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940A -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 - Google Patents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940A
KR20120073940A KR1020100135869A KR20100135869A KR20120073940A KR 20120073940 A KR20120073940 A KR 20120073940A KR 1020100135869 A KR1020100135869 A KR 1020100135869A KR 20100135869 A KR20100135869 A KR 20100135869A KR 20120073940 A KR20120073940 A KR 20120073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otional
information
emotion
sensor
styl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규
Original Assignee
유비벨록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비벨록스(주) filed Critical 유비벨록스(주)
Priority to KR1020100135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3940A/ko
Publication of KR2012007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9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사람의 신체에 내포되어 있는 감성 요소를 찾아내어 사용자 편의적인 환경으로 제공하기 위한 감성용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의의 감성 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 감성 정보를 수집하는 감성 정보 수집부, 상기 제1 감성 정보와 학습되어진 기준 감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감성 수치를 찾아내어 제1 감성 정보의 크기를 결정하는 감성 수치 결정부, 상기 제1 감성 정보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 감성 상태 정보를 독출하는 감성 상태 추출부, 및 상기 감성 상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또는 유선 통신하여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감성 상태 송신부를 포함하는 감성 스타일러스가 제공된다.
이에, 본 발명은 감성 센서를 구비한 감성 스타일러스에서 사람의 인체에 내포된 감성을 정량화시켜 LED 형태로 표시하거나 이동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감성 상태를 쉽게 확인하여 마인드 컨트롤에 유익함을 줄 수 있다.

Description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STYLUS, MOBILE TERMINAL AND CONTENTS SERVER PROVIDING EMOTION}
본 발명은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람의 신체에 내포되어 있는 감성 요소를 찾아내어 사용자 편의적인 환경으로 제공하기 위한 감성용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사람이 갖고 있는 감성을 기계적인 장치로 인식하고자 사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사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은 사람의 신체에 내포되어 있는 감성 요소를 정량화하여 생활에 활용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그러나, 사람의 신체에 내포된 감성을 정량화하여 기계적인 장치로 구현하기란 여간 쉬운 것이 아니다. 즉, 사람의 감성은 미묘하고,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정량화된 형태로 도출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도 불구하고, 사람의 음성에 의한 감성을 인식하여 활용된 경우가 종종있다. 그 예로는 거짓말 탐지기를 들 수 있다. 거짓말 탐지기는 폴리그래프의 일종으로서, 사람의 흥분, 긴장 또는 갈등의 상태를 미리 정의해 놓은 기준에 의하여 감지하는 시스템을 지칭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거짓말 탐지기는 음성 위주의 감성을 파악하는 것으로서, 범죄 수사와 같은 특수한 목적을 위한 것일뿐, 일생 생활에 유용하게 적용된 사례는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람의 인체로부터 측정된 감성 정보를 정량화시켜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도록 사용자 편의적인 형태로 감성을 표현하는 감성 스타일러스 및 감성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감성 정보와 정량화된 감성 상태 정보를 학습 성취도에 활용하여 사용자의 감성 수준에 맞는 학습 서비스를 공급하는 감성 콘텐츠 서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임의의 감성 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 감성 정보를 수집하는 감성 정보 수집부, 상기 제1 감성 정보와 학습되어진 기준 감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감성 수치를 찾아내어 제1 감성 정보의 크기를 결정하는 감성 수치 결정부, 상기 제1 감성 정보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 감성 상태 정보를 독출하는 감성 상태 추출부, 및 상기 감성 상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또는 유선 통신하여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감성 상태 송신부를 포함하는 감성 스타일러스가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감성 센서는, 광원이 피부로 투과되어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PGG 센서; 근세포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하는 ECG센서; 흉부 접촉식 호흡의 정도를 측정하는 RSP 센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PTT 센서; 적응적 생리신호 분석 방법에 의해 시간을 중점으로 파형을 분석하는 TDP 센서; 체압을 감지하는 FSR 센서; 뇌신경 세포의 미세한 생체 자기를 측정하는 MEG 센서; 뇌파를 측정하는 EEG 센서; 피부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GSR 센서; 체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 및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음성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감성 상태 정보는 화남, 기쁨, 슬픔, 지루함 및 평온 레벨을 포함하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및 WiFi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감성 상태 송신부는, 상기 감성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제1 감성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더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감성 스타일러스는 상기 감성 상태 정보에 따라 자체 내의 충전된 전압 크기를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 및 상기 전압 조절부의 조절된 전압 크기에 대응하여 R,G,B 픽셀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감성 상태 정보를 LED에 표시하는 픽셀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감성 스타일러스는 하나의 LED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LED에는 상기 감성 상태 정보에 따라 단일색으로 표시하되, 상기 단일색의 밝기를 조정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감성 스타일러스와 근거리 통신하여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감성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제1 감성 정보와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아바타, 이미지, 문자 및 그래프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가공하여 터치-감응 화면에 표시하는 감성 정보 표시부를 포함하는 감성 이동 단말기가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감성 이동 단말기는 상기 감성 상태 정보에 따라 전압 크기를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 상기 전압 조절부의 조절된 전압 크기에 대응하여 R,G,B 픽셀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감성 상태 정보를 LED에 표시하는 픽셀 조절부, 및 상기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감성 정보 송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술한 감성 스타일러스로부터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감성 이동 단말기 및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감성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분석하는 학습 성취 분석부, 및 상기 학습 성취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수준에 맞는 학습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감성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학습 정보 제공부를 포함하는 감성 콘텐츠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감성 콘텐츠 서버는 상기 조합에 따라 추출된 아바타, 이미지, 문자 및 그래프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성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감성 콘텐츠 서비스에 가입된 상대방의 감성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감성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성취 분석부는, 상기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한 결과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학습 정보의 상관 관계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학습 성취 분석부는, 상기 상관 관계가 기설정된 학습 수치보다 높을 경우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기설정된 학습 수치보다 낮을 경우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인식하여 학습 성취도를 분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감성 센서를 구비한 감성 스타일러스에서 사람의 인체에 내포된 감성을 정량화시켜 LED 형태로 표시하거나 이동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자신의 감성 상태를 쉽게 확인하여 마인드 컨트롤에 유익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성 스타일러스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 제1 감성 정보와 감성 상태 정보를 활용하여 물리적인 LED 형태로 표시하거나, 소프트적인 아바타, 이미지, 문자 및 그래프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가공하여 터치-감응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자신의 감성 상태를 쉽게 확인하고, 이해할 수 있어 마인드 컨트롤에 유익함을 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감성 콘텐츠 서버에서 제1 감성 정보와 감성 상태 정보를 활용하여 감성 상태에 맞는 학습 정보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유형의 학습 향상 방안을 제공하며, 감성 상태를 상대방과 공유하여 원활한 커뮤니케이션과 원만한 대인 관계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스타일러스(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센서(110)를 이용한 감성 스타일러스(100)의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LED(118)와 전압과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LED(118)와 전압과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이동 단말기(2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감성 정보를 활용한 감정 상태 정보의 형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콘텐츠 서버(3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감성 스타일러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스타일러스(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스타일러스(100)는 이동 단말기(200)의 터치-감응 화면의 터치-감응에 이용되는 도구로서, 사람의 인체로부터 감성 정보를 측정하는 감성 센서(110), 상기 감성 센서(110)에서 측정된 제1 감성 정보를 활용한 감성 인식용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메모리(112), 전압을 충전하여 공급하는 축전지(114), 상기 메모리(112)의 감성 인식용 프로그램에 의해 추출된 감성 상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또는 유선 통신하여 이동 단말기(200)로 송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116), 상기 감성 상태 정보를 표시하는 LED(118) 및 상기 감성 센서(110), 메모리(112), 축전지(114), 통신 인터페이스(116) 및 LED(118)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120)를 포함하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이룬다. 이러한 감성 스타일러스(100)는 정전 용량식 및 감압식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감성 스타일러스(100)와 이동 단말기(300)간의 통신 방식인 근거리 통신은 1m 이내에서도 통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통신 또는 WiFi 통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소프트웨어의 구성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센서(110)를 이용한 감성 스타일러스(100)의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스타일러스(100)는 감성 정보 수집부(130), 감성 수치 결정부(140), 감성 상태 추출부(150) 감성 상태 송신부(160), 전압 조절부(170), 픽셀 조절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먼저, 감성 정보 수집부(200)는 감성 스타일러스(100)의 내측 또는 외측에 구비된 임의의 감성 센서(110)로부터 사람의 인체를 대상으로 측정된 제1 감성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 적용될 감성 센서(110)는 PGG 센서, ECG 센서, PTT 센서, TDP 센서, MEG 센서 및 EEG 센서, GSR 센서, 온도 센서, 가속도 센서 및 음성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PGG 센서는 사람의 인체 피부로 광원을 투과시켜 피부를 투과하는 빛의 강도를 통해 혈관의 이완 및 수축 정도를 측정하게 된다. ECG 센서는 사람 인체 내의 심장벽을 형성하는 근세포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하며, RSP 센서는 사람 인체의 흉부에 접촉하여 호흡의 정도를 측정한다.
상기 PTT 센서는 생체 신호의 지연 시간을 측정하고, TDP 센서는 적응적 생리신호 분석 방법으로 시간 관점에서 생리 신호의 파형을 측정하며, FSR 센서는 센서 표면에 힘을 증가시켜 사람 인체에 접촉하게 되면 저항의 발생에 의해 체압을 측정하게 된다. MEG 센서는 사람 머리에 접근하여 뇌신경 세포의 미세한 생체 자기를 초전도 코일을 이용해 측정하는 센서이고, EEG 센서는 MEG 센서와 마찬가지로 뇌파를 측정하는 센서이다.
GSR 센서는 피부의 전기저항을 측정하고, 온도 센서는 사람 체온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이며, 가속도 센서는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 및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센서이며, 음성 센서는 음성을 감지하여 화자인식, 음성의 특성 추출등을 하는 센서이다.
이때, 각 감성 센서(110)로부터 측정, 가공된 정보를 통칭하여 '제1 감성 정보'라 명명하였다. 상기 감성 센서(110, 210)는 손에 잡힌 감성 스타일러스(100)에 장착되기 때문에 사람 인체에 근접한 상태로 제1 감성 정보를 유용하게 획득할 수 있으나, 떨어진 상태에서도 제1 감성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감성 수치 결정부(140)는 감성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한 제1 감성 정보와 학습되어진 기준 감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감성 수치를 찾아내어 제1 감성 정보의 크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PGG 센서일 경우의 제1 감성 정보의 크기 결정은 학습되어진 혈관의 이완 및 수축의 감성 정보를 기준 감성 데이터로 정의하여 놓고, 수집된 이완 및 수축의 제1 감성 정보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감성 수치를 찾아냄으로써 제1 감성 정보의 크기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는, PGG 센서에서 측정된 혈관의 이완 및 수축의 제1 감성 정보가 제한된 시간내에 다양한 감성 수치 값을 갖는다면 그를 평균화하는 식으로 하여 제1 감성 정보의 크기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다른 형태의 감성 센서도 동일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감성 상태 추출부(150)는 제1 감성 정보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 감성 상태 정보를 독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감성 상태 정보는 감정의 상태를 다섯가지 레벨로 분류한 것으로서, 화남, 기쁨, 슬픔, 지루함 및 평온 레벨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감성 정보를 이용하여 5 레벨 중 어느 하나와 매칭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5 레벨은 일례에 불과할 뿐, 더 추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감성 상태 송신부(160)는 감성 상태 추출부(150)에서 독출된 감성 상태 정보 및/또는 감성 정보 수집부(130)에서 수집한 제1 감성 정보를 근거리 통신 또는 유선 통신하여 이동 단말기(200)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기(200)에서는 화남, 기쁨, 슬픔, 지루함 및 평온 레벨과 같은 감성 상태를 LED 같은 물리적인 형태로 표시하거나 감성 상태를 시각적인 형상으로 하여 인식이 쉬운 터치-감응 화면내에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감성을 수시로 체크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음으로, 전압 조절부(170)는 이동 단말기(200)에 감성 상태를 LED로 표시하지 않고 스타일러스(100)내에 표시하고자 한다면 감성 상태 추출부(150)에서 독출된 감성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감성 상태 정보에 따라 축전지(114)에서 공급되는 전압의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화남 레벨의 감성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전압 크기를 80%까지 조절하게 되고, 기쁨 레벨의 감성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전압 크기를 20%까지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압 크기를 조절하는 이유는 R,G,B 픽셀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으로서, 추후에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픽셀 조절부(180)는 전압 조절부(170)의 조절된 전압 크기에 대응하여 R,G,B 픽셀의 밝기를 조절하여 앞서 설명된 감성 상태 정보를 하나 LED(118) 또는 다수의 LED(118)에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제어부(190)는 감성 정보 수집부(130) 감성 수치 결정부(140) ,감성 상태 추출부(150), 감성 상태 송신부(160), 전압 조절부(170) 및 픽셀 조절부(180)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로써, 각 감성 정보 수집부(130), 감성 수치 결정부(140), 감성 상태 추출부(150), 감성 상태 송신부(160), 전압 조절부(170) 및 픽셀 조절부(180)에서는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는 것이다.
하나의 LED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LED(118)와 전압과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R,G,B 픽셀이 하나의 LED(118)와 관계할 경우, 픽셀 조절부(180)는 R 픽셀에 100% 비율로 전압의 크기를 인가하여 화남 레벨을 LED(118)에 표시하게 된다.
또한, 픽셀 조절부(180)는 B 픽셀에 100% 비율로 전압의 크기가 인가될 경우 기쁨 레벨을 하나의 LED(140)에 표현할 수 있고, R, G, B 픽셀에 각각 33.3% 비율로 전압 크기가 인가될 경우 평온 레벨을 하나의 LED(118)에 표시할 수 있으며, R, G 픽셀에 각각 50% 비율로 전압의 크기를 인가될 경우 지루함 레벨을 LED(118)에 표현할 수도 있다.
이와는 다르게, R,G,B,Y, 픽셀이 다수의 LED(118)와 관계할 수도 있는데, 이는 도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다수의 L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LED(118)와 전압과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화남, 기쁨, 슬픔, 지루함 및 평온 레벨의 감성 상태 정보에 대응하여 5개의 LED(118, R,G,B,Y,P)가 구현되어 있을 경우 5개의 LED(118, R,G,B,Y,P)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는 해당하는 LED(118)에 전압을 인가하면 된다. LED(118)에 전압 인가 방법은 전압 조절부(170)에 의해 발생됨은 물론일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LED(118)는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100)의 외부에 배치된 소자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LED(118) 또는 다수의 LED(118)의 형태에 따라 감성 상태 정보를 표현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형 가능한 일례로서, 하나의 LED(118)에 하나의 색으로 감성 상태를 표현하되, 하나의 색 밝기를 조정하는 형태로서 감성 상태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LED(118)에 빨간색으로 표시하되, 선택된 감성 상태에 따라 빨간색의 밝기를 어둡게 조정하고, 다른 감성 상태에 대응하여 빨간색의 밝기를 그 보다 높게 조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감성 이동 단말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이동 단말기(2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이동 단말기(200)는 감성 정보 수집부(211), 감성 정보 표시부(212), 전압 조절부(213), 픽셀 조절부(214) 및 감성 정보 송신부(215)를 포함한다.
먼저, 감성 정보 수집부(211)는 감성 스타일러스(100)와 근거리 통신 또는 유선 통신하여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감성 스타일러스(100), 감성 스타일러스(100)에 구비된 감성 센서(110)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구성과 감성 스타일러스(100)의 소프트웨어적인 구성등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충분히 설명하였기에 여기서는 생략하지만, 본 실시예에서의 일부로서 적용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감성 정보 표시부(212)는 제1 감성 정보와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아바타, 이미지, 문자 및 그래프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가공하여 터치-감응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제1 감성 정보에 포함된 심전도, 체지방, 맥박,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를 문자 형태로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심전도, 체지방, 맥박,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를 이용하여 독출된 화남의 감성 상태 를 아바타 형태로 터치-감응 화면내에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예는 도 6과 같이 나타내었다. 또한, 심전도, 체지방, 맥박, 혈압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를 이용하여 건강 지수, 감성 지수와 같은 백분율 형태로 감성 상태를 더 추출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또는, 심전도, 체지방, 맥박, 혈압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상태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태를 반영하여 독출한 기쁨의 감성 상태를 아바타 형태로만 터치-감응 화면내에 표시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문자나 아바타 대신에 이미지, 및 그래프 형태로도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감성 정보 표시부(212)는 제1 감성 정보와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아바타, 이미지, 문자 및 그래프 형태 등의 사용자 편의적인 인터페이스 형태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의 감정을 수시로 체크하는데 유용함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전압 조절부(213)는 감성 정보 수집부(211)에서 수집한 감성 상태 정보에 따라 전압 크기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픽셀 조절부(214)는 전압 조절부(213)의 조절된 전압 크기에 대응하여 R,G,B 픽셀의 밝기를 조절하여 화남, 기쁨, 슬픔, 지루함 및 평온 레벨중 어느 하나의 감성 상태를 LED에 표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압 조절부(213)와 픽셀 조절부(214)는 아바타, 이미지, 문자 및 그래프 형태로 감성 상태를 표시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 그 대안으로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압 조절부(213) 및 픽셀 조절부(214)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2에서 설명된 전압 조절부(170) 및 픽셀 조절부(180)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감성 정보 송신부(215)는 감성 정보 수집부(211)에서 수집한 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다른 목적 예컨대 학습 콘텐츠에 활용되도록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망으로 경유시켜 감성 콘텐츠 서버(300)로 송신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감성 콘텐츠 서버(300)는 추후에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감성 스타일러스(100)와 연동하여 감성 스타일러스(100)에서 제공된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활용하여 LED 형태, 아바타, 이미지, 문자 및 그래프 형태 등으로서 표현하여 사용자의 감성을 정량적인 형태로 표현하는데 큰 장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특성과 다르게 감성 스타일러스(100)에서 제1 감성 정보만을 제공하고, 감성 스타일러스(100)에서 구현된 감성 수치 결정부(140) 감성 상태 추출부(150)의 고유 기능을 이동 단말기(200)내에서 구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감성 스타일러스(100)의 구성인 감성 수치 결정부(140), 감성 상태 추출부(150)의 기능을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200)에서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각 구성들은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21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210)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적인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코드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장치 또는 매체라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하며,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계층구조는 RAM(예 :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나타내는 정보-전달 신호(information-bearing signal)를 나르는 전송 매체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매체는 인터넷[월드 와이드 웹(World Wide Web)이라고도 함], 인트라넷(들),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ocal Area Network), SAN(Storage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드웨어적인 측면에서 LED(220),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30), 터치-감응 화면(240) 및 제어기(25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LED(220)는 감성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광원 매개체이다.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30)는 주변장치(예:LED(220), 터치-감응 화면(240), 오디오 모듈(미도시), 비디오 모듈(미도시) 및 입출력 포트(미도시) 등)와 제어기(240) 사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210)와 제어기(240) 사이 및 무선 통신망/근거리 통신망에 의해 연결된 외부 장치와의 사이 등에서 데이터 송수신 처리가 용이하도록 통신을 설정하고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터치-감응 화면(240)은 각 모듈(211~215)에서 수행된 결과를 표시할뿐만 아니라, 무선 인터넷 어플리케이션과 관련한 실행 아이콘, 메뉴 형태의 아이콘, 서브 아이콘, 서브 메뉴, 가상 키보드 등과 같은 기본적인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환경을 제공하고 오디오, 비디오 및 텍스트 등과 같은 데이터를 가공하여 제공하며, 해당 명령을 사용자의 촉감에 의한 터치 및 드래그 등의 인식할 수 있는 하드웨어적인 구성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입력을 인식할 수 있는 감응이 가능한 표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어기(250)는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감성 콘텐츠 서버(300), 이동 단말기(200)와 근거리 통신망 또는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감성 스타일러스(100) 간의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110), LED(220), 주변 장치 인터페이스(230) 및 터치-감응 화면(240) 간의 데이터 신호 및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로, 감성 정보 수집부(211), 감성 정보 표시부(212), 전압 조절부(213), 픽셀 조절부(214) 및 감성 정보 송신부(215)에서 각각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감성 콘텐츠 서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콘텐츠 서버(3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성 콘텐츠 서버(300)는 감성 정보 수신부(310), 학습 성취 분석부(320), 학습 정보 제공부(330), 감성 정보 제공부(340)를 포함한다.
먼저, 감성 정보 수신부(310)는 감성 스타일러스(100)로부터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감성 이동 단말기(200) 및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감성 스타일러스(100), 감성 스타일러스(100)에 구비된 감성 센서(110)와 같은 하드웨어적인 구성과 감성 스타일러스(100)의 소프트웨어적인 구성등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충분히 설명하였기에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학습 성취 분석부(320)는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분석한다. 여기서, 학습 성취도의 분석은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한 결과와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학습 정보의 상관 관계를 비교하는 것으로서 진행된다. 조합의 형태는 도 5 내지 도 7에서 충분히 설명하였기에 생략한다. 또는 감성 상태 정보와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학습 정보의 상관 관계를 비교하는 경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관 관계의 비교 결과가 기설정된 학습 수치보다 높을 경우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고, 기설정된 학습 수치보다 낮을 경우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학습 정보 제공부(330)는 학습 성취 분석부(320)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따라 사용자의 수준에 맞는 학습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감성 이동 단말기(200)로 제공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감성 정보 제공부(340)는 감성 상태 정보를 상대방의 감성 이동 단말기(400)로 전송할 뿐만 아니라,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에 따라 추출된 아바타, 이미지, 문자 및 그래프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성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감성 콘텐츠 서비스에 가입된 상대방의 감성 이동 단말기(40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감성 정보 및/또는 감성 상태 정보를 활용하여 사용자 수준에 맞는 학습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상대방에게도 감성 상태를 공유하도록 하는 매우 유익함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감성 스타일러스에 감성 센서를 구비한 것을 이동 단말기의 주변 장치로도 감성 센서를 적용하여 활용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감성 스타일러스 110 : 감성 센서
112 : 메모리 114 : 축전지
116 : 통신 인터페이스 118: LED
120 : 제어 모듈 130 : 감성 정보 수집부
140 : 감성 수치 결정부 150 : 감성 상태 추출부
160 : 감성 상태 송신부 170 : 전압 조절부
180 : 픽셀 조절부 200 : 감성 이동 단말기
210 :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211 : 감성 정보 수집부
212 : 감성 정보 표시부 213 : 전압 조절부
214 : 픽셀 조절부 215 : 감성 정보 송신부
300 : 감성 콘텐츠 서버 310 : 감성 정보 수신부
320 : 학습 성취 분석부 330 : 학습 정보 제공부
340 : 감성 정보 제공부 400 : 상대방의 이동 단말기

Claims (14)

  1. 임의의 감성 센서로부터 측정된 제1 감성 정보를 수집하는 감성 정보 수집부;
    상기 제1 감성 정보와 학습되어진 기준 감성 데이터와 비교하여 가장 근접한 감성 수치를 찾아내어 제1 감성 정보의 크기를 결정하는 감성 수치 결정부;
    상기 제1 감성 정보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 감성 상태 정보를 독출하는 감성 상태 추출부; 및
    상기 감성 상태 정보를 근거리 통신 또는 유선 통신하여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감성 상태 송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스타일러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센서는,
    광원이 피부로 투과되어 빛의 강도를 측정하는 PGG 센서; 근세포의 수축에 의해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하는 ECG센서; 흉부 접촉식 호흡의 정도를 측정하는 RSP 센서;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PTT 센서; 적응적 생리신호 분석 방법에 의해 시간을 중점으로 파형을 분석하는 TDP 센서; 체압을 감지하는 FSR 센서; 뇌신경 세포의 미세한 생체 자기를 측정하는 MEG 센서; 뇌파를 측정하는 EEG 센서; 피부의 전기저항을 측정하는 GSR 센서; 체내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이동하는 물체의 가속도 및 충격의 세기를 측정하는 가속도 센서 및 음성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스타일러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상태 정보는 화남, 기쁨, 슬픔, 지루함 및 평온 레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스타일러스.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상태 송신부는,
    상기 감성 정보 수집부에서 수집한 제1 감성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더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스타일러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 통신 및 WiFi 통신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스타일러스.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상태 정보에 따라 자체 내의 충전된 전압 크기를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 및
    상기 전압 조절부의 조절된 전압 크기에 대응하여 R,G,B 픽셀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감성 상태 정보를 LED에 표시하는 픽셀 조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스타일러스.
  7. 제 3항에 있어서,
    하나의 LED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LED에는 상기 감성 상태 정보에 따라 단일색으로 표시하되, 상기 단일색의 밝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스타일러스.
  8. 상기 제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성 스타일러스와 근거리 통신 또는 유선 통신하여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수신하는 감성 정보 수집부; 및
    상기 제1 감성 정보와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아바타, 이미지, 문자 및 그래프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가공하여 터치-감응 화면에 표시하는 감성 정보 표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이동 단말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감성 상태 정보에 따라 전압 크기를 조절하는 전압 조절부;
    상기 전압 조절부의 조절된 전압 크기에 대응하여 R,G,B 픽셀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감성 상태 정보를 LED에 표시하는 픽셀 조절부; 및
    상기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로 송신하는 감성 정보 송신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이동 단말기.
  10. 제 8항에 있어서,
    하나의 LED를 구비하고, 상기 하나의 LED에는 상기 감성 상태 정보에 따라 단일색으로 표시하되, 상기 단일색의 밝기를 조정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이동 단말기.
  11. 상기 제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감성 스타일러스로부터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감성 이동 단말기 및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수신하는 감성 정보 수신부;
    상기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하여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분석하는 학습 성취 분석부; 및
    상기 학습 성취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사용자에 수준에 맞는 학습 정보를 추출하여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상기 감성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학습 정보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성 콘텐츠 서버.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에 따라 추출된 아바타, 이미지, 문자 및 그래프 형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성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감성 콘텐츠 서비스에 가입된 상대방의 감성 이동 단말기로 제공하는 감성 정보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콘텐츠 서버.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성취 분석부는,
    상기 제1 감성 정보 및 감성 상태 정보를 조합한 결과와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학습 정보의 상관 관계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콘텐츠 서버.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성취 분석부는,
    상기 상관 관계가 기설정된 학습 수치보다 높을 경우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기설정된 학습 수치보다 낮을 경우 사용자의 학습 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감성 콘텐츠 서버.
KR1020100135869A 2010-12-27 2010-12-27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 KR201200739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869A KR20120073940A (ko) 2010-12-27 2010-12-27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869A KR20120073940A (ko) 2010-12-27 2010-12-27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9705A Division KR20120074266A (ko) 2012-05-10 2012-05-10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940A true KR20120073940A (ko) 2012-07-05

Family

ID=46708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869A KR20120073940A (ko) 2010-12-27 2010-12-27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394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275B1 (ko) * 2014-11-06 2016-03-07 (주)아롱엘텍 정전용량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18151363A1 (ko) * 2017-02-16 2018-08-23 (주)이지위드 군중 참여형 인터랙티브 콘텐츠 개발을 위한 체험자 감정 제어를 위한 콘텐츠 결정 방법
WO2020111401A1 (ko) * 2018-11-29 2020-06-04 주식회사 조인트리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한 감성제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275B1 (ko) * 2014-11-06 2016-03-07 (주)아롱엘텍 정전용량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WO2018151363A1 (ko) * 2017-02-16 2018-08-23 (주)이지위드 군중 참여형 인터랙티브 콘텐츠 개발을 위한 체험자 감정 제어를 위한 콘텐츠 결정 방법
WO2020111401A1 (ko) * 2018-11-29 2020-06-04 주식회사 조인트리 생체 인식 정보를 이용한 감성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25670B2 (ja) 収集された生物物理的信号の時間的パターンおよび空間的パターンに基づく脳‐コンピューターインターフェース(bci)システム
Picard et al. Evaluating affective interactions: Alternatives to asking what users feel
Bulling et al. Cognition-aware computing
US9551608B2 (en) Wear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277820B1 (ko) 반응정보 및 감정정보를 이용한 심리 상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7193497A1 (zh) 基于融合模型的智能化健康管理服务器、系统及其控制方法
EP3518129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4023481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motion interaction based on biological signals
Cernea et al. A survey of technologies on the rise for emotion-enhanced interaction
US20130096397A1 (en) Sensitivity evaluation system, sensitivity evaluation method, and program
Matran-Fernandez et al. Towards the automated localisation of targets in rapid image-sifting by collaborative brain-computer interfaces
KR20170001490A (ko) 전자 장치 및 생체 센서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기능 제어 방법
KR101689021B1 (ko) 센싱장비를 이용한 심리상태 판단 시스템 및 그 방법
Ferdinando et al. Emotion recognition by heart rate variability
KR102277811B1 (ko) 생체신호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 실시간 감정인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20200040564A (ko) 혈압 추정 장치 및 방법과, 혈압 추정 지원 장치
KR101854812B1 (ko) 시청각 콘텐츠와 생체신호 분석을 활용한 정신증상 평가 시스템
Paredes et al. Sensor-less sensing for affective computing and stress management technology
KR20220104672A (ko) 사용자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Alharbi et al. A survey of incorporating affective computing for human-system co-adaptation
KR20120073940A (ko)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
Eddy et al. A framework and call to action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emg-based input in hci
KR20120074266A (ko) 감성을 제공하기 위한 스타일러스, 이동 단말기 및 콘텐츠 서버
KR20120066274A (ko) 감성 인식용 이어폰 및 감성 표시용 단말 장치
Šumak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contactless interaction with computers based on the Emotiv EPO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