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1264A -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1264A
KR20120071264A KR1020100132936A KR20100132936A KR20120071264A KR 20120071264 A KR20120071264 A KR 20120071264A KR 1020100132936 A KR1020100132936 A KR 1020100132936A KR 20100132936 A KR20100132936 A KR 20100132936A KR 20120071264 A KR20120071264 A KR 201200712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on
horizontal portion
body portion
infrared light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환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1264A/ko
Publication of KR2012007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12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재귀 반사판 부착시 밀리지 않도록 브라켓을 구조를 변경하여 정확한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있는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장치는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적외선 광원과, 적외선의 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구비된 다수의 적외선 센서 모듈과, 상기 적외선 광원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수광부를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측으로 연결된 일측 수평부와, 상기 몸체부와 타측으로 연결된 타측 수평부와, 재귀 반사판 부착시 상기 적외선 광원이나 상기 센서부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반사판 방지턱이 구비된 다수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DISPLAY DEVICE USING OPTICAL SENSING UNIT}
본 발명은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재귀 반사판 부착시 밀리지 않도록 브라켓을 구조를 변경하여 정확한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있는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은 각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여러 방식 중의 하나로서, 사용자가 손이나 펜으로 화면을 직접 접촉함으로써 기기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다.
터치 스크린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어 있는 버튼을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것만으로 대화적, 직감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기 때문에, 현재 은행이나 관공서의 발급 장치, 각종 의료장비, 관광 및 주요 기관의 안내, 교통 안내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인식하는 방법에 따라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 용량 방식(Capacitive Type), 초음파 방식(Ultrasonid Wave Type), 적외선 방식(Infrared Type) 등이 있다.
상술한 각 방식의 이점은 각기 상이하지만, 근래에는 터치면이 받는 압력을 최소화하고, 배치의 편리성으로 적외선 방식의 터치 스크린이 주목되고 있다.
적외선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액정 표시 패널의 양측 코너에 두 개의 적외선 센서 모듈을 배치시킨다. 적외선 센서 모듈은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적외선 광원과, 입사된 광을 센싱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 모듈로부터 출광된 빛은 각 변의 재귀 반사판에 의해 브라켓의 수광부로 재 입사하게 되고, 적외선 센서 카메라의 센서에 의해 터치 지점을 인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출광된 빛이 반사되어 재입사하기 위해 각 적외선 센서 카메라와 대응되는 면에 재귀 반사판을 부착한다. 이러한, 재귀 반사판 부착시 밀리게 되면, 센서부와 적외선 광원의 시야를 가리게 되어 터치 인식을 제대로 할 수 없게 되는 오동작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재귀 반사판 부착시 밀리지 않도록 브라켓을 구조를 변경하여 정확한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있는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는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적외선 광원과, 적외선의 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구비된 다수의 적외선 센서 모듈과, 상기 적외선 광원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수광부를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측으로 연결된 일측 수평부와, 상기 몸체부와 타측으로 연결된 타측 수평부와, 재귀 반사판 부착시 상기 적외선 광원이나 상기 센서부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반사판 방지턱이 구비된 다수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반사판 방지턱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일측 수평부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타측 수평부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 방지턱은 상기 일측 수평부 또는 상기 타측 수평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과, 상기 몸체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사판 방지턱은 상기 일측 수평부 또는 상기 타측 수평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과, 상기 제1 방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판 방지턱은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사판 방지턱은 몸체부와 일측 수평부 사이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반사판 방지턱은 몸체부와 일측 수평부 사이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3 반사판 방지턱은 몸체부와 타측 수평부 사이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 반사판 방지턱은 몸체부와 타측 수평부 사이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 각각은 상기 일측 수평부 또는 상기 타측 수평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과, 상기 몸체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 각각은 상기 일측 수평부 또는 상기 타측 수평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과, 상기 제1 방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장치는 적외선 광원과 센서부와 인접한 위치에 반사판 방지턱을 형성하여 재귀 반사판 부착시 밀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귀 반사판 부착 공정 시 밀리지 않고 정확한 위치에 부착할 수 있어 적외선 광원 또는 센서부를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그에 따른 정확한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의 부착 숙력도가 부족할 경우에도 반사판 방지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므로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이 증가되고, 반사판 방지턱은 브라켓으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형성함으로써 많은 추가 비용없이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모듈을 배치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센싱 유닛이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6는 반사판 방지턱의 다른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반사판 방지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반사판 방지턱에 형성된 브라켓에 재귀 반사판이 부착된 사사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하며, 공지된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함에 유의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적외선 센서 모듈을 배치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브라켓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광학 센싱 유닛이 조립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는 반사판 방지턱의 다른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반사판 방지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반사판 방지턱에 형성된 브라켓에 재귀 반사판이 부착된 사사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100)과, 표시 패널(100) 상에 터치된 위치를 광학적 방식으로 검출하는 광학 센싱 유닛과, 표시 패널(100) 및 광학 센싱 유닛을 감싸는 탑 케이스(110)와, 표시 패널(100)을 수납하고 아래에서 지지하는 바텀 케이스(미도시)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100)은 서로 마주보는 하부 기판(102) 및 상부 기판(104) 사이에 중간층을 개재하여 합착된 것이다. 중간층은 표시 패널(100)이 구동되는 원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액정, 전기 영동 물질, 유기 발광 물질, 전계 발광 물질일 수 있다. 중간층 성분에 따라 액정 표시 패널,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전계 방출 표시 패널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중간층의 성분이 액정인 액정 표시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액정 표시 패널(100)은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박막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상부 기판(104)과, 칼러 구현을 위한 칼러 필터가 형성된 하부 기판(102)과,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되는 화소 전극과, 화소 전극과 수직 전계 또는 수평 전계를 형성하는 공통 전극을 포함한다.
칼러 필터는 블랙 매트릭스를 기준으로 색이 구분되도록 상부 기판(104) 상에 형성된다. 이 칼러 필터는 R, G, B 별로 형성되어 R, G, B 색상을 구현한다.
공통 전극은 상부 기판(104)의 배면 상에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어 화소 전극과 수직 전계를 이룰 수 있으며, 하부 기판(102) 상에 투명 도전막으로 형성되어 화소 전극과 수평 전계를 이룰 수 있다. 이러한 공통 전극에는 액정 구동을 위한 기준 전압, 즉 공통 전압이 공급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하부 기판(102) 상에 형성되며 게이트 라인으로부터의 게이트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으로부터의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화소 전극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라인과 접속된 게이트 전극, 데이터 라인과 접속된 소스 전극, 화소 전극과 접속된 드레인 전극, 게이트 전극과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중첩되면서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활성층, 그 활성층과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의 오믹 접촉을 위한 오믹 접촉층을 구비한다.
화소 전극은 각 화소 영역에서 칼라 필터(R, G, B)와 중첩되도록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접속된다. 또한, 화소 전극은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공통 전극과 중첩되어 수직 전계를 형성하거나, 동일 기판에 형성되어 수평 전계를 형성한다. 이러한, 화소 전극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해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면, 공통 전압이 공급된 공통 전극과 수직 전계 또는 수평 전계를 형성하여 수직 방향으로 배열된 액정 분자들이 유전율 이방성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액정 분자들의 회전 정도에 따라 화소 영역을 투과하는 광 투과율이 달라지게 됨으로써 계조를 구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 패널은 두 기판에 각각 전극을 설치하고 액정 방향자가 90°트위스트 되도록 배열한 다음, 전극에 전압을 가하여 액정 방향자를 구동하는 트위스트 네마틱(Twisted-Nemaitc; TN) 방식, 하나의 기판 상에 두 개의 전극을 형성하고 두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평 전계로 액정의 방향자를 조절하는 IPS(In-Plane Swiching) 모드, 두 개의 전극을 투명 전도체로 형성하면서 두 개의 전극 사이의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프린지 필드에 의해 액정 분자를 동작시키는 FFS(Fringe Field Swiching) 모드 방식 등의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광학 센싱 유닛은 액정 표시 패널(100)에서 화상이 표시되는 화소 어레이의 네 모서리 중 적어도 두 위치에 적외선 센서 모듈들(120,150,180)을 배치하여 액정 표시 패널(100) 상에 터치된 위치를 광학적 방식으로 검출한다. 이러한, 광학 센싱 유닛은 적외선을 발광하고, 적외선의 변화를 센싱하는 다수의 적외선 센서 모듈들(120,150,180)과, 적외선 센서 모듈(120,150,180)을 삽입 고정하는 하우징(140,170,200)과, 하우징(140,170,200)을 안착시키며 탑 케이스(110)의 코너에 조립되는 브라켓(130,160,190)과, 브라켓(130,160,190) 및 가이드 구조물(352,354)에 부착되어 입사된 광을 반사하는 재귀 반사판(252)을 포함한다.
광학 센싱 유닛은 제1 내지 제3 적외선 센서 모듈들(120,150,180)이 액정 표시 패널(100)의 세 모서리 각각에 배치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적외선 센서 모듈(120)은 액정 표시 패널(100)의 일측 상부 코너에 위치한 제1 브라켓(130)과 체결되며, 제1 적외선 센서 모듈(120)은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제1 적외선 광원(122)과, 광의 출사각을 조절하는 제1 조명계 렌즈(미도시)와, 수광된 광을 집광하는 제1 대물 렌즈(미도시)와, 집광된 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1 센서부(124)와, 제1 적외선 광원(122) 또는 제1 센서부(124) 전면에 위치하여 적외선 광만을 투과하도록 필터링하는 제1 광학 필터(12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 적외선 광원(122)은 액정 표시 패널(100)의 일측 상부 코너에서 화소 어레이로 광을 출사한다. 제1 적외선 광원(122)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재귀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제1 수광부로 입사하게 되고, 제1 센서부(124)에 의해 터치 지점을 인식하게 된다. 제1 적외선 센서 모듈(120)은 액정 표시 패널(100)의 일측 상부 코너에서 광을 0°~ 90°의 범위로 출사하거나 입사한다. 이때, 제1 적외선 센서 모듈(120)의 출사광 및 입사광에 대한 각도는 0°~ 90°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으며, 0°~ 180°일 수 있다.
제2 적외선 센서 모듈(150)은 액정 표시 패널(100)의 타측 상부 코너에 위치한 제2 브라켓(160)과 체결되며, 제2 적외선 센서 모듈(150)은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제2 적외선 광원(152)과, 광의 출사각을 조절하는 제2 조명계 렌즈(미도시)와, 수광된 광을 집광하는 제2 대물 렌즈(미도시)와, 집광된 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2 센서부(154)와, 제2 적외선 광원(152) 또는 제2 센서부(154) 전면에 위치하여 적외선 광만을 필터링하는 제2 광학 필터(15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적외선 센서 모듈(150)은 액정 표시 패널(100)의 타측 상부 코너에서 화소 어레이로 광을 출사한다. 제2 적외선 광원(152)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재귀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제2 수광부로 입사하게 되고, 제2 센서부(154)에 의해 터치 지점을 인식하게 된다. 제2 적외선 센서 모듈(150)은 액정 표시 패널(100)의 타측 상부 코너에서 광을 0°~ 90°의 범위로 출사하거나 입사한다. 이때, 제2 적외선 센서 모듈(150)의 출사광 및 입사광에 대한 각도는 0°~ 90°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으며, 0°~ 180°일 수 있다.
제3 적외선 센서 모듈(180)은 액정 표시 패널(100)의 일측 하부 코너에 위치한 제3 브라켓(190)과 체결되며, 제3 적외선 센서 모듈(180)은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제3 적외선 광원(182)과, 광의 출사각을 조절하는 제3 조명계 렌즈(미도시)와, 수광된 광을 집광하는 제3 대물 렌즈(미도시)와, 집광된 광을 감지하는 복수의 제3 센서부(184)와, 제3 적외선 광원(182) 또는 제3 센서부(184) 전면에 위치하여 적외선 광만을 필터링하는 제3 광학 필터(186)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3 적외선 센서 모듈(180)은 액정 표시 패널(100)의 일측 하부 코너에서 화소 어레이로 광을 출사한다. 제3 적외선 광원(182)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재귀 반사판에 의해 반사되어 제3 수광부로 입사하게 되고, 제3 센서부(184)에 의해 터치 지점을 인식하게 된다. 제3 적외선 센서 모듈(180)은 액정 표시 패널(100)의 일측 하부 코너에서 광을 0°~ 90°의 범위로 출사하거나 입사한다. 이때, 제3 적외선 센서 모듈(180)의 출사광 및 입사광에 대한 각도는 0°~ 90°의 범위로 한정하지 않으며, 0°~ 180°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적어도 두 지점을 터치하게 되면, 실제 터치 지점 외에 가상 터치 지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1 적외선 센서 모듈(120)과 제2 적외선 센서 모듈(150)로 측정된 터치 지점의 좌표와 제2 적외선 센서 모듈(120)과 제3 적외선 센서 모듈(180)로 측정된 터치 지점의 좌표를 비교하여 실제 터치 지점과 가상 터치 지점을 구별할 수 있다. 또한, 제1 적외선 센서 모듈(120)과 제2 적외선 센서 모듈(150)은 액정 표시 패널(100) 상측 양편에 위치하여 광을 감지하지 못하거나 광을 출사하기 어려운 데드 존 영역이 발생된다. 이때, 제3 적외선 센서 모듈(180)은 액정 표시 패널(100) 하측에 위치하여 데드 존 영역에 대한 광을 감지하거나 데드 존 영역에 광을 출사하게 되어 이를 개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100)의 세 모서리 각각에 적외선 센서 모듈들(120,150,180)을 위치하여 정확한 터치 지점을 측정하며, 데드 존 영역을 보상할 수 있다.
하우징들(140,170,200)은 제1 적외선 센서 모듈(120)을 삽입 고정하는 제1 하우징(140)과, 제2 적외선 센서 모듈(150)을 삽입 고정하는 제2 하우징(170)과, 제3 적외선 센서 모듈(180)을 삽입 고정하는 제3 하우징(200)을 포함한다.
브라켓들(130,160,190)은 제1 적외선 센서 모듈(120)과 체결되는 제1 브라켓(130)과, 제2 적외선 센서 모듈(120)과 체결되는 제2 브라켓(160)과, 제3 적외선 센서 모듈(120)과 체결되는 제3 브라켓(190)을 포함한다.
제1 브라켓(130)은 탑 케이스(110)의 일측 상부 코너에 조립된다. 제1 브라켓(130)은 복수의 제1 적외선 광원(1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이 출사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제1 발광부(132b)와, 복수의 제1 센서부(12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제1 수광부(132a)를 가지는 제1 몸체부(132)와, 제1 몸체부(132)와 일측으로 연결된 제1 일측 수평부(134)와, 제1 몸체부와 타측으로 연결된 제1 타측 수평부(136)를 포함한다.
제2 브라켓(160)은 탑 케이스(110)의 타측 상부 코너에 조립된다. 제2 브라켓(160)은 복수의 제2 적외선 광원(15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이 출사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제2 발광부(162b)와, 복수의 제2 센서부(15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제2 수광부(162a)를 가지는 제2 몸체부(162)와, 제2 몸체부(162)와 일측으로 연결된 제2 일측 수평부(164)와, 제2 몸체부(162)와 타측으로 연결된 제2 타측 수평부(166)를 포함한다.
제3 브라켓(190)은 탑 케이스(110)의 일측 하부 코너에 조립된다. 제3 브라켓(190)은 복수의 제3 적외선 광원(18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이 출사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제3 발광부(192b)와, 복수의 제3 센서부(184)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제3 수광부(192a)를 가지는 제3 몸체부(192)와, 제3 몸체부(192)와 일측으로 연결된 제3 일측 수평부(194)와, 제3 몸체부(192)와 타측으로 연결된 제3 타측 수평부(196)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브라켓(130,160,190) 각각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귀 반사판 부착시 적외선 광원(122,152,182)이나 센서부(124,154,184)에 밀려 붙여 적외선 광원(122,152,182)이나 센서부(124,154,184)를 가리지 않도록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 방지턱(21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반사판 방지턱(210)은 적외선 광원(122)이나 센서부(124)를 가리지 않도록 몸체부(132)와 일측 수평부(134)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몸체부(132)와 타측 수평부(136)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반사판 방지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수평부(134) 또는 타측 수평부(136)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214)과, 몸체부(132)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212)을 포함한다. 제1 방지면(214)은 일측 수평부(134) 또는 타측 수평부(136)와 이루는 각이 90°이므로 일측 수평부(134)와 타측 수평부(136)에 재귀 반사판이 수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제2 방지면(212)은 몸체부(132)와 이루는 각이 90°이므로 재귀 반사판 부착시 수광부(132a) 또는 발광부(132b)를 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제2 방지면(212)은 발광부(132b)로부터 출사되는 적외선 광이 액정 표시 패널(100) 방향 외로 분산되지 않고 액정 표시 패널(100)로 출사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도 해준다. 이와 같은 구조의 반사판 방지턱(21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삼각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판 방지턱(210,220)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방지면(224)이 일측 수평부(134) 또는 타측 수평부(136)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제2 방지면(222)이 제1 방지면(224)과 수직을 이루는 구조로 반사판 방지턱(220)이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판 방지턱(210,220)은 직각 삼각형 형태 또는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으며, 원형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할 수 있으므로 돌출된 형태는 사용자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반사판 방지턱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32)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32)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구조물들(152,154)은 액정 표시 패널(100)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탑 케이스(110)와 체결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광학 센싱 유닛 중 반사판 방지턱을 제외하고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예 따른 제1 내지 제3 브라켓(130,160,190) 각각에는 재귀 반사판 부착시 적외선 광원(122)이나 센서부(124)에 밀려 붙여 적외선 광원(122)이나 센서부(124)를 가리지 않도록 적어도 두 개의 반사판 방지턱(232a,232b,234a,234b)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반사판 방지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232a,232b,234a,234b)을 포함한다. 제1 반사판 방지턱(232a)은 몸체부(132)와 일측 수평부(134) 사이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2 반사판 방지턱(232b)은 몸체부(132)와 일측 수평부(134) 사이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3 반사판 방지턱(234a)은 몸체부(132)와 타측 수평부(136) 사이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제4 반사판 방지턱(232b)은 몸체부(132)와 타측 수평부(136) 사이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232a,232b,234a,234b) 각각은 일측 수평부(134) 또는 타측 수평부(136)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과, 몸체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232a,232b,234a,234b)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방지면으로 이루어진 직각 삼각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 수평부(134) 또는 타측 수평부(136)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과, 제1 방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으로 이루어진 이등변 삼각형 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반사판 방지턱(232a)은 재귀 반사판 부착시 일측 수평부(134)의 상부에서 가이드 해주며, 제2 반사판 방지턱(232b)은 재귀 반사판 부착시 일측 수평부(134)의 하부에서 가이드 해줌으로써 재귀 반사판 부착시 재귀 반사판이 일측 수평부(134)와 수직으로 정확하게 부착될 수 있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3 반사판 방지턱(234a)은 재귀 반사판 부착시 타측 수평부(136)의 상부를 가이드 해주며, 제4 반사판 방지턱(234b)은 재귀 반사판 부착시 타측 수평부(136)의 하부를 가이드를 해준다.
이에 따라, 브라켓(130,160,190)에 재귀 반사판 부착시 정확한 위치에 부착되어 재귀 반사판이 적외선 광원(122)이나 센서부(124)를 가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확한 터치 지점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반사판 방지턱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232a,232b,234a,234b)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32)와 일측 수평부(134) 사이에 중앙부와, 몸체부(132)와 타측 수평부(136) 사이에 중앙부에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반사판 방지턱의 갯수나 위치는 한정하지 않으며, 사용자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100 : 액정 표시 패널 102 : 하부 기판
104 : 상부 기판 110 : 탑 케이스
120,150,180 : 제1 내지 제3 적외선 센서 모듈
122,152,182 : 제1,2,3 적외선 광원 124,154,184 : 제1,2,3 센서부
126,156,186 : 제1,2,3 광학 필터
130,160,190 : 제1 내지 제 3브라켓
140,170,200 : 제1,2,3 하우징 210,220 : 반사판 방지턱
212,222 : 제1 방지면 214,224 : 제2 방지면
232a,232b,234a,234b :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

Claims (7)

  1.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적외선 광원과, 적외선의 변화를 센싱하는 센서부가 구비된 다수의 적외선 센서 모듈과;
    상기 적외선 광원과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이 출사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발광부와, 상기 센서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적외선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홀로 형성된 수광부를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와 일측으로 연결된 일측 수평부와, 상기 몸체부와 타측으로 연결된 타측 수평부와, 재귀 반사판 부착시 상기 적외선 광원이나 상기 센서부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적어도 두개의 반사판 방지턱이 구비된 다수의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방지턱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일측 수평부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와 상기 타측 수평부 사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방지턱은
    상기 일측 수평부 또는 상기 타측 수평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과;
    상기 몸체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방지턱은
    상기 일측 수평부 또는 상기 타측 수평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과;
    상기 제1 방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 방지턱은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반사판 방지턱은 몸체부와 일측 수평부 사이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2 반사판 방지턱은 몸체부와 일측 수평부 사이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3 반사판 방지턱은 몸체부와 타측 수평부 사이의 상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4 반사판 방지턱은 몸체부와 타측 수평부 사이의 하부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 각각은
    상기 일측 수평부 또는 상기 타측 수평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과;
    상기 몸체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반사판 방지턱 각각은
    상기 일측 수평부 또는 상기 타측 수평부와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1 방지면과;
    상기 제1 방지면과 수직을 이루도록 형성된 제2 방지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KR1020100132936A 2010-12-22 2010-12-22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KR201200712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936A KR20120071264A (ko) 2010-12-22 2010-12-22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936A KR20120071264A (ko) 2010-12-22 2010-12-22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1264A true KR20120071264A (ko) 2012-07-02

Family

ID=46706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936A KR20120071264A (ko) 2010-12-22 2010-12-22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12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6352B2 (en) 2015-03-31 2021-01-05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86352B2 (en) 2015-03-31 2021-01-05 Samsung Display Co., Ltd. Pix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6576B2 (en) Touch panel, liquid crysta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ouch panel-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8970554B2 (en) Assembly having display panel and optical sensing frame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KR101407300B1 (ko) 멀티 터치 평판 표시모듈
US8624876B2 (en) Display device having optical sensing frame and method for detecting touch using the same
US865956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optical sensing frame and method of sensing touch
US8803846B2 (en) Method for detecting touch and optical touch sensing system
US8102378B2 (en) Display having infrared edge illumination and multi-touch sensing function
US8659578B2 (en) Optical sensing unit,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120012571A (ko) 광학 터치 스크린 및 그의 조립 방법
KR101210702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광학 터치 스크린
KR20120009604A (ko) 카메라 모듈 및 그를 구비한 광학 터치 스크린
JP6117138B2 (ja) センサ付き表示装置
KR101715851B1 (ko) 광학 센싱 유닛, 이를 이용한 표시 모듈 및 표시 장치
TWI578208B (zh) 光學觸控螢幕
KR20190092651A (ko)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TWI578209B (zh) 攝像機模組及使用其之光學觸控螢幕
KR101351420B1 (ko) 광학 센싱 프레임을 갖는 표시 장치
KR101706236B1 (ko)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KR20120071264A (ko) 광학 센싱 유닛을 이용한 표시 장치
KR101735387B1 (ko) 적외선 센서 모듈 및 이를 이용한 표시 장치
KR20110075723A (ko) 터치 어셈블리 일체형 표시 장치의 터치 감도 보상 방법
JP6446492B2 (ja) センサ付き表示装置、表示装置用の駆動回路、及び、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120072095A (ko) 적외선 센서 모듈을 이용한 표시 장치
KR20080096974A (ko) 광학방식 터치스크린
KR101612151B1 (ko) 광학 터치 스크린 및 그의 조립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