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5712A - 균상(菌床)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균상(菌床)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5712A
KR20120075712A KR1020100137501A KR20100137501A KR20120075712A KR 20120075712 A KR20120075712 A KR 20120075712A KR 1020100137501 A KR1020100137501 A KR 1020100137501A KR 20100137501 A KR20100137501 A KR 20100137501A KR 20120075712 A KR20120075712 A KR 201200757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culture medium
microorganisms
waste
enzy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7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청재
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워터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워터풀 filed Critical (주)워터풀
Priority to KR10201001375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5712A/ko
Publication of KR201200757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57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02Biological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양에 투기되던 악성 폐기물을 자원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균주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이나 사람이 섭취하고 배설하는 축분뇨 및 인분뇨와 잉여 음식물의 음폐수 등의 유해 폐기물에 특수 배양액을 투입하여, 일정온도와 일정기간 발효를 진행시키면 미생물 증식 배양에 필요한 생리활성물질을 얻을 수 있고, 동시에 악취유발 물질을 분해 소실 시키는 역할을 하는 항산화 효소 등이 함유될 수 있도록 한 균상(菌床)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오염물질을 분해, 소실시키는 방법에서,
축분뇨 및 인분뇨와 잉여 음식물의 음폐수 등의 유해 폐기물을 발효합성조에 원료로 투입하고, 상기 원료에 특수균과 각종 영양제와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 숙성시킨 배양액을 투입시키되, 배양액을 적정한 양과 비율로 투입하고, 유해 폐기물과 배양액을 투입한 발효합성조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혼합시키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장기간 발효를 계속 진행 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치면, 배양액에 함유되어 있는 복합 미생물과 효소에 의해 원료로 사용한 유해 폐기물질이 분해되어, 아미노산, 당류,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의 미생물 증식 배양에 필수 요소인 생리활성물질이 형성되는 것과, 악취 유발 물질을 소실하고 오염물질을 분해, 소실시키는데 결정적인 촉매 역할을 하는 항산화 효소와 분해와 합성을 하는 복합 효소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 되도록 하는 균주를 이루게 되어 균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균상(菌床)은, 고농도의 유기물질과 고분자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능력이 탁월하여 수질개선의 효과가 있고, 오?폐수의 고도처리가 가능하며, 폐기물의 악취를 소실시키고, 잉여 슬러지 양을 크게 감량시키는 효과도 있으며, 특히, 해양에 투기하던 악성 폐기물을 자원화로 전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악성 폐기물, 배양액, 발효합성조, 균상.

Description

균상(菌床) 제조방법{omitted}
본 발명은 해양에 투기되던 악성 폐기물을 자원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균주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축이나 사람에 섭취하고 배설하는 축분뇨 및 인분뇨와 잉여 음식물의 음폐수 등의 유해 폐기물에 특수 배양액을 투입하여, 일정온도와 일정기간 발효를 진행시키면 미생물 증식 배양에 필요한 생리활성 물질을 얻을 수 있고, 악취유발 물질을 소실시키고, 오염물질을 분해, 소실시키는 역할을 하는 항산화 효소 등이 다량으로 생산, 함유될 수 있도록 한 균주를 형성할 수 있는 균상(菌床 )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축산업 기술의 개발로 축산농가 수가 증가하고, 가축으로부터 배설되는 분뇨의 배출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또한 전통적인 식습관에 의해 배출되는 잉여 음식물의 발생량도 2010년 9월 황경부의 주요 업소별 발생량 조사에 의하면 1인당 평균 발생량이 134gr/인 정도로 많은 양이 배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축분뇨와 인분뇨 및 잉여 음식물의 부패 변질이 단시간에 발생되고, 고농도의 함질소 유기물질을 주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는 오염물질로서, 심각한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처리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생물학적 처리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나, 원만한 처리가 불가능하고, 악취가 발생하여, 대부분 해양투기에 의존하는 실정이 되었다.
그러나, 해양투기 방법은, 삼면이 바다로 형성된 우리나라의 유일한 수자원 보고의 오염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런던협약 실천의 일환으로 2012년부터 해양투기가 금지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어서, 이들 해양투기 방법을 사용하던 처리 방법이나, 업소나 시설은 난처한 입장에 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축이나 사람에 섭취하고 배설하는 축분뇨 및 인분뇨와 잉여 음식물의 음폐수 등의 유해 폐기물에 특수 배양액을 투입하여, 일정온도와 일정기간 발효를 진행시키면 미생물 증식 배양에 필요한 생리활성물질을 얻을 수 있고, 악취유발 물질을 소실시키고, 오염물질을 분해, 소실시키는 역할을 하는 항산화 효소 등이 다량으로 생산, 함유될 수 있도록 한 균주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악성 폐기물을 해양에 투기하지 않고, 오히려 오?폐수 처리 효율을 높이는 영양제로서의 역할과 작용을 할 수 있는 물질로, 자원화 할 수 있도록 하는 균상(菌床)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축분뇨 및 인분뇨와 잉여 음식물의 음폐수 등의 유해 폐기물질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축분뇨 및 인분뇨와 잉여 음식물의 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음폐수 등의 유해 폐기물을 발효합성조에 원료로 투입하고, 상기 원료에 특수균과 각종 영양제와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 숙성시킨 배양액을 투입시키되, 배양액을 적정한 양과 비율로 투입하고, 유해 폐기물과 배양액을 투입한 발효합성조에 공기를 주입하면서 혼합시키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장기간 발효를 계속 진행 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치면, 배양액에 함유되어 있는 복합 미생물과 효소에 의해 원료로 사용한 유해 폐기물이 분해되어, 아미노산, 당류,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의 미생물 증식 배양에 필수 요소인 생리활성물질이 형성되는 것과, 악취 유발 물질을 소실하고 오염물질을 분해, 소실시키는데 결정적인 촉매 역할을 하는 항산화 효소와 분해와 합성을 하는 복합 효소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복합미생물의 생태계 유지를 인위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길항작용(쟁균작용)을 완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물질이 되어, 호기성균과 혐기성 계통에 유익한 복합미생물이 109개/cc이상으로, 공존 공생하도록 하는 균주를 이루게 되는 균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폐기물을 이용한 균상(均床)은, 고농도의 유기물질과 고분자 유기물질을 분해하는 능력이 탁월하여 수질개선의 효과가 있고, 오?폐수의 고도처리가 가능하며, 폐기물의 악취를 소실시키고, 잉여 슬러지 양을 크게 감량시키는 효과도 있으며, 특히, 해양에 투기하던 악성 폐기물을 오?폐수 처리 효율을 높이는 영양 제로서의 역할과 작용을 할 수 있는 물질로 전환시키므로서, 폐기물의 재활용과 자원화로 전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에 의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다음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악성 폐기물 처리방법은,
축분뇨 및 인분뇨와 잉여 음식물의 처리과정에서 나오는 음폐수 등의 유해 폐기물(1)을 발효합성조(2)에 원료로 투입하고, 상기 원료에 특수균에 각종 영양제와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 숙성시킨 배양액(3)을 투입시키되, 배양액(3)을 적정한 양과 비율로 투입하고, 유해 폐기물(1)과 배양액(3)을 투입한 발효합성조(2)에 공기(4)를 주입하면서 혼합시키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장기간 발효를 계속 진행 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치면, 배양액(3)에 함유되어 있는 복합 미생물과 효소에 의해 원료로 사용한 유해 폐기물(1)이 분해되어, 아미노산, 당류,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의 미생물 증식 배양에 필수 요소인 생리활성물질(5)이 형성되는 것과, 악취 유발 물질을 소실하고 오염물질을 분해, 소실시키는데 결정적인 촉매 역할을 하는 항산화 효소와 분해와 합성을 하는 복합 효소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복합미생물의 생태계 유지를 인위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길항작용을 완화 시키는 능력을 갖는 물질이 되어, 호기성균과 혐기성 계통에 유익한 복합미생물이 109개/cc이상으로, 공존 공생하도록 하는 균주를 이루게 되는 균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배양액(3)의 특수균은 분말형 포자 전환 복합 미생물 등을 지칭하는 것으로, 특수 토양균 중에서 온도(일반적인 미생물은 중온균인 경우30?35℃에서 활동하나 40?65℃등의 온도 변화를 주면 포자로 전환함)나 환경 등에 변화를 줘서, 포자 전환 복합 미생물을 분리, 배양하고, 이에 영양분과 쌀겨, 음식물 찌꺼기 등과 혼합하여, 건조시키면, 포자 전환 복합 미생물이 쌀겨 또는 음식물 찌꺼기 등에 달라붙어, 밀가루 보다 더 고운 분말 상태가 되고 색깔은 주로 흙 갈색을 띠게 되는 분말형 포자 전환 복합 미생물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종 영양제는 쌀겨, 깻묵,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이, 탄수화물과 단백질과 지방질을 함유한 물질을 가리킨다.
또한, 상기, 효소(enzyne)는 생명체 내부의 화학반응을 매개로 하는 단백질 촉매 등을 지칭한다.
도 1은 균상 제조 공정도로서, 이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발효합성조(2)를 처리 물질과 처리 양에 따라 다수개로 형성하는 단계, 발효 합성조(2)에 축분뇨 및 인분뇨와 잉여 음식물의 음폐수 등의 유해 폐기물(1)을 원료로 투입하고, 상기, 원료에 특수균과 각종 영양제와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 숙성시킨 배양액(3)을 투입시키되, 배양액(3)을 적정한 양과 비율로 투입하는 단 계, 유해 폐기물(1)과 배양액(3)을 투입한 발효합성조(2)에 공기(4)를 주입하면서 혼합시키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장기간 발효를 계속 진행 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치면, 고액분리조(6)로 이송하는 단계, 고액분리조(6)에서, 유해 폐기물(1)이 배양액(3)에 의해 분해 , 합성, 소실되어 냄새가 나지 않는 생리활성물질로 변하게 되는데, 이 생리활성물질을 이루는 균상(7)은 배출되고, 찌꺼기 등의 일부는 다시 발효합성조(2)로 반송되어 양질의 균상을 이루는데 기여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유해물질(1)은 배양액(3)에 함유되어 있는 복합 미생물과 효소에 의해 원료로 사용한 유해 폐기물(1)이 분해되어, 아미노산, 당류,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의 미생물 증식 배양에 필수 요소인 생리활성물질(5)과, 악취 유발 물질을 소실하고 오염물질을 분해, 소실시키는데 결정적인 촉매 역할을 하는 항산화 효소와 분해와 합성을 하는 복합 효소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고, 복합미생물의 생태계 유지를 인위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어렵게 하는 길항작용(쟁균작용)을 완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물질이 되어, 호기성균과 혐기성 계통에 유익한 복합미생물이 109개/cc이상으로, 공존 공생하도록 하는 균주를 이루는 균상(7)이 형성되어 배출되므로, 냄새가 나지 않고, 오?폐수 수질 개선 처리에 사용할 수 있는 물질로 재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발효합성조(2)의 설치 용량이나 처리 단계 수 및 공기 투입 장치 등은 유해 폐기물의 투입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반 미생물은 악취물질을 산화, 분해하는 과정에서 냄새가 발생하나, 본 발명의 특수균은 분말형 포자 전환 복합 미생물 중 바실루스(Bacillus)계 균주의 분말형 포자 전환 복합 미생물로서 잉여 음식물의 음폐수나, 분뇨 등을 환원,합성하게 되므로 냄새가 나지 않게 한다.
또한, 상기, 배양액(3)을 잉여 음식물 찌꺼기 처리시 사용하면, 잉여 음식물 찌꺼기 처리시,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처리 과정에서도 악취 소실 작용을 하게 되고, 처리하여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나 슬러지에서, 냄새가 나지 않으므로, 슬러지를 퇴비 등 토지 개량용으로 재활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잉여 음식물의 처리과정에서 나오는 음폐수나, 축분뇨, 인분뇨 등을 환원,합성하여 처리되도록 하는 특수균이 포함된 배양액을 유해 폐기물질 처리 공정에 적정한 비율로 투입시키므로서, 냄새가 나지 않도록 하며, 슬러지 발생량을 크게 감량시키고, 유해 폐기물의 처리 효율을 증대하고, 오?폐수의 처리와 수질 개선에 도움을 주는 균상(菌床)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균상 제조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균상의 제조공정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유해 폐기물 2.발효합성조
3.배양액 4.공기
5.생리활성물질 6.고액분리조
7.균상

Claims (2)

  1. 유해 폐기물 처리 방법에서,
    축분뇨 및 인분뇨와 잉여 음식물의 음폐수 등의 유해 폐기물(1)을 발효합성조(2)에 원료로 투입하고, 상기 원료에 특수균과 각 종 영양제와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 숙성시킨 배양액(3)을 투입시키되, 배양액(3)을 적정한 양과 비율로 투입하고, 유해 폐기물(1)과 배양액(3)을 투입한 발효합성조(2)에 공기(4)를 주입하면서 혼합시키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며 장기간 발효를 계속 진행 하도록 하는 단계를 거치면, 배양액(3)에 함유되어 있는 복합 미생물과 효소에 의해 원료로 사용한 유해 폐기물(1)이 분해되어, 아미노산, 당류,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의 미생물 증식 배양에 필수 요소인 생리활성물질(5)이 형성되는 것과, 악취 유발 물질을 소실하고 오염물질을 분해, 소실시키는데 촉매 역할을 하는 항산화 효소와 분해와 합성을 하는 복합 효소등이 함유되어 있고, 길항작용을 완화시키는 능력을 갖는 물질이 되어, 호기성균과 혐기성 계통에 유익한 복합미생물이, 공존 공생하도록 하는 균주를 이루는 균상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상(菌床)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잉여 음식물 등 처리에서, 상기 특수균과 깻묵, 쌀겨 등의 영양제와 촉매 역할을 하는 효소를 첨가하여 발효 숙성시킨 배양액(3)을 투입시켜, 잉여 음식물 찌꺼기 처리시, 냄새가 나지 않고, 발생하는 슬러지를 퇴비 등 토지 개량용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상(菌床)제조 방법. ,
KR1020100137501A 2010-12-29 2010-12-29 균상(菌床) 제조방법 KR201200757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01A KR20120075712A (ko) 2010-12-29 2010-12-29 균상(菌床)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7501A KR20120075712A (ko) 2010-12-29 2010-12-29 균상(菌床)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5712A true KR20120075712A (ko) 2012-07-09

Family

ID=46709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7501A KR20120075712A (ko) 2010-12-29 2010-12-29 균상(菌床)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571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67B1 (ko) * 2012-07-19 2013-06-13 (주)우진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슬러지 감량방법 및 감량장치
KR20160081254A (ko) 2014-12-31 2016-07-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감량방법 및 감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2267B1 (ko) * 2012-07-19 2013-06-13 (주)우진 복합미생물을 이용한 슬러지 감량방법 및 감량장치
KR20160081254A (ko) 2014-12-31 2016-07-0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복합 미생물을 이용한 하수처리장의 슬러지 감량방법 및 감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44959B (zh) 一种用于环境修复的复合益生菌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0387551C (zh) 一种以陈旧生活垃圾为原料生产活性营养肥的方法
JP2014509840A (ja) 難分解性廃水の生物学的処理方法および廃水処理剤
CN102229448B (zh) 一种净化微生物菌球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184406B1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제조방법
JP2015167912A (ja) 畜産糞尿処理システム
CN104785508A (zh) 用于餐厨垃圾生化降解处理的荞麦壳菌床及其制备使用方法
KR20130000366A (ko) 복합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수슬러지를 지렁이 처리하여 제조하는 인공토양 제조 방법
KR20150066228A (ko) 미생물 담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 방법
KR101191326B1 (ko) 담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방법
Eraky et al. A new cutting-edge review on the bioremediation of anaerobic digestate for environmental applications and cleaner bioenergy
Mishra et al. Biotechnological interventions in the valorization of the organic waste
CN103011540A (zh) 一种减量处理生活污泥用复合生物酶制剂的生产方法
KR20180105593A (ko) 유기성폐기물 분해능 및 악취 제거능이 우수한 미생물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5712A (ko) 균상(菌床) 제조방법
WO1997032969A1 (fr) Procede de fermentation composite de micro-organismes aerobie et anaerobie
JP2006212612A (ja) 複合微生物体系の複合微生物動態系解析における複合発酵法を用いた養豚糞尿分解消失処理方法
JP2011031217A (ja) 有機廃棄物の処理方法並びに有機物分解活性を有する複合菌群の培養方法及び該複合菌群が培養された培地
González-Camejo et al. Biorefineries to improve water and resource recovery in the seafood-processing industry
KR101712526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폐수 처리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의 폐수 처리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액
CN115055483A (zh) 一种餐厨垃圾处理工艺
KR102299946B1 (ko) 수산부산물 산 발효액 및 이의 제조방법
Zhou et al. Sustainable management and valorization of biomass wastes using synthetic microbial consortia
KR20140130795A (ko) 소화조의 슬러지 감량 및 악취제거 방법
Uppala et al. Management of biodegradable waste through the production of single-cell prot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521

Effective date: 2014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