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008A -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 Google Patents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008A
KR20120073008A KR1020100134979A KR20100134979A KR20120073008A KR 20120073008 A KR20120073008 A KR 20120073008A KR 1020100134979 A KR1020100134979 A KR 1020100134979A KR 20100134979 A KR20100134979 A KR 20100134979A KR 20120073008 A KR20120073008 A KR 20120073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unlight
light guide
cultivation facility
cultur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4323B1 (ko
Inventor
심야섭
정인경
정기욱
유수형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4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4323B1/ko
Publication of KR20120073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4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4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1/00Bioreactors or ferment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uses
    • C12M21/02Photobiorea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02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located outside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31/00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 C12M31/08Means for providing, directing, scattering or concentrating light by conducting or reflecting elements located inside the reactor or in its struct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Cultivation Of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채광을 통해 태양광의 조사 효율을 향상시켜 미세조류의 배양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에 관한 것으로, 광생물 반응기가 설치되는 배양실과, 배양실을 조명하기 위한 전기 조명부와, 배양실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부와, 채광부에서 채광된 태양광이 배양실의 내부로 전달되어 광생물 반응기가 조명되도록 배양실에 설치되는 도광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DEVICE FOR CULTIVATING MICRO ALGAE BY USING SOLAR LIGHT}
본 발명은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연채광을 통해 태양광의 조사 효율을 향상시켜 미세조류의 배양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 미세조류는 해양에서의 기초생산, 즉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무기물로부터 유기물을 생산하며, 그 종류도 일반 미생물과 비교될 수 있을 정도로 다양할 뿐만 아니라 1차 생산자로서 미세조류가 갖는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과 같은 1차 대사산물의 영양학적 가치뿐만 아니라 2차 대사산물들의 다양한 기능성이 밝혀짐에 따라 식품, 의약품산업, 화장품산업 및 어패류 양식분야에 이용되는 등 그 응용분야가 날로 확대되고 있는 자원이다.
미세조류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가장 풍부한 물질은 단백질이지만 단백질은 미세조류 자체를 이용할 때 상대적으로 많은 함량을 보이는 성분으로 분류할 수 있고, 생산물질 측면에서 본다면 가장 풍부한 성분중의 하나가 지방이다. 미세조류에서의 지방의 축적은 대게 질소원의 결핍에 의해 유도되고, 종류에 따라 함량이 많이 차이가 나기도 하는데 일부의 미세조류에서는 약 70%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는 종들도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바이오디젤의 생산은 바로 이 지방의 함량에 비례하여 오일성분을 추출해 내고 촉매화 및 트랜스에스테르반응을 거친 후에 생산해 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이산화탄소 고정화를 목적으로 광합성 미세조류를 배양하는 장치는 크게 옥외에서 대량 배양을 하는 것(open system)과 광생물 반응기를 이용하는 것(closed system)으로 나눌 수 있다.
연못형(pond)을 포함하는 옥외 대량 배양장치의 경우 주로 호수 내지 대형 연못과 같은 형태의 반응시설을 사용하여 오고 있으며 일부 국가에서 상용화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배양시설은 초기 투자비가 적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오염, 분리 및 정제의 어려움, 낮은 세포농도, 많은 기질량(특히, 질소원), 높은 수질 및 수량의 요구, 불규칙한 기후 조건, 비싼 인건비 등의 문제들 때문에 그 설치가 극히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같이 반응시설의 설치에 필요한 부지의 확보가 어려운 국가에서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옥외 대량 배양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작은 크기의 반응기를 통해 고농도 배양을 함으로써 옥외 대량 배양장치에서의 생산량과 같거나 또는 더 많은 양을 생산하고, 유용 물질의 농도도 더 높은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최근에는 크기가 작고 고농도의 배양을 할 수 있는 실내형 광생물 반응기가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광생물 반응기는 옥외 대량 배양장치에 비해 초기 투자비와 관리 유지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단점이 있으나, 높은 균체 성장속도를 기대할 수가 있고 운전조건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개발되어 있는 형태로는 일반 교반형 반응기, 판형 반응기, 관형 반응기, 칼럼형 반응기 등이 있고, 이러한 모든 종류의 반응기는 빛의 효율적인 전달이 반응기 설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점이 되고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광생물 반응기는 태양광을 이용하므로 넓은 부지가 필요하며 다층 구조로 설계시 자연채광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채광장치가 사용됨에 따라 전력사용량이 증가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연채광을 최대한 활용하는 채광장치, 전력사용량이 적은 LED 적용 및 자연에너지인 태양광을 이용하여 부지활용 극대화 및 다층화를 통해 태양광의 조사 효율을 향상시켜 미세조류의 배양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는, 광생물 반응기가 설치되는 배양실과, 배양실을 조명하기 위한 전기 조명부와, 배양실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부와, 채광부에서 채광된 태양광이 배양실의 내부로 전달되어 광생물 반응기가 조명되도록 배양실에 설치되는 도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양실은 복층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기 조명부는, 태양전지 모듈과,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는 인버터와, 인버터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축전부와, 상기 인버터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발광부재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형광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집광부는, 곡면 형상을 가지며 태양광이 반사되어 중심부위로 집광되는 제1 집광부재와, 제1 집광부재의 초점부위에 형성되어 제1 집광부재에서 집광되는 빛을 도광부로 반사시키는 제2 집광부재와, 제2 집광부재를 제1 집광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집광부재는 제2 집광부재에서 반사된 빛이 도광부로 전달되도록 중앙부에 빛 투과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도광부는, 집광부에 연결되어 태양광을 전송하며 투명하게 형성되는 도광부재와, 내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도광부재의 외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와, 도광부재에 결합되며 도광부재로부터 전송된 빛을 배양실의 실내로 확산하여 조명하는 확산부를 포함한다.
또한, 도광부는, 도광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도광부재를 통해 이동되는 태양광을 증폭시켜 이동시키는 렌즈부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렌즈부재는 볼록렌즈가 사용된다.
또한, 도광부재는 절곡되는 부위에 반사체가 형성된다.
또한, 확산부는, 배양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도광부재가 결합되는 중공인 케이스와,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케이스의 내측과 연통되는 소켓과, 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도광부재로 전송된 빛을 광생물 반응기로 확산시키는 확산렌즈를 포함한다.
또한, 확산부는 소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소켓을 밀폐시키는 밀폐캡을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에 의하면, 자연채광을 통해 태양광의 조사 효율이 향상되어 미세조류의 배양량이 증대되고,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여 전력으로 사용하므로, 전력사용량이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조명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집광부 및 도광부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광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산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는 주간에는 자연채광을 통해 미세조류를 배양시키고, 야간에는 전기 조명을 통해 미세조류를 배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는 배양실(10), 전기 조명부(20), 집광부(30) 및 도광부(40)가 포함된다.
배양실(10)은 미세조류를 배양하기 위한 광생물 반응기(11)가 내부에 설치되고, 광생물 반응기(11)의 내부에서 미세조류가 배양된다. 이때, 광생물 반응기(11)는 내부에는 물이 공급되며, 미세조류의 배양을 위해 전기 조명부(20) 및 도광부(40)에 의해 조명된다.
또한, 배양실(10)은 보다 많은 광생물 반응기(11)를 설치할 수 있도록 복층으로 형성되며, 광생물 반응기(11)의 상측에서 빛이 조사되도록 전기 조명부(20) 및 도광부(4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배양실(10)이 복층으로 형성되면 좁은 면적에 보다 많은 광생물 반응기(11)를 설치할 수 있어 미세조류의 배양량이 증가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조명부(20)는 야간 또는 날씨가 흐리거나 또는 구름이 많아 자연채광이 약할 때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전기 조명부(20)는 태양전지 모듈(21)과, 인버터(23)와, 축전부(25) 및 발광부재(27)가 포함된다. 또한, 전기 조명부(20)는 발광부재(27)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28)가 더 포함된다.
태양전지 모듈(21)은 태양광으로부터 열에너지를 축적한다. 이러한, 태양전지 모듈(21)은 배양실(10)의 외부에 설치되며,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 패널(도시생략)의 각도가 조절된다.
인버터(23)는 태양전지 모듈(21)과 연결되며, 태양전지 모듈(21)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교류로 변환시킨다. 이때, 인버터(23)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축전부(25)로 공급되어 축전된다.
축전부(25)는 인버터(23)에 의해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축전된다. 그리고 축전부(25)에 축전된 전기에너지는 야간 또는 흐린 날 제어부(28)의 제어를 통해 발광부재(27)로 공급된다.
발광부재(27)는 배양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발광다이오드 또는 램프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사용된다. 이러한 발광부재(27)는 발광효율이 향상되도록 반사판(도시생략)에 의해 배양실(10)에 설치된다.
한편, 전기 조명부(20)는 태양의 위치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21)의 각도가 조절되며, 외부의 날씨 변화에 따라 발광부재(27)의 온/오프가 이루어지도록 태양전지 모듈(21)에 위치감지 센서(도시생략) 및 조도감지 센서(도시생략)가 각각 마련된다.
이때, 태양전지 모듈(21)의 각도 조절은 실린더, 기어, 캠, 체인 등과 같은 구동방식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8)는 상기 위치감지 센서 및 조도감지 센서에서 발생된 신호에 따라 태양전지 모듈(21)의 위치를 제어하고, 발광부재(27)로 전류를 인가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8)는 주간에는 태양전지 모듈(21)에 의해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부(25)에 축전시키고, 발광부재(27)는 오프시키며, 야간에는 축전부(25)에 축전된 전류를 발광부재(27)로 공급하여 발광부재(27)를 발광시켜 광생물 반응기(11)를 조명시킨다.
또한, 제어부(28)는 태양이 구름에 가려져 태양광이 약해지면 발광부재(27)가 발광되도록 발광부재(27)로 전류를 공급한다.
즉, 전기 조명부(20)는 야간은 물론 태양광이 약한 주간에도 발광부재(27)가 발광되어 미세조류의 배양효과를 향상시키게 된다. 또한, 별도의 전력공급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전력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전기 조명부(20)와 함께 광생물 반응기(11)를 조명하기 위해 배양실(10)에 설치되는 집광부(30) 및 도광부(40)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광부(30) 및 도광부(40)는 태양광이 배양실(10)의 내부로 공급되어 광생물 반응기(11)를 조명하게 된다.
집광부(30)는 배양실(10)의 상측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집광하여 도광부(40)로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집광부(30)는 태양광이 중심부위로 집광되는 제1 집광부재(31)와, 이 제1 집광부재(31)에서 집광되는 태양광을 도광부(40)로 반사시키는 제2 집광부재(33) 및 이 제2 집광부재(33)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5)로 이루어진다.
제1 집광부재(31)는 내면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이 중앙부 상측으로 집광되도록 곡면의 원판 형상을 가지며, 중앙부에 도광부(40)가 결합되는 빛 투과구멍(31a)이 형성된다. 이때, 빛 투과구멍(31a)을 통해 제2 집광부재(33)에서 반사되는 빛이 통과되어 도광부(40)로 전달된다.
제2 집광부재(33)는 제1 집광부재(31)에서 반사되는 빛이 도광부(40)로 반사되도록 반사면이 오목하게 형성되며, 제1 집광부재(31)의 초점부위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제2 집광부재(33)는 제1 집광부재(31)에서 집광되는 태양광을 수직방향으로 반사시켜 도광부(40)로 전달한다.
지지부재(35)는 제1 집광부재(31)에서 반사되는 빛이 투과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재질에 의해 형성되며, 그 일단이 제1 집광부재(31)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2 집광부재(33)의 테두리면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집광부(30)는 태양광이 제2 집광부재(33)로 집중되어 도광부(40)로 반사되므로, 태양광의 도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빛이 더 강하게 도광부(40)로 반사되어 자연채광 효율이 향상된다.
도광부(40)는 제1 집광부재(31)에 연결되어 제2 집광부재(33)로부터 전송되는 태양광을 이동시키는 도광부재(50)와, 이 도광부재(50)로 유입되는 태양광의 확산을 방지하는 커버부재(60) 및 도광부재(50)에 의해 이동되는 태양광을 배양실(10)의 실내로 조명하는 확산부(70)가 포함된다.
또한, 도광부(40)는 도광부재(50)로 이동되는 태양광의 도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렌즈부재(80)가 더 포함된다.
도광부재(50)는 태양광의 전송을 위한 관부재(51)와, 이 관부재(51)로 이동되는 태양광을 굴절시키기 위한 굴곡부재(53)로 구성된다.
관부재(51)는 중공체의 원통 형상을 가지며, 투명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관부재(51)는 커버부재(60)에 의해 커버되어 태양광이 외부로 투과되는 것이 방지된다.
굴곡부재(53)는 관부재(51)가 결합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고, 내부에 반사체(53a)가 마련되어 관부재(51)로 이동되는 태양광을 굴절시킨다. 이러한, 굴곡부재(53)는 내부에 반사체(53a)가 설치되도록 중공체 형태를 가진다.
커버부재(60)는 도광부재(50)를 감싸는 피복(61)과, 이 피복의 내부에 도포되어 태양광을 반사시키는 반사 코팅부(63)로 이루어진다.
렌즈부재(80)는 관부재(51)가 결합되는 연결관(81)과, 이 연결관(81)의 내부에 마련되는 볼록렌즈(83)로 이루어진다.
볼록렌즈(83)는 관부재(51)로 이동되는 태양광이 증폭되어 이동되도록 관부재(51)로 이동되는 태양광을 집광시켜 전송한다. 이로 인하여 관부재(51)를 통해 이동되는 태양광의 양이 증대됨과 동시에 증폭되어 이동된다.
즉, 렌즈부재(80)에 의해 관부재(51)로 이동되는 태양광의 광도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더 멀리까지 이동되므로, 광 전송도가 향상되어 광생물 반응기(11)의 조명효율이 향상된다.
확산부(70)는 관부재(51)와 연결되도록 배양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케이스(71)와, 이 케이스(71)의 하부에 형성되는 소켓(73) 및 이 소켓(73)에 삽입되는 확산렌즈(75)로 이루어진다.
케이스(71)는 중공체 형태를 가지며, 관부재(51)에서 전달되는 태양광이 케이스(71)의 내부에서 흡수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내면에 반사시트(71a)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71)는 내부에 제1 반사판(77) 및 제2 반사판(79)이 마련된다.
제1 반사판(77)은 케이스(71)의 내부에서 반사되는 태양광을 확산렌즈(75)측으로 반사시켜 태양광을 확산렌즈(75)로 보다 집중시킨다. 이러한, 제1 반사판(77)은 반원 형태를 가진다.
제2 반사판(79)은 관부재(5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케이스(71)에 설치되며, 관부재(51)로 이동관 태양광을 제1 반사판(77)으로 반사시켜 케이스(71)의 내부에서 태양광이 약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제2 반사판(79)은 상측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하면에도 반사물질이 코팅된다.
소켓(73)은 케이스(71)의 하측에 구비되고 케이스(71)의 내부와 연통되며, 내부에 확산렌즈(75)가 거치된다. 또한, 소켓(73)에는 확산부(70)에서 외부로 확산되는 태양광을 선택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밀폐캡(71b)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밀폐캡(71b)은 힌지를 통해 소켓(7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힌지에 밀폐캡(71b)을 개방시키기 위한 탄성스프링(도시생략)이 구비된다. 또한, 밀폐캡(71b)은 소켓(73)이 밀폐되었을 때 소켓(73)에서 회동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소켓(73)에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확산렌즈(75)는 소켓(73)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케이스(71)로 전송된 태양광을 외부로 확산시킨다. 이러한, 확산렌즈(75)는 확산효과가 향상될 수 있도록 그 하부에 경사면(75a)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75a)에 확산면(75b)이 연속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확산부(70)에 의해 광생물 반응기(11)가 보다 넓게 조명됨은 물론 그 조명효과가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광생물 반응기(11)를 조명할 때 태양광을 이용한 전기 조명부(20)를 통해 광생물 반응기(11)를 조명함과 동시에 집광부(30) 및 도광부(40)를 통해 광생물 반응기(11)를 자연채광 할 수 있으므로, 전력사용량이 감소된다.
또한, 태양광의 채광이 원활하지 않을 때에는 축전부(25)에 축전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광생물 반응기(11)를 조명할 수 있으므로, 미세조류의 배양량이 보다 증대된다.
또한, 집광부(30)의 제1 집광부재(31) 및 제2 집광부재(33)에 의해 태양광을 집광시켜 도광부(40)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태양광의 채광효율이 향상되어 광생물 반응기(11)의 자연채광이 향상된다.
또한, 도광부재(50)로 이동되는 태양광이 렌즈부재(80)의 볼록렌즈(83)에 의해 집광 및 증폭되어 전송되므로, 태양광의 이송량이 증대됨과 이동되는 양을 증가된다. 즉, 광생물 반응기(11)의 자연채광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특히, 배양실(10)이 복층으로 형성되어 보다 많은 광생물 반응기(11)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좁은 면적에 보다 많은 광생물 반응기(11)를 설치할 수 있어 미세조류의 배양량이 증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 배양실 11 : 광생물 반응기
20 : 전기 조명부 21 : 태양전지 모듈
23 : 인버터 25 : 축전부
27 : 발광부재 28 : 제어부
30 : 집광부
31 : 제1 집광부재 33 : 제2 집광부재
35 : 지지부재 40 : 도광부
50 : 도광부재 51 : 관부재
53 : 굴곡부재 60 : 커버부재
61 : 피복 63 : 반사 코팅부
70 : 확산부 71 : 케이스
73 : 소켓 75 : 확산렌즈
77 : 제1 반사판 79 : 제2 반사판

Claims (12)

  1. 광생물 반응기가 설치되는 배양실;
    상기 배양실을 조명하기 위한 전기 조명부;
    상기 배양실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부; 및
    상기 채광부에서 채광된 태양광이 상기 배양실의 내부로 전달되어 상기 광생물 반응기가 조명되도록 상기 배양실에 설치되는 도광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양실은 복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조명부는,
    태양전지 모듈;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서 발생되는 전기에너지를 변환하는 인버터;
    상기 인버터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저장되는 축전부; 및
    상기 인버터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광되는 발광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재는 발광다이오드 또는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광부는,
    곡면 형상을 가지며, 태양광이 반사되어 집광되는 제1 집광부재;
    상기 제1 집광부재의 집광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집광부재에서 집광되는 빛을 상기 도광부로 반사시키는 제2 집광부재; 및
    상기 제2 집광부재를 상기 제1 집광부재에 고정하기 위한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광부재는 상기 제2 집광부재에서 반사된 빛이 상기 도광부로 전달되도록 중앙부에 빛 투과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집광부에 연결되어 태양광을 전송하며, 투명하게 형성되는 도광부재;
    내면에 반사층이 형성되어 상기 도광부재의 외면을 커버하는 커버부재; 및
    상기 도광부재에 결합되며, 상기 도광부재로부터 전송된 빛을 상기 배양실의 실내에 확산하여 조명하는 확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는, 상기 도광부재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도광부재를 통해 이동되는 태양광을 증폭시켜 이동시키는 렌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재는 볼록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부재는 절곡되는 부위에 반사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배양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도광부재가 결합되는 중공인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과 연통되는 소켓; 및
    상기 소켓에 분리 가능하게 끼워져 상기 도광부재로 전송된 빛을 상기 광생물 반응기로 확산시키는 확산렌즈;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부는 상기 소켓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켓을 밀폐시키는 밀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KR1020100134979A 2010-12-24 2010-12-24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KR101254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979A KR101254323B1 (ko) 2010-12-24 2010-12-24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979A KR101254323B1 (ko) 2010-12-24 2010-12-24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008A true KR20120073008A (ko) 2012-07-04
KR101254323B1 KR101254323B1 (ko) 2013-04-12

Family

ID=46707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979A KR101254323B1 (ko) 2010-12-24 2010-12-24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43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53B1 (ko) * 2012-07-09 2014-07-04 한국과학기술원 미세 조류 배양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433B1 (ko) * 2016-02-15 2016-08-17 주식회사 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건축물 및 공동주택의 친환경 주차장 시공 방법
KR101753000B1 (ko) 2016-04-29 2017-07-0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미세조류 배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544B1 (ko) * 2005-12-05 2007-09-04 노영규 태양광 전송장치
US20090047722A1 (en) * 2005-12-09 2009-02-19 Bionavitas,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biomass production
KR100897019B1 (ko) * 2007-10-15 2009-05-25 주식회사 바이오트론 고효율 미세조류 배양용 광생물 반응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5553B1 (ko) * 2012-07-09 2014-07-04 한국과학기술원 미세 조류 배양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4323B1 (ko) 2013-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288921A1 (en) Solar powered spectral photosynthetic bioreactor system for culturing microalgae at high density
US8716010B2 (en) Solar hybrid photobioreactor
CN112868419B (zh) 一种农业日光传输照明系统和配套的温室以及照明方法
KR101222145B1 (ko) 태양광을 이용한 광생물 반응기
US9462757B2 (en) Bioreactor
US20110197317A1 (en) Multistory bioreaction system for enhancing photosynthesis
KR101243110B1 (ko) 광생물 반응기
US20110236958A1 (en) Multistory Bioreaction System for Enhancing Photosynthesis
KR101254323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설비
KR101039463B1 (ko) 하이브리드형 자연채광 조명시스템
CN109370874A (zh) 太阳能微藻生长繁殖装置和微藻生长繁殖的方法
CN209456432U (zh) 太阳能微藻生长繁殖装置
CN103981089A (zh) 一种太阳能微藻生物反应系统
CN200982571Y (zh) 一体化聚光太阳能照明装置
CN109468222A (zh) 一种可折叠立体螺旋式光生物反应器
CN201256569Y (zh) 植物生长房用大功率led光源
CN102071134A (zh) 螺旋藻led光生物反应器
CN220520462U (zh) 一种脉冲光生物反应器
KR101319241B1 (ko) 광생물 반응기
CN2575103Y (zh) 复合高效光合反应器
CN219950974U (zh) 一种光伏导光装置的微藻培养系统
TWM469319U (zh) 光生物反應系統
KR20130043029A (ko) 포물반사경 부착 프리즘식 돔형 태양광 집광기
CN109468223B (zh) 一种自动生物反应器
CN2346794Y (zh) 藻类养殖池的光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