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028A - 독서노트 - Google Patents

독서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028A
KR20120069028A KR1020100130382A KR20100130382A KR20120069028A KR 20120069028 A KR20120069028 A KR 20120069028A KR 1020100130382 A KR1020100130382 A KR 1020100130382A KR 20100130382 A KR20100130382 A KR 20100130382A KR 20120069028 A KR20120069028 A KR 20120069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book
activity
read
wee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옥
Original Assignee
김경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옥 filed Critical 김경옥
Priority to KR102010013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9028A/ko
Publication of KR20120069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0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1/00Carrying forward or transferring entries from one page to another, e.g. for book-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2/00Book-keeping books, form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5/00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2D15/0066Timetables, lists or forms for shooter enlistment, e.g. for use at competition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독서노트(Reading Notebook)에 관한 것으로, 전 영역에 걸친 여러 분야의 책을 골고루 읽고 감상문 쓰기, 뒷이야기 상상해서 쓰기, 독후화 그리기, 마인드맵 그리기 등의 제1, 2 독후활동으로 다양한 흥미유발과 체계적이고 폭넓은 독서활동을 할 수 있으며, "독서맹아기, 독서입문기, 기초독서기, 고급독서기, 독서 전략기, 독서독립기"의 독서단계와 독서수준을 감안하여 전(전체)영역별 독서, 단계별 독서, 수준별 독서 및 독후활동이 가능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독서노트{READING NOTEBOOK}
본 발명은 독서노트(Reading Notebook)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 영역에 걸친 여러 분야의 책을 골고루 읽고 감상문 쓰기, 뒷이야기 상상해서 쓰기, 독서 그림 그리기, 마인드맵 그리기 등 흥미로운 제1, 2 독후활동으로 다양하고 폭넓고 체계적인 독서 및 독후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독서(讀書)는 다양한 책을 읽고 간접 경험을 통해 자신의 사고를 넓히는 마음의 양식으로서, 시간적 여유가 있는 유년기 및 청소년기에 가장 많은 독서를 하게 되는데 이때, 독서 한 책의 내용은 단순히 읽기만으로 그 책의 내용을 완벽하게 파악 또는 이해할 수 없기 때문에 대부분 책의 내용을 정리한 독후감을 작성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독서를 마치고 작성하는 독후감은 주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트에 작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 저학년이나 독후감을 자주 작성하지 못한 학생의 경우 책의 요지를 어떻게 작성을 해야하는 지를 몰라 독후감 작성을 포기하거나 독서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리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현재의 교육은 단순히 학생의 암기력만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학생의 종합적인 지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특히, 교과서에 기반한 국어, 영어, 수학 교육뿐만 아니라 보다 다양하고 폭넓은 사고를 할 수 있는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학생들이 다양하고 폭넓은 사고를 함양하기 위하여 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학과와 관련된 다양한 필독서를 선정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의 독서 활동을 지속적으로 평가함으로써 학생들의 독서 활동이 일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하고 있다.
특히, 취미로서의 독서 활동이 아니라 정식적인 학교 교육으로 평가를 진행하여 점수화하고 있지만, 많은 수의 학생들에 대한 독서활동평가를 정확하고 공정하게 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특히, 학생들의 독서 활동수준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독서 활동을 지도하고 수준별 독서 활동을 평가하기는 더욱더 어렵다.
또한, 학생들의 독서활동을 수행한 이후의 논리력 또는 창의력과 같은 평가항목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단순 객관식 형태의 문제만으로는 그 평가를 정확히 하기 어렵다. 즉, 이러한 평가 항목들은 서술형 문제를 통하여 정확하게 평가될 수 있으나 많은 시간과 전문 인력이 투입되어 일일이 학생들의 답안을 채점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체계적이고 올바른 독서지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편독의 폐해와 더불어 전체 영역의 독서활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 영역에 걸친 여러 분야의 책을 골고루 읽고 독서감상문 쓰기, 뒷이야기 상상해서 쓰기, 그리기, 마인드맵 그리기 등의 제1, 2 독후활동으로 다양한 흥미유발과 체계적이고 폭넓은 독서 및 독후활동을 할 수 있는 독서노트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독서단계와 독서수준을 감안하여 전(전체)영역별 독서, 단계별 독서, 수준별 독서와 독후활동이 가능해지는 독서노트를 제공함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본 발명 독서노트는, 앞 표지와 뒷 표지 및 복수의 속지로 구성되며, 상기 독서노트의 명칭부가 앞 표지 상단에 표기되고, 상기 앞 표지의 중앙에 독서월정표가 배치되고, 상기 앞 표지의 하단에 독서노트 사용자의 이름과 소속이 표기되는 이름 및 소속 표시부가 배치되고, 상기 앞 표지의 이면에 독서노트의 특징과 이용방법이 표기되는 독서노트 특징부가 배치된다.
상기 속지는, 상단에 배치되는 독서시간표와, 상기 독서시간표 하단에 배치되는 제1 독후활동 기입용 제1 독후활동란과, 상기 제1 독후활동란 하단에 배치되는 제2 독후활동 기입용 제2 독후활동란과, 상기 제2 독후활동란 하단에 숫자로 표시되는 페이지표시부와, 상기 독서시간표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날짜기재란과, 상기 책 제목 기재부 일측에 배치되는 비고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독서시간표는, 상단 좌측칸에 주(週)와 요일(曜日)이 표기되는 주일(週日) 표시부가 배치되고, 상단 중앙칸에 독서영역이 표기되는 독서영역 표시부가 배치되고, 상단 우측칸에는 독서영역에 해당하는 책 제목을 기재할 수 있는 책 제목 기재부가 배치되고, 상기 주일 표시부의 하단 가로줄에 일련번호가 기재되고, 상기 독서영역표시부의 하단 가로줄에 분류된 독서영역이 차례로 기재되고, 상기 책 제목 기재부의 하단 가로줄에 사용자가 읽은 해당 독서영역 책 제목을 기입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줄로 구성된다.
상기 제2 독후활동은, 일별(日別)로 달리하되, 1주차 월요일은 읽은 책 속에서 일어난 일을 떠올려 본 다음 6하 원칙에 따라 논리적으로 적어보는 활동이고, 1주차 화요일은 책을 읽고 떠오르는 인물, 사건, 배경 등을 생각해보고 글로 써보는 '생각 그물 짜보기' 활동이고, 1주차 수요일은 읽은 책에 나왔던 인물들의 성격이나 종류를 '인물꽃'안에 적어보는 활동이고, 1주차 목요일은 읽은 책을 토대로 독서일기를 써보는 활동이고, 1주차 금요일은 읽은 책의 내용 일부에 밑줄을 그은 다음 자신이 퀴즈를 만들어 친구에게 풀어보도록 하는 '독서퀴즈' 활동이고, 1주차 토요일은 읽은 책의 이야기가 계속 이어진다면 어떤 내용이 될지 상상해보고 이야기의 흐름에 맞게 써 본 다음 원래 이야기와 비교해보는 '뒷 이야기 상상하기' 활동이고, 2주차 월요일은 책을 읽고 각 문단의 중심 생각을 파악한 다음 줄거리를 간추려 써보는 "줄거리 간추리기" 활동이고, 2주차 화요일은 책을 읽고 인상깊은 등장인물이나 내용을 생각한 다음 인물의 감정이나 글의 내용 및 느낀점을 담아 시로 써보고 낭송해보는 '꼬마 시인이 되어' 활동이고, 2주차 수요일은 주인공을 떠올리고 자신과의 차이점을 찾아보거나 다른 인물과 비교한 다음 주인공에게 편지를 써보는 '주인공에게 편지쓰기' 활동이고, 2주차 목요일은 책을 읽고 인물이나 사건, 배경, 결말 등 무엇을 바꿔 써보고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해보는 '이야기 바꾸어 쓰기' 활동이고, 2주차 금요일은 책을 읽고 어떤 인물과 인터뷰할 것인지 선택하고 어떤 질문을 할 것인지 생각한 다음 책 속의 인물이 되어 질문에 대한 답을 써보는 '인물 인터뷰' 활동이고, 2주차 토요일은 책을 읽고 기억에 남는 장면과 그 이유, 나와 주인공 비교하기, 각오 및 다짐, 느낀 점 등을 중심으로 독후감을 써보는 '독서 감상문' 활동이고, 3주차 월요일은 책을 읽고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을 생각한 다음 그림으로 그리고 어떤 장면을 그린 것인지 글로 소개하는 '독서 감상화' 활동이고, 3주차 화요일은 책의 제목이나 글감 또는 주제를 한가운데 쓴 다음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들을 선으로 연결하여 낱말을 쓰는 마인드맵을 작성한 다음 이야기의 줄거리를 간추려 써보는 '마인드 맵으로 간추리기' 활동이고, 3주차 수요일은 책을 읽고 인물이나 책 제목, 내용과 관련이 있는 낱말을 떠올려 삼행시를 작성해 적어보는 '독서 삼행시' 활동이고, 3주차 목요일은 감명 깊게 읽은 책을 골라 책의 내용과 권하는 이유를 그림과 글로 나타내어 책을 선전하는 광고문을 만들어보는 '책 광고하기' 활동이고, 3주차 금요일은 책을 읽고 주인공의 마음에 따라 얼굴 표정이 어떻게 변화할 지 상상하여 그려보고, 왜 그렇게 변화했는지 간단히 적어보는 '주인공의 얼굴 변화 나타내기' 활동이고, 3주차 토요일은 책 속 인물에게 가장 필요한 선물이 무엇일지 그려보고 선물을 주는 이유를 간단히 적어보는 '주인공에게 선물하기' 활동이고, 4주차 월요일은 읽은 책의 내용과 느낀 생각들을 그림으로 그려보는 독후활동이고, 4주차 화요일은, 책에 나오는 인물의 이름과 이룬 업적을 적어보는 독후활동이고, 4주차 수요일은 책을 읽고 이야기의 차례를 생각하며 그 중 중요 장면을 글로 적어보는 독후활동이고, 4주차 목요일은 책을 다 읽은 후 쉽고 즐겁게 부를 수 있는 노래한 곡을 선택한 다음, 선택한 노래 가락에 주인공의 마음이나 성격, 행동 특성 등을 담은 가사를 만들어보는 '나도 작사가' 활동이고, 4주차 금요일은 책을 읽으며 어려운 낱말이 나오면 뜻을 찾아 뜻풀이를 적어보는 독후활동이고, 4주차 토요일은 책을 읽고 기억에 남는 낱말이나 중요한 낱말을 넣어 3~4어절 이상의 짧은 글을 적어보는 '짧은 글짓기' 활동이고, 5주차 월요일은 읽은 책 중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책 1권을 소개하고 그 이유를 적어보는 '내가 좋아하는 책' 활동이고, 5주차 화요일은 나만의 독서표어를 적어보고 내가 만든 독서캐릭터를 그려보는 '신나는 독서여행' 활동이고, 5주차 수요일은 책 속 인물의 말과 행동을 나의 경험과 비교해보고 상을 주는 이유가 잘 나타나도록 독서상장을 만들어보는 '독서 상장' 활동이고, 5주차 목요일은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과 비슷한 인물이 나오는 이야기를 찾아보고 두 인물의 말과 행동을 근거로 각각의 행동과 성격을 비교하여 적어보는 '인물 비교하기' 활동이고, 5주차 금요일은 가장 재미있게 읽은 책을 선택한 다음 인상깊은 장면, 감동받은 부분, 책을 소개하는 이유 등을 중심으로 친구, 부모님, 선생님에게 소개하는 글을 적어보는 '책 소개하기' 활동이고, 5주차 토요일은 읽은 책의 주인공 중 친구에게 소개하고 싶은 주인공이 한 일을 떠올리며 주인공의 생김새, 성격, 행동을 소개하는 글을 적어보는 '독서인물카드' 활동 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독서영역은, 1~5주 월요일은 한국순수창작, 한국전통전래, 원리과학, 한국역사, 한국위인, 한국전통문화, 한국지리, 미술동화 이고, 1~5주 화요일은, 세계대표창작, 세계전래, 과학동화, 세계역사, 세계위인, 세계사회문화, 세계지리, 세계신화 이고, 1~5주 수요일은, 한국대표명작, 한국창작전래, 자연관찰, 경제동화, 사회탐구, 철학동화, 생활동화, 음악동화 이고, 1~5주 목요일은, 세계대표창작, 수리논술동화, 자연동화, 체험동화, 삼국유사, 감성동화, 그리스신화, 중국역사 이고, 1~5주 금요일은, 한국대표문학, 초등문학, 한국고전, 코칭동화, 삼국사기, 수학동화, 로마신화, 중국고전 이고, 1~5주 토요일은, 세계대표문학, 논술문학, 세계고전, 탈무드, 이솝우화, 한자동화, 반전동화, 성경동화, 삼국지 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속지는,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로 구분되는 독서시간표(2)가 5주로 구성되어 1달분의 독서월정표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체계적인 독서와 전 영역에 걸치 독서로 싫어하는 분야도 자연스럽게 읽어 자신감이 생길 뿐 아니라, 배경적 지식을 간접 체험하면서 모든 경험들을 폭넓게 가질 수 있으며, 책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어휘력, 이해력, 독해력 등이 폭 넓어지고, 책이 쉽게 읽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서 후 활동으로는 읽은 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골라 책을 읽고 알게 된 지식, 마인드 맵 작성, 감상문 쓰기, 독서퀴즈, 독서감상문, 낱말 퍼즐 맞추기, 동시 짖기, 그림 그리기, 주인공이 만약 나였다면, 생각 다발 짖기, 인터뷰하기, 노트정리, 위인에게 편지쓰기, 주인공이나 위인에게 상 주기, 등 다양한 독서 후 활동으로 독서활동에 대한 흥미 유발과 지식습득, 창의력개발, 독서정리나 복습 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서노트를 이용하여 다양한 독서 후 활동에 의해 책에 대한 흥미유발 뿐 아니라, 사고력 및 독창성이 길러지고, 자연스러운 글쓰기로 글쓰기에 대한 거부감이 없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서노트를 이용한 체계적이고 전 영역 독서에 의해 책 읽는 것을 좋아하게 되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습득과 관심을 가지게 되며, 독서 습관이 잘 형성되어 있어 책을 읽고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잘 표현하며 핵심을 정확히 표현하고 정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서노트로 기초적인 마인드맵이 달성되어 기초논술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서맹아기, 독서입문기, 기초독서기, 고급독서기, 독서 전략기, 독서독립기"의 독서단계와 독서수준을 감안하여 전(전체)영역별 독서, 단계별 독서, 수준별 독서가 가능해지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앞 표지의 구성도.
도 2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앞 표지의 이면 구성도.
도 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뒷 표지의 정면(또는 이면) 구성도.
도 4 ~ 도 33 : 본 발명 일 예로 도시한 속지의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 부호로 기재하고, 관련된 공지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가 모호해지지 않도록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 독서노트의 앞 표지(1)를 일 예로 도시한 것으로, 노트(독서노트)의 명칭부(1a)가 앞 표지(1)의 상단에 표기되고, 독서월정표(1b)가 앞 표지(1)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고, 독서노트를 사용하는 사람의 이름과 소속(학교명이나 단체 등)이 표기되는 이름 및 소속 표시부(1c)가 앞 표지(1)의 하단 일측이나 중앙에 배치되며, 앞 표지(1)의 전면이나 일부 지면에 독서와 관련된 배경무늬가 디자인된다.
도 2는 앞 표지(1)의 이면(1d)에는 독서노트의 특징과 이용방법이 표기되는 독서노트 특징부(1e)가 배치되며, 상기 앞 표지(1)에 배치되는 독서월정표(1b)가 독서노트 특징부(1e)의 상단이나 하단에 병기될 수 있다.
도 3은 뒷 표지(1f)의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영역별 독서의 장점이 표기되는 영역별 독서의 장점부(1g)와, 도시안된 기타 안내글이나 광고글 및/또는 광고이미지가 배치된다.
상기 독서노트 특징부(1e)는 뒷 표지(1f)에 배치되고, 영역별 독서의 장점부(1g)는 앞 표지(1)의 이면(1d)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4~도 34는 일별(日別) 속지(2)의 구성을 일 예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속지(2)는 독서영역을 감안하여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요일별(日別)로 구분되며, 5주 독서영역이 모아져 1달 동안의 전체 영역의 독서가 이루어진다.
일일 독서시간표(2)는 월요일, 화요일, 수요일, 목요일, 금요일, 토요일로 구분되며, 1주일의 독서시간표가 모아져 1주일 독서시간표가 되며, 5주일의 독서시간표가 모아져 1달분의 독서월정표(1b)가 구성된다.
즉, 1주일 단위로 변경되는 독서영역을 기준하여 1달 단위로의 전체 독서영역이 이루어지며, 1달간 독서활동하게 되면 1과정의 전체 독서영역 활동(독서활동)을 마스터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과정의 반복으로 2과정 독서활동, 3과정 독서활동, ......, n과정 독서활동으로 이어져 독서활동을 확장할 수 있다.
예컨대, 1과정 ~ n과정까지의 1순환과정, 또는 n순환과정을 태교 ~ 유치원 기간의 '독서맹아기'에 적용하거나, 초등 1학년 ~ 초등 3학년까지의 '독서입문기'에 적용하거나, 초등 4학년 ~ 초등 6학년까지의 '기초독서기'에 적용하거나, 중학 1, 2학년까지의 '고급독서기'에 적용하거나, 중학 3학년 ~ 고등 1학년까지의 '독서 전략기'에 적용하거나, 고등 2,3학년까지의 '독서독립기'에 적용하여 독서활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독서맹아기, 독서입문기, 기초독서기, 고급독서기, 독서 전략기, 독서독립기"의 독서단계와 독서수준을 감안하여 독서영역별 독서시간표(2)를 작성하여 독서단계별, 독서수준별로 해당 독서영역의 책을 선택하여 독서 및 제1, 2 독후활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전(전체)영역별 독서, 단계별 독서, 수준별 독서가 가능해진다. 즉 맞춤식 독서와 독후활동이 가능해지며, 독서 계획을 세우거나 지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속지(2)는 상단에 독서시간표(3)가 배치되고, 독서시간표(3) 하단에는 '책을 읽고 나서 알게 된 점//그리고 나의 생각'을 글(제1 독후활동)로 기재할 수 있도록 복수의 가로줄과 가로칸으로 구성되는 제1 독후활동란(4)이 배치되고, 상기 제1 독후활동란(4)의 하단에는 영역별 책을 읽고 다양한 활동(제2 독후활동)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성의 제2 독후활동란(5)이 배치되고, 제2 독후활동란(5) 하단 중앙이나 일측에는 페이지가 숫자로 표시되는 페이지 표시부(6)가 배치되고, 독서시간표(3)의 상단 일측 또는 타측에는 독서활동 년/월/일(날짜)을 기재하는 날짜기재란(7)이 배치된다.
상기 독서시간표(2)는 복수의 줄과 칸으로 구획되며, 상단 좌측칸에는 주(週)와 요일(曜日)이 표기되는 주일(週日) 표시부(8)가 배치되고, 상단 중앙칸에는 독서영역이 표기되는 독서영역 표시부(9)가 배치되고, 상단 우측칸에는 독서영역에 해당하는 책 제목을 기재할 수 있는 책 제목 기재부(10)가 배치된다.
상기 주일 표시부(8)의 하단 가로줄에는 일련번호(1, 2, 3, 4, 5, 6, 7, 8, 9, 10)가 기재되고, 독서영역표시부(9)의 하단 가로줄에는 분류된 독서영역, 이를테면, 한국순수창작, 한국전래창작, 원리과학, 한국역사, 한국위인, 한국전통문화, 한국지리, 미술동화 등이 차례로 기재되고, 책 제목 기재부(10)의 하단 가로줄에는 사용자가 읽은 해당 독서영역 책 제목을 기입(기록)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줄로 구성된다.
상기 독서시간표(2), 예컨대 책 제목 기재부(10)의 일측에는 저자, 역자, 출판사, 책 페이지수 등의 책 정보 등을 부가 기재할 수 있는 비고란(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독후활동란(4) 또는 상기 제1 독후활동란(4)과 제2 독후활동란(5)은 도 4, 도 5와 같이 복수의 가로 실선으로 구성하거나, 또는 도 7, 도 16, 도 17과 같이 복수의 가로 점선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요일별(曜日別)로 분류되는 독서영역 표시부(9)의 독서영역은,
1~5주 월요일은, 한국순수창작, 한국전통전래, 원리과학, 한국역사, 한국위인, 한국전통문화, 한국지리, 미술동화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1~5주 화요일은, 세계대표창작, 세계전래, 과학동화, 세계역사, 세계위인, 세계사회문화, 세계지리, 세계신화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1~5주 수요일은, 한국대표명작, 한국창작전래, 자연관찰, 경제동화, 사회탐구, 철학동화, 생활동화, 음악동화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1~5주 목요일은, 세계대표창작, 수리논술동화, 자연동화, 체험동화, 삼국유사, 감성동화, 그리스신화, 중국역사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1~5주 금요일은, 한국대표문학, 초등문학, 한국고전, 코칭동화, 삼국사기, 수학동화, 로마신화, 중국고전 등을 예로 들 수 있으며,
1~5주 토요일은, 세계대표문학, 논술문학, 세계고전, 탈무드, 이솝우화, 한자동화, 반전동화, 성경동화, 삼국지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요일별 독서영역은 같더라도, 해당 독서영역의 책은 다양하므로 매요일별 읽는 책의 제목이 바뀐다.
상기 독서영역 분류는 설명의 편의상 1주일 단위로 반복되는 것으로 일 예를 들었으나, 물론 수일 단위 또는 격주 단위, 또는 수 주 단위로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상기 독서영역의 대분류는 아래 표 1과 같이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독서영역의 책 중에서 선택하여 독서한 다음, 책 제목 기재부(10)에 책 제목을 기재하고(물론 책 제목을 먼저 기재하고 독서할 수 있다.), 제1, 제2 독서후 활동을 하면 된다.
No 대분류 독서영역
1 창작 한국순수창작, 세계대표창작
2 명작 한국순수명작, 세계대표명작
3 전래동화 한국전통 전래동화, 세계전래동화, 한국창작 전래동화
4 문학 한국대표문학, 세계대표문학, 초등학교문학, 논술문학
5 과학 원리과학, 원리과학동화
6 자연 자연관찰, 자연동화
7 고전 한국고전, 세계고전, 중국고전, 삼국지, 수호지, 서유기
8 역사 한국역사, 세계역사, 중국역사
9 위인전기 한국위인, 세계위인
10 문화 한국전통문화, 세계사회문화
11 지리 한국지리, 세계지리
12 사회 경제동화, 사회탐구, 체험동화, 코칭동화, 생활동화
13 철학 철학동화, 탈무드, 이솝우화, 감성동화
14 생활 미술, 음악, 한자, 반전동화, 신화(그리스 신화, 로마신화 등)
독서후 활동은 창의적 사고를 촉발해주고 다양한 사고를 하도록 유도하게 되며, 다양한 독서후 활동을 통해 책에서 배우고 느낀 것을 적용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독서감상문(책을 읽고 나서 알게된 점//그리고 나의 생각)을 쓰는 제1 독후활동을 통해 사고력과 판단력, 글쓰기 등을 키울 수 있고, 요일별(曜日別)로 다양하게 제공되는 제2 독후활동을 통해 보다 창의적이고 흥미로운 독후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독후활동은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그날 읽은 책을 토대로 매일 다르게 제공되며,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2 독후활동의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1주차 월요일의 경우, 읽은 책 속에서 일어난 일을 떠올려 본 다음 6하 원칙에 따라 논리적으로 적어보는 활동을 할 수 있으며,
1주차 화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떠오르는 인물, 사건, 배경 등을 생각해보고 글로 써보는 '생각 그물 짜보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1주차 수요일의 경우, 읽은 책에 나왔던 인물들의 성격이나 종류를 '인물꽃'안에 적어보는 활동을 할 수 있으며,
1주차 목요일의 경우, 읽은 책을 토대로 독서일기를 써보는 활동을 할 수 있으며,
1주차 금요일의 경우, 읽은 책의 내용 일부에 밑줄을 그은 다음 자신이 퀴즈를 만들어 친구에게 풀어보도록 하는 '독서퀴즈' 활동을 할 수 있으며,
1주차 토요일의 경우, 읽은 책의 이야기가 계속 이어진다면 어떤 내용이 될 지 상상해보고 이야기의 흐름에 맞게 써 본 다음 원래 이야기와 비교해보는 '뒷 이야기 상상하기'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2주차 월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각 문단의 중심 생각을 파악한 다음 줄거리를 간추려 써보는 "줄거리 간추리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2주차 화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인상깊은 등장인물이나 내용을 생각한 다음 인물의 감정이나 글의 내용 및 느낀점을 담아 시로 써보고 낭송해보는 '꼬마 시인이 되어' 활동을 할 수 있으며,
2주차 수요일의 경우, 주인공을 떠올리고 자신과의 차이점을 찾아보거나 다른 인물과 비교한 다음 주인공에게 편지를 써보는 '주인공에게 편지쓰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2주차 목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인물이나 사건, 배경, 결말 등 무엇을 바꿔 써보고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해보는 '이야기 바꾸어 쓰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2주차 금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어떤 인물과 인터뷰할 것인지 선택하고 어떤 질문을 할 것인지 생각한 다음 책 속의 인물이 되어 질문에 대한 답을 써보는 '인물 인터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2주차 토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기억에 남는 장면과 그 이유, 나와 주인공 비교하기, 각오 및 다짐, 느낀 점 등을 중심으로 독후감을 써보는 '독서 감상문'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3주차 월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을 생각한 다음 그림으로 그리고 어떤 장면을 그린 것인지 글로 소개하는 '독서 감상화' 활동을 할 수 있으며,
3주차 화요일의 경우, 책의 제목이나 글감 또는 주제를 한가운데 쓴 다음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들을 선으로 연결하여 낱말을 쓰는 마인드맵을 작성한 다음 이야기의 줄거리를 간추려 써보는 '마인드 맵으로 간추리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3주차 수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인물이나 책 제목, 내용과 관련이 있는 낱말을 떠올려 삼행시를 작성해 적어보는 '독서 삼행시' 활동을 할 수 있으며,
3주차 목요일의 경우, 감명 깊게 읽은 책을 골라 책의 내용과 권하는 이유를 그림과 글로 나타내어 책을 선전하는 광고문을 만들어보는 '책 광고하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3주차 금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주인공의 마음에 따라 얼굴표정이 어떻게 변화할 지 상상하여 그려보고, 왜 그렇게 변화했는지 간단히 적어보는 '주인공의 얼굴 변화 나타내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3주차 토요일의 경우, 책 속 인물에게 가장 필요한 선물이 무엇일지 그려보고 선물을 주는 이유를 간단히 적어보는 '주인공에게 선물하기'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4주차 월요일의 경우, 읽은 책의 내용과 느낀 생각들을 그림으로 그려보는 독후활동을 할 수 있으며,
4주차 화요일의 경우, 책에 나오는 인물의 이름과 이룬 업적을 적어보는 독후활동을 할 수 있으며,
4주차 수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이야기의 차례를 생각하며 그 중 중요 장면을 글로 적어보는 독후활동을 할 수 있으며,
4주차 목요일의 경우, 책을 다 읽은 후 쉽고 즐겁게 부를 수 있는 노래한 곡을 선택한 다음, 선택한 노래 가락에 주인공의 마음이나 성격, 행동 특성 등을 담은 가사를 만들어보는 '나도 작사가' 활동을 할 수 있으며,
4주차 금요일의 경우, 책을 읽으며, 어려운 낱말이 나오면 뜻을 찾아 뜻풀이를 적어보는 독후활동을 할 수 있으며,
4주차 토요일의 경우, 책을 읽고 기억에 남는 낱말이나 중요한 낱말을 넣어 3~4어절 이상의 짧은 글을 적어보는 '짧은 글짓기' 활동을 할 수 있다.
또한, 5주차 월요일의 경우, 읽은 책 중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책 1권을 소개하고 그 이유를 적어보는 '내가 좋아하는 책' 활동을 할 수 있으며,
5주차 화요일의 경우, 나만의 독서표어를 적어보고, 내가 만든 독서캐릭터를 그려보는 '신나는 독서여행' 활동을 할 수 있으며,
5주차 수요일의 경우, 책 속 인물의 말과 행동을 나의 경험과 비교해보고, 상을 주는 이유가 잘 나타나도록 독서상장을 만들어보는 '독서 상장' 활동을 할 수 있으며,
5주차 목요일의 경우,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과 비슷한 인물이 나오는 이야기를 찾아보고 두 인물의 말과 행동을 근거로 각각의 행동과 성격을 비교하여 적어보는 '인물 비교하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5주차 금요일의 경우, 가장 재미있게 읽은 책을 선택한 다음 인상깊은 장면, 감동받은 부분, 책을 소개하는 이유 등을 중심으로 친구, 부모님, 선생님에게 소개하는 글을 적어보는 '책 소개하기' 활동을 할 수 있으며,
5주차 토요일의 경우, 읽은 책의 주인공 중 친구에게 소개하고 싶은 주인공이 한 일을 떠올리며 주인공의 생김새, 성격, 행동을 소개하는 글을 적어보는 '독서인물카드' 활동 등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독서영역별, 독서단계별, 독서수준별로 배정하여 1달 또는 수 개월 기간에 걸쳐 독서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의 흥미와 재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독서지도와 독서 후 활동을 연계하여 병행하도록 함으로써 전체 영역별, 단계별, 수준별 독서가 달성되어 전체 영역과 많은 분량의 독서와 깊이 있게 정독할 수 있는 독서습관을 길러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체 독서영역을 감안하여 월 단위로 분배시킨 월정시간표를 이용하여 전체 영역의 독서가 가능하여 책에 흥미를 가지고 다독, 정독하게 되어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어서 편독이 방지되며, 다양한 독서 후 활동에 의해 자연스러운 글쓰기가 되고 거부감이 없어진다. 또한 독서노트로 기초적인 마인드맵이 달성되어 기초논술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체계적인 독서와 전 영역에 걸치 독서로 싫어하는 분야도 자연스럽게 읽어 자신감이 생길 뿐 아니라, 책을 쉽게 이해할 수 있고, 어휘력, 이해력, 독해력 등이 폭 넓어지고, 책이 쉽게 읽어진다.
본 발명은 독서 후 활동으로는 읽은 책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골라 책을 읽고 알게 된 지식, 마인드 맵 작성, 감상문 쓰기, 독서퀴즈, 독서감상문, 낱말 퍼즐 맞추기, 동시 짖기, 그림 그리기, 주인공이 만약 나였다면, 생각 다발 짖기, 인터뷰하기, 노트정리, 위인에게 편지쓰기, 주인공이나 위인에게 상 주기, 등 다양한 독서 후 활동으로 흥미 유발과 지식습득, 창의력개발, 독서정리나 복습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 영역에 걸친 여러 분야의 책을 골고루 읽고, 뒷 이야기 상상해서 쓰기, 독후화 그리기, 마인드 맵그리기 등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본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1)--앞 표지 (1a)--노트 명칭부
(1b)--독서월정표 (1c)--이름 및 소속 표시부
(1d)--앞 표지의 이면 (1e)--독서노트 특징부
(1f)--뒷 표지 (1g)--영역별 독서의 장점부
(2)--속지 (3)--독서시간표
(4)--제1 독후활동란 (5)--제2 독후활동란
(6)--페이지 표시부 (7)--날짜기재란
(8)--주일(週日) 표시부 (9)--독서영역 표시부
(10)--책 제목 기재부 (11)--비고란

Claims (4)

  1. 앞 표지와 뒷 표지 및 복수의 속지로 구성된 독서노트에 있어서;
    상기 앞 표지 상단에 표기되는 독서노트의 명칭부와,
    상기 앞 표지의 중앙에 배치되는 독서월정표와,
    상기 앞 표지의 하단에 표기되는 이름 및 소속 표시부로 구성하되,

    상기 속지는,
    상단에 배치되는 독서시간표;
    상기 독서시간표 하단에 배치되는 제1 독후활동 기입용 제1 독후활동란;
    상기 제1 독후활동란 하단에 배치되는 제2 독후활동 기입용 제2 독후활동란;
    상기 제2 독후활동란 하단에 숫자로 표시되는 페이지표시부;
    상기 독서시간표 상단 일측에 배치되는 날짜기재란;
    상기 책 제목 기재부 일측에 배치되는 비고란;
    을 포함하는 독서노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독서시간표는,
    상단 좌측칸에 주(週)와 요일(曜日)이 표기되는 주일(週日) 표시부가 배치되고,
    상단 중앙칸에 독서영역이 표기되는 독서영역 표시부가 배치되고,
    상단 우측칸에는 독서영역에 해당하는 책 제목을 기재할 수 있는 책 제목 기재부가 배치되고,
    상기 주일 표시부의 하단 가로줄에 일련번호가 기재되고,
    상기 독서영역표시부의 하단 가로줄에 분류된 독서영역이 차례로 기재되고,
    상기 책 제목 기재부의 하단 가로줄에 사용자가 읽은 해당 독서영역 책 제목을 기입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줄로 구성하여서 된 독서노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 독후활동은, 일별(日別)로 달리하되,
    1주차 월요일은 읽은 책 속에서 일어난 일을 떠올려 본 다음 6하 원칙에 따라 논리적으로 적어보는 활동이고,
    1주차 화요일은 책을 읽고 떠오르는 인물, 사건, 배경 등을 생각해보고 글로 써보는 '생각 그물 짜보기' 활동이고,
    1주차 수요일은 읽은 책에 나왔던 인물들의 성격이나 종류를 '인물꽃'안에 적어보는 활동이고,
    1주차 목요일은 읽은 책을 토대로 독서일기를 써보는 활동이고,
    1주차 금요일은 읽은 책의 내용 일부에 밑줄을 그은 다음 자신이 퀴즈를 만들어 친구에게 풀어보도록 하는 '독서퀴즈' 활동이고,
    1주차 토요일은 읽은 책의 이야기가 계속 이어진다면 어떤 내용이 될지 상상해보고 이야기의 흐름에 맞게 써 본 다음 원래 이야기와 비교해보는 '뒷 이야기 상상하기' 활동이고,
    2주차 월요일은 책을 읽고 각 문단의 중심 생각을 파악한 다음 줄거리를 간추려 써보는 "줄거리 간추리기" 활동이고,
    2주차 화요일은 책을 읽고 인상깊은 등장인물이나 내용을 생각한 다음 인물의 감정이나 글의 내용 및 느낀점을 담아 시로 써보고 낭송해보는 '꼬마 시인이 되어' 활동이고,
    2주차 수요일은 주인공을 떠올리고 자신과의 차이점을 찾아보거나 다른 인물과 비교한 다음 주인공에게 편지를 써보는 '주인공에게 편지쓰기' 활동이고,
    2주차 목요일은 책을 읽고 인물이나 사건, 배경, 결말 등 무엇을 바꿔 써보고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해보는 '이야기 바꾸어 쓰기' 활동이고,
    2주차 금요일은 책을 읽고 어떤 인물과 인터뷰할 것인지 선택하고 어떤 질문을 할 것인지 생각한 다음 책 속의 인물이 되어 질문에 대한 답을 써보는 '인물 인터뷰' 활동이고,
    2주차 토요일은 책을 읽고 기억에 남는 장면과 그 이유, 나와 주인공 비교하기, 각오 및 다짐, 느낀 점 등을 중심으로 독후감을 써보는 '독서 감상문' 활동이고,
    3주차 월요일은 책을 읽고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을 생각한 다음 그림으로 그리고 어떤 장면을 그린 것인지 글로 소개하는 '독서 감상화' 활동이고,
    3주차 화요일은 책의 제목이나 글감 또는 주제를 한가운데 쓴 다음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들을 선으로 연결하여 낱말을 쓰는 마인드맵을 작성한 다음 이야기의 줄거리를 간추려 써보는 '마인드 맵으로 간추리기' 활동이고,
    3주차 수요일은 책을 읽고 인물이나 책 제목, 내용과 관련이 있는 낱말을 떠올려 삼행시를 작성해 적어보는 '독서 삼행시' 활동이고,
    3주차 목요일은 감명 깊게 읽은 책을 골라 책의 내용과 권하는 이유를 그림과 글로 나타내어 책을 선전하는 광고문을 만들어보는 '책 광고하기' 활동이고,
    3주차 금요일은 책을 읽고 주인공의 마음에 따라 얼굴 표정이 어떻게 변화할 지 상상하여 그려보고, 왜 그렇게 변화했는지 간단히 적어보는 '주인공의 얼굴 변화 나타내기' 활동이고,
    3주차 토요일은 책 속 인물에게 가장 필요한 선물이 무엇일지 그려보고 선물을 주는 이유를 간단히 적어보는 '주인공에게 선물하기' 활동이고,
    4주차 월요일은 읽은 책의 내용과 느낀 생각들을 그림으로 그려보는 독후활동이고,
    4주차 화요일은, 책에 나오는 인물의 이름과 이룬 업적을 적어보는 독후활동이고,
    4주차 수요일은 책을 읽고 이야기의 차례를 생각하며 그 중 중요 장면을 글로 적어보는 독후활동이고,
    4주차 목요일은 책을 다 읽은 후 쉽고 즐겁게 부를 수 있는 노래한 곡을 선택한 다음, 선택한 노래 가락에 주인공의 마음이나 성격, 행동 특성 등을 담은 가사를 만들어보는 '나도 작사가' 활동이고,
    4주차 금요일은 책을 읽으며 어려운 낱말이 나오면 뜻을 찾아 뜻풀이를 적어보는 독후활동이고,
    4주차 토요일은 책을 읽고 기억에 남는 낱말이나 중요한 낱말을 넣어 3~4어절 이상의 짧은 글을 적어보는 '짧은 글짓기' 활동이고,
    5주차 월요일은 읽은 책 중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책 1권을 소개하고 그 이유를 적어보는 '내가 좋아하는 책' 활동이고,
    5주차 화요일은 나만의 독서표어를 적어보고 내가 만든 독서캐릭터를 그려보는 '신나는 독서여행' 활동이고,
    5주차 수요일은 책 속 인물의 말과 행동을 나의 경험과 비교해보고 상을 주는 이유가 잘 나타나도록 독서상장을 만들어보는 '독서 상장' 활동이고,
    5주차 목요일은 등장하는 인물의 성격과 비슷한 인물이 나오는 이야기를 찾아보고 두 인물의 말과 행동을 근거로 각각의 행동과 성격을 비교하여 적어보는 '인물 비교하기' 활동이고,
    5주차 금요일은 가장 재미있게 읽은 책을 선택한 다음 인상깊은 장면, 감동받은 부분, 책을 소개하는 이유 등을 중심으로 친구, 부모님, 선생님에게 소개하는 글을 적어보는 '책 소개하기' 활동이고,
    5주차 토요일은 읽은 책의 주인공 중 친구에게 소개하고 싶은 주인공이 한 일을 떠올리며 주인공의 생김새, 성격, 행동을 소개하는 글을 적어보는 '독서인물카드' 활동 임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노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독서영역은,
    1~5주 월요일은 한국순수창작, 한국전통전래, 원리과학, 한국역사, 한국위인, 한국전통문화, 한국지리, 미술동화 이고,
    1~5주 화요일은, 세계대표창작, 세계전래, 과학동화, 세계역사, 세계위인, 세계사회문화, 세계지리, 세계신화 이고,
    1~5주 수요일은, 한국대표명작, 한국창작전래, 자연관찰, 경제동화, 사회탐구, 철학동화, 생활동화, 음악동화 이고,
    1~5주 목요일은, 세계대표창작, 수리논술동화, 자연동화, 체험동화, 삼국유사, 감성동화, 그리스신화, 중국역사 이고,
    1~5주 금요일은, 한국대표문학, 초등문학, 한국고전, 코칭동화, 삼국사기, 수학동화, 로마신화, 중국고전 이고,
    1~5주 토요일은, 세계대표문학, 논술문학, 세계고전, 탈무드, 이솝우화, 한자동화, 반전동화, 성경동화, 삼국지 임을 특징으로 하는 독서노트.
KR1020100130382A 2010-12-20 2010-12-20 독서노트 KR201200690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82A KR20120069028A (ko) 2010-12-20 2010-12-20 독서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82A KR20120069028A (ko) 2010-12-20 2010-12-20 독서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28A true KR20120069028A (ko) 2012-06-28

Family

ID=4668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382A KR20120069028A (ko) 2010-12-20 2010-12-20 독서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902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024A (ko) * 2017-03-31 2018-10-11 홍현수 다이어리 속지
KR20220058993A (ko) 2020-11-02 2022-05-10 김채진 전자책 제작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1024A (ko) * 2017-03-31 2018-10-11 홍현수 다이어리 속지
KR20220058993A (ko) 2020-11-02 2022-05-10 김채진 전자책 제작 서비스 방법 및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icholson-Nelson Multiple intelligences
Dodge The study skills handbook: More than 75 strategies for better learning
Luongo-Orlando Authentic assessment: Designing performance-based tasks
KR20120069028A (ko) 독서노트
Starrett The margins of print: children's religious literature in Egypt
Miner et al. Exploring nonfiction with young learners
Cleveland Using Children's Picturebook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Science Practices in Grades 3rd-5th
Glass Curriculum mapping: A step-by-step guide for creating curriculum year overviews
Arnold The MI strategy bank: 800+ multiple intelligence ideas for the elementary classroom
Areglado et al. Let's write: A practical guide to teaching writing in the early grades
Lipton et al. More than 100 ways to learner-centered literacy
Kulsum The Effectiveness of Using Picture in Teaching Writing of Descriptive Text at The Eighth Grade Students of MTs N Purworejo in The Academic Year of 2015/2016
Sukirno The Effectiveness of the Quantum Method on Student Ability in Making a Creative Book
Tang Graphic representation of knowledge structures in ESL student learning
Zande The design process of problem solving
During The Potentiality of First-Person Views
Rosen-O'Leary Effect of visual art integration on long-term retention of science content
Ravanjoo A Historical Research to Retrieve Iranian Cultural Identity in Creating and Expanding Nastaliq Calligraphy
Tracey et al. Fostering early literacy development
Gravalin et al. The effects of visual arts on reading comprehension of 3rd grade learners
Ediger Creativity and Science.
Dueñas Building Indigenous Subjectivity: Jesuit Pedagogies of Emotion in the Colonial Andes
Al-Sayegh Developing an Islamic geometric design course for the Department of Art Education at the College of Basic Education in Kuwait
Walker What’sa Parent to Do? Ideas for Parents and Children who are at Home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Barth Drawing in Artistic Research–Whence and Wherefo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