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609A - Water purification system - Google Patents

Water purifica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609A
KR20120073609A KR1020100135422A KR20100135422A KR20120073609A KR 20120073609 A KR20120073609 A KR 20120073609A KR 1020100135422 A KR1020100135422 A KR 1020100135422A KR 20100135422 A KR20100135422 A KR 20100135422A KR 20120073609 A KR20120073609 A KR 201200736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ltrafiltration
module
entry
backw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93544B1 (en
Inventor
주용현
진덕준
손성호
류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0013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544B1/en
Publication of KR20120073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6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5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145Ultra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14Ultrafiltration; Microfiltration
    • B01D61/22Controlling or reg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02F1/46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with halogen or compound of halogens, e.g. chlorine, bro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PURPOSE: A water purifying system is provided to remotely manipulate a water purifying unit an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onal state of the water purifying unit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NSTITUTION: A water purifying system includes a water purifying unit(10), a controlling part(20), and a communicating part(30). The controlling part controls the operational state of the water purifying unit. The communicating part is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ling part and remotely communicates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water purifying unit includes a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unit(200), a micro-filter module(300), an ultrafiltration module(400), a treated water bath(500), and a backwashing pump(700). The micro-filter module 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filter implements a filtering operation to water from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unit. The treated water bath stores the filtered water. The backwashing pump supplies backwashing water to the modules.

Description

정수 처리 시스템{Water Purification System}Wate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정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는 정수 처리 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부를 통해 자동 제어함과 동시에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 처리 유닛의 운전 및 관리를 위해 별도의 상주 관리 인원 없이도 용이하게 운전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 처리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 또한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화학적 소독제를 사용하지 않고 소금 용액을 이용하여 원수를 살균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정수 처리 환경을 제공하며, 한외 여과 모듈의 구성을 다양한 유입구 및 유출구를 통해 다양한 물 흐름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외 여과 모듈의 필터링 처리 성능을 계속해서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이고 우수한 정수 처리 성능을 갖는 정수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system. More specifically,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unit for treating the raw water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remotely via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parate residence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unit Not only can it be easily operated without management personnel, but it can also detect the normal ope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unit in real time, and additional raw materials can be sterilized by using salt solu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chemical disinfectant. It provides an environment-friendly water treatment environment that does not emit water and keeps the filtering process performance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in good condition by all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to be applied to various water flow methods through various inlets and outlets. More stable and superior It can be directed to a 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a processing capability.

근래에는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먹는 물에 대한 질적 요구 수준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데, 먹는 물에 대한 상수원이나 하천, 지하수 등은 인구의 증가, 산업화, 도시화에 따라 점점 오염되고 있어 먹는 물에 대한 안정성 확보가 매우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깨끗하고 안전한 식수를 확보하기 위한 음용수의 정수 처리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 quality of drinking water is increasing due to the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The drinking water source, river, and groundwater are being polluted by the increase of population,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s very important, and thus, research on drinking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for drinking water to secure clean and safe drinking water is actively conducted.

이러한 정수 처리 장치는 염소 처리 방식, 오존 처리 방식 또는 막 여과 방식 등이 있는데, 최근에는 안정된 수질뿐만 아니라 운전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막여과 방식의 정수 처리 장치가 주목받고 있다.Such water treatment systems include chlorine treatment, ozone treatment, membrane filtration, and the like. Recently, attention has been paid to membrane filtration systems for easy operation and maintenance as well as stable water quality.

막 여과 방식의 정수 처리 장치는 안정적인 정수 처리 능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처리 시설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아 부지 확보에 대한 어려움 또는 유지 관리에 대한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최근 그 사용 범위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Membrane filtration water purification equipment not only provides stable water treatment capacity, but also has a relatively small scale of water treatment facility, which can solve the difficulty of site acquisition or maintenance, and thus its use range has been expanded. It is becoming.

그러나 농어촌 소규모 마을의 경우 대부분 정수 처리 장치 없이 원수를 물탱크에 저장한 후 소독만 하는 형태로 생활 용수를 공급하고 있어 먹는 물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마을 상수도 중 43%가 소독시설이 없거나 소독의 경우에도 자동염소 투입기 등이 설치된 곳은 극히 일부에 불과하고, 마을이장 등이 간헐적으로 소독 약품을 물탱크에 투입하는 방식으로 소독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small villages in rural areas have difficulties in securing drinking water because most of the water supplies the living water in the form of disinfection by storing raw water in a water tank without a water treatment device. Only 43% of the village's water supply does not have a disinfection facility, or even in the case of disinfection, only a few places have an automatic chlorine injector installed, and disinfecting work is being carried out by the village head intermittently injecting disinfectant into the water tank. It is true.

따라서, 이러한 소규모 마을의 음용수에 대한 수질 개선을 위해 비교적 소규모로 설치할 수 있는 정수 처리 장치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정수 처리 장치는 전문 관리 인력이 상주하여 관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므로, 정수 처리 장치에 대한 유지 관리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drinking water in such a small town,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water treatment device that can be installed on a relatively small scale. In particular, such a water treatment device is not a situation where professional management personnel can reside and manage. Therefore, the maintenance work on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device should be developed in a form that can be very easily performed.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수를 정수 처리하는 정수 처리 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부를 통해 자동 제어함과 동시에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 처리 유닛의 운전 및 관리를 위해 별도의 상주 관리 인원 없이도 용이하게 운전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 처리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 또한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정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operating state of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unit for processing the raw water through a control unit and at the same time remote operation via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order to operate and manage the water treatment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system that can be easily operated without a separate resident management personnel and can also detect whether the water treatment unit is normally operated in real ti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화학적 소독제를 사용하지 않고 소금 용액을 이용하여 원수를 살균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정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vironmentally friendly water treatment system that does not discharge additional contaminants by sterilizing raw water using a salt solution without using a separate chemical disinfectan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외 여과 모듈의 구성을 다양한 유입구 및 유출구를 통해 다양한 물 흐름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외 여과 모듈의 필터링 처리 성능을 계속해서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이고 우수한 정수 처리 성능을 갖는 정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llow the configuration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to be applied to a variety of water flow method through a variety of inlets and outlets,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maintain the filtering treatment performance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in a good state more stable and It is to provide a 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excellent water treatment performance.

본 발명은, 원수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를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전해수를 생성 공급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와,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에 의해 살균 처리된 살균 처리수를 1차 필터링 처리하는 마이크로 필터 모듈과, 상기 마이크로 필터 모듈을 통과한 1차 처리수를 2차 필터링 처리하는 한외 여과 모듈과,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을 통과한 2차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 수조와, 상기 마이크로 필터 모듈 및 한외 여과 모듈이 역세정 방식으로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처리 수조로부터 상기 마이크로 필터 모듈 및 한외 여과 모듈에 역세정수를 공급하는 역세 펌프를 포함하는 정수 처리 유닛; 상기 원수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가 상기 정수 처리 유닛에 의해 정수 처리되도록 상기 정수 처리 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원격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 처리 유닛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원격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d supplying electrolyzed water so as to sterilize raw water supplied by a raw water pump, a micro filter module for firstly filtering sterilized water sterilized by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An ultrafiltration module for performing secondary filtering on the primary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micro filter module, a treatment tank for storing the secondary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and the micro filter module 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are reversed. A water treatment unit including a backwash pump for supplying backwash water from the treatment bath to the micro filter module 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so as to be washed in a washing manner;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urified water processing unit so that the raw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pump is purified by the purified water processing unit; And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remotely communicate with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water treatment unit is remotely opera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때, 상기 정수 처리 유닛은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을 통과한 2차 처리수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는 수질 계측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ater treat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wate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secondary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또한, 상기 정수 처리 유닛은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을 통과한 2차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treatment unit may further include a flow 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secondary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또한,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은 일측에 중앙 입출 포트가 형성된 한외 여과 수조; 상기 한외 여과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상부 입출 포트가 형성되는 상부 헤더 탱크; 상기 한외 여과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하부 입출 포트가 형성되는 하부 헤더 탱크; 및 양단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헤더 탱크에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한외 여과 수조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형 한외 여과막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처리수를 필터링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앙 입출 포트가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의 유출구로 적용되고 상기 상부 입출 포트 및 하부 입출 포트가 일정 시간 간격마다 교대로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의 유입구로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filtration module is an ultrafiltration tank having a central entry port on one side; An upper header tank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ltrafiltration tank and having an upper entry / exit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lower header tank disposed below the ultrafiltration tank and having a lower entry / exit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a cylindrical ultra filtration membrane mounted inside the ultra filtration tank so that both ends communicate with the upper and lower header tanks,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inflow port is discharged from the ultra filtration module in the process of filtering the primary treated water. The upper and lower entry ports and the lower entry and exit ports may be applied to the inlet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alternately at regular intervals.

또한,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이 제 1 여과 과정 및 제 2 여과 과정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며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 1 여과 과정은 상기 1차 처리수가 상기 하부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중앙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1 필터링 과정; 상기 제 1 필터링 과정 이후 상기 1차 처리수가 상기 하부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상부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1 세척 과정; 및 상기 제 1 세척 과정 이후 상기 역세정수가 상기 중앙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상부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1 역세정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여과 과정은 상기 1차 처리수가 상기 상부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중앙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2 필터링 과정; 상기 제 2 필터링 과정 이후 상기 1차 처리수가 상기 상부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하부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2 세척 과정; 및 상기 제 2 세척 과정 이후 상기 역세정수가 상기 중앙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하부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1 역세정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ltrafiltration modul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operate by repeatedly circulating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and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is the primary treatment water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entry and exit port to the central A first filtering process flowing out to an entry port; A first washing process after the first filtering process, the first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lower entry and exit port and outflows into the upper entry and exit port; And a first backwashing process in which the backwash water flows into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after the first washing process and flows out of the upper entry and exit port, and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includes the first treated water to the upper entry and exit port. A second filtering process flowing into and exiting the central entry / exit port; A second washing step in which the first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upper entry port and exits the lower entry port after the second filtering step; And a first backwashing process in which the backwash water flows into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and exits the lower entry and exit port after the second washing process.

또한, 상기 마이크로 필터 모듈을 통과한 1차 처리수가 상기 한외 여과 모듈로 유동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필터 모듈의 유출구에는 1차 처리수 개폐 밸브가 장착되는 1차 처리수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1차 처리수 배관은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의 상부 입출 포트 및 하부 입출 포트로 각각 연결되도록 제 1 및 제 2 분기 배관으로 분기되어 각각 제 1 및 제 2 개폐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 배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 배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배관이 장착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개폐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의 중앙 입출 포트에는 상기 처리 수조와 연결되며 제 5 개폐 밸브가 장착되는 2차 처리수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2차 처리수 배관에는 상기 중앙 입출 포트로 상기 역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역세 펌프와 연결되는 역세정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역세정 배관에는 역세정 개폐 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는 역세정 드레인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이 상기 제 1 여과 과정 및 제 2 여과 과정을 반복 순환하도록 상기 1차 처리수 개폐 밸브, 제 1 내지 제 5 개폐 밸브 및 역세정 개폐 밸브의 동작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a primary treatment water pipe having a primary treatment water opening / closing valve is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micro filter module so that the primary treatment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cro filter module flows to the ultrafiltration module. The pipe is branched into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inlet port and the lower inlet port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on / off valves are mounted, respectively. By-pass piping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is mounted, and both ends of the bypass pipe are equipped with third and fourth open / close valves,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inlet / out port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is connected to the treatment tank. And a second treated water pipe having a fifth open / close valve is connected thereto, and the backwash water may flow into the central inlet / outlet port. A backwash pipe connected to the backwash pump is connected to the backwash pump, and a backwash open / close valve is attached to the backwash pipe, a backwash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bypass pipe, and the control unit includes the ultrafiltration module.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imary treated water open / close valve, the first to fifth open / close valves, and the backwash open / close valve may be controlled to circulate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and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한편,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는 소금 용액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함유된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the sterilized water containing sodium hypochlorite (NaOCl) by electrolyzing the salt solu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원수를 정수 처리하는 정수 처리 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부를 통해 자동 제어함과 동시에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정수 처리 유닛의 운전 및 관리를 위해 별도의 상주 관리 인원 없이도 용이하게 운전 관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 처리 유닛의 정상 작동 여부 또한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unit for treating the raw water through the control unit and remotely via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eparate operation for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unit Not only can the operation be easily managed without the resident management personnel, but it also has the effect of detecting the normal operation of the water treatment unit in real time.

또한, 별도의 화학적 소독제를 사용하지 않고 소금 용액을 이용하여 원수를 살균 처리하도록 함으로써, 추가적인 오염 물질을 배출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정수 처리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by using a salt solution to sterilize the raw water without using a separate chemical disinfectan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ovide an environment-friendly water treatment environment without emitting additional pollutants.

또한, 한외 여과 모듈의 구성을 다양한 유입구 및 유출구를 통해 다양한 물 흐름 방식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외 여과 모듈의 필터링 처리 성능을 계속해서 양호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어 더욱 안정적이고 우수한 정수 처리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to apply a variety of water flow method through a variety of inlets and outlets, it is possible to continue to maintain the filtering performance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in a good state, more stable and excellent water treatment performance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xe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한외 여과 모듈에 대한 필터링 처리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한외 여과 모듈에 대한 역세정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한외 여과 모듈에 대한 제 1 및 제 2 여과 과정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한외 여과 모듈과 관련된 배관 및 밸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외 여과 모듈의 제 1 및 제 2 여과 과정을 위한 밸브 개폐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filtering process for an ultrafiltration module of a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backwashing process for an ultrafiltration module of a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process for the ultrafiltration module of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configuration of a pipe and a valve related to an ultrafiltration module of a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and 8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valve opening and closing configuration for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process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of a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시스템 구성도이다.1 is a system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은 원수 펌프(100)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는 정수 처리 유닛(10)과, 정수 처리 유닛(10)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20)와,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40)와 원격 통신할 수 있도록 제어부(20)와 연결되는 통신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rified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urified water treatment unit 10 for purifying raw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pump 100, and a controller 20 for controll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unit 10. And a communication unit 3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so as to remotely communicate with the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정수 처리 유닛(10)은 원수 펌프(100)로부터 공급된 원수를 살균 처리할 뿐만 아니라 1차, 2차 필터링하여 더욱 미세한 부유물까지 모두 여과할 수 있는 구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수를 생성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200)와, 전해수 생성 장치(200)를 통과한 살균 처리수를 1차 필터링하는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과,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을 통과한 1차 처리수를 2차 필터링하는 한외 여과 모듈(400)과, 한외 여과 모듈(400)을 통과한 2차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 수조(500)와,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 및 한외 여과 모듈(400)에 역세정수를 공급하는 역세 펌프(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urified water treatment unit 10 is a structure capable of sterilizing raw water supplied from the raw water pump 100 and filtering all finer suspended solids by primary and secondary filtering, as shown in FIG. 1.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200 to generate, the microfilter module 300 which primaryly filters the sterilized water which passed through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200, and the primary treated water which passed the microfilter module 300 are 2 Ultrafiltration module 400 for differential filtering, a treatment tank 500 for storing the secondary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and a backwash water in the micro filter module 300 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ackwash pump 700 to supply.

전해수 생성 장치(200)는 원수 펌프(100)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를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전해수를 생성 공급하는 장치로서, 별도의 화학적 살균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소금 용액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친환경적인 살균 처리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된다. 이때, 별도의 소금 용액 탱크(240)와 소금 용액 펌프(250)를 통해 전해수 생성 장치(200)에 소금 용액이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전해수 생성 장치(200)는 전해조 내부에 소금 용액을 유입시켜 전기 분해함으로써, 살균 성분이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생성하는 비격막형 전해수 생성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200 i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supplying electrolyzed water to sterilize raw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pump 100, and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a salt solution is used without using a separate chemical sterilizer and the like. It is configured to undergo a normal steriliza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salt solu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200 through the separate salt solution tank 240 and the salt solution pump 250.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200 may be applied to a non-diaphragm typ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to generate sodium hypochlorite (NaOCl) having a sterilization component by introducing a salt solution into the electrolytic cell and electrolyz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은 전해수 생성 장치(200)에 의해 살균 처리된 살균 처리수를 1차 필터링 처리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0.5 ~ 1 μm 대의 입자를 필터링 처리한다. 이러한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별도의 케이스에 마이크로 필터가 내장된 형태로 구성되는데, 일정 시간 간격마다 역세정 방식으로 세척되도록 구성된다. 즉, 도 1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 펌프(700)에 의한 역세정수의 공급을 통해 자동으로 세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icro filter module 300 is a device for firstly filtering sterilized water sterilized by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200 and generally filters particles having a size of 0.5 to 1 μm. Although not shown, the micro filter module 300 is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a micro filter is embedded in a separate case in which an inlet and an outlet are formed. That is, it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wash through the supply of backwash water by the backwash pump 700, as shown by the dotted line in FIG.

한외 여과 모듈(400)은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을 통과한 1차 처리수를 2차 필터링 처리하는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0.05 μm 이하의 입자를 필터링 처리하며, 이러한 한외 여과 모듈(400)을 통해 0.05 ~ 0.6 μm 크기의 바이러스가 모두 필터링 처리된다. 이러한 한외 여과 모듈(400)은 2개의 유입구 및 1개의 유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2개의 유입구는 일정 시간마다 교대로 적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처리 과정을 위해 다수개의 배관 및 개폐 밸브가 구비되며, 다수개의 개폐 밸브가 제어부(20)를 통해 동작 제어된다. 이러한 한외 여과 모듈(400)의 구성 및 동작 상태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8을 중심으로 후술한다.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s a device for secondarily filtering the primary trea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cro filter module 300, and generally filters particles of 0.05 μm or less, and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All viruses from 0.05 to 0.6 μm in size are filtered out.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s configured such that two inlets and one outlet are formed, and the two inlets are configured to be alternately applied every predetermined time. In addition, a plurality of pipes and on / off valves are provided for the process, and a plurality of on / off valves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ng state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2 to 8.

한편, 한외 여과 모듈(400)에는 전단 및 후단의 압력 차이를 감지할 수 있는 별도의 차압 센서(610)가 장착되고, 이러한 차압 센서(610)를 통해 한외 여과 모듈(400)의 정상 작동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즉, 한외 여과 모듈(400)의 내부 필터에 이물질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물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아 한외 여과 모듈(400)의 전단 및 후단에서의 압력 차이가 증가하게 되므로, 이러한 차압 크기를 측정하여 한외 여과 모듈(400)의 작동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s equipped with a separat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610 that can detect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nd whether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s operating normally through the differential pressure sensor 610. I can figure it out. That is, when a large amount of foreign matter is accumulated in the internal filter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since the flow of water is not relatively smooth, the pressure difference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ncreases, thus increasing the differential pressure. By measur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can be determined.

처리 수조(500)는 한외 여과 모듈(400)을 통해 2차 필터링된 2차 처리수를 저장하기 위한 수조로서, 이러한 처리 수조(500)로부터 각 가정과 같이 물을 실제 사용하는 곳으로 물이 공급된다. 이러한 처리 수조(500)와 한외 여과 모듈(400)을 연결하는 연결 배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질 계측기(620)와 유량계(630)가 장착될 수 있다. 수질 계측기(620)는 한외 여과 모듈(400)을 통과한 2차 처리수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는 장치로, 2차 처리수의 전기 전도도 및 탁도 등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유량계(630)는 한외 여과 모듈(400)을 통과하여 처리 수조(500)로 유입되는 2차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질 계측기(620)와 유량계(630)를 통해 한외 여과 모듈(400)의 필터링 처리 정도를 점검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한외 여과 모듈(400)에 대한 교체 또는 청소 시점 등을 파악할 수도 있으며, 정수 처리 유닛(10)의 전체 시스템에 대한 정상 작동 여부를 파악할 수도 있다.The treatment tank 500 is a tank for storing the secondary filtered water filtered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and water is supplied from the treatment tank 500 to places where water is actually used, such as homes. . The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treatment tank 500 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may be equipped with a water quality meter 620 and a flow meter 630 as shown in FIG. 1. The wate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620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secondary treated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and is configured to measure electrical conductivity and turbidity of the secondary treated water. Flow meter 630 is configured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secondary treated water flowing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to the treatment tank 500. Through the wate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620 and the flow meter 630 it is possible to check the degree of filtering processing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through which the replacement or cleaning time for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can be grasp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normal operation of the entire system of the processing unit 10 is performed.

역세 펌프(700)는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 및 한외 여과 모듈(400)이 역세정 방식으로 세척될 수 있도록 처리 수조(500)로부터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 및 한외 여과 모듈(400)에 역세정수를 공급한다. 즉,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과 한외 여과 모듈(400)을 세척하는 경우, 처리 수조(500)에 저장된 정수 처리된 물을 역세정수로 활용하여 각각의 필터 모듈에 공급되도록 구성됨으로써, 더욱 깨끗한 상태로 세척 가능하다.The backwash pump 700 includes a backwash water from the treatment tank 500 to the microfilter module 300 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so that the micro filter module 300 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can be washed in a backwash manner. To supply. That is, when washing the micro filter module 300 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by using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treatment tank 500 as backwash water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each filter module, a more clean state Can be washed with

이와 같은 정수 처리 유닛(10)은 별도의 제어부(20)를 통해 동작 제어되며 정수 처리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20)에는 별도의 통신부(30)가 연결되고, 이를 통해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40)와 원격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Such water treatment unit 10 is operation controlled through a separate control unit 20 and performs the water treatment functio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0 is connected to a separate communication unit 30, through which is configured to remotely communicate with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따라서, 이동 통신 단말기(40)에는 제어부(20)에 의해 파악된 정수 처리 유닛(10)의 각종 정보가 통신부(30)를 통해 전송되며, 반대로 이동 통신 단말기(40)를 통해 각종 조작 정보를 입력하고, 이러한 조작 정보가 통신부(30)를 통해 제어부(20)로 전송되어 제어부(20)에 의해 정수 처리 유닛(10)의 동작 상태가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은 제어부(20)를 통해 자동으로 동작 제어되며, 아울러,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40)를 통해 정수 처리 유닛(10)을 원격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Therefore, various kinds of information of the purified water processing unit 10 grasped by the control unit 20 ar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and conversely, various types of operation information are inputted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The oper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30 so that the operation state of the wate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10 can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 That is,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utomatically operated and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unit 20, and the user can remotely operate the water treatment unit 10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40 carried by the user. It is configured to be.

이러한 원격 조작 가능 시스템에 따라 별도의 유지 관리를 위한 상주 관리 인원이 필요하지 않아 더욱 원활하게 정수 처리 시스템을 운영 관리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remote control system, there is no need for a resident management person for separate maintenance, so that the water treatment system can be managed more smoothly.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한외 여과 모듈에 대한 필터링 처리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한외 여과 모듈에 대한 역세정 과정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한외 여과 모듈에 대한 제 1 및 제 2 여과 과정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동작 상태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filtering process for an ultrafiltration module of a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ultrafiltration module of the purifi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conceptual views illustrating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process operating states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of the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ate diagram.

한외 여과 모듈(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중앙 입출 포트(411)가 형성된 한외 여과 수조(410)와, 한외 여과 수조(4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상부 입출 포트(421)가 형성되는 상부 헤더 탱크(420)와, 한외 여과 수조(4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하부 입출 포트(431)가 형성되는 하부 헤더 탱크(430)와, 양단이 상부 헤더 탱크(420) 및 하부 헤더 탱크(430)에 각각 연통되도록 한외 여과 수조(410)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형 한외 여과막(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s an ultrafiltration tank 410 and a central filtration tank 410 having a central entry port 411 on one side as shown in FIGS. 2 and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n upper portion of the ultrafiltration tank 410. The upper header tank 420 is disposed in the upper header port 421 is formed on one side, and the lower header tank 430 is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ultrafiltration water tank 410 and the lower outlet port 431 is formed on one side And, both ends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rical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mounted inside the ultrafiltration tank 410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header tank 420 and the lower header tank 430, respectively.

한외 여과 수조(410)는 내부에 수용 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의 원통형 또는 다각형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헤더 탱크(420) 및 하부 헤더 탱크(430)는 각각 한외 여과 수조(410)와는 연통되지 않도록 분리 구획되고, 이러한 상부 헤더 탱크(420) 및 하부 헤더 탱크(430)는 한외 여과막(440)을 통해 서로 연통된다. 한외 여과막(440)은 미세 입자를 필터링하는 멤브레인의 한 종류로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체가 한외 여과막(440)의 측벽을 내부에서 외부로(내압식) 또는 외부에서 내부로(외압식) 관통하며 유동하는 과정에서 유체에 함유된 미세 입자가 필터링되도록 구성된다.The ultrafiltration tank 410 may be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or polygonal column shape so that an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therein, and the upper header tank 420 and the lower header tank 430 communicate with the ultrafiltration tank 410, respectively. The upper header tank 420 and the lower header tank 430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is a kind of membrane for filtering fine particles, and is preferably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and fluid flows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of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Or fine particles contained in the fluid in the process of flowing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external pressure type).

즉, 한외 여과 모듈(4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입출 포트(411,421,431)를 통해 다양한 방식의 필터링 처리 공정이 수행된다.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압식으로 필터링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고,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압식으로 필터링 처리 공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입출 포트(421)가 유입구로 적용되고 중앙 입출 포트(411)가 유출구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차 처리수는 상부 입출 포트(421)로 유입되어 한외 여과막(44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후 한외 여과막(440)의 측벽을 관통하며 한외 여과막(440)의 외부로 유동하고, 이후 중앙 입출 포트(411)를 통해 한외 여과 수조(4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입출 포트(431)가 유입구로 적용되고 중앙 입출 포트(411)가 유출구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의 (a)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1차 처리수가 하부 입출 포트(431)로 유입되어 한외 여과막(440)의 측벽을 내부에서 외측으로 통과하며 중앙 입출 포트(411)로 배출된다. 따라서, 도 2의 (a),(b)에 도시된 한외 여과 모듈(400)의 구조는 모두 한외 여과막(440)의 측벽을 내부에서 외측 방향으로 통과하는 내압식 필터링 처리 방식으로 구성된다.That is,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s subjected to various filtering processes through three entry and exit ports 411, 421, and 431 as shown in FIG. 2.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A, the filtering process may be performed externally, or as illustrated in FIG. 2B, the filtering process may be performed. In more detail, as shown in (a) of FIG. 2, the upper entry and exit port 421 may be applied as the inlet, and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411 may be applied as the outlet. Accordingly, the primary treated water may be the upper entry and exit port. 421 flows into the inner space of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passes through the sidewall of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and flows to the outside of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and is then ultrafiltration through the central entry port 411.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water tank (410). In addition, as shown in (b) of FIG. 2, the lower entry / exit port 431 may be applied as the inlet and the central entry / exit port 411 may be applied as the outlet. In this case, in the same manner as in FIG. The primary treatment water flows into the lower entry / exit port 431, passes through the sidewall of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nd is discharged to the central entry / exit port 411. Therefore, the structure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shown in (a) and (b) of FIG. 2 is composed of a pressure-resistant filtering process that passes through the sidewall of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from the inside to the outward direction.

물론, 이와 달리 중앙 입출 포트(411)가 유입구로 적용되고 상부 입출 포트(421)가 유출구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1차 처리수는 중앙 입출 포트(411)로 유입되어 한외 여과막(440)의 측벽을 관통하며 한외 여과막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동하고, 이후 상부 입출 포트(421)를 통해 한외 여과 수조(410)의 외부로 배출될 수도 있다. 또한, 중앙 입출 포트(411)가 유입구로 적용되고 하부 입출 포트(431)가 유출구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1차 처리수가 중앙 입출 포트(411)로 유입되어 한외 여과막(440)의 측벽을 외부에서 내부로 통과하며 하부 입출 포트(431)로 배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이 경우 한외 여과 모듈(400)의 구조는 모두 한외 여과막(440)의 측벽을 외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통과하는 외압식 필터링 처리 방식으로 구성된다.Of course, in contrast,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411 may be applied as an inlet and the upper entry and exit port 421 may be applied as an outlet. Accordingly, the primary treated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411 and thus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may be formed. It may pass through the side wall and flow from the outside of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to the inside, and then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ultrafiltration water tank 410 through the upper entry port 421. In addition, the central inlet / outlet port 411 may be applied as an inlet and the lower inlet / outlet port 431 may be applied as an outlet. In this case, the first treatment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entral inlet / outlet 411 to externally close the sidewall of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Pass through the inside and may be discharged to the lower entry and exit port 431. Therefore, in this case, all of the structures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are configured by an external pressure filtering process that passes through the sidewall of the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from the outside to the inward direc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외 여과 모듈(400)은 모두 내압식 필터링 처리 방식으로 구성되는데, 1차 처리수를 필터링 처리하는 과정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입출 포트(411)가 항상 유출구가 되고, 상부 입출 포트(421) 및 하부 입출 포트(431)가 일정 시간 간격마다 교대로 유입구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한외 여과 모듈(400)은 일정 시간 간격마다 내부에서 물의 흐름이 반대 방향으로 바뀌기 때문에, 자동 세척되는 효과가 발생하여 더욱 양호한 필터링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Ultrafiltration module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ll configured in a pressure-resistant filtering method,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411 is always in the process of filtering the primary treated water as shown in FIG. It becomes an outlet and the upper entry-out port 421 and the lower entry-out port 431 are comprised so that it may become an inlet alternately every predetermined time interval.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changes the flow of water in the opposite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an automatic cleaning effect occurs, thereby maintaining better filtering performance.

한편, 한외 여과 모듈(4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역세정 방식으로 세척되는데, 이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흐름과 역방향의 흐름을 나타낸다. 즉, 역세정의 경우에는 중앙 입출 포트(411)가 역세정수가 유입되는 역세정수 유입구가 되고, 상부 입출 포트(421)와 하부 입출 포트(431)는 역세정수가 유출되는 역세정수 유출구가 되며, 이때, 상부 입출 포트(421)와 하부 입출 포트(431)는 전술한 필터링 처리 과정에 대응하여 이와 반대로 역세정수 유출구로 적용된다.On the other h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s washed in a backwash manner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as shown in FIG. That is, in the case of backwashing, the central inlet / outlet port 411 is a backwashing water inlet through which backwashing water flows, and the upper inlet / outlet port 421 and the lower inlet / outlet port 431 are backwashing water outlets through which backwashing water flows out. In addition, the upper entry / exit port 421 and the lower entry / exit port 431 are applied to the backwash water outlet as opposed to the aforementioned filtering process.

즉,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흐름에서 하부 입출 포트(421)가 유입구로 적용되고 중앙 입출 포트(411)가 유출구로 적용되는 경우, 역세정 흐름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입출 포트(411)가 역세정수 유입구로 적용되고 상부 입출 포트(431)가 역세정수 유출구로 적용된다. 또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 흐름에서 상부 입출 포트(421)가 유입구로 적용되고 중앙 입출 포트(411)가 유출구로 적용되는 경우, 역세정 흐름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입출 포트(411)가 역세정수 유입구로 적용되고 하부 입출 포트(431)가 역세정수 유출구로 적용된다. 이러한 역세정 흐름에 따라 배출수의 흐름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lower entry and exit port 421 is applied to the inlet and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411 is applied to the outlet in the filtering flow, as shown in (a) of FIG. 2, FIG. 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inlet and outlet ports 411 are applied to the backwash water inlet and the upper inlet and outlet port 431 is applied to the backwash water outlet. In addition, when the upper entry and exit port 421 is applied as the inlet and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411 as the outlet in the filtering flow, as shown in (b) of FIG. As shown in FIG. 3, the central inlet and outlet port 411 is applied to the backwash water inlet and the lower inlet and outlet port 431 is applied to the backwash water outlet. According to this backwashing flow, the flow of the effluent can proceed more smoothly.

이와 같이 구성된 한외 여과 모듈(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마다 제 1 여과 과정 및 제 2 여과 과정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도록 제어부(20)에 의해 동작 제어될 수 있다.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 to repeatedly circulate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and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 1 여과 과정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처리수가 하부 입출 포트(431)로 유입되어 중앙 입출 포트(411)로 유출되는 제 1 필터링 과정과, 제 1 필터링 과정 이후 1차 처리수가 하부 입출 포트(431)로 유입되어 상부 입출 포트(421)로 유출되는 제 1 세척 과정과, 제 1 세척 과정 이후 역세정수가 중앙 입출 포트(411)로 유입되어 상부 입출 포트(421)로 유출되는 제 1 역세정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 2 여과 과정은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처리수가 상부 입출 포트(421)로 유입되어 중앙 입출 포트(411)로 유출되는 제 2 필터링 과정과, 제 2 필터링 과정 이후 1차 처리수가 상부 입출 포트(421)로 유입되어 하부 입출 포트(431)로 유출되는 제 2 세척 과정과, 제 2 세척 과정 이후 역세정수가 중앙 입출 포트(411)로 유입되어 하부 입출 포트(431)로 유출되는 제 1 역세정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a) of FIG. 4,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includes a first filtering process in which the primary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lower entry / exit port 431 and exits to the central entry / exit port 411, and after the first filtering process 1 The first washing process in which the primary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lower entry / exit port 431 and flows out to the upper entry / exit port 421, and after the first washing process, the backwash water flows into the central entry / exit port 411, and thus the upper entry / exit port 421. It comprises the first backwash process to flow out. As shown in (b) of FIG. 4,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includes a second filtering process in which the primary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upper entry and exit port 421 and flows out to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411, and then after the second filtering process. The second washing process in which the primary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upper entry / exit port 421 and flows out to the lower entry / exit port 431, and after the second washing process, the backwash water flows into the central entry / exit port 411, and thus the lower entry / exit port 431 It comprises the first backwash process to flow out.

이때, 제 1 여과 과정과 제 2 여과 과정은 서로 동일한 시간 동안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여과 과정에서 각각 제 1 필터링 과정 및 제 2 필터링 과정이 가장 긴 시간을 차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각 여과 과정이 1시간 간격으로 진행되는 경우, 제 1 필터링 과정 및 제 2 필터링 과정은 각각 57분, 제 1 세척 과정 및 제 2 세척 과정은 각각 2분, 제 1 역세정 과정 및 제 2 역세정 과정은 각각 1분씩 진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and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are configured to be performed for the same time, and the first filtering process and the second filtering process take up the longest time in each filtration process. For example, when each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at an interval of 1 hour, the first filtering process and the second filtering process are 57 minutes, the first washing process and the second washing process are respectively 2 minutes, the first back washing process, The second backwashing process may be configured to proceed for 1 minute each.

여기에서, 각 필터링 과정과 역세정 과정 사이에 별도의 세척 과정이 추가되는데, 이는 역세정 처리 과정 이전에 한외 여과 모듈 대한 물의 흐름을 전환함으로써 내부 한외 여과막(440)에 축적된 이물질을 1차 세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세척 과정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는 역세정수의 배출 경로와 동일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Here, a separate washing process is added between each filtering process and the backwashing process, which firstly washes foreign matter accumulated in the inner ultrafiltration membrane 440 by switching the flow of water to the ultrafiltration module before the backwashing process. To do that. The washing water discharged through this washing process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in the same manner as the discharge path of the backwash water.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한외 여과 모듈(400)은 더욱 원활하게 정수 처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더욱 양호한 작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rough this process,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may perform the water treatment function more smoothly, and may maintain a better operating state.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한외 여과 모듈과 관련된 배관 및 밸브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외 여과 모듈의 제 1 및 제 2 여과 과정을 위한 밸브 개폐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6 is a schematic enlarged view of a pipe and a valve related to an ultrafiltration module of a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and 8 are ultrafiltratio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schematically shows the valve opening and closing configuration for the first and second filtration process of the modul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외 여과 모듈(40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 1 여과 과정과 제 2 여과 과정이 반복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배관과 개폐 밸브가 장착된다. 즉,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을 통과한 1차 처리수가 한외 여과 모듈(400)로 유동하도록 마이크로 필터 모듈(300)의 유출구에는 1차 처리수 개폐 밸브(T6)가 장착되는 1차 처리수 배관(P1)이 연결되고, 1차 처리수 배관(P1)은 한외 여과 모듈(400)의 상부 입출 포트(421) 및 하부 입출 포트(431)로 각각 연결되도록 제 1 및 제 2 분기 배관(P1-1,P1-2)으로 분기되어 각각 제 1 및 제 2 개폐 밸브(T1,T2)가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분기 배관(P1-1,P1-2)에는 제 1 및 제 2 분기 배관(P1-1,P1-2)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배관(Q)이 장착되고, 바이패스 배관(Q)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개폐 밸브(T3,T4)가 장착된다. 또한, 한외 여과 모듈(400)의 중앙 입출 포트(411)에는 처리 수조(500)와 연결되는 2차 처리수 배관(P2)이 연결 장착되고, 2차 처리수 배관(P2)에는 제 5 개폐 밸브(T5)가 장착되며, 또한, 2차 처리수 배관(P2)에는 중앙 입출 포트(411)로 역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역세 펌프(700)와 연결되는 역세정 배관(W1)이 연결된다. 이러한 역세정 배관(W1)에는 역세정 개폐 밸브(T7)가 장착되며, 바이패스 배관(W1)에는 별도의 역세정 드레인 배관(W2)이 연결된다.As illustrated in FIG. 6,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pipes and on / off valves so that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and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may be repeatedly circulated. That is, the primary treatment water pipe is installed at the outlet of the micro filter module 300 so that the primary treatment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cro filter module 300 flows to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P1 and P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primary treated water pipe P1 is connected to the upper inlet and outlet ports 421 and the lower outlet port 431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respectively. Branched to 1, P1-2, the first and second on-off valves T1, T2 are mounted, respectively, and the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P1-1, P1-2 are provided with the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Bypass piping Q connecting P1-1 and P1-2 is mounted, and third and fourth on-off valves T3 and T4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bypass piping Q, respectively. In addition, a secondary treatment water pipe P2 connected to the treatment water tank 500 is connected to the central inlet / outlet port 411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and a fifth open / close valve is provided to the secondary treatment water pipe P2. T5 is mounted, and the backwashing pipe W1 connected to the backwash pump 700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treatment water pipe P2 so that the backwash water may flow into the central entry / exit port 411. The backwash opening / closing valve T7 is mounted to the backwashing pipe W1, and a separate backwashing drain pipe W2 is connected to the bypass pipe W1.

제어부(20)는 이와 같이 구성된 한외 여과 모듈(400)이 제 1 여과 과정 및 제 2 여과 과정을 반복 순환하도록 1차 처리수 개폐 밸브(T6), 제 1 내지 제 5 개폐 밸브(T1,T2,T3,T4,T5) 및 역세정 개폐 밸브(T7)의 동작 상태를 제어한다.The control unit 2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peatedly circulates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and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and the first to fifth open / close valves T1 and T2, The operating states of the T3, T4 and T5 and the backwash open / close valve T7 are controlled.

즉,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처리수 개폐 밸브(T6), 제 2 개폐 밸브(T2) 및 제 5 개폐 밸브(T5)만 개방함으로써, 제 1 여과 과정의 제 1 필터링 과정이 수행되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처리수 개폐 밸브(T6), 제 2 개폐 밸브(T2) 및 제 3 개폐 밸브(T3)만 개방함으로써, 제 1 여과 과정의 제 1 세척 과정이 수행되며,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정 개폐 밸브(T7)와 제 3 개폐 밸브(T3)만 개방함으로써, 제 1 여과 과정의 제 1 역세정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처리수 개폐 밸브(T6), 제 1 개폐 밸브(T1) 및 제 5 개폐 밸브(T5)만 개방함으로써, 제 2 여과 과정의 제 2 필터링 과정이 수행되고,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처리수 개폐 밸브(T6), 제 1 개폐 밸브(T2) 및 제 4 개폐 밸브(T4)만 개방함으로써, 제 2 여과 과정의 제 2 세척 과정이 수행되며,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세정 개폐 밸브(T7)와 제 4 개폐 밸브(T4)만 개방함으로써, 제 1 여과 과정의 제 1 역세정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iltering of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by opening only the primary treated water open / close valve T6, the second open / close valve T2, and the fifth open / close valve T5, as shown in FIG. 7A. The process is performed, and by opening only the primary treated water on-off valve T6, the second on-off valve T2 and the third on-off valve T3, as shown in FIG. The first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and the first backwashing process of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by opening only the backwash opening / closing valve T7 and the third opening / closing valve T3 as shown in FIG. 7C. Can be. Similarly, the second filtering of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by opening only the primary treated water open / close valve T6, the first open / close valve T1, and the fifth open / close valve T5, as shown in FIG. 8A. The process is performed, and by opening only the primary treated water on-off valve T6, the first on-off valve T2 and the fourth on-off valve T4 as shown in FIG. The second washing process is performed, and as shown in FIG. 8C, only the backwash opening / closing valve T7 and the fourth opening / closing valve T4 are opened, whereby the first backwashing process of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is performed. Can be.

물론, 이러한 한외 여과 모듈(400)의 동작 방식 및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이와 달리 다른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할 것이다.
Of course, the oper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400 is exemplary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in other ways.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처리 시스템의 전해수 생성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9 is a conceptual diagram conceptu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of a water treat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는 살균 성분이 있는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을 생성하는 비격막형 전해수 생성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조(220)의 유입구(221)를 통해 소금 용액 탱크(240)으로부터 소금(NaCl) 용액이 유입되고, 전해조(220) 내부에는 복수의 양극판(223)과 음극판(224)이 장착되어 소금 용액에 대한 전기 분해를 통해 살균수를 생성한 후 전해조(220)의 유출구(222)를 통해 원수 배관 라인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양극에서는 염소가 발생하고 음극에서는 나트륨 이온이 물과 결합하여 수산화나트륨(NaOH)이 발생하며, 염소와 수산화나트륨이 결합하여 OCl- 이온 형태의 살균수가 생성된다. 이때, 양극판(223)과 음극판(224)은 전해조(220) 내부에서 소금 용액이 오래 머무르면서 충분히 전기 분해될 수 있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해수 생성 장치에 대한 원리 및 상세한 구조는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to the non-diaphragm typ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sodium hypochlorite (NaOCl) having a sterilization component, as shown in FIG. The salt (NaCl) solution is introduced from the salt solution tank 240 through 221, and a plurality of positive electrode plates 223 and negative electrode plates 224 are mounted inside the electrolytic cell 220 to sterilize water through electrolysis of the salt solution. After generating the is configured to supply to the raw water pipe line through the outlet 222 of the electrolytic cell 220. Chlorine is generated at the anode and sodium ions are combined with water to generate sodium hydroxide (NaOH) at the cathode, and chlorine and sodium hydroxide are combined to form sterilized water in the form of OCl- ions.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23 and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224 are stagger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alt solution remains sufficiently long in the electrolytic cell 220 to be sufficiently electrolyzed. The principle and detailed structure of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is well known,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전해조(220) 내부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별도의 농도 측정기(230)가 장착됨과 동시에 살균제를 저장할 수 있는 별도의 살균제 저장부(210)가 개폐 밸브를 통해 연결 장착된다. 이러한 전해수 생성 장치에서 생성되는 전해수의 양은 일반적으로 염소의 발생량에 상응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해수 생성 장치는 농도 측정기(230)를 통해 측정된 염소의 농도에 따라 전해수의 양을 측정하고, 이와 같이 측정된 전해수의 양이 설계치보다 낮을 경우에는 살균제 저장부(210)로부터 살균제가 전해조 내부 또는 원수 배관 라인 상에 직접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전해수 생성 장치에 이상이 발생하여 충분한 양의 전해수가 생성되지 않더라도 별도의 살균제 저장부(210)로부터 살균제가 공급되므로 수처리 공정에서 살균 효과가 항상 양호하게 유지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lytic cell 220 is equipped with a separate concentration measuring device 230 for measuring the chlorine concentration as shown in Figure 9 and at the same time a separate sterilant storage unit 210 for storing the sterilizing agent to open and close the valve It is equipped via a connection. Since the amount of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ed in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is generally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amount of chlorine generated, the electrolyzed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the electrolyzed water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hlorine measured by the concentration meter 230. When the amount is measured and the amount of the electrolyzed water measured as described above is lower than the designed value, the sterilan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directly from the sterilant storage unit 210 into the electrolyzer or the raw water pipe line. Therefore, even if an abnormality occurs in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nd a sufficient amount of electrolytic water is not generated, since the sterilizing agent is supplied from the separate sterilizing agent storage unit 210, the sterilizing effect is always maintained in the water treatment process.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정수 처리 유닛 20: 제어부
30: 통신부 40: 이동 통신 단말기
100: 원수 펌프 200: 전해수 생성 장치
300: 마이크로 필터 모듈 400: 한외 여과 모듈
500: 처리 수조 700: 역세 펌프
10: water purification processing unit 20: control unit
30: communication unit 40: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raw water pump 200: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300: micro filter module 400: ultrafiltration module
500: treatment tank 700: backwash pump

Claims (7)

원수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를 살균 처리할 수 있도록 전해수를 생성 공급하는 전해수 생성 장치와,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에 의해 살균 처리된 살균 처리수를 1차 필터링 처리하는 마이크로 필터 모듈과, 상기 마이크로 필터 모듈을 통과한 1차 처리수를 2차 필터링 처리하는 한외 여과 모듈과,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을 통과한 2차 처리수를 저장하는 처리 수조와, 상기 마이크로 필터 모듈 및 한외 여과 모듈이 역세정 방식으로 세척될 수 있도록 상기 처리 수조로부터 상기 마이크로 필터 모듈 및 한외 여과 모듈에 역세정수를 공급하는 역세 펌프를 포함하는 정수 처리 유닛;
상기 원수 펌프에 의해 공급되는 원수가 상기 정수 처리 유닛에 의해 정수 처리되도록 상기 정수 처리 유닛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가 별도의 이동 통신 단말기와 원격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통신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정수 처리 유닛은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를 통해 원격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처리 시스템.
An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and supplying electrolyzed water so as to sterilize raw water supplied by a raw water pump, a micro filter module for firstly filtering sterilized water sterilized by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and the micro filter module An ultrafiltration module for performing secondary filtering on the first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filter, a treatment tank for storing the secondary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and the micro filter module 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are washed in a reverse washing manner. A water treatment unit including a backwash pump for supplying backwash water from the treatment bath to the micro filter module and the ultrafiltration modul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purified water processing unit so that the raw water supplied by the raw water pump is purified by the purified water processing unit;
A communication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so that the control unit can remotely communicate with a separat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water treatment unit is remotely operated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처리 유닛은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을 통과한 2차 처리수의 수질 상태를 측정하는 수질 계측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ater treatment unit
The water treatment system further comprises a water quality measuring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secondary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 처리 유닛은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을 통과한 2차 처리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water treatment unit
And a flow meter for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secondary treated water passing through the ultrafiltration module.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은
일측에 중앙 입출 포트가 형성된 한외 여과 수조;
상기 한외 여과 수조의 상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상부 입출 포트가 형성되는 상부 헤더 탱크;
상기 한외 여과 수조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하부 입출 포트가 형성되는 하부 헤더 탱크; 및
양단이 상기 상부 및 하부 헤더 탱크에 각각 연통되도록 상기 한외 여과 수조 내부에 장착되는 원통형 한외 여과막
을 포함하고, 상기 1차 처리수를 필터링 처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중앙 입출 포트가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의 유출구로 적용되고 상기 상부 입출 포트 및 하부 입출 포트가 일정 시간 간격마다 교대로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의 유입구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ultrafiltration module is
Ultrafiltration tank formed with a central entry port on one side;
An upper header tank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ltrafiltration tank and having an upper entry / exit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 lower header tank disposed below the ultrafiltration tank and having a lower entry / exit port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Cylindrical ultrafiltration membrane mounted inside the ultrafiltration tank so that both ends communicate with the upper and lower header tanks, respectively.
The central inlet port is applied to the outlet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in the process of filtering the primary treated water and the upper inlet port and the lower inlet port alternately inlet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inlet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Water 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applied to.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이 제 1 여과 과정 및 제 2 여과 과정을 반복적으로 순환하며 작동하도록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제 1 여과 과정은
상기 1차 처리수가 상기 하부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중앙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1 필터링 과정;
상기 제 1 필터링 과정 이후 상기 1차 처리수가 상기 하부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상부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1 세척 과정; 및
상기 제 1 세척 과정 이후 상기 역세정수가 상기 중앙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상부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1 역세정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여과 과정은
상기 1차 처리수가 상기 상부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중앙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2 필터링 과정;
상기 제 2 필터링 과정 이후 상기 1차 처리수가 상기 상부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하부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2 세척 과정; 및
상기 제 2 세척 과정 이후 상기 역세정수가 상기 중앙 입출 포트로 유입되어 상기 하부 입출 포트로 유출되는 제 1 역세정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ltrafiltration modul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o operate by repeatedly cycling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and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The first filtration process
A first filtering process in which the first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lower entry port and exits the central entry port;
A first washing process after the first filtering process, the first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lower entry and exit port and outflows into the upper entry and exit port; And
And a first backwashing process in which the backwash water flows into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and exits the upper entry and exit port after the first washing process.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A second filtering process in which the first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upper entry port and exits the central entry port;
A second washing step in which the first treated water flows into the upper entry port and exits the lower entry port after the second filtering step; And
And a first backwashing process in which the backwash water flows into the central entry and exit port and exits the lower entry and exit port after the second washing step.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필터 모듈을 통과한 1차 처리수가 상기 한외 여과 모듈로 유동하도록 상기 마이크로 필터 모듈의 유출구에는 1차 처리수 개폐 밸브가 장착되는 1차 처리수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1차 처리수 배관은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의 상부 입출 포트 및 하부 입출 포트로 각각 연결되도록 제 1 및 제 2 분기 배관으로 분기되어 각각 제 1 및 제 2 개폐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 배관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분기 배관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배관이 장착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의 양단부에는 각각 제 3 및 제 4 개폐 밸브가 장착되며,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의 중앙 입출 포트에는 상기 처리 수조와 연결되며 제 5 개폐 밸브가 장착되는 2차 처리수 배관이 연결되고, 상기 2차 처리수 배관에는 상기 중앙 입출 포트로 상기 역세정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역세 펌프와 연결되는 역세정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역세정 배관에는 역세정 개폐 밸브가 장착되고,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는 역세정 드레인 배관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한외 여과 모듈이 상기 제 1 여과 과정 및 제 2 여과 과정을 반복 순환하도록 상기 1차 처리수 개폐 밸브, 제 1 내지 제 5 개폐 밸브 및 역세정 개폐 밸브의 동작 상태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처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primary treatment water pipe having a primary treatment water opening / closing valve is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micro filter module so that the primary treatment wat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micro filter module flows to the ultrafiltration module, and the primary treatment water pipe is Branched to the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inlet port and the lower inlet port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on-off valve is mounted,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branch pipes are the first And a bypass pipe connecting the second branch pipe, and both ends of the bypass pipe are equipped with third and fourth on / off valves, respectively, and the central inlet / outlet port of the ultrafiltration module is connected with the treatment tank. 5 is connected to the secondary treatment water pipe is equipped with an on-off valve, the backwash water may be introduced into the central inlet and outlet ports to the secondary treatment water pipe. A backwash pipe connected to the backwash pump is connected, a backwash open / close valve is mounted to the backwash pipe, a backwash drain pipe is connected to the bypass pipe, and the controller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ultrafiltration module to the first filter. The purified water treat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primary treatment water on-off valve, the first to fifth on-off valve and the backwash on-off valve to repeat the filtration process and the second filtration proces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수 생성 장치는 소금 용액을 전기 분해하여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이 함유된 살균수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처리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electrolytic water generating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ectrolytic decomposition of the salt solution to produce sterilized water containing sodium hypochlorite (NaOCl).

KR1020100135422A 2010-12-27 2010-12-27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11935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422A KR101193544B1 (en) 2010-12-27 2010-12-27 Water Purif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422A KR101193544B1 (en) 2010-12-27 2010-12-27 Water Purifica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609A true KR20120073609A (en) 2012-07-05
KR101193544B1 KR101193544B1 (en) 2012-10-22

Family

ID=46707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422A KR101193544B1 (en) 2010-12-27 2010-12-27 Water Purifica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544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7193A (en) * 2012-07-23 2012-11-07 三峡大学 Remote dam foundation seepage monitoring device with sewage drainage function
KR20180063663A (en) * 2016-12-02 2018-06-12 허진숙 Multi-function type water-purifying device
KR102062313B1 (en) * 2019-10-14 2020-01-03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Rainwater supply system
KR102176337B1 (en) 2019-12-06 2020-11-09 이홍섭 Industrial smart water purifier
KR102285468B1 (en) * 2020-12-09 2021-08-03 주식회사 승원 Water supply precision filter backwash system
KR20210098583A (en) * 2020-01-31 2021-08-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quality in the same
CN114044586A (en) * 2021-11-08 2022-02-15 河南牧原智能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controlling a clean-up ultrafiltration subsystem and related product
BE1028632B1 (en) * 2020-09-23 2022-04-25 Aaqua Nv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waste) water
KR102647524B1 (en) * 2023-05-19 2024-03-14 케이워터기술 주식회사 Ceramic Membrane Filtration Unit with Screen Window to check Filtering State and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07653B (en) * 2016-03-07 2018-11-27 芜湖美的厨卫电器制造有限公司 Water purification system, the control method of purifier and purifier
KR20210026945A (en) 2019-09-02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Water purifier and fil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6709B1 (en) * 2001-03-06 2004-01-31 대한주택공사 Water Purify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7193A (en) * 2012-07-23 2012-11-07 三峡大学 Remote dam foundation seepage monitoring device with sewage drainage function
CN102767193B (en) * 2012-07-23 2014-12-24 三峡大学 Remote dam foundation seepage monitoring device with sewage drainage function
KR20180063663A (en) * 2016-12-02 2018-06-12 허진숙 Multi-function type water-purifying device
KR102062313B1 (en) * 2019-10-14 2020-01-03 주식회사 에코시티솔루션즈 Rainwater supply system
KR102176337B1 (en) 2019-12-06 2020-11-09 이홍섭 Industrial smart water purifier
KR20210098583A (en) * 2020-01-31 2021-08-11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Reverse osmosis desalin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water quality in the same
BE1028632B1 (en) * 2020-09-23 2022-04-25 Aaqua Nv Method and device for purifying (waste) water
KR102285468B1 (en) * 2020-12-09 2021-08-03 주식회사 승원 Water supply precision filter backwash system
CN114044586A (en) * 2021-11-08 2022-02-15 河南牧原智能科技有限公司 Method for controlling a clean-up ultrafiltration subsystem and related product
KR102647524B1 (en) * 2023-05-19 2024-03-14 케이워터기술 주식회사 Ceramic Membrane Filtration Unit with Screen Window to check Filtering State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544B1 (en) 2012-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544B1 (en) Water Purification System
KR101906344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U2012202387B2 (en) RO (Reverse Osmosis) System
US10159939B2 (en) Reverse osmosis system
KR101734194B1 (en) Sterilizing method for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686131B1 (en) Water purifier for automatic sterilization
KR20090128785A (en) Water purifier and cleaning method of water tank of water purifier
KR20140081629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130104089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20130069973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thereof
KR101897563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thereof
KR20130127680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20170049230A (en) Sterilization and cleaning kit for water purifier
KR101967799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20170074641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KR101371037B1 (en) Water purifier
KR20130045294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of water tan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087842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thereof
KR20110064086A (en)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20140022937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water treatment method
KR20140009088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of water tan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51275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Capable of Sterilizing of Water Tank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16551A (en) Sterilization method of ice tank of water treatment apparatus
KR20120133703A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functioning as a sterilizer
KR101886237B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steriliz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