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2254A -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2254A
KR20120072254A KR1020100134092A KR20100134092A KR20120072254A KR 20120072254 A KR20120072254 A KR 20120072254A KR 1020100134092 A KR1020100134092 A KR 1020100134092A KR 20100134092 A KR20100134092 A KR 20100134092A KR 20120072254 A KR20120072254 A KR 201200722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signal
channel
protocol
hdai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진
강경옥
김진웅
임창수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엔소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엔소닉스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34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2254A/ko
Priority to US13/335,171 priority patent/US20120163609A1/en
Publication of KR20120072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22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는, 임의의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와, HDAI(High Definition Audio Interface)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processing a multi-channel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HD급 이상의 비압축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는 멀티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유/무선 연결된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달하거나 또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멀티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이더넷(Ethernet) 방식을 제외하고는 8 채널 이상의 HD급 비압축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범용 케이블을 이용하여 단일 케이블로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이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멀티 채널 전송 프로토콜로 8 채널 ADAT와 TDM/I8S가 있으나, 채널이 제한되어 있고, HD급 24 비트 192kHz에서 2 채널 스테레오만 가능하며,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HDMI 케이블과 같은 범용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이용하여 HD급 비압축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범용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이용하여 8 채널 이상의 양방향 24 비트 오디오 신호의 전송 프로토콜과 전송 방식을 제공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서,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와, HDAI(High Definition Audio Interface)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는, 24 비트 또는 32 비트일 수 있다.
상기 HDAI 프로토콜에서 지원 가능한 채널 수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근거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HDAI 프로토콜은, 워드 클럭(word clock), 샘플 클럭(sample clock), 데이터 출력(data output) 및, 데이터 입력(data input)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드 클럭은,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와 같은 클럭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워드 클럭은, 전체 채널 수가 N일 때, 첫 번째 채널 내지 N/2 채널까지는 0(low)의 값을 가지고, (N/2 + 1) 채널 내지 N 채널까지는 1(high)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샘플 클럭은,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1 비트당 1 클럭의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샘플 클럭은, 상승 클럭에서 데이터가 유효할 수 있다.
상기 샘플 클럭의 주파수는, 채널당 비트 수, 전체 채널 수 및,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곱한 값일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출력은, 채널당 16 비트, 24 비트 및, 32 비트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입력은, 채널당 16 비트, 24 비트 및, 32 비트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HDAI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해 상기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HDMI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 방식을 통해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고, 32 채널 내지 64 채널의 멀티 채널인 24 비트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HDAI 프로토콜을 근거로 오디오 신호를 HDMI케이블을 통해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단계와, HDAI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HDAI 프로토콜을 근거로 오디오 신호를 HDMI케이블을 통해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HDA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멀티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양방향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둘째, HDMI 케이블과 같은 범용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이용하여 HD급 비압축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AI 프로토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DMI 케이블의 각 핀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에 대한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 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 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 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HD급 이상의 비압축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의 전송 프로토콜과 전송 방식을 제공하고, 범용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이용하여 HD급의 비압축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는 입력부(110), 통신부(120), 부호화/복호화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110)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마이크(미도시) 및/또는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마이크를 통해 임의의 음향 신호(또는, 음향 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또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마이크는, 통화 모드, 녹음 모드, 음성 인식 모드, 영상 회의 모드, 영상 통화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사용자의 음성(음성 신호 또는 음성 정보) 등 포함)를 수신하여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또한, 상기 처리된 음성 데이터(일 예로, 음향 신호, 음성 신호, TV의 오디오 신호 등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 포함)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하거나 또는, 통신부(120)를 통하여 외부 단말기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카메라는, 영상 통화 모드, 촬영 모드, 영상 회의 모드 등에서 이미지 센서(카메라 모듈 또는, 카메라)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gif 형태, jpeg 형태 등 포함) 또는 동영상(wma 형태, avi 형태, asf 형태 등 포함)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즉, 코덱(CODEC)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해당 화상 데이터들을 각 규격에 맞도록 인코딩(부호화 : encoding)한다. 상기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는, 객체(또는, 피사체)(사용자 영상)를 촬영하고, 그 촬영된 영상(피사체 영상)에 대응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20)를 통해 통신 연결된 임의의 외부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즉, 입력부(110)는 마이크 및/또는 카메라를 통해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멀티미디어 정보(또는, 데이터 스트림)는, 마이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 정보, 음성 정보 및, 카메라를 통해 수신되는(또는, 촬상되는) 영상 정보(video information/image information : 정지 영상, 동영상 등 포함)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20)는 임의의 외부 단말(또는, 외부 기기)과 임의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한다. 또한, 통신부(120)는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 또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무선랜(Wireless LAN : WLAN),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 Wibro), 와이 파이(Wi-Fi), 와이맥스(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 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WB(Ultra Wideband),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 IrDA)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유선 통신 기술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통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20)는 임의의 외부 단말과 임의의 정보를 송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 모듈은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인터페이스 모듈은 유/무선 헤드셋 포트(Headset Port),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라 한다)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모듈은 포트를 통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 모듈은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전원을 수신하여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외부 기기(또는, 외부 디바이스)는 셋탑 박스, DVD 플레이어, 모니터/스피커,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스마트 폰(Smart Phone),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 PDA), 와이브로(Wibro)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텔레비전, 3D 텔레비전,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 PMP),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내비게이션 단말기(Navigation Terminal), A/V(Audio/Video) 시스템 등과 같이 다양한 단말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리고 인터페이스 모듈은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전원은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10)가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호화/복호화부(또는, 인코딩/디코딩부(encoding/decoding unit)(130)는 입력부(110)에 포함된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비디오 신호(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부호화(encoding)하고, 부호화된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리고 부호화/복호화부(130)는 입력부(110)에 포함된 마이크를 통해 수신된 오디오 신호(또는, 오디오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부호화 과정은, 저장부(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MP3, AC3(audio coding), AAC(advanced audio coding), WMA(window media audio), OGG(Ogg Vobis) 등의 코덱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부호화/복호화부(130)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임의의 정보(또는, 데이터)에 포함된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 또는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40)는 부호화/복호화부(130)에 의해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통신부(120)를 통해 연결된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부호화/복호화부(130)에 의해 복호화된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부(미도시) 및/또는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부호화/복호화부(130)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고화질 오디오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Audio Interface : HDAI, 이하 'HDAI'라 함) 프로토콜을 근거로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거나, HDAI 프로토콜을 근거로 임의의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AI는 워드 클럭(word clock, 이하 'WCLK'라 함), 샘플 클럭(sample clock, 이하 'SCLK'라 함), 데이터 출력(data output) 및, 데이터 입력(data input)을 포함한다. 또한, HDAI는 24 비트의 오디오 신호뿐만 아니라 32 비트 이상의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HDAI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확한 클럭의 전송 및 동기를 제공하기 위해 오디오 데이터의 입/출력 신호와 WCLK 신호 및 SCLK 신호를 서로 분리하여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AI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지원 가능한 채널 수는 64 채널이 가능하며, 샘플링 주파수에 따라 아래와 같이 달라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확장하여 64 채널 이상의 채널 지원도 가능할 수 있다.
즉, 샘플링 주파수가 48kHz 이하일 때는 32 채널에서 최대 64 채널까지 지원 가능하고, 샘플링 주파수가 96kHz 이하일 때는 16 채널에서 최대 32 채널까지 지원 가능하고, 샘플링 주파수가 192kHz 이하일 때는 8 채널에서 최대 16 채널까지 지원 가능하다.
예를 들어, 24 비트 48kHz에서는 48 채널 내지 64 채널의 입/출력을 지원할 수 있고, 24 비트 96kHz에서는 24 내지 2 채널의 입/출력을 지원할 수 있고, 24 비트 192kHz에서는 12 내지 16 채널의 입/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WCLK는 오디오 샘플링 주파수(또는, 부호화/복호화부(130)에 의해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주파수)와 같은 클럭의 주파수이다. 또한, WCLK는 최대 192kHz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WCLK는 1 채널 내지 (전체 채널 수/2) 채널까지는 '0'(low)이고, 그 이상 채널(예를 들어, (전체 채널 수/2)+1 채널 내지 전체 채널 수)은 '1'(high)이다.
예를 들어, 오디오 샘플링 주파수가 48kHz 이하이고, 전체 채널 수가 32 채널인 경우, WCLK는 1 채널 내지 16 채널까지는 '0'이고 17 채널 내지 32 채널까지는 '1'이다.
다른 예로, 오디오 샘플링 주파수가 48kHz 이하이고, 전체 채널 수가 64 채널인 경우, WCLK는 1 채널 내지 32 채널까지는 '0'이고 33 채널 내지 64 채널까지는 '1'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CLK는 오디오 데이터 1 비트당 1 클럭의 주파수를 가지며, 상승 클럭에서 데이터가 유효하다.
그리고 SCLK 클럭의 주파수는 다음의 수식에 의해 계산된다.
Figure pat00001
예를 들어, 샘플링 주파수가 48kHz이고 32 채널인 경우,
SCLK 주파수는, 32 비트 × 32 채널 × 48kHz = 49.152MHz , 즉 1024fs의 주파수를 갖는다.
다른 예로, 샘플링 주파수가 48kHz이고 64 채널인 경우,
SCLK 주파수는, 32 비트 × 64 채널 × 48kHz = 98.304MHz , 즉 2048fs의 주파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출력은 오디오 데이터 출력 신호로서, 채널당 16 비트 또는 24 비트를 지원하고, 확장할 경우 32 비트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입력은 오디오 데이터 입력 신호로서, 데이터 출력과 동일하게 채널당 16 비트 또는 24 비트를 지원하고, 확장할 경우 32 비트 이상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고화질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 HDMI, 이하 'HDMI'라 함)를 이용하여 오디오 신호를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거나, 임의의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HDMI는 5기가 bps급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 및/또는 오디오 신호를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HDMI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 방식으로 구성하여 오디오 신호를 원거리에 안정적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HDMI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핀(pin)별로 대응하는 단자를 갖는다.
즉, HDMI의 1 핀은 양의 오디오 데이터 입력을 위한 단자이고, 2 핀은 케이블 실드(shield) 또는 접지(ground)를 위한 단자이고, 3 핀은 음의 오디오 데이터 입력을 위한 단자이고, 4 핀은 양의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위한 단자이고, 5 핀은 케이블 실드 또는 접지를 위한 단자이고, 6 핀은 음의 오디오 데이터 출력을 위한 단자이고, 7 핀은 양의 WCLK 클럭의 출력을 위한 단자이고, 8 핀은 케이블 실드 또는 접지를 위한 단자이고, 9 핀은 음의 WCLK 클럭의 출력을 위한 단자이고, 10 핀은 양의 SCLK 클럭의 출력을 위한 단자이고, 11 핀은 케이블 실드 또는 접지를 위한 단자이고, 12 핀은 음의 SCLK 클럭의 출력을 위한 단자이고, 13 핀과 14 핀은 예비 단자이고, 15 핀은 I2C 직렬 클럭을 위한 단자이고, 16 핀은 I2C 직렬 데이터를 위한 단자이고, 17 핀은 접지를 위한 단자이고, 18 핀은 전원 공급을 위한 단자이고, 19 핀은 플러그 검출을 위한 단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일 실시예로 HDMI 방식의 범용 케이블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인터커넥터(digital/analog interconnect) 케이블, 광 케이블(optical cable),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밸런스 케이블(balanced cable)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유선 HDMI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선 방식의 HDMI 또는, 다른 유/무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는 처리할 비트 수에 따라 다양한 비트를 확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본 도면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부호화/복호화부(130)는 입력부(110) 또는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된 임의의 오디오 신호를 임의의 샘플링 주파수를 근거로 부호화한다(S110).
그리고 제어부(140)는 부호화/복호화부(130)로부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미리 설정된 HDAI 프로토콜을 근거로 HDMI를 통해 임의의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에 전송한다.
이때, HDAI 프로토콜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와 동일한 클럭의 주파수를 갖는 워드 클럭,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1 비트당 1 클럭의 주파수를 갖는 샘플 클럭, 복수의 비트를 제공하는 데이터 출력 및, 복수의 비트를 제공하는 데이터 입력을 포함한다. 여기서, 샘플 클럭의 주파수는 채널당 비트 수, 전체 채널 수 및,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곱한 값이다.
또한, HDMI는 차동 신호 방식을 통해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임의의 통신 연결된 디바이스에 전송한다(S120).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은, 예를 들어, 멀티 채널의 오디오 신호를 송수신하는 분야에는 어디든 적용가능하다.
10 :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110 : 입력부 120 : 통신부
130 : 부호화/복호화부 140 : 제어부

Claims (19)

  1.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부호화부; 및
    HDAI(High Definition Audio Interface)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는,
    24 비트 또는 32 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DAI 프로토콜에서 지원 가능한 채널 수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근거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DAI 프로토콜은,
    워드 클럭(word clock), 샘플 클럭(sample clock), 데이터 출력(data output) 및, 데이터 입력(data input);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 클럭은,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와 같은 클럭의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 클럭은,
    전체 채널 수가 N일 때, 첫 번째 채널 내지 N/2 채널까지는 0(low)의 값을 가지고, (N/2 + 1) 채널 내지 N 채널까지는 1(high)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클럭은,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1 비트당 1 클럭의 주파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클럭은,
    상승 클럭에서 데이터가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샘플 클럭의 주파수는,
    채널당 비트 수, 전체 채널 수 및,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곱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출력은,
    채널당 16 비트, 24 비트 및, 32 비트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은,
    채널당 16 비트, 24 비트 및, 32 비트 중 어느 하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HDAI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HDMI(High Definition Multimedai Interface)를 통해 상기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HDMI는,
    차동 신호(differential signal) 방식을 통해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14. 양방향 통신을 제공하고, 32 채널 내지 64 채널의 멀티 채널인 24 비트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HDAI 프로토콜을 근거로 오디오 신호를 HDMI를 통해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 처리 장치.
  15.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오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단계; 및
    HDAI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HDAI 프로토콜에서 지원 가능한 채널 수는,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의 샘플링 주파수를 근거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HDAI 프로토콜은,
    워드 클럭, 샘플 클럭, 데이터 출력 및, 데이터 입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HDAI 프로토콜을 근거로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HDMI를 통해 상기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HDMI는,
    차동 신호 방식을 통해 상기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를 상기 임의의 디바이스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채널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KR1020100134092A 2010-12-23 2010-12-23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20120072254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092A KR20120072254A (ko) 2010-12-23 2010-12-23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13/335,171 US20120163609A1 (en) 2010-12-23 2011-12-22 Apparatus for processing a multi-channel audio signal and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4092A KR20120072254A (ko) 2010-12-23 2010-12-23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2254A true KR20120072254A (ko) 2012-07-03

Family

ID=4631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092A KR20120072254A (ko) 2010-12-23 2010-12-23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63609A1 (ko)
KR (1) KR201200722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0158B2 (en) 2018-09-11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03474A (ko) 2021-12-30 2023-07-07 고태복 장식용 공예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119561A1 (en) * 2012-11-01 2014-05-01 Aliphcom, Inc. Methods and systems to provide automatic configuration of wireless speakers
CN103813342A (zh) * 2012-11-06 2014-05-21 华为技术有限公司 动态频谱管理的方法、装置及系统
US10931722B2 (en) * 2017-04-04 2021-02-23 Lattice Semiconductor Corporation Transmitting common mode control data over audio return channe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0030B2 (en) * 2008-01-04 2012-01-03 Silicon Image, Inc.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generating and facilitating mobile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50158B2 (en) 2018-09-11 2022-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30103474A (ko) 2021-12-30 2023-07-07 고태복 장식용 공예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63609A1 (en) 201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92055B (zh) 使用音频水印的关键词组检测
KR20120072254A (ko) 멀티-채널 오디오 신호를 처리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9179218B2 (en) Mobile device for multi-channel sound collection and output using common connect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TWM445807U (zh) 具有投影功能之行動電源裝置
KR102216881B1 (ko) 전자장치에서 마이크의 감도에 따른 자동 이득 조절 방법 및 장치
US9558718B2 (en) Streaming video data in the graphics domain
CN104914580A (zh) 一种头戴式显示器
KR20130096868A (ko) 스트림 전송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CN104883617A (zh) 多屏互动系统及方法
JP5661803B2 (ja) ホワイトスペースデバイスをホストデバイスとインターフェース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4461952A (zh) 一种接口共用方法及终端
US11128974B2 (en)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audio system comprising same
KR102423827B1 (ko) 송신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20150189421A1 (en) Headphone wireless expansion device capable of switching among multiple targets and voice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288556A1 (en) Audio output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dio output device
US10237653B2 (en) Speaker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connected therewith,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12259076A (zh) 语音交互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204465769U (zh) 一种音频传输控制系统和头戴式显示设备
US20150296171A1 (en) Portable media enhancement device
CN104506932A (zh) 一种音频传输控制系统和控制方法
CN107864448B (zh) 一种基于蓝牙2.0或3.0实现双通道通讯的设备及其通讯方法
US20080030506A1 (en) Video card and the sound processing module therein
TR200402504A2 (tr) Audio-video sinyal alıcı verici işleme cihazı
US20160253996A1 (en) Activating voice processing for associated speaker
US2024014720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