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587A -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와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와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587A
KR20120076587A KR1020100123140A KR20100123140A KR20120076587A KR 20120076587 A KR20120076587 A KR 20120076587A KR 1020100123140 A KR1020100123140 A KR 1020100123140A KR 20100123140 A KR20100123140 A KR 20100123140A KR 20120076587 A KR20120076587 A KR 201200765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optical code
optical
application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중
Original Assignee
김경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중 filed Critical 김경중
Priority to KR1020100123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587A/ko
Publication of KR201200765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5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의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은;
1.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학습별 동영상 청취/ 학습 문항별 핵심풀이/ 정답확인/ 학습별 학업 성취도 순위 등의 페이지가 링크로 열리는 아이콘/ 즉시 통화 연결 아이콘/ 메시지 전송 창 열기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를 웹 서버에 저장하고,
2.학습자의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광코드 리더로,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 별로 인쇄된 광코드에 기록한 "URL" 정보를 리딩함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의 광코드 접속 창에, "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 또는 "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과 URL에 해당되는 웹 페이지에 메뉴 아이콘{학습별 동영상청취/ 학습 문항별 핵심풀이/ 정답확인/ 학습별 학업 성취도 순위 등의 페이지가 링크로 열리는 아이콘/ 즉시 통화 연결 아이콘/ 메시지 전송 창 열기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되어 열리며,
3.사용자가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창에 열려져 보여지는 웹 페이지의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여 "아이콘 메뉴별 학습 페이지"를 열거나 연결하여 특정 학습을 수행하며,
4.통화나 메시지는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통신모드와 무선메시지 모드를 연결하여 발신하거나, 웹 페이지가 제공하는 인터넷 통화 연결 아이콘이나 인터넷 메시지 전송 창에서 학습 관리자와 즉시 통화하거나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한다.
광코드 리더가 장착/ 연결된 디지털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스마트 TV 등)에서,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과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를 통한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오프라인 학습지를 선 학습(학습/ 문제풀이 등)한 학습자가 추가적인 온라인의 심화학습을 통해 학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와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 Online learning provide method and test booklet take data record tag }
광코드가 인쇄되는 학습지/문제지/문제집 제작기술, 심화학습 웹 페이지 제공기술
광코드(2차원코드, 이미지코드, 칼라코드, 3차원코드, 홀로그램 등) 인식기술은 생산관리/창고관리/출하관리/판매관리뿐만 아니라, 태그인식 및 정보제공 기술의 발달로, 광코드 리더(카메라)가 탑재되거나 연결된 디지털 단말기가 광코드에 연동하여 웹 페이지 상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최근 광코드 데이타를 스마트폰 카메라로 읽어들여 특정한 웹페이지를 연결할 수 있는 "URL"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광코드를 인쇄한 학습지/문제지/문제집과 광코드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코드를 통한 웹 페이지 정보 제공 환경을 고려한 학습방법으로,학습지를 선 학습(학습/ 문제풀이 등)한 학습자가, 학습자의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스마트TV 등)로 학습지/문제지/문제집에 인쇄된 광코드에 연동되여 제시되는 어플리케이션 툴(광코드 접속정보)로, 학습관리자에게 통화 또는 메시지 발송을 하거나 학습 관리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학습에 관한 동영상청취/ 문항별 핵심풀이/ 정답확인/ 학업 성취도 순위 등을 제공하여, 개인학습 성취도를 높이며 효율성 있는 개인별 학습관리 지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1.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학습별 동영상 청취/ 학습 문항별 핵심풀이/ 정답확인/ 학습별 학업 성취도 순위 등의 페이지가 링크로 열리는 아이콘/ 즉시 통화 연결 아이콘/ 메시지 전송 창 열기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를 웹 서버에 저장하고,
2.학습자의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광코드 리더로,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 별로 인쇄된 광코드에 기록한 "URL" 정보를 리딩함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의 광코드 접속 창에, "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 또는 "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과 URL에 해당되는 웹 페이지에 메뉴 아이콘{학습별 동영상청취/ 학습 문항별 핵심풀이/ 정답확인/ 학습별 학업 성취도 순위 등의 페이지가 링크로 열리는 아이콘/ 즉시 통화 연결 아이콘/ 메시지 전송 창 열기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되어 열리며,
3.사용자가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창에 열려져 보여지는 웹 페이지의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여 "아이콘 메뉴별 학습 페이지"를 열거나 연결하여 특정 학습을 수행하며,
4.통화나 메시지는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통신모드와 무선메시지 모드를 연결하여 발신하거나, 웹 페이지가 제공하는 인터넷 통화 연결 아이콘이나 인터넷 메시지 전송 창에서 학습 관리자와 즉시 통화하거나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한다.
광코드 리더가 장착/ 연결된 디지털단말기(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스마트 TV 등)에서,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과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를 통한 온라인 학습 서비스는,
오프라인 학습지를 선 학습(학습/ 문제풀이 등)한 학습자가 추가적인 온라인의 심화학습을 통해 학습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 광코드가 인쇄된 문제지의 예
도 2: 광코드가 인쇄된 문제집의 예
도 3: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도 4: 광코드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도 5: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가)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특징
1.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또는 슈퍼 앱스토어)와 웹 페이지에 게재되어, 학습자가 유무선 통신으로 사용자 디지털 단말기에 다운로드 하여 실행파일이 자동설치되거나 실행파일을 수동설치하는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으로,
2.각양(제조사별/ 출시모델별)의 스마트폰, 스마트태블릿PC, 컴퓨터, 스마트TV 등의 펌웨어/ 운영프로그램(OS)/ 웹브라우저/ 화면크기 등에 알맞게 사용되도록 기종별로 제공하거나, 범용으로 호환사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나)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300)
광코드 ( 2차원코드 , 이미지코드, 칼라코드 , 3차원코드 , 홀로그램 등) 학습 플리케이션의 웹 학습 정보연결 방법
1.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학습별 동영상 청취/ 학습 문항별 핵심풀이/ 정답확인/ 학습별 학업 성취도 순위 등의 페이지가 링크로 열리는 아이콘/ 즉시 통화 연결 아이콘/ 메시지 전송 창 열기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를 웹 서버에 저장하고,
2.학습자의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광코드 리더로,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 별로 인쇄된 광코드에 기록한 "URL" 정보를 리딩함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의 광코드 접속 창에, "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 또는 "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과 URL에 해당되는 웹 페이지에 메뉴 아이콘{동영상청취/ 문항별 핵심풀이/ 정답확인/ 학업 성취도 순위 등의 페이지가 링크로 열리는 아이콘/ 즉시 통화 연결 아이콘/ 메시지 전송 창 열기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 되어 열리며,
3.사용자가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창에 열려져 보여지는 웹 페이지의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여 "아이콘 메뉴별 학습 페이지"를 열거나 연결하여 특정 학습을 수행하며,
4.통화나 메시지는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통신모드와 무선메시지 모드를 연결하여 발신하거나, 웹 페이지가 제공하는 인터넷 통화 연결 아이콘이나 인터넷 메시지 전송 창에서 학습 관리자와 즉시 통화하거나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한다.
광코드 ( 2차원코드 , 이미지코드, 칼라코드 , 3차원코드 , 홀로그램 등)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및 작용
광코드 리더(또는 카메라모듈)가 장착되었거나 연결시킨 디지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온(ON)상태로 하거나, 디지털기기에 특별히 할당한 광코드 리더 키를 누른상태로 사용자가 광코드의 정보를 리딩하여, 광코드 접속 창(300)을 열며,
[도 3]과 같이,
광코드 정보 연결용 어플리케이션 접속 창(300)은;
A. 광코드 리딩 창(10), 광코드 정보 접속 안내창(20), 광코드 정보 리딩에 의해 접속된 URL(21), 웹 페이지(웹 페이지의 디스플레이 메뉴) 또는 광코드 정보 리딩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연결 메뉴 아이콘 창(30), 다양한 학습 서비스 링크 아이콘(31), 콜센타 연결 아이콘(32), 문자전송모드 열기 아이콘(33)으로 구성되거나, 편리에 따라 광코드 정보 접속 안내창(20)과 웹 페이지(웹 페이지의 디스플레이 메뉴) 또는 광코드 정보 리딩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 메뉴 아이콘 창(30)이 하나로 통합 구성되어 제시될 수 있으며,
B.학습자가 광코드 접속 창(300)에 활성화된 다양한 학습 메뉴버튼을 선택하여, 메뉴별 학습 페이지나 작업페이지를 열거나 연결하여 특정 학습과 작업을 수행하거나 즉시 통화 연결하거나 메시지 발송모드로 메시지발송 하도록 하며,
C.사용자가 광코드 정보 리딩에 의해 접속된 URL(21)을 선택할 시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홈 페이지에 연결되도록 한다.
다) 광코드가 인쇄되는 학습지/ 문제지/ 문제집
광코드가 인쇄되는 학습지/ 문제지/ 문제집(100, 200)는;
[도 1,2]와 같이,
1.학습 분류(a), 학습분류별 시행 및 관리 번호(b), 광코드(c), 학습 또는 테스트 문항(d)으로 구성되며,
2.학습지/ 문제지/ 문제집(100, 200) 종이 위에, 학습 분류(a)/ 학습분류별 시행 및 관리 번호(b)/ 광코드(c)/ 학습 또는 테스트 문항(d)이 인쇄되며
3.광코드(c)에는 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이 기록되며,
4.광코드(c)는 학습정보나 테스트 문항과 함께 인쇄하거나, 별도의 스티커에 인쇄하여 학습지/ 문제지/ 문제집에 부착한다.
라) 광코드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
광코드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은 [도 5]와 같이,
1.광코드가 인쇄되는 학습지/ 문제지/ 문제집(100, 200),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300)이 설치된 학습자의 디지털단말기(400-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스마트TV 등),
학습 지원 및 관리 서버와 컴퓨터(500)로 구성되며,
2.학습 관리센터의 학습 지원 및 관리 서버(500)에는, 학습 어플리케이션 메뉴에 대응하는 다양한 심화 학습 및 학습관리 페이지(학습별 동영상 강의 부/ 학습 문항별 핵심풀이 부/ 학습별 정답확인 부/ 학습별 학업 성취도 순위 부 등)으로 구성되는 웹 페이지와 학습관리 프로그램이 탑재되며,
3.학습자의 광코드 리더(또는 카메라모듈)가 장착되었거나 연결시킨 디지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스마트TV 등)에,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온(ON)상태로 하거나, 디지털기기에 특별히 할당한 광코드 리더 키를 누른 상태로 사용자 디지털 기기가 광코드 정보를 리딩하며,
4.학습자의 디지털기기(400)의 화면에 제공되는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디지털기기가 유무선통신으로 학습 지원 및 관리 서버의 다양한 심화 학습 및 학습관리 페이지(학습별 동영상 청취/ 학습 문항별 핵심풀/ 학습별 정답확인/ 학습별 학업 성취도 순위 등)를 제공하며,
5.학습자의 통화나 메시지는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통신모드와 무선메시지 모드를 연결하여 발신하거나, 웹 페이지가 제공하는 인터넷 통화 연결 아이콘이나 인터넷 메시지 전송 창에서 학습 관리자와 즉시 통화하거나 학습 관리자에게 메시지를 발송한다.
광코드가 인쇄되는 학습지{문제지(100) 문제집(200)}
학습 분류(a), 학습분류별 시행 및 관리 번호(b), 광코드(c), 학습 또는 테스트 문항(d)
광코드 학습용 어플리케이션 툴(300)
광코드 리딩 창(10),
광코드 정보 접속 안내창(20), 광코드 정보 리딩에 의해 접속된 URL(21),
웹 페이지(웹 페이지의 디스플레이 메뉴) 또는 광코드 정보 리딩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 메뉴 아이콘 창(30), 다양한 학습 서비스 링크 아이콘(31), 콜센타 연결 아이콘(32), 문자전송모드 열기 아이콘(33)
광코드리더가 구비된 학습자의 다양한 디지털 기기(400)
학습 지원 및 관리 서버 와 컴퓨터(500)

Claims (5)

  1.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특징;
    1.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또는 슈퍼 앱스토어)와 웹 페이지에 게재되어, 학습자가 유무선 통신으로 사용자 디지털 단말기에 다운로드 하여 실행파일이 자동설치되거나 실행파일을 수동설치하는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으로,
    2.각양(제조사별/ 출시모델별)의 스마트폰, 스마트태블릿PC, 컴퓨터, 스마트TV 등의 펌웨어/ 운영프로그램(OS)/ 웹브라우저/ 화면크기 등에 알맞게 사용되도록 기종별로 제공하거나, 범용으로 호환사용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는,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의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2. 광코드 ( 2차원코드 , 이미지코드, 칼라코드 , 3차원코드 , 홀로그램 등)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웹 학습 정보연결 방법;
    1.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학습별 동영상 청취/ 학습 문항별 핵심풀이/ 정답확인/ 학습별 학업 성취도 순위 등의 페이지가 링크로 열리는 아이콘/ 즉시 통화 연결 아이콘/ 메시지 전송 창 열기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된 웹 페이지}를 웹 서버에 저장하고,
    2.학습자의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광코드 리더로,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 별로 인쇄된 광코드에 기록한 "URL" 정보를 리딩함과 동시에 어플리케이션의 광코드 접속 창에, "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 또는 "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과 URL에 해당되는 웹 페이지에 메뉴 아이콘{동영상청취/ 문항별 핵심풀이/ 정답확인/ 학업 성취도 순위 등의 페이지가 링크로 열리는 아이콘/ 즉시 통화 연결 아이콘/ 메시지 전송 창 열기 아이콘 등}이 디스플레이되어 열리며,
    3.사용자가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창에 열려져 보여지는 웹 페이지의 메뉴 아이콘을 선택하여 "아이콘 메뉴별 학습 페이지"를 열거나 연결하여 특정 학습을 수행하며,
    4.통화나 메시지는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통신모드와 무선메시지 모드를 연결하여 발신하거나, 웹 페이지가 제공하는 인터넷 통화 연결 아이콘이나 인터넷 메시지 전송 창에서 학습 관리자와 즉시 통화하거나 메시지를 발송하도록 하는,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의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3. 광코드 ( 2차원코드 , 이미지코드, 칼라코드 , 3차원코드 , 홀로그램 등) 학습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및 작용;
    광코드 리더(또는 카메라모듈)가 장착되었거나 연결시킨 디지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에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고,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온(ON)상태로 하거나, 디지털기기에 특별히 할당한 광코드 리더 키를 누른상태로 사용자가 광코드의 정보를 리딩하여, 광코드 접속 창(300)을 열며,
    [도 3]과 같이,
    광코드 정보 연결용 어플리케이션 접속 창(300)은;
    A. 광코드 리딩 창(10), 광코드 정보 접속 안내창(20), 광코드 정보 리딩에 의해 접속된 URL(21), 웹 페이지(웹 페이지의 디스플레이 메뉴) 또는 광코드 정보 리딩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연결 메뉴 아이콘 창(30), 다양한 학습 서비스 링크 아이콘(31), 콜센타 연결 아이콘(32), 문자전송모드 열기 아이콘(33)으로 구성되거나, 편리에 따라 광코드 정보 접속 안내창(20)과 웹 페이지(웹 페이지의 디스플레이 메뉴) 또는 광코드 정보 리딩에 의한 어플리케이션의 학습 메뉴 아이콘 창(30)이 하나로 통합 구성되어 제시될 수 있으며,
    B.학습자가 광코드 접속 창(300)에 활성화된 다양한 학습 메뉴버튼을 선택하여, 메뉴별 학습 페이지나 작업페이지를 열거나 연결하여 특정 학습과 작업을 수행하거나 즉시 통화 연결하거나 메시지 발송모드로 메시지발송 하도록 하며,
    C.사용자가 광코드 정보 리딩에 의해 접속된 URL(21)을 선택할 시는, 온라인 학습 서비스 홈 페이지에 연결되도록 하는,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의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4. 광코드가 인쇄되는 학습지/ 문제지/ 문제집(100, 200)는;
    [도 1,2]와 같이,
    1.학습 분류(a), 학습분류별 시행 및 관리 번호(b), 광코드(c), 학습 또는 테스트 문항(d)으로 구성되며,
    2.학습지/ 문제지/ 문제집(100, 200) 종이 위에, 학습 분류(a)/ 학습분류별 시행 및 관리 번호(b)/ 광코드(c)/ 학습 또는 테스트 문항(d)이 인쇄되며
    3.광코드(c)에는 특정학년 특정과목의 학습영역별 학습지 단원/ 문제지/ 문제집 단원의 "URL"이 기록되며,
    4.광코드(c)는 학습정보나 테스트 문항과 함께 인쇄하거나, 별도의 스티커에 인쇄하여 학습지/ 문제지/ 문제집에 부착되는,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
  5. 광코드를 이용한 학습 관리 시스템은;
    [도 5]와 같이,
    1.광코드가 인쇄되는 학습지/ 문제지/ 문제집(100, 200),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300)이 설치된 학습자의 디지털단말기(400- 스마트폰/ 태블릿 PC/ 컴퓨터/ 스마트TV 등),
    학습 지원 및 관리 서버와 컴퓨터(500)로 구성되며,
    2.학습 관리센터의 학습 지원 및 관리 서버(500)에는, 학습 어플리케이션 메뉴에 대응하는 다양한 심화 학습 및 학습관리 페이지(학습별 동영상 강의 부/ 학습 문항별 핵심풀이 부/ 학습별 정답확인 부/ 학습별 학업 성취도 순위 부 등)으로 구성되는 웹 페이지와 학습관리 프로그램이 탑재되며,
    3.학습자의 광코드 리더(또는 카메라모듈)가 장착되었거나 연결시킨 디지털 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스마트TV 등)에,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온(ON)상태로 하거나, 디지털기기에 특별히 할당한 광코드 리더 키를 누른 상태로 사용자 디지털 기기가 광코드 정보를 리딩하며,
    4.학습자의 디지털기기(400)의 화면에 제공되는 광코드 학습 어플리케이션 메뉴 선택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디지털기기가 유무선통신으로 학습 지원 및 관리 서버의 다양한 심화 학습 및 학습관리 페이지(학습별 동영상 청취/ 학습 문항별 핵심풀/ 학습별 정답확인/ 학습별 학업 성취도 순위 등)를 제공하며,
    5.학습자의 통화나 메시지는 디지털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무선통신모드와 무선메시지 모드를 연결하여 발신하거나, 웹 페이지가 제공하는 인터넷 통화 연결 아이콘이나 인터넷 메시지 전송 창에서 학습 관리자와 즉시 통화하거나 학습 관리자에게 메시지를 발송하는,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의 온라인 학습지원 및 관리 시스템"
KR1020100123140A 2010-12-06 2010-12-06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와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KR201200765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140A KR20120076587A (ko) 2010-12-06 2010-12-06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와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3140A KR20120076587A (ko) 2010-12-06 2010-12-06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와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587A true KR20120076587A (ko) 2012-07-09

Family

ID=46710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140A KR20120076587A (ko) 2010-12-06 2010-12-06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와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65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3451A1 (en) * 2012-11-30 2014-06-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images to generate digital intera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83451A1 (en) * 2012-11-30 2014-06-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images to generate digital intera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odwin-Jones Smartphones and language learning
Yu et al. Mobile/smartphone use in higher education
CN105955593A (zh) 一种呈现讨论信息的方法和装置
TW201816747A (zh) 線上教學暨行動學習系統
Ali A framework for measuring the usability issues and criteria of mobile learning applications
Ng et al. Digital literacy: The overarching element for successful technology integration
Derakhshan Student and faculty perceptions of the features of mobile learning management systems in the context of higher education
Lee et al. An NFC E-learning platform for interactive and ubiquitous learning
Evans et al. A new era; Personal technology challenges educational technology
Kou et al. Could the adoption of Quick Response (QR) code in lectures enhanc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A case study of hospitality and tourism programs in Macau
Barker et al. The implementation of embedded quick response codes into library resources to improve service delivery
Lee et al. Supportive Learning: Linear Learning and Collaborative Learning.
Wald et al. Disabled learners’ experiences of e-learning
KR20120093466A (ko) 정보기록태그와 디지털코드를 구비한 도서/ 학습서/ 정보서/ 정보지 등과 부가적 정보제공방법
Ulfa Mobile technology integration into teaching and learning
KR20120076587A (ko) 광코드가 인쇄된 학습지와 온라인 학습 제공 방법
Cheung et al. Going mobile with Moodle: First steps
Helge et al. The teaching librarian: Web 2.0, technology, and legal aspects
WO2020037444A1 (zh) 一种能实现与学生成长信息平台交互的学生证件
Lessick et al. Moving beyond the bookshelves
Abas et al. User readiness evaluation of QR codes in mobile learning (m-learning)
CN111787127A (zh) 一种课堂信息传输方法及课堂信息传输系统
Virtue et al. Faculty reconnect: Creative outreach to keep faculty up-to-date in the digital whirlwind
Ng Sustaining mobile learning at a personal level: Mobile digital literacy
KR20130025254A (ko) 모바일 문제 답안 작성에 의한 학습 패턴 정보 제공 방법 및 모바일 문제답안 작성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