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0203A - Urinal - Google Patents

Ur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0203A
KR20120070203A KR1020100131655A KR20100131655A KR20120070203A KR 20120070203 A KR20120070203 A KR 20120070203A KR 1020100131655 A KR1020100131655 A KR 1020100131655A KR 20100131655 A KR20100131655 A KR 20100131655A KR 20120070203 A KR20120070203 A KR 20120070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housing
inlet
receiver
rot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6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주원호
Original Assignee
주원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원호 filed Critical 주원호
Priority to KR1020100131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0203A/en
Publication of KR20120070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020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E03D11/143Mounting frames for toilets and uri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Abstract

PURPOSE: A urinal is provided to bury a urine inlet in a housing and to expose the buried urine inlet to the outside the housing when necessary. CONSTITUTION: A urinal comprises a hollow housing(10), a urine receiver(20), a urine discharge hole(19), and a washing water supply unit(F). The housing has an opening unit(11). A urine inlet(B) is formed on the top end of the urine receiver. The urine receiver is rotated between a buried position and an opening position. The urine discharge hole is formed on the housing and discharges urine flowing through the urine inlet to the outside the housing.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is installed on the housing and supplies washing water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Description

소변기{Urinal}Urinal {Urinal}

본 발명은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건물의 실내 벽에 매립형으로 설치되기에 적합한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urinals and, in particular, to urinals suitable for being embedded in the interior walls of buildings.

예를 들어, 가정의 욕실에 있는 좌변기에 남성이 서서 소변을 볼 경우, 소변이나 좌변기 내의 물이 튀어 좌변기 시트에 묻게 됨으로써, 위생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또한, 나중에 그 좌변기에 앉아서 용변을 보는 사람이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남성용 소변기를 가정의 욕실에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For example, if a man stands and urinates in a toilet in the home's bathroom, the urine or water in the toilet will splash on the toilet seat, which is undesirable for hygienic reasons, and the person sitting on the toilet and viewing the toilet later on Often this discomfort is felt. In consideration of this, recently, a urinal for men installed in a public toilet has been installed in a bathroom in a home.

그런데 종래의 소변기는, 그 소변기의 배면이 욕실 등의 실내의 벽 표면에 밀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소변기 전체가 욕실 등의 실내 공간으로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게 된다. 그러므로, 욕실 등의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저하될 뿐만 아니라, 실내공간이 좁은 경우에는 소변기를 설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소변기는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받아들이는 부분이 항상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미관상 바람직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By the way, the urinal of the related art is provided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urinal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such as the bathroom, so that the entire urinal is arranged in a state of protruding into the room space such as the bathroom. Therefore, not only the utilization of an indoor space such as a bathroom is lowered, bu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install a urinal when the indoor space is narrow. In addition, the ur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is always exposed to the outside to receive the urine discharged from the human body.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소변을 받아들이는 부분이 평상시에는 폐쇄되어 있고, 필요시에만 노출될 수 있도록 개선됨으로써 미관이나 위생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또한, 가정의 욕실 등의 실내 벽 내부에 매립형으로 설치되기에 적합한 소변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urine receiving portion is normally closed and is improved so that it can be exposed only when necessary.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urinal suitable for being embedded in an interior wall.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는, 앞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 상단에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받아들이기 위한 뇨투입구를 가지며, 상기 뇨튜입구가 상기 하우징 내로 몰입되는 몰입위치와 상기 뇨투입구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소변받이; 상기 뇨투입구를 통해 받아들여져서 상기 하우징 내로 투입된 소변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하수관에 접속되는 배뇨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세척수 공급유닛;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r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on its front surface; It has a urine inlet for receiving urine discharged from the human body at the top, coupled to the housing rotatably between the immersion position in which the urine inlet is immersed into the housing and the open position in which the urine inle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Urine receiver; A urine outle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ewer pipe for discharging urine received through the urine inlet an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 washing wat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본 발명에 따른 소변기는,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받아들이는 뇨투입구가 하우징의 내부에 몰입되어 있다가 필요시에만 즉, 소변을 볼 때에만, 뇨투입구를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미관이나 위생적인 측면에서 바람직하며, 또한, 가정의 욕실 등의 실내 벽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기에 적합하다.The ur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expose the urine inlet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only when the urine inlet for receiving urine from the human body is immersed in the interior of the housing and only when necessary, i.e., when urinating. Therefore,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beauty and hygiene, and is also suitable for being embedded in an interior wall of a bathroom of a ho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변기에서 하우징과 소변받이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록킹유닛 부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록킹유닛에서 걸림턱과 후크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소변받이가 개방위치로 회동된 상태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세척수 공급유닛 부위의 개략적 확대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에 도시된 세척수 공급유닛에 의해 세척수가 공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소변기가 실내벽에 매립되게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ur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housing and the urine receiver separated from the urinal shown in FIG. 1.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in FIG. 1.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cking unit part shown in FIG. 1.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ocking jaw and the hook is released in the locking unit shown in FIG.
6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urine receiver shown in FIG. 1 rotated to an open position.
FIG. 7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rtion of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shown in FIG. 1.
8 and 9 are views for explaining a process in which the washing water is supplied by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shown in FIG.
FIG. 10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urinal illustrated in FIG. 1 is embedded in an interior wall.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변기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변기에서 하우징과 소변받이를 분리하여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의 Ⅲ-Ⅲ선 개략적 단면도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ur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housing and the urine receiver separated from the urinal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III-III line in FIG.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소변기는, 하우징(10)과, 소변받이(20)와, 세척수 공급유닛(F)을 구비하고 있다.1 to 3, the urinal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housing 10, a urine receiver 20, and a washing water supply unit (F).

상기 하우징(10)은, 예를 들어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강판을 판금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내부가 비어 있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으며, 그 앞면에는 하우징(10)의 내?외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다.The housing 10 may be formed by, for example, sheet metal processing of a corrosion-resistant stainless steel sheet, and has a hollow inside. The front surface is formed with an opening 11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housing 10.

상기 소변받이(20)는, 하우징(10)과 마찬가지로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강판 소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서, 앞판(21)과, 한 쌍의 측판(22)을 구비하고 있다. 측판(22)들은 앞판(21)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서로 나란하게 후방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측판(22)들의 상단과 앞판(21)의 상단에 의해, 뇨투입구(B)가 구획된다. 이 뇨투입구(B)는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받아들이기 위한 부분이다. 소변받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뇨투입구(B)가 하우징(10) 내로 몰입되는 몰입위치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뇨투입구(B)가 하우징(10)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에 힌지결합된다. 이 힌지결합구조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소변받이(20)의 하단부(구체적으로는 양 측판(22)의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공(23)과, 그 결합공(23)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며 하우징(10)의 하부 양측에 각각 고정된 힌지축(1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힌지축(13)에는 토션스프링(TS)이 결합되어 있다. 토션스프링(TS)의 일단은 하우징(10)에 형성된 돌기(14)에 지지되고 토션스프링(TS)의 타단은 소변받이(20)에 형성된 돌기부(24)에 지지되어서, 소변받이(20)를 상기 개방위치로 회동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하게 된다.The urine collection vessel 20 may be formed of a stainless steel sheet having high corrosion resistance similar to the housing 10, and includes a front plate 21 and a pair of side plates 22. The side plates 22 are arranged to extend rearward side by side from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late 21. The urine inlet B is partitioned by the upper end of the side plates 22 and the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21. This urine inlet B is a portion for receiving urine discharged from the human body. The urine receiving vessel 20 has an immersion position in which the urine inlet B is immersed into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1, and the urine inlet B protrudes out of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6. And hinged to the housing 10 to be rotated between the exposed open positions. As the hinge coupling structu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hole 23 formed in the lower end of the urine receiver 20 (specifically, the lower end of both side plates 22) and the coupling hole 23 can be rotated relative to each other. The hinge shafts 13 are fitted to the lower sides of the housing 10, respectively. Torsion springs TS are coupled to the hinge shafts 13.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TS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14 formed in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TS is supported by the protrusion 24 formed in the urine receiver 20, thereby supporting the urine receiver 20. It is elastically pressed to rotate to the open position.

소변받이(20)의 앞판(21)은 하우징(10)의 개구부(11)를 가릴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서, 소변받이(20)가 상기 몰입위치로 회동되어 있게 되면, 소변받이(20)의 앞판(21)이 하우징(10)의 개구부(11)를 폐쇄하게 된다. 측판(22)들은 소변받이(20)가 상기 개방위치에 있을 때, 그 측판(22)들 각각의 일부(후단부)가 하우징(10) 내에 위치할 수 있는 크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뇨투입구(B)를 통과하는 소변이 측판(22)과 하우징(10) 사이의 틈새로 누출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참조번호 25는 상기 몰입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의 소변받이(2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측판(22)들에 마련된 스토퍼부이다. 이 스토퍼부(22)는, 소변받이(20)가 개방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내면에 접촉됨으로써, 소변받이(20)가 더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front plate 21 of the urine collecting vessel 20 is formed to have a size to cover the opening 11 of the housing 10, so that when the urine collecting vessel 20 is rotated to the immersion position, the urine collecting vessel 20 The front plate 21 closes the opening 11 of the housing 10. The side plates 22 are preferably designed to be sized such that a portion (rear end) of each of the side plates 22 can be located in the housing 10 when the urine receiver 20 is in the open position.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urine passing through the urine inlet B from leaking into the gap between the side plate 22 and the housing 10. Reference numeral 25 is a stopper portion provided on the side plates 22 to limit the rotation range of the urine receiver 20 from the immersion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The stopper portion 2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a state where the urine receiver 20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urine receiver 20 from being rotated any further.

한편, 소변받이(20)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의 상기 앞판(21)의 내면과 가상의 수직면(예컨대 하우징(10)의 앞면)이 이루는 사이각(즉, 소변받이(20)가 상기 몰입위치로부터 개방위치까지 회동할 때의 회동각도)는 45°이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상기 사이각이 45°보다 커지게 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체로부터 뇨투입구(B)를 향해 배출되는 소변이 앞판(21)의 내면에 충돌하여 뇨투입구(B)를 통해 다시 외부로 튀어나올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이다. 본 출원인의 실험에 의하면, 상기 사이각이 대략 30°이하가 되면, 소변이 앞판(21)의 내면에 충돌하더라도 뇨투입구(B) 밖으로 튀어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소변받이(20)의 회동범위는 30°이하로 설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angle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 and the virtual vertical surface (for example,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when the urine collecting vessel 20 is in the open position (ie, the urine collecting vessel 20 is the immersion position). Rotation angle at the time of rotation to the open position) is preferably within 45 degrees. If the angle is greater than 45 °, urine discharged toward the urine inlet B from the human body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 and bounces out again through the urine inlet B as described below. This is because the likelihood of coming out will increase sharply. According to the applicant's experiment, it was confirmed that when the angle between the angle is approximately 30 degrees or less, even if urine collide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plate 21, it hardly protrudes out of the urine inlet B. Therefore, the rotation range of the urine receiver 20 is more preferably designed to be 30 ° or less.

본 실시예의 소변기에는, 몰입위치로 회동되어 있는 소변받이(20)를 그 몰입위치에서 위치고정하기 위한 록킹유닛(L)이 마련되어 있다. 록킹유닛(L)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턱(26)과, 후크(101)와, 스프링(102)과, 조작노브(103)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턱(26)은 소변받이(20)의 상단부에 마련되어 있다. 후크(101)는, 힌지(H)에 의해 하우징(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몰입위치에 있는 소변받이(20)의 걸림턱(26)에 걸어맞추어져서 소변받이(20)가 개방위치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위치(도 4에 도시된 위치)와, 상기 걸림턱(26)과의 걸림이 해제되는 해제위치(도 5에 도시된 위치) 사이에서 회동될 수 있다. 스프링(102)은, 일단이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타단이 후크(101)에 고정되어서, 후크(101)를 상기 록킹위치로 탄성 바이어스시킨다. 후크(101)에는 경사안내면(10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안내면(101a)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조작노브(103)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앞면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그 조작노브(103)를 누르게 되면, 후크(101)가 스프링(102)을 인장시키면서 상기 해제위치로 회동하게 되며, 조작노브(103)의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101)는 조작노브(103)를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다시 록킹위치로 회동된다. 참조번호 104는 조작노브(103)의 돌출 위치를 제한하기 위해 조작노브(104)에 마련된 스토퍼이다.The urinal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locking unit (L) for fixing the urine receiver 20 rotated to the immersion position at the immersion pos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locking unit L includes a locking jaw 26, a hook 101, a spring 102, and an operation knob 103. The locking jaw 26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urine receiver 20. The hook 10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ousing 10 by a hinge H so that the hook 101 is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26 of the urine receiver 20 in the immersed position so that the urine receiver 20 is opened. It may be rotated between a locking position (position shown in FIG. 4) to prevent rotation to the position side and a release position (position shown in FIG. 5) in which the engagement with the locking jaw 26 is released. The spring 102 has one end fixed to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hook 101 to elastically bias the hook 101 to the locking position. The inclined guide surface 101a is formed in the hook 101. The operation of the inclined guide surface 101a will be described later. The operation knob 103 is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so that it can be operated by the user. When the operation knob 103 is pressed, the hook 101 tensions the spring 102 to the release position. When the operation knob 103 is released, the hook 101 is rotated back to the locking position by pushing the operation knob 103 forwar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Reference numeral 104 denotes a stopper provided in the operation knob 104 to limit the protruding position of the operation knob 103.

본 실시예의 소변기는, 소변받이(20)가 개방위치로 회동될 때 회동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완충부재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는, 일단이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소변받이(20)의 측판(21)에 고정된 인장코일스프링(3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인장코일스프링(30)은, 몰입위치의 소변받이(20)가 개방위치로 회동될 때의 회동력(토션스프링(TS)의 스프링력 및 소변받이(20)의 자중)보다는 작은 스프링력을 가지는 것이어서, 소변받이(20)가 개방위치로 회동될 때, 인장코일스프링(30)을 인장시키면서 개방위치로 회동될 수 있으며, 그 회동속도는 인장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지니게 되는 인장코일스프링(30)에 의해 감속되게 된다. 따라서, 소변받이(20)가 개방위치까지 급격히 돌출되면서 사용자를 강하게 타격하거나 혹은 소변받이(20) 내면에 묻어 있는 소변이나 세척수가 뇨투입구(B)를 통해 튀어나오거나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The urinal of this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shock absorbing member for slowing down the rotation speed when the urine receiver 20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As this shock absorbing member, in the present embodiment, a tension coil spring 30 having one end fixed to the housing 1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side plate 21 of the urine receiver 20 is provided. The tension coil spring 30 has a spring force that is smaller than the rotational force (sp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TS and self weight of the urine receiver 20) when the urine receiver 20 in the immersed position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When the urine receiver 20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it can be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while tensioning the tension coil spring 30, the rotational speed is tension tension spring having elastic restoring force while being tensioned It is to be decelerated by. Therefore, the urine receiver 20 protrudes sharply to the open position, so that the strong hitting the user or the urine or washing water buri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urine holder 20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through the urine inlet B. .

상기 하우징(10)의 바닥부에는 배뇨구(19)가 마련되어 있다. 이 배뇨구(19)는, 소변받이(20)의 뇨투입구(B)를 통해 받아들여져서 상기 하우징(10) 내로 투입된 소변 및 후술하는 세척수를 하우징(1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이며, 하수관(P2)에 접속되어 있다.The urination hole 19 is provided in the bottom part of the said housing 10. This urination port 19 is for discharging urine and washing wat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urine inlet B of the urine receiver 20 an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0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It is connected to P2.

상기 세척수 공급유닛(F)은, 하우징(10)의 내부공간의 세척을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세척밸브(flush valve; 플러쉬밸브; 40)와, 분사노즐(50)을 포함하고 있다.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F) is provided to supply the washing water for washing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10, in the present embodiment, a flush valve (flush valve; 40) and the injection nozzle 50 ) Is included.

상기 세척밸브(40)는,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수관(P1)에 접속되어 있다. 이 세척밸브(40)로서는 종래의 소변기의 세척을 위해 시판되는 것들 중 적절한 것이 채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소위 수동식 세척밸브가 구비되어 있다. 이 세척밸브(4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구(411)와, 유출구(412)와, 상기 유입구(411)와 유출구(412) 사이의 유로(F1)를 차단하는 밸브체(42)를 가지는 밸브본체(41)와, 상기 유로(F1)의 개방을 위해 밸브체(42)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우징(10)의 앞면으로 노출되게 배치된 누름버튼(4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척밸브(40)는 평상시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본체(41) 내의 수압실(415)에 채워진 가압수의 압력에 의해, 밸브체(42)가 유로(F1)를 막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누름버튼(43)을 누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밸브(420)가 누름버튼(43)에 의해 눌리게 되고 그에 따라, 핀밸브(420)의 머리부가 경사지게 들리면서 가압수출구(F1)가 개방된다. 이어서, 밸브체(42)를 누르고 있던 상기 수압실(415)의 가압수가 가압수출구(F2)를 통해 배출되게 되어, 밸브체(42)가 수압에 의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려지면서 상기 유로(F1)를 개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된 상수가 상기 개방된 유로(F1)를 거쳐 유출구(412)로 배출되게 된다. 한편, 누름버튼(43)을 누르던 외력을 제거하면, 스프링(S1)의 복원력에 의해 누름버튼(43)이 후퇴하고, 핀밸브(S2)는 스프링(S2)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여 그 핀밸브(S2)의 머리부가 다시 가압수출구(F2)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유입구(411)를 통해 유입된 상수의 일부는 밸브체(42)에 형성된 작은 구멍(421)을 통해 상승하여 서서히 수압실(415)에 채워지게 되고 그에 따라 밸브체(42)는 하강하면서 상기 유로(F2)를 막아서 폐쇄하게 됨으로써, 유출구(412)로의 상수의 배출이 차단된다.The said washing valve 4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0, and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pipe P1. As the washing valve 40, any one of those commercially available for washing the conventional urinal can be adopted. In this embodiment, a so-called manual washing valve is provided. As shown in FIG. 7, the washing valve 40 includes a valve body for blocking an inlet 411, an outlet 412, and a flow path F1 between the inlet 411 and the outlet 412. It consists of a valve body 41 having a 42, and a push button 43 disposed to be expos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10 to operate the valve body 42 for opening the flow path (F1). 7, the valve body 42 blocks the flow path F1 by the pressure of the pressurized water filled in the hydraulic chamber 415 in the valve body 41, as shown in FIG. Will be. In this state, when the push button 43 is pressed, the pin valve 420 is pressed by the push button 43 as shown in FIG. 8, and accordingly, the head of the pin valve 420 is inclinedly lifted. The pressurized outlet F1 is opened. Subsequently, the pressurized water of the hydraulic chamber 415 holding the valve body 42 is discharged through the pressurized water outlet F2, and the valve body 42 is lifted up as shown in FIG. 9 by the hydraulic pressure. The flow path F1 is opened. Accordingly, the constan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11 is discharged to the outlet 412 via the open flow path (F1).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ternal force that pressed the push button 43 is removed, the push button 43 is retract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S1, and the pin valve S2 is returned to the original state by the spring S2. The head of the pin valve S2 again closes the pressurizing outlet F2. And, a portion of the constant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411 is raised through the small hole 421 formed in the valve body 42 is gradually filled in the hydraulic pressure chamber 415 and accordingly the valve body 42 is lowered By closing the passage F2, the discharge of the constant water to the outlet 412 is blocked.

상기 분사노즐(50)은, 하우징(1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세척밸브(40)의 유출구(412)에 접속되어 있다. 이 분사노즐(50)은 세척밸브(40)의 유출구(412)를 통해 유입된 물을 확산 분사시키기 위한 다수의 분사공(51)을 구비하고 있다.The injection nozzle 50 is connected to the outlet 412 of the washing valve 40 in a state located in the housing 10. The injection nozzle 50 has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51 for diffusing and spraying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outlet 412 of the washing valve 40.

이하, 본 실시예의 소변기의 사용방법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method of using the urinal of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briefly described as follows.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받이(20)가 몰입위치에 위치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소변을 보고자 하는 경우에는, 조작노브(103)를 누른다. 그러면, 조작노브(103)가 후크(101)를 밀어서 그 후크(101)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위치로 회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그 후크(101)과 소변받이(20)의 걸림턱(26)간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면, 토션스프링(TS)의 탄성력에 의해, 소변받이(20)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위치로 회동되어 그 소변받이(20)의 상단의 뇨투입구(B)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후크(101)와 걸림턱(26) 간의 걸림상태가 해제된 후, 조작노브(103)에 가한 외력을 제거하면 후크(101)는 스프링(102)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록킹위치로 회전되어 있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1, when the urine receiver 20 is fixed at the immersion position and wants to urinate, the operation knob 103 is pressed. Then, the operation knob 103 pushes the hook 101 to rotate the hook 101 to the release position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hook 101 and the locking jaw 26 of the urine receiving vessel 20 is released. The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TS, the urine receiver 20 is rotated to an open position as shown in FIGS. 5 and 6 so that the urine inlet B of the upper end of the urine receiver 20 is moved outward. Exposed. On the other hand, after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hook 101 and the locking step 26 is released, if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operation knob 103 is removed, the hook 101 is rotated back to the locking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02. It becomes.

상기와 같이 뇨투입구(B)가 노출된 상태에서, 그 뇨투입구(B)를 향해 소변을 보게 되면,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뇨투입구(B)를 통해 하우징(10) 내로 받아들여져서 하우징(10) 하단의 배뇨구(19)를 통해 하수관(P2)으로 배출된다. 소변을 마치면, 소변받이(20)의 앞판(21)을 눌러서 그 소변받이(20)를 몰입위치로 회동시킨다. 소변받이(20)가 몰입위치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소변받이(20)의 걸림턱(26)은 후크(101)의 경사안내면(101a)과 미끄럼 접촉하는 상태로 그 경사안내면(101a)을 누르게 되고, 그 결과, 후크(101)는 스프링(102)을 인장시키면서 해제위치로 회동된다. 소변받이(20)가 몰입위치까지 회동된 후에는 스프링(102)의 복원력에 의해 후크(101)가 다시 록킹위치로 회전되어서 걸림턱(26)에 걸어맞추어지게 됨으로써, 소변받이(20)를 그 몰입위치에서 위치고정하게 된다.When the urine inlet B is exposed as described above, when urine is directed toward the urine inlet B, urine discharged from the human body is received into the housing 10 through the urine inlet B and the housing ( 10) It is discharged to the sewer pipe (P2) through the urination hole (19) at the bottom. When the urine is finished, the urine tray 20 is pushed to rotate the urine tray 20 to the immersive position. In the process of turning the urine receiver 20 into the immersive position, the locking jaw 26 of the urine receiver 20 is pressed in the inclined guide surface 101 a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clined guide surface 101 a of the hook 101. As a result, the hook 101 is rotated to the release position while tensioning the spring 102. After the urine receiver 20 is rotated to the immersive position, the hook 101 is rotated back to the locking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02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locking jaw 26 so that the urine receiver 20 The position is fixed at the immersive position.

상기와 같이 소변받이(20)가 몰입위치로 회동되어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누름버튼(43)을 누른다. 그러면, 전술한 바와 같은 세척밸브(40)의 유로(F1) 개방 과정을 거쳐서, 상수관(P1) 내의 물이 세척밸브(40)를 거쳐서 분사노즐(50)로 투입되고 그 분사노즐(50)에 의해 확산되면서 하우징(10) 내로 분사된다. 하우징(10) 내로 분사된 물(세척수)은 하우징(10) 내면 및 소변받이(20)를 세척한 후, 배뇨구(19)를 통해 하수관(P2)으로 배출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ate where the urine receiver 20 is rotated to the immersive position and fixed in position, the push button 43 is pressed. Then, through the process of opening the flow path (F1) of the washing valve 40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in the water pipe (P1) is introduced into the injection nozzle 50 through the washing valve 40 and the injection nozzle 50 It is sprayed into the housing 10 while being diffused by. The water (washing water) injected into the housing 10 cleans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0 and the urine receiver 20, and then is discharged to the sewer pipe P2 through the urine outlet 19.

이러한 소변기는, 필요시에만 소변받이(20)를 개방위치로 회동시켜서 뇨투입구(B)를 노출시킬 수 있고, 세척수 공급유닛(F)이 하우징(10)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정의 욕실의 벽 등의 건물 실내벽(W)에 매립된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되기에 적합하다. 즉, 소변받이(20)가 개방위치로 돌출될 수 있게 하우징(10)의 그 앞면 부위만 노출되고 하우징(10)의 측면부나 배면부들은 모두 상기 실내벽(W)에 매립되는, 소위 빌트인(built-in) 타입으로 설치되기에 적합하다. 그러므로, 소변기의 설치를 위해 실내의 공간을 별도로 할애할 필요가 없어 실내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질 수 있으며, 실내공간이 좁더라도 설치하기가 쉽다. 뿐만 아니라, 평소에는 소변받이(20)를 몰입위치로 회동시켜서 뇨투입구(B)를 하우징(10) 내로 몰입시키고 하우징의 개구부(11)를 폐쇄할 수 있으므로, 미관이나 위생적인 측면에서도 종래의 소변기에 비해 우수하다.Such a urinal can rotate the urine receiver 20 to the open position only when necessary to expose the urine inlet B, and since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F is provided in the housing 10, as shown in FIG. Likewise, it is suitable to be installed and used in a form embedded in the building interior wall (W), such as the wall of the home bathroom. That is, only the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10 is exposed so that the urine receiver 20 can protrude to an open position, and the side portion or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 is embedded in the interior wall W, so-called built-in. -in) is suitable for installation. Therefore, there is no need to dedicate the space of the room separately for the installation of the urinal can increase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even if the indoor space is narrow, easy to install. In addition, since the urine inlet 20 is usually rotated to the immersion position, the urine inlet B can be immersed into the housing 10 and the opening 11 of the housing can be closed, so that a conventional urinal can also be used in terms of beauty and hygiene. Excellent compared to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되거나 도시된 구성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구성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elements described or illustrated in the above embodiments are merely for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lements.

예를 들어, 상기 실시예에서는, 몰입위치로 회동되어 있는 소변받이(20)를 그 위치에서 위치고정하기 위한 록킹유닛으로서, 걸림턱(26)과 후크(101)를 구비하는 구성이 채용되었으나, 예를 들어, 하우징과 소변받이 중 어느 하나에 자석을 설치하고 그 자력에 의해 소변받이가 위치고정되어 있도록 하는 등, 다른 구성의 록킹유닛이 채용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소변받이의 무게중심과 소변받이의 회동중심축의 위치를 적절히 설계함으로써, 소변받이가 몰입위치에 있을 때 그 소변받이의 무게중심이 소변받이의 회동중심축보다도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소변받이가 그 몰입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as the locking unit for fixing the urine collecting part 20 rotated to the immersion position at the position,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locking jaw 26 and the hook 101 is adopted. For example, a locking unit of another configuration may be employed, such as installing a magnet in either the housing or the urine receiver and allowing the urine holder to be held in position by its magnetic force. In addition, by properly designing the position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rine pan and the pivot center of the urine tray, when the urine tray is in the immersion positi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urine tray is located inside the housing rather than the pivot center of the urine tray.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urine collecting bowl from being arbitrarily rotated from its immersed position to the open position.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토션스프링(TS)의 스프링력에 의해 소변받이(20)가 개방위치로 회동되는 것으로 하였으나, 예를 들어, 소변받이를 모터에 의해 상기 몰입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자동으로 회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고, 소변받이를 사용자가 직접 잡아당겨서 상기 개방위치로 회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urine receiver 20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by the spring force of the torsion spring TS, but, for example, the urine receiver is automatically moved between the immersion position and the open position by a motor. The structure which rotates may be employ | adopted, and the structure which rotates to the said open position can be employ | adopted by a user directly pulling a urine receiving vessel.

그리고, 세척수 공급유닛으로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소위 수동식의 세척밸브(40)가 사용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인체의 접근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한 소위 감지식 세척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세척밸브 대신, 조작부가 하우징의 앞면으로 노출되는 수도꼭지 등과 같은 단순한 개폐밸브를 설치하여 그 개폐밸브의 조작에 의해 세척수의 공급 및 차단을 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a so-called manual washing valve 40 is used as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but in some cases, a so-called sensing washing valve us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approach of the human body may be used. In addition, instead of the washing valve, a simple on / off valve, such as a faucet in which the operation unit is exposed to the front of the housing, may be installed to supply and shut off the washing water by operating the on / off valv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소변받이가 개방위치로 회동될 때 회동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완충부재로서 인장코일스프링(30)을 적용한 것으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예컨대 공기스프링이나 스파이럴 스프링 등과 같은 다른 형태의 스프링이나, 시판되는 마찰댐퍼, 공압댐퍼 등이 완충부재로서 채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pplying the tension coil spring 30 as a cushioning member for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when the urine receiver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for example, other types such as air spring or spiral spring, etc. Springs, commercially available friction dampers, pneumatic dampers, and the like may be employed as the cushioning member.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 및 몇가지 변형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본발명이 구체화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some modification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claims.

10...하우징 11...개구부
19...배뇨구 20...소변받이
21...앞판 22...측판
40...세척밸브 50...분사노즐
B...뇨투입구 F...세척수 공급유닛
L...록킹유닛
10 ... housing 11 ... opening
19 ... urinal 20 ... urine
21 Front panel 22 Side panel
40 washing valve 50 spray nozzle
B ... Urine inlet F ... Washing water supply unit
L ... Locking Unit

Claims (4)

앞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
상단에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을 받아들이기 위한 뇨투입구를 가지며, 상기 뇨튜입구가 상기 하우징 내로 몰입되는 몰입위치와 상기 뇨투입구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결합된 소변받이;
상기 뇨투입구를 통해 받아들여져서 상기 하우징 내로 투입된 소변을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하수관에 접속되는 배뇨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세척수 공급유닛;을 포함하는 소변기.
A hollow housing having an opening formed in the front surface thereof;
It has a urine inlet for receiving the urine discharged from the human body at the top, coupled to the housing rotatably between the immersion position in which the urine inlet is immersed into the housing and the open position in which the urine inlet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Urine receiver;
A urine outlet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sewer pipe for discharging urine received through the urine inlet and introduced into the housing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nd a washing water supply unit installed in the housing to supply the washing water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변받이는, 앞판과, 그 앞판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한 쌍의 측판을 구비하며,
상기 앞판의 상단과 상기 측판의 상단에 의해 상기 뇨튜입구가 구획되며,
상기 소변받이가 상기 몰입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앞판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가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urine receiver has a front plate and a pair of side plates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plate to the rear, respectively,
The urine tube inlet is partitioned by an upper end of the front plate and an upper end of the side plate,
And the opening of the housing is closed by the front plate when the urine receiver is in the immersed posi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공급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수관에 접속되는 세척밸브(flush valve)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세척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세척밸브를 통과한 물을 상기 하우징 내로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washing water supply unit,
A flush valve provided in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water pipe;
And a spray nozzle connected to the washing valve in the housing and spraying water passing through the washing valve into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입위치로 회동된 소변받이를 위치고정시키기 위한 록킹유닛과,
상기 소변받이가 상기 개방위치로 회동될 때 회동속도를 감속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소변받이 사이에 설치되는 완충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변기.
The method of claim 1,
A locking unit for fixing the urine receiver rotated to the immersive position;
And a shock absorb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urine receive to slow down the rotational speed when the urine receive is rotated to the open position.
KR1020100131655A 2010-12-21 2010-12-21 Urinal KR2012007020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655A KR20120070203A (en) 2010-12-21 2010-12-21 Ur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1655A KR20120070203A (en) 2010-12-21 2010-12-21 Urin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0203A true KR20120070203A (en) 2012-06-29

Family

ID=46688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655A KR20120070203A (en) 2010-12-21 2010-12-21 Ur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020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1578B2 (en) Concealed Wall mounted folding urinal
US20120246816A1 (en) Rotatable urinal combined with a toilet
KR101683263B1 (en) Discharge valv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using a magnetic force of the fixed magnet to toilet seat cover
AU2012380146B2 (en) Water-saving toilet bowl
KR100777165B1 (en) Urinal added close-stool
KR101027852B1 (en) Commode of saving washing water
KR101180097B1 (en) Toilet bowl for water-saving and noise reduction
KR20120070203A (en) Urinal
WO2009006781A1 (en) Rotary urinal
KR101454903B1 (en) Water saving toilet bowl with wash up function
KR200403172Y1 (en) Offensive odor interception device for gutter
WO2010084334A2 (en) Loo 2
KR20120036039A (en) Urinal for man having open and close gate to being buried in wall
JP3786071B2 (en) Flush toilet
JP6663559B2 (en) Wash water tank device
CN209172145U (en) Embedded bathroom combination sideboard
JP2005330687A (en) Flush toilet bowl device
KR101853381B1 (en) Urinal for mounting on the toilet cover
KR101489224B1 (en) Toilet bowl
KR101460445B1 (en) Urinal basin combined with sensor
JP2011219998A (en) Toilet bowl washing device
KR20020076031A (en) Supply and drain equipment for toilet bowl
JP4005245B2 (en) Toilet leak prevention device
JP2013092029A (en) Urinal device
JP2003328406A (en) Water suppl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