1 (ko) 자외선 살균장치
KR20080008502A (ko) 실내 공기 살균기
KR20150122019A (ko) 자동 온/오프 기능을 갖는 살균등 장치
CN213923639U (zh) 一种电梯洁净轿厢智能控制系统
KR20200076077A (ko) 인체감지센서가 구비된 터치스크린 자외선 살균장치
KR20060110025A (ko) 자외선 방사 살균을 위한 조명기구 및 컨트롤러시스템
KR102383570B1 (ko) 가시광을 활용한 살균 조명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98579B1 (ko) 플라즈마를 이용한 조명 살균시스템
KR102337302B1 (ko) 자동 살균 장치
KR20200008094A (ko) 공기 청정 살균기
CN213553967U (zh) 一种集成照明和消毒的灯具
CN213840570U (zh) 一种照明和杀菌led灯具及led灯具系统
CN115089737A (zh) 大面积区域式智能联动二合一消毒照明灯系统
US20230248860A1 (en) Inactivation device for bacteria and/or viruses and method of inactivation treatment for bacteria and/or viruses
KR20190130258A (ko) 살균 및 해충퇴치용 엘이디 조명장치
CN114306671A (zh) 双波长紫外线消毒方法及双波长集成式紫外线消毒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