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461A - 파도발전방법 - Google Patents

파도발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461A
KR20120074461A KR1020100136299A KR20100136299A KR20120074461A KR 20120074461 A KR20120074461 A KR 20120074461A KR 1020100136299 A KR1020100136299 A KR 1020100136299A KR 20100136299 A KR20100136299 A KR 20100136299A KR 20120074461 A KR20120074461 A KR 201200744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ve
force
rotational force
fix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만
Original Assignee
임성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만 filed Critical 임성만
Priority to KR102010013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4461A/ko
Publication of KR20120074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4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2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wave movements to drive a motor or turb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hydrostatic thrus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도의 힘을 이용한 발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파도의 수평·수직적 이동에 따른 밀어주는 힘과 파도에 의해 상승한 물 때문에 발생하는 부력을 모아서 회전하는 힘으로 변환시키고, 이 회전력을 발전기의 동력으로 사용하고, 고정대는 조수 높이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높아지고 낮아지는 하는 파도발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파도를 이용한 발전에서 먼저 살펴보아야 할 것이 파도가 갖는 특징이다. 파도는 평행하는 선을 이루면서 밀려오며, 앞부분은 물이 약간 위로 들리면서 위로 올려주는 힘이 작용되며, 앞면의 모습은 수직평면에 가깝고 앞면의 수직인 부분은 파도방향으로 밀어주는 힘이 크게 작용하며, 파도의 중심부는 높아진 물의 높이만큼 부력을 갖을 수 있는 것이며, 주기가 있어 간헐적 힘을 갖고 있으며, 조수의 간만의 차이에 의해 해수면의 높이가 달라며, 조류의 방향과 파도의 방향이 다르며, 파도의 높이가 일정하지 않으며, 태풍 등에 의해 거대한 파괴력을 갖는 큰 파도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이다. 파도의 힘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특징의 전체를 활용하고 문제점을 해결할 다양한 방법과 장치가 결합되어야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파도발전방법은
파도의 수평·수직 이동 힘과 부력을 모아 회전력으로 바꾸는 장치,
파도에 의해 얻어진 간헐적 회전력을 힘으로 바꾸는 장치,
파도에 의해 얻어진 저속회전을 발전에 필요한 고속회전으로 바꾸는 장치,
발전을 하는 발전장치,
발전시설을 고정하는 고정대로 구성된다.
Figure P1020100136299
파도, 발전, 조력

Description

파도발전방법{wave generator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도발전방법의 구조도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10: 회전장치 11: 힘작용면 12: 부위체
13: 회전축 14: 연결대
15: 축고정대 16: 파력손실방지판
17: 연결대길이조절장치
18: 축고정대높이조절장치
19: 콘크리트봉
20: 연속장치 21: 축적장치 22: 역회전방지장치
23: 압력탱크
30: 변속장치 31: 피스톤 32: 모터
40: 발전장치
50: 고정대 51: 줄1 52: 줄위치고정부위체
53: 줄2
본 발명은 파도의 힘을 이용한 파도발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기술은 파도가 수평·수직 이동하면서 갖고 있는 힘과 파도에 의해 상승한 물 때문에 발생하는 부력을 모아서 회전력으로 바꾸어주는 기술, 간헐적 회전을 연속적 회전으로 바꾸어 주는 기술, 발전시설의 고정 기술 등 이다.
본 발명은 파도발전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존 파도를 이용한 발전 방법에 있어, 시설비 과다·시설의 내구성·시설관리의 어려움·파도의 힘을 발전동력으로 바꾸는 효율성 저하 등의 이유 때문에 태양열·풍력·조력 등을 이용한 발전에 비하여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파도의 특징들을 어느 한 부분이라도 감안하지 않는 기술은 효율성이 떨어지며, 시설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며, 내구성 등의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도발전방법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도발전방법은 크게 나누어 파도의 힘을 회전력으로 바꾸어주는 회전장치(10),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회전력을 연속적 회전력으로 바꾸어주는 연속장치(20), 저속회전을 고속회전으로 바꾸어주는 변속장치(30), 발전장치(40), 고정대(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장치(10)는 파도의 수평·수직 이동과 파도에 의해 상승한 물 때문에 발생하는 부력을 모아서 회전하는 힘으로 바꾸어 주는 장치로서, 파 도의 수평·수직 이동에 따른 밀어주는 힘의 작용을 받도록 하는 힘작용면(11)을 갖고 있으면서 파도의 높아진 수위에 의해 발생하는 부력을 키우기 위해 물보다 비중이 현저히 낮아 물의 높이가 상승함에 따라 떠오르도록 하는 부위체(12)를 회전하는 회전축(13)에 연결하여 파도의 힘을 회전하는 힘으로 바꾸어주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위체(12)가 움직이는 두가지 힘의 방향 중에서 부위체(12)가 내려가면서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경우, 발전장치의 부하를 조정하여 부위체(12)가 서서히 내려가게 하면 효율적임으로 파도가 평균적으로 6초에 한번 작용을 한다면 부위체(12)가 오르는데 걸리는 시간(예를 들어 1초라면)을 뺀 나머지 시간(5초) 동안에 서서히 내려가도록 발전장치의 부하에 맞는 부위체(12)의 무게를 정한다. 부위체(12)의 무게 때문에 존재하는 관성 때문에 처음 움직임이 시작할 때 필요한 힘을 파도의 특성상 수평이동에 의한 미는 힘이 먼저 작용하게 되는데 이 힘으로 처음 움직일 때 필요한 힘으로 작용하게 되며, 옆으로 미는 힘에 의해 움직이기 시작한 부위체(12)는 옆으로 미는 힘이 관성으로 작용하여 들어 오르는 힘으로 전환되며, 파도의 부력 및 위로 미는 힘에 의해 부위체(12)를 들어 올릴 때 3가지의 힘이 합쳐져 부위체(12)를 최대한 높이 들어 올리게 되어 파도의 힘 이용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이 경우 부위체(12)의 무게와 발전기의 크기 및 회전수를 적정히 하면 축적장치(21)는 적정 크기의 플라이휠을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며, 회전장치(10)의 회전축(13)에 부위체(12)가 내려올 때에만 회전축에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켐베어링 및 키 등을 설치하여 역회전방지장치(22)를 대신하게 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위체(12)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길이(112)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으며, 길이 방향의 전면부는 파도의 전면 모양과 근접한 모양으로 하여 파도 전면의 수직적 면이 부위체(12)를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할 때 많은 힘을 받도록 하며, 파도의 저점에서 해수면에 닺아 있는 면은 파도의 전면이 약간 들리면서 시작되는 점을 감안하여 앞쪽이 들어 오른 각도를 갖도록 하며, 전체적 무게에 있어 들어 오르는 힘을 사용할 경우는 최대한 가벼우면서 견고하게 제작하여야 하는데 직육면체의 스티로폴을 FRP로 감싸서 제작하며, 내려올 때의 힘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힘의 크기에 맞는 무게를 정하고 이 무게를 들어 올릴 수 있는 힘작용면(11)과 부력의 크기를 정하며, 콘크리트를 봉 형태로 콘크리트봉(19)을 만들고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으로 주변을 감싸고 FRP로 전체를 감싸는 직육면체 형태로 제작하며, 콘크리트봉(19)을 회전축에 연결할 수 있는 연결대(14)를 심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며, 파도 전면의 미는 힘을 많이 받게 하기 위해 이용하고자 하는 파도의 평균높이 만큼의 높이를 갖게 하며, 파도가 밀고 올리는 힘이 지나가고 높아진 파도가 부위체(12)를 덮는 경우 부력을 많이 갖게 하기 위해 이용하고자 하는 파도의 높이에 비례한 파도의 폭만큼 넓이를 갖게 한다. 이렇게 하면 파도의 미는 힘과 올리는 힘이 부위체(12)를 우선하여 움직이게 하면서 부위체(12)에 관성을 갖게 하고 부위체(12)가 회전축(13)에 고정되어 있어 관성에 의해 위로 올라가는 작용을 하게 되고 높아지는 파도의 높이에 의해 부력으로 부위체(12)를 더욱더 높이 들어 올리는 작용을 하여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파도의 앞부분이 먼저 들려 오르는 특징, 파도의 전면이 수직이면서 미는 힘이 작용하는 특징, 파도의 중심부의 높이에 의해 부력이 발생하는 특징을 모두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축(13)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파도가 밀려오는 방향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하여 파도의 움직임 방향에 의해 최대의 힘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각도의 유지는 고정대(50)의 고정의 방법에 의해 해결됨이 뒤에서 설명되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파력손실방지판(16)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축고정대(15)에 파도방향과 직각으로 판재를 설치하여 부위체(12)에 파도의 힘이 손실 없이 최대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며, 파도의 평행하는 선들과 축의 방향이 평행을 이루도록 하는 기능을 돕게 되며, 조류의 힘에 의해 방향이 달라질 수 있는 것을 파도의 힘에 의해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대길이조절장치(17)과 축고정대높이조절장치(18)에 대해 설명하면, 파도 높이의 변화에 따라 연결대(14)의 길이와 축고정대의 높이를 파도의 최고 높이에 비례하여 조절되도록 하여 파도가 높아짐에 따라 연결대(14)의 길이와 축고정대(15)의 높이가 커지면 회전축(13)에 전달되는 힘의 크기가 비례하여 커지게 됨으로 파도의 높이 변화에 따른 힘을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조절장치는 기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수동 또는 감지기와 모터를 이용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장치(20)는 파도로부터 얻어지는 회전력이 간헐적으로 발생되지만 연속적 회전력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회전장치(10)의 간헐적 회전을 축적장치(21)에 전달하면 전달된 회전이 변속장치(30)에 연결된 발전장치(40)의 부하 때문에 회전장치(10)의 회전이 동시에 100% 변속장치(30)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축적장치(21)에 회전력이 축적되게 되는데, 이때 축적된 회전력이 회전장치(10)쪽으로 되돌아오지 않도록 하는 역회전방지장치(22)를 설치하여 축적된 회전력이 변속장치(30)에 계속하여 전달하게 되어 간헐적 회전이 연속하는 회전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렇게 하여 파도의 힘이 간헐적으로 발생되는 특징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연속적 회전을 목적으로 회전력을 축적하는 축적장치(21)에 코일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외 태엽형태 등의 스프링·적정한 수준의 무게를 갖는 플라이휠·압력탱크·적정한 무게의 물체 들어 올리면 중력에 의해 내려가게 하는 장치 등을 통해 회전력을 축적하고 연속하는 힘으로 변속기에 힘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역회전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장치(22)에는 켐베어링·니들클러치베어링·역회전 방지 키 등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음으로 이러한 방법의 변경은 본 연속장치(20)의 기능을 달리한 것으로 볼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장치(30)는 연속장치(20)으로부터 전달되어오는 회전수를 발전장치(40)에 필요한 회전수에 최대한 근접한 회전수로 바꾸어주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전장치(40)는 변속장치(30)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대(50)는 발전시설을 고정하고 지탱해주는 기능을 하며, 발전시설의 전체무게를 계산하여 고정대(50) 표면이 해수면에 약간만 떠 있는 형태로 제작하고 고정대(50)를 바다의 바닥에 밧줄 등으로 고정하며, 회전장치(10)의 부위체(12)가 밀리고 올라 내리면서 고정대(50)에 전달되는 역작용 힘을 고정대(50)의 무게에 의한 관성으로 흡수 할 수 있는 정도로 고정대(50)의 무게를 정하고 그 무게만큼의 부력을 갖추어 설치하며, 고정대(50)는 조수 간만의 높이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높이가 변하면서 조수가 낮아지면 파도방향으로 낮아진 만큼 흘러가고 높아지면 부력에 의해 원위치로 돌아오는 기능을 한다. 고정대(50)를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히고 위로 많은 부분이 올라오지 않도록 하는 이유는 큰 파도에 의한 힘을 최소한으로 받도록 하기 위해서이며, 고정대(50)에 파도에 의한 부력이 최대한 적게 작용하여 부위체(12)가 파도에 의해 움직일 때 고정대(50)가 함께 움직여 효율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고정대(50)의 설치를 부력을 이용하여 물위에 떠 있는 형태로 하고 있는 것을 설명하고 있지만 수심이 낮으면서도 파도가 많은 지역에서는 바닥에 고정하는 비용을 계산하여 생산성이 있을 경우 고정대(50)를 바닥에 고정하는 구조물로 대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대(50)의 고정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바다의 바닥에 줄1(51)로 연결하여 고정하되 간조때의 해수면 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부력을 갖는 줄위치고정부위체(52)을 설치하여 바닥에 고정된 지점에서 줄1(51)이 최대한 수직으로 있을 수 있도록 하며, 줄위치고정부위체(52)와 고정대(50)을 줄2(53)으로 연결하여 만조와 간조 때에 고정대(50)의 위치가 크게 변동하지 않도록 하며, 줄 2(53)는 고정대(50)의 파도가 오는 방향 양쪽 지점과 줄위치고정부위체(52)를 삼각지점으로 하여 고정하며, 파도의 방향에 따라 고정대(50)가 줄위치고정부위체(52)와 파도의 방향과 일치하는 위치에 향상 있을 수 있게 되어 회전축(13)이 향상 파도와 평행을 이루도록 하게 해준다. 이렇게 하여 조류의 방향이 파도의 방향과 수직이 되어도 파도의 힘에 의해 파도와 회전축(13)의 방향이 어느 정도 평형을 이루게 되며, 큰 파도에 의해 고정대가 한꺼번에 힘을 받아 파손 또는 유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줄위치고정부위체(52)와 줄1(51) 및 줄2(53)이 이 완충 역할을 하게 되며, 조수의 높이 변화에 따른 고정대(50)의 위치 변화가 발전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문제점을 최소화 하게 된다. 만약 줄위치고정부위체(52)를 설치하지 않으면 수심 30미터 깊이인 경우 해수면이 5미터 낮아지면 고정대(50)는 약16.5미터를 흐르게 되지만 줄위치고정부위체(52)를 설치하면 5미터만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고정대의 제작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 덩어리를 육면체 형태로 하여 중간에 넣고 육면을 철근콘크리트로 감싸서 만들며, 철근콘크리트의 무게는 부위체의 움직임에 의한 작용과 반작용을 이겨 낼 수 있는 정도의 관성을 갖도록 정하며, 철근콘크리트 무게와 발전시설 전체의 무게를 계산하여 고정대가 수면에서 약간만 떠 있는 정도가 되도록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의 부피를 정한다.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과 철근콘크리트의 배치 방법을 달리 할 수도 있으며, 가벼워 부력을 갖는 다른 소재로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을 대치할 수도 있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파도발전에 유압 및 공압을 이용한 방법의 구조도이다. 도2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파도발전방법은 크게 나누어 파도의 힘을 회전력으로 바꾸어주는 회전장치(10), 간헐적으로 압력을 연속적 압력으로 바꾸어주는 연속장치(20), 저속회전을 고속회전으로 바꾸어주는 변속장치(30), 발전장치(40), 고정대(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도1의 변속장치(30) 기능은 회전장치(10)에서 얻어진 회전력으로 피스톤(31)을 움직여 유압·공압을 발생시키고 이 압력을 호스를 통해 전달하고 유압·공압 모터(32)를 통해 회전력으로 변환시켜 발전장치(40)가 돌아가도록 하고, 이때 압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31)의 굵기 및 움직임거리, 움직임 횟수 등을 조정하고 모터(32)의 용량을 조절하여 발전장치(40)에 필요한 적정한 회전수가 얻어지도록 하여 해결 된다. 또한, 이 방법은 소형 발전시설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피스톤(31)과 모터(32)의 거리를 멀리하여 설치할 수 있고 힘의 전달을 직선이 아닌 어떠한 위치로도 전달할 수 있으며 쉽게 힘을 모으고 나눌 수 있어 대형 발전시설에도 아주 적합한 방법이다. 피스톤 외에 유압펌프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1의 연속장치(20) 기능은 피스톤(31)과 모터(32) 사이에 설치한 압력탱크(23)가 피스톤(31)에서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압력을 모아서 연속적으로 일정한 압력을 모터(32)에 보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 따른 방법은 유압·공압의 전달을 호스를 이용할 수 있음으로, 경제성을 고려하여 개별적 발전시설을 키우게 되면 큰 파도에 의한 순간적 큰 힘을 받아 파손 및 유실될 위험성이 커지지만 소형화 시켜 여러개를 설치하고 힘을 호스로 전달하게 됨으로 여러개의 소형시설의 힘을 한군데로 모아 큰 규모의 발전기를 작 동 시킬 수 있게 됨으로 경제성을 살릴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파도의 특징들을 고려하여 최대의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파도의 힘을 이용한 전기에너지를 많이 생산함으로 인해 태양열·풍력·조류 등을 이용한 발전과 마찬가지의 환경적 기대효과가 발생되며 태양열·풍력·조력 등을 이용한 발전보다 더 높은 경제성이 기대된다.

Claims (8)

  1. 부위체의 면 중에서 파도의 밀어주는 힘을 받는 면의 모양을 파도 전면의 모양에 최대한 일치하게 하여 파도의 수평·수직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밀어주는 힘의 작용을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파도의 밀어주는 힘으로 부위체가 회전을 시작하면서 속도를 얻어 파도의 높아진 수위에 의한 부력이 작용할 때 부위체의 운동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의 회전력을 얻도록 하는 부위체를 포함하고, 부위체의 움직이는 힘을 회전축을 이용하여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회전력을 코일 스프링 등에 축적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발전에 필요한 회전수로 변환하는 변속장치를 포함하고, 연속적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장치를 포함하고, 부력을 이용해 물위에 떠 있는 발전시설 고정대가 파도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도록 하기 위해 수면위로 올라오는 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수면 아래 부분은 부위체의 운동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큰 관성을 갖도록 무겁게 만든 고정대를 포함하고, 간조·만조의 높이 차이에 의해 고정대의 위치의 변화를 최대한 줄일 수 있고 큰 파도에 의한 힘을 완충시켜주는 기능을 하도록 줄위치고정부위체를 이용한 고정방법의 고정줄을 포함하고, 파도의 선들과 회전축이 최대한 평행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 즉 선박의 발향키 기능을 하여 파도의 힘이 최대한으로 부위체에 전달되도록 하면서 부위체에 작용하는 파도의 힘이 옆으로 새는 것을 막아 최대한의 파도 힘이 부위체에 작용하도록 하는 파력손실방지판을 포함하고, 회전축과 부위체를 연결하는 연결대 길이 및 회전축을 고정하는 고정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파도의 높이 변화에 따라 변하는 힘의 크기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연결대길이조절장치 및 축고정대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파도발전방법
  2. 부위체의 면 중에서 파도의 밀어주는 힘을 받는 면의 모양을 파도 전면의 모양에 최대한 일치하게 하여 파도의 수평·수직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밀어주는 힘의 작용을 최대한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파도의 밀어주는 힘으로 부위체가 회전을 시작하면서 속도를 얻어 파도의 높아진 수위에 의한 부력이 작용할 때 부위체의 운동량을 극대화 시킬 수 있도록 하여 최대한의 회전력을 얻도록 하는 부위체를 포함하고, 부위체의 움직이는 힘을 회전축을 이용하여 회전력으로 변환하는 회전장치를 포함하고, 힘을 저장하고 일정한 크기로 연속하여 전달하는 기능과 변속기능을 원활하게 하며 여러개의 힘을 하나로 모는데 용이하고 힘을 전달할 위치의 변화를 쉽게 대응하기 위해 회전력을 피스톤 및 펌프를 이용하여 압력으로 전환하고 이를 압력탱크에 저장하고 모터에 전달함으로 다시 회전력으로 전환하는 장치를 포함하고, 연속적 회전력을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장치를 포함하고, 부력을 이용해 물위에 떠 있는 발전시설 고정대가 파도의 영향을 최대한 적게 받도록 하기 위해 수면위로 올라오는 체적을 최대한 줄이면서 수면 아래 부분은 부위체의 운동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큰 관성을 갖도록 무겁게 만든 고정대를 포함하고, 간조·만조의 높이 차이에 의해 고정대의 위치의 변화를 최대한 줄일 수 있고 큰 파도에 의한 힘을 완충시켜주는 기능을 하도록 줄위치고정부위체를 이용한 고정방법 의 고정줄을 포함하고, 파도의 선들과 회전축이 최대한 평행을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하여 파도의 힘이 최대한으로 부위체에 전달되도록 하면서 부위체에 작용하는 파도의 힘이 옆으로 흐르는 것을 막아 최대한의 힘이 부위체에 작용하도록 하는 파력손실방지판을 포함하고, 회전축과 부위체를 연결하는 연결대 길이 및 회전축을 고정하는 고정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파도의 높이 변화에 따라 변하는 힘의 크기를 최대한 이용할 수 있는 연결대길이조절장치 및 축고정대높이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파도발전 방법
  3. 태풍 등의 큰 파도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소형 회전장치를 여러 개 설치하고 여래 개에서 얻은 힘을 한군데로 모아 큰 용량의 발전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해 회전장치에서 얻은 회전력을 피스톤 장치로 공압 또는 유압으로 바꾸고 호스를 통해 압력을 멀리 떨어져 있는 하나의 압력탱크에 모아서 대용량 유압 및 공압 모터에 전달하여 회전력으로 바꾸고 이 회전력을 이용하여 큰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대용량 발전방법
  4. 소형 회전장치에서 얻은 회전력이 작아서 기어장치 등으로 발전에 필요한 고속회전으로 변속하고자 하는 경우 설치비 과다 및 효율성 저하로 경제성이 떨어짐으로 회전력을 피스톤 장치 및 펌프를 이용하여 공압 또는 유압으로 바꾸고 이 압력이 압력탱크에 모아지게 하면서 압력을 유압 및 공압 모터에 전달하여 회전력으로 바꾸고 이 회전력을 이용하여 소형 발전기를 구동시키는 발전방법
  5. 파도의 미는 힘과 높아진 파고에 의한 부력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미는 힘 작용면을 갖고 있는 부위체 제작 방법
  6. 부위체가 올라 가는 힘을 사용하기 위해 가볍고 견고한 부위체를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을 FRP로 감싸서 제작하며, 부위체가 올라갔다가 내려 올 때 생기는 힘을 이용하기 위해 부위체 중간에 콘크리트 봉을 넣고 주변을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으로 감싼 후 전체를 FRP로 감싸서 부위체를 제작하는 방법
  7. 물위에 떠 있는 발전시설 고정대가 부위체의 움직임에 의한 반작용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고정대의 무게를 충분히 확보하지만 이 무게의 대부분을 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하여 파도의 작용에 의해 고정대가 움직이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하는 고정대를 만들기 위해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 덩어리를 육면체 형태로 하여 중간에 넣고 육면을 철근콘크리트로 감싸서 만들며, 철근콘크리트의 무게는 부위체의 움직임에 의한 작용과 반작용을 이겨 낼 수 있는 정도의 관성을 갖도록 정하며, 철근콘크리트 무게와 발전시설 전체의 무게를 계산하여 고정대가 수면에서 약간만 떠 있는 정도가 되도록 스티로폴 또는 우레탄의 부피를 정하여 고정대를 제작하는 방법
  8. 물위에 떠 있는 발전시설 고정대를 고정하기 위해 줄위치고정부위체를 간조 수위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있게 줄 길이를 정하여 묶고 고정대를 줄위치고정부위체에 묶어 놓음으로 수위 변화에 고정대가 영향을 적게 받게 하며 태풍 등에 의한 큰 파도의 순간적 힘을 완충시켜 발전시설을 보호하는 고정대 고정방법
KR1020100136299A 2010-12-28 2010-12-28 파도발전방법 KR201200744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299A KR20120074461A (ko) 2010-12-28 2010-12-28 파도발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6299A KR20120074461A (ko) 2010-12-28 2010-12-28 파도발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461A true KR20120074461A (ko) 2012-07-06

Family

ID=46708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6299A KR20120074461A (ko) 2010-12-28 2010-12-28 파도발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446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528A (zh) * 2013-01-31 2013-05-08 青岛市机械工业总公司 双行程振动式波浪浮子发电装置
CN103758683A (zh) * 2014-01-14 2014-04-30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振荡浮子式波浪能发电装置的平衡稳定机构
CN106121902A (zh) * 2016-08-25 2016-11-16 黄维斌 一种波浪能发电装置
CN109882345A (zh) * 2019-03-12 2019-06-14 周加存 海水波动物理受力平衡发电设备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89528A (zh) * 2013-01-31 2013-05-08 青岛市机械工业总公司 双行程振动式波浪浮子发电装置
CN103758683A (zh) * 2014-01-14 2014-04-30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振荡浮子式波浪能发电装置的平衡稳定机构
CN103758683B (zh) * 2014-01-14 2015-12-09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振荡浮子式波浪能发电装置的平衡稳定机构
CN106121902A (zh) * 2016-08-25 2016-11-16 黄维斌 一种波浪能发电装置
CN106121902B (zh) * 2016-08-25 2019-05-07 黄维斌 一种波浪能发电装置
CN109882345A (zh) * 2019-03-12 2019-06-14 周加存 海水波动物理受力平衡发电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4441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энергии движения волн
JP5331982B2 (ja) 波力発電プラント
US20100025999A1 (en) Ocean wave electricity generation
US20080197631A1 (en) Wave-power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energy at constant rotational speed at variable significant wave heights and periods
CN102261302B (zh) 基于海面波浪层和深海稳定区的波浪能发电单元及系统
US20100164227A1 (en) Completely submerged wave energy converter
CA3000873A1 (en) System for wave amplifying, wave energy harnessing, and energy storage
US20100283261A1 (en) Buoyancy Energy Cell
BR112014011193B1 (pt) Gerador para conversão de movimento de onda em um corpo de água em energia útil
MX2009000329A (es) Convertidor de energia de oleaje.
CN102549257A (zh) 用于从波浪运动产生电能或机械能的装置
CN103867378A (zh) 一种波浪发电装置
CN101603497A (zh) 海洋浪潮能量利用及发电设备
CN202756167U (zh) 浮动平台波浪能储能系统和波浪能发电系统
CN102900592B (zh) 浮动平台波浪能储能系统和波浪能发电系统
CN104114854A (zh) 将海波的机械能转化为电能的装置
US20090261593A1 (en) Tidal pump generator
US10415539B1 (en) Tidal electricity generator
KR101392282B1 (ko) 파력 발전장치
CN102979661A (zh) 一种采能单元和棘轮以及波力发动机
US20110221209A1 (en) Buoyancy Energy Cell
CN102192077B (zh) 波浪与潮汐能储能系统、方法和发电方法、系统
JP2013518203A (ja) 振動波力発電システム
KR20120074461A (ko) 파도발전방법
US20200395818A1 (en)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otential energy storage device for a power gener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