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4314A -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4314A
KR20120074314A KR1020127013026A KR20127013026A KR20120074314A KR 20120074314 A KR20120074314 A KR 20120074314A KR 1020127013026 A KR1020127013026 A KR 1020127013026A KR 20127013026 A KR20127013026 A KR 20127013026A KR 20120074314 A KR20120074314 A KR 20120074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ar prediction
lpc
coding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3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058B1 (ko
Inventor
윤성용
최택성
이현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74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4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06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e.g. of the short-term prediction coeffici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0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using sound class specific coding, hybrid encoders or object based co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6Creation of reference templates; Training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e.g.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s voice
    • G10L15/063Train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 G10L19/0212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spectral analysis, e.g. transform vocoders or subband vocoders using orthogonal transform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08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 G10L19/10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excitation function; Determination or coding of the long-term prediction parameters the excitation function being a multipulse excitation
    • G10L19/107Sparse pulse excitation, e.g. by using algebraic codeboo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OR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4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using predictive techniques
    • G10L19/16Vocoder architecture
    • G10L19/18Vocoders using multiple modes
    • G10L19/22Mode decision, i.e. based on audio signal content versus external parameters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호, 음성 코딩 방식 또는 오디오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코딩 모드 정보, 및 선형 예측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딩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코딩 방식 또는 상기 오디오 코딩 방식에 따라 상기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선형 예측 계수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선형 예측 계수를 상기 복호화된 신호에 적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발생되는 LPC 잔여신호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신호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이용하여 선형 예측 코딩의 적용 정도를 가변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일반적인 신호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모듈 보다 적은 개수의 모듈만으로도 음성 및 오디오 신호가 혼합된 신호를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IG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가변 차수를 이용하여 LPC(Linear Prediction Coding)를 수행함으로써, 코딩 장치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는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악 신호와 같은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는 오디오 특성에 기반한 코딩 방식을 이용하고, 음성 신호에 대하여는 음성 특성에 기반한 코딩 방식을 이용하며, 음성 신호에 약간의 오디오 신호가 포함된 경우에는 음성 특성에 기반하여 주파수 도메인에서 처리하는 코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현존하는 음성 및 오디오 신호의 처리 장치는 상기 세 가지 코딩 방식을 수행하는 세 가지 모듈을 이용하는데, 이용되는 모듈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모듈 간의 스위칭이 발생하는 경우, 처리하여야 하는 transition 부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고정 차수가 아닌 가변 차수의 선형 예측 코딩(LPC)을 이용하여, 원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는 신호의 처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은,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호, 음성 코딩 방식 또는 오디오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코딩 모드 정보, 및 선형 예측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딩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코딩 방식 또는 상기 오디오 코딩 방식에 따라 상기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선형 예측 계수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선형 예측 계수를 상기 복호화된 신호에 적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발생되는 LPC 잔여신호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가 유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이면 무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보다 높은 차수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가 토널 성분이 강한 오디오 신호이면 토널 성분이 적은 오디오 신호보다 높은 차수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가 오디오에 가까운 신호이면 음성에 가까운 신호(speech-like audio)보다 낮은 차수를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의 상기 오디오 신호의 프레임 길이는 상기 음성 신호의 프레임 길이의 정수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방법은, 상기 복호화된 신호가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이고, 이전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복호화된 신호와 상이한 신호인 경우, 상기 복호화된 신호를 이전 프레임의 신호를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에일리어싱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선형 예측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 및 선형 예측 계수를 포함하는 LPC 비트스트림,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호, 및 음성 코딩 방식 또는 오디오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코딩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코딩 모드 정보가 음성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신호를 음성 코딩 방식에 따라 복호화하는 ACELP 디코딩부; 상기 코딩 모드 정보가 오디오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신호를 오디오 코딩 방식에 따라 복호화하는TCX디코딩부; 및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선형 예측 계수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선형 예측 계수를 상기 복호화된 신호에 적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LPC 복호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발생되는 LPC 잔여신호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와 이점을 제공한다.
첫째로,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신호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이용하여 선형 예측 코딩의 적용 정도를 가변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일반적인 신호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모듈 보다 적은 개수의 모듈만으로도 음성 및 오디오 신호가 혼합된 신호를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로,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 및 방법은, 신호의 특성에 따라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가변적으로 결정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함으로써, 고정 차수의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는 경우 발생하기 쉬운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고, LPC 모델링이 어려운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도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및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의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따른 신호 인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인코딩 장치 중 LPC 분석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2 의 신호 인코딩 장치에 대응하는 신호 디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디코딩 장치 중 LPC 합성부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LPC 합성부에서 선형 예측 차수 정보에 따라 디코딩되는 신호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형 예측 차수 정보가 0을 나타내는 경우, 신호 디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블록 단위로 구성된 본 발명의 입력 신호가 프레임(또는 서브 프레임) 별로 상이한 코딩 방식이 적용되는 여러가지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는 연속되는 프레임(또는 서브 프레임) 중에서 상이한 코딩 방식이 적용되는 프레임들(또는 서브 프레임들)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0은 도 9의 상이한 코딩 방식이 적용되는 프레임들에서 다른 모양의 윈도우가 중첩되는 경우의 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인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호 디코딩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디코딩 장치가 구현된 제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가 구현된 제품들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코딩이라 함은, 인코딩 및 디코딩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정보(information)란, 값(values), 파라미터(parameter), 계수(coefficients), 성분(elements) 등을 모두 아우르는 용어로서, 경우에 따라 의미는 달리 해석될 수 있는 바,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명세서에서 오디오 신호란, 광의로, 비디오 신호와 구별되는 개념으로 재생시 시각이 아닌 청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신호를 지칭하고, 협의로는 음성 신호와 구분되는 개념으로 음성 특성이 없거나 음성 특성을 적게 포함하는 신호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의 오디오 신호는 광의로 해석되어야 하나, 음성 신호와 구별하여 이용되는 경우에는 협의의 오디오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성 및 오디오 신호를 포함하는 신호의 처리 장치(100, 200)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인코더(100) 및 디코더(20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중 인코더(100)는 크게 신호 분류부(110), 제 1 인코딩부(120-1), 제 2 인코딩부(120-2) 및 멀티플렉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분류부(110)는 입력 신호의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특성에 기초하여 현재 프레임(또는 서브프레임)이 어떠한 코딩 방식에 따라 인코딩되는지를 결정하고, 이를 나타내는 코딩 모드 정보(coding mode information)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정되는 코딩 모드 정보는 제 1 인코딩부(120-1)에서 이용되는 제 1 코딩 방식 또는 제 2 인코딩부(120-2)에서 이용되는 제 2 코딩 방식을 나타낼 수 있고, 또는 A 인코딩부(130)에서 이용되는 A 코딩 방식, B 인코딩부(150)에서 이용되는 B 코딩 방식, 및 C 인코딩부(160)에서 이용되는 C 코딩 방식 중 하나를 나타낼 수도 있다. 상기 코딩 방식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하나, 본 발명은 후술한 코딩 방식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제 1 인코딩부(120-1) 및 제 2 인코딩부(120-2)는 서로 다른 도메인을 기반으로 하는 제 1 코딩 방식 및 제 2 코딩 방식이 각각 적용되는 유닛들을 나타낸다. 상기 도메인은 선형예측 도메인(Linear Prediction Coding domain(LPC domain)), 주파수 도메인(frequency domain), 시간 도메인(time doma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코딩 방식이 선형 예측 도메인 기반의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코딩 방식은 주파수 도메인 기반의 코딩 방식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메인의 유형에 따른 정의 및 특성은 추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제 2 코딩 방식이 선형예측 도메인 기반의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경우, 제 2 인코딩부(120-2)는 선형예측 분석부(140) 및 서로 다른 코 딩 방식을 적용하는 두 개의 특정 코딩 유닛(150, 160)을 포함할 수 있다.
선형예측 분석부(140)는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선형 예측 계수(Linear Prediction coding Coefficients) 와 예측후 남은 LPC 잔여신호(LPC residual)을 생성한다. 이 때, 선형 예측 계수는 일반적으로 16차로 고정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다.
이후, LPC 잔여신호는 B 인코딩부(150) 또는 C 인코딩부(160)으로 입력되어 B 코딩 방식 또는 C 코딩 방식으로 인코딩 될 수 있다. 상기 B 코딩 방식은 ACELP(Algebraic Code Excited Linear Prediction) 방식일 수 있고, 상기 C 코딩 방식은 TCX(Transform Coded Excitation) 방식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한편, B 인코딩부(150)와 C 인코딩부(160)가 ACELP 및 TCX 방식을 각각 이용하는 경우, A 인코딩부(130)는 MDCT(Modified Discrete Fourier Transform)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ACELP 방식은 음성 신호에 적합한 코딩 방식이고, MDCT 및 TCX 방식은 오디오 신호에 적합한 코딩 방식이다. 일반적인 신호 처리 장치에서는 MDCT 방식을 주성분이 오디오 신호인 신호 처리를 위하여 이용하고, TCX 방식은 주 성분이 오디오 신호와 음성 신호 중 음성 신호로 구분된 신호에 포함된 적은 양의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위하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코딩 모드 정보는 코딩 식별 정보 및 서브-코딩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딩 식별 정보는 현재 프레임에 대하여 적용되는 제 1 코딩 방식 또는 제 2 코딩 방식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고, 상기 서브-코딩 식별 정보는 현재 프레임이 제 2 코딩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B 코딩 방식을 이용하는지 또는 C 코딩 방식을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코딩 모드 정보는 신호 분류부(110)에서 생성되고, 입력 신호가 입력될 코딩 유닛(120-1, 120-2 또는 150-160)을 결정하며, 멀티플렉서(170)로 전송된다.
한편, 입력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 분류부(110)에서 생성된 상기 코딩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프레임별(또는 서브 프레임별)로 구획되어 제 1 인코딩부(120-1) 또는 제 2 인코딩부(120-2)에 입력된다. 이후, 상술한 방법에 따라 각각의 코딩 방식에 의하여 인코딩된 데이터를 멀티플렉서(170)로 전달할 수 있다.
멀티플렉서(170)는 코딩 모드 정보 및 각 코딩 유닛에서 인코딩된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함으로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 중 디코더(200)는 크게 디멀티플렉서(210), 제 1 디코딩부(220-1) 및 제 2 디코딩부(220-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디코딩부(220-1) 및 제 2 디코딩부(220-2)는 인코더(100)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인코딩부(120-1) 및 제 2 인코딩부(220-2)에 대응되는 디코더 측면의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인코더(100)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디코더(200)는 A 디코딩부(230) 내지 C 디코딩부(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디코딩부(220-1)가 A 디코딩부(230)에 해당하는 경우, 제 2 디코딩부(220-2)는 B 디코딩부(240) 및 C 디코딩부(25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디코딩부(220-2)는 B 디코딩부(240) 또는 C 디코딩부(250)에서 디코딩된 신호를 입력받아 선형 예측 계수를 이용하여 원 신호를 복원하는 LPC 합성부(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디코딩부(220-1)에서 적용되는 제 1 디코딩 방식 및 제 2 디코딩부(220-2)에서 적용되는 제 2 디코딩 방식은 앞서 인코더(100)를 참조하여 설명한 코딩 방식에 대응되는 디코더 측면의 방식을 지칭한다. 또한, 디코더(200)가 A 디코딩부(230) 내지 C 디코딩부(250)를 포함하는 경우, 각각에 적용되는 A 디코딩 방식 내지 C 디코딩 방식도 마찬가지이다. 즉, A 디코딩 방식은 MDCT 방식일 수 있고, B 디코딩 방식은 ACELP 방식, C 디코딩 방식은 TCX 방식일 수 있으며, 이들은 디멀티플렉서(210)에서 추출된 코딩 모드 정보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코딩 모드 정보가 코딩 식별 정보 및 서브-코딩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음을 상술한 바와 같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신호의 특성에 따라 처리되는 도메인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모듈(제 1 코딩부(220-1) 및 제 2 코딩부(220-2))을 이용하고, 구체적으로는 입력 신호가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B 디코딩부(240)) 및 음성 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모듈(C 디코딩부(250)), 및 입력 신호가 오디오 신호인 경우 이를 처리하는 모듈(A 디코딩부(230))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위하여 기존의 AAC와 유사한 MDCT모듈, LPD 에서의 음성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ACELP 모듈, 및 LPD에서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TCX 모듈, 세 가지 모듈을 이용하는데, 각 모듈마다 이용되는 윈도우의 형태 및 프레임의 길이 등이 상이하기 때문에, 모듈의 스위칭이 일어나는 경우 transition을 처리하는 방법을 더 요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신호 처리를 위하여 이용되는 모듈의 수를 줄임으로써, 코딩시 신호의 왜곡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를 제안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인코딩 장치(100A)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인코딩 장치(100A)는 크게 LPC 분석부(240) 및 ACELP 인코딩부(250), TCX 인코딩부(260) 및 멀티플렉서(270)를 포함한다. 또한, 입력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코딩 방식을 결정하고,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코딩 모드 정보를 생성하여 멀티플렉서로 전송하는 신호 분류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PC 분석부(240)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한다. 이 때, 도 1을 참조하여 서술한 인코더(100)의 LPC 분석부(140)는 고정된 차수의 선형 예측 계수, 예를 들어, 16차, 를 생성하도록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는 반면, 본원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LPC 분석부(240)는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가변 차수의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LPC 분석부(240)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다양한 차수의 선형 예측 코딩을 실행하여 LPC 잔여신호(residual)을 계산하고, LPC 잔여신호의 변화에 근거하여 가변 차수를 결정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선형 예측 차수가 높아질수록 LPC 잔여신호(residual)가 줄여드는 경우, 이 입력 신호는 높은 차수의 선형 예측이 잘 되는 신호이므로, 높은 차수를 선형 예측 코딩을 위한 가변 차수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선형 예측 차수를 높여 선형 예측 코딩을 실시하더라도 LPC 잔여신호가 줄어들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높은 차수의 선형 예측 코딩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낮은 차수를 선형 예측 코딩을 위한 가변 차수로 결정할수 있다. 입력 신호가 선형 예측 코딩으로 모델링이 잘되는지 여부(즉, LPC 잔여신호가 적게 나오는지 여부)에 근거하여 다양한 차수의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결정하고, 이에 따라 가변 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음성 신호의 경우, 유성음이 강한 신호가 무성음이 강한 신호보다 LPC 모델링이 잘 되므로, 더 높은 차수의 선형 예측 차수를 이용할 수 있고, 오디오 신호의 경우에는 tonal이 강한 신호가 noise-like한 신호보다 더 높은 차수의 선형 예측 차수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는, 입력 신호가 음성 신호의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는 신호인 경우(본 명세서에서, speech-like signal이라고 지칭함)이면, 더 높은 차수의 선형 예측 계수를 생성하고, 입력 신호가 오디오 신호의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는 신호인 경우(본 명세서에서, audio-like signal이라고 지칭함)인 경우, 낮은 차수의 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가변 차수의 계수를 생성하는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는 LPC 분석부(24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추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LPC 분석부(240)는 입력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선형 예측 차수 정보(LPC degree information), 선형 예측 계수(LPC coefficients), 및 LPC 잔여신호(LPC residual)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선형 예측 차수 정보(LPC degree information)은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LPC 분석부(240)에서 생성된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 및 상기 선형 예측 계수는 멀티플렉서(270)로 전송되고, LPC 잔여신호(residual)는 신호 분류부(미도시)에서 결정된 코딩 모드 정보(coding mode information, 미도시)에 기초하여 ACELP 인코딩부(250) 또는 TCX 인코딩부(260)에 입력된다. 상기 코딩 모드 정보는 도 1을 참조하여 서술한 코딩 모드 정보와 달리, 하기 표 1 과 같이 ACELP 코딩 방식 또는 TCX 코딩 방식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코딩 모드 정보(coding_mode) 의미
0 ACELP 코딩 방식으로 코딩
1 TCX 코딩 방식으로 코딩
ACELP 인코딩부(250)는 상기 코딩 모드 정보가 ACELP 코딩 방식을 이용함을 나타내는 경우, LPC 잔여신호를 입력받아 결정된 방식으로 신호를 인코딩할 수 있다. 이는 도 1을 참조하여 서술한 B 인코딩부(150)와 그 기능이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CELP 코딩 방식은 음성 코딩 방식에 해당한다.
TCX인코딩부(260)는 크게 MDCT 변환부(261), 양자화부(262), 엔트로피 코딩부(263)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TCX 코딩 방식은 오디오 코딩 방식이라 불리울 수 있다. MDCT 변환부(261)는 LPC 잔여신호를 입력받아 MDCT 변환을 수행한다. 변환된 신호는 양자화부(262)로 입력되어 양자화를 수행하는데, AAC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주파수 밴드들을 먼저 동일한 스케일팩터(scalefactor)를 이용하는 스케일팩터 밴드(scalefactor band, sfb)들로 그룹핑하여 이용한다. 또한, 양자화부(262)는 LPC 분석부(240)에 입력되기 이전의 원 입력 신호로부터 계산된 주파수 밴드별 마스킹 한계값(masking threshold)를 입력받고, 상기 마스킹 한계값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스케일팩터 밴드별로 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양자화부(262)는 상기 스케일팩터(scalefactor) 및 양자화된 스펙트럴 데이터(quantized spectral data)를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생성한다.
Figure pct00001
상기 x는 3 이상 7이하의 정수인 상수일 수 있다.
엔트로피 코딩부(263)는 상기 스케일팩터 및 상기 양자화된 스펙트럴 데이터에 대하여 엔트로피 코딩을 수행한다. 엔트로피 코딩부(263)는 허프만 코딩(Huffman coding) 또는 산술코딩(arithmetic coding) 방식으로 상기 스케일팩터 및 상기 양자화된 스펙트럴 데이터를 인코딩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산술코딩(arthimetric coding) 방식을 이용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가 LPC 분석부(240)를 통과하여 오른쪽 경로(path)로 이동하는 경우, TCX 인코딩부(260)의 구성 및 기능은 도 1의 A 인코딩부(130)의 구성 및 기능과 유사하게 된다.
이후, 멀티플렉서(270)는 코딩 모드 정보, LPC 분석부(240)에서 생성한 선형 예측 차수 정보와 선형 예측 계수, 및 ACELP 인코딩부(250) 또는 TCX 인코딩부(260)에서 인코딩된 데이터를 멀티플렉싱함으로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따른 신호 인코딩 장치 중 LPC 분석부에서 가변 차수의 선형 예측 계수를 생성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LPC 분석부(240)는 LPC 차수 결정부(241), LPC 계수 결정부(242), 및 LPC 잔여신호 생성부(243)를 포함한다.
먼저, LPC 차수 결정부(241)는 입력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입력 신호의 특성을 파악하여 선형 예측 코딩에서 생성될 선형 예측 계수의 차수를 결정할 수 있다. 입력 신호의 특성은 신호에 포함된 tonal의 정도 및 spectral tilt의 정도를 고려하여 판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입력 신호가 높은 차수의 선형 예측 코딩이 바람직한지 여부에 따라 판단될 수 있다. LPC 차수 결정부(241)는 입력 신호가 유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이거나 tonal이 강한 오디오 신호일수록 높은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생성한다. 반대로, 입력 신호가 무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이거나 noise-like 한 오디오 신호일수록 낮은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생성한다.
한편, 다른 예로, 입력 신호가 speech-like signal의 경우 높은 차수의 선형 예측 계수를 생성하고, audio-like signal인 경우 낮은 차수의 계수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LPC 차수 결정부(241)는 입력 신호가 음성 신호에 가까운 신호(speech-like signal)일수록 높은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생성한다. 반대로, 입력 신호가 오디오 신호에 가까운 신호(audio-like signal)일수록 낮은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선형 예측 계수에 대하여 정수의 차수를 나타낼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하기 수학식 2, 더 바람직하게는 하기 수학식 3으로 표현되는 차수를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또한, 입력 신호가 LPC 모델링이 잘되지 않는 신호일수록 낮은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생성한다고 하였는바, 0, 2 또는 0, 4 와 같은 낮은 수의 차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입력 신호가 noise-like한 오디오 신호만으로 구성되거나 무성음으로만 구성된 음성 신호인 경우라면,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선형 예측 계수의 차수가 0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audio-like signal인지, speech-like signal인지에 따라 결정하는 경우에는, 입력 신호가 오디오 신호만으로 구성된 경우에,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선형 예측 계수의 차수가 0임을 나타내는 정보일 수도 있다.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수학식 2의 차수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4비트로 표현될 수 있고, 수학식 3의 차수를 나타내는 경우는 3비트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선형 예측 코딩에서 현재 프레임의 신호를 예측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이전 신호의 개수를 나타내므로,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가 큰 정수를 나타낼수록 예측에 이용되는 이전 신호의 개수가 많아짐을 알 수 있다. 즉, 입력 신호가 유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이거나 tonal이 강한 오디오 신호인 경우, 높은 차수를 나타낸다고 하였는 바, 이 경우 선형 예측 코딩에 이용되는 이전 신호의 개수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입력 신호가 무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이거나 noise-like 한 오디오 신호인 경우, 선형 예측 코딩에 이용되는 이전 신호의 개수가 적어질 것이다.
상기 선형 예측 차수가 결정된 입력 신호는 LPC 계수 결정부(242)로 입력된다. LPC 계수 결정부(242)는 LPC 차수 결정부(241)에서 결정된 선형 예측 차수 정보에 근거하여, 입력 신호로부터 선형 예측 계수를 결정할 수 있다. 입력 신호가 무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이거나 noise-like 한 오디오 신호일수록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에 기초하여 적은 개수의 LPC 계수를 결정할 것이고, 입력 신호가 유성음이 강한 오디오 신호이거나 tonal이 강한 오디오 신호일수록 많은 개수의 LPC 계수를 결정할 것이다.
이후, LPC 잔여신호 생성부(243)는 입력 신호와 LPC계수 결정부(242)에서 상기 선형 예측 계수를 결정하면서 계산된 선형 예측 코딩 신호와의 차이 신호를 계산하여 LPC 잔여신호(LPC residual)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입력 신호가 무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이거나 noise-like 한 오디오 신호일수록 더 적은 개수의 선형 예측 계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LPC 코딩된 신호는 원 입력 신호와 상이할 수 있고, LPC 잔여신호는 원 입력 신호와 유사할 것이다. 반면에, 입력 신호가 유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이거나 tonal이 강한 오디오 신호일수록 많은 개수의 선형 예측 계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LPC 잔여신호는 원 입력 신호와 상이한 작은 신호가 될 가능성이 높다.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생성된 LPC 잔여신호가 작은 신호라는 것은, 입력 신호가 LPC 모델링이 잘되는 신호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에서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가 낮은 차수를 나타내는 경우의 신호 코딩 방법 및 장치에 주목한다.
이 경우, LPC 잔여신호 생성부(243)에서 출력되는 LPC 잔여신호는 LPC 분석부(240)에 입력되는 입력 신호와 가까운 신호이기 때문에, 입력 신호가 오디오 신호인 경우, 도 2의 TCX 인코딩부(260)를 통과하여 인코딩된 신호는 도 1의 MDCT 인코딩부(130)를 통과하여 인코딩된 신호와 유사한 특성을 갖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LPC 분석부(240)는 선형 예측 차수를 고정 차수가 아닌, 신호의 특성에 따른 가변 차수로 결정하기 때문에, 고정 차수의 선형 예측 코딩을 적용하는 경우 왜곡되기 쉬운 LPC 모델링이 어려운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를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TCX 인코딩부(260)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A 인코딩부(즉, MDCT 인코딩부)(130)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갖기 때문에, 본원발명은 ACELP 인코딩부(250) 및 TCX 인코딩부(260) 두개의 모듈만을 이용하여도 오디오 신호 및 음성 신호를 효과적으로 코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2의 신호 인코딩 장치(100A)에 대응하는 신호 디코딩 장치(200A)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신호 디코딩 장치(200A)는 크게 디멀티플렉서(410), ACELP 디코딩부(440), TCX 디코딩부(450), 신호보상부(460), 및 LPC 합성부(470)를 포함한다.
디멀티플렉서(410)는 도 2의 신호 인코딩 장치(100A)의 멀티플렉서(270)로부터 전송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선형 예측 차수 정보 및 선형 예측 계수를 포함하는 LPC 비트스트림, ACELP 방식으로 인코딩된 제 1 데이터 또는 TCX 방식으로 인코딩된 제 2 데이터,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코딩 모드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제 1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는 도 2를 참조하여 서술한 ACELP 인코딩부(250)에서 출력된 데이터 또는 TCX 인코딩부(260)에서 출력된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제 1 데이터 또는 상기 제 2 데이터는 상기 코딩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ACELP 디코딩부(410) 또는 TCX 디코딩부(450)에서 디코딩될 수 있다. ACELP 디코딩부(410)는 일반적인 ACELP 디코딩 방법이 수행되고, TCX 디코딩부(450)는 엔트로피 디코딩부(451), 역양자화부(452), 및 역 MDCT 변환부(4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따른 TCX 디코딩부(450)는 도 2의 TCX 인코딩부(260)에 대응하는 유닛으로, 엔트로피 디코딩부(451)는 제 2 데이터에 포함된 스케일팩터 및 스펙트럴 데이터로부터 양자화된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이후, 역양자화부(452)는 양자화된 데이터를 역양자화시키고, 역 MDCT 변환부(453)는 이를 입력받아 LPC 잔여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TCX 디코딩부(450)는 LPC 잔여신호를 복원하지만, TCX 디코딩부(450)의 상세 유닛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디코더(200)의 A 디코딩부(230)과 유사한 구조 및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LPC 코딩이 적용된 정도에 따라, 도 1의 A 디코딩부(230) 또는 C 디코딩부(250)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호 디코딩 장치(200A)는 두 개의 모듈을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 음성 신호, 음성 신호에 믹스된 오디오 신호를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데, 이에 대하여는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ACELP 디코딩부(440) 또는 TCX 디코딩부(450)를 통하여 디코딩된 제 1 데이터 또는 제 2 데이터(이하, '디코딩된 신호'라고 지칭함)는 신호보상부(460)로 입력된다.
신호보상부(460)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디코딩된 신호의 연속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간 도메인 엘리어싱 제거(time domain aliasing cancellation, TDAC)를 수행하는 유닛이다. 이는 TCX 코딩 방식은 비-직각 형태의 윈도우(non-rectangular window)가 적용되는 방식이고, ACELP 코딩 방식은 직각 형태의 윈도우(rectangular window)가 적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발생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코딩 방식이 서로 다른 형태의 윈도우를 이용하기 때문에, 각각 다른 코딩 방식으로 디코딩된 신호가 연속되는 경우, 예를 들어, 직각 형태의 윈도우 및 비-직각 형태의 윈도우가 중첩될 때의 비대칭성으로 인하여 엘리어싱 등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다. 신호보상부(460)는 폴딩, 언-폴딩, 윈도우윙, 보상 정보 등을 이용하여 이러한 결함을 보상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LPC 합성부(470)는 신호보상부(460) 및 디멀티플렉서(410)로부터 디코딩된 신호 및 LPC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원 신호를 복원할 수 있다. LPC 합성부(470)는 LPC 비트스트림에 포함된 선형 예측 차수 정보 및 선형 예측 계수에 따라 디코딩된 신호에 적용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고, 따라서, TCX 디코딩부(450)가 음성신호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TCX 디코딩부(250)를 포함하는 제 2 디코딩부(220-2)에서 효율적으로 디코딩하기 어려운 오디오 특성을 주 성분으로 갖는 오디오 신호를 효율적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한다. LPC 합성부(470)에 대한 구체적인 기능 및 역할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LPC 합성부(470)를 나타내는 상세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LPC 합성부(470)는 선형 예측 차수 디코딩부(471), 선형 예측 계수 추출부(472), 및 신호 합성부(473)를 포함한다. 먼저, 선형 예측 차수 디코딩부(471)는 멀티플렉서(410)로부터 LPC 비트스트림을 입력받아,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것으로, 디코딩된 신호가 무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 또는 noise-like 한 오디오 신호일수록 낮은 차수를 나타낼 것이다.
선형 예측 계수 추출부(472)는 상기 선형 예측 차수에 근거하여 LPC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선형 예측 계수를 추출한다. 이 때, 선형 예측 차수는 선형 예측 계수의 개수에 비례하므로, 디코딩된 신호가 무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 또는 noise-like 한 오디오 신호일수록 더 적은 개수의 선형 예측 계수가 추출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신호 합성부(473)는 상기 선형 예측 계수를 디코딩된 신호에 적용함으로써 원 신호를 복원하여 출력 신호(output signal)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디코딩 장치(200A)는 신호의 특성에 따라 가변적으로 결정되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이용하여 LPC 합성부(470)에서 가변적인 선형 예측 계수를 적용함으로써, 두 개의 모듈(ACELP 디코딩부(440) 및 TCX 디코딩부(450))만으로도 도 1의 디코더(200)의 세 개의 모듈(A 디코딩부(230), B 디코딩부(240), C 디코딩부(250))이 수행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세 개의 모듈 사이의 윈도우 스위칭보다 적은 개수의 윈도우 스위칭이 발생하므로, 윈도우 스위칭에 의하여 발생하는 신호 왜곡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음성 및 오디오 신호가 혼합된 신호를 코딩하는데 있어서, 보다 적은 개수의 모듈을 이용하여 신호를 코딩할 수 있으므로, 신호 처리 장치를 간략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도 1의 LPC 합성부(270)가 고정 차수의 선형 예측 코딩을 적용하는 경우 왜곡되기 쉬운, 즉, LPC 모델링이 어려운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도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6은 도 5의 LPC 합성부(470)에서 선형 예측 차수 정보에 따라 디코딩되는 신호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의 선형 예측 차수 정보 디코딩부(671), 선형 예측 계수 추출부(672), 및 신호 합성부(673)의 기능은 도 5의 동일한 이름을 갖는 유닛들의 기능과 같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각각의 유닛 하단의 예들에 주목하라.
먼저, (a) 선형 예측 차수 정보가 선형 예측 차수가 16차수임을 나타내는 경우, 선형 예측 계수 추출부(672)에서 추출된 선형 예측 계수는
Figure pct00004
이다. 이후, 신호 합성부(673)에서 디코딩된 신호(
Figure pct00005
)에 선형 예측 계수가 적용되어 출력 신호(
Figure pct00006
)가 생성된다. 음성 및 오디오 신호를 코딩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2 디코딩부(220-2)의 LPC 합성부(270)도 16차수의 선형 예측 계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LPC 합성부(470)가 16차수의 선형 예측 계수를 이용하는 경우((a)의 경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신호 디코딩 장치(200A)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제 2 디코딩부(220-2)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a)의 경우에는 디코딩된 신호(
Figure pct00007
)가 음성 신호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B 디코딩부(240) 및 LPC 합성부(270)를 통하여 출력 신호가 복원되는 방법과, 디코딩된 신호(
Figure pct00008
)가 음성 신호에 섞여 있는 오디오 신호이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C 디코딩부(250) 및 LPC 합성부(270)를 통하여 출력 신호가 복원되는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b) 선형 예측 차수 정보가 선형 예측 차수가 4 차수임을 나타내는 경우, 선형 예측 계수 추출부(672)에서 추출된 선형 예측 계수는
Figure pct00009
이고, 신호 합성부(673)에서 디코딩된 신호(
Figure pct00010
)에 선형 예측 계수가 적용되어 최종적으로 출력 신호(
Figure pct00011
)가 생성된다.
또한, (c) 선형 예측 차수 정보가 선형 예측 차수가 0 차수임을 나타내는 경우, 선형 예측 계수 추출부(672)에서 추출된 선형 예측 계수는 하나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Figure pct00012
이고, 신호 합성부(673)에서 디코딩된 신호(
Figure pct00013
)에 선형 예측 계수가 적용되어 최종적으로 출력 신호는 디코딩된 신호와 동일한 신호(
Figure pct00014
)가 생성된다. (c)의 경우는, 선형 예측 계수가 복호화되지 않기 때문에, LPC 합성부(470)에 입력된 디코딩된 신호(
Figure pct00015
)가 그대로 바이패스(by-pass)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A 디코딩부(230)도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지 아니하고, 엔트로피 디코딩, 역양자화, 및 역 MDCT 변환을 통하여 신호를 디코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디코딩 장치(200A)에서 입력 신호가 오디오 신호로 TCX 디코딩부(450)를 이용하여 디코딩되고, LPC 합성부(470)가 0 차수의 선형 예측 계수를 이용하는 경우, 즉, 선형 예측 계수를 하나도 복호화하지 아니하는 경우((c)의 경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4 의 신호 디코딩 장치(200A) 중 오른쪽 패스(path)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코딩부(220-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따른 신호 디코딩 장치(200A)는 LPC 코딩에서 가변 차수의 선형 예측 계수를 이용함으로써 두 개의 모듈만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디코더(200)가 세 개의 모듈을 이용하여 음성 및 오디오 신호가 혼합된 신호를 코딩하는 것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형 예측 차수 정보가 0을 나타내는 경우((c)의 경우), 신호 디코딩 장치(200A)를 통과하여 생성되는 신호의 경로(path)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의 ACELP 디코딩부(710), TCX 디코딩부(720), 신호 보상부(730), 및 LPC 합성부(740)는 도 4의 동일한 이름을 갖는 유닛과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선형 예측 차수 정보가 0을 나타내는 경우,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선형 예측 계수가 복호화되지 않고, 신호 보상부(730)에서 출력된 디코딩된 신호(X)가 그대로 출력 신호가 되므로 LPC 합성은 수행되지 않게 된다(LPC 합성부가 non-activation).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도 7 의 신호 디코딩 장치(200A) 중 오른쪽 경로(path)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1 디코딩부(220-1)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 2 디코딩부(220-2)는 고정 차수의 선형 예측 계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LPC 모델링이 어려운 신호도 필수적으로 LPC 모델링을 실시하는 바, 신호의 왜곡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디코딩 장치(200A)는 LPC 모델링이 어려운 신호에 대하여는 낮은 차수의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극단적으로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0으로 전송하므로,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가 ACELP 디코딩부(440) 또는 TCX 디코딩부(450)만을 이용하여 디코딩되어 신호의 왜곡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디코딩 장치(200A)의 신호 보상부(730)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디코딩된 신호의 연속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간 도메인 엘리어싱 제거(time domain aliasing cancellation, TDAC)를 수행하는데, 이를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은 블록 단위로 구성된 본 발명의 입력 신호에 프레임(또는 서브 프레임)별로 상이한 코딩 방식이 적용되는 여러가지 예를 나타내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 신호는 n번째 프레임(Frame n) 및 n+1 번째 프레임(Frame n+1) 등을 포함하는 일련의 프레임들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하나의 프레임(예를 들어, n 번째 프레임 또는 n+1 프레임)은 복수 개(도 8에서는 4개)의 서브 프레임들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러한 서브 프레임들은 각각 서로 다른 코딩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코딩 방식은 ACELP 코딩 방식 및 TCX 코딩 방식 중 하나일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c)을 참조하면, ACELP 코딩 방식의 경우 하나의 서브 프레임 단위로 적용됨을 알 수 있다. 한편, TCX 코딩 방식은 (a) 하나의 서브 프레임 단위로 적용될 수 있고, (b) 두 개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으며, (c) 네 개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네 개의 연속된 서브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TCX 코딩 방식이 하나의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TCX코딩 방식을 이용하는 오디오 신호(음성 신호에 섞여 있는 오디오 신호도 포함)의 블록의 길이는 ACELP 코딩 방식을 적용하는 음성 신호의 블록의 길이의 정수배, 바람직하게는, 2*정수배임을 알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연속되는 프레임(또는 서브 프레임) 중 상이한 코딩 방식이 적용되는 블록들을 나타낸다. 각각의 코딩 방식은 서로 다른 윈도우를 이용하기 때문에, 윈도우의 형태 등에 따라 ACELP 코딩 방식은 직각 코딩 방식(rectangular coding scheme)으로 구분할 수 있고, TCX 코딩 방식은 비-직각 코딩 방식(non-rectangular coding scheme)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TCX 코딩 방식은 도 8을 참조하여 서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서브 프레임, 두 개의 연속되는 서브 프레임, 또는 네 개의 연속되는 서브 프레임(하나의 프레임)에 적용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 비-직각 코딩 방식 또는 직각 코딩 방식이 적용되는 단위를 블록이라고 지칭한다. 다시 말해, 블록은 앞서 설명한 하나의 프레임이나 하나의 서브 프레임, 연속되는 두 개의 서브 프레임에 해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속되는 프레임 중 상이한 코딩 방식이 적용되는 블록들은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뉠 수 있다. 첫째로, ACELP 코딩 방식(직각 코딩 방식)에서 TCX 코딩 방식(비-직각 코딩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이고, 둘째로, TCX 코딩 방식(비-직각 코딩 방식)에서 ACELP 코딩 방식(직각 코딩 방식)으로 변경되는 경우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CELP 코딩 방식에서 TCX 코딩 방식으로 변경되는 첫번째 경우에 해당하는 연속되는 블록들을 점선으로 표시하였다. 예를 들면, (a)에서 세번째 블록 및 네 번째 블록이 이에 해당한다.
반대로, TCX 코딩 방식에서 ACELP 코딩 방식으로 변경되는 두 번째 경우는 도 9에 표시를 생략하였으나, (b)의 4번째 블록 및 5번째 블록과 같이 여러군데 존재한다.
이와 같이, 서로 다른 코딩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직각 윈도우(rectangular window) 및 비-직각 윈도우(non-rectangular window)가 중첩되는 부분에서는 비대칭성으로 인하여 엘리어싱(aliasing) 등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결함이 발생하는 과정 및 보상하기 위한 방법을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은 직각 윈도우 및 비-직각 윈도우가 중첩되었을 때의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C에서 직각 윈도우와 비-직각 윈도우가 중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블록 A 내지 F로 구성된 신호에 대하여, 직각 윈도우가 블록 B 및 블록 C에 적용되고, 비-직각 윈도우가 블록 C 내지 블록 F에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10의 (a) 내지 (d)는 블록 A 내지 F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윈도우윙, 폴딩, 언-폴딩, 윈도우윙이 적용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윈도우윙, 폴딩, 언-폴딩, 윈도우윙은 비-직각 윈도우와 관련하여 시간 도메인 엘리어싱 제거(Time Domain Aliasing Cancellation, TDAC) 기술을 적용하기 위하여, 각 블록에 순차적으로 적용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먼저 도 10의 (a)를 참조하면, 블록 B 및 블록 C에 직각 윈도우가 적용된 결과(도트 블록)가 상단에 표시되어 있고, 하단에 블록 C 내지 블록 F에 비-직각 윈도우가 적용된 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C(L1)는 블록 C에 비-직각 윈도우의 L1부분이 적용된 결과를 나타내고, D(L2)는 블록 D에 비-직각 윈도우의 L2 부분이 적용된 결과를 나타낸다. 이후, 비-직각 윈도우가 적용된 블록 C 내지 F의 결과에 폴딩(folding)을 수행하면 (b)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Er 및 Dr 은 블록 경계를 기준으로 폴딩이 수행되어 반전(reverse)된 것을 나타낸다. 이후, 언-폴딩(unfolding)이 수행된 결과는 도 10의 (c)에 나타난 바와 같다. 마지막으로, 언-폴딩된 블록에 비-직각 윈도우를 적용하면 도 6의 (d)에 나타난 바와 같은 결과를 얻게 된다.
블록 D의 원 신호에 대응하는 비-보상된 신호(uncompensated signal), 즉 전송된 데이터로만 획득된 신호는 도 6의 (d)에서 나타난바와 같이, 하기 수학식 4로 표현할 수 있다.
Figure pct00016
상기 C 및 D는 블록 C 및 블록 D에 대응하는 데이터, 상기 r은 반전, 상기 L1 및 L2는 비-직각 윈도우의 L1 및 L2 부분이 적용된 결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얻어진 비-보상된 신호는 신호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상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비-보상된 신호를 원 신호와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보상하는 보상 신호를 계산하여 전송하고, 신호 디코딩 장치(200A)의 신호 보상부(460)에서 이용될 것이다. 이 때, 보상 신호를 계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음성 및 오디오 신호가 혼합된 광의의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따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인코딩 장치(100A) 또는 신호 디코딩 장치(200A)를 포함하는 응용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인코딩 장치(100A) 및 신호 디코딩 장치(200A)가 포함된 또다른 인코더(1100) 및 디코더(1200)를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도 11을 참조하면, 인코더(1100)는 복수채널 인코딩부(1110), 밴드 확장 인코딩부(1120),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인코딩 장치(100A), 및 멀티플렉서(1160)를 포함한다.
먼저, 복수채널 인코딩부(1110)에서 입력된 복수채널 신호를 다운믹싱하여 생성하는 다운믹스 신호를 전대역 다운믹스 신호라 지칭하고, 추후 상기 전대역 다운믹스 신호로부터 고주파 대역의 신호가 제거되어 저주파 대역만이 존재하는 다운믹스 신호를 저주파 대역 다운믹스 신호라 지칭한다.
복수채널 인코딩부(1110)는 복수채널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복수채널 신호란 일반적으로 3개 이상의 채널을 갖는 신호를 일컫는데, 모노 신호 또는 스테레오 신호일 수도 있다. 복수채널 인코딩부(1110)는 입력된 복수채널 신호를 다운믹싱하여 전대역 다운믹스 신호를 생성하는 한편, 추후 전대역 다운믹스 신호를 복수채널 신호로 업믹스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 정보(spatial information)를 생성한다. 상기 공간정보는 채널 레벨 차이정보, 채널 예측 계수, 채널간 상관정보, 및 다운믹스 게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채널 인코딩부(1110)가 모노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에는, 다운믹싱을 수행하지 않고, 바이패스(by-pass)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밴드 확장 인코딩부(1120)는 상기 전대역 다운믹스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전대역 다운믹스 신호 중 저주파 대역에 대응하는 스펙트럴 데이터(spectral data) 및 고주파 대역의 신호에 대응하는 확장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확장정보는 추후 디코더단에서 고주파 대역이 제거된 저주파 대역 다운믹스 신호를 상기 전대역 다운믹스 신호로 복원하기 위한 정보이고, 공간정보와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신호는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어떤 방식으로 코딩될지 결정되고, 상기 코딩방식을 나타내는 코딩 모드 정보를 생성한다(미도시). 이 때, 상기 코딩 방식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ACELP 코딩 방식 또는 TCX 코딩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코딩 방식으로 저주파 대역 다운믹스 신호가 코딩되기 이전에, 가변 차수를 이용하는 선형 예측 코딩(LPC)를 수행하는 것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먼저 LPC 분석부(1130)에 입력된 저주파 대역 다운믹스 신호의 특성에 따라 선형 예측 차수를 결정하고, 결정된 선형 예측 차수에 기초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선형 예측 계수 및 LPC 잔여신호를 생성한다.
이후, 상기 코딩 모드 정보에 의하여 결정된 코딩방식으로 LPC잔여신호를 인코딩한다.
ACELP 인코딩부(1140)는 저주파 대역 다운믹스 신호의 특정 프레임 또는 특정 세그먼트가 큰 음성 특성을 갖는 경우, ACELP 방식에 따라 인코딩한다. 이 때, ACELP방식은 AMR-WB(Adaptive Multi-Rate Wide-Band) 표준에 따른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ACELP인코딩부(1140)에 입력되는 신호는 시간축 상에서 높은 중복성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과거 신호로부터 현재 신호를 예측하는 선형 예측에 의하여 모델링 가능하므로, 선형 예측 코딩 방식을 채택하면 부호화 효율이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ACELP인코딩부(1140)는 시간 도메인 인코더에 해당할 수 있다.
TCX 인코딩부(1150)는 저주파 대역 다운믹스 신호의 특정 프레임 또는 특정 세그먼트가 큰 오디오 특성을 갖는 신호를 코딩하고자 하는 경우, 또는 오디오 특성 및 음성 특성이 혼합되어 있는 신호 중 오디오 신호를 코딩하고자 하는 경우, 채택되어 신호를 인코딩한다. 이 때, TCX코딩 방식은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획득된 LPC 잔여 신호에 대하여 주파수 변환을 수행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 때, 주파수 변환은 MDCT(Modified Discrete Cosine Transform)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AAC(Advanced Audio Coding)표준 또는 HE-AAC(High Efficiency Advanced Audio Coding) 표준에 따른 것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본 발명의 TCX 인코딩부(1150)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LPC 분석부(1130)가 가변 차수의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기 때문에, 저주파 대역 다운믹스 신호의 특성에 따라, AAC 표준 또는 HE-AAC 표준에 따른 신호 코딩 유닛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주파 대역 다운믹스 신호의 특정 프레임 또는 특정 세그먼트가 큰 오디오 특성을 갖는 경우, LPC 분석부(1130)는 낮은 차수의 선형 예측 코딩을, 극단적으로는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지 않고, TCX 인코딩부(1150)에서 인코딩됨으로써 AAC 표준 또는 HE-AAC 표준에 따른 신호 코딩 유닛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멀티플렉서(1160)는 공간 정보(spatial information), 대역확장 정보, ACELP 인코딩부(1140) 및 TCX 인코딩부(1150) 각각에 의하여 인코딩된 데이터 등을 멀티플렉싱함으로써,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비트스트림을 생성하여 전송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디코더(1200)는 디멀티플렉서(1210), 신호 디코딩 장치(1220), 밴드 확장 디코딩부(1260), 및 복수채널 디코딩부(1270)를 포함한다.
디멀티플렉서(1210)는 인코더로부터 전송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인코딩된 신호 데이터, 밴드 확장 정보, 공간 정보 등을 추출한다.
ACELP 디코딩부(1220), TCX 디코딩부(1230), 신호 보상부(1240), 및 LPC 합성부(1250)를 포함하는 신호 디코딩 장치(200A)는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자 한다.
대역 확장 디코딩부(1260)는 신호 디코딩 장치(200A)에서의 출력 신호에 대하여, 대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대역 확장 디코딩 방식을 수행함으로써 고주파 대역의 다운믹스 신호를 복원하게 되고, 전대역 다운믹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대역 다운믹스 신호는, 상기 저주파 대역 다운믹스 신호 전부 및 상기 대역 확장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주파 대역 다운믹스 신호의 일부를 이용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복수채널 디코딩부(1270)는 전대역 다운믹스 신호에 공간정보를 적용함으로써 복수채널(스테레오 신호 포함)의 출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는 다양한 제품에 포함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품은 크게 스탠드 얼론(stand alone)군과 포터블(partable)군으로 나뉠 수 있고, 스탠드 얼론군은 TV, 모니터, 셋탑 박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포터블군은 PMP, 휴대폰, 네비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디코딩 장치(200A)를 포함하여 구현된 제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유무선 통신부(1310)는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서 비트스트림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유무선 통신부(1310)는 유선통신부(1310A), 적외선통신부(1310B), 블루투스부(1310C), 무선랜통신부(1310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는(1320)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아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지문인식부(1320A), 홍채인식부(1320B), 얼굴인식부(1320C), 및 음성인식부(1320D)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 지문, 홍채정보, 얼굴 윤곽 정보, 음성 정보를 입력받아서, 사용자 정보로 변환하고, 사용자 정보 및 기존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데이터와의 일치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부(1330)는 사용자가 여러 종류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로서, 키패드부(1330A), 터치패드부(1330B), 리모컨부(1330C)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신호 디코딩부(1340)는 유무선 통신부(1310)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 및/또는 비디오 신호에 대하여 인코딩 또는 디코딩을 수행하고, 시간 도메인의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이는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345)를 포함하는데, 이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신호 인코딩 장치(100A) 또는 신호 디코딩 장치(200A)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350)는 입력부(1330)들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 디코딩부(1340)와 출력부(1360)의 모든 프로세스를 제어한다. 출력부(1360)는 신호 디코딩부(1340)에 의해 생성된 출력 신호 등이 출력되는 구성요소로서, 신호 출력부(1360A) 및 디스플레이부(1360B)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신호가 오디오 신호일 때 출력 신호는 신호 출력부(1360A)를 통하여 출력되고, 비디오 신호일 때 출력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360B)를 통해 출력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가 구현된 제품들의 관계도로, 도 13에서 도시된 제품에 대한 단말 및 서버와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의 (A)를 참조하면, 제1 단말(1410) 및 제2 단말(1420)이 각 단말들은 유무선 통신부를 통해서 데이터 내지 비트스트림을 양방향으로 통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4의 (b)를 참조하면, 서버(1430) 및 제1 단말(1440) 또한 서로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실제 제품에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장치가 포함됨으로써, 신호의 특성에 따라 가변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일반적인 신호 처리 장치를 구성하는 모듈 보다 적은 개수의 모듈만으로도 음성 및 오디오 신호가 혼합된 신호를 효율적으로 코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코딩/인코딩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구조를 가지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코딩 방법에 의해 생성된 비트스트림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해 전송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15)

  1.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호, 음성 코딩 방식 또는 오디오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코딩 모드 정보, 및 선형 예측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딩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음성 코딩 방식 또는 상기 오디오 코딩 방식에 따라 상기 신호를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선형 예측 계수를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복호화된 선형 예측 계수를 상기 복호화된 신호에 적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발생되는 LPC 잔여신호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가 유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이면 무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보다 높은 차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가 토널 성분이 강한 오디오 신호이면 토널 성분이 적은 오디오 신호보다 높은 차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가 오디오에 가까운 신호이면 음성에 가까운 신호(speech-like audio)보다 낮은 차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프레임 길이는 상기 음성 신호의 프레임 길이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신호가 음성 또는 오디오 신호이고, 이전 프레임의 신호가 상기 복호화된 신호와 상이한 신호인 경우,
    상기 복호화된 신호를 이전 프레임의 신호를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에일리어싱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7. 선형 예측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 및 선형 예측 계수를 포함하는 LPC 비트스트림, 음성 신호와 오디오 신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신호, 및 음성 코딩 방식 또는 오디오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코딩 모드 정보를 수신하는 멀티플렉서;
    상기 코딩 모드 정보가 음성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신호를 음성 코딩 방식에 따라 복호화하는 ACELP 디코딩부;
    상기 코딩 모드 정보가 오디오 코딩 방식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신호를 오디오 코딩 방식에 따라 복호화하는 TCX디코딩부; 및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신호의 선형 예측 계수를 복호화하고, 상기 복호화된 선형 예측 계수를 상기 복호화된 신호에 적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LPC 복호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발생되는 LPC 잔여신호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가 유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이면 무성음이 강한 음성 신호보다 높은 차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신호가 토널 성분이 강한 오디오 신호이면 토널 성분이 적은 오디오 신호보다 높은 차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LPC합성부는,
    상기 LPC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복호화하는 LPC 차수 정보 디코딩부;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LPC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선형 예측 계수를 추출하는 LPC 계수 추출부; 및
    상기 선형 예측 계수를 상기 복호화된 신호에 적용하여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가 상기 선형 예측 계수가 복호화되지 아니함을 나타내는 경우에는,
    상기 신호 합성부는 상기 복호화된 신호를 바이패스(by-pass)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된 신호의 코딩 방식이 이전 프레임의 복호화된 신호와 상이한 코딩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복호화된 신호를 상기 이전 프레임의 복호화된 신호를 이용하여 보상함으로써 에일리어싱을 방지하는 신호 보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의 프레임 길이는 상기 음성 신호의 프레임 길이의 정수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4.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선형 예측 계수의 가변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형 에측 차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형 예측 계수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선형 예측 계수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LPC 잔여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LPC 잔여신호를 오디오 코딩 방식 또는 음성 코딩 방식 중 하나의 방식을 이용하여 부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발생되는 상기 LPC 잔여신호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방법.
  15.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선형 예측 계수의 가변 차수를 나타내는 선형 예측 차수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선형 에측 차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형 예측 계수를 결정하며, 상기 선형 예측 계수 및 상기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LPC 잔여신호를 생성하는 LPC 분석부; 및
    상기 LPC 잔여신호를 오디오 코딩 방식으로 부호화하는 ACELP 인코딩부;
    상기 LPC 잔여신호를 음성 코딩 방식으로 부호화하는 TCX 인코딩부; 및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 상기 선형 예측 계수, 상기 부호화된 신호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멀티플렉서를 포함하고,
    상기 선형 예측 차수 정보는 상기 입력 신호에 대하여 선형 예측 코딩을 수행하여 발생되는 상기 LPC 잔여신호의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KR1020127013026A 2009-11-12 2010-11-12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KR1013970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6082209P 2009-11-12 2009-11-12
US61/260,822 2009-11-12
US31638310P 2010-03-23 2010-03-23
US61/316,383 2010-03-23
PCT/KR2010/007986 WO2011059254A2 (en) 2009-11-12 2010-11-12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ignal and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4314A true KR20120074314A (ko) 2012-07-05
KR101397058B1 KR101397058B1 (ko) 2014-05-20

Family

ID=43992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3026A KR101397058B1 (ko) 2009-11-12 2010-11-12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613630B2 (ko)
KR (1) KR101397058B1 (ko)
WO (1) WO2011059254A2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0334A (ko) 2014-01-28 2015-08-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음주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단말기
US9899039B2 (en) 2014-01-24 2018-02-20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lcohol consumption, and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for carrying out same
US9907509B2 (en) 2014-03-28 2018-03-06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judgment of drinking using differential frequency energy,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9916845B2 (en) 2014-03-28 2018-03-13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lcohol use by comparison of high-frequency signals in difference signal, and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9934793B2 (en) 2014-01-24 2018-04-03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lcohol consumption, and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for carrying out same
US9943260B2 (en) 2014-03-28 2018-04-17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judgment of drinking using differential energy in time domain,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10103859A (ko) * 2020-02-14 2021-08-24 국방과학연구소 Amr 음성데이터의 압축포맷정보를 추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2513B1 (en) * 2008-11-04 2013-03-20 Lg Electronics Inc.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BR122021002104B1 (pt) * 2010-07-08 2021-11-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o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 V. Codificador que utiliza cancelamento de serrilhado futuro
US9070361B2 (en) * 2011-06-10 2015-06-30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 wideband speech signal utilizing downmixing of a highband component
EP2849180B1 (en) * 2012-05-11 2020-01-01 Panasonic Corporation Hybrid audio signal encoder, hybrid audio signal decoder, method for en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for decoding audio signal
CN105096958B (zh) 2014-04-29 2017-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音频编码方法及相关装置
PL3859734T3 (pl) * 2014-05-01 2022-04-11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Urządzenie dekodujące sygnał dźwiękowy, sposób dekodowania sygnału dźwiękowego, program i nośnik rejestrujący
EP2980795A1 (en) * 2014-07-28 2016-02-03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coding and decoding using a frequency domain processor, a time domain processor and a cross processor for initialization of the time domain processor
WO2016039150A1 (ja) * 2014-09-08 2016-03-17 ソニー株式会社 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復号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EP3067886A1 (en) 2015-03-09 2016-09-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udio encoder for encoding a multichannel signal and audio decoder for decoding an encoded audio sign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2638A (en) * 1983-10-24 1987-06-09 Nec Corporation Multipath canceller for cancelling a distortion caused to a radio frequency pulse by multipath transmission
FI973873A (fi) * 1997-10-02 1999-04-03 Nokia Mobile Phones Ltd Puhekoodaus
US6658383B2 (en) * 2001-06-26 2003-12-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coding speech and music signals
PT2165328T (pt) * 2007-06-11 2018-04-24 Fraunhofer Ges Forschung Codificação e descodificação de um sinal de áudio tendo uma parte do tipo impulso e uma parte estacionária
KR101413968B1 (ko) 2008-01-29 2014-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디오 신호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MX2011000375A (es) * 2008-07-11 2011-05-19 Fraunhofer Ges Forschung Codificador y decodificador de audio para codificar y decodificar tramas de una señal de audio muestreada.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9039B2 (en) 2014-01-24 2018-02-20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lcohol consumption, and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for carrying out same
US9934793B2 (en) 2014-01-24 2018-04-03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lcohol consumption, and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for carrying out same
KR20150090334A (ko) 2014-01-28 2015-08-06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음주 판별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및 단말기
US9916844B2 (en) 2014-01-28 2018-03-13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lcohol consumption, and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for carrying out same
US9907509B2 (en) 2014-03-28 2018-03-06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judgment of drinking using differential frequency energy,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US9916845B2 (en) 2014-03-28 2018-03-13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alcohol use by comparison of high-frequency signals in difference signal, and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me
US9943260B2 (en) 2014-03-28 2018-04-17 Foundation of Soongsil University—Industry Cooperation Method for judgment of drinking using differential energy in time domain,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210103859A (ko) * 2020-02-14 2021-08-24 국방과학연구소 Amr 음성데이터의 압축포맷정보를 추정하는 방법 및 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058B1 (ko) 2014-05-20
WO2011059254A3 (en) 2011-10-27
US20120226496A1 (en) 2012-09-06
US9613630B2 (en) 2017-04-04
WO2011059254A2 (en)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7058B1 (ko) 신호 처리 방법 및 이의 장치
JP6941643B2 (ja) 全帯域ギャップ充填を備えた周波数ドメインプロセッサと時間ドメインプロセッサとを使用するオーディオ符号器及び復号器
JP6310074B2 (ja) インテリジェントギャップ充填フレームワーク内の2チャネル処理を用いるオーディオ符号器、オーディオ復号器およびその方法
AU2009267467B2 (en) Low bitrate audio encoding/decoding scheme having cascaded switches
JP5485909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EP2302624B1 (en)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of integrated speech and audio
US6721700B1 (en) Audio coding method and apparatus
JP5400059B2 (ja) オーディオ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EP2182513B1 (en) An apparatus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JP2019109531A (ja) 周波数ドメインプロセッサ、時間ドメインプロセッサ及び連続的な初期化のためのクロスプロセッサを使用するオーディオ符号器及び復号器
EP2849180B1 (en) Hybrid audio signal encoder, hybrid audio signal decoder, method for encoding audio signal, and method for decoding audio signal
JP5340261B2 (ja) ステレオ信号符号化装置、ステレオ信号復号装置およびこれらの方法
CN106537499B (zh) 用于使用独立噪声填充生成增强信号的装置和方法
AU2009267432A1 (en) Low bitrate audio encoding/decoding scheme with common preprocessing
CN102177426A (zh) 多分辨率切换音频编码/解码方案
US85157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excitation patterns from which the masking levels for an audio signal encoding and decoding are determined
KR20100114450A (ko) 가변 비트율을 갖는 잔차 신호 부호화를 이용한 고품질 다객체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US90703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udio signals
KR101259120B1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