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3001A -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 - Google Patents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3001A
KR20120073001A KR1020100134970A KR20100134970A KR20120073001A KR 20120073001 A KR20120073001 A KR 20120073001A KR 1020100134970 A KR1020100134970 A KR 1020100134970A KR 20100134970 A KR20100134970 A KR 20100134970A KR 20120073001 A KR20120073001 A KR 20120073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unit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97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53554B1 (en
Inventor
장경익
이병석
오석진
Original Assignee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554B1/en
Publication of KR20120073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0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5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5/00Systems for controll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25/00Measuring
    • F23N2225/08Measuring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Abstract

PURPOSE: A combustion control system of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is provided to individually control the amount of fuel and air of each area by measuring the inner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combustion furnace. CONSTITUTION: A combustion control system of a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comprises a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20), a fuel and air supply unit(40), and a control unit(10).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measures the inner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 combustion furnace.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individually supplies fuel and air to each area of the combustion furnace. The control unit divides the measured temperature distribution depending on each area and controls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Description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

본 발명은 유동층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소로 내부의 온도분포에 따라 연소량과 공기량을 제어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uidized bed boi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bustion control device for a fluidized bed boiler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ombustion and the amount of air in accordance with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furnace.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발전소 또는 산업용으로 필요한 증기를 생성하는 장치로서, 증기를 발생시키는 본체(Furnace, 과열기, 재열기, 절탄기) 및 순환계통과, 연료의 공급 및 연소를 통해 보일러 내에 열원을 공급하는 연소장치,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공급 및 연소와 가스를 방출시키는 통풍장치, 기타 보일러를 빠져 나가는 연소가스로부터 열량을 회수하는 공기 예열기, 보일러 본체 전열면에 부착되는 회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매기 및 보일러 본체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 밸브 등 부대설비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a boiler is a device for generating steam required for a power plant or industrial use. The boiler generates a steam source (Furnace, Superheater, Reheater, Blower) and a circulation system, and supplies a heat source into the boiler through the supply and combustion of fuel. Combustion unit, supply of air for combustion and ventilation for releasing combustion and gas, air preheater to recover heat from combustion gas exiting boiler, refiner and boiler to remove ash attached to boiler body heat transfer surface It consists of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safety valve to protect the main body.

한편, 유동층(CFB, Circulating Fluidized Bed) 보일러는 회분이 많은 저질탄을 연소하기 위하여 개발된 보일러이며, 기존의 보일러 중 가장 환경 친화적이다.On the other hand, CFB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is a boiler developed for burning low ash coal with a lot of ash, and is the most environmentally friendly among conventional boilers.

이러한 유동층 보일러는 연료 연소 시 발생될 수 있는 질산화물과 황산화물의 발생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연소온도를 낮게 유지하기 위하여 연료의 크기를 크게 하고 연소로 내에서 유동하면서 서서히 연소되도록 설계되었다.Such fluidized bed boilers can reduce the generation of pollutants by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nitrates and sulfur oxides that can occur during fuel combustion.In order to keep the combustion temperature low, the size of the fuel is increased and it gradually flows in the furnace. Designed to burn.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technical configuration is a background art for helping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a conventional technology well known in the art.

종래에는 연소로 내부에 연료와 공기를 주입하여 연소시켰으나, 연소로 내부의 유동화 현상을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어려워 효율적으로 관리하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Conventionally, fuel and air have been injected into a combustion furnace to combust it, bu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and accurately manage the fluidization phenomen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because it is difficult to grasp concretely and accurately.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연소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각 영역별로 연료량과 공기량을 개별 제어하여 연소로 내 편류를 방지하고 균등한 유동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impro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to individually control the amount of fuel and the amount of air for each predetermined area to prevent drift in the combustion furnace and induce equal fluidization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mbustion control method for a fluidized bed boiler.

본 발명에 의한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는 연소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측정하는 온도분포 측정부; 상기 연소로 내부에 설정된 각 영역으로 연료와 공기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연료 및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온도분포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분포를 상기 영역으로 구분하여 상기 각 영역별 온도에 따라 상기 연료 및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ombustion control device of a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for measur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A fuel and air supply unit for separately supplying fuel and air to each region set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And a control unit for divid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into the region and controlling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each region.

본 발명의 상기 온도분포 측정부는 열전대식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hermocouple temperature sensor.

본 발명의 상기 연료 및 공기 공급부는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공급관; 상기 메인 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메인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상기 각 영역으로 각각 공급하는 서브 공급관; 및 상기 서브 공급관에 각각 설치되어 연료량과 공기량을 제어하는 개별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supply pipe for supplying fuel and air; A sub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to supply fuel and air supplied from the main supply pipe to the respective regions; And individual control valves installed in the sub supply pipes to control fuel amount and air amount, respectively.

본 발명의 상기 연료 및 공기 공급부는 상기 메인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통합적으로 단속하는 통합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tegrated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main supply pipe to integrally control the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sub supply pipe.

본 발명에서, 상기 온도분포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연소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영역은 상기 연료 및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온도가 낮은 영역으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ly low temperature of the region to control the fuel and air supply to increase the amount of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region of low temperature.

본 발명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영역은 상기 연료 및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온도가 높은 영역으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trol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of the region to control the fuel and air supply to reduce the amount of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high temperature region.

본 발명은 연소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측정하여 기 설정된 각 영역별로 연료량과 공기량을 개별 제어하여 연소로 내 편류를 방지하고 균등한 유동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furnace to individually control the amount of fuel and the amount of air for each predetermined area to prevent the drift in the furnace and to induce equal fluidiz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의 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a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a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할 것이다. Hereinafter, a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a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custom.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의 블럭 구성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의 설비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a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equipment of the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 온도분포 측정부(20) 및 디스플레이부(30) 및 연료 및 공기 공급부(40)를 포함한다.The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the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1, the control unit 10,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20 and the display unit 30 and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40 Include.

온도분포 측정부(20)는 연소로(70) 내부의 온도분포를 측정한다. 온도분포 측정부(20)는 일 예로, 열전대식 온도센서가 채용될 수 있다.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20 measures a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combustion furnace 70.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20 may be, for example, a thermocouple type temperature sensor.

연료 및 공기 공급부(40)는 연소로(70) 내부에 임의로 설정된 가상의 각 영역(71)으로 연료와 공기를 개별적으로 공급한다.The fuel and air supply unit 40 separately supplies fuel and air to each virtual region 71 arbitrarily set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0.

참고로, 연료 및 공기 공급부(40)는 연소로(70) 내부에 주입되는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는데, 연료 및 공기는 별도로 공급될 수 있으나, 서로 혼합되어 주입될 수도 있다. For reference,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40 supplies fuel and air injected into the combustion furnace 70. The fuel and air may be supplied separately, but may be mixed and injected with each other.

이러한 연료 및 공기 공급부(40)는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공급관(41), 메인 공급관(41)에서 분기되어 메인 공급관(41)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각 영역(71)으로 각각 공급하는 서브 공급관(43) 및 서브 공급관(43)에 각각 설치되어 연료량과 공기량을 제어하는 개별제어밸브(44) 및 메인 공급관(41)에 설치되어 서브 공급관(43)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통합적으로 단속하는 통합제어밸브(42)를 구비한다.The fuel and air supply unit 40 is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41, the main supply pipe 41 for supplying fuel and air to supply the fuel and air supplied from the main supply pipe 41 to each region 71, respectively. It is installed in the sub supply pipe 43 and the sub supply pipe 43 to control the fuel amount and the air amount respectively, and the fuel and air installed in the main supply pipe 41 and the main supply pipe 41 to integrally integrate the fuel and air An integrated control valve 42 for controlling is provided.

통합제어밸브(42)는 메인 공급관(41)에 설치되어 연소로(70)에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통합적으로 단속한다. The integrated control valve 42 is installed in the main supply pipe 41 to integrally control the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combustion furnace 70.

한편, 연소로(7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를 다수 개의 영역(71)으로 가상적으로 구분된다. 이 경우, 각각의 영역(71)은 격자 형태로 구분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영역(71)의 전체 개수는 연소로(70)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다.Meanwhi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combustion furnace 70 is virtually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egions 71. In this case, each region 71 may be divided into a lattice shape, and may be variously divided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total number of regions 71 is set various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mbustion furnace 70.

본 실시예에서는 연소로(70)가 16개의 영역(71)으로 구분되는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mbustion furnace 70 is divided into 16 regions 71 by way of example. However,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t to various numbers as necessary.

한편, 연료와 공기는 메인 공급관(41)을 거쳐 서브 공급관(43)을 통해 공급되는데, 이 경우, 서브 공급관(43)은 일측이 상기한 메인 공급관(41)에서 분기되고 타측이 상기한 각 영역(71)에 연결되어 메인 공급관(41)을 통해 주입된 연료와 공기를 각각의 영역(71)으로 공급한다.On the other hand, fuel and air are supplied through the sub supply pipe 43 via the main supply pipe 41, in which case, the sub supply pipe 43 is branched from one side of the main supply pipe 41 and the other side of the respective areas. It is connected to the 71 to supply the fuel and air injected through the main supply pipe 41 to each region (71).

따라서, 1개의 서브 공급관(43)이 1개의 영역(71)에 연료와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Therefore, one sub supply pipe 43 injects fuel and air into one area 71.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주입하는 것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연료와 공기가 별개로 주입되는 경우에는 연료를 주입하는 서브 공급관과 공기를 주입하는 서브 공급관이 별도로 마련되는 것은 당연하다할 것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uel and air are mixed and injected as an example. However, when fuel and air are separately injected, it is natural that a sub supply pipe for injecting fuel and a sub supply pipe for injecting air are provided separately. something to do.

개별제어밸브(44)는 상기한 각 서브 공급관(43)에 각각 설치되어 연소로(70)의 각 영역(71)에 주입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제어한다. Individual control valves 44 are provided in the respective sub-supply pipes 43 to control the amount of fuel and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each region 71 of the combustion furnace 70.

도 2 를 참조하면, 개별제어밸브(44)는 각 서브 공급관(43)에 설치되므로, 16개의 개별제어밸브(44)가 설치됨을 알 수 있다.2, since the individual control valve 44 is installed in each sub supply pipe 43, it can be seen that 16 individual control valves 44 are installed.

디스플레이부(30)는 상기한 온도분포 측정부(20)에 의해 측정된 연소로(70) 내부의 온도분포를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가 연소로(71) 내부의 온도분포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ement unit 20 on the screen so that the driv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1. Make sure

이 경우 연소로(70) 내부의 온도분포에 따라 각 영역별로 다양한 색상으로 표시될 수 있는데, 도 2 를 참조하면, 연소로(70)의 내벽에 인접한 영역(71)에서는 온도가 높고, 중심으로 갈수록 온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In this case, the temperature may be displayed in various colors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0. Referring to FIG. 2, in the region 71 adjacent to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furnace 70, the temperature is high,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gradually decreases.

제어부(10)는 온도분포 측정부(20)에서 측정된 온도분포를 상기한 영역(71)에 따라 구분하여 각 영역별 온도에 따라 연료 및 공기 공급부(40)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영역(71)으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제어한다. 이를 통해, 균등한 유동화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연소효율을 향상시킨다.The control unit 10 divid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2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region 71 and controls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40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each region, thereby providing a corresponding region 71. Control the amount of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system. This allows an even fluidization to be formed and improves combustion efficiency.

이를 도 3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온도분포 측정부(20)는 연소로(7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고(S10), 감지된 온도에 따라 연소로(70) 내부의 전체 영역(71)에 대한 온도분포를 분석한다(S20). Firs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20 detects a temperature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0 (S10) and analyzes a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entire area 71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0 according to the detected temperature ( S20).

제어부(10)는 상기 온도분포 측정부(20)로부터 연소로(70) 내부의 온도분포가 입력되면, 이 온도분포를 기 설정된 영역(71)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영역(71)에 대한 온도를 분석한다(S30).Whe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0 is input from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20, the control unit 10 divid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to a predetermined area 71 and the temperature for each area 71. Analyze (S30).

이 경우, 각 영역(71)의 온도를 서로 비교하여 온도가 높은 영역(71)과 낮은 영역(71)으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해서 연료 및 공기 공급부(40)를 제어하여 각 영역(71)으로 공급된 연료양과 공기량을 제어한다(S40). 이를 통해, 연소로(70) 내부의 전체 영역(71)에 대한 유동화가 균등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the temperature of each region 71 is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divided into a region 71 having a high temperature and a region 71 having a low temperature, and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40 is controlled for each region 71. The amount of fuel and the amount of air supplied are controlled (S40). Through this, fluidization of the entire region 71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0 may be made even.

이를 도 2 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 를 참조하면, 연소로(70) 내벽 주변의 영역(71)과 같이 온도가 높은 영역(71)은 해당 영역(71)과 연결된 개별제어밸브(44)의 개폐량을 감소시켜 해당 영역(71)으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감소시킨다. Referring to FIG. 2, the region 71 having a high temperature, such as the region 71 around the inner wall of the combustion furnace 70, reduces the opening / closing amount of the individual control valve 44 connected to the region 71 so that the region ( 71) Reduce the amount of fuel and air supplied.

반면에, 연소로(70)의 중심 부근의 영역(71)과 같이, 주변 영역(71)에 비해 온도가 낮은 영역(71)은 해당 영역(71)과 연결된 개별제어밸브(44)의 개폐량을 증가시켜 해당 영역(71)으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증가시킨다. On the other hand, as in the region 71 near the center of the combustion furnace 70, the region 71 having a lower temperature than the peripheral region 71 has an opening / closing amount of the individual control valve 44 connected to the region 71. This increases the amount of fuel and the amount of air supplied to the region 71.

즉, 제어부(10)는 영역(71)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영역(71)은 연료 및 공기 공급부(40)를 제어하여 온도가 낮은 영역(71)으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증가시킨다.That is,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40 in the relatively low temperature region 71 to increase the amount of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low temperature region 71.

또한 제어부(10)는 영역(71)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영역(71)은 연료 및 공기 공급부(40)를 제어하여 온도가 높은 영역(71)으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감소시킨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10 controls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40 in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egion 71 to reduce the amount of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high temperature region 71.

이와 같이 각 영역(71)의 온도분포에 따라 개별제어밸브(44)의 개폐량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에서, 온도분포 측정부(20)가 연소로(70) 내부의 온도분포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게 되고, 이를 피드백받아 개별제어밸브(44)를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과정을 계속 수행한다.As such, in the process of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amounts of the individual control valves 44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each region 71,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20 analyze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0 in real time. In response to the feedback, the process of individually controlling the individual control valves 44 is continuously performed.

한편, 통합제어밸브(42)는 서브 공급관(43)으로 연료와 공기를 통합 공급하므로, 개밸제어밸브를 통해 연료량과 공기량을 조절하는 과정에서는 항상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integrated control valve 42 supplies fuel and air to the sub-supply pipe 43 integrally, the integrated control valve 42 always maintains an open state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fuel amount and the air amount through the opening valve control valve.

또한, 디스플레이부(30)는 연소로(70) 내부의 온도분포를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간으로 표시함으로써, 운전자가 현재 연소로(70) 내부의 온도분포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30 displays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0 in real time, as shown in FIG. 2, so that the driver can easily recognize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70. .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merely exemplary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10: 제어부 20: 온도분포 측정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연료 및 공기 공급부
41: 메인 공급관 42: 통합제어밸브
43: 서브 공급관 44: 개별제어밸브
10: control unit 20: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30: display unit 40: fuel and air supply unit
41: main supply line 42: integrated control valve
43: sub supply pipe 44: individual control valve

Claims (7)

연소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측정하는 온도분포 측정부;
상기 연소로 내부에 설정된 각 영역으로 연료와 공기를 개별적으로 공급하는 연료 및 공기 공급부; 및
상기 온도분포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온도분포를 상기 영역에 따라 구분하여 상기 각 영역별 온도에 따라 상기 연료 및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
A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measuring a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A fuel and air supply unit for separately supplying fuel and air to each region set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And
And a control unit for divid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ed b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according to the area and controlling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each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분포 측정부는 열전대식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The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a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is a thermocouple type temperature sens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및 공기 공급부는
연료와 공기를 공급하는 메인 공급관;
상기 메인 공급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메인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상기 영역으로 각각 공급하는 서브 공급관; 및
상기 서브 공급관에 각각 설치되어 연료량과 공기량을 제어하는 개별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A main supply pipe for supplying fuel and air;
A sub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main supply pipe to supply fuel and air supplied from the main supply pipe to the area, respectively; And
And a separate control valve installed at each of the sub supply pipes to control the fuel amount and the air amount.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 및 공기 공급부는
상기 메인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서브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연료와 공기를 통합적으로 단속하는 통합제어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of claim 3, wherein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And an integrated control valve installed in the main supply pipe to integrally control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sub supply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분포 측정부에서 측정된 상기 연소로 내부의 온도분포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The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display unit configured to display a temperature distribution inside the combustion furnace measured b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measur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영역은 상기 연료 및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온도가 낮은 영역으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The combustion control of a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in a region having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to increase the amount of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region having a low temperature.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영역은 상기 연료 및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여 상기 온도가 높은 영역으로 공급되는 연료량과 공기량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층 보일러의 연소 제어 장치.The combustion control of a fluidized bed boiler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fuel and air supply unit in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region of the region to reduce the amount of fuel and air supplied to the high temperature region. Device.
KR1020100134970A 2010-12-24 2010-12-24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 KR1012535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970A KR101253554B1 (en) 2010-12-24 2010-12-24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970A KR101253554B1 (en) 2010-12-24 2010-12-24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001A true KR20120073001A (en) 2012-07-04
KR101253554B1 KR101253554B1 (en) 2013-04-11

Family

ID=4670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970A KR101253554B1 (en) 2010-12-24 2010-12-24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55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954B1 (en) * 2013-07-29 2014-10-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Boiler system with ceramic porous steam genera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8226A (en) * 2005-04-28 2006-11-09 Dowa Mining Co Ltd Fluidized bed furnace and incineration method of fluidized bed furnace
JP4969298B2 (en) * 2007-04-10 2012-07-04 中国電力株式会社 Fuel supply apparatus and fuel supply method for fluidized bed boil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8954B1 (en) * 2013-07-29 2014-10-13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Boiler system with ceramic porous steam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3554B1 (en)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112012026819A2 (en) grain drying facility
MX2016006716A (en) Selective oxy-fuel burner and method for a rotary furnace.
JP2007271258A (en) Burner system having stepwise fuel injection mea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253554B1 (en)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of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
TW201430287A (en) Burner apparatus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for burner apparatus
KR101193737B1 (en) Apparatus of gas combustion
JP2009092351A (en) Boiler device
KR101496542B1 (en) Instantaneous hot water boiler having hot water mixing structure
KR20190056922A (en) Circulating fluid bed boiler
CN104456497B (en) Waste heat boiler
RU2012149843A (en) BOILER AND STEAM HEATER, AND ALSO WAY
JP6826365B2 (en) Powder combustion equipment
CN103574597B (en) A kind of circulating fluidized bed boiler water-cooling falls slag air-distribution device
PH12015501682B1 (en)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and method for operating fluidized bed combustion furnace
JP2015117860A (en) Power generation system and power generation system operating method
WO2009050917A1 (en) Reheat boiler and gas temperature control method of reheat boiler
JP2006317061A (en) Low nitrogen oxide combustor for two-fluid cycle and its operating method
JP6508659B2 (en) Gas burner
TW202032302A (en) Plant operation assistance device
JP6194634B2 (en) Boiler system
JP5800423B2 (en) Burner and boiler equipped with it
JP7046459B2 (en) Burner equipment and heat treatment equipment
KR101598575B1 (en) Complex-type combustion system comprising Complex-type combus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 same
KR20160069930A (en) Duct units and coal-fired power plant using the same furnace systems
KR20130075346A (en) Gas turbine combustor with fuel rate controllabil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