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9010A - 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ion system for digital garment - Google Patents

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ion system for digital gar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9010A
KR20120069010A KR1020100109937A KR20100109937A KR20120069010A KR 20120069010 A KR20120069010 A KR 20120069010A KR 1020100109937 A KR1020100109937 A KR 1020100109937A KR 20100109937 A KR20100109937 A KR 20100109937A KR 20120069010 A KR20120069010 A KR 20120069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digital
electronic module
casing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993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176419B1 (en
Inventor
한윤희
윤용수
Original Assignee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한윤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한윤희 filed Critical 커넥스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to KR1020100109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419B1/en
Publication of KR2012006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90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4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5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housing of the card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3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PURPOSE: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digital clothing is provided to supply various services to a person and to apply the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to digital clothing. CONSTITUTION: A connector is connected to a digital room included in clothing(20). A connection unit for the connection of an electronic module(50) is formed in the connector. The electronic module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The electronic module offers data for a service. The digital room to which the connector is connected is included in the clothing.

Description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ion system for digital garment}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ion system for digital garment

본 발명은 디지털 의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창출되는 유비쿼터스 공간에서는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인간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디지털 의류{Digital garment}용 센서, 통신, 전자제어모듈을 위한 전기적, 기계적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igital clothing, and more particularly, in a ubiquitous space created through a wireless network, a new digital clothing electronic module that can support a human being to live comfortably while providing various services that enrich life. It relates to a connection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structure for a sensor, communication, and electronic control module for digital garments.

생활 속에서 다양한 컨버전스(convergence) 기술 기반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유비쿼터스 컴퓨팅을 바탕으로 한 기술들이 현재 사용중이거나 선보이고 있다. E-Paper, 3D 디스플레이, 생체인식 기술, 지능형 교통시스템(ITS) 등이 그러한 기술이다.In our daily lives, various convergence technology bases are based o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and technologies based on these ubiquitous computing are currently in use or being introduced. E-Paper, 3D display, biometric technology, and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are such technologies.

향후 10 ~ 20년 내에 실현화될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공간에서는 자동차, 도로, 다리, 터널, 건물의 벽과 천장, 가구, 화분, 냉장고, 컵 등 도시공간을 구성하는 수많은 환경과 대상물에 컴퓨터 칩과 센서가 심어져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어서 서로 간에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물리적으로는 떨어져 있지만,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창출되는 유비쿼터스 공간에서는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인간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다.In the ubiquitous space capable of ubiquitous computing, which will be realized in the next 10 to 20 years, the computer chips and the various environments and objects that make up the urban space such as cars, roads, bridges, tunnels, building walls and ceilings, furniture, flower pots, refrigerators, cups, etc. Although physically separated because sensors are embedd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each other, in the ubiquitous space created through wireless networks, various services that enrich life can be provided for humans to live comfortably. I can support you.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단말기는 많이 제공되고 있지만, 손을 자유롭게 만들어 주면서 의식하지 않더라도 인간의 움직임과 24시간 항상 함께할 수 있으면서도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통신이 가능한 수단은 아직 제공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By the way, in the past, a number of terminals capable of providing the above functions have been provided. However, even if you are not aware of making your hands free, you can always be with the movements of humans 24 hours a day, anytime, anywhere to connect to the network to share information This possible means is not yet available.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창출되는 유비쿼터스 공간에서는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인간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는 새로운 디지털 의류에 적용되는 디지털 실과 각종 센서, 통신, 제어모듈 등과의 전기적, 기계적 접속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services that enrich life in the ubiquitous space created through wireless networks, while the digital room and various sensors, communication, and control applied to new digital clothing that can support humans to live comfortably. To solve the problem of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with the modul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의복에 구비된 디지털 실에 연결되어 전자모듈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형성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ncludes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digital seal provided in the garment to form a connection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module, and an electronic modu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provide data for service It provides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a digital gar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본 발명은 전자모듈과의 데이터 교류를 위한 마이크로 와이어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복에 구비되는 디지털 실과, 상기 디지털 실에 연결되어 전자모듈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터미널)를 제공하는 커넥터와, 온도, 압력, 전류 등을 감지하는 센서와 센싱된 값을 전송하는 통신시스템과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wire for data exchange with the electronic module is formed is a digital thread provided in the clothing worn by the user,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digital thread for providing a connection (terminal) for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module, and the temperature; A digital clothing comprising a sensor for detecting a pressure, a current, a communication system for transmitting a sensed value, and an electronic modu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provide data for service. .

또한, 상기 디지털 실은 데이터가 교류하는 마이크로 와이어와, 상기 마이크로 와이어가 내장되도록 커버하는 피복층과, 상기 피복층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된 커버링 실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gital seal may include a micro wire through which data is exchanged, a coating layer covering the micro wire to be embedded therein, and a covering seal provided to surround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상기 피복층의 재질은 절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유연한 성능을 가지도록 플렉시블 수지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terial of the coating layer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flexible resin material to ensure a flexible performance while ensuring insulation.

상기 커버링 실은 염색 처리가 가능하도록 섬유 재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ing yar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ber material is configured to be dyed.

상기 커넥터는 피씨비 커넥터 타입 또는 마이크로 동축 커넥터 타입 중에서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adopt any one of the PCB connector type or micro coaxial connector type.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마이크로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팅 핀부와 전자모듈과 회로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모듈 접속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or may include a connecting pi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 wire of the digital seal, and a module connection part making a circuit connection with the electronic module.

상기 커넥터는 경질 회로기판에 커넥팅 핀부와 모듈 접속부가 패턴화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회로기판에는 전자 부품 소자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pin part and a module connection part are patterned on a rigid circuit board, and an electronic component element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of the connector.

상기 커넥터는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상기 케이싱에 상기 전자모듈이 끼워져서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모듈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케이싱은 분실 위험이 있는 탈부착식 실링캡보다는 힌지타입의 일체형 실링캡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수분 침투를 막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or is accommodated inside the casing, the electronic module is inserted into the casing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or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dule connection portion provided in the connector, the casing is hinged rather than a removable sealing cap that may be lost. It is characterized by preventing the ingress of moisture from the outside by the integral sealing cap of the type.

상기 커넥터에 초소형 전자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모듈은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내장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회로기판에는 상기 디지털 실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마이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microelectronic module, wherein the connector and the electronic module are of a built-in type housed inside the casing, the circuit board constituting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 microcomputer that is connected to the digital seal circuitry It features.

상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회로기판에는 카드 소켓이 탑재되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칭 버튼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ard socket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constituting the connector, and the casing is provided with a switching button electrically switching on / off of the circuit board.

또한, 상기 커넥터의 회로기판에 전자모듈이 탑재되고,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디지털 실에는 기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별도의 케이싱이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모듈이 수납되며, 상기 케이싱의 선단부측은 막음부에 의해 막혀진 밀봉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electronic module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of the connector, and a separate casing is connected to an opening of a proximal end of the digital seal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accommodate the connector and the electronic module inside the casing. The tip end side of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in a sealed type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커넥터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온도센서, 압력센서, 전류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asing accommodating the connector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a pressure sensor, and a current sen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of th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복에 구비되는 디지털 실과 전자모듈 사이의 접속을 위한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상기 터미널에 상기 디지털 실의 도체가 연결된 상태로 지지하는 그라운드 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가 제공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for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seal and the electronic module provided in the garment, and a ground bar for supporting the conductor of the digital seal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connector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a digital garment is provided.

상기 커넥터는 상기 디지털 실이 얹혀져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도체가 연결 접속되는 상기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nector may include a base on which the digital seal is mounted and supported, and the terminal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to which the conductor of the digital seal is connected.

상기 커넥터의 상기 베이스 상면 위치에는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도체가 사이에 끼워져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월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urality of guide walls are provided at the bas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or such that the conductors of the digital seal are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베이스는 상기 터미널 경로 상에 별도의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가이드 월 사이에 끼워진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도체가 통과하여 결합되도록 도체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ase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upport portion on the terminal path, the suppor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or through-hole is formed so that the conductor of the digital seal sandwiched between the guide wall passes through.

상기 그라운드 바는 상면부의 양측단에 하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디지털 실을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round ba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extending downwards at both side end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is coupled to the connector to maintain the digital seal connected to the connector.

상기 그라운드 바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베이스 양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 맞걸림 결합함으로써 상기 그라운드 바를 상기 커넥터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walls of the ground bar may be dispos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of the connector to connect the ground bar to the connector by engaging and engaging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상기 디지털 실은 상기 외부도체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피복된 쟈켓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라운드 바는 상면측에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쟈켓을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1그루브와,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외부도체를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의 상기 터미널에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제2그루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igital seal has a structure having a jacket coat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ductor, wherein the ground bar has a first groove for pressing the jacket of the digital seal on the upper surface to be fixed to the connector; And a second groove for pressing the outer conductor of the digital seal to contact the terminal of the connector.

본 발명은 의복에 구비된 디지털 실에 연결되어 전자모듈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형성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로서, 본 발명을 채용한 디지털 의류를 착용하기만 하면 손을 자유롭게 만들어 주면서 의식하지 않더라도 인간의 움직임과 24시간 항상 함께할 수 있으면서도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통신이 가능한 수단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garment comprising a connector connected to the digital chamber provided in the garment to form a connection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module, and an electronic modu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provide data for service. As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a communication that allows users to share information by accessing the network anytime and anywhere, even if they are not conscious, simply making the hands free to wear digital clothing adopting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y are not aware of it at all times. It can function by any possible means.

다시 말해,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MP3, PDA, 노트북 등과 같이 미래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각종 디지털 장치와 기능을 가진 각종 전자제품 등을 본 발명을 구성하는 의복에 구비된 디지털 실에 커넥터를 매개로 접속함으로써 유비쿼터스 공간에서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various electronic devices having various digital devices and functions necessary for future daily life, such as mobile phones, digital cameras, MP3s, PDAs, notebooks, etc., are connected via a connector to digital threads provided in the gar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doing so, you will be able to receive various services that enrich your life in the ubiquitous space.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의류는 유무선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언제 어디서나 측정된 생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건강관리 서비스의 수요영역은 의료기관을 벗어나 일상생활까지 영역이 확대될 전망이며, 헬스케어, 스포츠 웨어, 의료용, 방위산업 분야 등으로 적용 분야 또한 광범위하게 확대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clo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pected to be extended to the daily life beyond the medical institutions as the demand for health care services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t any time and anywhere due to the development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e field of application can also be broadly extended to the sportswear, medical, defense and defense industries.

이를테면,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MP3, PDA, 노트북 등과 같이 미래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각종 디지털 장치와 기능을 의복 내에 통합하는 섬유기술과 IT기술을 접목시킨 의복은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디지털 의류라 할 수 있다.For example, a garment that combines IT technology with textile technology that integrates various digital devices and functions necessary for future daily life, such as mobile phones, digital cameras, MP3s, PDAs, notebooks, and the like, which are wide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t's a digital garment.

한편,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전자모듈 분리형, 전자모듈 내장형 및 전자모듈 밀봉형에 대응되는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의류에 사용 가능한 전용 커넥터 및 방수용 스마트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basically provide a connector corresponding to the electronic module detachable, built-in electronic module and the electronic module sealing type can provide a dedicated connector and waterproof smart connector that can be used in digital clothing.

그리고, 본 발명은 디지털 실의 마이크로 와이어에 전자파 차폐용 코팅층을 더 구비된 구조를 취함으로써, 전자모듈을 사용할 때에 생기는 전자파의 영향을 받는 경우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of effectively preventing the case of being affected by the electromagnetic waves generated when using the electronic module by taking the structure further provided with an electromagnetic shielding coating layer on the microwire of the digital seal.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디지털 실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의류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커넥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구성 요소인 디지털 실의 마이크로 와이어를 분리하는 공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디지털 실의 마이크로 와이어에서 피복층을 탈피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사진
도 6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커넥터의 일실시예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6b는 도 6a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의 주요부의 접속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커넥터의 회로기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의 접속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인 커넥터의 회로기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주요부의 접속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커넥터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A-A선 종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B-B선 종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커넥터와 디지털 실의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커넥터와 디지털 실의 결합된 상태의 내부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커넥터와 디지털 실의 결합된 상태의 외부를 보여주는 일측면도
도 19는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실링캡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20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주요부인 실링캡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측면도
1 is a photograph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igital seal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hotograph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hoto conceptual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o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hrough 4D are photographs conceptually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microwires of a digital seal which is a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hotograph showing a process of peeling a coating layer from the microwire of the digital seal shown in FIGS. 4A to 4D.
Figure 6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top of one embodiment of a connector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bottom of FIG. 6A
7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main parts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ide view conceptually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main parts of FIG. 7;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circuit board of a connector which is an essential part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circuit board of a connector which is a main part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main parts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constitu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1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connector and the digital seal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sid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coupled state of the connector and the digital seal shown in FIG. 16; FIG.
18 is a side view showing the outside of the coupling state of the connector and the digital seal shown in FIG.
19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ealing cap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0 is a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ealing cap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readily understood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s are merely illustrated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mbodiment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or the application. It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se.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forms, so that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is specification or application.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modes of operation, but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and / or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only,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s according to the inventive concept,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의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are not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herei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디지털 실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의류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부인 커넥터의 구조를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디지털 실의 마이크로 와이어를 분리하는 공정을 개념적으로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도 4a 내지 도 4d에 도시된 디지털 실의 마이크로 와이어에서 피복층을 탈피하는 공정을 보여주는 사진, 도 6a는 본 발명의 주요부인 커넥터의 일실시예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진, 도 6b는 도 6a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람이 착용하는 의복(20)과, 이러한 의복(20)을 직조하기 위해 일반실과 함께 횡편기에 투입되며 전자모듈(50)과의 데이터 전송를 위한 신호가 흐르는 마이크로 와이어(32)를 구비한 디지털 실(30)과, 이러한 디지털 실(30)에 연결되어 전자모듈(50)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즉, 터미널)을 제공하는 커넥터(40)와, 이 커넥터(40)에 접속되어 통신 기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자모듈(50)을 포함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이다. 이때,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전자모듈(50)은 센서, 통신, 전자제어모듈 등을 통칭하는 것이며, 아울러, 본 발명의 디지털 의료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는 디지털 의류용 센서, 통신, 전자제어모듈 등을 위한 전기적, 기계적 접속 구조를 통칭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is a photograph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digital thread a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hotograph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a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hotograph showing conceptually a structure of a connector a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to 4D are conceptual views show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micro wires of the digital seal,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shows the process of peeling the coating layer from the micro wires of the digital seal shown in FIGS. 4A to 4D. 6A is a photograph showing a top surface of an embodiment of a connecto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B is a photograph showing a bottom surface of FIG. 6A. Referring to th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cro-wire which is put into the flat knitting machine with the general thread to weave the garment 20 and the garment 20, which the human wears and the signal for data transmission with the electronic module 50 ( And a connector 40 connected to the digital seal 30 to provide a connection (i.e., a terminal) for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module 50, and the connector 40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a digital garment comprising an electronic module 50 connected to and transmitting data for a communication-based service. At this time, the electronic module 50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sensor, a communication, an electronic control module,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digital medical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nsor for digital clothing, communication, an electronic control module, and the like. For the electrical and mechanical connection structure.

상기 디지털 실(30)은 데이터가 전송되는 마이크로 와이어(32)와, 이러한 마이크로 와이어(32)가 내장되도록 커버하는 피복층(34)과, 마이크로 와이어(32)의 피복층(34) 외주면을 감싸는 커버링 실(36)(covering floss)를 구비한 구조로서, 디지털 실(30)과 일반 섬유 재질(여기서, 섬유 재질이라 함은 보통의 섬유로 이루어진 실이나 나일론 실 기타 모든 종류의 채용 가능한 재질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과 함께 횡편기에 투입하여 의복(20)을 직조하면 의복(20)의 적정 위치에 디지털 실(30)이 다양한 무늬로 구현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디지털 실(30)이 다양한 무늬로 의복(20)에 직조된 상태를 보여준다.The digital seal 30 includes a micro wire 32 through which data is transmitted, a covering layer 34 covering the micro wire 32 to be embedded therein, and a covering seal surroun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ating layer 34 of the micro wire 32. (36) (covering floss) structure, with a digital seal 30 and a general fiber material (here, the fiber material refers to a common fiber thread or nylon thread and all other kinds of employable materials. It should be understood) and weaving the garment 20 by putting it in the flat knitting machine can take a structure in which the digital thread 30 is implemented in various patterns at the proper position of the garment 20. In FIG. 3, the digital thread 30 is woven into the garment 20 in various patterns.

본 발명에서는 의복(20)에 구비된 디지털 실(30)에 커넥터(40)를 연결하고, 이러한 커넥터(40)를 매개로 디지털 실(30)에 전자모듈(50)을 접속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때, 커넥터(40)를 디지털 실(30)에 연결하는 과정은 디지털 실(30)의 분리, 수지 탈피, 커넥터의 연결 과정으로 대별되는데,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the digital seal 30 provided in the garment 20, and the electronic module 50 is connected to the digital seal 30 via the connector 40. . At this time,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connector 40 to the digital seal 30 is roughly divided into the separation of the digital seal 30, the resin stripping,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connector,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디지털 실 분리><Digital Seal Separation>

의복(20)에 구비된 디지털 밴드(30BD)의 앞면과 뒷면을 벗겨서 일반실(여기서 일반실은 커버링 실(36)를 의미함)과 디지털 실(30)을 깔끔하게 분리하여 정렬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실과 디지털 실(30)을 분리하면 여러 가닥(본 발명에서는 12 가닥)의 디지털 실(30)이 삽입된 것을 볼 수 있고, 따로 분리된 디지털 실(30)의 끝을 가지런하게 절단하고 정렬한다.
Peel off the front and back of the digital band (30BD) provided in the garment 20, the normal room (where the general room means covering room 36) and the digital room 30 is neatly separated and aligned. As shown in FIG. 4C, when the normal thread and the digital thread 30 are separated, it can be seen that the digital thread 30 of several strands (12 strands in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and the digital thread 30 is separated. Trim and align the tip.

<수지 탈피><Resin Stripping>

디지털 실(30)을 레이저 마킹(Laser Marking)용 장비로 수지 부분을 탈피하는 과정인데, 1단계에서는 디지털 실(30)의 상부 부분(즉, 피복층(34)에서 디지털 실(30)의 상부측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부분)을 벗겨내는 과정(탈피 과정)을 실시하고, 2단계로 디지털 실(30)의 하부 부분(즉, 피복층(34)에서 디지털 실(30)의 하부측 부분을 커버하고 있는 부분)을 벗겨내는 과정(탈피 과정)을 실시한다. 그러면, 디지털 실(30)의 마이크로 와이어(32)가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디지털 실(30)의 코어 부분에서 전자파 차폐용 미세 박막 코팅층과 수지 재질의 피복층(34)이 탈피되고, 여러 가닥의 구리 필라멘트로 구성된 마이크로 와이어(32)의 끝부분이 드러나게 되는 것이다.
The process of stripping the resin part from the digital seal 30 with laser marking equipment. In the first step, the upper part of the digital seal 30 in the upper part of the digital seal 30 (that is, the coating layer 34). Peeling off the part covering the part, and in two steps, the lower part of the digital seal 30 (that is, the covering layer 34 is covered with the lower part of the digital seal 30). The stripping process). As a result, the microwire 32 of the digital seal 30 may be exposed.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thin film coating layer for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and the coating layer 34 of the resin material are peeled off from the core portion of the digital seal 30, and the ends of the microwires 32 composed of several strands of copper filaments are exposed. Will be.

<커넥터 연결><Connector>

상기 수지 피복층(34)이 탈피된 디지털 실(30)의 마이크로 와이어(32)를 커넥터(40)에 구비되어 있는 각각의 커넥팅 핀부와 접합한다. 마이크로 와이어(32)와 CB(또는 FPC)(40)의 커넥팅 핀부를 1:1로 납땜하여 접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와이어 본딩 공정을 Ultrasonic welding 방식이나 Laser soldering 방식으로 수행한다.The micro wire 32 of the digital seal 30 from which the resin coating layer 34 has been peeled off is joined to each of the connecting pin portions provided in the connector 40. The connecting pins of the micro wire 32 and the CB (or FPC) 40 are soldered by one to one and jo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by Ultrasonic welding or Laser soldering.

이때, 디지털 실(30)과 CB(또는 FPC)(40)의 접합 부위가 약하기 때문에, 연결 작업 후(즉, CB(또는 FPC)(40)의 커넥팅 핀부와 디지털 실(30)의 마이크로 와이어(32) 연결 작업 후)에 디지털 밴드(30BD)와 CB(또는 FPC)(40)의 연결 부위를 절연 소재로 고정한다. 본 발명에서는 CB(또는 FPC)(40)와 디지털 밴드(30BD) 사이를 플라스틱 수지(또는 러버 재질)와 같은 절연 소재를 오버 몰딩(over molding) 방식으로 고정하여 CB(또는 FPC)(40)와 디지털 밴드(30BD), 나아가 디지털 실(30) 사이의 연결 부위를 견고하게 밀봉하면서 연결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CB(또는 FPC)(40) 자체를 디지털 실(30)의 수용을 위한 연결부에 접속 하우징이 일체로 구비된 구조로 형성하고, CB(또는 FPC)(40)의 연결부를 디지털 밴드(30BD)(구체적으로, 수지 재질의 피복층(34)이 탈피된 디지털 실(30)의 끝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치한 다음, 이러한 CB(또는 FPC)(40) 전체와 디지털 밴드(30BD)의 연결 부분을 절연 소재로 오버 몰딩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bonding portion of the digital seal 30 and the CB (or FPC) 40 is weak, after the connection operation (that is, the connecting pin portion of the CB (or FPC) 40 and the micro wire of the digital seal 30 ( 32) After the connection work) to fix the connection of the digital band (30BD) and the CB (or FPC) 40 with an insulating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 plastic resin (or rubber material) is fixed between the CB (or FPC) 40 and the digital band 30BD by over molding, so that the CB (or FPC) 40 is fixed. It takes the structure which connects, sealingly sealing the connection site | part between the digital band 30BD and the digital seal 30 further. The CB (or FPC) 40 itself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on housing is integrally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for accommodating the digital seal 30,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CB (or FPC) 40 is connected to the digital band 30BD ( Specifically, the resin coating layer 34 is disposed to accommodate the stripped digital seal 30, and then insulates the entirety of the CB (or FPC) 40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igital band 30BD. It can take the structure of overmolding with a material.

한편, 마이크로 동축 커넥터(40) 형태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디지털 실(30)의 마이크로 와이어(32)를 상기 납땜 방식 등으로 마이크로 동축 커넥터(40)의 도전성 커넥팅 핀부에 연결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마이크로 동축 커넥터(40)를 채용하는 경우에도 디지털 실(30)과 커넥터(40)의 연결 부분을 절연 소재로 밀봉 마감(상기 오버 몰딩 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micro coaxial connector 40 is adopted, the micro wire 32 of the digital seal 30 may be connected to the conductive connecting pin of the micro coaxial connector 40 by the soldering method. Even when employing such a micro coaxial connector 40,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digital seal 30 and the connector 40 can be sealed with an insulating material (the above molding method or the like).

상기 CB(또는 FPC)(40)는 케이싱(45)의 내부에 수용되고, CB(또는 FPC)(40)의 커넥팅 핀부(42)를 수용하는 케이싱(45)에는 전자모듈(50)이 끼워져서 CB(또는 FPC)(40)의 모듈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 케이싱(45)은 디지털 실(30)이 끼워지는 기단부측의 연결부에 중공의 수용부를 구비한 납작한 사각 케이스 형태로 구성된다. 케이싱(45)은 기단부측과 선단부측에 개구부를 갖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케이싱(45)의 연결부가 기단부측의 개구부에 의해 디지털 실(30)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오버 몰딩 방식 등에 의해 디지털 실(구체적으로 디지털 밴드(30BD) 부분)에 밀봉적으로 접합되고, 동시에 케이싱(45)의 수용부에는 피씨비(Rigid PCB)가 수용되어 전자모듈(50)이 케이싱(45)의 선단부측 개구부를 통해 삽입되어 PCB(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커넥터(40)가 전자모듈(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모듈 접속부라 할 수 있다.The CB (or FPC) 40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45, the electronic module 50 is fitted to the casing 45 for receiving the connecting pin 42 of the CB (or FPC) 4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dule connection of the CB (or FPC) 4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45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flat rectangular case provided with a hollow receiving portion at a connection portion on the proximal end portion on which the digital seal 30 is fitted. The casing 45 has a structure having openings at the proximal end and the distal end side. The casing 45 is connected to the digital seal 30 by the opening at the proximal end, and the digital seal (eg, by the overmolding method) is used. Specifically, it is hermetically bonded to the digital band 30BD part, and at the same time, a PCB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of the casing 45 so that the electronic module 5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ing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casing 45.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CB 40. That is, the connector 40 may be referred to as a module connectio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nic module 50.

또한, 커넥터(40)를 수용한 케이싱(45)의 선단부측 개구부는 실링캡(48)에 의해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실링캡(48)은 결합 블록부(48a)와, 이러한 결합 블록부(48a)에 일체화된 확장 블록부(48b)를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서, 실링캡(48)의 결합 블록부(48a)가 커넥터(40)를 수용한 케이싱(45)의 선단부측 개구부 내부에 고무 재질의 탄성으로 결합되고 확장 블록부(48b)는 케이싱(45)의 선단부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캡(48)을 커넥터(40)를 수용한 케이싱(45)에 끼워서 막아놓고 있다가 실링캡(48)을 분리하고 전자모듈(50)을 케이싱(45)에 끼워서 커넥터(40)의 모듈 접속부에 접속함으로써 전자모듈(50)과 디지털 실(30)을 커넥터(40)를 매개로 상호 접속시킬 수 있게 된다. 실링캡은 사용 편의와 분실방지를 위하여 힌지(hinge) 방식과 같은 플라스틱 케이싱 일체형으로 구성한다.In addition, the opening of the tip side of the casing 45 accommodating the connector 40 can be closed by the sealing cap 48. At this time, the sealing cap 48 has a structure having a coupling block portion 48a and an expansion block portion 48b integrated with the coupling block portion 48a, so that the coupling block portion 48a of the sealing cap 48 is provided. )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tip side opening of the casing (45) housing the connector (40) and the expansion block portion (48b)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tip of the casing (45). Therefore, the sealing cap 48 is plugged into the casing 45 accommodating the connector 40 to block the sealing cap 48, and then the sealing cap 48 is removed and the electronic module 50 is inserted into the casing 45. By connecting the module connection part, the electronic module 50 and the digital seal 30 can be interconnected via the connector 40. Sealing cap is composed of a plastic casing integral type such as a hinge (hinge) for convenience of use and loss prevention.

한편, 본 발명에서 실링캡(48)은 내부에 전후단으로 연통된 전자모듈 결합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어서, 전자모듈(50)을 실링캡(48)에 끼운 상태에서 커넥터(40)를 매개로 디지털 실(30)에 접속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즉, 전자모듈(50)에 구비된 에지 카드(edge card) 커넥터(52) 부분이 실링캡(48) 내부의 전자모듈 결합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40)의 회로기판(41) 부분(즉, 모듈 접속부 부분)에 접속됨으로써 전자모듈(50)(50)이 커넥터(40)를 매개로 디지털 실(30)에 회로적으로 연결된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실링캡(48)은 적절한 탄성이 있는 수지 또는 고무 재질과 같은 밀봉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실링캡(48)에 의해 케이싱(45)과 전자모듈(50)의 에지 카드 커넥터(52) 부분이 밀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실링캡(48)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둔 상태에서 전자모듈(50)을 실링캡(48) 내부의 모듈 결합홀에 끼워줌으로써 전자모듈(50)과 PCB(40)의 연결 부분을 밀봉 상태로 유지하면서도 전자모듈(50)과 디지털 실(30)을 회로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ling cap 48 has an electronic module coupling hole (not shown) communicated with the front and rear ends therein, so that the connector 40 in the state in which the electronic module 50 is inserted into the sealing cap 48.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o the digital room 30 via a medium. That is, the part of the circuit board 41 of the connector 40 in the state where the edge card connector 52 provided in the electronic module 50 is inserted into the electronic module coupling hole inside the sealing cap 48. That is, by being connected to the module connection portion), the electronic module 50 and 50 can take the structure of being connected to the digital chamber 30 via the connector 40. At this time, the sealing cap 48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 sealing property such as a resin or rubber material with a suitable elasticity, the edge card connector 52 of the casing 45 and the electronic module 50 by the sealing cap 48. It is desirable to allow the part) to remain sealed. That is, the electronic module 50 is inserted into the module coupling hole inside the sealing cap 48 in a state where the sealing cap 48 is left without being separated, thereby sealing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electronic module 50 and the PCB 40. It can also take the structure of connecting the electronic module 50 and the digital seal 30 in a circuit while maintaining the.

한편, 상기 케이싱(45)과 실링캡(48)은 결합돌부(45p)와 결합홈부에 의해 보다 견고한 연결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즉, 케이싱(45)의 수용부 내벽면에 돌부(45p)를 형성하고, 실링캡(48)의 결합 블록부(48a) 외측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실링캡(48)을 케이싱(45)에 끼웠을 때에 홈부와 돌부(45p)의 상호 맞결합에 의해 케이싱(45)과 실링캡(48)의 연결 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확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asing 45 and the sealing cap 48 may take a more rigid connection structure by the coupling protrusion 45p and the coupling groove. That is, the protrusion 45p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ousing 45 of the casing 45, and a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ing block portion 48a of the sealing cap 48 to attach the sealing cap 48 to the casing 45. When fitted,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casing 45 and the sealing cap 48 can be more firmly secured by the mutual engagement between the groove and the protrusion 45p.

또한, 케이싱(45)의 상대적으로 경질 재질로 구성함과 동시에 수용부의 내벽면에 돌부(45p)를 형성하여, 실링캡(48)을 케이싱(45)에 삽입하였 때에 케이싱(45)의 돌부(45p)가 실링캡(48)을 가압하는 방식에 의해 실링캡(48)과 케이싱(45) 사이의 연결 구조를 더 견고하게 확보하는 구조로 가능하다.Further, the casing 45 is formed of a relatively hard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a protrusion 45p is form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when the sealing cap 48 is inserted into the casing 45, the protrusion of the casing 45 ( 45p) may be configured to secure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sealing cap 48 and the casing 45 by a method of pressing the sealing cap 48.

따라서, 커넥터(40)와 디지털 실(30)의 연결부 사이는 오버 몰딩 구조에 의해 1차적으로 커넥터(40) 방수 성능이 확보되고, 실링캡(48)에 의해 2차적으로 커넥터(40)의 방수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Therefore, between the connector 40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igital seal 30, the waterproof performance of the connector 40 is secured primarily by an overmolding structure, and the waterproofing of the connector 40 is secondarily performed by the sealing cap 48. Performance can be secured.

한편, 본 발명에서 의복(20)에 적절한 포켓을 만들고, 이러한 포켓에 전자모듈(50)을 수용하여 장착하는 것과 같이 전자모듈(50)을 공지의 부착수단에 의해 의복(20)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전자모듈(50)에는 에지 카드 커넥터(52)를 구비하여, 이러한 전자모듈(50) 자체의 에지 카드 커넥터(52) 부분을 디지털 실(30)에 연결된 커넥터(40)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실(30)과 전자모듈(50)을 상호 통신 가능하게 연결할 수도 있고, 전자모듈(50)에 미도시된 접속포트를 구비하고, 상기 디지털 실(30)에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40)를 전자모듈(50)의 접속포트 부분에 꼽아서 커넥터(40)를 매개로 연결하는 방식도 역시 채용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make a suitable pocket in the garment 20, the electronic module 50 can be mounted to the garment 20 by a known attachment means, such as to receive and mount the electronic module 50 in such a pocket. It has a structure. In addition, the electronic module 50 is provided with an edge card connector 52 to connect the edge card connector 52 portion of the electronic module 50 to the connector 40 connected to the digital seal 30. The digital seal 30 and the electronic module 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or 40 having a connection port not shown in the electronic module 50 and connected to the digital seal 30 may be connected. Plugging into the connection port portion of the electronic module 50 can also be employed to connect the connector 40 as a medium.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의복(20)에 일반실과 함께 직조되어 구비된 디지털 실(30)에 커넥터(40)가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커넥터(40)에는 각종 전자모듈(50)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디지털 실(30)에 커넥터(40)를 매개로 전자모듈(50)을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 의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connector 40 is connected to the digital thread 30 provided in the garment 20 together with the normal thread, so that the various electronic modules 50 are connected to the connector 40. In this case, the digital garment may be provided which can be used by connecting the electronic module 50 to the digital thread 30 via the connector 40.

따라서, 본 발명을 채용한 디지털 의류를 착용하기만 하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창출되는 유비쿼터스 공간에서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인간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ort a human being to live comfortably while providing various services that enrich life in the ubiquitous space created through the wireless network, by simply wearing the digital clothing adopting the present invention.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 전자모듈(50)은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 디지털 카메라, MP3, PDA, 노트북 등과 같이 미래의 일상 생활에 필요한 각종 디지털 장치와 기능을 가진 각종 전자제품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전자모듈(50)을 본 발명의 채용한 의복(20)의 디지털 실(30)에 커넥터(40)를 매개로 접속함으로써 유비쿼터스 공간에서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module 50 refers to various electronic products having various digital devices and functions necessary for future daily life, such as mobile phones, digital cameras, MP3s, PDAs, notebooks, etc. By connecting the electronic module 50 to the digital seal 30 of the garment 20 employing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e connector 40 as a medium, it is possible to receive a variety of services that enrich life in the ubiquitous space.

유비쿼터스 컴퓨팅이 가능한 유비쿼터스 공간에서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창출되는 유비쿼터스 공간에서는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하는 것인데, 본 발명은 손을 자유롭게 만들어 주면서 의식하지 않더라도 인간의 움직임과 24시간 항상 함께할 수 있으면서도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통신이 가능한 수단으로서 디지털 의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통신방식은 유선, 무선통신이 모두 가능하며 유선통신의 경우 전력선통신(PLC)이 적용 가능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별도의 통신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the ubiquitous space that is created through wireless networks in the ubiquitous space where ubiquitous computing is possible, various services that make life richer are provided.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to make hands freely and can always be with human movements 24 hours Digital clothing will be provid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hat allows users to connect and share information anytime, anywhere. The communication method can be bot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and in the case of wired communication,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is applicable, otherwise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may be used.

최근 정보통신의 발달에 힘입어 우리는 세계 어느 나라보다 뛰어난 초고속 통신망 인프라를 확보하고 있으며 디지털 기기 간 융합과 무선 통신 기술 발전, 작고 휴대가 가능한 다양한 종류의 생체 신호 측정 센서의 출현으로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디지털 의류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 걸맞는 디지털 의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Recently,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we have secured the high-speed network infrastructure that is superior to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The era of ubiquitous digital clothing that can access information by connecting to a network is coming, and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digital clothing suitable for such a situation.

또한, 세계적인 추세를 볼 때, 의류 기술 분야에 있어 우리나라는 선진국과 기술 격차가 크지 않으며, 국내 IT기술은 이미 세계 최정상급 수준에 도달해 있는 실정이기에 본 발명을 통하여 디지털 의류 분야에서의 기술적 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며, IT기술 응용 시장을 확대하여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global trend, in the field of apparel technology, Korea is not a big technology gap with the developed countries, and domestic IT technology has already reached the world's highest level, so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advantage in the field of digital clothing It will be able to occupy, and expect synergies by expanding the IT technology application market.

또한, 199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비만 환자의 증가로 인하여 스포츠 활동을 하면서 체중감량과 동시에 건강을 증진하고자 하는 스포츠 인구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자신의 운동량 측정을 통해 다이어트 진행상황을 미리 예측하고 싶어하는 욕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인데,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의류는 이러한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상당하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각종 센서(온도, 압력, 전류 등)(158)를 구비한 실시예의 경우 디지털 의류 착용자의 현재 체온이나 압력 등을 센싱하여 착용자의 현재 몸 상태 정보를 취득하고, 이러한 착용자의 신체 상태를 추출하여 의료 서비스에 활용하는 것과 같은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1990s, due to the increase in obesity patients all over the world, the number of sports people who are trying to lose weight and improve their health while doing sports activities is increasing rapidly. Although the desire to desire is gradually increasing, the digital clot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aid to have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can satisfy the needs of these people. Specifical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various sensors (temperature, pressure, current, etc.) 158, the current body temperature or pressure of the wearer of the digital clothing is sensed to obtain the wearer's current body state information. Desirable results such as extracting the wearer's physical condition and using it for medical services may be achieved.

또한, 주 5일제의 도입으로 인하여 스포츠 활동 참여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스포츠 활동을 하면서 자신의 생체 신호를 모니터링 함으로써 갑작스런 사고나 생체 변화에 대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디지털 의류는 이러한 생체 모니터링 기능도 역시 제공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five-day week,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sports activities is increasing, and management of sudden accidents or changes in living bodies is required by monitoring their bio signals while playing sports activities. Naturally, monitoring can also be provided.

아울러, 본 발명의 디지털 의류는 유무선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언제 어디서나 측정된 생체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해짐에 따라 건강관리 서비스의 수요영역은 의료기관을 벗어나 일상생활까지 영역이 확대될 전망이며, 헬스케어, 스포츠 웨어, 의료용, 방위산업 분야 등으로 적용 분야 또한 광범위하게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mand area of health care service is expected to expand from medical institutions to daily life as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measured biological signals anytime and anywhere. The field of application could also be broadly extended to the sportswear, medical, defense and defense industries.

한편, 본 발명의 디지털 의류는 전자모듈 분리형, 전자모듈 내장형, 전자모듈 밀봉형으로 대별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digital gar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oughly divided into electronic module separation type, electronic module embedded type, electronic module sealing type.

전자모듈 분리형은 디지털 실(30), 커넥터(40)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케이싱(45)과 일체형 (또는 분리형) 실링캡(48)을 구비한 것으로, 상기와 같이, 실링캡(48)을 케이싱(45)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커넥터(40)에 전자모듈(50)을 접속하는 방식이다. 다시 말해, 전자모듈 분리형의 경우, 커넥터(40)는 케이싱(45)의 내부에 수용되고, 커넥터(40)의 커넥팅 핀부(42)를 수용하는 케이싱(45)에 전자모듈(50)이 끼워져서 커넥터(40)의 모듈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케이싱(45)은 탈부착식의 실링캡(48)에 의해 막음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한편, 실링캡(48)은 힌지부를 중심으로 케이싱(45)의 선단 개구부에 결합되어, 실링캡(48)을 힌지부를 중심으로 열고 닫아서 케이싱(45)을 개폐하는 구조도 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module detachable type includes a casing 45 and an integrated (or detachable) sealing cap 48 having a digital seal 30 and a connector 40 as a basic configuration, and the sealing cap 48 is casing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module 5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40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45.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module detachable type, the connector 40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45, and the electronic module 50 is inserted into the casing 45 which accommodates the connecting pin 42 of the connector 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dule connection portion of the connector 40, the casing 45 is configured to be blocked by the removable sealing cap 48. 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cap 48 is coupled to the front end opening of the casing 45 around the hinge portion, it may also take a structur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ealing cap 48 to the center of the hinge to open and close the casing (45).

전자모듈 내장형은 커넥터(40)에 전자모듈(50)이 구비되고, 커넥터(40)와 전자모듈(50)은 케이싱(45)의 내부에 수납된 구조를 갖는다.Electronic module built-in type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module 50 in the connector 40, the connector 40 and the electronic module 50 has a structure accommodated in the casing (45).

이러한 전자모듈 내장형의 경우, 커넥터(40)를 구성하는 회로기판(41)에는 디지털 실(30)에 패턴화 회로를 매개로 연결되는 마이콤(151) 및 기타 전자부품이 탑재된 구조이다. 그리고, 커넥터(40)의 회로기판(41)에는 카드 소켓(152)이 구비된다. 상기 카드 소켓(152)에는 각종 메모리 카드(154)가 결합된다. 또한, 커넥터(40)를 구성하는 회로기판(41)에는 필요시 스위칭 버튼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스위칭 버튼이 회로기판(41)의 저면에서 회로기판(41)의 패턴화된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한편, 케이싱(45)의 저면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버튼 누름식 또는 터치 패드 방식 등으로 조작하여 스위칭 버튼을 온/오프 절환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자모듈 내장형에서 전자모듈(50)은 마이콤(151)과 메모리 카드소켓(152)과 메모리카드 카드(154) 및 스위치 버튼(155)로 구성된다. 물론, 다른 구조의 전자모듈(50)을 커넥터(40)에 연결하여 케이싱(45)에 내장시키는 경우도 가능하다.In the case of the electronic module built-in type, the circuit board 41 constituting the connector 40 has a structure in which a microcomputer 151 and other electronic components are connected to the digital chamber 30 via a patterning circuit. The circuit board 41 of the connector 40 is provided with a card socket 152. Various memory cards 154 are coupled to the card socket 152. In addition, a switching butt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41 constituting the connector 40 when necessar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butt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atterned circuit of the circuit board 41 at the bottom of the circuit board 41, and exposed to the bottom of the casing 45, so that the user pushes a button or touch pad.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switching button on and off by operating the. Therefore, the electronic module 50 in the electronic module built-in is composed of a microcomputer 151, a memory card socket 152, a memory card card 154 and a switch button 155.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electronic module 50 having another structure to the connector 40 to be embedded in the casing 45.

상기 전자모듈 밀봉형은 커넥터(40)의 회로기판(41)에 전자모듈(50)이 탑재되고, 커넥터(40)에 연결된 디지털 실(30)에는 기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별도의 케이싱(45)이 연결되어, 케이싱(45)의 내부에 커넥터(40)와 전자모듈(50)이 수납되며, 아울러, 케이싱(45)의 선단부측을 막음부(47)에 의해 막혀진 밀봉형으로 구성된 것이다. 물론, 커넥터(40)가 수용된 케이싱(45)과 디지털 실(30) 부분(디지털 밴드(30BD) 형태인 경우에는 디지털 밴드(30BD) 부분) 사이를 오버 몰딩 등의 방식에 의해 밀봉 구조를 취할 수 있게 된다.In the electronic module sealed type, the electronic module 50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41 of the connector 40, and a separate casing 45 is provided in the digital seal 30 connected to the connector 40 through an opening of the proximal end. Is connected, the connector 40 and the electronic module 50 is accommodated in the casing 45, and the end of the casing 45 is formed of a sealed type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47. Of course, a sealing structure may be taken between the casing 45 in which the connector 40 is accommodated and the portion of the digital seal 30 (or the portion of the digital band 30BD in the case of the digital band 30BD) by overmolding or the like. Will be.

전자모듈 밀봉형에서는 회로기판(41)의 패턴화된 커넥팅 핀부(42)에 마이콤(155)이 회로적으로 연결되며, 이밖에 회로기판(41)에는 필요한 여러 가지 전자 부품 소자(156 및 157)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40)를 수용하는 케이싱(45)에는 커넥터(40)에 필요에 따라 회로적으로 연결된 온도센서 등 각종 센서(158)가 구비되며 유무선 통신을 위한 시스템도 구비 된다. 유선통신의 경우 전력선통신(PLC) 방식이 가능하며 별도의 통신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온도센서(158)는 NTC thermistor를 채용하여 커넥터(40)에 일체화된 것이다. 즉, 커넥터(40)의 회로기판(41)에 온도센서(158)가 탑재되어 커넥터(40)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 온도센서(158)는 디지털 의류 착용자의 체온 등을 감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압력센서를 부착하는 경우는 심전도, 맥박 등의 생체정보를 감지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모듈 밀봉형에서 전자모듈(50)은 마이콤(155)과 전자 부품 소자(156 및 157) 및 각종 센서(158)라 할 수 있으며, 이밖에 다른 구조의 전자모듈(50)이 밀봉형으로 케이싱(45)에 내장된 구조를 취할 수 있는 것이다.In the electronic module sealing type, the microcomputer 155 is connected to the patterned connecting pin part 42 of the circuit board 41 by circuit, and the electronic boards 156 and 157 which are necessary for the circuit board 41 are also connected. Is mounted. In addition, the casing 45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or 40 is provided with various sensors 158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connected to the connector 40 as necessary, and a system f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wired communication, power line communication (PLC) is possible and a separate communication line may be used. The temperature sensor 158 is integrated into the connector 40 by employing an NTC thermistor. That is, the temperature sensor 158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41 of the connector 40 to have a structure integrated with the connector 40. The temperature sensor 158 detects the body temperature of the wearer of the digital clothing. When the pressure sensor is attached,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an electrocardiogram and a pulse may be detected. Accordingly, the electronic module 50 in the electronic module sealing type may be referred to as the microcomputer 155, the electronic component elements 156 and 157, and various sensors 158, and the electronic module 50 having another structure is sealed. It can take the structure built in the casing 45 in the form.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전자모듈 분리형, 전자모듈 내장형 및 전자모듈 밀봉형으로 커넥터(40)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의류에 사용 가능한 전용 커넥터(40) 및 방수용 스마트 커넥터(40)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connector 40 in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module detachable, built-in electronic module and sealed electronic module type can provide a dedicated connector 40 and waterproof smart connector 40 usable for digital clothing. Will be.

한편,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의복(20)에 구비되는 디지털 실(230)과 전자모듈(50) 사이의 접속을 위한 터미널(242)이 구비된 커넥터(240)와, 이러한 커넥터(240)의 터미널(242)에 디지털 실(230)의 도체(234)가 연결된 상태로 지지하는 그라운드 바(25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Figures 13 to 1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to 18,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nector 240 having a terminal 242 for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seal 230 and the electronic module 50 provided in the garment 20. And a ground bar 250 supporting the terminal 242 of the connector 240 while the conductor 234 of the digital seal 230 is connected.

상기 커넥터(240)는 기단부측 상면에 디지털 실(230)이 얹혀져 지지되는 베이스(244)를 갖는다. 이때, 베이스(244)는 경질 재질(바람직하게,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베이스(244)는 대략 직사각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The connector 240 has a base 244 on which the digital seal 230 is mounted and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oximal end. At this time, the base 244 is made of a hard material (preferably, a plastic material).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244 is configured in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late shape.

상기 베이스(244)의 상면에는 터미널(242)이 구비된다. 이 터미널(242)은 도전성을 갖도록 동합금(copper alloy)으로 구성되는데, 베이스(244)의 상면에서 일자형으로 나란하게 복수열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터미널(242)에는 디지털 실(230)의 도체(234)가 연결 접속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44 is provided with a terminal 242. The terminals 242 are made of copper alloy so as to have conductivity, and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rows side by side in a line shap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244. The terminal 242 is connected to the conductor 234 of the digital seal 230.

구체적으로, 디지털 실(230)은 내부도체(243a)의 외주면에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외부도체(243b)가 구비되고 외부도체(243b)는 쟈켓(237)이 커버하는 구조, 다시 말해, 내부도체(243a)와 외부도체(243b) 및 쟈켓(237)이 동축적으로 구비된 구조이다. 그리고, 섬유에 의해 직조된 형태의 디지털 밴드(230BD)에 상기 디지털 실(230)이 복수개로 결합된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실(230)의 내부도체(243a)와 외부도체(243b)가 커넥터(240)의 터미널(242)에 솔더링 접합 방식으로 접속된 구조이다. 물론, 솔더링 접합 방식 이외에도 다른 접합 방식으로 커넥터(240)의 터미널(242)과 디지털 실(230)의 내부도체(243a) 및 외부도체(243b)를 접합할 수도 있다.Specifically, the digital seal 230 has an outer conductor 243b with an insulator interposed therebetween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ner conductor 243a, and the outer conductor 243b has a structure that the jacket 237 covers, that is, an inner conductor. The structure 243a, the outer conductor 243b, and the jacket 237 are coaxially provided. In addition, the digital yarn 23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digital yarns 230 are coupled to a digital band 230BD woven by a fiber, and the internal conductors 243a and the external conductors 243b of the digital yarns 230 are formed. It is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terminal 242 of the connector 240 by soldering bonding. Of course, the terminal 242 of the connector 240 and the inner conductor 243a and the outer conductor 243b of the digital seal 230 may be bonded in another bonding manner in addition to the soldering bonding method.

또한, 커넥터(240)를 구성하는 베이스(244) 상면 위치에는 디지털 실(230)의 도체(234)가 끼워져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월(244a)이 구비된다. 베이스(244)에는 복수개의 일자형 터미널(242)이 나란하게 구비되며, 이러한 터미널(242)의 기단부 상면 위치에 복수개의 가이드 월(244a)이 구비되어, 각각의 가이드 월(244a) 사이에 형성된 삽입홈부에 디지털 실(230)이 끼워진 상태에서 후술할 그라운드 바(250)에 의해 커넥터(24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guide walls 244a are provided at the upper surface position of the base 244 constituting the connector 240 so that the conductors 234 of the digital seal 230 are inserted. The base 244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raight terminal 242 side by side, a plurality of guide wall 244a is provided in the upper end position of the terminal 242, the insertion formed between each guide wall 244a In the state where the digital seal 2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portion, the ground bar 250 to be described later is supported so as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240.

또한, 상기 베이스(244)는 터미널(242) 경로 상에 별도의 지지부(248)가 구비되고, 이러한 지지부(248)에는 가이드 월(244a) 사이에 끼워진 디지털 실(230)의 도체(234,234a,234b)가 통과하여 결합되도록 도체 관통구(248h)가 형성된다. 지지부(248)는 베이스(244)의 전후단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며, 지지부(248)에는 터미널(242)과 이어지는 도체 관통구(248h)가 형성되어, 디지털 실(230)의 내부도체(243a)가 지지부(248)의 도체 관통구(248h)를 통과하여 결합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솔더링 방식으로 내부도체(243a)가 터미널(242)에 접합된다.In addition, the base 244 is provided with a separate support 248 on the path of the terminal 242, the support 248, the conductors (234, 234a) of the digital seal 230 sandwiched between the guide wall (244a), Conductor through holes 248h are formed to allow 234b to pass through them. The support part 248 is provide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base 244, and the support part 248 is provided with a conductor through hole 248h tha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242 to form an internal conductor of the digital seal 230. 243a is coupled through the conductor through hole 248h of the support 248, and in this state, the inner conductor 243a is joined to the terminal 242 by soldering.

상기 그라운드 바(250)는 상면부(252)의 양측단에 하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부(254)가 구비된 구조로서, 이러한 그라운드 바(250)가 커넥터(240)에 결합되어 디지털 실(230)을 커넥터(240)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한다.The ground bar 250 has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254 extending downwards at both ends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52. The ground bar 25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240 to seal the digital seal. Support 230 to remain connected to the connector 240.

이때, 그라운드 바(250)의 측벽부(254)는 커넥터(240)의 베이스(244)의 양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결합돌기(244p)와 결합홀(254h)의 상호 맞걸림 결합함으로써, 그라운드 바(250)를 커넥터(240)에 연결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ide wall portion 254 of the ground bar 250 is dispos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244 of the connector 240 to engage the engaging projection 244p and the coupling hole 254h, thereby the ground bar ( 250 is connected to the connector 240.

본 발명에서는 측벽부(254)에 결합홀(254h)(Locking hole)이 형성되고, 베이스(244)의 양측면에는 위쪽 방향에서 아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진 결합 가이드면을 갖는 결합돌기(244p)(Locking dimple)가 구비된다. 즉, 결합돌기(244p)는 베이스(244)의 상면측에서 저면측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옆으로 너비가 넓어지는 단면 삼각형 돌기 형태로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hole 254h (locking hole) is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254, and on both sides of the base 244, the coupling protrusion 244p having the coupling guide surface inclined downward from the upward direction to the downward direction (Locking hole) dimple). That is, the coupling protrusion 244p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ross-sectional triangular protrusion that gradually widens laterally from the top surface side to the bottom surface side of the base 244.

따라서, 그라운드 바(250)의 좌우 측벽부(254)를 커넥터(240)의 베이스(244) 양측면 위치에 배치하여 그라운드 바(250)를 내려주면, 그라운드 바(250)의 측벽부(254)에 형성된 결합홀(254h) 부분에 커넥터(240)의 베이스(244) 양측면에 구비된 결합돌기(244p)가 맞걸려지므로, 그라운드 바(250)가 커넥터(240)의 기단부측 상면에 결합되며, 이와 같이 결합된 그라운드 바(250)가 디지털 실(230)을 가압하여 커넥터(24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즉, 그라운드 바(250)에 의해 디지털 실(230)이 지지되어 커넥터(240)와 디지털 실(230)의 연결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결합돌기(244p)에 구비된 경사진 결합 가이드면에 의해 그라운드 바(250)의 측벽부(254) 안쪽면이 원활하게 결합돌기(244p)의 표면을 타고 미끄러져 내려가면서 결합홀(254h) 부분이 결합돌기(244p)의 하단부에 걸려지므로, 그라운드 바(250)와 커넥터(240) 사이의 조립이 보다 수월하고 신속하며, 그라운드 바(250) 분리시에는 양측 측벽부(254)를 벌려서 위로 당겨 빼주면 되므로, 그라운드 바(250)와 커넥터(240)의 분리 작업도 수월하고 신속하다.Accordingly, when the left and right side wall portions 254 of the ground bar 250 are disposed at both sides of the base 244 of the connector 240 and the ground bar 250 is lowered, the side wall portions 254 of the ground bar 250 are lowered. Since the engaging protrusion 244p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244 of the connector 240 is engaged with the formed coupling hole 254h, the ground bar 25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roximal end of the connector 240. The combined ground bar 250 pressurizes the digital seal 230 to maintain the state connected to the connector 240. That is, the digital seal 230 is supported by the ground bar 250 to maintain the connected state of the connector 240 and the digital seal 230. Of course,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254 of the ground bar 250 smoothly slides down the surface of the coupling protrusion 244p by the inclined coupling guide surface provided in the coupling protrusion 244p. ) Is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engaging projection (244p), the assembly between the ground bar 250 and the connector 240 is easier and faster, and when the ground bar 250 is separated by opening both side wall portions 254 Since it is pulled up, the separation of the ground bar 250 and the connector 240 is also easy and quick.

또한, 그라운드 바(250)의 상면부(252)에는 커넥터(240)의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너비 방향으로 일자홈 형태의 제1그루브(252a)와 제2그루브(252b)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실(230)은 외부도체(243b)의 외주면을 커버하도록 피복된 쟈켓(237)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그라운드 바(250)가 커넥터(240)에 결합된 상태(상기 결합홈과 결합돌기(244p)의 맞걸림 방식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그라운드 바(250)의 상면부(252)에 형성된 제1그루브(252a)는 디지털 실(230)의 쟈켓(237)을 가압하여 커넥터(240)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한편, 그라운드 바(250)의 제2그루브(252b)는 디지털 실(230)의 외부도체(243b)를 가압하여 커넥터(240)의 터미널(242)에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것이다. 서로 나란한 제1그루브(252a)의 하측부가 디지털 실(230)의 쟈켓(237)을 가압하고 제2그루브(252b)의 하측부가 디지털 실(230)의 외부도체(243b)를 가압함으로써 그라운드 바(250)를 매개로 커넥터(240)에 디지털 실(230)이 견고하게 연결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first groove 252a and the second groove 252b having a straight groove shape are formed in the upper surface portion 252 of the ground bar 250 in a width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connector 240. As described above, the digital seal 230 has a structure having a jacket 237 coated to co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ductor 243b, wherein the ground bar 250 is coupled to the connector 240. The first groove 252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252 of the ground bar 250 in the state of being coupled by the engaging groove and the engaging protrusion 244p is coupled to the jacket 237 of the digital seal 230. ) Is pressed and supported to be fixed to the connector 240, while the second groove 252b of the ground bar 250 presses the outer conductor 243b of the digital seal 230 to press the terminal 242 of the connector 240. ) To mak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first groove 252a parallel to each other presses the jacket 237 of the digital seal 230,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groove 252b presses the outer conductor 243b of the digital seal 230 so that the ground bar ( The digital seal 230 is firmly connected and connected to the connector 240 through the 250.

한편,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주요부인 디지털 실(230)과 커넥터(240)를 그라운드 바(250)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Meanwhile, a method of connecting the digital seal 230 and the connector 240, which are the main parts illustrated in FIGS. 13 to 18, by using the ground bar 250 will be described.

1. 상기 디지털 밴드(230BD)로부터 디지털 실(230)을 분리하여 피복을 탈피하고 정렬한다.1. The digital seal 230 is separated from the digital band 230BD to peel off and align the coating.

2. 디지털 실(230)을 커넥터(240) 정위치에 안착시킨다. 디지털 실(230)의 정열을 위해 내부도체(243a)가 커넥터(240)의 관통구(248h)를 통해 지나가게 하고 자켓은 커넥터(240)의 가이드 월(244a) 사이에 차례대로 정렬한다.2. Place the digital seal 230 in the connector 240 in place. The inner conductor 243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48h of the connector 240 for alignment of the digital seal 230 and the jacket is aligned in order between the guide walls 244a of the connector 240.

3. 그라운드 바(250)를 커넥터(240)에 조립한다. 본 발명에서는 그라운드 바(250)가 빠지지 않도록 커넥터(240)와 그라운드 바(250) 사이에 잠금장치를 갖는다. 커넥터(240) 측에는 결합돌기(244p)를 구비하고, 그라운드 바(250)에는 사각 결합홀(254h)을 구비하여 이러한 결합돌기(244p)와 결합홀(254h)의 맞걸림식 결합에 의해 조립한다.3. Assemble the ground bar 250 to the connector 240. In the present invention, a locking device is provided between the connector 240 and the ground bar 250 so that the ground bar 250 does not fall out. The connector 24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rotrusion 244p, and the ground bar 250 is provided with a square coupling hole 254h to assemble by engaging engagement of the coupling protrusion 244p and the coupling hole 254h. .

이때, 그라운드 바(250)와 커넥터(240) 사이에 디지털 실(230)이 위치하므로 레이저 솔더링고정되도록 그라운드 바(250)가 잡아주는 기능을 한다. 또한, 그라운드 바(250)의 제1그루브(252a)(즉, 선단부의 홈)은 디지털 실(230)의 외부도체(243b)와 전기적 접촉이 이뤄지는 한편, 상대 커넥터(240)와 결합되면 그라운드 회로를 구성하게 된다. 그리고, 그라운드 바(250)의 제2그루브(252b)(즉, 후단부의 홈)은 자켓을 잡아주는 Strain relief 기능을 한다. At this time, since the digital seal 230 is positioned between the ground bar 250 and the connector 240, the ground bar 250 holds a function to fix the laser soldering. In addition, the first groove 252a (that is, the groove of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ground bar 250 i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outer conductor 243b of the digital seal 230, and when coupled with the mating connector 240, the ground circuit. Will be configured. The second groove 252b (that is, the groove at the rear end) of the ground bar 250 serves as a strain relief for holding the jacket.

4. 커넥터(240)에 디지털 실(230)의 외부도체(243b)를 솔더링(Laser soldering)한다.4. Solder the outer conductor 243b of the digital seal 230 to the connector 240.

5. 커넥터(240)에 디지털 실(230)의 내부도체(243a)를 솔더링(Laser soldering)한다.5. Solder the inner conductor 243a of the digital seal 230 to the connector 240.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커넥터(240)에서 디지털 실(230)이 연결된 기단부과 반대되는 선단부에 전자모듈(50)을 접속함으로써 역시 디지털 의류를 착용하기만 하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창출되는 유비쿼터스 공간에서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 주는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인간이 쾌적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지원해 줄 수 있다. 즉,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디지털 실(230)과 전자모듈(50) 사이의 접속 구조에 있어서 특성이 부여된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라 하겠다.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13 to 18, the electronic device 50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connector 240 opposite to the base end to which the digital seal 230 is connected. In the ubiquitous space created through wireless networks, various services that enrich life can be provided to help humans live comfortably. That i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in FIGS. 13 to 18 will be referred to as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a digital garment provided with characteristics in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digital seal 230 and the electronic module 50.

한편, 상기 케이싱(45)을 막아주는 실링캡(48)의 분실 위험과 원가 상승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링캡을 케이싱에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도 구비하였는데, 도 19와 도 20은 이러한 실링캡(48)의 분실이나 원가 상승 등을 고려하여 구성한 실시예를 보여준다.On the other hand,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sealing cap integrally to the casing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the risk of loss of the sealing cap 48 to prevent the casing 45 and the cost increase.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ovided with a structure for solving such a problem, Figure 19 and Figure 20 shows an embodiment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loss or cost increase of such a sealing cap (48).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실링캡(48)을 연결수단을 매개로 케이싱(45)에 일체형으로 구비한 구조를 취한다. 도 19와 도 20에 도시된 본 발명에서는 플렉시블 스트랩(48STR)에 의해 케이싱(45)의 선단부측 개구부 부분에 연결하는 일체형으로 구성한 것을 보여주는데, 플렉시블 스트랩(48STR)이 연결수단이 되는 것이다.19 and 20, the sealing cap 48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casing 45 is integrally provided through the connecting means. In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9 and 20, the flexible strap 48STR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opening portion of the casing 45. The flexible strap 48STR is a connecting means.

따라서, 상기 실링캡(48)을 케이싱(45)에서 분리하여 열어놓더라도 실링캡(48)이 케이싱(45)에 플렉시블 스트랩(48STR)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실링캡(48)이 분실되는 위험은 해소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실링캡(48)의 유실 등으로 인한 원가 상승 등의 문제도 해소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sealing cap 48 is removed from the casing 45 and opened, the sealing cap 48 is lost because the sealing cap 48 is connected to the casing 45 via the flexible strap 48STR. The risk of being eliminated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liminated, and problems such as cost increase due to loss of the sealing cap 48 can also be solved.

다시 말해, 실링캡(48)으로 케이싱(45)의 개구부를 막아 놓고 있다가 전자모듈(50)의 접속을 위하여 실링캡(48)을 케이싱(45)에서 빼낸 상태에서는 스트랩(48STR)에 의해 실링캡(48)이 케이싱(45)에 계속 매달려 있기 때문에, 실링캡(48)의 분실 염려와 코스트 상승 등의 요인이 전혀 생기지 않는 것이다.In other words, the opening of the casing 45 is blocked by the sealing cap 48, and the sealing cap 48 is pulled out of the casing 45 for the connection of the electronic module 50. Since the cap 48 is continuously suspended from the casing 45, there are no factors such as loss of the sealing cap 48 and a cost increase.

한편, 도 19와 도 20에서는 스트랩(48STR)에 의해 실링캡(48)을 케이싱(45)에 일체형으로 구비한 구조를 취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링캡(48)을 미도시된 힌지부(구체적으로, 힌지축과 힌지공)을 매개로 케이싱(45)에 유실되지 않도록 구비된 구조 역시 가능하다.19 and 20 illustrate a structure in which the sealing cap 48 is integrally provided with the casing 45 by the strap 48STR, the hinge portion (not specifically shown) of the sealing cap 48 is illustrated. As such, the structure provided so as not to be lost in the casing 45 through the hinge shaft and the hinge hole) is also possibl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permuta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who have it.

20. 의복 30, 230. 디지털 실
40, 240. 커넥터 50. 전자모듈
20. Clothing 30, 230. Digital thread
40, 240. Connector 50. Electronic module

Claims (18)

의복에 구비된 디지털 실에 연결되며 전자모듈의 접속을 위한 접속부를 형성하는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에 접속되어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전자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Connected to the digital chamber provided in the garment connected to form a connection for connecting the electronic module, and the electronic module for digital clothing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lectronic module connected to the connector for providing data for service rescu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가 연결되는 상기 디지털 실은 의복의 일부에 직조 방식으로 구비되며, 상기 커넥터를 매개로 상기 디지털 실에 연결되는 상기 전자모듈을 상기 의복에 장착하여 디지털 의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igital thread to which the connector is connected is provided in a weaving manner on a part of the garment, and mounting the electronic module connected to the digital thread via the connector to the garment to form a digital garment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digital clothe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피씨비(PCB) 커넥터 타입 또는 마이크로 동축 커넥터 타입 중에서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is configured by adopting one of a PCB connector type and a micro coaxial connector ty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마이크로 와이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커넥팅 핀부와 전자모듈에 회로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모듈 접속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as set forth in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includes a connecting pin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icro wire of the digital thread and a module connection part making a circuit connection to the electronic modu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커넥팅 핀부와 모듈 접속부가 패턴화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의 상기 회로기판에는 전자 부품 소자가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electronic module connecting structure of claim 4, wherein the conne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a connecting pin part and a module connection part are patterned on a circuit board, and an electronic component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of the connecto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케이싱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상기 케이싱에 상기 전자모듈이 끼워져서 상기 커넥터에 구비된 모듈 접속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케이싱은 일체형 또는 분리형 실링캡에 의해 막음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cas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is housed inside the casing, and the electronic module is inserted into the casing accommodating the connector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module connection part provided in the connector, wherein the casing is integral or separate sealing.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digital gar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pping process by a cap.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전자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모듈은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내장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회로기판에는 상기 디지털 실에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마이콤 및 센서 그리고 전자부품과 통신회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electronic device of claim 1, wherein the connector is provided with an electronic module, and the connector and the electronic module have a built-in type housed inside the casing, and a circuit board constituting the connector is connected to the digital seal.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a digital garment, comprising a microcomputer, a sensor, an electronic component, and a communication circui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구성하는 회로기판에는 메모리 카드 소켓또는 USB 소켓이 탑재되어 필요에 따라 메모리 카드나 USB 케이블이 접속되고,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스위칭 온/오프되는 스위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8. The switch of claim 7, wherein the circuit board constituting the connector is equipped with a memory card socket or a USB socket so that a memory card or a USB cable is connected as necessary, and the casing is electrically switched on / off by the circuit board.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digital clothe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회로기판에 전자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커넥터에 연결된 상기 디지털 실에는 기단부의 개구부를 통해 별도의 케이싱이 연결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커넥터와 상기 전자모듈이 수납되며, 상기 케이싱의 선단부측은 막음부에 의해 막혀진 밀봉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electronic board of claim 1, wherein an electronic module is provided on a circuit board of the connector, and a separate casing is connected to an opening of a proximal end of the digital seal connected to the connector to accommodate the connector and the electronic module inside the casing.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casing is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a digital garment,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a sealed type blocked by the blocking por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를 수용하는 상기 케이싱에는 상기 커넥터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센서(온도, 압력, 전류 등)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10. The electronic module connecting structure as set forth in claim 9, wherein the casing for accommodating the connector further includes various sensors (temperature, pressure, current, et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of the connecto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캡(48)을 연결수단을 매개로 상기 케이싱(45)에 일체형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structure of claim 1, wherein the sealing cap (48) is integrally provided in the casing (45) via a connecting means.
의복에 구비되는 디지털 실과 전자모듈 사이의 접속을 위한 터미널이 구비된 커넥터와, 상기 커넥터의 상기 터미널에 상기 디지털 실의 도체가 연결된 상태로 지지하는 그라운드 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Digital garments comprising a connector having a terminal for connection between the digital seal and the electronic module provided in the garment, and a ground bar for supporting the conductor of the digital seal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connector Modular connection structur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디지털 실이 얹혀져 지지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도체가 연결 접속되는 상기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a base on which the digital thread is mounted and supported, and the terminal provided on the base to which the conductor of the digital thread is connected and connected; rescu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도체가 끼워져 배치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월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electronic module connecting structure as set forth in claim 13,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walls are provided in the base of the connector so that the conductor of the digital thread is inserted therei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터미널 경로 상에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부에는 상기 가이드 월 사이에 끼워진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도체가 통과하여 결합되도록 도체 관통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15. The digital garment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base has a support portion on the terminal path, and the support portion has a conductor through hole formed therein so that the conductor of the digital seal sandwiched between the guide walls passes through and is coupled thereto.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바는 상면부의 양측단에 하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벽부가 구비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측벽부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디지털 실을 상기 커넥터에 접속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13. The ground bar of claim 12, wherein the ground bar has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side wall portions extending downwards are formed at both ends of an upper surface portion, and the pair of side wall portions are coupled to the connector to connect the digital seal to the connector. An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for digital garments, which is maintained in a closed state.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 바의 상기 측벽부는 상기 커넥터의 상기 베이스의 양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상호 맞걸림 결합됨으로써 상기 그라운드 바를 상기 커넥터에 고정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
The digital garment of claim 16, wherein the sidewalls of the ground bar are disposed at both side surfaces of the base of the connector to be engaged with the coupling protrusion and the coupling groove to fix the ground bar to the connector. Electronic module connection structur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실은 상기 외부도체의 외주면을 커버하는 쟈켓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그라운드 바는 상면측에 상기 디지털 실의 상기 쟈켓 부분을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에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제1그루브와, 상기 디지털 실의 외부도체를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의 상기 터미널에 접촉되도록 지지하는 제2그루브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의류용 전자모듈 접속 구조.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digital seal has a structure having a jacket cover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onductor, the ground bar is to support to be fixed to the connector by pressing the jacket portion of the digital seal on the upper surface side And a first groove and a second groove for pressing the outer conductor of the digital seal to contact the terminal of the connector.
KR1020100109937A 2010-11-05 2010-11-05 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ion system for digital garment KR101176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937A KR101176419B1 (en) 2010-11-05 2010-11-05 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ion system for digital gar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9937A KR101176419B1 (en) 2010-11-05 2010-11-05 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ion system for digital gar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9010A true KR20120069010A (en) 2012-06-28
KR101176419B1 KR101176419B1 (en) 2012-11-20

Family

ID=4668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9937A KR101176419B1 (en) 2010-11-05 2010-11-05 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ion system for digital gar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641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776A (en) * 2015-12-11 2017-06-21 한국섬유소재연구원 Electric textile equipped with solder-free inteconnection
KR102193916B1 (en) * 2019-07-30 2020-12-2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Connector for conductive yar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654B1 (en) 2015-09-07 2016-09-05 주식회사 신화콘텍 Waterproof connector for fabric module
KR102483077B1 (en) 2021-07-19 2022-12-29 권순형 A detachabl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smart texti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9776A (en) * 2015-12-11 2017-06-21 한국섬유소재연구원 Electric textile equipped with solder-free inteconnection
KR102193916B1 (en) * 2019-07-30 2020-12-22 한국섬유개발연구원 Connector for conductive yar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6419B1 (en) 2012-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7205C (en) Washable intelligent garment and components thereof
US7210939B2 (en) Conductive buttonhole interconnect
TWI511682B (en) Portable modularized stack device
US6854988B2 (en) Mechanism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n electronic device to a garment
KR100981303B1 (en) Velcro connector
KR101176419B1 (en) Electronic module interconnection system for digital garment
CN104739398A (en) Male end of a telemetric transceiver
CN110249714A (en) Printed circuit board biological sensing clothes connector
KR20140008971A (en) Button type electrical connector
CN210672321U (en) Watchband, watchband with speaker, intelligent wrist-watch
TW201741806A (en) Wearable power supply and hand worn mobile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80237B1 (en) Snap-button connector with multiple terminals
CN215899634U (en) Sleep monitoring device
US20120220834A1 (en) Strap based physiologic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having an electrical circuit/s covering case with loop/s and sensor bases with loop/s
KR101040279B1 (en) Electric connecting device using zipper
US20160226180A1 (en) Improvements to electrical connectors and their manufacture
CN212544083U (en) Intelligent sports wear
CN213520526U (en) Electric connection structure for human body data acquisition clothes
US20230061553A1 (en) Fabric with Electrical Components
WO2022168105A1 (en) A textile gateway connector for embedded textile electronics, sensors and digital components
US20230247730A1 (en) Electric-heating assembly for clothing
CN115530769A (en) Wearable equipment
TW202335596A (en) Smart clothing and its device mount
TWI577307B (en) Portable modularized stack device
CN117503070A (en) Signal acquisi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