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935A -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935A
KR20120071935A KR1020100133678A KR20100133678A KR20120071935A KR 20120071935 A KR20120071935 A KR 20120071935A KR 1020100133678 A KR1020100133678 A KR 1020100133678A KR 20100133678 A KR20100133678 A KR 20100133678A KR 20120071935 A KR20120071935 A KR 20120071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ignals
antenna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36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50343B1 (en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3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0343B1/en
Publication of KR2012007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93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0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034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 H04B7/080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antenna selection with single receiver and antenna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PURPOSE: A portable terminal is provided to offer plural communication services by receiving electromagnetic signals of the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 signal route selected by a first and a second reception unit. CONSTITUTION: A first reception unit(200) receives a first signal from electromagnetic signals of plural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 first signal path. A second reception unit(300) receives a third signal which has different frequency band from the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which has similar frequency band with the first signal through a second and a third signal route. The first signal route is a switching route between a first antenna(210) and a reception amplification unit(230). The second signal route is a switching route between a reception amplification unit(240) and a second antenna(310) through the switching and the synchronization. The third signal route is a direct route which directly connects the second antenna with the reception amplification unit.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이버시티를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terminal having a device for diversity and providing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이동 단말기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멀티대역 및 멀티모드에서 동작할 필요성이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동 단말기는 무선 신호(Radio Frequency:RF) 신호를 사용하여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하고,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으로부터 동기되는 절대시간 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GPS 수신기를 탑재한다. 이를 위하여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통신서비스와 GPS 수신을 위한 별도의 안테나 또는 겸용 안테나를 구비한다.The mobile terminal is multi-band and multi-mode to provi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such as 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and Long Term Evolution (LTE). The need to operate in mode is increasing.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GPS receiv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a radio frequency (RF) signal and receiving absolute tim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synchronized from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atellite. To this end,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and a separate antenna or a combined antenna for GPS reception.

한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은 페이딩(fading), 간섭(Interference) 이나 반사파(Echo) 등 무선 주파수 반송파 신호의 전파 특성에 따라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이러한 전파 특성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이동 단말기에 복수의 안테나 및 수신부를 구비한 다이버시티(diversity) 기법을 적용하고 있다. 다만 멀티대역 및 멀티모드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에서, 다이버시티 기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복수의 수신부에서 통신 서비스의 전환에 따른 상기 수신부 사이의 동기화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통신 서비스의 전환에 관계없이 GPS 신호를 항상 수신하기 위하여 안테나를 포함한 수신부가 별도로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radio frequency signal may change over time according to th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the radio frequency carrier signal such as fading, interference, or echo.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change in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 diversity scheme including a plurality of antennas and receivers is applied to a mobile terminal. However, in the mobile terminal operating in the multi-band and multi-mode, there is a problem of synchronization between the receivers according to the switching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in the plurality of receivers in order to apply the diversity scheme.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a receiver including an antenna is separately required to always receive a GPS signal regardless of switching of the communication service.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수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는 수신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receiver for providing reception diversit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표준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a plurality of standard communication service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슬림(slim)한 크기를 갖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having a slim size.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안테나와 수신증폭부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신호경로를 통해 복수의 통신 서비스의 전자기 신호들 중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제2 및 제3 신호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제3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구비한다.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first and second antennas and a reception amplifier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comprises: a first receiver for receiving a first signal of electromagnetic signals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 first signal path; ; And a second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signal having the same frequency band as the first signal and a third signal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band from the first signal through second and third signal paths.

상기 제1 신호경로는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 및 수신 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스위칭 경로(swithcing path)이고, 상기 제2 신호경로는 상기 스위칭과 동기되어 상기 제2 안테나 및 수신 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스위칭 경로이고, 상기 제3 신호경로는 상기 제2 안테나 및 수신 증폭부 사이를 직접 연결한 직접 경로(direct path)이다. The first signal path is a switching path form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reception amplifier by switching, and the second signal path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antenna and the reception amplifi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witching. The third signal path is a switching path and is a direct path directl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antenna and the reception amplifi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제1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수신증폭부;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1 수신증폭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신호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1 수신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모듈을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ceiver comprises: a first antenna; A first reception 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the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And a plurality of signal path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first reception amplifier, and configured to switch the plurality of signal paths form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first reception amplifier so that the first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signal path. It includes a first switch module.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제1 수신증폭부 및 상기 스위치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송신 신호를 상호 분리하는 제1 듀플렉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rece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uplex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amplifier and the switch module to separate the first signal and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2 수신부는 제 2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둘 이상의 경로로 분기하는 신호 분기부; 및상기 신호 분기부로부터 분기된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수신 증폭부를 포함한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ceiver includes a second antenna; A signal branch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and branching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through two or more paths; And a second reception 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branched from the signal branch.

상기 신호 분기부는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제1 단자로 입력받고,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각각 제2 및 제3 단자로 출력하는 제2 듀플렉서일 수 있다. 상기 제2 듀플렉서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간 입출력 특성이 대역 저지(Band Rejection)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3 단자 간 입출력 특성이 대역 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진다. The signal branching unit may be a second duplexer which receives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to the first terminal and outputs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to the second and third terminals, respectively. The input / output characteristic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has a band rejection characteristic, and the input / output characteristic between the first and third terminals has a band pass characteristic.

상기 신호 분기부는 상기 제2 신호를 제1 단자로 입력받아 제2 또는 제3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1 단자로 입력받아 제4단자로 출력하는 트리플렉서일 수 있다. 상기 트리플렉서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 2 내지 제4 단자 간 입출력 특성이 대역 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진다.The signal branching unit may be a triplexer that receives the second signal through a first terminal and outputs it to a second or third terminal, and receives the third signal through a first terminal and outputs it to a fourth terminal. The triplexer has a band pass characteristic of input / outpu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o fourth terminals.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신호 분기부 및 제2 수신증폭부 사이에 배치되고,The second receiver is disposed between the signal branch and the second receiver amplifier,

상기 제2 신호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2 안테나 및 제2 수신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witch module configured to switch a plurality of signal paths formed between the second antenna and the second receiving amplifier so that the second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second signal path.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은 상기 GPS 신호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인 제1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부; 및 상기 GPS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인 제2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witch module may include a first switch unit for switching at least one signal path of a first frequency band which is a lower frequency band than the GPS signal; And a second switch unit for switching at least one signal path of a second frequency band, which is a higher frequency band than the GPS sign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수신증폭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amplifiers and perform signal processing by selecting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nd performing frequency conversion.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력 검출기; 상기 전력 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된 신호 세기들을 상호 비교하여 크기가 큰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서 출력된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기저대역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gnal processing module includes a power detector for detecting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 compa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large magnitude by comparing the signal strengths detected by the power detector with each other; A switch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And a baseband processor configured to convert th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into the baseband signal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수신증폭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가중치(weighting factor)와 위상 값을 부가하여 합성하고,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amplifi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requency-convert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dd a weighting factor and a phase value, and synthesize the signals. It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processing module to perform.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제3 주파수 대역의 제4 및 제5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기; 상기 제4 및 제5 신호의 크기와 위상 값을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 및 상기 신호 검출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4 및 제5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같아지도록 상기 제4 및 제5 신호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곱하고 서로 다른 위상값을 더하여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comprises: a frequency down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into fourth and fifth signals of a third frequency band; A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magnitudes and phase values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And a signal synthesizer connected to the signal detector and configured to multiply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by different weights and add different phase values so that the magnitudes and phases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are equal to each other.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제3 주파수 대역의 제4 및 제5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기; 상기 제4 및 제5 시호의 크기와 위상 값을 가변하여 합성하는 신호 가변 합성부; 상기 신호 가변 합성부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측정하는 신호 검출기; 및 상기 측정된 신호 대 잡음비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제4 및 제5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가변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가변 합성부로 출력하는 기저대역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comprises: a frequency down converter for converting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into fourth and fifth signals of a third frequency band; A signal variable synthesis unit configured to vary and synthesize the magnitudes and phase values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A signal detector coupled to the signal variable synthesizer to measure a signal-to-noise ratio of the synthesized signal; And a baseband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a control signal varying the magnitudes and phases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until the measured signal-to-noise ratio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output the control signal to the signal variable synthesizer. It may include.

본 발명은 제1 수신부 및 상기 제1 수신부의 스위칭에 동기되어 선택된 신호경로를 통해 제1 수신부에서 수신된 제1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2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구비함으로써, 페이딩, 간섭 이나 반사파 등이 존재하는 통신 환경에서 전자기 신호의 수신 특성이 향상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 receiver for receiving a second signal with a signal having the same frequency band as the first signal received at the first receiver through a signal path select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witching of the first receiver and the first receiver. Provided is a mobile terminal having improved recep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signals in a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which fading, interference, and reflected waves exist.

본 발명은 스위칭에 의해 선택된 신호경로를 통해 복수의 통신 서비스의 전자기 신호들 중 어느 한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및 제2 수신부를 구비함으로써, 복수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receivers for receiving any one of electromagnetic signals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 signal path selected by switching, and operates in a plurality of frequency bands. To provide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상기 제2 수신부가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제3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전체 안테나의 개수를 줄여 전체 안테나가 이동 단말기 내부에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킨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receiver receives the second signal and the third signal of a frequency band different from the second signal, thereby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antennas, thereby reducing the space occupied by the entire antenna inside the mobi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고,
도 2는 제1 및 제2 수신부를 구비한 도 1의 무선통신부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신호처리모듈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송신부 및 주변 회로의 세부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제1 및 제2 수신부를 구비한 도 1의 무선통신부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신호처리모듈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신호처리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FIG. 1 having a first and a second receiver;
3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FIG.
4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transmitter and a peripheral circuit according to FIG. 2;
5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FIG. 1 having a first and a second receiver;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ignal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FIG. 5.
7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a signal processing module.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mobi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described herein may includ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different embodiments are given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for the same or similar configurations, and the description is replaced with the first descrip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d an interface. The unit 170, the controller 180, and the power supply unit 190 may be included.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so that a mobi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15, and the like. .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xternally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may include Wireless LAN (Wi-Fi), Wireless Broadband (Wibro),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and the lik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15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A / V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2.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input data for the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he presence or absence of user contact,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2, an alarm unit 153, and a haptic module 154, for example,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hav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a call mode, a user interface (UI) or a graphic user interface (GUI) related to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a video call mode or a photographing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displays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s, a UI, and a GUI.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The sound output module 1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and the lik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The alarm unit 1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and touch input.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The haptic module 1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54 is vibration.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80 and may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for example,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video, etc.).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transmits data to the external device.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perform related control and processing for voice calls, data communications, video calls, and the like. The controller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81 for playing multimedia. The multimedia module 1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80. [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an internal power sourc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to supply power for operation of each component.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processors,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180.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procedur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that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The software code may be implemented by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s are stored in the memory 160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180. [

도 2는 제1 및 제2 수신부를 구비한 도 1의 무선통신부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신호처리모듈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 따른 송신부 및 주변 회로의 세부 블록 구성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FIG. 1 having first and second receivers, FIG. 3 is a block diagram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of FIG.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the transmitter and the peripheral circuit according to FIG. 2.

상기 이동 단말기(400)는 예를 들어 EGRPS(Enhanced Global Packet Radio Service),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GSM(Global Service Mobile) 및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멀티모드 및 멀티대역 이동 단말기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400)는 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2G (Geneartion) 및 3G (Generation) 통신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The mobile terminal 400 is, for example, multi-mode and multi-provided to provide Enhanced Global Packet Radio Service (EGRP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UMTS), Global Service Mobile (GSM) 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communication services. Band mobile terminal. The mobile terminal 400 may further provide a Long Term Evolution (LTE) communication service.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further provide 2G (Geneartion) and 3G (Generation) communication services.

상기 이동 단말기(400)는 제1 및 제2 수신부(200, 3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수신부(200)는 제1 안테나(210) 및 제1 수신 증폭부(230)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수신부(300)는 제2 안테나(210) 및 제2 수신 증폭부(340)를 구비한다. 수신 증폭부는 상기 제1 및 제2 수신 증폭부(230, 340)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400 includes first and second receivers 200 and 300. The first receiver 200 includes a first antenna 210 and a first reception amplifier 230, and the second receiver 300 includes a second antenna 210 and a second reception amplifier 340. It is provided. The reception amplification unit includes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amplification units 230 and 340.

상기 제1 수신부(200)는 제1 신호경로를 통해 복수의 통신 서비스의 전자기 신호들 중 제1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1 신호경로는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210) 및 수신 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스위칭 경로(switching path)이다. 상기 제1 수신부(200)에 대하여, 상기 수신 증폭부는 상기 제1 수신 증폭부(230)이다.The first receiver 200 receives a first signal among electromagnetic signals of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a first signal path. The first signal path is a switching path formed between the first antenna 210 and the reception amplifier by switch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receiver 200, the reception amplifier is the first reception amplifier 230.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310)는 공간 다이버시티(spatial diversity)를 위하여 소정 거리만큼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공간 다이버시티를 적용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사이의 소정 거리는 파장의 2배 내지 10배 이어야 한다. 다만 이동 단말기 내에 안테나를 상기 소정 거리만큼 이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310)를 한 파장 내지 두 파장의 거리만큼 이격시키고,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도록 하여 공간 다이버시티와 편파 다이버시티(polarization diversity)를 함께 사용한다.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31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spatial diversity. In order to apply spatial diversity, the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should be 2 to 10 times the wavelength. However, it is not easy to space the antenna within the mobile terminal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310 are spaced apart by one or two wavelengths apart, and have different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thereby using spatial diversity and polarization diversity.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310)는 서로 다른 편파 특성을 갖는 전자기 신호를 수신하도록 설계된다. 즉, 상기 제1 안테나(210)는 제1 편파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2 안테나(310)는 상기 제1 편파 특성과 구별되는 제2 편파 특성을 가지므로,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 사이의 격리도(isolation) 를 향상시킨다.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310 are designed to receive electromagnetic signals having different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That is, since the first antenna 210 has a first polarization characteristic, and the second antenna 310 has a second polarization characteristic that is distinct from the first polarization characteristic, the first antenna 210 has a first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mprove isolation.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310)가 송수신 겸용 안테나인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안테나(210, 310)의 송신 및 수신 편파 특성은 하기와 같다. 상기 제1 안테나(210)의 수신 편파 특성이 수평 편파(horizontal polarization)이면 송신 편파 특성은 상기 수평 편파와 직교하는 수직 편파(vertical polarization) 이다. 상기 제2 안테나(310)의 수신 편파 특성은 상기 제1 안테나(210)의 수신 편파 특성인 수평 편파와 직교하는 수직 편파이고, 송신 편파 특성은 상기 수직 편파와 직교하는 수평 편파이다. When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310 are dual transmit / receive antenna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and second antennas 210 and 310 are as follows. If the reception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f the first antenna 210 is horizontal polarization, the transmission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s vertical polarization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polarization. The reception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f the second antenna 310 is a vertical polarization orthogonal to the horizontal polarization that is the reception polarization characteristic of the first antenna 210, and the transmission polarization characteristic is a horizontal polarization orthogonal to the vertical polarization.

상기 제1 수신부(200)는 제1 스위치 모듈(220)을 더 구비한다. The first receiver 200 further includes a first switch module 220.

상기 제1 스위치모듈(220)은 상기 제1 안테나(210) 및 제1 수신증폭부(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신호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1 안테나(210) 및 제1 수신 증폭부(230)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한다. The first switch module 2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tenna 210 and the first receiving amplifier 230, the first antenna 210 so that the first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first signal path. And the plurality of signal paths formed between the first reception amplifier 230.

상기 제1 스위치 모듈(220)은 수신 필터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 필터부(221)는 상기 제1 스위치 모듈(220)의 출력 단자 중 일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통과시키고, 상기 제1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차단시킨다. 상기 수신 필터부(221)를 경유하는 신호는 시분할 다중 접속(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사용하는 GSM 통신 서비스의 전자기 신호이다. The first switch module 220 may include a reception filter unit 221. The reception filter unit 221 is connected to a part of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switch module 220, and passes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including the first signal, the signal of the first frequency band Block it. The signal passing through the reception filter unit 221 is an electromagnetic signal of a GSM communication service using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scheme.

상기 제1 수신증폭부(230)는 상기 제1 안테나(2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한다. The first receiving amplifier 230 amplifies the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210.

상기 제1 수신부(200)는 제1 듀플렉서(240: duplxer)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first receiver 2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duplexer 240.

상기 제1 듀플렉서(240)는 상기 제1 수신증폭부(210) 및 제1 스위치 모듈(22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송신 신호를 상호 분리한다. The first duplexer 24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amplifier 210 and the first switch module 220 and separates the first signal and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

상기 제2 수신부(300)는 제2 및 제3 신호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제3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2 신호경로는 상기 제1 수신부(200)에서 상기 스위칭과 동기되어 상기 제2 안테나(310) 및 수신 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스위칭 경로이다. 상기 제3 신호경로는 상기 제2 안테나(310) 및 수신 증폭부 사이를 직접 연결한 직접 경로(direct path)이다. 상기 제2 수신부(300)에 대하여, 상기 수신 증폭부는 상기 제2 수신 증폭부(340)이다.The second receiver 300 receives a second signal having the same frequency band as the first signal and a third signal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band from the first signal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signal paths. The second signal path is a switching path formed between the second antenna 310 and the reception amplifi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witching in the first receiver 200. The third signal path is a direct path directl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antenna 310 and the reception amplifier. With respect to the second receiver 300, the reception amplifier is the second reception amplifier 340.

상기 제2 수신부(300)는 신호 분기부(320) 및 제2 스위치 모듈(330)을 더 구비한다.The second receiver 300 further includes a signal branch 320 and a second switch module 330.

상기 신호 분기부(320)는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둘 이상의 경로로 분기한다.The signal branch unit 320 branches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through two or more paths.

상기 신호 분기부(320)는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제1 단자로 입력받고,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각각 제2 및 제3 단자로 출력하는 제2 듀플렉서이다.The signal branch unit 320 is a second duplexer that receives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to the first terminal and outputs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to the second and third terminals, respectively.

상기 제2 듀플렉서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p1, p2) 간 입출력 특성이 대역 저지 (Band Rejection) 특성을 가지고, 상기 제1 및 제3 단자 (p1, p3) 간 입출력 특성이 대역 통과 (Band Pass) 특성을 가진다. The second duplexer has an input / output characteristic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p1 and p2 having a band rejection characteristic, and an input / output characteristic between the first and third terminals p1 and p3 has a band pass ( Band Pass) characteristics.

상기 제2 스위치모듈(330)은 상기 신호분기부(320) 및 제2 수신증폭부(3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신호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2 안테나(310) 및 제2 수신증폭부(340)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한다. The second switch module 330 is disposed between the signal branch unit 320 and the second receiving amplifier unit 340, and the second antenna 310 to apply the second signal through the second signal path. And the plurality of signal paths formed between the second receiving amplifier 340.

상기 제2 수신증폭부(340)는 상기 신호 분기부(320)로부터 분기된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증폭한다. The second receiving amplifier 340 amplifies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branched from the signal branch 320.

이하, 제1 수신부(200)로부터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수신부(300)로부터 수신된 제 2 및 제3 신호의 특성은 하기와 같다. Hereinaft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receiver 200 and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received from the second receiver 300 are as follows.

상기 제1 신호와 상기 제2 신호는 동일한 기지국(base station)으로부터 전송된 동일한 신호이지만, 제1 및 제2 수신부(200, 300)에서 수신된 신호는 크기와 위상이 서로 다른 신호이다. 상기 제1 및 제2 신호는 서로 다른 전파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수신부(200, 300)로 수신되는 전자기 신호이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신호는 가시선(LOS: Line Of Sight) 경로를 통해 제1 수신부(200)로 수신되고, 상기 제2 신호는 비가시선(NLOS: Non Line Of Signt) 경로를 통해 제2 수신부(300)로 수신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는 동일한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신호이지만, 서로 다른 전파 경로를 통해 상기 제1 및 제2 수신부(200, 300)로 수신되므로, 크기와 위상이 서로 다른 신호이다. 상기 가시선 경로는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 간에 직접 경로를 통해 전자기파가 수신되는 경로이다. 반면에, 상기 비가시선 경로는 상기 기지국과 상기 이동 단말기 간에 장애물로 인하여 반사(reflection) 또는 회절(diffraction)된 전자기파가 수신되는 경로이다.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are the sam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ame base station, but the signals received by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s 200 and 300 are different in magnitude and phase.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re electromagnetic signals received by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s 200 and 300 through different propagation paths. For example,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by the first receiver 200 through a line of sight (LOS) path, and the second signal is second by a non line of signt (NLOS) path. It is received by the receiver 300.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re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same base station, but are received by the first and second receivers 200 and 300 through different propagation paths, and thus are different in magnitude and phase. The visible line is a path through which electromagnetic waves are received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through a direct path. On the other hand, the invisible line is a path through which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or diffracted due to an obstacle between the base station and the mobile terminal are received.

상기 제3 신호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로, GPS 위성으로부터 동기되는 절대시간 정보와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신호이다.The third signal is a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signal, and is a signal for receiving absolute time informa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synchronized from a GPS satellite.

상기 이동 단말기(400)는 신호처리 모듈(410), 전력 증폭모듈(420), 송신 증폭부(430), 전원부(440) 및 제어부(4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400 may further include a signal processing module 410, a power amplifying module 420, a transmission amplifying unit 430, a power supply unit 440, and a control unit 450.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신호처리모듈(410)은 상기 제1 및 제2 수신증폭부(230, 340)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및 제2 수신증폭부(230, 340)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변환하고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신호처리모듈(410)은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하고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Referring to FIG. 3,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410 is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amplifiers 230 and 340, and received from the first and second reception amplifiers 230 and 340. Convert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nd perform signal processing.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410 selects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performs frequency conversion,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상기 신호처리모듈(410)은 전력 검출기(411, 412), 비교기(413), 스위치(414) 및 기저대역 처리부(415)를 포함한다.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410 includes power detectors 411 and 412, a comparator 413, a switch 414, and a baseband processor 415.

상기 전력 검출기(411, 412)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의 크기를 검출한다. The power detectors 411 and 412 detect the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상기 비교기(413)는 상기 전력 검출기(411, 412)에 의하여 검출된 상기 제1 및 제2 신호들의 세기를 상호 비교하여 크기가 큰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The comparator 413 generate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 large signal by comparing the str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detected by the power detectors 411 and 412 with each other.

상기 스위치(414)는 상기 비교기(413)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The switch 414 selectively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413.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415)는 상기 스위치(414)에서 출력된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 주파수 변환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한다.The baseband processor 415 performs signal processing by frequency conver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414 into the baseband signal.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400)의 송신부는 전력 증폭모듈(420) 및 송신 증폭부(430)를 포함하고, 주변회로는 전원부(440) 및 제어부(4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the transmitter of the mobile terminal 400 includes a power amplification module 420 and a transmission amplifier 430, and the peripheral circuit includes a power supply 440 and a controller 450.

상기 전력 증폭모듈(420)은 상기 제1 듀플렉서(240) 및 송신증폭부(430) 사이에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스위치모듈(220) 및 송신증폭부(4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전력 증폭모듈(420)은 적어도 하나의 전력 증폭부를 구비하며, 상기 송신증폭부(430)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증폭시킨다. 상기 증폭된 신호는 상기 제1 스위치모듈(220)을 통하여 상기 제1 안테나(210)로 인가된다.The power amplification module 420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duplexer 240 and the transmission amplifier 430 or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witch module 220 and the transmission amplifier 430. The power amplification module 420 includes at least one power amplification unit, and amplifies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transmission amplifier 430. The amplified signal is applied to the first antenna 210 through the first switch module 220.

상기 전력 증폭모듈(420)은 제1 내지 제3 전력 증폭부(421 ~ 4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증폭부(421 ~ 423)는 각각 제1 내지 제3 송신 주파수 대역의 제1 내지 제3 송신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주파수 대역은 각각 824 ~ 915MHz, 1710 ~ 1910MHz 및 1920 ~ 1980MHz 이다. 상기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주파수 대역의 GSM 850, CDMA 850, WCDMA 850 및 GSM 900 통신서비스의 전자기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주파수 대역의 GSM 1800, DCS 1800, GSM 1900, CDMA 1900, WCDMA 1900 통신서비스의 전자기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3 송신 신호는 제3 송신 주파수 대역의 WCDMA 2100 및 LTE 2100 통신 서비스의 전자기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이다.The power amplification module 420 includes first to third power amplification units 421 to 423. The first to third power amplifiers 421 to 423 amplify the first to third transmission signals of the first to third transmission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The first to third transmission frequency bands are 824 to 915 MHz, 1710 to 1910 MHz, and 1920 to 1980 MHz, respectively.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is any one of electromagnetic signals of GSM 850, CDMA 850, WCDMA 850 and GSM 900 communication services of the first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is any one of electromagnetic signals of GSM 1800, DCS 1800, GSM 1900, CDMA 1900, and WCDMA 1900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second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he third transmission signal is any one of electromagnetic signals of WCDMA 2100 and LTE 2100 communication services of a third transmission frequency band.

상기 전력 증폭모듈(42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증폭부(421 ~ 423) 외에 제 4 전력 증폭부(4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내지 제3 송신 주파수 대역은 824 ~ 849MHz, 1850 ~ 1910MHz 및 1920 ~ 1980MHz 이다. 이 때, 상기 제1 송신 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주파수 대역의 GSM 850, CDMA 850, WCDMA 850 통신 서비스들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 제2 송신 신호는 상기 제2 송신 주파수 대역의 GSM 1900, CDMA 1900, WCDMA 1900 통신서비스의 전자기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이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ower amplifying module 420, a fourth power amplifying unit 424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first to third power amplifying units 421 to 423. In this case, the first to third transmission frequency bands are 824 to 849 MHz, 1850 to 1910 MHz, and 1920 to 1980 MHz. In this case, the first transmission signal is any one of GSM 850, CDMA 850, and WCDMA 850 communication services of the first transmission frequency band. The second transmission signal is any one of electromagnetic signals of GSM 1900, CDMA 1900, and WCDMA 1900 communication services of the second transmission frequency band.

상기 제4 전력 증폭부(424)는 상기 제1 및 2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인접한 듀얼 주파수 대역의 제4 송신신호를 증폭한다. 상기 제4 송신신호는 주파수 대역이 890 ~ 915 MHz 및 1710 ~ 1785 MHz 인 신호이다. 상기 제4 송신신호는 상기 제1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인접한 GSM 900 또는 상기 제2 송신 주파수 대역과 인접한 GSM 1800 및 DCS 1800 통신 서비의 전자기 신호들 중 어느 하나이다.  The fourth power amplifier 424 amplifies a fourth transmission signal of a dual frequency band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on frequency bands. The fourth transmission signal is a signal having a frequency band of 890 to 915 MHz and 1710 to 1785 MHz. The fourth transmission signal is any one of electromagnetic signals of a GSM 900 adjacent to the first transmission frequency band or a GSM 1800 and DCS 1800 communication service adjacent to the second transmission frequency band.

상기 전력증폭모듈(420)은 DC-DC 변환부(426) 및 송신필터부(4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amplification module 420 may further include a DC-DC converter 426 and a transmission filter unit 427.

상기 DC-DC 변환부(426)는 상기 전원부(440)로부터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증폭부(421 ~ 423)의 각각의 전력 증폭기에 전압 변환된 직류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증폭부(421 ~ 423) 외에 상기 제4 전력 증폭부(4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C-DC converter 426 receives DC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440 and supplies voltage-converted DC power to each of the power amplifiers of the first to third power amplifiers 421 to 423. . The fourth power amplifier 424 may be further included in addition to the first to third power amplifiers 421 to 423.

상기 송신필터부(427)는 상기 제1 내지 제3 전력 증폭부(421 ~ 423) 및 상기 송신증폭부(430) 사이에 배치되고,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는 통과시키고,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 외의 신호는 차단시킨다. 상기 기설정된 주파수 대역은 각각 제 1 내지 제3 주파수 대역이다. The transmission filter unit 427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to third power amplifiers 421 to 423 and the transmission amplifier 430, and passes a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and passes the predetermined frequency band. Block other signals. The preset frequency bands are first to third frequency bands, respectively.

도 5는 제1 및 제2 수신부를 구비한 도 1의 무선통신부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신호처리모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다.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FIG. 1 having first and second receivers,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of FIG. 5. It is also.

상기 이동 단말기(600)는 제1 및 제2 수신부(200, 500)을 구비한다. The mobile terminal 600 includes first and second receivers 200 and 500.

상기 제2 수신부(500)는 신호 분기부(520) 및 제2 스위치 모듈(530)을 더 구비한다.The second receiver 500 further includes a signal branch 520 and a second switch module 530.

상기 신호 분기부(520)는 상기 제2 신호를 제1 단자(p1)로 입력받아 제2 또는 제3 단자(p2, p3)로 출력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상기 제1 단자(p1)로 입력받아 제4 단자(p4)로 출력하는 트리플렉서(triplexer)이다.The signal branch unit 520 receives the second signal through the first terminal p1 and outputs the second or third terminal p2 and p3, and outputs the third signal to the first terminal p1. It is a triplexer that receives the input and outputs it to the fourth terminal p4.

상기 트리플렉서는 상기 제1 단자(p1) 및 상기 제2 내지 제4 단자(p2 ~ p4) 간 입출력 특성이 대역 통과(Band Pass) 특성을 갖는다. The triplexer has a band pass characteristic of input and outpu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terminal p1 and the second to fourth terminals p2 to p4.

상기 제2 스위치모듈(530)은 상기 GPS 신호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인 제1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부(531) 및 상기 GPS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인 제2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부(532)를 포함한다. The second switch module 530 includes a first switch unit 531 for switching at least one signal path of a first frequency band that is a lower frequency band than the GPS signal and a second frequency band that is higher than the GPS signal. The second switch unit 532 for switching at least one signal path of 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신호처리모듈(610)은 제1 및 제2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가중치(weighting factor)와 위상 값을 부가하여 합성하고,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부가된 가중치와 위상 값은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의 검출된 크기와 위상 값으로부터 결정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610 performs frequency conversion on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synthesizes by adding a weighting factor and a phase value,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The added weight and phase value are determined from the detected magnitude and phase value of the frequency converted signals.

상기 신호처리모듈(610)은 주파수 하향기(611), 신호검출기(612) 및 신호 합성부(613) 및 기저대역 처리부(614)를 포함한다.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610 includes a frequency downlinker 611, a signal detector 612, a signal synthesizer 613, and a baseband processor 614.

상기 주파수 하향기(611)는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제3 주파수 대역의 제4 및 제5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주파수 하향기(611)는 국부 발진기(LO:Local Oscillator)를 구비한다. RF 주파수(fRF:Radio Frequency)를 갖는 전자기 신호와 LO주파수(fLO:Local Oscillator)를 갖는 국부 발진기 신호를 곱하면 중간 주파수(fIF:Intermediate Frequency) 대역의 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중간 주파수(fIF) 는 상기 전자기 신호 및 국부 발진기 신호의 주파수를 각각 fRF 및 fLO라 할 때, fRF-fLO가 된다. 상기 제3 주파수 대역은 중간 주파수(fIF) 대역이고, 상기 제4 및 제5 신호는 상기 중간 주파수(fIF) 대역의 신호이다. The frequency downlinker 611 converts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into fourth and fifth signals of a third frequency band. The frequency downlinker 611 includes a local oscillator (LO). Multiplying an electromagnetic signal having an RF frequency (f RF : Radio Frequency) and a local oscillator signal having an LO frequency (f LO : Local Oscillator) produces a signal of an intermediate frequency (f IF ) band. The intermediate frequency f IF becomes f RF −f LO when the frequencies of the electromagnetic signal and the local oscillator signal are f RF and f LO , respectively. The third frequency band is an intermediate frequency f IF band, and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are signals of the intermediate frequency f IF band.

상기 신호검출기(612)는 상기 제4 및 제5 신호의 크기와 위상 값을 검출한다. 상기 신호검출기(612)에서 검출된 상기 제4 및 제5 신호의 크기와 위상 값은 상기 신호 합성부(613)로 전달된다. The signal detector 612 detects magnitudes and phase values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The magnitude and phase values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detected by the signal detector 612 are transmitted to the signal combiner 613.

신호 합성부(613)는 상기 신호 검출기(613)에 연결되어, 상기 제4 및 제5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같아지도록 상기 제4 및 제5 신호에 서로 다른 가중치(G 1 , G 2 )를 곱하고, 서로 다른 위상값(γ 1 , γ 2 )을 더하여 합성한다. The signal combiner 613 is connected to the signal detector 613 to apply different weights G 1 and G 2 to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so that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are the same. Multiply and add different phase values (γ 1 , γ 2 ) to synthesize.

기저대역 처리부(614)는 상기 합성된 신호에 대한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신호 처리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포함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614)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를 위한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ADC: Analog to Digtial Conversion)을 포함한다. The baseband processor 614 performs signal processing on the synthesized signal. The signal processing includes analog or digital signal processing. The baseband processor 614 includes analog to digital conversion (ADC) for the digital signal processing.

도 7은 신호처리모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록 구성도이다. 7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process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신호처리모듈(710)은 제1 및 제2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신호 대 잡음비(SNR: Signal to Noise Ratio)가 기설정된 값 이상이 되도록 연산된 가중치(weighting factor)와 위상 값을 부가하여 합성하고,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부가된 가중치와 위상 값은 상기 주파수 변환된 신호들을 합성한 신호에 대한 신호 대 잡음비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까지 가변된다. Referring to FIG. 7,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710 performs frequency conversion on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nd calculates a weighting factor calculated such that a signal-to-noise ratio (SN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synthesized by adding the phase value and the signal processing. The added weight and phase value are varied until the signal-to-noise ratio for the signal synthesized with the frequency-converted signal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상기 신호처리모듈(710)은 주파수 하향기(611), 신호 가변 합성부(712), 신호 검출기(713) 및 기저대역 처리부(714)를 포함한다.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710 includes a frequency downlinker 611, a signal variable synthesizer 712, a signal detector 713, and a baseband processor 714.

상기 신호 가변 합성부(712)는 상기 제4 및 제5 신호의 크기(G 1 , G 2 )와 위상 값(γ 1 , γ 2 )을 가변하여 합성한다. The signal variable synthesizing unit 712 varies and synthesizes the magnitudes G 1 and G 2 and the phase values γ 1 and γ 2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상기 신호 검출기(713)는 상기 신호 가변 합성부(712)에 연결되어 상기 합성된 신호의 신호 대 잡음비를 측정한다. The signal detector 713 is connected to the signal variable synthesizer 712 to measure a signal-to-noise ratio of the synthesized signal.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는 (714)는 상기 측정된 신호 대 잡음비가 상기 기설정된 값 이상이 될 때까지 상기 제4 및 제5 신호의 크기와 위상을 가변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상기 신호 가변 합성부(712)로 출력한다. The baseband processor 714 generates a control signal that varies the magnitude and phase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until the measured signal-to-noise ratio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predetermined value, thereby generating the control signal. The signal is output to the variable synthesizing unit 712.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the embodiments may b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Claims (10)

제1 및 제2 안테나와 수신증폭부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제1 신호경로를 통해 복수의 통신 서비스의 전자기 신호들 중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및
제2 및 제3 신호경로를 통해 상기 제1 신호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와 다른 주파수 대역의 제3 신호를 수신하는 제2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신호경로는 스위칭에 의해 상기 제1 안테나 및 수신 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스위칭 경로(swithcing path)이고, 상기 제2 신호경로는 상기 스위칭과 동기되어 상기 제2 안테나 및 수신 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스위칭 경로이고, 상기 제3 신호경로는 상기 제2 안테나 및 수신 증폭부 사이를 직접 연결한 직접 경로(direct path)인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first and a second antenna and a receiving amplifier,
A first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signal among electromagnetic signals of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services through the first signal path; And
A second receiver configured to receive a second signal having the same frequency band as the first signal and a third signal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band from the first signal through second and third signal paths;
The first signal path is a switching path form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reception amplifier by switching, and the second signal path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antenna and the reception amplifier in synchronization with the switching. And a third switching path, wherein the third signal path is a direct path directly connected between the second antenna and the reception amplifier.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제1 안테나;
상기 제1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신호를 증폭하는 제1 수신증폭부; 및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1 수신증폭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신호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1 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1 안테나 및 제1 수신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모듈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receiving unit
A first antenna;
A first reception amplifier configured to amplify the first signal received from the first antenna; And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first receiving amplifier,
And a first switch module configured to switch a plurality of signal paths formed between the first antenna and the first receiving amplifier to apply the first signal through the first signal path.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부는
상기 제1 수신증폭부 및 상기 스위치 모듈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송신 신호를 상호 분리하는 제1 듀플렉서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receiving unit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amplifier and the switch module,
And a first duplexer that separates the first signal and a first transmission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는
제 2 안테나;
상기 제2 안테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둘 이상의 경로로 분기하는 신호 분기부; 및
상기 신호 분기부로부터 분기된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증폭하는 제2 수신 증폭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econd receiver is
A second antenna;
A signal branch connected to the second antenna and branching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through two or more paths; And
And a second receiving amplifier for amplifying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branched from the signal branching unit.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기부는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제1 단자로 입력받고, 상기 제2 및 제3 신호를 각각 제2 및 제3 단자로 출력하는 제2 듀플렉서이고,
상기 제2 듀플렉서는
상기 제1 및 제2 단자 간 입출력 특성이 대역 저지(Band Rejection) 특성을 가지며,
상기 제1 및 제3 단자 간 입출력 특성이 대역 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ignal branch is
A second duplexer receiving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through a first terminal and outputting the second and third signals through a second terminal and a third terminal, respectively,
The second duplexer
The input and outpu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s have a band rejection characteristic,
The input and outpu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and the third terminal has a band pass characteristic of the mobile terminal.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기부는
상기 제2 신호를 제1 단자로 입력받아 제2 또는 제3 단자로 출력하고,
상기 제3 신호를 제1 단자로 입력받아 제4단자로 출력하는 트리플렉서이고,
상기 트리플렉서는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제 2 내지 제4 단자 간 입출력 특성이 대역 통과(Band Pass)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ignal branch is
Receiving the second signal through the first terminal and outputting the second or third terminal;
A triplexer for receiving the third signal through a first terminal and outputting the third signal to a fourth terminal;
The triplexer
The input and outpu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o fourth terminals has a band pass characteristic.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신부는
상기 신호 분기부 및 제2 수신증폭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신호경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신호가 인가되도록 상기 제2 안테나 및 제2 수신증폭부 사이에 형성된 복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 모듈을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receiver is
Disposed between the signal branch and the second receiving amplifier,
And a second switch module configured to switch a plurality of signal paths formed between the second antenna and the second receiving amplifier so that the second signal is applied through the second signal path.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위치 모듈은
상기 GPS 신호보다 낮은 주파수 대역인 제1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부; 및
상기 GPS 신호보다 높은 주파수 대역인 제2 주파수 대역의 적어도 하나의 신호경로를 스위칭하는 제2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second switch module
A first switch unit for switching at least one signal path of a first frequency band that is a lower frequency band than the GPS signal; And
And a second switch unit for switching at least one signal path of a second frequency band which is a higher frequency band than the GPS signa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신증폭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주파수 변환하여 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신호의 크기를 검출하는 전력 검출기;
상기 전력 검출기에 의하여 검출된 신호 세기들을 상호 비교하여 크기가 큰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비교기로부터 출력된 상기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에서 출력된 신호를 상기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기저대역 처리부를 포함하는 이동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amplifiers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by selecting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nd performing frequency conversion.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 power detector for detecting magnitudes of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 comparato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control signal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 signal having a large magnitude by comparing the signal strengths detected by the power detector with each other;
A switch for selecting and outpu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mparator; And
And a baseband processor convert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switch to the baseband signal to perform signal proces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수신증폭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주파수 변환하고, 가중치(weighting factor)와 위상 값을 부가하여 합성하고,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신호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처리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 신호를 제3 주파수 대역의 제4 및 제5 신호로 변환하는 주파수 하향기;
상기 제4 및 제5 신호의 크기와 위상 값을 검출하는 신호 검출기; 및
상기 신호 검출기에 연결되어, 상기 제4 및 제5 신호의 크기와 위상이 같아지도록 상기 제4 및 제5 신호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곱하고 서로 다른 위상값을 더하여 합성하는 신호 합성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ignal processing modul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amplifiers, frequency converting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adding and combining a weighting factor and a phase value, and performing signal processing. and,
The signal processing module
A frequency downlinker converting the first and second signals into fourth and fifth signals of a third frequency band;
A signal detector for detecting magnitudes and phase values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And
And a signal synthesizing unit connected to the signal detector and multiplying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by different weights and adding different phase values so that the magnitudes and phases of the fourth and fifth signals are equal to each other.
KR1020100133678A 2010-12-23 2010-12-23 Mobile Terminal KR10175034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78A KR101750343B1 (en) 2010-12-23 2010-12-23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3678A KR101750343B1 (en) 2010-12-23 2010-12-23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935A true KR20120071935A (en) 2012-07-03
KR101750343B1 KR101750343B1 (en) 2017-06-23

Family

ID=46706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3678A KR101750343B1 (en) 2010-12-23 2010-12-23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0343B1 (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7142A (en) * 2003-03-25 2004-10-21 Nippon Hoso Kyokai <Nhk> Diversity transmission apparatus, diversity reception apparatus, and diversity transmission system
KR100609588B1 (en) * 2004-12-29 2006-08-08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Triple band type mobile terminal of having a diversity 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0343B1 (en)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4121B2 (en) Transceiver with super-heterodyne and zero intermediate frequency (ZIF) topologies
US20090180403A1 (en) Multi-band and multi-mode radio frequency front-end module architecture
KR101713930B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of portab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090007725A (en) Cellular phone with integrated fm radio
GB2459919A (en) Combined communication and direction-finding apparatus
JP2002171315A (en) On-vehicle portable terminal equipment
TWI591892B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specific absorption ratio thereof
US20200296740A1 (en) Location based access to selected communication bands
CN112468177B (en) Radio frequency front-end circuit, electronic equipment and distance measuring method
KR20150130381A (en) Concurrent multi-system satellite navigation receiver with real signaling output
TW201301849A (en) Mobile apparatus with radio frequency architecture supporting simultaneous data and voice communications
CN114389727B (en) Method for detecting approach of life body to terminal equipment, terminal equipment and chip
US20150372702A1 (en) Filters for a frequency band
KR101750343B1 (en) Mobile Terminal
US8737352B2 (en) Communication system,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EP3907894A1 (en) Antenna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US10476538B2 (en) Method of controlling harmonics and mobile terminal performing thereof
CN115085826B (en) Transmitting power detection circuit,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150091865A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service
KR20070023209A (en) Apparatus for receiving radio broadcasting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2751937C (en) Communications device with multiple receive and transmit paths and related methods
JP2005311536A (en) Wireless apparatus
WO2024055721A1 (en) Terminal device
KR101688947B1 (en) Mobile Terminal
KR100243105B1 (en) Polarization delayed distributed antenna system for cdma mobile commun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