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518A -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518A
KR20120067518A KR1020100128955A KR20100128955A KR20120067518A KR 20120067518 A KR20120067518 A KR 20120067518A KR 1020100128955 A KR1020100128955 A KR 1020100128955A KR 20100128955 A KR20100128955 A KR 20100128955A KR 20120067518 A KR20120067518 A KR 20120067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ion
body portion
main board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476B1 (ko
Inventor
김윤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8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476B1/ko
Priority to US13/226,716 priority patent/US8851907B2/en
Publication of KR20120067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의 메인 보드 상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1 접속편; 및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2 접속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접속편 중 하나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을 향해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속 단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배터리 접속을 위한 제1 접속편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터리와는 별도의 외부 기기 접속을 위한 제2 접속편을 제공하므로, 태양 전지판 등을 이용한 보조 전원이나 다른 기기와의 접속을 제공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때, 하나의 접속 단자만으로 배터리와 보조 전원을 동시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보드, 더 나아가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하게 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CONTACT TERMINAL FOR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통화나 메시지 전송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각종 정보의 저장, 게임, 동영상 감상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즐길 수 있게 하는 전자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로는 전자 수첩,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휴대용 게임기, 동영상/음악파일 재생기, 셀룰러 폰(cellular phone), 노트북 PC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최근에는 셀룰러 폰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전자 수첩이나 멀티미디어 기능이 탑재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만으로 음성 통화 등의 통신 기능으로부터 소액 결재와 같은 금융 업무, 게임/멀티미디어 서비스 등의 다양한 콘텐츠(contents)를 즐길 수 있게 되었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는 초기에 음성 통화나 단순 메시지 전송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그쳤으나, 전자/통신 기술이 발달하여 휴대용 단말기가 점차 소형화, 집적화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 고유의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1) 금융 업무를 가능하게 하는 보안 기능, 2) 게임/동영상 등을 즐길 수 있는 멀티미디어 기능, 3) 인터넷이나 메일의 송수신을 포함하는 간단한 사무처리 기능 등이 탑재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다양한 외부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단자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심카드나 메모리 카드 접속을 위한 카드 슬롯, 충전이나 컴퓨터 접속을 위한 인터페이스 커넥터, 이어폰 잭, 배터리 접속 단자 등이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멀티미디어 기능 등이 강화됨에 따라 배터리 용량의 확장이 필요하지만, 휴대용 단말기가 소형화되면서 배터리 용량을 확장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필요에 따라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가 등장하였고, 단말기 자체에 태양 전지판을 장착하여 수시로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접속 단자(1a)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전원 접속 단자(1b)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배터리 접속 단자(1a)는 몸체부(2)의 일측면, 더 구체적으로 전면에 접속편(이하, '제1 접속편'이라 함)(3)들이 돌출되어 있으며, 양 측면에 각각 고정편(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조 전원 접속 단자(1b)는 몸체부(5)의 상단면에 접속편(이하, '제2 접속편'이라 함)(6)들이 돌출되어 있다.
도 3은 상기 배터리 접속 단자(1a)와 보조 전원 접속 단자(1b)가 휴대용 단말기(10; 도 4에 도시됨)의 메인 보드(13)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메인 보드(13)에는 상기 접속 단자(1a, 1b)들 외에도 이어폰 잭(15)이나 카메라 모듈(17)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접속 단자(1a)가 상기 메인 보드(13)에 설치되면 상기 제1 접속편(3)은 상기 메인 보드(13)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2)의 일측면에서 돌출된다. 도 4는 상기 메인 보드(13)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10)의 배면을 도시하고 있는데, 상기 단말기(10)의 배면에는 배터리 장착 홈(21)과 촬영용 개구(19)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보드(13)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에 장착되면, 상기 제1 접속편(3)은 상기 배터리 장착 홈(21)으로 돌출된다.
상기 보조 전원 접속 단자(1b)가 상기 메인 보드(13)에 설치되면 상기 제2 접속편(6)은 상기 메인 보드(13)의 일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5)의 상단면에서 돌출된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보드(13)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10)에 장착되면, 상기 제2 접속편(6)은 상기 단말기(10)의 외측면으로 노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접속편(6)은 상기 단말기(10)의 외측면으로 돌출되며, 태양 전지판과 같이 상기 단말기(10)에 전원을 제공할 수 있는 보조 전원 장치가 접속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메인 보드에 설치된 접속 단자는 배터리 팩과 접속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미 설치된 인터페이스 단자를 제외하면 보조 전원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태양 전지판 등을 장착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배터리 접속 단자 외에 추가로 보조 전원 접속 단자를 설치해야만 한다. 이는 단말기 조립 공정의 추가가 요구되며, 재료 단가 등을 증가시켜 결과적으로 제품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보조 전원 접속 단자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 확보를 해야하기 때문에 단말기의 소형화에 장애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고 재료비를 절감하여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립 공정을 간소화하고 재료비를 절감하면서도 보조 전원을 제공하기 용이한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원 발명은 보조 전원을 제공하면서도 설치 공간의 확보가 용이하고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접속 단자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단말기의 메인 보드 상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1 접속편; 및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2 접속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접속편 중 하나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을 향해 배치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를 개시한다.
이때, 적어도 세 개의 상기 제1 접속편이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접속편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된다.
또한, 적어도 한 쌍의 상기 제2 접속편이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2 접속편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접속편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접속편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제1, 제2 접속편은 각각 그의 양단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지지되고, 그 중앙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절곡된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접속편은 양단 및 중앙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지지된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과 중앙부 사이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접속편을 이루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과 중앙부 사이가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접속편을 이룰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접속 단자는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어 배터리 접속을 위한 제1 접속편을 제공함과 아울러, 배터리와는 별도의 외부 기기 접속을 위한 제2 접속편을 제공하므로, 태양 전지판 등을 이용한 보조 전원이나 다른 기기와의 접속을 제공하기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때, 하나의 접속 단자만으로 배터리와 보조 전원을 동시에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메인 보드, 더 나아가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 기여하게 된다. 또한, 별도의 보조 전원 접속 단자를 설치하지 않고 하나의 접속 단자로 이루어지므로 재료비 절감에 유리하고 조립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접속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조 전원 접속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접속 단자들이 메인 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메인 보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접속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접속 단자가 메인 보드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메인 보드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접속 단자에 배터리 팩이 접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6에 도시된 접속 단자에 태양 전지판이 접속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 도 7에 도시됨)의 접속 단자(10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100)의 접속 단자(102)는 몸체부(121), 제1, 제2 접속편(123, 125)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제2 접속편(123, 125) 중 하나는 상기 단말기(100)의 외측면을 향해 배치된다.
상기 몸체부(121)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제1, 제2 접속편(123, 125)을 돌출시키기 위한 슬롯(129)들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몸체부(121)의 적어도 양 측면에는 상기 단말기(100)의 메인 보드(113; 도 6에 도시됨)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고정편(127)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121)의 일측면에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세 개의 상기 제1 접속편(123)들이 배치되어 있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21)가 상기 메인 보드(113) 상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1 접속편(123)들은 상기 메인 보드(113)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몸체부(121)의 다른 측면, 바람직하게는 상단면에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2 접속편(125)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한 쌍의 상기 제2 접속편(125)들이 상기 몸체부(121)의 상단면으로 돌출된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도 6을 더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21)가 상기 메인 보드(113)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제2 접속편(125)들은 상기 메인 보드(113)의 일면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1, 제2 접속편(123, 125)은 각각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판 스프링의 양단을 각각 상기 몸체부(121)의 내부에 지지하고, 양단 사이의 중앙부를 절곡하여 상기 슬롯(129)을 통해 상기 몸체부(121)의 일측면 또는 다른 측면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제1, 제2 접속편(123, 125)을 형성하게 된다.
아울러, 도 5에 도시된 상기 접속 단자(102)의 구성에서, 좌측단에 배치된 제1 접속편과 중앙에 배치된 제1 접속편은 각각 상기 제2 접속편(125)들과 쌍을 이루게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각각 쌍을 이루는 제1, 제2 접속편을 하나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판 스프링 양단 및 중앙부를 각각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지지하고, 일단과 중앙부 사이를 절곡하여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하면 좌측단 또는 중앙부에 배치된 상기 제1 접속편을 이루게 된다. 아울러, 양단과 중앙부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지지한 판 스프링의 타단과 중앙부 사이를 절곡하여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되게 하면 상기 제2 접속편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접속편(123)은 세 개가 배치되고 상기 제2 접속편(125)은 한 쌍만이 배치되어 모든 제1, 제2 접속편을 쌍을 이루게 하지는 못하지만, 여분의 제2 접속편을 추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모든 제1, 제2 접속편을 모두 쌍을 이루게 하고 쌍을 이루는 제1, 제2 접속편을 하나의 판 스프링만으로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메인 보드(113)는 상기 단말기(100)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 장치들과 통신 회로 등이 배치되며, 상기 접속 단자(102) 외에도, 이어폰 잭(115)이나 카메라 모듈(117) 등이 배치된다.
도 7은 상기 메인 보드(113)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 더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기(100)의 배면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단말기(100)는 바형 단말기를 예시한 것이나, 도 7에 도시된 하우징(101) 외에도 추가의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또는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101)에 결합하여 폴더형 단말기나 슬라이딩형 단말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단말기(100)의 하우징(101) 배면에는 배터리 장착 홈(111)과 촬영용 개구(119)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메인 보드(113)가 상기 하우징(101) 내에 배치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117)은 상기 촬영용 개구(119)에 상응하게 위치되어 상기 촬영용 개구(119)를 통해 동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접속 단자(102)의 제1 접속편(123)은 상기 하우징(101)의 외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배티리 장착 홈(111) 상에 위치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접속편(123)은 상기 메인 보드(113)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21)의 일측면에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접속편(123)은 상기 배터리 장착 홈(111)의 일측 벽에 위치될 것이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장착 홈(111)에 장착될 배터리 팩(129a; 도 8에 도시됨)의 전원 단자와 접속될 것이다. 상기 접속 단자(102)의 제2 접속편(125)은 상기 메인 보드(113)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121)의 다른 측면에서 돌출되므로, 상기 하우징(10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 장착 홈(111)은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커버에 의해 은폐되는데, 상기 제2 접속편(125)이 돌출된 영역 또한 상기 배터리 커버에 의해 폐쇄된다. 이때, 상기 배터리 커버가 태양 전지판(129b; 도 9에 도시됨)과 같은 보조 전원 장치를 포함한 구성이라면, 상기 제2 접속편(125)을 통해 상기 배터리 팩(129a) 또는 상기 단말기(100)에 보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9는 태양 전지판(129b)이 상기 제2 접속편(125)에 접속된 구성이 도시되고 있다. 한편, 상기 태양 전지판(129b)이 상기 단말기(100)에 직접 전원을 공급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쥐고 사용하게 되는 단말기의 특성상, 상기 태양 전지판(129b)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태양 전지판(129b)은 상기 배터리 팩(129a)을 충전하는 보조 전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접속 단자(102)를 통해 보조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지만, 상기 단말기(100)와 다른 기기를 접속하는데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 헤드 셋의 사용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블루투스 헤드 셋 또한 별도의 충전 장치를 통해 충전이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이때, 상기 제2 접속편(125)을 통해 상기 단말기(100)의 배터리 팩(129b)에 접속시켜 상기 배터리 팩(129b)을 블루투스 헤드 셋 충전을 위한 전원으로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를 도킹하여 활용할 수 있는 확장용 키보드를 상기 제2 접속편(125)을 통해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 팩을 확장용 키보드의 전원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휴대용 빔 프로젝터(beam projector) 등 휴대용 단말기와 접속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기들을 접속함에 있어 상기 제2 접속편(125)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상기 배터리 팩(129b)의 용량이 한정된 바, 이를 고려하여 실제 제품 생산자가 상기 제2 접속편(129b)을 통해 접속 가능한 기기를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휴대용 단말기 113: 메인 보드
102: 접속 단자 121: 몸체부
123: 제1 접속편 125: 제2 접속편

Claims (8)

  1.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메인 보드 상에 고정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1 접속편; 및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 제2 접속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 접속편 중 하나는 상기 단말기의 외측면을 향해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2. 제1 항에 있어서, 세 개의 상기 제1 접속편이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편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4. 제1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제2 접속편이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5.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편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편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접속편은 상기 메인 보드의 일면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접속편은 각각 그의 양단이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지지되고, 그 중앙부가 상기 몸체부의 외부로 돌출되게 절곡된 판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접속편은 양단 및 중앙부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지지된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판 스프링의 일단과 중앙부 사이가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접속편을 이루고, 상기 판 스프링의 타단과 중앙부 사이가 상기 몸체부의 다른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 접속편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KR1020100128955A 2010-12-16 2010-12-16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KR101756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955A KR101756476B1 (ko) 2010-12-16 2010-12-16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US13/226,716 US8851907B2 (en) 2010-12-16 2011-09-07 Contact node of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955A KR101756476B1 (ko) 2010-12-16 2010-12-16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518A true KR20120067518A (ko) 2012-06-26
KR101756476B1 KR101756476B1 (ko) 2017-07-11

Family

ID=462349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955A KR101756476B1 (ko) 2010-12-16 2010-12-16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851907B2 (ko)
KR (1) KR101756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3501B2 (en) 2014-07-17 201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25194B2 (ja) * 2012-11-12 2016-11-16 北川工業株式会社 コンタクト
KR102043720B1 (ko) * 2013-03-25 2019-11-12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의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118176B1 (ko) * 2013-12-13 2020-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용 접속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50194758A1 (en) * 2014-01-07 2015-07-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105261860B (zh) * 2015-11-06 2018-11-23 深圳市信维通信股份有限公司 多触点弹片连接器结构及用于连接器的弹性臂
US20170294787A1 (en) * 2016-04-08 2017-10-12 Makita Corporation Charger terminal and charger
CN111864429B (zh) * 2019-04-25 2022-11-01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电连接组件和电器设备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52302B1 (en) * 2002-05-17 2003-11-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pivotable contact
TW545778U (en) * 2002-09-05 2003-08-01 Molex Inc Battery connector
US6875049B2 (en) * 2002-11-27 2005-04-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Battery connector capable of connecting multiple power consuming circuit boards
CN200959464Y (zh) * 2006-09-29 2007-10-10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池连接器
KR100952408B1 (ko) * 2009-09-22 2010-04-14 주식회사 한림포스텍 휴대단말기용 공통단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53501B2 (en) 2014-07-17 2017-09-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476B1 (ko) 2017-07-11
US8851907B2 (en) 2014-10-07
US20120156903A1 (en) 201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67518A (ko) 휴대용 단말기의 접속 단자
US9502817B2 (en) Connection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US20050255895A1 (en) Adaptable charging cradle with speaker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EP2677391A2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terminal
KR20090050834A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400745B1 (ko) 전자 장치용 도킹 스테이션
US8903459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US9160826B2 (en) Docking station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CN101184383A (zh) 包括具有用户接口元件的铰链组件的便携式电子设备
US8016610B1 (en) Battery connector for a mobile terminal
US20110128511A1 (en) Folding-type portable device
KR20110135710A (ko) 휴대 단말기의 충전 장치
US20140192462A1 (en) Portable terminal with stylus pen
KR20130044439A (ko) 휴대용 단말기의 거치대
JP5509302B2 (ja) 保護カバー
CN212084547U (zh) 电子装置
JP4672413B2 (ja) コネクタ、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電子機器
TW201316154A (zh) 電子設備之收納箱
KR102043720B1 (ko) 전자 장치의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JP4728818B2 (ja) 卓上ホルダ
CN214412334U (zh) 无线充电支架
CN218448500U (zh) 一种卡座和电子设备
KR10069832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JP2005057689A (ja) 端子及び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