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8636A -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분산 정수필터 - Google Patents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분산 정수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8636A
KR20120068636A KR1020100130336A KR20100130336A KR20120068636A KR 20120068636 A KR20120068636 A KR 20120068636A KR 1020100130336 A KR1020100130336 A KR 1020100130336A KR 20100130336 A KR20100130336 A KR 20100130336A KR 20120068636 A KR20120068636 A KR 20120068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path
residual chlorine
filter
fil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2939B1 (ko
Inventor
지병욱
Original Assignee
지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병욱 filed Critical 지병욱
Priority to KR102010013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293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돗물이 공급되는 샤워기, 세면대, 비대, 싱크대에 연결하여 수돗물 속의 녹, 이물질, 냄새,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항균과 살균을 하며 정수할 수 있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에 있어서,
수돗물 속의 녹, 이물질, 냄새,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항균과 살균을 하며 정수할 수 있도록 수돗물 인입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수필터(100)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원형의 공간부(12)를 이룬 중앙의 내부에 물을 분산시킬 수 있는 유로분산막(13)과 상측에 상측결합부(11a)와 하측에 하측결합부(11b)를 형성한 필터하우징(10)과; 상기 필터하우징(10)의 내부 유로분산막(13) 상부에는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며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카본블럭(20)과; 상기 카본블럭(20)의 상부에 여과막(30)과; 상기 여과막(30)의 상부에 여과재료(91)와; 상기 여과재료(91)의 상부에 안착되는 여과막(50)과; 상기 상측결합부(11a)에 결합되며 상부중앙이 관통된 연결부(61)를 이룬 상부마개(60)와; 상기 필터하우징(10)의 내부 유로분산막(13) 하부에는 여과재료(92)와; 상기 여과재료(92)의 하부에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며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카본블럭(20)과; 상기 카본블럭(20)의 하부에 여과막(30)과; 상기 여과막(30)의 하부에 여과재료(93)와, 상기 여과재료(93)의 하부에 안착되는 여과막(50)과; 상기 하측결합부(11b)에 결합되며 하부중앙이 관통된 연결부(61)를 이룬 하부마개(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removing of residual chlorine for flow prevention clean water filter}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돗물이 공급되는 샤워기, 세면대, 비대, 싱크대에 연결하여 수돗물 속의 녹, 이물질, 냄새,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항균과 살균을 하며 정수할 수 있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의 소독제로 사용되는 염소 등 유독성 화학물질은 샤워나 목욕시 피부를 통해 흡수되고 호흡기를 통해 흡입되어 수돗물을 그냥 마시는 경우에 비해 2-3배 정도 더 많은 양이 체내로 침투된다.
체내로 침투한 염소는 심장질환, 동맥경화증, 순환기 계통 기능약화, 폐부종, 위장관, 생식기, 비뇨기관의 손상, 만성 천식유발 등 인체 내의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다.
샤워시에 염소가 피부에 접촉하면 자외선에 노출될 경우와 같은 피부의 노화과정을 촉진하여 피부를 예민하게 만들고, 건조시켜 갈라지게 하며 하얗게 탈색시킬 뿐만 아니라, 기미 및 주근깨도 악화되어 결국 피부질환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수돗물 속의 잔류염소는 인체에 해로운 데도 수돗물을 사용하는 샤워기, 세면대, 비대, 싱크대에는 잔류염소 제거 및 녹,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필터가 없이 수돗물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원 출원인은 수돗물을 사용하는 샤워기, 세면대, 비대, 싱크대에 정수필터를 연결하여 수돗물 속의 잔류염소 제거 및 녹, 이물질 등을 제거하며 정수할 수 있도록 정수필터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샤워기, 세면대, 비대, 싱크대에 정수필터를 연결하여 수돗물 속의 잔류염소 제거 및 녹, 이물질 등을 제거하며 정수할 수 있도록 하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샤워기, 세면대, 비대, 싱크대 하단의 수돗물 연결관에 연결하여 수돗물 속의 잔류염소 제거와 항균과 살균을 하고 여과할 수 있도록 하며 가격도 싸고 손쉽게 교환할 수 있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에 있어서, 수돗물 속의 녹, 이물질, 냄새,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항균과 살균을 하며 정수할 수 있도록 수돗물 인입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수필터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원형의 공간부를 이룬 중앙의 내부에 물을 분산시킬 수 있는 유로분산막과 상측에 상측결합부와 하측에 하측결합부를 형성한 필터하우징과;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유로분산막 상부에는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카본블럭과; 상기 카본블럭의 상부에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상부에 여과재료와, 상기 여과재료의 상부에 안착되는 여과막과; 상기 상측결합부에 결합되며 상부중앙이 관통된 연결부를 이룬 상부마개와; 상기 필터하우징의 내부 유로분산막 하부에는 여과재료와; 상기 여과재료의 하부에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며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카본블럭과; 상기 카본블럭의 하부에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하부에 여과재료와, 상기 여과재료의 하부에 안착되는 여과막과; 상기 하측결합부에 결합되며 하부중앙이 관통된 연결부를 이룬 하부마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분산막은 다수의 유로홀이 형성되고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유로분산돌기가 형성되어 물의 편중 흐름을 방지하며 물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본블럭의 관통홀 상,하부에는 각각 원통형으로 하단에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리브가 형성된 중간결합체를 삽입하되, 상,하부 중간결합체 사이에는 여과재료인 항균세라믹볼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재료는 맥반석 또는 아류산칼슘볼, 항균세라믹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마개는 상부중앙이 돌출된 연결부의 내측이 관통된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마개는 상부중앙이 돌출된 연결부의 중앙이 관통되고 외측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의 숫나사에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커플링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마개는 상부중앙에 관통된 내측 연결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여과막은 부직포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샤워기, 세면대, 비대, 싱크대에 정수필터를 연결하여 수돗물 속의 잔류염소 제거 및 녹, 이물질 등을 제거하며 정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샤워기, 세면대, 비대, 싱크대 하단의 수돗물 연결관에 연결하여 수돗물의 잔류염소 제거와 항균과 살균을 하고 여과할 수 있도록 하며 가격도 싸고 손쉽게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 하우징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단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사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 하우징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분리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정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단면도이고, 도 4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돗물이 공급되는 샤워기, 세면대, 비대, 싱크대에 연결하여 수돗물 속의 녹, 이물질, 냄새,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항균과 살균을 하며 정수할 수 있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에 있어서,
수돗물 속의 녹, 이물질, 냄새,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항균과 살균을 하며 정수할 수 있도록 수돗물 인입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수필터(100)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원형의 공간부(12)를 이룬 중앙의 물을 분산시킬 수 있는 유로분산막(13)과 상측에 상측결합부(11a)와 하측에 하측결합부(11b)를 형성한 필터하우징(10)과; 상기 필터하우징(10)의 내부 유로분산막(13) 상부에는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며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카본블럭(20)과; 상기 카본블럭(20)의 상부에 여과막((30)과; 상기 여과막(30)의 상부에 여과재료(91)와; 상기 여과재료(91)의 상부에 안착되는 여과막(50)과; 상기 상측결합부(11a)에 결합되며 상부중앙이 관통된 연결부(61)를 이룬 상부마개(60)와; 상기 필터하우징(10)의 내부 유로분산막(13) 하부에는 여과재료(92)와; 상기 여과재료(92)의 하부에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며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카본블럭(20)과; 상기 카본블럭(20)의 하부에 여과막(30)과; 상기 여과막(30)의 하부에 여과재료(93)와; 상기 여과재료(93)의 하부에 안착되는 여과막(50)과; 상기 하측결합부(11b)에 결합되며 하부중앙이 관통된 연결부(61)를 이룬 하부마개(6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유로분산막(13)은 다수의 유로홀(13b)이 형성되고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유로분산돌기(13a)가 형성되어 유로를 방지하며 물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활성탄(20)의 관통홀(21) 상,하부에는 각각 원통형으로 하단에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홀(3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리브(32)가 형성된 중간결합체(30)를 삽입하되, 상,하부 중간결합체(30) 사이에는 여과재료(90)인 항균세라믹볼이 채워진 것이다.
상기 여과재료(91)는 맥반석이고, 상기 여과재료(92)는 아류산칼슘볼 또는 항균세라믹볼과 아류산칼슘볼이 혼합된 것이며, 상기 여과재료(93)는 맥반석인 것이다.
상기 여과재료(92)는 바이오볼, 염소제거볼, 토르마린볼, 자철광볼 등 다양한 세라믹볼들 중에서 2개를 선택하여 아류산칼슘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마개(60)는 상부중앙이 돌출된 연결부(61)의 내측이 관통된 암나사가 형성된 것이다.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마개(60)는 상부중앙이 돌출된 연결부(61)의 중앙이 관통되고 외측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61)의 숫나사에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커플링(65)이 결합된 것이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마개(60)는 상부중앙에 관통된 내측 연결부(61)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필터하우징(10)의 상,하측결합부(11a,11b)에는 각각 오링(80)이 끼워져 지지되도록 원주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턱을 이루고 상기 상,하측결합부(11a,11b)에 각각 상부마개(60)와 하부마개(70)을 결합시 선단이 오링(80)과 밀착되며 결합되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 상부마개(60)와 하부마개(70)는 각각 내부에 원주로 단턱부를 이루고 상기 단턱부의 중앙에 홈(62,72)을 형성하고 상기 홈(62)에 오링(81)을 삽입하여 상,하부마개(60)를 필터하우징(10)의 상,하측결합부(11a,11b)에 결합시 상기 오링(81)에 의해 밀폐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상,부마개(60,70)의 연결부(61,71) 내부 하단에는 다수의 홀(63,73)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여과막(40,50)은 부직포로 된 것이며, 상기 여과막(40,50)인 부직포는 미세분진, 녹, 이물질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정수필터(100)는 샤워기, 세면대, 비대, 싱크대 등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 연결관에 결합시켜 사용 하는 것이다.
상기 정수필터(100)는 여행시 휴대하여 여행지에서 물공급 호스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도 5와 같이 상기 정수필터(100)는 상부마개(60)의 연결부(61)를 이용하여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돗물 인입관에 결합시키고 하부마개(70)의 연결부(71)은 샤워기(200)와 연결하여 물이 공급되며 수돗물 속의 녹, 이물질, 냄새,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항균과 살균을 하며 여과되어 정수된 수돗물이 샤워기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연결된 정수필터(100)는 수돗물이 상부마개(60)의 연결부(61)를 통하여 공급되면 여과막(50)에 의해 미세분진, 녹, 이물질이 여과되고 여과재료(91)인 맥반석을 통하여 다시 여과막(40)에 의해 미세분진, 녹, 이물질이 여과되고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카본블럭(20)의 관통홀(21)의 상부에 설치된 중간결합체(30)의 홀(31)을 통해 여과재료(90)인 항균세라믹볼을 통해 물이 항균과 살균이 되며 하부 중간결합체(30)의 홀(31)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카본블럭(20)을 통과한 수돗물은 유로분산막(13)의 유로분산돌기(13a)에 의해 물의 편중 흐름을 방지하며 물을 분산시키며 유로홀(13b)통해 여과재료(92)인 아류산칼슘볼에 의해 잔류염소가 제거되며 하측 카본블럭(20)과 중앙의 중간결합체(30)의 홀(31)을 통해 여과재료(90)인 항균세라믹볼을 거쳐 항균과 살균이 되며 중간결합체(30)를 통과하게 된다.
이후, 여과막(40)을 통해 다시 여과재료(93)인 맥반석을 거쳐 여과막(50)을 통해 하부마개(70)의 연결부(71)를 통해 수돗물이 정수되어 샤워기(200)로 공급되어 정수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필터하우징 11a:상측결합부
11b:하측결합부 12:공간부
13:유로분산막 13a:유로분산돌기
13b:유로홀 20:커본블럭
21:관통홀 30:중간결합체
31:홀 32:리브
40:여과막 50:여과막
60:상부마개 61:연결부
70:하부마개 71:연결부
80,81:오링 90,91,92,93:여과재료
100:정수필터 200:샤워기

Claims (7)

  1.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에 있어서,
    수돗물 속의 녹, 이물질, 냄새, 잔류염소를 제거하고 항균과 살균을 하며 정수할 수 있도록 수돗물 인입관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정수필터(100)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원형의 공간부(12)를 이룬 중앙의 내부에 물을 분산시킬 수 있는 유로분산막(13)과 상측에 상측결합부(11a)와 하측에 하측결합부(11b)를 형성한 필터하우징(10)과; 상기 필터하우징(10)의 내부 유로분산막(13) 상부에는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며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카본블럭(20)과; 상기 카본블럭(20)의 상부에 여과막(30)과; 상기 여과막(30)의 상부에 여과재료(91)와; 상기 여과재료(91)의 상부에 안착되는 여과막(50)과; 상기 상측결합부(11a)에 결합되며 상부중앙이 관통된 연결부(61)를 이룬 상부마개(60)와; 상기 필터하우징(10)의 내부 유로분산막(13) 하부에는 여과재료(92)와; 상기 여과재료(92)의 하부에 중앙에 관통홀(21)이 형성되며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카본블럭(20)과; 상기 카본블럭(20)의 하부에 여과막(30)과; 상기 여과막(30)의 하부에 여과재료(93)와, 상기 여과재료(93)의 하부에 안착되는 여과막(50)과; 상기 하측결합부(11b)에 결합되며 하부중앙이 관통된 연결부(61)를 이룬 하부마개(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분산막(13)은 다수의 유로홀(13b)이 형성되고 상,하부에 일정간격으로 돌출된 유로분산돌기(13a)가 형성되어 물의 편중 흐름을 방지하며 물을 분산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블럭(20)의 관통홀(21) 상,하부에는 각각 원통형으로 하단에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홀(3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리브(32)가 형성된 중간결합체(30)를 삽입하되, 상,하부 중간결합체(30) 사이에는 여과재료(90)인 항균세라믹볼이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료(91)는 맥반석이고, 상기 여과재료(92)는 아류산칼슘볼 또는 항균세라믹볼과 아류산칼슘볼이 혼합된 것이며, 상기 여과재료(93)은 맥반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개(60)는 상부중앙이 돌출된 연결부(61)의 내측이 관통된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개(60)는 상부중앙이 돌출된 연결부(61)의 중앙이 관통되고 외측에 숫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61)의 숫나사에 암나사가 형성된 연결커플링(65)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마개(60)는 상부중앙에 관통된 내측 연결부(61)에 암나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방지 정수필터.
KR1020100130336A 2010-12-17 2010-12-17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분산 정수필터 KR1011829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36A KR101182939B1 (ko) 2010-12-17 2010-12-17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분산 정수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336A KR101182939B1 (ko) 2010-12-17 2010-12-17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분산 정수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636A true KR20120068636A (ko) 2012-06-27
KR101182939B1 KR101182939B1 (ko) 2012-09-13

Family

ID=46687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336A KR101182939B1 (ko) 2010-12-17 2010-12-17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분산 정수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9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2319B1 (ko) * 2017-12-27 2018-06-28 주식회사 하우 살균 기능을 갖는 항균볼을 이용한 청수 청정유지장치
KR102360290B1 (ko) 2021-02-26 2022-02-08 지병욱 세면대용 정수기
KR102492011B1 (ko) 2022-05-04 2023-01-26 지병욱 자동 살균 수도꼭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2939B1 (ko)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2813B1 (ko) 복합 정수필터
US20150076254A1 (en) Filtered shower wand with twist-lock connector
KR101182939B1 (ko) 잔류염소의 제거를 위한 유로분산 정수필터
CN203440185U (zh) 一种多功能花洒
JP2000288539A (ja) 逆浸透膜浄水器の細菌汚染の防止及び除菌、抗菌システム
KR20180018225A (ko) 생활 오폐수 정화장치
KR20060059623A (ko) 샤워기용 다기능필터
KR101690106B1 (ko) 살균 필터 및 이를 구비한 수전
KR20160018056A (ko) 은을 이용한 복합 정수용 연수기
KR101510571B1 (ko) 정수기필터구조
JP5698630B2 (ja) セントラル浄水装置
KR100430190B1 (ko) 공기청정기를 구비한 정수기
CN212713075U (zh) 一种远红外功能沐浴过滤器
KR200425311Y1 (ko) 기능성 샤워기
CN211734058U (zh) 一种简式过滤器
KR200155057Y1 (ko) 정화 및 자화기능을 갖는 샤워기
CN211111512U (zh) 过滤杀菌模组
KR200357719Y1 (ko) 샤워기 부착 염소제거 정수기
JPS60244386A (ja) 浄水器
KR200402257Y1 (ko) 정수기용 필터장치
KR20050108475A (ko) 직관식 염소제거 정수기
CN113121049A (zh) 一种远红外功能沐浴过滤器
KR20050108476A (ko) 샤워기 부착 염소제거 정수기
CN205635108U (zh) 滤芯、滤芯组件和洗漱水处理器
KR20230134248A (ko) 정수기용 필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