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878A -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878A
KR20120070878A KR1020100132390A KR20100132390A KR20120070878A KR 20120070878 A KR20120070878 A KR 20120070878A KR 1020100132390 A KR1020100132390 A KR 1020100132390A KR 20100132390 A KR20100132390 A KR 20100132390A KR 20120070878 A KR20120070878 A KR 201200708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touch screen
screen panel
driving
driv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8450B1 (ko
Inventor
임완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450B1/ko
Publication of KR201200708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8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를 터치하는 것으로 슬립 모드의 터치스크린패널을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대한 것으로, 터치스크린패널; 및,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일 때 이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에 터치가 가해질 경우, 이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 표시장치{TOUCH SCREE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를 터치하는 것으로 슬립 모드의 터치스크린패널을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표시장치는 각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정보통신기기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여러 방식 중의 하나로서, 사용자가 손이나 펜으로 화면을 직접 접촉함으로써 기기와 인터페이스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다.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버튼을 손가락으로 접촉하는 것만으로 대화적, 직감적으로 조작함으로써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입력장치이기 때문에, 현재 은행이나 관공서의 발급 장치, 각종 의료장비, 관광 및 주요 기관의 안내, 교통안내 등 많은 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슬립 모드에서 그 터치를 인식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슬립 모드의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여야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를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슬립 모드의 터치스크린패널을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터치스크린패널; 및,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일 때 이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에 터치가 가해질 경우, 이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결과를 근거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제어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일 때에도 상기 터치제어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립 모드를 포함한 모든 모드에서 상기 터치제어부로 구동전원들을 공급하는 터치구동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구동전원부는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전원을 공급받고, 이 시스템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전원들을 생성하며; 상기 시스템전원은 상기 슬립 모드에 관계없이, 상기 시스템이 꺼지기 전까지 상기 시스템에 공급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네 변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재귀 반사판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세 모서리에 장착되어, 적외선 광을 출사하고 상기 재귀 반사판들로부터 반사된 적외선 광의 광량에 근거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내제 제 3 적외선 카메라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구동전원부는,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전원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터치제어부로부터의 터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에 표시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데이터처리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재정렬하고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터치스크린패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직류-직류 변환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일 때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 상기 구동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는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전원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들을 더 생성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웨이크 업 모드를 포함한 정상적인 모드로 구동 중 일 때 상기 터치구동전원부가 동작을 중지하고,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구동전원들이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 및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에 공급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 일 때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가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터치구동전원부로부터의 구동전원들이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 및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에 공급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터치제어부로부터의 터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에 표시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데이터처리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재정렬하고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터치스크린패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전원, 터치데이터처리부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전원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들을 생성하는 직류-직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웨이크 업 모드를 포함한 정상적인 모드로 구동 중 일 때 상기 터치구동전원부가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구동전원들이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 및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에 공급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 일 때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가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터치구동전원부로부터의 구동전원들이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에 공급됨과 아울러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에 공급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터치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슬립 모드시에도 동작하는 터치구동전원부를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슬립 모드 상태의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를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이 터치스크린패널을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둘째, 터치구동전원부가 슬립 모드에서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 출력된 구동전원들이 모든 적외선 카메라들에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반면, 터치구동전원부로부터의 구동전원들은 이 적외선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구동전원부의 구동전원 전송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구동전원 전송방식을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구비된 구동회로부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구비된 구동회로부를 나타낸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의 배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패널(TSP) 및 구동회로부를 포함한다.
구동회로부는 터치스크린패널(TSP)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일 때 이 터치스크린패널(TSP)의 표시부에 터치가 가해질 경우, 이 터치를 감지하여 터치스크린패널(TSP)을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구동회로부는 터치제어부, 터치구동전원부(PS), 데이터처리부(DP), 타이밍 콘트롤러(TC), 데이터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직류-직류 변환부(DC)를 포함한다.
터치제어부는 터치스크린패널(TSP)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결과를 근거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터치제어부는 터치스크린패널(TSP)의 표시부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와, 그리고 이 터치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데이터처리부(TDP)를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감지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패널(TSP)의 네 변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재귀 반사판들(SR1 내지 SR4)과, 이 터치스크린패널(TSP)의 세 모서리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을 포함한다.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은 재귀 반사판들로부터 반사된 적외선 광의 광량에 근거하여 터치를 감지한다.
각 재귀 반사판(CAM1 내지 CAM3)은 다수의 프리즘들이 적층되어 형성된 재귀 반사층(retro-reflecting layer)으로 구성된다.
각 적외선 카메라(CAM1 내지 CAM3)는 적외선 광을 출사하는 적외선 LED(light emitting diode)와, 입사된 광을 집광하는 대물렌즈와, 상기 대물렌즈에 의해 집광된 광을 감지하는 포토 센서와, 그리고 대물렌즈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한 광학필터를 포함한다. 입사된 광은, 광학필터, 대물렌즈를 거쳐 포토 센서로 입사된다. 그리고, 적외선 LED는 광을 재귀 반사판(SR)쪽으로 출사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포토 센서의 해상도는 수평 방향으로 500픽셀 이상(수평 방향으로500개 이상의 화소 상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의 해상도를 가질 수 있다.
각 적외선 카메라(CAM1 내지 CAM3)는 각각 최소 2면에서 재귀 반사되어 오는 광을 제공받고, 또한 자신이 위치한 모서리부와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는 다른 모서리부의 적외선 카메라로부터 출사된 적외선 광을 감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터치스크린패널(TSP)의 표시부에 터치가 있을 경우 재귀 반사판(SR)에서 반사된 반사광 또는 접촉된 물체(손이나 펜 등의 입력 수단)의 터치 지점에서의 광이 차단되게 되는데, 각 적외선 카메라는 이러한 광이 차단되는 지점을 감지한다.
이러한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은 커넥터(CN5) 및 가요성 인쇄회로필름(Flexible Printed Circuit Film)에 의해 터치데이터처리부(TDP)에 연결되는 바, 이 터치데이터처리부(TDP)는 이 적외선 카메라들로부터 감지된 광에 대한 광신호를 분석하여 터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산출한다.
이 터치데이터처리부(TDP)는 제 1 적외선 카메라(CAM1)로부터 제공된 광신호와 제 2 적외선 카메라(CAM2)로부터 제공된 광신호를 삼각측량법으로 분석하고, 제 2 적외선 카메라(CAM2)로부터 제공된 광신호와 제 3 적외선 카메라(CAM3)로부터 제공된 광신호를 삼각측량법으로 분석하여 터치지점들의 개수, 터치지점들의 각 좌표 및 이 터치지점들 각각에 대한 트랙킹 아이디를 산출한다.
터치구동전원부(PS)는 터치스크린패널(TSP)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일 때에도 상기 터치제어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슬립 모드를 포함한 모든 모드에서 상기 터치제어부로 구동전원들을 공급한다. 즉, 이 터치구동전원부(PS)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는 한 구동전원을 항상 생성하여 터치제어부로 공급한다. 다시 말하여, 이 터치구동전원부(PS)는 터치스크린패널(TSP)의 표시부가 켜져 있는 동안 터치데이터처리부(TDP)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전원 및 제 1 및 제 3 적외선 카메라(CAM1 내지 CAM3)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생성하고, 이 생성된 구동전원들을 터치구동전원부(PS) 및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로 공급한다.
이러한 터치구동전원부(PS)는 시스템(SYS)의 전원으로부터 시스템전원을 공급받고, 이 시스템전원을 조절하여 구동전원들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이 터치구동전원부(PS)는 제 1 커넥터(CN1), 제 2 커넥터(CN2), 그리고 이 제 1 커넥터(CN1)와 제 2 커넥터(CN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1 케이블(CB1)을 통해 시스템(SYS)에 접속된다. 이때, 이 터치구동전원부(PS)는 소스인쇄회로기판(SPCB)에 실장되는 바, 이 소스인쇄회로기판(SPCB)에는 이 터치구동전원부(PS)의 입력핀과 제 1 커넥터(CN1)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전송라인(TL)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커넥터(CN1, CN2)는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에 따른 USB 커넥터이며, 또한 제 1 케이블 역시 USB 규격에 따른 USB 케이블이다. 이 USB 커넥터는 내부에 다수의 데이터전송핀들 및 다수의 전력공급핀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USB 케이블은 역시 상술된 데이터전송핀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데이터전송선들 및 상기 다수의 전력공급핀들에 대응되는 다수의 전력공급선들을 포함한다. 시스템전원 또는 외부로부터의 전원은 이 제 1 및 제 2 커넥터의 전력공급핀들, 그리고 제 1 케이블내의 전력공급선들에 의해 전송된다.
이 시스템전원은 슬립 모드에 관계없이, 시스템(SYS)이 꺼지기 전까지 이 시스템(SYS)에 공급된다. 이 시스템(SYS)은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될 때 꺼지게 된다. 다시 말하여, 이 시스템(SYS)은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로의 전원이 차단될 때 꺼지게 된다.
이 시스템(SYS)의 전원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상술된 시스템전원을 생성하는 바, 상술된 터치구동전원부(PS)는 이 시스템전원 대신에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직접 공급받아 상술된 구동전원들을 생성할 수 도 있다.
이 시스템(SYS)은 데이터처리부(DP)를 포함하는 바, 이 데이터처리부(DP)는 터치제어부로부터의 터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터치스크린패널(TSP)의 표시부에 표시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이 데이터처리부(DP)는 터치제어부에 구비된 터치데이터처리부(TDP)로부터 터치 데이터를 공급받는다. 이를 위해, 이 데이터처리부(DP)는 제 1 커넥터(CN1), 제 2 커넥터(CN2), 그리고 이 제 1 커넥터(CN1)와 제 2 커넥터(CN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2 케이블(CB2)을 통해 터치데이터처리부(TDP)에 접속된다.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시스템(SYS)의 데이터처리부(DP)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재정렬하고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한다. 또한, 이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시스템(SYS)의 데이터처리부(DP)로부터 입력되는 수평동기신호, 수직동기신호, 및 클럭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제어신호와 게이트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이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제 3 커넥터(CN3), 제 4 커넥터(CN4), 그리고 이 제 3 커넥터(CN3)와 제 4 커넥터(CN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 케이블(CB3)을 통해 데이터처리부(DP)에 접속된다. 이 타이밍 콘트롤러(TC)는 이 데이터 제어신호를 데이터 드라이버로 공급하고, 게이트 제어신호를 게이트 드라이버로 공급한다. 데이터 제어신호는 도트클럭, 소스쉬프트클럭, 소스인에이블신호, 극성반전신호 등을 포함한다. 게이트 제어신호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 게이트쉬프트클럭, 게이트출력인에이블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드라이버는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에 따라 화상 데이터들을 샘플링한 후에, 매 수평기간(Horizontal Time : 1H, 2H, ...)마다 한 수평라인분에 해당하는 샘플링 화상 데이터들을 래치하고 래치된 화상 데이터들을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한다. 즉, 데이터 드라이버는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직류-직류 변환부(DC)로부터 입력되는 감마전압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화소 신호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타이밍 콘트롤러(TC)로부터의 게이트 스타트 펄스에 응답하여 스캔펄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스캔펄스를 화소의 구동에 알맞는 전압레벨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레벨 쉬프터를 포함한다. 게이트 드라이버는 게이트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게이트 라인들에 순차적으로 스캔펄스를 공급한다.
시스템(SYS)의 데이터처리부(DP)는 그래픽콘트롤러의 LVDS(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송신기를 통하여 수직동기신호, 수평 동기신호, 클럭신호 및 화상 데이터들을 인터페이스회로를 통해 출력한다. 이 시스템(SYS)의 데이터처리부(DP)로부터 출력된 수직/수평 동기신호, 화상 데이터 및 클럭신호는 타이밍 콘트롤러(TC)에 공급된다.
상술된 직류-직류 변환부(DC)는 데이터처리부(DP), 타이밍 콘트롤러(TC), 데이터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터치스크린패널(TSP)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전원들을 생성한다. 이 직류-직류 변환부(DC)는 시스템(SYS)의 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시스템전원을 승압 또는 감압하여 상술된 구동전원들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이 직류-직류 변환부(DC)는 제 3 커넥터(CN3), 제 4 커넥터(CN4), 그리고 이 제 3 커넥터(CN3)와 제 4 커넥터(CN4)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 3 케이블(CB3)을 통해 시스템(SYS)의 전원에 접속된다.
이 직류-직류 변환부(DC)의 구동전원들은 6V 이상의 구동전압, 10 단계 미만의 감마기준전압(GMA1 10), 2.5 3.3V의 공통전압, 15V 이상의 게이트고전압, -4V 이하의 게이트저전압 등이 될 수 있다. 이 감마기준전압(GMA1 10)은 VDD 전압의 분압에 의해 발생된 전압이다. 이 구동전압과 감마기준전압은 아날로그 감마전압으로써 데이터 드라이버에 공급된다. 그리고, 공통전압은 데이터 드라이버를 경유하여 터치스크린패널(TSP)에 형성된 공통전극에 공급되는 전압이다. 게이트고전압은 표시부의 각 화소에 구비된 박막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이상으로 설정된 스캔펄스의 하이논리전압으로써 게이트 드라이버에 공급되고, 게이트전압은 박막트랜지스터의 오프전압으로 설정된 스캔펄스의 로우논리전압으로써 게이트 드라이버에 공급된다.
이 직류-직류 변환부(DC)는 터치스크린패널(TSP)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일 때 타이밍 콘트롤러(TC), 데이터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터치스크린패널(TSP)로 구동전원들을 공급하지 않는다. 즉, 슬립 모드에서는 전력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이 직류-직류 변환부(DC)는 상술된 구동전원들을 생성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여, 이 직류-직류 변환부(DC)에는 슬립 모드 신호 및 웨이크 업 모드 신호가 공급될 수 있는 바, 슬립 모드 신호가 공급될 때는 상술된 구동전원들을 생성하지 않으며, 웨이크 업 모드 신호가 공급될 때는 상술된 구동전원들을 다시 생성한다. 이에 따라, 슬립 모드에서는 터치스크린패널(TSP)의 표시부가 꺼진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상술된 직류-직류 변환부(DC), 타이밍 콘트롤러(TC), 터치구동전원부(PS) 및 터치데이터처리부(TDP)는 소스인쇄회로기판(SPCB)에 실장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치구동전원부(PS)의 구동전원 전송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구동전원부(PS)로부터 생성된 구동전원들은 제 1 카메라(CAM1), 제 2 카메라(CAM2), 제 3 카메라(CAM3) 및 터치데이터처리부(TDP)로 공급된다.
도 4는 직류-직류 변환부(DC)로부터의 구동전원 전송방식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직류 변환부(DC)로부터 생성된 구동전원들은 타이밍 콘트롤러(TC), 데이터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터치스크린패널(TSP)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 표시장치는 슬립 모드에서도 외부로부터의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스크린패널(TSP)을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터치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이 슬립 모드시 구동이 정지되는 직류-직류 변환부(DC)로부터 제공되지 않고, 슬립 모드시에도 항상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터치구동전원부(PS)로부터 제공된다. 따라서, 슬립 모드시에도 터치제어부에 구비된 터치데이터처리부(TDP) 및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은 모두 동작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슬립 모드에서도 터치스크린패널(TSP)에 가해진 터치가 인식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슬립 모드에서 키보드나 마우스의 입력은 물론 터치스크린패널(TSP)을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터치스크린패널(TSP)을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즉, 슬립 모드에서 터치스크린패널(TSP)을 터치하게 되면,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이 이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결과가 터치데이터처리부(TDP)에 의해 처리된다. 이때, 이 터치데이터처리부(TDP)의 동작에 반응하여 직류-직류 변환부(DC)가 다시 동작하게 되어 상술된 타이밍 콘트롤러(TC), 데이터 드라이버(DD), 게이트 드라이버(GD) 및 터치스크린패널(TSP)로 필요한 구동전원이 공급된다. 한편, 시스템(SYS)의 데이터처리부(DP)는 시스템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으며, 또는 직류-직류 변환부(DC)로부터의 구동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터치제어부에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슬립 모드시에도 동작하는 터치구동전원부(PS)를 이용하여 공급함으로써, 슬립 모드 상태의 터치스크린패널(TSP)의 표시부를 터치하는 것만으로도 이 터치스크린패널(TSP)을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구비된 구동회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2 실시예로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이크 업 모드 구동을 포함한 정상적인 구동시(즉, 터치스크린패널(TSP)의 표시부가 켜져 있는 동안)에는 터치구동전원부(PS)가 동작하지 않도록 하고, 대신 직류-직류 변환부(DC)로부터의 구동전원(터치제어부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전원)이 터치제어부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립 모드에서는 상술된 바와 같이 직류-직류 변환부(DC)는 구동되지 않고, 대신 터치구동전원부(PS)가 동작한다. 이와 같이, 터치구동전원부(PS)가 슬립 모드에서만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전력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직류-직류 변환부(DC)는 터치제어부의 터치데이터처리부(TDP) 및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전원들을 더 생성해야 하며, 이들 구동전원들을 터치데이터처리부(TDP) 및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로 공급하기 위한 전송라인들이 소스인쇄회로기판(SPCB)에 더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이 직류-직류 변환부(DC)뿐만 아니라 터치구동전원부(PS)에도 슬립 모드 신호(SLM) 및 웨이크 업 모드 신호(WUK)가 인가되어야 한다. 즉, 이 터치구동전원부(PS)는 슬립 모드 신호(SLM)에 응답하여 상술된 구동전원들을 생성하며, 반면 웨이크 업 모드 신호(WUK)에 응답하여 상술된 구동전원들을 더 이상 생성하지 않는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터치스크린 표시장치에 구비된 구동회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 3 실시예는 상술된 제 2 실시예와 구성이 동일하나, 다음과 같이 터치구동전원부(PS)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전원이 모든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이 아닌 특정 적외선 카메라에만 선택적으로 인가된다.
즉,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직류 변환부(DC)로부터 출력된 구동전원들이 모든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에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반면, 터치구동전원부(PS)로부터의 구동전원들은 이 적외선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두개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시 터치된 지점의 정확한 좌표가 요구되지 않으므로, 터치스크린패널(TSP)이 슬립 모드로 구동되는 기간에는 모든 적외선 카메라들(CAM1 내지 CAM3)을 구동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패널(TSP)이 슬립 모드로 구동될 때는 직류-직류 변환부(DC) 대신에 터치구동전원부(PS)를 동작시키면서, 특정 적외선 카메라만 선택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정도의 수로 적외선 카메라를 구동하면 된다. 나머지 구성요소는 상술된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CAM1 내지 CAM3: 카메라 CN1 내지 CN5: 커넥터
SPCB: 소스인쇄회로기판 FC: 가요성 인쇄회로필름
DC: 직류-직류 변환부 TC: 타이밍 콘트롤러
TL: 신호전송라인 PS: 터치구동전원부
TDP: 터치데이터처리부 SYS: 시스템
TSP: 터치스크린패널 DP: 데이터처리부
CB1 내지 CB3: 케이블

Claims (10)

  1. 터치스크린패널; 및,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일 때 이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에 터치가 가해질 경우, 이 터치를 감지하여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을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구동회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고, 이 감지된 결과를 근거로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제어부; 및,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일 때에도 상기 터치제어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립 모드를 포함한 모든 모드에서 상기 터치제어부로 구동전원들을 공급하는 터치구동전원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구동전원부는 시스템으로부터 시스템전원을 공급받고, 이 시스템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구동전원들을 생성하며;
    상기 시스템전원은 상기 슬립 모드에 관계없이, 상기 시스템이 꺼지기 전까지 상기 시스템에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제어부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에 가해진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감지부; 및,
    상기 터치감지부로부터의 감지 결과에 근거하여 터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터치데이터처리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네 변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4 재귀 반사판들;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세 모서리에 장착되어, 적외선 광을 출사하고 상기 재귀 반사판들로부터 반사된 적외선 광의 광량에 근거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제 1 내제 제 3 적외선 카메라들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구동전원부는,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전원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터치제어부로부터의 터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에 표시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데이터처리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재정렬하고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터치스크린패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직류-직류 변환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는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일 때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및 게이트 드라이버로 상기 구동전원을 공급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는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전원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들을 더 생성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웨이크 업 모드를 포함한 정상적인 모드로 구동 중 일 때 상기 터치구동전원부가 동작을 중지하고,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구동전원들이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 및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에 공급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 일 때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가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터치구동전원부로부터의 구동전원들이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 및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에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로부는,
    상기 터치제어부로부터의 터치 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표시부에 표시될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이터처리부;
    상기 데이터처리부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재정렬하고 타이밍에 맞추어 출력하는 타이밍 콘트롤러;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데이터 라인들로 공급하는 데이터 드라이버;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드라이버; 및,
    상기 타이밍 콘트롤러, 데이터 드라이버, 게이트 드라이버 및 터치스크린패널을 동작시키기 위한 구동전원, 터치데이터처리부의 동작에 필요한 구동전원 및 상기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의 구동에 필요한 구동전원들을 생성하는 직류-직류 변환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웨이크 업 모드를 포함한 정상적인 모드로 구동 중 일 때 상기 터치구동전원부가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로부터의 구동전원들이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 및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에 공급되며;
    상기 터치스크린패널이 슬립 모드로 구동 중 일 때 상기 직류-직류 변환부가 동작을 중지하고, 상기 터치구동전원부로부터의 구동전원들이 상기 터치데이터처리부에 공급됨과 아울러 제 1 내지 제 3 적외선 카메라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에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1020100132390A 2010-12-22 2010-12-22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KR101818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390A KR101818450B1 (ko) 2010-12-22 2010-12-22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2390A KR101818450B1 (ko) 2010-12-22 2010-12-22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878A true KR20120070878A (ko) 2012-07-02
KR101818450B1 KR101818450B1 (ko) 2018-01-15

Family

ID=46706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2390A KR101818450B1 (ko) 2010-12-22 2010-12-22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4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0800A (ko) * 2012-08-10 2014-02-19 블랙베리 리미티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터치 검출 방법
KR20150075976A (ko) * 2013-12-26 2015-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4035702A (zh) * 2021-11-04 2022-02-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的触摸唤醒方法及装置、供电电路和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8365B2 (ja) * 2002-02-26 2008-03-26 株式会社リコー 座標入力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0800A (ko) * 2012-08-10 2014-02-19 블랙베리 리미티드 터치 감지형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및 터치 검출 방법
KR20150075976A (ko) * 2013-12-26 2015-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CN114035702A (zh) * 2021-11-04 2022-02-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的触摸唤醒方法及装置、供电电路和显示设备
CN114035702B (zh) * 2021-11-04 2024-0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设备的触摸唤醒方法及装置、供电电路和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450B1 (ko) 2018-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41364B (zh) 光学触摸输入装置及其驱动方法
US10216324B2 (en) Touch drive device
US8860687B2 (en) Display, touch panel and electronic device
KR101448498B1 (ko)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TWI590133B (zh) 驅動觸控感測器之設備及方法
KR101972166B1 (ko) 터치 검출 기능이 있는 표시 패널, 구동 회로, 및 전자 기기
TWI521407B (zh) 顯示裝置
KR101715858B1 (ko) 터치 센서 구동 장치
KR101747731B1 (ko) 터치 센서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1637174B1 (ko)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KR20150027529A (ko) 터치 ic 및 이를 이용한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US20130257782A1 (en) Input system
TW201224885A (en) Touch detection function-attached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and driving circuit therefor,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190081730A (ko) 지문 센싱 서브픽셀,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25778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2054669B1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70037190A (ko) 드라이버ic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CN103970389A (zh) 显示装置、显示装置的驱动方法以及电子设备
EP2560077A1 (en) Input display device, in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of input device
KR20120070878A (ko) 터치스크린 표시장치
CN102314247A (zh) 触控面板
KR102202871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601644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20180045355A (ko) 터치표시장치
KR20150015097A (ko)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