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423A - Prefabricated fence - Google Patents

Prefabricated f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423A
KR20120072423A KR1020100134163A KR20100134163A KR20120072423A KR 20120072423 A KR20120072423 A KR 20120072423A KR 1020100134163 A KR1020100134163 A KR 1020100134163A KR 20100134163 A KR20100134163 A KR 20100134163A KR 20120072423 A KR20120072423 A KR 2012007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wall
wall body
block
seating
g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황용순
김건태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4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2423A/en
Publication of KR2012007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42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0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building blocks, e.g. from concrete or st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PURPOSE: A prefabricated fence is provided to prevent the prefabricated fence from falling down even if wind blows to the surface of the fence. CONSTITUTION: A prefabricated fence comprises ground seating walls(10), laminate blocks(20), and connection bars(30). Each ground seating wall has a seating wall body, an injection port, a discharge port(16'), reinforcing grooves(14), and connection protrusions(17). The seating wall body is filled with liquid. The injection port is formed on the top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the discharge port is formed on the bottom thereof. The reinforc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The connection protrusions are protruded from both ends of the seating wall body. Each laminate block has a block body and block connection protrusions(27). The block connection protrusions are protruded from both ends of the block body. The connection bars connect the connection protrusions and the block connection protrusions to each other.

Description

조립식 휀스{Prefabricated fence}Prefabricated fence

본 발명은 조립식 휀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면서도 이동이 용이하고 높이조절이 쉽게 이루어지는 조립식 휀스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f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fence made of a stable installation on the ground and easy to move and height adjustment.

특정한 영역을 외부와 구획하기 위해서는 휀스를 설치한다. 휀스는 다양한 것으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면, 벽돌, 블럭 또는 돌을 쌓아서 휀스를 만들기도 하고, 나무를 사용하여 휀스를 만들기도 한다. 이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지는 휀스들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일부가 지면에 고정된다.In order to partition a specific area from the outside, a fence is installed. Hicks is made of various things. For example, bricks, blocks, or stones can be stacked to make a fence, or wood can be used to make a fence. Fences made of such materials are generally at least partially secured to the ground.

이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휀스는 한번 설치되면 이동할 수 없어 휀스가 필요없게 되면 철거하여야 했다. 그리고, 철거를 하더라도 휀스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모두 다 활용할 수 없고 많은 부분을 폐기하여야 했다.Thus, the fence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ground had to be removed when it was not needed because the fence could not be moved once installed. And even if it was demolished, all parts of the fence could not be used and many parts had to be discarded.

그리고, 지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휀스는 지면에의 고정을 위한 작업때문에 설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면, 벽돌이나 블럭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면을 소정의 깊이로 파고 그 부분에서부터 벽돌이나 블럭을 쌓기 시작해야 한다. 특히, 이와 같이 벽돌이나 블럭을 쌓아 만드는 휀스는 시멘트 등을 사용하므로 이것이 굳는데 까지 시간이 소요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fence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ground ha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install because of the work for fixing to the ground. For example, if bricks or blocks are used, the ground must be dug to a certain depth and the bricks or blocks must be stacked from that point. In particular, the fence made by stacking bricks or blocks in this way has a problem that it takes time to harden because it uses cement.

또한, 나무를 사용하여 만드는 휀스의 경우에도 지면을 소정의 깊이로 파고 지주가 되는 부분을 지면에 묻어야 하므로, 상대적으로 설치에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a fence made of wood, it is necessary to dig the ground to a predetermined depth and bury the portion that becomes the post, 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o install.

최근에 합성수지재질로 일정한 형상을 만들어 이것 들을 연속적으로 서로 연결하여 만드는 휀스가 제공되었으나, 지면에의 고정을 위해서는 별도의 구조를 사용하여야 하고 이 경우 시공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provided a fenc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y connecting them to each other continuously, but for fixing to the ground, a separate structure must be used, in which case it takes a lot of construction time.

그리고, 지면에 고정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게를 매우 무겁게 만들어야 하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이동이 불편하여 역시 설치하는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And, if not fixed to the ground to make the weight very heavy,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takes a lot of time to install uncomfortable to move.

또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휀스의 경우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정해진 높이로만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ence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can not be freely adjusted the height had to use only a predetermined heigh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이 용이하면서도 설치상태가 견고한 조립식 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prefabricated fence that is easy to move and firmly install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본 높이 이상에서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조립식 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ence that can freely adjust the height above the base heigh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바람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조립식 휀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fence that is not affected by the wind even if the height is increased.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안착벽몸체가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벽몸체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안착벽몸체의 상단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벽몸체의 양단에 인접하는 것이 서로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면안착벽과, 상기 안착벽몸체의 상면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된 블럭몸체가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것이 서로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블럭연결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층블럭과, 상기 안착벽의 연결돌부와 적층블럭의 연결돌부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seating wall bod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o form a skeleton and the appearance and to inject and discharge the liquid inside the seating wall body An injection hol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outlet and a discharge hole is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seating wall body. Block blocks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o form the skeleton and the appearance, and the adjacent block is formed by the block connecting protrusions are formed so as to be located between each other, the connecting protrusions of the connecting wall and the stacking block of the mounting wall It comprises a connecting rod penetrating and connecting to each other.

상기 안착벽몸체의 하단부의 폭은 상단부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된다.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wall body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상기 안착벽몸체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보강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요홈은 상기 안착벽몸체의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게 형성된다.Reinforcing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the reinforcing grooves are formed deeper toward the bottom of the seating wall body.

상기 지면안착벽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돌부와 적층블럭의 양측에 형성된 블럭연결돌부에는 각각 연결공이 천공되는데, 상기 연결돌부의 연결공과 적어도 일단부의 상기 블럭연결돌부의 연결공은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Connection holes are drilled in each of the connection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seating wall and the block connection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acking block, and the connection hole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and the connection hole of the block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at least one end are formed at the same position. do.

상기 안착벽몸체와 블럭몸체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서는 관통공이 형성된다.The through-hole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seating wall body and the block body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안착벽몸체의 연결돌부의 선단 양측 모서리와 상기 블럭몸체의 블럭연결돌부의 선단 양측 모서리는 곡면이나 쳄퍼가 형성된다.Both edges of the front end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both edges of the front end of the block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block body are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or a chamfer.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안착벽몸체가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벽몸체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안착벽몸체의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벽몸체의 양단에 연결돌부와 연결요부가 구비되는 지면안착벽과, 상기 안착벽몸체의 상부가 하면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된 판넬몸체가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것이 서로 결합되도록 연결돌편과 연결채널이 양단부 상부에 구비되는 적층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so that the seating wall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to form the skeleton and the appearance and to inject and discharge the liquid inside the seating wall body and the bottom A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ground seating wall, which is provided with connecting protrusions and connecting recesses at both ends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wall body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panel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laminated panel formed on both ends of the connecting projection piece and the connecting channel so that the adjacent one is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안착벽몸체의 양단부 상부에는 상기 적층판넬과의 결합을 위한 걸이슬롯이 상기 안착벽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벽몸체의 상면 중앙에는 안착벽몸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슬롯이 형성된다.Hook slots for coupling with the laminated panel are formed at both upper ends of the seating wall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a transverse slo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at the center of the top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Is formed.

상기 안착벽몸체의 하단부의 폭은 상단부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된다.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wall body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상기 안착벽몸체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보강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요홈은 상기 안착벽몸체의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게 형성된다.Reinforcing grooves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the reinforcing grooves are formed deeper toward the bottom of the seating wall body.

상기 적층판넬은 상기 안착벽몸체의 상단이 삽입되는 결속요부를 구비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에 일체이고 납작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판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속요부에는 상기 걸이슬롯과 횡단슬롯에 안착되는 슬롯걸이편과 횡단걸이편이 각각 구비된다.The laminated panel includes a binding portion having a binding recess for inserting an upper end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a plate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binding portion and formed in a flat plate shape, wherein the binding recess includes a hook slot and a transverse slot. Slot hanger pieces and transverse hanger pieces to be seated are provided.

상기 판부를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부와 하부에 해당되는 판부의 표면에는 보강을 위한 돌출비드가 다수개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plate,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beads for reinforcement are formed on surfaces of the plate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hrough hole.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휀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먼저, 본 발명에서는 지면상에 놓여지는 지면안착벽의 내부에 액체를 채우고 배출할 수 있어, 지면안착벽의 내부에 액체를 채우면 일정 이상의 무게를 가져 지면안착벽이 견고하게 지면에 안착되고, 액체를 배출하면 무게가 가벼워져 이동이 용이하게 되므로 지면안착벽을 인접하는 지면안착벽 및 적층블럭과 분리하여 이동할 수 있어 설치 및 이동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Firs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iquid can be filled and discharged inside the ground seating wall placed on the ground, and when the liquid is filled inside the ground seating wall, the ground seating wall is firmly seated on the ground, and the liquid When it is discharged, the weight is lighter and easier to move, so the ground seating wall can be separated and moved from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 and the laminated block, so that the installation and movement is very easy.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지면안착벽의 상면에 적층블럭을 원하는 높이로 차례로 적층할 수 있어 전체 휀스의 높이를 지면안착벽 이상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설치되는 환경에 맞추어 다양한 높이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로에서 중앙선에 설치하여 도로를 주행방향에 따라 분리할 수 있고, 공사현장을 주변과 구획할 수 있으며, 임시 행사장에서 관객의 접근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성인용 규격의 축구장이나 야구장에서 본 발명의 조립식 휀스를 사용하여 경기장을 아동용으로 규격을 줄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cking blocks may b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seating wall to a desired height, and thus, the height of the entire fence can be freely adjusted above the ground seating wall, and can be used at various heights according to the installed environment. For example, the road can be installed on the center line to separate the road according to the driving direction, the construction site can be partitioned from the surroundings, and can be installed in a location where it is necessary to block the access of the audience at the temporary event site. In addition, for example, by using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occer field or baseball field of the adult standard can be used to reduce the size of the stadium for children.

한편, 본 발명에서는 지면안착벽과 이의 상단에 안착되는 적층블럭에 각각 관통공을 두었으므로, 바람이 휀스의 표면으로 불더라도 상기 관통공을 통해 바람이 통과할 수 있어 바람의 힘에 의해 휀스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through-holes are respectively provided on the ground seating wall and the laminated block seated on the upper end thereof, even though the wind blows to the surface of the fence, the wind can pass through the through-hole so that the fence can be driven by the force of the win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falling.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휀스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면안착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적층블럭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면안착벽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를 구성하는 적층판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 seat wall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minated block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round seat wall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aminated panel constituting the embodiment shown in FIG.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휀스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휀스는 크게 지면안착벽(10), 적층블럭(20) 및 연결봉(3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composed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the laminated block 20 and the connecting rod (30).

상기 지면안착벽(10)과 적층블럭(2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고, 상기 연결봉(30)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물론, 상기 연결봉(30)은 반드시 금속재질이어야 할 필요는 없고, 금속이나 목재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The ground seating wall 10 and the laminated block 20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and the connecting rod 30 may be made of metal. Of course, the connecting rod 3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made of metal, and may be made of metal or wood.

먼저, 상기 지면안착벽(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지면안착벽(10)의 외관과 골격을 안착벽몸체(11)가 형성한다. 상기 안착벽몸체(11)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단의 폭(W)이 상단의 폭(w)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만들어진다. 상기 하단의 폭(W)이 상단의 그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되는 것을 지면안착벽(10)이 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ground seat wall 10 will be described. The seating wall body 11 forms the appearance and the skeleton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The seating wall body 1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s can be seen in Figure 3, the lower width (W) is made relatively wider than the upper width (w). The width W of the lower end is relatively wider than that of the upper end so that the ground seating wall 1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상기 안착벽몸체(11)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상단에 비해 하단의 폭이 넓게 만들어진다. 대체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폭이 넓어지게 만들어지고 안착벽몸체(11)의 하단에 인접하여서는 폭이 급격하게 넓어진다. 상기 안착벽몸체(11)의 내부는 빈공간으로 되어, 내부에 액체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안착벽몸체(11)에 채워지는 액체로서는 물이 가장 좋다. The seating wall body 11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is made wider at the lower end than at the upper end. In general, the width is gradually widen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width widens rapidly near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he interior of the seating wall body 11 is an empty space, the liquid can be filled therein. As the liquid to be filled in the seating wall body 11, water is the best.

상기 안착벽몸체(11)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관통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2)은 상기 안착벽몸체(11)를 완전히 관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횡단면이 원형으로 된다. 상기 관통공(12)을 통해서는 바람이 통과할 수 있다.The seating wall body 11 has a through hole 12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through hole 12 completely penetrates the seating wall body 11, and the cross section is cir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Wind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2.

상기 안착벽몸체(11)의 외면에는 보강요홈(14)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요홈(14)은 상기 안착벽몸체(11)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요홈(14)은 상기 안착벽몸체(1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요홈(14)은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고 안착벽몸체(11)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요홈(14)은 안착벽몸체(11)의 하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깊어진다. 이는 상기 안착벽몸체(11)의 폭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기 때문이다.Reinforcing grooves 14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he reinforcing groove 14 is formed from the top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oward the bottom. The reinforcing groove 14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he reinforcement groove 14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as shown in the figure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he reinforcing groove 14 is deeper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his is because the width of the seating wall body 11 becomes wider toward the bottom.

상기 안착벽몸체(11)의 상면에는 주입구(16)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구(16)는 상기 안착벽몸체(11)의 내부공간에 액체를 채워넣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주입구(16)를 통해 안착벽몸체(11)의 내부공간에 액체가 채워진다. 상기 주입구(16)는 별도의 마개(도면부호 부여 않음)로 막아진다.An injection hole 16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he injection hole 16 is a portion for filling the liqui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 Liquid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hrough the injection hole 16. The injection port 16 is closed by a separate stopper (not shown).

상기 안착벽몸체(11)의 일측 외면 하부에는 배출구(16')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16')는 상기 안착벽몸체(11)의 내부에 채워진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배출구(16') 역시 별도의 마개(도면부호 부여 않음)에 의해 막아진다.An outlet 16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he outlet 16 ′ is a portion for discharging the liquid filled in the mounting wall body 11 to the outside. The outlet 16 'is also blocked by a separate plug (not shown).

상기 안착벽몸체(11)의 양측에는 각각 연결돌부(1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돌부(17)는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연결돌부(17)는 상기 안착벽몸체(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돌부(17)는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돌부(17)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연결공(17')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17')은 횡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Connection protrusions 17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o protrude. The connecting protrusion 17 has a hexahedron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connecting protrusion 1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ating wall body 11. The connection protrusions 17 are formed to protrude at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The connection hole 17 'is formed by penetrating the connecting protrusion 17 up and down. The connecting hole 17 ′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돌부(17)는 상기 안착벽몸체(11)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의 위치가 서로 달리된다. 즉, 예를 들어 도 3에서 안착벽몸체(11)의 우측에 돌출되는 연결돌부(17)는 3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되는데, 좌측에 돌출되는 연결돌부(17)는 2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우측에 돌출되는 연결돌부(17)의 돌출위치는 좌측에 돌출되는 연결돌부(17)의 돌출위치와 교대로 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protrusions 17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osit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ing wall body 11. That is, for example, three connecting protrusions 17 protruding on the right side of the seating wall body 11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nd two connecting protrusions 17 protruding on the left side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 At this time,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17 protruding on the right side is alternated with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connecting protruding portion 17 protruding on the left side.

상기 연결돌부(17)의 사이에는 연결요부(18)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요부(18)에는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0)의 연결돌부(17)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하나의 지면안착벽(10)에서 일측의 연결돌부(17)가 돌출되는 위치는 타측의 연결요부(18)에 해당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동일한 지면안착벽(10)이 서로 인접할 때, 연결돌부(17)가 연결요부(18)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0)의 연결돌부(17)가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 상기 연결공(17')은 서로 일치하게 된다. The connection recesses 18 are provided between the connection protrusions 17, respectively. The connecting recess 18 is a portion where the connecting protrusion 17 of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 10 is located. The position where one connection protrusion 17 protrudes from one ground seating wall 10 corresponds to the connection recess 18 on the other side. By doing so, when the same ground seating wall 10 is adjacent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protrusion 17 may be located in the connecting recess 18. When the connecting protrusions 17 of the ground seating walls 10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nnecting holes 17 ′ coincide with each other.

다음으로, 상기 적층블럭(20)은 상기 지면안착벽(10)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적층블럭(20)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블럭몸체(21)가 긴 육면체 형상으로 그 폭은 상기 지면안착벽(10)의 상단 폭(w)과 같거나 약간 작고, 그 길이는 상기 지면안착벽(10)의 길이와 같다.Next, the laminated block 2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The laminated block 20 is a block body 21 forming an appearance and a skeleton having a long hexahedron shape, the width of which is equal to or slightly smaller than the top width w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the length of which is the ground. It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seating wall 10.

상기 블럭몸체(21)를 횡으로 관통하여서는 관통공(22)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22)은 다수개가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일렬로 3개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22)을 통해서는 바람이 통과하게 된다.The through hole 22 is formed to penetrate the block body 21 laterally. The through holes 22 are formed in plural, and in this embodiment, three are arranged in a line. The wi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2.

상기 블럭몸체(21)의 하면에는 간섭회피부(24)가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부(24)는 그 횡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이다. 상기 간섭회피부(24)는 상기 지면안착벽(10)의 주입구(16)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An interference avoiding part 24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body 21. The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24 is trapezoidal in cross section thereof. The interference avoiding portion 24 is to prevent the interference with the inlet 16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상기 적층블럭(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사각형상의 돌출비드(26)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비드(26)는 상기 블럭몸체(2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비드(26)와 대응되는 형상이 상기 블럭몸체(21)의 하면에 요입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A plurality of rectangular protrusion beads 26 are formed on the top surface of the stacked block 20. The protruding bead 26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block body 21.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bead 26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body 21.

상기 블럭몸체(21)의 양단에는 각각 블럭연결돌부(2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블럭연결돌부(27)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블럭연결돌부(27)는 상기 블럭몸체(21)의 일측 단부에는 2개가 나란히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하나가 형성된다. 상기 블럭연결돌부(27)를 상하로 관통하여서는 연결공(27')이 천공된다. 상기 연결공(27')은 상기 지면안착벽(10)의 연결돌부(17)에 형성된 연결공(17')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Block connecting protrusions 27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lock body 21 to protrude. The block connecting protrusions 27 are formed to protrude into a flat hexahedral shape. Two block connection protrusions 27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block body 21 side by side, one is formed at the other end. The connecting hole 27 'is drilled through the block connecting protrusion 27 up and down. The connection hole 27 ′ is formed at a position coinciding with the connection hole 17 ′ formed in the connection protrusion 17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상기 블럭몸체(21)의 일측에 형성된 2개의 블럭연결돌부(27)사이에는 블럭연결요부(28)가 형성된다. 상기 블럭연결요부(28)는 타측에 형성된 하나의 블럭연결돌부(27)가 돌출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적층블럭(20)에 있는 하나의 블럭연결돌부(27)는 상기 블럭연결요부(28)에 위치된다.A block connecting recess 28 is formed between two block connecting protrusions 27 formed on one side of the block body 21. The block connecting recess 28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at which one block connecting protrusion 27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ne block connecting protrusion 27 in the adjacent stacked block 20 is positioned at the block connecting recess 28.

상기 연결봉(30)은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0)사이를 연결하는 것과 동시에 인접하는 적층블럭(20)의 사이를 연결한다. 즉, 서로 연결된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0)의 연결돌부(17)에 형성된 연결공(17')을 관통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지면안착벽(10)의 상면에 안착되고 인접하는 것의 각각의 블럭연결돌부(17)에 형성된 연결공(27')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0)과 적층블럭(20)을 동시에 연결하여 결합되도록 한다.The connecting rod 30 connects between adjacent ground seating walls 10 an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adjacent stacked blocks 20. That is, each block of the one which penetrates through the connecting hole 17 'formed in the connecting protrusion 17 of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 10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is seated and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It is installed through the connecting hole 27 'formed in the connecting protrusion 17. In this way,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 10 and the stacking block 20 are simultaneously connected to each other.

다음으로, 도 5에서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는 지면안착벽(110)과 적층판넬(120)로 구성된다. 상기 지면안착벽(110)과 적층판넬(120)은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As shown in the figures, this embodiment is composed of a ground seating wall 110 and a laminated panel 120. The ground seating wall 110 and the laminated panel 12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지면안착벽(110)의 외관과 골격을 안착벽몸체(111)가 형성한다. 상기 안착벽몸체(111)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단의 폭이 상단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만들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은 지면안착벽(110)이 지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seating wall body 111 forms the appearance and skeleton of the ground seating wall 110. The seating wall body 11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s can be seen in the figure is made of a wider width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Such a configuration is such that the ground seating wall 110 can be more stably supported on the ground.

상기 안착벽몸체(111)는 대략 육면체형상으로 상단에 비해 하단의 폭이 넓게 만들어진다. 대체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가면서 점차적으로 폭이 넓어지게 만들어지고 안착벽몸체(111)의 하단에 인접하여서는 폭이 급격하게 넓어진다. 안착벽몸체(111)의 하단에는 하단돌부(111')가 돌출되어 형성되어 그 폭이 급격하게 넓어지도록 한다.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내부는 빈공간으로 되어, 내부에 액체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안착벽몸체(111)에 채워지는 액체로서는 물이 가장 좋다. The seating wall body 111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shape and is made wider at the lower end than at the upper end. In general, the width is gradually widened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and the width is sharply widened adjacent to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is formed by protruding the lower protrusion 111 'so that its width is rapidly widened. The interior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is an empty space, the liquid may be filled therein. As the liquid to be filled in the seating wall body 111, water is the best.

상기 안착벽몸체(111)는 일측면에서 타측면으로 관통되게 관통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12)은 상기 안착벽몸체(111)를 완전히 관통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횡단면이 사각형으로 된다. 상기 관통공(112)을 통해서는 바람이 통과할 수 있다.The seating wall body 111 has a through hole 112 formed to penetrat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The through-hole 112 is to completely pass through the seating wall body 111, in this embodiment the cross section is rectangular. Wind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12.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외면에는 보강요홈(114)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요홈(114)은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상단에서 하단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요홈(114)은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보강요홈(114)은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고 안착벽몸체(111)의 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보강요홈(114)은 안착벽몸체(111)의 하부로 갈수록 그 깊이가 깊어진다. 이는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폭이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기 때문이다.Reinforcing grooves 114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he reinforcing groove 114 is formed from the top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oward the bottom. The reinforcing groove 114 serves to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he reinforcement groove 114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as shown in the drawing is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ide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he reinforcing groove 114 is deeper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his is because the width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becomes wider toward the bottom.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상면에는 주입구(116)가 구비된다. 상기 주입구(116)는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내부공간에 액체를 채워넣기 위한 부분이다. 상기 주입구(116)를 통해 안착벽몸체(111)의 내부공간에 액체가 채워진다. 상기 주입구(116)는 별도의 마개(도면부호 부여 않음)로 막아진다.An injection hole 116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he injection hole 116 is a part for filling the liquid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Liquid is filled in the inner sp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hrough the injection hole 116. The injection port 116 is closed by a separate plug (not shown).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일측 외면 하부에는 배출구(116')가 구비된다. 상기 배출구(116')는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내부에 채워진 액체를 외부로 배출하는 부분이다. 상기 배출구(116') 역시 별도의 마개(도면부호 부여 않음)에 의해 막아진다.An outlet 116 ′ is provided at a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he outlet 116 ′ is a portion for discharging the liquid filled in the mounting wall body 111 to the outside. The outlet 116 ′ is also blocked by a separate plug (not shown).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연결돌부(117)와 연결요부(117')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돌부(117)는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봉형상이다. 상기 연결돌부(117)는 상기 안착벽몸체(11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다.Connection protrusions 117 and connection recesses 117 ′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respectively. The connecting protrusion 117 is a rod-shaped long vertically disposed along one side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necting protrusion 117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eating wall body 111.

상기 안착벽몸체(111)에서 연결돌부(117)가 형성된 쪽의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연결돌부(117)가 삽입되는 연결요부(117')가 안착벽몸체(111)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요부(117')는 상기 연결돌부(117)가 삽입될 수 있는 형상인데, 횡단면이 상기 연결돌부(117)의 횡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연결요부(117)는 원통형의 공간으로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상측과 하측방향으로 각각 개구되고,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개구되어 있다. 상기 연결요부(117')에는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10)의 연결돌부(117)가 삽입되어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10)이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The connecting recess 117 ′ into which the connecting protrusion 117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mounting wall body 111 at the opposite end of the mounting wall body 111. The connecting recess 117 ′ has a shape into which the connecting protrusion 117 may be inserted, and a cross section thereof corresponds to a cross section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117. The connecting recess 117 is a cylindrical space, and is opened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respectively, and is op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he connecting recess 117 of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 110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recess 117 ′ so that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s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양측 단부의 상단에는 각각 걸이슬롯(11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11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적층판넬(120)의 슬롯걸이편(128)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슬롯(118)에 슬롯걸이편(128)이 삽입되어 끼워짐에 의해 지면안착벽(110)과 적층판넬(120) 사이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된다. 상기 걸이슬롯(118)은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Hanger slots 118 are formed at upper ends of both end portions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The hanger slot 118 is a portion into which the slot hanger piece 128 of the laminated panel 120 to be described below is inserted and inserted. As the slot hanger piece 128 is inserted into the hanger slot 118, the coupling between the ground seating wall 110 and the laminated panel 120 is more firm. The hanger slot 118 is forme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상기 안착벽몸체(111)의 상면 중앙에는 횡단슬롯(118')이 지면안착벽(1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횡단슬롯(1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적층판넬(120)의 횡단걸이편(128')이 안착된다. 상기 횡단슬롯(118')에 횡단걸이편(128')이 안착됨에 의해 상기 지면안착벽(110)과 적층판넬(120) 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111, a transverse slot 118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wall 110. The transverse slot 118 ′ is mounted with a transverse hanger 128 ′ of the laminated panel 120 to be described below.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ground seating wall 110 and the laminated panel 120 can be accurately set by mounting the cross hook piece 128 ′ on the cross slot 118 ′.

다음으로, 상기 적층판넬(120)은 상기 지면안착벽(110)의 상단에 안착된다. 상기 적층판넬(120)은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는 판넬몸체(120')가 대략 판상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판넬몸체(120')는 판부(121)와 결속부(121')로 구성된다.Next, the laminated panel 120 is mounted on the top of the ground seating wall 110. The laminated panel 120 has a panel body 120 ′ forming an appearance and a skeleton in a substantially plate shape. The panel body 120 ′ is composed of a plate part 121 and a binding part 121 ′.

상기 판부(121)는 납작한 판형상으로 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이다. 상기 판부(121)에는 다수개의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122)은 본 실시예에서 긴 슬롯 형상의 것이 2개씩 쌍을 이뤄 다수 곳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공(122)들은 상기 판부(121)의 높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이들 관통공(122)을 통해서는 바람이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관통공(122)을 통해서 조립식 휀스의 일측에서 반대쪽을 관찰할 수 있다.The plate portion 121 has a flat plate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plate portion 121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2 are formed in the plate portion 121. The through-holes 122 are formed in multiple places in pairs of two long slot-shaped ones in this embodiment. The through holes 122 are formed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plate portion 121. Through these through holes 122, the wind can pass through. Of course, the opposite side can be observed from one side of the prefabricated fence through the through hole (122).

상기 판부(121)의 표면에는 또한 다수개의 돌출비드(124)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비드(124)는 판부(121)의 표면에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으로 판부(121)의 표면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돌출비드(12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관통공(122)의 상단과 하단에 해당되는 판부(121)의 표면에 각각 다수개가 형성된다. The surface of the plate 121 is also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ding beads 124. The protruding bead 124 protrudes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on the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121 and serves to reinforce the surface strength of the plate portion 121. The protrusion bead 124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late portion 121 corresponding to the top and bottom of the through hole 122 in the present embodiment, respectively.

상기 판부(121)의 상단 양측 단부에는 각각 연결돌편(126)과 연결채널(126')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돌편(126)은 상기 판부(121)의 일측 단부 상단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채널(126')의 타측 단부 상단에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연결돌편(126)은 인접하여 위치되는 적층판넬(120)의 연결채널(126')에 삽입되어 인접하는 적층판넬(120)이 서로 연결되도록 한다.Connection protrusion pieces 126 and a connection channel 126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upper end of the plate part 121, respectively. The connecting piece 126 is formed to protrude on the upper end of one end of the plate portion 121, and is formed to be recessed in the upper end of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on channel (126 '). The connecting piece 126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channel 126 ′ of the laminated panel 120 positioned adjacent to each other so that the adjacent laminated panels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결속부(121')는 상기 판부(121)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적층판넬(120)의 폭방향으로 상기 판부(121)에 비해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속부(121')에는 상기 적층판넬(120)의 하부로 개방되게 결속요부(127)가 형성된다. 상기 결속요부(127)는 적층판넬(120)의 하면에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면안착벽(110)의 상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진다.The binding part 121 ′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late part 121, and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plate part 121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minated panel 120. A binding recess 127 is formed in the binding part 121 ′ so as to be open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aminated panel 120. The binding recess 127 is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minated panel 120,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op end of the ground seat wall 110.

상기 결속요부(127)의 내부에는 슬롯걸이편(128)이 형성된다. 상기 슬롯걸이편(128)은 상기 지면안착벽(110)의 걸이슬롯(118)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118)에 상기 슬롯걸이편(128)이 압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The slot hook piece 128 is formed inside the binding recess 127. The slot hanger pieces 128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anger slots 118 of the ground seating wall 110, respectively. The slot hanger piece 128 may be press-fitted into the hanger slot 118.

상기 결속요부(127)에는 또한 상기 지면안착벽(110)의 상단에 형성된 횡단슬롯(118')에 안착되는 횡단걸이편(128')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횡단걸이편(128')은 상기 적층판넬(120)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횡단슬롯(118')의 내면과 대응되는 외면 형상을 가진다.The binding recess 127 is also formed by protruding a cross hook piece 128 'seated on a cross slot 118' formed at the top of the ground seat wall 110. The cross hook piece 128 ′ is form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aminated panel 120 and has an outer surface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ross slot 118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휀스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use of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먼저, 도 1에서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를 지면에 설치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지면안착벽(10)은 지면에 원하는 위치를 따라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게 다수개가 배치되어 영역을 구획한다. 이때, 상기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0)은 인접하는 연결돌부(17)가 서로 교대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0)의 연결돌부(17)가 서로 교대로 위치된다. 상기 지면안착벽(10)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영역을 구획하도록 한 후에는 상기 지면안착벽(10)의 내부에 액체를 채워넣는다.First, it will be described to install the embodiment shown in Figure 1 to Figure 4 on the ground. The ground seat wall 10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desired position on the ground partitions the area. At this time,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 10 is formed in a position where the adjacent connecting protrusions 17 altern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connecting protrusions 17 of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s 10 are alternately positioned. After the ground mounting walls 10 are used to partition a desired area, the liquid is filled into the ground mounting walls 10.

상기 주입구(16)를 통해 액체를 상기 지면안착벽(10)의 내부에 채워넣어 각각의 지면안착벽(10)이 일정 이상의 무게를 가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지면안착벽(10)이 쉽게 이동되지 않게 된다.The liquid is filled into the ground seating wall 10 through the injection hole 16 so that each ground seating wall 10 has a predetermined weight or more. By doing so, the ground seating wall 10 is not easily moved.

다음으로, 상기 지면안착벽(10)의 상면에는 적층블럭(20)을 서로 인접하는 것이 블럭연결돌부(27)가 서로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적층블럭(20)은 그 적층되는 개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즉, 구획되는 영역의 특성에 맞게 상기 적층블럭(20)의 개수를 설정하여 전체 조립식 휀스의 높이를 결정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적층블럭(20)이 2층으로 적층되어 있다.Next, the stacking block 20 adjacent to each other is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so that the block connecting protrusions 27 are located between each other. The stacked blocks 20 may vary in the number of stacked blocks. That is, the height of the entire prefabricated fence is determined by setting the number of the stacked blocks 20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rtitioned area. In this embodiment, the stacked blocks 20 are stacked in two layers.

상기 지면안착벽(10)의 상면에 원하는 층수 만큼 적층블럭(20)을 적층하고, 각각의 인접하는 적층블럭(20)의 블럭연결돌부(27)가 서로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하면, 상기 블럭연결돌부(27)의 연결공(27')과 지면안착벽(10)의 연결돌부(17)에 형성된 연결공(17')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When the stacked blocks 20 are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as desired, the block connecting protrusions 27 of the adjacent stacked blocks 20 are positioned between each other. The connecting hole 27 ′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27 and the connecting hole 17 ′ formed in the connecting protrusion 17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coincide with each other.

상기 지면안착벽(10)의 연결공(17')과 블럭연결돌부(27)의 연결공(27')이 서로 일치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공(17',27')을 관통하게 상기 연결봉(30)을 설치하면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0)사이와 적층블럭(20)사이가 서로 결합되어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된다.The connecting rods 17 'and 27' of the connection hole 17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and the connection holes 27' of the block connecting protrusion 27 are aligned with each other. If 30) is installed,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s 10 and the stacked blocks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not arbitrarily separated.

한편, 상기와 같이 만들어진 조립식 휀스를 사용한 후에 철거하는 것이나, 그 설치위치를 이동하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단 상기 적층블럭(20)을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봉(30)을 분리하고, 상기 적층블럭(20)도 분리한다.On the other hand, demolishing after using the prefabricated fence made as mentioned above, and mov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are demonstrated. For this purpose, it is preferable to separate the stacked block 20 once. The connecting rod 30 is separated, and the stacked block 20 is also separated.

그리고, 상기 지면안착벽(10)의 내부에 채워진 액체를 상기 배출구(16')를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지면안착벽(10)의 내부에 채워진 액체가 제거되면, 지면안착벽(10)의 무게가 쉽게 이동시킬 수 있을 정도로 가벼워진다. 물론, 지면안착벽(10)을 이동시켜 다시 사용하는 경우에는 액체의 일부를 남겨둘 수도 있다. 하지만, 이때, 내부에 액체가 남아 있더라도 지면안착벽(10)을 이동시킬 수 있는 무게가 되어야 한다. 지면안착벽(10)을 다른 위치로 이동시켜 다시 설치한 후에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과정을 거쳐 적층블럭(20)을 설치하고 연결봉(30)도 설치하면 된다.Then, the liquid filled in the ground seat wall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16 '). When the liquid filled in the ground seat wall 10 is removed, the weight of the ground seat wall 10 is light enough to be easily moved. Of course, some of the liquid may be left when the ground seating wall 10 is moved and used again. However, at this time, even if the liquid remains inside it should be a weight capable of moving the ground seating wall (10). After the ground mounting wall 10 is moved to another location and installed again, the stacking block 20 may be installed and the connecting rod 30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process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상기 지면안착벽(10)과 적층블럭(20)을 설치함에 있어, 그 배치가 일직선으로만 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0)과 적층블럭(20)이 약간씩의 각도를 이루도록 되어 인접하는 몇개의 지면안착벽(10)이 곡선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상기 지면안착벽(10)의 연결돌부(17)의 선단 모서리와 적층블럭(20)의 선단모서리가 곡면이나 쳄퍼가 형성되도록 하면 된다.In addition, in installing the ground seating wall 10 and the laminated block 20, the arrangement is not only straight. If necessary,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 10 and the laminated block 20 may be slightly angled so that several adjacent ground seating walls 10 may be arranged in a curved line. This may be such that the leading edge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17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and the leading edge of the stacking block 20 form curved surfaces or chamfers.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휀스는 지면안착벽(10)의 하단부 폭(W)이 상단부 폭(w)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고, 내부에 액체가 채워져 있어 지면에 지면안착벽(10)이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즉, 외부에서 어느 정도까지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보다 잘 견딜 수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fabricated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upper end width (W) of the lower end width (W)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the liquid is filled inside the ground seating wall (10) more stable Can be seated. In other words, even if the external force to a certain extent from the outside will be able to withstand better.

이에 더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면안착벽(10)과 적층블럭(20)에 각각 관통공(12,22)이 형성되어 있어, 바람이 조립식 휀스에 불더라도 상기 관통공(12,22)을 통과하게 되어 휀스에 작용하는 힘이 크게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지면안착벽(10)이 지면에 별도의 구조 등을 통해 고정되지 않더라도 전체 조립식 휀스가 지면에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hrough holes 12 and 22 are formed in the ground seating wall 10 and the laminated block 20, respectively, so that the wi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s 12 and 22 even when the wind blows on the prefabricated fence. This will greatly reduce the force acting on the fence. Therefore, even if the ground seating wall 10 is not fixed to the ground through a separate structure, the entire prefabricated fence can be stably installed on the ground.

다음으로, 도 5에서 도 7에 도시된 실시예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상기 지면안착벽(110)은 지면에 원하는 위치를 따라 서로 인접하여 연결되게 다수개가 배치되어 영역을 구획한다. 이때, 상기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10)은 인접하게 되는 연결돌부(117)와 연결요부(117')가 서로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돌부(117)가 상기 연결요부(117')에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 진다. 상기 지면안착벽(110)들을 사용하여 원하는 영역을 구획하도록 한 후에는 상기 지면안착벽(110)의 내부에 액체를 채워넣는다.Next,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to FIG. 7 is used. A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ground seating wall 110 is arranged in a plurality of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desired position on the ground partitions the area. At this time,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 110 is coupled to the connecting protrusion 117 and the connecting recess 117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the connection protrusion 117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recess 117 'to be combined. After partitioning the desired area using the ground seating walls 110, the liquid is filled in the ground seating wall 110.

상기 주입구(116)를 통해 액체를 상기 지면안착벽(110)의 내부에 채워넣어 각각의 지면안착벽(110)이 일정 이상의 무게를 가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지면안착벽(110)이 쉽게 이동되지 않게 된다.The liquid is filled into the ground seating wall 110 through the injection hole 116 so that each ground seating wall 110 has a predetermined weight or more. By doing so, the ground seating wall 110 is not easily moved.

다음으로, 상기 지면안착벽(110)의 상단에 상기 적층판넬(120)을 설치한다. 상기 적층판넬(120)의 결속부(121')에 형성된 결속요부(127)에 상기 지면안착벽(110)의 상단이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이슬롯(118)에는 상기 슬롯걸이편(128)이 각각 삽입되고 상기 횡단슬롯(118')에는 상기 횡단걸이편(128')이 안착된다. 이와 같이 적층판넬(120)의 결속부(121')에 지면안착벽(110)의 상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되면, 상기 적층판넬(120)이 지면안착벽(110)의 상단에 고정된다.Next, the laminated panel 120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ground seating wall 110. An upper end of the ground seating wall 110 is inserted into the binding recess 127 formed in the binding part 121 ′ of the laminated panel 120. At this time, the slot hanger piece 128 is inserted into the hanger slot 118, and the cross hanger piece 128 'is seated in the cross slot 118'. As such, when the upper end of the ground seating wall 11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binding portion 121 ′ of the laminate panel 120, the laminate panel 120 is fixed to the top of the seating wall 110.

한편, 인접한 적층판넬(120)끼리는 상기 연결채널(126')에 연결돌편(126)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된다. 이와 같은 연결채널(126')과 연결돌편(126)의 결합은 인접한 적층판넬(120)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전체 조립식 휀스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되어 사용되는 조립식 휀스를 분해하는 것은 위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On the other hand, the adjacent laminated panel 120 is connected to each other by inserting the connecting stone piece 126 into the connection channel 126 '. The coupling of the connecting channel 126 ′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126 allows the adjacent laminated panels 120 to be coupled to each other so that the entire prefabricated fence is firmly coupled. The disassembly of the prefabricated fence used in this way is similar to that described above, and thus, further description is omitted.

그리고, 상기 지면안착벽(110)과 적층판넬(120)을 설치함에 있어, 그 배치가 일직선으로만 되는 것은 아니다. 필요한 경우에는 인접하는 지면안착벽(110)과 적층판넬(120)이 약간씩의 각도를 이루도록 되어 인접하는 몇개의 지면안착벽(110)이 곡선으로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인접하는 적층판넬(120)의 연결채널(126')과 연결돌편(126)이 서로 결합되지 않을 수도 있다.In addition, in installing the ground seating wall 110 and the laminated panel 120, the arrangement is not only straight. If necessary, the adjacent ground seating wall 110 and the laminated panel 120 may be slightly angled so that several adjacent ground seating walls 110 may be arranged in a curved line. In this case, the connecting channel 126 ′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126 of the adjacent laminated panel 120 may not be coupled to each other.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may be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봉(30)이 상기 적층블럭(20)의 블럭연결돌부(27)와 지면안착벽(10)의 연결돌부(17)를 동시에 관통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비록, 연결봉(30)의 갯수가 늘어나기는 하지만 상기 적층블럭(20)과 지면안착벽(10)을 동시에 연결봉(30)이 관통하지 않고, 적층블럭(20)과 지면안착벽(10)을 다른 연결봉(30)으로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상기 적층블럭(20)의 길이를 상기 지면안착벽(10)의 길이와 같이 하지 않아도 된다.For exampl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connecting rod 30 is fixed to penetrate the block connecting protrusions 27 of the laminated block 20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s 17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at the same time. That is not the case. Although the number of connecting rods 30 increases, the connecting rods 30 do not penetrate the laminated block 20 and the ground seating wall 10 at the same time, and the stacked blocks 20 and the ground seating wall 10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rod (30). In this case, the length of the laminated block 20 may not be equal to the length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물론, 하나의 적층블럭(20)의 길이를 하나의 지면안착벽(10)의 길이의 절반으로 하여 연결봉(30)이 적층블럭(20)과 지면안착벽(10)을 동시에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하면서 지면안착벽(10)의 길이방향 중간에서는 적층블럭(20)만을 관통하는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연결봉(30)을 둘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nnecting rod 30 is connected to the laminated block 20 and the ground seat wall 10 at the same time by making the length of one stacked block 20 half the length of one ground seat wall 10. In the middle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und seating wall 10 may be a connecting rod 30 of a relatively short length penetrating only the laminated block 20.

10: 지면안착벽 12: 관통공
14: 보강요홈 16: 주입구
16': 배출구 17: 연결돌부
17': 연결공 18: 연결요부
20: 적층블럭 21: 블럭몸체
22: 관통공 24: 간섭회피부
26: 돌출비드 27: 블럭연결돌부
27': 연결공 28: 블럭연결요부
30: 연결봉 110: 지면안착벽
111: 안착벽몸체 111': 하단돌부
112: 관통공 114: 보강요홈
116: 주입구 116': 배출구
117: 연결돌부 117': 연결요부
118: 걸이슬롯 118': 횡단슬롯
120: 적층판넬 120': 판넬몸체
121: 판부 121': 결속부
122: 관통공 124: 돌출비드
126: 연결돌편 126': 연결채널
127: 결속요부 128: 슬롯걸이편
128': 횡단걸이편
10: ground seat wall 12: through hole
14: reinforcement groove 16: injection hole
16 ': outlet 17: connecting protrusion
17 ': connector 18: connector
20: laminated block 21: block body
22: through hole 24: interference skin
26: protruding bead 27: block connection protrusion
27 ': connecting hole 28: block connecting recess
30: connecting rod 110: ground seating wall
111: seating wall body 111 ': lower protrusion
112: through hole 114: reinforcing groove
116: inlet 116 ': outlet
117: connection protrusion 117 ': connection required
118: hanger slot 118 ': transverse slot
120: laminated panel 120 ': panel body
121: plate portion 121 ': binding portion
122: through hole 124: protruding bead
126: connection side 126 ': connection channel
127: solidarity 128: slot hanger
128 ': Cross hook

Claims (12)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안착벽몸체가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벽몸체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안착벽몸체의 상단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벽몸체의 양단에 인접하는 것이 서로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연결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면안착벽과,
상기 안착벽몸체의 상면에 적층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된 블럭몸체가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것이 서로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블럭연결돌부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적층블럭과,
상기 안착벽의 연결돌부와 적층블럭의 연결돌부를 관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연결봉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A seating wall bod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s a skeleton and an appearance, and an injection hole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ating wall body so that a liquid can be inject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inside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an outle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seating wall body. A ground seating wall formed by protruding a connecting protrusion so that adjacent to each other is located between each other,
A laminated block which is formed by being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in which a block bod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forms a skeleton and an appearance, and protrudes a block connecting protrusion so that adjacent ones are positioned between each other;
Prefabricated fen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rod for connecting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seating wall and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laminated block.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벽몸체의 하단부의 폭은 상단부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2.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wall body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벽몸체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보강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요홈은 상기 안착벽몸체의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is a reinforcement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he reinforcement groove is prefabric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deeper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Hick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면안착벽의 양측에 형성된 연결돌부와 적층블럭의 양측에 형성된 블럭연결돌부에는 각각 연결공이 천공되는데, 상기 연결돌부의 연결공과 적어도 일단부의 상기 블럭연결돌부의 연결공은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Connection holes are formed in each of the connect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ound seating wall and the block connecting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aminated block, the connection hole and at least one end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of the Prefabricated f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hole of the block connecting protrusion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벽몸체와 블럭몸체를 폭방향으로 관통하여서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 through hole is formed through the seating wall body and the block body in the width direc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벽몸체의 연결돌부의 선단 양측 모서리와 상기 블럭몸체의 블럭연결돌부의 선단 양측 모서리는 곡면이나 쳄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6.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both edges of the tip of the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both edges of the tip of the block connection protrusion of the block body are formed with a curved surface or a chamfer.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 안착벽몸체가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안착벽몸체 내부에 액체를 주입하고 배출할 수 있도록 안착벽몸체의 상부에 주입구가 형성되고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안착벽몸체의 양단에 연결돌부와 연결요부가 구비되는 지면안착벽과,
상기 안착벽몸체의 상부가 하면 내부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된 판넬몸체가 골격과 외관을 형성하고 인접하는 것이 서로 결합되도록 연결돌편과 연결채널이 양단부 상부에 구비되는 적층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A seating wall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forms a skeleton and an appearance, and an injection hole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a discharge hole is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so that the liquid can be injected and discharged inside the seating wall body, and both ends of the seating wall body are formed. Ground seating wall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protrusion and the connecting recess in,
The upper part of the seating wall body is inserted into the lower surface is installed in the panel body made of synthetic resin material to form the skeleton and the appearance, and adjacent to each other, including a laminated panel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both ends and connecting channel pieces and connecting channels Prefabricated fen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벽몸체의 양단부 상부에는 상기 적층판넬과의 결합을 위한 걸이슬롯이 상기 안착벽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벽몸체의 상면 중앙에는 안착벽몸체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횡단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According to claim 7, Hanging slots for coupling with the laminated panel on the upper end of both of the seating wall body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an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Prefabricated fen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verse slot is formed in an orthogonal direc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벽몸체의 하단부의 폭은 상단부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9.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width of the lower end of the seating wall body is relatively wid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벽몸체의 외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깊이를 가지는 보강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요홈은 상기 안착벽몸체의 하부로 갈수록 깊이가 깊어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outer surface of the seating wall body is a reinforcement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he reinforcement groove is prefabricated,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deeper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ing wall body Hicks.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판넬은 상기 안착벽몸체의 상단이 삽입되는 결속요부를 구비하는 결속부와, 상기 결속부에 일체이고 납작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판부로 구성되는데, 상기 결속요부에는 상기 걸이슬롯과 횡단슬롯에 안착되는 슬롯걸이편과 횡단걸이편이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
The plat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10, wherein the laminated panel includes a binding portion having a binding recess into which an upper end of the seating wall body is inserted, and a plate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binding portion in a flat plate shape. It is configured, the binding reces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efabricated fence, characterized in that each provided with a slot hook piece and a cross hook piece seated in the hanger slot and the transverse slo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부를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의 상부와 하부에 해당되는 판부의 표면에는 보강을 위한 돌출비드가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휀스.12. The prefabricated fence according to claim 11, wherei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plate, and a plurality of protruding beads for reinforcement are formed on surfaces of the plate corresponding to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through hole.
KR1020100134163A 2010-12-24 2010-12-24 Prefabricated fence KR2012007242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163A KR20120072423A (en) 2010-12-24 2010-12-24 Prefabricated f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163A KR20120072423A (en) 2010-12-24 2010-12-24 Prefabricated f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423A true KR20120072423A (en) 2012-07-04

Family

ID=4670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163A KR20120072423A (en) 2010-12-24 2010-12-24 Prefabricated f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242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5222A (en) * 2022-06-06 2022-09-23 长沙鼎盛重工科技有限公司 Assembled is made and is enclosed fender with buil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95222A (en) * 2022-06-06 2022-09-23 长沙鼎盛重工科技有限公司 Assembled is made and is enclosed fender with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8448B1 (en) Block module
KR100414010B1 (en) Retaining wall block
US6571521B1 (en) Wall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7503730B2 (en) Modular block wall system
US8646236B2 (en) Interlocking web for insulated concrete forms
US9021762B1 (en) Interlocking concrete blocks with trapezoidal shape
US20070193183A1 (en) Concrete block for forming columns
JP2004132174A (en) Module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mponent
US11761204B2 (en) Insulated concrete form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KR101732716B1 (en) Soundproofing wall foundatio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KR20130044855A (en) Precast panel, wall structure using such precast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60050226A (en) Cut slope reinforcement
WO2012136174A2 (en) Modular system of building blocks
KR20120055315A (en) Plantable retaining wall block laying structureusing the block
KR20120072423A (en) Prefabricated fence
US20140037389A1 (en) Structural Unit and Positioning Member
CN111236300A (en) Prefabricated base of road or bridge temporary retaining wall
US20090110491A1 (en) Securable retaining wall block and system
US11105095B2 (en) Construction module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1065726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KR102112678B1 (en) Retaining wall with connected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60473B1 (en) A prefabricated brick
JP2011236722A (en) Doubl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RU141234U1 (en) WOODEN BUILDING BLOCK
KR20090084568A (en) A wall engineering works construction concrete block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