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989A -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989A
KR20120070989A KR1020100132554A KR20100132554A KR20120070989A KR 20120070989 A KR20120070989 A KR 20120070989A KR 1020100132554 A KR1020100132554 A KR 1020100132554A KR 20100132554 A KR20100132554 A KR 20100132554A KR 20120070989 A KR20120070989 A KR 201200709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rtar
gypsum
strength
concrete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치호
지석원
이현우
김상헌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32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0989A/ko
Publication of KR20120070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9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5Gyps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0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with inorganic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고를 포함하는 내화성을 가지는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with Fire-Resistance of Light-Weight Mortar for Plaster comprising Gypsum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시화와 함께 건축물의 대형화, 고층화 및 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고강도 콘크리트는 낮은 물 시멘트 비, 내부 공극의 감소, 부재 단면 크기의 감소에 따라 화재 시 보통 콘크리트보다도 콘크리트 내부의 수증기압 상승 및 박리에 의한 철근 노출 등의 문제점이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 같은 고강도 콘크리트는 화재에 취약하여 폭렬 및 화재에 대한 기타 내구적인 문제로 인해 거주자의 안전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앉고 있으므로, 고강도 콘크리트의 화재 대응형 자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고강도 콘크리트는 화재에 취약하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내화성능이 확보되어야 하며, 국토해양부에서는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보의 내화성능 관리기준을 마련하여 강도 50MPa 이상의 콘크리트 구조체에는 반드시 화재 시 규정된 시간 안에 구조체의 주 철근 온도가 평균 538℃, 최고 649 ℃이하가 되도록 고시하고 있으며, 구조체의 내화성능실험도 KS F 2257(1-9)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정하고 있다.
이러한 화재에 관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보편적으로 콘크리트에 각종 유기섬유를 혼입하여 내부 수증기압을 감소시켜 화재로 인한 폭렬 혹은 박락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지만, 콘크리트 타설 시 시공성 저하 및 화재 후 보수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또한 이 방법은 콘크리트 구조체의 전 부분에 걸쳐 적용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이지 못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의 직접적인 향상을 위해서는 고강도 콘크리트가 화재로 인한 열을 받는 부위로부터 열을 직접적으로 차단해 줄 수 있는 내화피복 공법이 좀 더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에 있어서 경량골재를 사용하며 석고를 5?15%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을 가지는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결합재:잔골재 용적비가 1:1?1:2인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강도 콘크리트에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두께 30mm 이상으로 피복하여 내화성을 획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경량골재를 사용하며 석고를 5?15%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량의 공극을 함유하고 있는 경량골재를 잔골재로 활용한 경량 모르타르에 내화성능 향상이 예상되는 석고를 혼입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피복용 바름재로서 사용하기 위한 최적의 배합을 도출하고, 바름재의 내화 성능을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경량골재를 사용한 경량 모르타르에 석고를 혼입하여 내화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량 골재 및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혼화재료인 석고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경량 모르타르를 바름재로 사용하기 위한 배합의 범위를 설정하기 위하여, 예비실험을 통해 최소한의 슬럼프 Flow 범위를 설정하였고, 본 실험을 통해 경량 모르타르의 기본 물성 및 성능을 확인하고, 이를 분석하여 최적의 배합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체에 바름재로서 적용하여 내화실험을 통해 화재 시 구조체의 온도 이력을 파악하여 내화피복용 바름재의 내화성능을 고찰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진행되었으며, 본 발명의 범위와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예비실험을 통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사용가능한 배합 범위 설정
예비실험을 통해 경량 모르타르를 바름재로 사용하기 위한 슬럼프 Flow 치를 각 배합비(시멘트:잔골재 용적비)별최고, 중간, 최저로 구분하여 사용 가능한 범위를 설정하였다. 이것은 경량 모르타르를 바름재로 사용할 때, 바름재로서 흐르지 않고 일정부분 미장효과를 얻을 수 있는 최소한의 범위 설정을 목적으로 한다.
2) 경량 모르타르 물성 및 바름재 실험
예비실험을 통해 선별된 배합을 각 배합비의 최고, 중간, 최저 슬럼프 Flow 범위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경량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슬럼프 Flow, 점도 실험, 단위용적질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경량 모르타르를 바름재로 적용하기 위해 KS에서 규정하고 있는 바름재의 기준에 따라 열전도율과 부착강도를 측정해 비교분석하였으며, 전기로를 이용해 가열하여 열화 후 그 성상을 관찰하였다.
3)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내화성능 실험
내화실험을 통해 60MPa급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체에 경량 모르타르를 바름재로 적용하였을 때의 온도 상승 분포 및 폭열, 박락 유무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경량 모르타르의 물성 및 바름재의 성능 실험을 통해 최적의 성능을 갖는 배합을 선별하였고, 이를 두께 별로 구분하여 내화 피복 두께 별 온도분포를 비교분석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건축물에 대한 사회의 요구 증대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의 사용 빈도는 증대되고 있다. 이와 같은 고강도 콘크리트 제조 방법에는 일반적으로 혼화재를 이용하여 강도를 높이는 방법과 고성능 감수제 등의 화학적 혼화제를 이용하여 물-결합재비(W/B)를 낮추어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범위에 대한 정의는 재료 및 공법의 발달로 오늘날까지 변화해 왔다. 미국은 ACI Commitee 363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범위를 41MPa 이상으로 규정하였고, 일본은 사양서 JASS 5에서 36120MPa로 규정, 고강도 콘크리트의 범위를 비교적 광범위하게 규정하였다. 영국은 BS 8110에서 40MPa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고강도 콘크리트를 28일 재령 시, 일반골재 콘크리트는 40MPa 이상, 경량 콘크리트는 27MPa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경우 별도의 내화성능을 갖추도록 하고 있으며, 28일 재령 압축강도 50MPa 이상의 콘크리트 구조체에는 반드시 화재 시 규정된 시간 안에 구조체의 주 철근 온도가 평균 538, 최고 649 이하가 되도록 고시하고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일반적으로 저온 조건하에서는 탄성재료의 특성을 나타내지만, 고온 조건하에서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수화합성물(C-S-H, Ca(OH)2 등)의 변화에 따라 소성재료의 특성을 나타낸다. 고온에서 고강도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은 물-결합재비(W/B), 골재의 형태, 수분 함유량, 공극량, 등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가 열을 받으면, 시멘트 메트릭스 내의 결합수가 증발하기 시작하여, C-S-H 수화물, 에트린자이트, 모노 설페이트, 알루미네이트 등의 수화생성물의 수분 증발이 나타나고, 약 500℃ 이상에서는 콘크리트 알칼리성의 대표적인 수화물인 Ca(OH)2이 팽창 및 분해되어 콘크리트의 중성화 현상이 나타난다.
온도범위
(℃)
변화 온도의 영향
30?120 내부 수증기의 증발 수분 증발은 100℃이하에서 비교적 큰 공극 으로부터 시작
공극의 크기에 따라 발열온도 다름
30?300

120?600
겔의 붕괴
(시멘트 페이스트 탈수 시작)

화학 흡착수 방출
C-S-H계 수화물: C-S-H
에트린자이트: C3A3CSH32
모노 설페이트: C3A3CSH12
알루미네이트계 수화물: C3AH2
이수석고: CaSO42H2O
수산화 칼슘: Ca(OH)2
570 석영의 변태 석영결정의 변태
알파→베타SiO2
600?700 C-S-H상의 분해 C2S의 생성
600?900 탄산칼슘의 분해 SiO2의 함유량이 많을수록 분해온도 저하
CaCO2 →CaO + CO2
1100?1200 콘크리트의 융해 시멘트 페이스트의 융점은 약 1200℃이며, 화 학조성에 따라 다름
골재의 융점은 현무암이 1060℃, 규암이 1700℃ 화강암은 이보다 낮음
표 1은 고온 조건 하에서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물성변화를 나타낸 표이다
고온에서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물성 변화에 따라 역학적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1) 압축강도의 저하
고온조건의 영향을 받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는 콘크리트 내부의 열응력 변화와 동시에 콘크리트의 성능을 저하시킨다. 각종 재료의 복합체인 콘크리트는 고온 조건하에서 골재가 팽창하고 동시에 시멘트 수화물은 100℃ 부근에서 수축하여 그 불균질성 때문에 자기변형응력이 발생한다. 이 자기변형응력에 의해 콘크리트 내부에 미세 균열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고강도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압축강도는 골재의 영향도 받는데,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경우에서도 골재의 종류와 상관없이 상온에서 480℃까지 골재의 강도 저하가 나타나며, 특히 실리카계열의 골재는 480 ℃ 이후 강도 저하가 다른 골재보다 크다고 보고된 바 있다.
2) 탄성계수의 저하
탄성계수는 압축강도 실험에 있어서 응력-변형도 곡선의 1/3 혹은 1/4에 해당되는 초기 탄성 변형 기울기를 의미한다. 고온 조건에서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온도 증가에 따라 저하되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골재와 시멘트 메트릭스로 알려져 있다. 콘크리트는 200℃ 부근에서 내부의 수증기가 증발하여 공극이 생기게 되고, 변형회복능력이 급격히 저감된다. 이후 600℃에서는 콘크리트의 시멘트 페이스트, 골재, 및 시멘트 페이스트와 골재 사이의 부착강도가 저하하여 탄성계수가 저감된다.
3) 응력-변형 곡선
일반조건 하에서의 고강도 콘크리트의 응력-변형 곡선은 보통강도 콘크리트에 비하여 급격히 최대 응력에 도달하고, 최대 응력 이후 급격한 하강으로 보인다. 열이 가해지는 경우, 보통강도 콘크리트는 100℃까지 탄성재료의 특징을 200℃에서 최대 응력에 도달할 후 소성재료의 특성을 보이는 반면, 고강도 콘크리트는 200℃까지 탄성재료의 특성을 보이지만, 300 ℃ 이상에서는 소성재료의 특성을 보이며, 보통강도 콘크리트에 비하여 최대 응력 이후 잔존 강도가 적기 때문에, 구조체로서 더욱 위험할 수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폭열(Spalling)은 콘크리트가 고온조건에 노출되었을 경우, 내부에 수분의 급격한 온도상승으로 수증기가 되어 콘크리트 중의 틈새로 방출되는데, 방출 속도보다 수증기 발생속도가 빠르면 증기압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표면이 폭발하듯이 떨어져 나오는 현상이다. 폭열은 특히 고강도 콘크리트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이는 조직이 매우 치밀하기 때문에 내부 수증가가 이동하기 어려워 증기압에 의해 인장강도를 초과하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폭열현상은 콘크리트의 종류 및 함수율, 골재의 종류 및 구조체의 온도상승 패턴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구분 균열 박락 팝아웃 폭열
표층폭열 심층폭열
형상 균열형태 박락 및 들뜸 비산
형태 - 일시형 일시연속형
발생시기 화재시 전구간 화재 초기 화재 초기 및 전구간
피해장소 표층부 전체 부재 모서리 표면 및 골재 표층 및 띠철근 띠철근 및 주철근 부위
주요원인 급격한 온도상승에 따른 부재의 열응력 전반
물의 탈수로 인한 화학 적변화
열팽창 및 수축
내력상실에 의한 박락
철근과밀 배근
열응력
골재의 폭열
수증기압
열응력
골재
피해대상 콘크리트 표면부 콘크리트 표층부 콘크리트 심층부
일반강도 콘크리트 경량, 고강도 콘크리트
표 2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열을 나타낸 표이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보강 방안에는 표 3과 같이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내에 유기섬유를 혼입하는 방법과 폭렬비산을 방지하는 방법, 그리고 내화피복 공법이 있다.
내부 수증기압 저감 폭렬 비산 방지 표층 온도상승 억제 폭렬 억제형 피복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유기섬유 혼입 와이어메쉬, 메탈라스,
강판 등 보강
내화보드, 내화뿜칠,
내화도료, 내화모르타르
폭렬억제형 영구거푸집
강도에 따른 검 증 필요
가장경제적인 공법
시공성 저하 고려 필요
수열온도 제어는 곤란
단순히 비산 방지 효과
내화성능 관리기 준 대응 곤란
다른 공법과의 병 용 필요
내화성능 우수
추가 공정 필요
재료 선정주의 필 요
박리, 박락, 내구 성
내화성능 우수
개발단계로서 실 적 없음
재료 선정 및 생 산방법 검증 필요
표 3은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성능 보강 방안이다.
표 3의 방법 중 내부 수증기압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유기섬유를 혼입하는 방법은 콘크리트의 시공성이 저하되고 구조체 전체에 적용되어 경제적 효율성이 모호하며 화재 후 보수 및 보강에도 어려움이 있다. 또한 폭렬비산을 방지하는 방법 역시 단순히 비산을 방지하는 효과 외에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체에 요구되는 내화성능을 만족시키기 쉽지 않다.
반면 표면층의 온도상승을 억제시키는 내화피복 공법은 화재로 인한 열로부터 콘크리트를 직접적으로 차단시켜 줄 수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고 우수한 내화보강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화피복재는 무기질 재료가 대부분으로 화재 시 부재의 온도 상승을 막는 단열성능 이외에도 건축물의 일부분으로서 일정한 강도를 가지며 경량이어야 하고, 시공성 및 경제성을 갖추어야 한다. 특히 단열성이 우수한 경량 재료 중에서 고온 시 열전도율이 증대되어 단열성능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으며, 가열시 충격에 의하여 균열이 발생하거나 박락을 일으키기 쉬운 것은 내화성능이 그만큼 저하되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내화피복재 및 피복공법의 선택 시 건축물의 용도 와 규모에 따라 내화피복이 충분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검토가 중요하다.
1) 내화보드 공법
내화보드 공법은 반수석고, 석고경화제 및 전분과 같은 재료에 펄라이트, 무기질 섬유 등의 단열성을 갖춘 물질을 첨가하여 제작된 내화 석고보드를 구조체에 부착시켜 구조체로부터 열을 차단하는 공법이다. 내화보드 공법은 시공성이 간편하고, 마감성이 좋으며, 내구성 및 내진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는 반면, 적용 시 구조체 크기가 증가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2) 내화뿜칠 공법
내화뿜칠공법은 시멘트와 암면, 석고, 질석 및 펄라이트 등의 혼화재료를 혼합하고, 무기질 결합재를 첨가한 재료를 구조체 표면에 뿜칠하여 내화피복하는 공법으로 주로 철골부재에 적용되며, 습식공법과 반습식 공법이 있다. 뿜칠공법은 경량으로 복잡한 형태의 구조체에도 적용이 가능하고 부착면이 발생하지 않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뿜칠 장비가 필요하고 뿜칠 시 뿜칠재의 주위 비산에 대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일정 시간의 양생기간이 필요하고, 시공 후 뿜칠재의 박락 등의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3) 내화도료 공법
내화도료 공법은 구조체에 도장되어 착화, 연소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키는 도료 혹은 난연성과 단열성을 가진 도료를 구조체에 마감하는 공법이다. 내화도료의 종류에는 유기 내화도료, 무기질 내화도료, 용제형(발포성, 비발포성) 내화도료, 비용제형 내화도료가 있으나 내화 성능면에서 발포성(팽창성) 내화도료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내화도료는 도막을 발포하기 용이한 상태로 만들어 주는 수지, 가스를 방출시켜 도막을 수십 배의 두께로 발포시켜주는 발포제, 탄화도막의 주성분을 제공하는 탄화제, 가스방출과 탄화도막형성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의 4가지 주성분 외에 여러 가지 원료들의 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평상시에는 분자 상호간의 배열상태가 안정적이지만, 화재로 인해 표면온도가 150?200 ℃정도로 상승하게 되면 구성요소 성분은 상호반응을 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으로 인해 본래 외장의 엷은 도막이 약 50?100배의 체적을 가진 단열 탄화층이 형성되어 화재로 인한 열전도를 차단하여 구조체의 내화성능을 확보한다.
4) 바름공법
콘크리트 구조체 위에 시멘트 모르타르, 직석 모르타르, 펄라이트 모르타르, 질석 및 펄라이트 플라스터를 발라 내화피복을 구성하는 공법으로 주로 기둥의 내화피복에 적용된다. 내화피복 자체로 마감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시공 부위의 형태와 치수에 관계없이 줄눈이 없는 상태로도 내화피복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부착되는 피복재의 시공 및 피복두께에 주위를 기울여야 하며, 시공 후 균열이 발생할 수 있고, 다른 공법보다 양생기간이 길다.
내화피복재의 재료는 주로 무기질 재료, 질석, 펄라이트 및 석고가 사용되며, 각 재료의 종류와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무기질 재료
무기질 재료는 주로 무기질 섬유가 사용되며, 종류에는 암면, 세라믹 섬유 등이 있다. 특히 암면은 바위 또는 슬래그에서 원료를 추출하여 1,370℃의 온도에서 생산되며, 비교적 비중이 작고 내화성능이 우수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질석
질석은 운모암을 1,000℃ 이상에서 소성하여 제조한 것으로, 비중은 0.20.4, 입도는 10mm 이하이며, 흡수율은 90% 수준이다. 질석은 결정수를 보유하여 온도가 400℃ 이상으로 상승하면 결정수가 방출되어 부피가 6?10배로 팽창하고, 팽창된 질석은 비중이 작고 열전도율이 낮아 내화피복재로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3) 펄라이트
펄라이트는 진주암을 900?1,200℃로 소성시켜 내부에 미세 공극을 갖도록 한 재료로, 비중은 0.04?0.2, 입도는 10mm 이하이며, 공극율은 90%로써 우수한 단열성능을 나타낸다.
4) 석고
석고는 천연석고와 화학석로 구분되며, 국내에서 생산되는 석고는 주로 화학석고로 비료공장 등에서 인산비료 제조 공정 시 부산물로 생산된다. 석고는 질석과 같이 질석은 결정수를 보유하여 온도가 120℃ 이상으로 상승하면 결정수가 방출하여 구조체로부터 열을 차단시킨다.
5) 팽창점토 및 팽창혈암
경량콘크리트의 골재로 사용되는 팽찰점토 및 팽창혈암은 가열 시 다공질의 단열층을 형성하여 내화피복재로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내화성능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모르타르의 기본 물성실험, 모르타르 바름재 실험, 모르타르 바름재의 두께별 내화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의 슬럼프 Flow는 배합비와 석고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배합비 1:1.5의 석고 혼입율 15%와 1:2의 고(H) 배합에서는 슬럼프 Flow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물-결합재비(W/B)가 일정 수준 일 경우 석고 혼입에 따라 슬럼프 Flow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르타르의 점도는 대체적으로 슬럼프 Flow와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모르타르의 단위용적 질량의 감소는 석고혼입율 증가보다 배합비 증가에 비교적 큰 영향을 받았다.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감소하였고, 강도 증가율은 배합비보다 석고혼입율의 영향을 비교적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나 Plain 배합에서는 재령 초기에 급격한 강도 증가율을 보이다가 재령이 지남에 따라 증가율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석고를 혼입한 배합의 경우 재령 초기에는 비교적 낮은 강도 증가율을 보이지만, 재령이 지남에 따라 일정 기간까지 강도 증가율도 완만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모르타르 바름재의 부착강도는 본 연구에서 계획한 모르타르 36개 배합 중 1개를 제외한 35개 배합이 바름재의 부착강도 기준치인 0.12MPa 이상을 만족하였다. 열전도율은 36개 배합 중 69.4%인 25개 배합이 열전도율 기준치인 0.093W/m?k 이하를 만족하였다. 열전도율은 배합비와 석고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배합비 1:1.5의 고(H) 배합과 배합비 1:2의 중(M), 고(H) 배합의 석고 혼입율 15%에서는 열전도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일정 수준 이상의 높은 물-결합재비(W/B)의 모르타르에서는 석고를 혼입하여도 단열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모르타르의 전기로 가열 후 균열 면적은 대체적으로 열전도율과 비례하여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는 배합비 1:1에서는 물-결합재비(W/B) 31?33.5%의 석고 혼입율 10?15%, 배합비 1:1.5에서는 물-결합재비(W/B) 34.5?37%의 석고 혼입율 5?15%, 배합비 1:2에서는 물-결합재비(W/B) 34?36.5%의 석고 혼입율 5?15%에서 각각 우수한 성능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4) 모르타르 바름재 두께별 내화실험에서는 전 실험체에서 실험 10?20분부터 균열 및 박락이 발생하여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바름재 두께 0mm 실험체는 지속적이고 과도한 폭열로 내화실험 120분에서 중단하였으며, 바름재 두께 20mm 실험체는 실험 120분부터 소음과 함께 과도한 폭열이 발생하여, 내화 피복재로서 열차단에 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름재 두께 30mm와 40mm 실험체는 실험 180분까지 각각 안정된 온도 이력을 나타내어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내화 3시간을 만족하는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을 통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내화성능은 두께 30mm 이상에서 내화 3시간을 만족하는 결론을 얻어서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바름재 뿐만 아니라 내화재의 재료로서 단열성과 경량성을 갖춘 경량 모르타르로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도를 나타낸 그림;
도 2는 석고의 미세 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3은 경량잔골재의 미세구조를 나타낸 사진;
도 4는 모르타르 슬럼프 Flow 및 압축강도 실험;
도 5는 열전도율과 부착강도 실험을 나타낸 사진;
도 6은 배합비 및 석고 혼입에 따른 모르타르의 슬럼프 Flow;
도 7은 전기 가열로;
도 8은 모르타르 전기로 가열실험 측정 장치;
도 9는 석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전기로 가열 실험 후 결과;
도 10은 내화실험용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 상세 및 열전대 위치를 나타낸 그림;
도 11은 60MPa급 콘크리트 실험체 배합;
도 12는 바름재 피복;
도 13은 폭렬실험장비의 하중재하 및 시편이동 경로;
도 14는 내화실험가열로;
도 15는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가 피복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부온도이력을 측정하는 사진;
도 16은 바름재 두께 0mm 실험체 내화실험 결과;
도 17은 바름재 두께 20mm 실험체 내화실험 결과;
도 18은 바름재 두께3 0mm 실험체 내화실험 결과;
도 19는 바름재 두께 40mm 실험체 내화실험 결과이다.
이하 비한정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아니한다.
실시예 1: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최적배합 도출
본 실험은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를 바름재로서 적용하기 위한 최적의 배합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먼저 국내에서 수급이 용이한 경량 잔골재를 이용해 예비실험을 실시하였다. 예비 실험을 통해 경량 모르타르를 바름재로 적용하였을 때, 사용가능한 최적의 배합비와 슬럼프 Flow 범위를 각각 설정하였다. 그 후 이 범위를 기준으로 경량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실험, 슬럼프 Flow 실험, 굳지 않은 모르타르의 단위용적질량 실험과 모르타르 바름재의 부착강도 실험, 열전도율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시멘트는 KS L 5201 규정을 만족하는 S사 제품의 제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로서 그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분은 표 4 및 표 5와 같다.
밀도
(g/cm3)
분말도
(cm2/g)
응결 안정도
(%)
압축강도(MPa)
초결(분) 종결(분) 3일 7일 28일
3.15 3,400 230 390 0.1 22.54 29.40 40.18
표 4는 시멘트의 물리적 성분을 나타낸 표이다.
성분 CaO SiO2 Al2O3 MgO Fe2O3 SO3 강열
감량
Free
CaO
Insol
불용잔분
함량(%) 61.3 21.1 5.2 4.0 2.8 2.4 2.0 0.6 0.2
표 5는 시멘트의 화학적 성분을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석고는 국내 C사에서 생산한 건축용 형 반수석고이며, 물리적 특성은 표 6과 같다.
밀도
(g/cm3)
수분
(%)
분말도
(cm2/g)
응결(분) #170
통과량
(%)
2시간
팽창률
(%)
1일
습강도
(kgf/cm2)
초결 종결
2.95 0.07 1,367 7 16 88 0.38 250
표 6은 반수석고의 물리적 특성 표이다.
배합수로 유해한 수치의 기름, 산, 알칼리, 부식물질 등을 함유한 물을 사용하면 시멘트의 응결 및 경화가 저하되거나 응결경화, 워커빌리티, 강도의 발현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콘크리트 혹은 모르타르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한 물은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및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규정에 따라 상수도수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골재는 14mm의 입경을 가진 스페인산 경량잔골재로서 개방형 공극구조를 가지고 있다. 개방형 공극구조를 가진 경량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는 일반적으로 폐쇄형 공극구조를 가진 경량골재를 사용한 모르타르보다 열전도율이 낮다. 이는 폐쇄형 경량골재는 모르타르 양생 후에도 골재 공극 내부에 수분을 다량 포함하고 있고, 건조 후에도 골재내부 공극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모르타르의 건조 시 질량변화가 크고, 열전도율도 높게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개방형 공극구조를 가진 경량골재는 건조 시 골재내부의 수분이 모르타르 양생 시에 쉽게 빠져나갔기 때문에 건조 후에도 질량의 변화가 적어 열전도율의 변화가 미세하다. 따라서 내화 및 열차단성 측면에서 폐쇄형 경량골재보다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개방형 경량골재가 유리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경량 잔골재의 물성 실험은 KS F 2529구조용 경량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 KS F 2502굵은골재 및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 방법 및 KS F 2462 구조용 경량 콘크리트의 단위 질량 시험 방법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는 표 7과 같다.
구 분 밀도
(g/cm3)
흡수율(%) 조립율 단위용적중량
(kg/m3)
스페인산 0.80 17.33 4.56 487
표 7은 경량 잔골재의 물성 실험 결과 표이다.
본 발명은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사용가능한 최적 배합을 도출하기 위한 실험으로, 예비실험을 통해 경량 모르타르의 바름재로서 사용가능한 최적의 범위를 설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경량모르타르의 바름재로 가능한 최적의 배합비(시멘트:잔골재 용적비)를 각각 1:1, 1:1.5, 1:2로 설정하였다. 배합비가 1:2를 초과할 경우, 바름재로서 작업성이 좋은 모르타르를 얻기 위해 보다 많은 시멘트 페이스트가 필요하였고, 이것은 물-결합재비(W/B)의 상승으로 이어져 바름재의 부착성이 저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배합비별 바름재로 사용할 수 있는 슬럼프 Flow 범위를 170?210mm로 설정하였고 이를 최저(L), 중간(M), 최고(H)의 범위로 구분하였다. 또한 석고의 경우 과다 혼입할 경우 응결지연과 같은 문제점이 예상되어 석고 혼입율을 15% 이하로 제한하였으며, 혼입율 0%, 5%, 10%, 15%로 설정하여 총 36 batch를 계획하였다. 본 실험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은 표 8과 같다.
항 목 인 자 수 준
배 합
요 소
배합비(C:S) 3 1:1, 1:1.5, 1:2
Flow 범위 3 저(L), 중(M), 고(H)
석고 혼입율 (%) 4 0, 5, 10, 15
실 험
사 항
모르타르 실험 4 슬럼프 Flow
단위용적질량
모르타르 압축강도
모르타르 점도
바름재 실험 2 바름재 부착강도
바름재 열전도율
표 8은 본 발명에 관한 세부적인 사항 표이다.
배합비
(C:S)
목표 Flow 석고 혼입율
(%)
배 합 중량배합(kg/m3)
시멘트 잔골재 석고
1 : 1 0 1-L-0 328 1058.3 268.8 0
5 1-L-5 327.7 1004.2 268.5 52.9
10 1-L-10 327.3 950.4 268.2 105.5
15 1-L-15 327 896.5 267.9 158.2
0 1-M-0 345.4 1031 261.9 0
5 1-M-5 345 978.4 261.6 51.5
10 1-M-10 344.6 925.6 261.3 102.9
15 1-M-15 344.2 873.5 261 154.1
0 1-H-0 361.9 1005.1 255.3 0
5 1-H-5 361.4 953.8 255 50.2
10 1-H-10 361.1 902.6 254.7 100.3
15 1-H-15 360.7 851.6 254.4 150.3
1 : 1.5 0 1.5-L-0 287.3 898 342.1 0
5 1.5-L-5 287.1 852.2 341.7 44.9
10 1.5-L-10 286.8 806.6 341.4 89.6
15 1.5-L-15 286.5 761 341.1 134.3
0 1.5-M-0 303 878.2 334.6 0
5 1.5-M-5 302.7 833.5 334.2 43.9
10 1.5-M-10 302.4 789 334 87.7
15 1.5-M-15 302.1 744.4 333.6 131.4
0 1.5-H-0 318 859.4 327.4 0
5 1.5-H-5 317.7 815.7 327.1 43
10 1.5-H-10 317.4 772 326.8 85.8
15 1.5-H-15 317.1 728.4 326.5 128.5
1 : 2 0 2-L-0 263.1 773.8 393 0
5 2-L-5 262.9 734.5 392.7 38.7
10 2-L-10 262.6 695.2 392.4 77.2
15 2-L-15 262.4 656.1 392 115.8
0 2-M-0 277.1 759.1 385.6 0
5 2-M-5 276.8 720.5 385.3 37.9
10 2-M-10 276.6 682.1 385 75.8
15 2-M-15 276.4 643.7 384.6 113.6
0 2-H-0 290.5 745 378.4 0
5 2-H-5 290.3 707.1 378.1 37.2
10 2-H-10 290.1 669.4 377.8 74.4
15 2-H-15 289.8 631.7 377.5 111.5
표 9는 모르타르 실험배합표이다.
본 발명에서의 모르타르 제조는 KS L 5109수경성 시멘트 페이스트 및 모르타르의 기계적 혼합 방법에 의거 배합계획에 따라 각 재료의 양을 0.1g의 정밀도를 가진 저울을 이용하여 계량하고, 규정된 혼합기에 시멘트, 석고, 잔골재, 물의 순으로 투입하여 제조하였다.
1) 모르타르 슬럼프 Flow 및 압축강도 실험
슬럼프 Flow 실험은 KS L 5105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과 KS L 5111 시멘트 시험용 플로 테이블에 따라 진행하혔으며, 모르타르 압축강도 실험을 위해 각 배합별로 50의 정사각형 철제 몰드에 약 25mm 두께의 층으로 입방체 안에 넣어서 약 10초 동안에 4바퀴로 32회 찧고 모르타르를 몰드에 균일하게 다진 후, 다시 25mm의 두께를 부어넣고 몰드 윗면에 올라 온 모르타르는 흙손으로 밀어 넣고, 흙손으로 평평한 면을 몰드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각으로 깎아 내어 몰드의 높이와 같게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2) 굳지 않은 모르타르의 단위용적중량 실험
굳지 않은 모르타르의 단위용적질량 시험은 KS F 2505골재의 단위용적질량시험 방법에서 규정한 방법에 따라 용기에 시료를 1/3씩 3회로 나누어 시료를 채우고, 매회 시료를 채울 때마다 봉으로 균등하게 25회씩 다지고 마지막으로 채울 때는 넘치도록 넣고 고르게 다진 후, 다짐봉을 사용하여 표면을 평평하게 고른 다음 시료의 중량을 계량하였다.
3) 모르타르의 점도 실험
모르타르의 점성을 직접 측정하기 위하여 점도 측정범위가 0.3~4000dPa?s이고 회전수가 62.5rpm인 회전식 점도계를 이용하여 모르타르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측정 대상의 시료 중앙부에 회전로타를 삽입하여, 회전로타를 회전시킨다. 이때 점도계의 눈금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면, 그 눈금을 읽어 점도를 측정하였다. 한 시료당 3번씩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하였다.
4) 모르타르 바름재 실험
모르타르의 바름재 실험은 KS F 3513 경량 골재 마감용 바름재의 부착강도 실험, 열전도율 실험 기준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본 규격에서 규정한 바름재의 성능기준은 표 와 같다.
실험 항목 부착강도 (MPa) 열전도율(W/mk)
기준치 0.12 이상 0.093 이하
표 10은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성능기준을 나타낸 표이다.
부착강도 실험은 70x70x20mm의 평탄한 모르타르 바탕면 위에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를 40x40x5mm를 도포하여 양생 후, 바름재 표면에 에폭시를 사용해 지그를 접착하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열전도율 실험은 200x200x25 mm의 실험체를 성형해 온도 20±3℃, 습도 80% 이상의 항온 항습기에서 24시간 양생시켜 탈형한 후, 5일 동안 온도 20±2℃의 물 속에서 양생시키고, 다시 온도 20±2℃, 습도 50% 이상의 항온 항습기에서 21일간 양생 시킨 후 실험을 실시하였다.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에 관한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배합비 배합 슬럼프 플로
(mm)
점도
(dPas)
단위
질량
(kg/m3)
압축강도
(MPa)
바름재 실험
3일 7일 28일 열전도율
(W/mk)
부착강도
(MPa)
1:1 1-L-0 186 90 1692.0 21.0 22.1 24.8 0.124 1.08
1-L-5 186.5 90 1687.5 20.4 21.4 24.5 0.120 1.04
1-L-10 191 65 1653.2 17.5 18.4 20.7 0.093 0.99
1-L-15 192.5 70 1651.7 17.8 18.7 20.8 0.091 0.99
1-M-0 196.5 85 1654.3 19.3 20.3 22.8 0.116 1.01
1-M-5 198 85 1651.4 17.4 18.4 21.4 0.107 0.95
1-M-10 203 65 1634.8 16.6 17.5 19.6 0.089 0.92
1-M-15 203.5 60 1633.2 16.0 16.9 19.0 0.088 0.90
1-H-0 204 60 1642.0 19.6 20.6 23.1 0.121 0.97
1-H-5 210 60 1621.2 20.0 21.1 22.8 0.104 0.93
1-H-10 211 40 1622.1 18.5 19.5 21.8 0.088 0.91
1-H-15 212.5 35 1618.9 17.9 18.9 21.1 0.086 0.92
1:1.5 1.5-L-0 178 95 1568.2 19.4 20.4 22.9 0.119 1.02
1.5-L-5 179 100 1564.7 16.2 17.0 19.1 0.118 0.98
1.5-L-10 186 80 1550.0 14.8 15.6 17.5 0.092 0.91
1.5-L-15 190 65 1549.1 15.2 16.0 18.0 0.088 0.86
1.5-M-0 188 85 1538.2 16.0 16.9 18.9 0.109 0.95
1.5-M-5 192 85 1537.8 15.1 15.9 17.8 0.093 0.88
1.5-M-10 201 65 1524.0 15.6 16.4 18.4 0.077 0.64
1.5-M-15 203 60 1523.5 14.6 15.4 17.2 0.074 0.53
1.5-H-0 201.5 90 1521.6 20.7 21.8 24.2 0.099 0.73
1.5-H-5 206 90 1505.5 16.1 17.0 19.6 0.079 0.48
1.5-H-10 207 75 1504.7 13.4 14.1 15.8 0.070 0.40
1.5-H-15 206.5 70 1504.0 11.3 11.9 13.3 0.072 0.41
1:2 2-L-0 165 105 1490.0 20.9 22.0 24.6 0.104 0.32
2-L-5 176 100 1440.0 14.6 15.3 17.2 0.073 0.24
2-L-10 178 85 1438.5 13.4 14.1 15.8 0.072 0.23
2-L-15 180.5 75 1439.8 12.5 13.2 14.8 0.070 0.22
2-M-0 190 75 1455.5 17.7 18.6 20.8 0.086 0.25
2-M-5 194 70 1451.0 14.3 15.1 16.9 0.072 0.19
2-M-10 194.5 60 1451.0 16.8 17.7 19.8 0.071 0.18
2-M-15 196 60 1452.0 15.4 16.2 18.1 0.069 0.15
2-H-0 206.5 70 1430.0 11.4 12.6 14.1 0.089 0.25
2-H-5 212 65 1424.5 12.9 13.6 15.3 0.072 0.18
2-H-10 211.5 65 1402.0 12.6 13.3 14.9 0.073 0.14
2-H-15 209.5 60 1430.0 12.4 13.4 15.1 0.076 0.09
표 11은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에 관한 실험 결과 표이다.
본 발명에서의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시공성을 확인할 수 있는 모르타르의 슬럼프 Flow는 다음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슬럼프 Flow는 석고 혼입량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증가하였다. 배합비 1:1에서는 석고 혼입 증가에 따라 평균 2.5% 증가하였고, 특히 저(L)와 중(M) 배합의 혼입율 10%에서 슬럼프 Flow 증가가 7.78%로 큰 증가폭을 보였다.
배합비 1:1.5에서는 평균 3.39%의 증가하였고, 저(L)와 중(M)의 배합에서 혼입율 10%에서 9.15%의 큰 증가폭이 나타났다. 반면, 배합비 1:1.5의 고(H) Flow 영역에서는 석고 혼입율 15%에서 다소 슬럼프 Flow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나 물-결합재비(W/B)가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면, 석고 혼입에 따라 슬럼프 Flow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합비 1:2에서는 석고 혼입에 따라 평균 5.1%의 증가가 나타났으며, 혼입율 10%에서 평균 19.3%의 증가폭이 나타났다. 반면, 고(H) Flow 범위에서는 혼입율 15% 이상에서 8.39%의 감소가 나타났다. 이는 배합비 1:1.5의 고(H) Flow 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물-결합재비(W/B)가 일정 수준 이상 증가하면, 석고 혼입에 따라 슬럼프 Flow는 감소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모르타르의 점도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점도는 대체적으로 슬럼프 Flow와 반비례하였으나, 배합비 1:1과 1:5의 전 배합에서 석고 혼입율 5% 경우 슬럼프 Flow가 증가하여도 점도가 같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합비 1:2에서도 석고 혼입율에 따라 평균 28.5% 감소하였으나, 혼입율 5%의 경우 석고 혼입율 증가에 따라 평균 4.76% 감소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모르타르의 단위용적 질량은 1,687?1402kg/m3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배합비 1:1은 평균 1,646.9kg/m3, 배합비 1:1.5에서는 평균 1,532.6kg/m3, 배합비 1:2에서는 평균 1,442kg/m3의 수준을 보여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단위용적질량도 감소하였고, 감소폭은 배합비 1:1과 1:1.5 사이가 감소율 7.5%로 나타났다. 또한 석고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단위용적질량도 감소하였으나, 혼입율 0%에서는 평균 1,554.6kg/m3와 혼입율 15%에서는 평균 1533.6 kg/m3 로 감소율이 1.4%에 그쳐, 석고 혼입율 증가가 배합비 증가보다 경량성의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르타르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13.3?24.8MPa 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배합비 1:1에서는 평균 21.9MPa, 1:1.5에서는 평균 18.5MPa, 1:2에서는 평균 17.3MPa 의 수준을 나타내어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모르타르의 압축강도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석고 혼입 여부에 따라 재령별 압축강도 증가율의 차이를 보였는데, 석고 무혼입(Plain)의 경우 재령별(37일, 728일)로 각각 10.4%, 6.88%의 증가율을 보였으나, 혼입율 5%에서는 각각 5.8%와 12.2%, 혼입율 10%에서는 각각 3.0%와 14.6%, 혼입율 15%에서는 4.2%와 13.7%를 나타내었다. 이는 Plain 배합에서는 재령 초기에 급격한 강도 증가율을 보이다가 재령이 지남에 따라 증가율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석고를 혼입한 배합의 경우 재령 초기에는 비교적 낮은 강도 증가율을 보이지만, 재령이 지남에 따라 일정 기간까지 강도 증가율도 완만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석고가 모르타르 초기 응결 시 응결조절작용을 통해 초기강도는 낮으나, 장기강도발현에 기여하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모르타르 바름재의 부착강도는 0.101.08MPa 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36개 배합 중 1개를 제외한 35개 배합이 바름재의 부착강도 기준치인 0.12MPa 이상을 만족하였다. 모르타르 바름재의 부착강도는 대체적으로 모르타르의 압축강도와 비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부착강도는 배합비가 상승할수록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배합비 1:1의 경우는 석고 혼입율 증가에 따라 평균 3.7% 감소하였으며, 배합비 1:1.5의 저(L)와 중(M) 배합에서는 석고 혼입율 증가에 따라 각각 4.1%, 7.9% 감소하였다. 특히 배합비 1:1.5의 고(L) 배합과 배합비 1:2의 전 배합에 경우, Plain 배합과 석고 5% 혼입 배합의 강도차가 평균 38.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배합비가 높아질수록, 석고 혼입율이 높을수록 초기 강도가 저하하는 경향과 연관된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석고 혼입에 따른 초기강도 저하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배합이 부착강도 기준치 이상을 만족하였다.
모르타르 바름재의 열전도율은 0.0690.124W/m?k 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36개 배합 중 69.4%인 25개 배합이 열전도율 기준치인 0.093W/m?k 이하를 만족하였다. 배합비별 열전도율의 경우,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열전도율은 각각 평균 11.6%, 17.6% 감소하였다.
열전도율은 석고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배합비 1:1의 경우, 석고 혼입율이 5% 증가함에 따라 열전도율은 평균 9.3%, 22.5%, 1.9%의 감소율이 나타나, 혼입율 5%와 10%의 열전도율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합비 1:1에서는 석고 혼입율이 10%이상 혼입 시에 단열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혼입율 10%와 15%의 열전도율 차이는 1.9%로 비교적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배합비 1:1.5에서는 저(L) 배합의 경우, 배합비 1:1과 비슷하게 혼입율 10%에서 큰 열전도율 감소가 나타난 반면, 중(M)과 고(H) 배합에서는 석고 혼입율이 증가할수록 각각 평균 21.3%, 16.8%, 4.1%의 비례적인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고(H) 배합의 석고 혼입율 15%에서는 혼입율 10%보다 열전도율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배합비 1:2에서는 저(L) 배합의 경우, 석고 혼입율이 5%이상 혼입 시 Plain보다 열전도율 감소율이 42.5%로 가장 컸으며, 혼입율 10%와 15%는 각각 1.4%, 2.9%로 비교적 비슷한 감소율을 나타내, 석고 혼입율 5% 이상 혼입 시 단열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M)과 고(H) 배합에서도 저(L) 배합과 같이 석고 혼입율 5%에서 가장 큰 열전도율 감소율을 보였으나, 석고 혼입율 15%에서는 혼입율 10%보다 열전도율이 같거나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위에 나타난 배합비 1:1.5의 고(H) 배합과 배합비 1:2의 중(M), 고(H) 배합의 석고 혼입율 15%에서의 열전도율 증가는 일정 수준 이상의 높은 물-결합재비(W/B)의 모르타르에서는 석고를 혼입하여도 단열성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위 실험 결과를 토대로, 석고 혼입을 통해 열을 차단하는 단열성을 일부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열전도율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다량의 공극이 분포한 경량골재를 사용할 경우, 우수한 단열성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된다.
모르타르 전기로 가열실험
본 실험은 내화 피복용 재료로서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최적배합 선정을 목적으로, 모르타르 실험의 36개의 배합 중 바름재로서 최소의 시공성을 갖추기 위한 슬럼프 Flow 범위인 170?210mm와 바름재의 열전도율과 부착강도 기준치를 만족하는 20개 배합을 본 실험의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전기로를 이용해 가열 후 그 열화 성상 및 균열을 관찰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선별된 20개의 배합을 대상으로 KS L 5105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의 압축강도 실험체 규격(50x50x50mm)으로 각 배합마다 모르타르 실험체를 제작해, 양생실에서 24시간 양생 후, 탈형과 동시에 항온수조에서 23±2℃의 수중에서 7일간 양생 후 가열하였다.
전기 가열로를 이용하여 가열한 후 그 성상을 관찰하고 평균 균열 면적을 산출하였다. 이를 통해 최적의 단열성능을 갖추고 가열 후 폭열 유무를 관찰하였으며, 디지털 현미경을 이용해 100배율로 정육면체 실험체의 각 면의 균열 면적 평균을 산출하였다.
국내의 건축물의 내화실험 규정은 KS F 2257건축부재의 내화시험방법의 표준 시간-가열 온도 곡선에 따라 진행되었다. 그러나 본 실험의 경우, 실험체가 기둥 혹은 보와 같은 실 구조체가 아닌 50x50x50mm 규격의 실험체인 관계로 표준 시간-가열 온도 곡선에 따라 1시간(가열로 내부 평균 온도 약 945.3℃)까지 가열 후 실험체의 성상변화를 관찰하였다.
석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전기로 가열 실험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배합비 배합 열전도율
(W/mk)
균열면적
평균
(m2)
균열면적비율
(%)
폭열여부 및 성상
1:1 1-L-10 0.093 - - 폭열
1-L-15 0.091 205,294,620 8.212 모서리 박락
1-M-10 0.089 193,375,410 7.735 부분 박락
1-M-15 0.088 186,457,260 7.458 -
1:1.5 1.5-L-10 0.092 - - 폭열
1.5-L-15 0.088 179,781,310 7.191 -
1.5-M-5 0.093 199,871,790 7.995 -
1.5-M-10 0.077 141,747,340 5.670 -
1.5-M-15 0.074 121,456,700 4.858 일부 박락
1.5-H-5 0.079 138,429,150 5.537 -
1.5-H-10 0.070 110,483,750 4.419 -
1.5-H-15 0.072 120,761,260 4.830 -
1:2 2-L-5 0.073 100,463,980 4.019 -
2-L-10 0.072 102,790,120 4.112 -
2-L-15 0.070 92,480,930 3.699 -
2-M-0 0.086 129,149,100 5.166 -
2-M-5 0.072 91,010,460 3.640 -
2-M-10 0.071 86,179,240 3.447 -
2-M-15 0.069 80,542,410 3.222 -
2-H-0 0.089 166,671,300 6.667 -
표 12는 석고를 혼입한 모르타르의 전기로 가열 실험 결과이다.
전기로 가열 후 모르타르의 균열 양상은 표와 같이 모르타르의 열전도율과 대체적으로 비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배합비 1:1의 4개 배합은 평균 균열면적비율이 7.8%로 가장 크게 나타났고, 배합비 1:1.5와 1:2에서는 각각 5.7%, 4.2%로 배합비가 증가할수록 가열 시 균열면적은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내화실험
본 실험은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를 바름재의 내화성능을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60MPa급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를 제작하고, 실험체 1면에 모르타르를 두께별 바름공법으로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 한 후 실험체 내부의 온도이력을 파악하고, 폭열 유무 및 성상을 관찰하였으며, 내화실험 후 탄산화 실험을 통해 실험체의 열화 정도를 파악하였다.
본 실험은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내화성능을 파악하기 위한 실험으로, 본 연구에서 실험한 모르타 르 36개의 배합 중에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 1개의 배합을 선정하여, 60 MPa 급 고강도 콘크리트 구조체 1면에 두께별(0 mm , 20mm, 30 mm , 40 mm )로 피복재로서 부착하여 총 4개의 실험체를 대상으로 내화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계획에 관한 사항은 표 13과 같다.
항 목 인 자 수 준
실 험
요 소
바름재 두께별 4 0mm, 20mm, 30mm, 40mm
실 험
사 항
내화 실험시 실험체
온도 이력
7 5mm(표면온도), 10mm, 20mm, 30mm, 40mm, 50mm, 75mm
폭열 유무 및 성상 관찰 - -
탄산화 깊이 실험 - -
표 13은 실험계획을 정리한 표이다.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의 내화성능을 파악하기 위해, 모르타르 바름재의 시공성(슬럼프 Flow 범위)과 부착강도, 열전도율의 기준을 만족하는 20개의 배합 중에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인 <2-M-15> 배합을 선정하여 내화실험을 계획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600x600x150mm 크기의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그림 과 같이 강제로 된 폼( form ) 내부에 모르타르로 제작된 75x75x300mm크기의 간격재 2개를 바닥에 설치하였고, 간격재 하부에서부터 5 mm (표면온도), 10 mm , 20 mm , 30 mm , 40 mm , 50 mm , 75 mm 높이에 각각 깊이 10 mm 정도의 홈을 낸 뒤, 7개의 열전대를 삽입하여 1개의 실험체 당 총 14개의 열전대를 삽입하였다.
내화실험을 위한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를 제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재료를 사용하였고, 배합을 계획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시멘트는 KS L 5201 규정을 만족하는 S사 제품의 제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이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잔골재는 인천산 세척사로서, 그 물성을 KS F 2504잔골재의 비중 및 흡수량 시험방법과 KS F 2505골재의 단위질량 시험방법에 따라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4와 같다.
구 분 밀도
(g/cm3)
흡수율(%) 조립율 단위용적중량
(kg/m3)
인천산 세척사 2.6 1.03 2.57 1,613
표 14는 잔골재 시험 결과 표이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굵은 골재는 25mm 이하의 쇄석으로, 그 물성을 KS F 2503굵은 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시험 방법과 KS F 2505골재의 단위질량 시험방법에 따라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5와 같다.
구 분 밀도
(g/cm3)
흡수율(%) 조립율 단위용적중량
(kg/m3)
쇄석 2.65 0.84 7.12 1,594
표 14는 굵은 골재 시험 결과 표이다.
배합수로 유해한 수치의 기름, 산, 알칼리, 부식물질 등을 함유한 물을 사용하면 시멘트의 응결 및 경화가 저하되거나 응결경화, 워커빌리티, 강도의 발현 등에 나쁜 영향을 미치며, 콘크리트 혹은 모르타르의 내구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 사용한 물은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및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의 규정에 따라 상수도수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된 플라이 애시는 영흥 화력산을 사용하였으며 물리, 화학적 특성은 표 16과 같다.
밀도
(g/cm3)
분말도
(cm2/g)
강열감량
(%)
압축강도비
(%)
수분
(%)
SiO2
(%)
2.2 3,368 2.50 89 0.04 46.80
표 16은 FA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실리카 퓸은 케나다산을 사용하였으며, 물리 및 화학적 특성은 표 17과 같다.
밀도
(g/cm3)
분말도
(cm2/g)
SiO2
(%)
Al2O3
(%)
Fe2O3
(%)
MgO
(%)
CaO
(%)
SO3
(%)
2.2 200,000 90 1.5 3.0 2.0 0.7 0.2
표 17은 SF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 표이다.
본 실험에 사용한 혼화제로는 폴리카본산계 고성능 감수제로 특성은 표 18과 같다.
구분 주성분 성상 색상 비고
고성능감수제 폴리카본산계 액체 암갈색 -
표 18은 혼화제의 물리적 성질 표이다
60 MPa 급 콘크리트 실험체 배합 및 실험계획
60MPa급 콘크리트 실험체 제작을 위해 다음 표 19와 같은 배합으로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를 제조하였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시체를 제작하여 표 20과 같은 물성실험을 진행하였다.
Gmax
(mm)
W/B
(%)
S/a
(%)
질량배합 (kg/m3)
시멘트 플라이애시 실리카 퓸 잔골재 굵은 골재
25 29.5 37 187.8 490 97.8 48.9 533.9 926.5
표 19는 60MPa급 콘크리트 실험체 제작을 위한 배합 표이다.
실험항목 실험방법
굳지 않은 콘크리트 슬럼프 - KS F 2401굳지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 방법
- KS F 2402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 방법
공기량 - KS F 2421압력법에 의한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공기 량 시험방법
굳은 콘크리트 압축강도 - KS F 2403 콘크리트의 강도 시험용 공시체 제작 방법
- KS F 2405 콘크리트의 압축 강도 시험 방법
표 20은 물성실험 표이다.
바름재 피복
크기 600의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 1면에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를 0mm, 20mm, 30mm, 40mm 두께별로 도포하였다. 도포 시, 각 24시간의 경화시간을 두고 초벌, 정벌의 두 차례로 나누어 실험체 1면 전체에 도포하였다.
내화실험
내화성능을 측정하기 위해 두께별 모르타르 바름재를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에 도포하여 내화실험을 진행하였다. 내화실험 방법은 기존 4면 가열조건에서는 실험체의 깊이에 따른 순수반응 온도 분석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고온으로 가열함과 동시에 폭열의 양상과 깊이별 온도이력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해 1면 가열이 가능한 가열로를 사용하였다.
본 내화실험에서 사용된 가열로는 콘크리트 구조요소-폭렬실험장비로서, 콘크리트 실험체의 고온성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열로의 온도 오차범위와 실험체 설치 기준 등 KS F 2257건축부재의 내화시험방법의 기준에 적합하게 성능을 향상시켜 화재강도 조정이 가능하며, 시편의 효율적인 장착을 위하여 가열로의 성능을 개선 및 보완한 장비이다.
내화실험 가열로의 가열조건은 KS F 2257건축부재의 내화시험방법의 표준 시간-가열 온도 곡선에 따라 초기 상온 20℃부터 시작하여, 180분 후 노내온도 약 1109.7℃까지 가열하였다. 표준 시간-가열 온도 곡선은 그림과 같으며, 시간대별 노내 가열온도는 표 21과 같다.
시간
(분)
온도
(℃)
시간
(분)
온도
(℃)
시간
(분)
온도
(℃)
시간
(분)
온도
(℃)
시간
(분)
온도
(℃)
1 349.2 26 820.5 51 921.0 76 980.7 101 1023.2
2 444.5 27 826.1 52 923.9 77 982.6 102 1024.7
3 502.3 28 831.5 53 926.8 78 984.6 103 1026.2
4 543.9 29 836.7 54 929.6 79 986.5 104 1027.6
5 576.4 30 841.8 55 932.3 80 988.4 105 1029.1
6 603.1 31 846.7 56 935.0 81 990.2 106 1030.5
7 625.8 32 851.4 57 937.7 82 992.1 107 1031.9
8 645.5 33 856.0 58 940.3 83 993.9 108 1033.3
9 662.8 34 860.5 59 942.8 84 995.7 109 1034.6
10 678.4 35 864.8 60 945.3 85 997.4 110 1036.0
11 692.5 36 869.0 61 947.8 86 999.2 111 1037.4
12 705.4 37 873.1 62 950.2 87 1000.9 112 1038.7
13 717.3 38 877.1 63 952.6 88 1002.6 113 1040.0
14 728.3 39 881.0 64 955.0 89 1004.3 114 1041.4
15 738.6 40 884.7 65 957.3 90 1006.0 115 1042.7
16 748.2 41 888.4 66 959.6 91 1007.6 116 1044.0
17 757.2 42 892.0 67 961.8 92 1009.3 117 1045.3
18 765.7 43 895.5 68 964.1 93 1010.9 118 1046.5
19 773.7 44 899.0 69 966.2 94 1012.5 119 1047.8
20 781.4 45 902.3 70 968.4 95 1014.1 120 1049.0
21 788.6 46 905.6 71 970.5 96 1015.6 150 1082.4
22 795.6 47 908.8 72 972.6 97 1017.2 180 1109.7
23 802.2 48 912.0 73 974.7 98 1018.7
24 808.5 49 915.1 74 976.7 99 1020.2
25 814.6 50 918.1 75 978.7 100 1021.8
표 21은 시간대별 노내 가열온도이다.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가 피복된 고강도 콘크리트의 내부온도이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험체 내부 좌, 우의 간격재에 삽입된 5mm(표면온도), 10mm, 20mm, 30mm, 40mm, 50mm, 75mm 두께별 열전대의 온도 값을 10초 단위로 데이터 로거(data logger)를 이용해 수집하였으며, 좌, 우 열전대의 평균값을 두께별 실험체 내부온도로 기록하였다. 또한 가열 후 10분 경과마다 실험체의 폭열 및 균열 여부를 관찰하였고, 실험 종료 후 폭열 유무 및 성상을 관찰하여 기록하였으며, 각 실험체마다 180분의 내화실험 종료 후, KS F 2596 콘크리트 탄산화 깊이 측정방법에 따라 실험체 각 부위의 열화 깊이 정도를 파악하였다.
60 MPa 급 고강도 콘크리트 실험체
내화실험을 위한 60MPa급 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물성은 표 22와 같다. 콘크리트 실험체의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63.5MPa로 목표강도 60MPa 이상을 나타내었다.
슬럼프(mm) 공기량(%) 압축강도(MPa)
7일 14일 28일
180 1.4 38.5 43.4 63.5
표 22는 60MPa급 고강도 콘크리트에 관한 물성이다.
바름재 두께 0 mm 실험체
내화피복을 하지 않은 실험체의 내화 실험 결과는 표 23과 같다. 실험시작 10분 후부터 1면의 모서리부터 부분 박락이 발생하였고, 실험 20분의 노내온도 약 800℃ 및 표면온도 약 350℃ 부터 본격적인 폭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가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큰 소음과 함께 지속적이고, 과도한 폭열이 발생함에 따라 내화실험 120분에서 중단하였다.
바름재 두께 0mm 실험체- 120분 가열 최대 폭열
깊이
(mm)
평균 탄산화 깊이
(mm)
두께
(mm)
노내 5 10 20 30 40 50 75
온도
(℃)
1055.5 703.9 677.7 638.0 607.8 516.7 438.0 247.6 49.46 84.55
온도 감소율
(%)
- 33.3 35.8 39.6 42.4 51.0 58.5 76.5
표 23은 내화피복을 하지 않은 실험체의 내화 실험 결과이다.
바름재 두께 20 mm 실험체
두께 20mm의 내화피복을 한 실험체의 내화 실험 결과는 표 24와 같다. 실험 20분부터 모서리에서 중앙으로의 균열이 시작되었고, 30분부터 부분 박락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지속적인 폭열 면적이 증가하였고, 실험 120분부터 소음과 함께 과도한 폭열이 발생하였다. 이는 두께 0mm 실험체보다 더 큰 폭열이 발생한 것으로, 바름재가 효과적으로 열을 차단하지 못하여 내부 수증기압이 축적되고, 한 시점을 기준으로 과다한 폭열이 일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두께 0mm의 경우, 피복이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실험체의 부분 박락이 발생하여 내부수증기압을 방출하였지만, 피복이 되어 있는 본 실험체의 경우는 바름재로 인해 표면의 부분박락이 불가능해 내부로 수증기압이 더욱 집중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 인해 열전대가 매입되어 있던 깊이의 콘크리트가 박락하여 열전대가 대기온도를 그대로 받아들여 특히 두께 5mm와 10mm에서 온도가 크게 올라간 것으로 판단된다.
실험체 자체에서도 깊이 100mm가 넘는 폭열이 발생하였으며, 평균 탄산화 깊이도 약 112mm 수준을 나타내었다.
바름재 두께 20mm 실험체- 180분 가열 최대 폭열
깊이
(mm)
평균 탄산화 깊이
(mm)
두께
(mm)
노내 5 10 20 30 40 50 75
온도
(℃)
1114.9 1194.8 1018.5 754.5 606.2 469.1 360.6 267.4 105.14 112.76
온도 감소율
(%)
- -7.2 8.6 32.3 45.6 58.0 67.6 76.0
표 24는 바름재 두께 20mm 실험체의 결과이다
바름재 두께 30 mm 실험체
두께 30mm의 내화피복을 한 실험체의 내화 실험 결과는 표 25와 같다. 본 실험체는 두께 20mm와 비교해 각 두께별 평균 68.4?78.7%의 온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실험 180분 동안 양호한 내부 온도이력을 나타냈다. 바름재 표면에 실험 20분부터 모서리에서 중앙으로의 균열이 시작되었고, 30분부터 부분 박락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지속적인 균열과 박락현상이 발생하여 바름재의 박락면적이 증가하였지만, 실험체 표면에는 미세한 균열 외에 박락 흔적은 관찰되지 않았다. 노내 온도 대비 각 두께별 온도감소율은 평균 85.6%로 높은 온도감소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두께 30mm의 석고를 혼입한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에서 내화 3시간을 만족하는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바름재 두께 30mm 실험체- 180분 가열 최대 폭열
깊이
(mm)
평균 탄산화 깊이
(mm)
두께
(mm)
노내 5 10 20 30 40 50 75
온도
(℃)
1114.9 221.0 202.0 171.5 149.8 143.8 133.6 99.1 30 24.6
온도 감소율
(%)
- 80.2 81.9 84.6 86.6 87.1 88.0 91.1
표 25는 바름재 두께 30mm 실험체의 결과이다
바름재 두께 40 mm 실험체
두께 40mm의 내화피복을 한 실험체의 내화 실험 결과는 표 26과 같다. 본 실험체는 두께 30mm와 비교해 각 두께별 평균 12.7?13.9%의 온도 감소 효과를 나타내어 두께 30mm 시험체 보다 실험 180분 동안 양호한 내부 온도이력을 나타냈으나, 두께별 온도 감소효과 차이는 20mm와 30mm보다 감소하여, 두께 40mm 이상의 바름재에서는 실험체의 온도감소율이 점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름재 표면에 실험 20분부터 모서리에서 중앙으로의 균열이 시작되었고, 35분부터 부분 박락 현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그 후 지속적인 균열현상이 발생하여 바름재의 균열면적이 증가하였지만, 실험체 표면에는 균열 흔적이 관찰되지 않았다. 노내 온도 대비 각 두께별 온도감소율은 평균 87.5%로 두께 30mm와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름재 두께 40mm 실험체- 180분 가열 최대 폭열
깊이
(mm)
평균 탄산화 깊이
(mm)
두께
(mm)
노내 5 10 20 30 40 50 75
온도
(℃)
1114.9 189.7 176.0 146.8 130.4 120.4 111.6 97.2 25 13.7
온도 감소율
(%)
- 83.0 84.2 86.8 88.3 89.2 90.0 91.2
표 26은 바름재 두께 40mm 실험체의 결과이다

Claims (4)

  1.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에 있어서, 경량골재를 사용하며 석고를 5?15%중량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을 가지는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결합재:잔골재 용적비가 1:1?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을 가지는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3. 고강도 콘크리트에 제 1항의 조성물을 두께 30mm 이상으로 피복하여 내화성을 획득하는 방법.
  4.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경량골재를 사용하며 석고를 5?15%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성을 가지는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00132554A 2010-12-22 2010-12-22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098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554A KR20120070989A (ko) 2010-12-22 2010-12-22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554A KR20120070989A (ko) 2010-12-22 2010-12-22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989A true KR20120070989A (ko) 2012-07-02

Family

ID=46706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554A KR20120070989A (ko) 2010-12-22 2010-12-22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098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5657B2 (en) Method of accelerating curing and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pozzolanic and cementitious-based material
US10071503B2 (en) Concrete runways, roads, highways and slabs on grade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6332988B2 (ja) 耐火モルタル
KR100877528B1 (ko) 보온성, 차음성을 향상한 드라이 모르타르 및 상기 드라이모르타르로 제조된 불연성 보드 및 상기 드라이 모르타르로제조된 경량 벽돌
Talaei et al. Mechanical properties of fiber-reinforced concrete containing waste porcelain aggregates under elevated temperatures
KR101668631B1 (ko) 건식 공정 바텀애시를 경량골재로 활용한 경량 내화 모르타르
RU2385851C1 (ru) Сырьевая смесь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огнезащитного покрытия
RU2372314C1 (ru) Огнезащитная сырьевая смесь
CN101774224A (zh) 节能环保混凝土的生产方法
JP5536509B2 (ja) 軽量耐火断熱セメントモルタル
KR101228510B1 (ko) 내폭성 고강도 모르타르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폭성 코팅구조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내폭성 코팅층 시공방법
RU2459052C2 (ru) Пустотел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WO2018076126A1 (es) Hormigones estructurales livianos y/o aislantes térmicos de cociente resistencia/densidad y/o resistencia/conductividad superiores y sus métodos de fabricación
KR20120070989A (ko) 고강도콘크리트 내화피복용 경량 모르타르 바름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949697B2 (ja) 金庫室構築用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22806B1 (ko) 고강도 콘크리트 폭렬방지용 내화패널 구조물 및 이의 제조방법
El-Kurdi et al. Study the effect of silica fume, polypropylene fiber, steel fiber, limestone powder and bentonite on the fire resistance of concrete
AU2015200172A1 (en) Concrete mix composition, mortar mix composition and method of making and curing concrete or mortar and concrete or mortar objects and structures
KR100857510B1 (ko) 내화성을 확보한 고강도 콘크리트용 인공 골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1000A (ko) 경량 내화 비탈형 거푸집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16763B1 (ko) 외단열용 보호 몰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외단열 시스템
Ocholi et al. Effect of variation in temperature on some properties of cement stabilized lateritic interlocking bricks
KR101559346B1 (ko) 고로 슬래그 미분말을 이용한 내화피복재, 그 분말 및 시공방법
JP2007169133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