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6127A -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6127A
KR20120076127A KR1020100138151A KR20100138151A KR20120076127A KR 20120076127 A KR20120076127 A KR 20120076127A KR 1020100138151 A KR1020100138151 A KR 1020100138151A KR 20100138151 A KR20100138151 A KR 20100138151A KR 20120076127 A KR20120076127 A KR 20120076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virtual machine
computing environment
internal storage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윤범
김동훈
안재석
전호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13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6127A/ko
Publication of KR20120076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61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28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making use of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0662Virtualisation asp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의 컴퓨팅 환경을 서버에서 가상머신을 통해 가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화 기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에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스토리지로부터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 전체를 복제하기 위한 디스크 이미지를 캡쳐하여 전송하고 가상머신제공서버에서 휴대용 단말로부터 캡쳐된 디스크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휴대용 단말의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한 가상머신을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에게 가상머신 상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장치에 대한 의존성을 없애고, 휴대용 단말의 하드웨어가 고장나더라도 가상화된 컴퓨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e portable device based on virtualization}
본 발명은, 가상화 기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의 컴퓨팅 환경을 서버에서 가상머신을 통해 가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가상화 기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팅 자원 풀(Resource Pooling)을 공유하고, 사용자의 요구(On-Demand Self Service)에 의해 신속하게 생성 및 해제(Rapid Elasticity)가 되어야 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구현하는 기반 기술로는 가상화(Virtualization) 기술이 있다.
가상화 기술은 하나의 물리적인 장비를 마치 여러개의 장비처럼 사용하는 기술로, CPU, 메모리,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컴퓨팅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고, 대규모 데이터 센터의 관리를 위해 자원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기술이다.
이처럼 가상화 기술을 통해 구현된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은 하나의 물리 머신을 이용하여 다수의 독립실행 환경인 가상머신들을 생성하고, 생성한 각각의 가상머신에 독립된 운영체제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한다.
여기에서 가상머신은 이처럼 물리 머신의 하드웨어 자원을 할당받아 만들어지는 가상의 컴퓨팅 실행 환경을 의미하고, 물리머신의 하드웨어 자원을 가상화화여 가상머신을 생성하고, 이에 실행되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통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를 하이퍼바이져라 한다.
이러한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서, 종래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관련 기술들은 휴대용 단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에 대한 고려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용 단말의 컴퓨팅 환경을 서버에서 가상머신을 통해 가상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휴대용 단말의 장치에 대한 의존성을 없애고, 휴대용 단말의 하드웨어가 고장나더라도 가상화된 컴퓨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가상화 기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은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스토리지로부터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 전체를 복제하기 위한 디스크 이미지를 캡쳐하여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 및 휴대용 단말로부터 캡쳐된 디스크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휴대용 단말의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한 가상머신을 생성하여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에게 가상머신 상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머신제공서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상머신제공서버는 휴대용 단말에게 가상머신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은 인증키를 기초로 가상머신에 보안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접속 콘솔을 생성하여, 접속 콘솔을 통해 가상머신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상머신제공서버는 가상머신에서 가상화된 스토리지의 내용에 변동이 발생하면, 발생한 변동 내용을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고, 휴대용 단말은 변동 내용을 내부 스토리지에 적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휴대용 단말은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에 변동이 발생하면, 발생한 변동 내용을 가상머신제공서버에 전송하고, 가상머신제공서버는 변동내용을 가상머신에서 가상화된 스토리지에 적용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단말을 가상화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은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스토리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로부터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 전체를 캡쳐한 디스크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디스크 이미지를 기초로 휴대용 단말의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한 가상머신을 생성하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에게 가상머신 상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서비스제공단계는 휴대용 단말에게 가상머신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전송하는 단계; 및 휴대용 단말의 접속 콘솔 및 가상머신을 인증키를 기초로 하는 보안 채널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가상머신에서 가상화된 스토리지 내용에 변동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및 체크결과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발생한 변동 내용을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여 휴대용 단말의 내부 스토리지에 적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에 변동이 발생한 휴대용 단말로부터 발생한 변동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변동 내용을 변동내용을 가상머신에서 가상화된 스토리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스토리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을 가상화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휴대용 단말로부터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 전체를 캡쳐한 디스크 이미지를 수신하는 기능; 디스크 이미지를 기초로 휴대용 단말의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한 가상머신을 생성하는 기능; 및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에게 가상머신 상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의 장치에 대한 의존성을 없애고, 휴대용 단말의 하드웨어가 고장나더라도 가상화된 컴퓨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을 가상화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가상머신을 사용한 경우에 휴대용 단말와 가상머신제공서버 간의 동기화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을 사용한 경우에 휴대용 단말와 가상머신제공서버 간의 동기화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럭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 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한편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110) 및 가상머신제공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휴대용 단말(110)은 제어부(111), 스토리지(112), 통신모듈(113), 가상머신접속용 콘솔(114)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가상머신제공서버(120)는 가상머신 제어부(121), 스토리지(122), 통신모듈(123), 사용자 인터페이스(124), 데이터베이스(125), 가상머신(12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상머신제공서버(120)는 사용자가 가상머신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등을 실행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써, 예컨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나, 기타 데이터 센터 등이 해당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용 단말(110)의 스토리지(112)는 휴대용 단말(110)에서 동작하는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통신모듈(113)은 제어부(111), 가상머신접속용 콘솔(114) 등과 가상머신제공서버(120) 간의 통신을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11)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화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디스크이미지관리부(1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이미지관리부(115)는 이러한 스토리지(112)의 내용 전체를 복제하기 위하여 스토리지(112)의 디스크 이미지를 캡쳐한다.
그리고 캡쳐된 디스크 이미지를 통신모듈(113)을 통해 가상머신제공서버(120)로 전송한다.
가상머신제공서버(120)의 제어부(121)는 통신모듈(123)을 통해 휴대용 단말(110)의 디스크 이미지를 수신하여, 스토리지(112)에 저장하고,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에 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125)에 저장한다.
제어부(121)는 수신된 디스크 이미지를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110)의 컴퓨팅 환경을 재현하는 가상머신(126)을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가상머신(126)에서 재현한 컴퓨터 환경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의 가상머신 접속용 콘솔(114)를 통해 가상머신제공서버(120)의 가상머신(126)에 접근할 수 있으며, 혹은 가상머신제공서버(120)에서 별도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23)에 직접 접속하여 휴대용 단말의 컴퓨팅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한 가상머신(126)에 접근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을 가상화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210)은 휴대용 단말(210)에서 구동하는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 전체를 백업하는 내부의 스토리지로부터 디스크 이미지를 캡쳐한다(S211).
여기에서, 디스크 이미지(disk image)란,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섹터 대 섹터로 나누어 복사되는 스토리지의 내용을 캡쳐한 것으로, 스토리지를 전체로 복사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휴대용 단말(210)은 S211 단계에서 캡쳐한 디스크 이미지를 가상머신제공서버(220)에 전송한다(S212).
가상머신제공서버(220)는 휴대용 단말(210)로부터 받은 디스크 이미지를 기초로 휴대용 단말(210)의 컴퓨팅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한 가상머신을 생성한다(S213).
그리고, 가상머신제공서버(220)는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210)을 통해 가상머신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인증키를 생성하여(S214), 이를 전송한다(S215).
휴대용 단말(210)은 가상머신제공서버(220)에서 제공한 인증키를 기초로 하여 가상머신제공서버(220)의 가상머신에 보안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접속 콘솔을 생성한다(S216).
휴대용 단말(210)은 SS216 단계에서 생성된 접속 콘솔을 통해 가상머신에 접속하여(S217), 접속한 가상머신 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실행 신호를 전송(S218)한다.
가상머신제공서버(220)은 S218 단계에서의 실행 신호에 따라 가상머신을 제어하여 가상머신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S219).
이에 따라,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210) 또는 가상머신제공서버(220)에서 제공하는 가상머신을 통해 서로 동일한 컴퓨팅 환경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사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한쪽을 사용하는 경우에 이러한 사용에 따른 컴퓨팅 환경 상의 변동 사항을 다른 한쪽에 실시간으로 반영해 주는 이른바 동기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휴대용 단말(210)와 가상머신제공서버(220) 간의 동기화 과정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가상머신을 사용한 경우에 휴대용 단말(310)와 가상머신제공서버(320) 간의 동기화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가상머신제공서버(320)는 가상머신에서 가상화된 스토리지에 변동사항이 있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S311).
이는 주기적으로 스토리지의 디스크 이미지를 캡쳐한 후, 직전 주기에 캡쳐되었던 디스크 이미지와의 비교 과정을 통해 체크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상머신제공서버(320)는 S311 단계에서의 체크 결과, 변동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발생한 변동 내용을 휴대용 단말(310)에 전송한다(S312).
이 때, 가상머신제공서버(320)에 저장된 휴대용 단말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휴대용 단말(310)로 전송할 수 있다.
휴대용 단말(310)은 S312 단계를 통해 받은 변동 내용을 자신의 내부 스토리지에 적용한다(S313).
그리고, 휴대용 단말(310)은 변동 내용이 적용되어 동기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가상머신제공서버(320)에 전송하여(S314) 동기화 과정을 마친다.
이 때, 가상머신제공서버(320)는 일정한 대기 시간 동안 S314 단계의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변동 내용을 재차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을 사용한 경우에 휴대용 단말(410)와 가상머신제공서버(420) 간의 동기화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용 단말(410)은 사용자의 사용에 의해 컴퓨팅 환경을 백업하는 내부 스토리지에 변동사항이 발생하였는지를 주기적으로 체크한다(S411).
이는 주기적으로 내부 스토리지의 디스크 이미지를 캡쳐한 후, 직전 주기에 캡쳐되었던 디스크 이미지와의 비교 과정을 통해 체크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휴대용 단말(410)은 S411 단계에서의 체크 결과, 변동사항이 발생한 경우에는 발생한 변동 내용을 가상머신제공서버(420)에 전송한다(S412).
가상머신제공서버(420)는 S412 단계를 통해 받은 변동 내용을 가상머신에서 가상화한 스토리지에 적용한다(S413).
그리고, 가상머신제공서버(420)는 변동 내용이 적용되어 동기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휴대용 단말(410)에 전송하여(S414) 동기화 과정을 마친다.
이 때, 휴대용 단말(410)은 일정한 대기 시간 동안 S414 단계의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변동 내용을 재차 전송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의 장치에 대한 의존성을 없애고, 휴대용 단말의 하드웨어가 고장나더라도 가상머신제공서버에서 제공하는 가상화된 컴퓨팅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스토리지로부터 상기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 전체를 복제하기 위한 디스크 이미지를 캡쳐하여 전송하는 휴대용 단말; 및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캡쳐된 디스크 이미지를 수신하여 이를 기초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상기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한 가상머신을 생성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머신 상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가상머신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머신제공서버는 상기 휴대용 단말에게 상기 가상머신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인증키를 기초로 상기 가상머신에 보안 채널을 통해 연결되는 접속 콘솔을 생성하여, 상기 접속 콘솔을 통해 상기 가상머신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머신제공서버는 상기 가상머신에서 가상화된 스토리지의 내용에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변동 내용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고,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변동 내용을 상기 내부 스토리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은 상기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에 변동이 발생하면, 상기 발생한 변동 내용을 상기 가상머신제공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가상머신제공서버는 상기 변동내용을 상기 가상머신에서 가상화된 스토리지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5.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스토리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상기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 전체를 캡쳐한 디스크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상기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한 가상머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머신 상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제공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가상화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제공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에게 상기 가상머신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에 접근할 수 있는 인증키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의 접속 콘솔 및 상기 가상머신을 상기 인증키를 기초로 하는 보안 채널을 통해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가상화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머신에서 가상화된 스토리지 내용에 변동이 발생했는지 여부를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체크결과 변동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발생한 변동 내용을 상기 휴대용 단말에 전송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의 내부 스토리지에 적용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을 가상화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에 변동이 발생한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발생한 변동 내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변동 내용을 상기 변동내용을 상기 가상머신에서 가상화된 스토리지에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휴대용 단말을 가상화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9.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내부 스토리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을 가상화 기반으로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로부터 상기 상기 내부 스토리지의 내용 전체를 캡쳐한 디스크 이미지를 수신하는 기능;
    상기 디스크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휴대용 단말의 상기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가상으로 재현한 가상머신을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에게 상기 가상머신 상에서 재현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수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138151A 2010-12-29 2010-12-29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761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151A KR20120076127A (ko) 2010-12-29 2010-12-29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8151A KR20120076127A (ko) 2010-12-29 2010-12-29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6127A true KR20120076127A (ko) 2012-07-09

Family

ID=4670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8151A KR20120076127A (ko) 2010-12-29 2010-12-29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612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981B1 (ko) * 2012-07-11 2013-01-21 주식회사 안랩 안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가상화 장치, 서버 및 방법
KR101417439B1 (ko) * 2012-11-30 2014-07-08 중소기업은행 가상화 데스크탑 시스템 및 방법
KR101537352B1 (ko) * 2013-04-01 2015-07-16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상 화면 영상 및 로컬 화면 영상을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233705B1 (ko) * 2020-09-10 2021-03-30 (유)아홉 모바일 가상화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3981B1 (ko) * 2012-07-11 2013-01-21 주식회사 안랩 안전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가상화 장치, 서버 및 방법
KR101417439B1 (ko) * 2012-11-30 2014-07-08 중소기업은행 가상화 데스크탑 시스템 및 방법
KR101537352B1 (ko) * 2013-04-01 2015-07-16 주식회사 케이티 가상 모바일 디바이스의 가상 화면 영상 및 로컬 화면 영상을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KR102233705B1 (ko) * 2020-09-10 2021-03-30 (유)아홉 모바일 가상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en et al. Enabling FPGAs in the cloud
CN108475217B (zh) 用于审计虚拟机的系统及方法
US10509665B2 (en) Fast-booting application image
EP3241140B1 (en) Malware detection in migrated virtual machines
US11216563B1 (en) Security assessment of virtual computing environment using logical volume image
CN105556475B (zh) 请求处理技术
US8191063B2 (en) Method for migrating a plurality of virtual machines by associating files and state information with a single logical container
US7669020B1 (en) Host-based backup for virtual machines
US7313793B2 (en) Method for forking or migrating a virtual machine
US10057377B2 (en) Dynamic resolution of servers in a distributed environment
US20120084768A1 (en) Capturing Multi-Disk Virtual Machine Images Automatically
US11070419B2 (en) Methods and systems to troubleshoot and localize storage failures for a multitenant application run in a distributed computing system
US9952906B1 (en) Performance of a local device by using processing results from a remote device when a processing threshold is exceeded
JP2011076605A (ja) 仮想マシン・イメージの実行方法及びシステム
WO2014117169A1 (en) Methods and systems of function-specific tracing
US20120167088A1 (en) System for moving individual virtual machine among cloud computing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CN106777394B (zh) 一种集群文件系统
CN111124599B (zh) 虚拟机内存数据迁移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20076127A (ko) 가상화 기반 휴대용 단말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677481B (zh) 一种数据处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
US9569138B2 (en) Copying virtual machine flat tires from a source to target computing device based on matching disk layout
US20150026683A1 (en) Data control system for virtual environment
Logan et al. LabStor: A modular and extensible platform for developing high-performance, customized I/O stacks in userspace
KR20200135138A (ko) 가상 머신을 부팅하기 위한 방법, 장치, 기기 및 매체
Liu et al. A large-scale rendering system based on hadoo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