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421A -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 Google Patents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421A
KR20120067421A KR1020100128804A KR20100128804A KR20120067421A KR 20120067421 A KR20120067421 A KR 20120067421A KR 1020100128804 A KR1020100128804 A KR 1020100128804A KR 20100128804 A KR20100128804 A KR 20100128804A KR 20120067421 A KR20120067421 A KR 201200674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ture
image
augmented reality
mobile device
graffit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용규
Original Assignee
고스트리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스트리트(주) filed Critical 고스트리트(주)
Priority to KR1020100128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421A/ko
Publication of KR20120067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4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2Signal amplitude transition in the zone between image portions, e.g. soft ed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5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 H04N5/2627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images from a temporal image sequence, e.g. for a stroboscopic effect for providing spin image effect, 3D stop motion effect or temporal freeze eff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2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 H04N2201/324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n image, a page or a document of image modifying data, e.g. handwritten addenda, highlights o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쉬업 기술에 증강현실을 접목한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는, 카메라,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위에 임의의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카메라 촬영사진과,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위치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1 그래피티 저장부,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카메라 촬영사진,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및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및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 및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된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중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Augmented-Reality Intellectual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매쉬업 기술에 증강현실을 접목한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현실 세계에 가상의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 중의 하나이다.
기존의 가상 현실은 단순히 가상의 공간과 사물만을 대상으로 하는 반면,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를 기반으로 가상의 사물을 합성하여 보여줌으로써, 현실감을 극대화하면서도 현실 세계에서 제공하기 어려운 다양한 부가적인 정보들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 덕분에, 게임 등 한정된 분야에만 적용가능하던 기존의 가상현실과 달리, 증강현실은 다양한 실제 환경에 응용이 가능하여 유비쿼터스(Ubiquitous) 환경에 특히 적합한 차세대 인터페이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즉, 스마트폰을 비롯한 지능형 모바일 장치(Intellectual Mobile Device: IMD)가 널리 보급되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언제나 정보통신망에 접속하여 다양한 정보통신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이 일상화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일상적인 사물과 장소를 증강현실을 통한 정보처리와 정보교환의 매개체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매쉬업(Mashup)은 웹서비스 업체들이 제공하는 각종 콘텐츠와 서비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웹서비스를 만들어내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즉, 서로 다른 웹사이트의 콘텐츠를 조합하여 새로운 차원의 콘텐츠와 서비스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매쉬업의 일례로 구글 지도와 부동산 정보사이트인 크레이그 리스트를 결합시킨 하우징맵()이 있는데, 하우징맵은 지도 정보에서 특정 지역을 선택하면 해당 지역의 부동산 매물정보를 보여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매쉬업은 구글, 야후,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제공하는 지도 서비스나 아마존닷컴(www.amazon.com)이 제공하는 상품정보 등을 기반으로 새로운 콘텐츠나 독자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융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사의 웹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매쉬업 서비스 개발을 장려하기 위하여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외에 국내의 네이버, 다음, 알라딘 등의 웹서비스 업체에서도 매쉬업 개발자 내지 서비스제공자가 자사의 웹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공개하여 제공하고 있다.
매쉬업은 데이터의 소유자나 독점자 없이 누구나 손쉽게 데이터를 생산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참여 중심의 인터넷 환경을 뜻하는 웹 2.0 시대에 특히 적합한 기술로서, 그 활용도가 급격히 늘어나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증강현실과 매쉬업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 UX)을 제공할 수 있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55항에 기재된 구성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따르면, 증강현실과 매쉬업 기술이 융합된, 일찍이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누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실사 벽면에 그래피티를 작성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래피티를 수신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실사 벽면을 배경으로 그래피티 영상이 생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서 지도화면 위에 커피전문점 위치가 표시된 매쉬업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따른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카메라,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위에 임의의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카메라 촬영사진과,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위치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1 그래피티 저장부,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카메라 촬영사진,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및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및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 및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된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중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의 지능형 모바일 장치(10)는 크게 제어부(100), 센서부(200), 저장부(300), 입출력장치(400), 그리고 데이터통신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00)는 다시 영상중첩부(110), 매쉬업표시부(120), 그래피티 회전부(130), 3D 이미지 변환부(140), 위치근접 알림부(150), 텍스트수신 알림부(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부(200)에는 화상(이미지) 센서인 카메라(210), 지능형 모바일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220), 지능형 모바일 장치의 카메라가 향하는 방향을 검출하는 방위각센서(230), 지능형 모바일 장치의 흔들림이나 이동을 감지하는 가속도센서(240), 그리고 지능형 모바일 장치의 회전각을 검출하는 회전각센서부(250) 등이 포함된다.
저장부(300)에는 주로 외부로 전송할 목적으로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사용자가 작성한 그래피티를 저장하는 제1 그래피티 저장부(310), 외부로부터 수신한 그래피티를 저장하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320),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저장부(330), 그래피티에 덧붙여진 덧글 등을 저장하는 텍스트 저장부(350) 등이 포함된다.
입출력장치(400)에는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410), 액정표시장치 등의 디스플레이부(420) 및 음향송출부(430) 등이 포함된다.
이하 제어부(100), 센서부(200), 저장부(300), 입출력장치(400), 및 데이터통신부(500)의 세부적인 구성요소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입력수단(410)부터 살펴보면, 입력수단(410)은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문자, 그림 또는 사진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며, 입력받은 문자, 그림 또는 사진을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혼합 배치되도록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문자를 입력하는 입력수단으로는 터치스크린, 키보드 등이 포함된다. 그림(도안화된 문자 포함)을 입력하는 수단에는 예를 들어 그림을 직접 작성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이 있으며,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PC에서 사전에 작성되어 입력이미지 저장부(415, 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된 이미지를 불러와서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진은 입력이미지 저장부(415)에 저장된 사진을 불러와서 입력하거나, 카메라(210)로 촬영한 사진을 입력한다.
디스플레이부(420)는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을 제어부(100)로부터 전달받아 표시하며, 상기 화상은 사용자가 입력수단(410)을 이용하여 입력한 것이거나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에 사전에 입력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음향송출부(4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음향송출부(430)는 제어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전기적 음성, 음향신호를 가청 공기압력파로 바꾸는 트랜스듀서로서,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을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은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에 유선으로 연결된 것뿐 아니라 블루투스 등의 방식으로 무선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화상센서인 카메라(210)는 사용자의 선택 또는 사전 설정에 따라 스틸사진 또는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된 사진 또는 동영상은 제어부(100)로 보내지거나 제어부(100)를 거쳐서 입력수단(410), 디스플레이부(420), 제1 그래피티 저장부(310), 데이터통신부(500) 등으로 보내진다.
위치검출부(220)는 GPS위성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GPS센서나, GPS위성신호의 수신이 불가능하거나 수신감도가 낮은 지역에서의 현재 위치 검출을 위하여 무선랜(WiFi) 기지국(Access Point)의 전파를 수신하여 대략적인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무선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종류의 센서를 혼용하여 위치검출의 정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검출된 현재 위치 정보는 제어부(100)로 보내지거나 제어부(100)를 거쳐서 제1 그래피티 저장부(310) 등으로 보내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방위각센서(23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방위각센서(230)는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위치에서 카메라가 피사체를 향하고 있는 방향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지자기센서 등을 포함한다. 검출된 피사체방향 정보는 제어부(100)로 보내지거나 제어부(100)를 거쳐서 제1 그래피티 저장부(310) 등으로 보내진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가속도센서(2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240)는 지능형 모바일 장치(10)가 흔들리거나 급하게 이동될 때(사용자가 손에 쥐고 팔을 휘두르는 경우 등) 이러한 급격한 움직임을 감지한다.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디스플레이부(420)와 기타 다른 부분들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상기 가속도센서(240)는 디스플레이부(42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또한 회전각센서부(2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회전각센서부(250)는, 예컨대 사용자의 팔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20)가 회전될 때 그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측정한다. 회전각센서부(250)는 2차원적인 회전만을 감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3차원적인 회전까지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전각센서부(250)는 회전각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센서를 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저장부(300) 중에서 제1 그래피티 저장부(310)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과,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그래피티, 및 위치검출부(220)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추가적으로 방위각센서(230)로부터 수신한 피사체방향 정보나, 그래피티 작성자의 고유 ID태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및 이후의 다른 실시예에서 그래피티란 입력수단(410)을 통하여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뜻하며, 후술하는 일부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의 의미로도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 및 이후의 다른 실시예에서 그래피티는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것뿐 아니라 다른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사용자가 작성한 것을 수신한 것도 지칭한다. 본 실시예 및 이후의 다른 실시예에서 그래피티는 원칙적으로 촬영사진 자체나 실사 거리영상은 포함하지 않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본 실시예 및 이후의 다른 실시예에서 그래피티 작성자의 고유 ID태그는 그래피티 작성자의 동일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그래피티 작성자가 설정하거나 후술하는 증강현실 서버(610)로부터 부여받은 ID태그를 뜻하며, 텍스트, 기호, 부호, 아이콘 기타 도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그래피티 저장부(32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그래피티, 그리고 상기 촬영사진의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저장하며, 제1 그래피티 저장부(310)와 마찬가지로, 추가적으로 방위각센서(230)로부터 수신한 피사체방향 정보나,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그래피티 작성자의 고유 ID태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지능형 모바일 장치(10)는 추가적으로 지도데이터 저장부(330)를 포함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수신한 그래피티에 덧글 형식으로 작성하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텍스트 저장부(3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지도데이터 저장부(330)는 필요한 지도데이터를 모두 저장하도록 구성하거나, 일부 지도데이터만 저장하고 나머지 필요한 지도데이터는 후술하는 지도데이터 서버(630)로부터 다운로드 받거나, 또는 지도데이터 서버(630)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지도데이터만을 저장하도록 하는 등 여러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데이터통신부(500)는 다른 지능형 모바일 장치 내지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610) 와 통신하여 촬영사진, 그래피티, 사진촬영위치 정보, 피사체방향 정보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데이터통신부(500)는 추가적으로 지도데이터 서버(630)와 통신하여 지도데이터를 다운로드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데이터통신부(500)는 그 외에도 지능형 모바일 장치 외부의 다양한 기기들과 통신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지능형 모바일 장치(10) 내에서는 제어부(100)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제어부(100) 중 영상중첩부(110)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외부로부터 수신한 그래피티가 중첩된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420)로 전송한다. 영상중첩부(110)는 영상중첩 기능을 지원하는 AV칩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도 있으나,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보다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려면 비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보유한 범용의 CPU나 DSP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없는 CPU, DSP 등을 비디오용 ADC, DAC와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지능형 모바일 장치(10)는 지도데이터 저장부(330)를 포함하는 경우에 매쉬업 표시부(12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매쉬업 표시부(12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지도데이터 저장부(330)에 저장된 지도데이터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42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그래피티가 매쉬업된 지도데이터를 볼 수 있게 한다. 매쉬업 표시부(120)는 사진촬영위치 정보 외에 추가적으로 피사체방향 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에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매쉬업 표시부(120)는 기존의 매쉬업 기술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매쉬업 표시부(12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부(420)로 전송된 지도데이터 상에 표시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입력수단(210)을 통하여 선택하면, 매쉬업 표시부(120)는 지도데이터 상에서 선택된 사진촬영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지능형 모바일 장치(10)는 추가적으로 그래피티 회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피티 회전부(130)는 지능형 모바일 장치(10)가 회전할 때 회전각센서부(250)에 의해 측정된 회전방향 및 회전각에 기하여 그래피티를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회전각만큼 회전시켜 영상중첩부(110)로 전송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20)가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다른 부분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 또는 회전가능한 구성이라면 회전각센서부(250)의 회전방향 및 회전각 측정은 디스플레이부(420)를 기준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임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다.
이러한 그래피티 회전부의 작용은 주로 지능형 모바일 장치(10)가 2차원 가상평면상에서 회전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이나, 지능형 모바일 장치(10)가 3차원 가상공간상에서 회전하는 경우에도 적용가능하다. 즉, 지능형 모바일 장치(10)가 3차원 가상공간상에서 회전한다고 하더라도, xyz 3축 중에서 특정 축, 예컨대 x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이 다른 두 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각보다 압도적으로 큰 경우, 비록 3차원 회전이지만 회전각이 큰 x축을 중심으로 한 2차원 회전으로 근사하여 적용가능한 것이다.
그래피티 회전부(130)에 의해 그래피티는 지능형 모바일 장치(10)가 아니라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유지될 수 있고, 이로써 그래피티가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 내의 물체, 예컨대 벽면 등에 실제로 그려진 그래피티처럼 느껴지는 실제감을 형성할 수 있다.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3차원 회전이 2차원 회전으로 근사하기 어려운 정도의 복합 축회전인 경우에 대비하여, 본 실시예의 지능형 모바일 장치(10)는 3D 이미지 변환부(14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3D 이미지 변환부(140)는 비록 도 1에서 그래피티 회전부(130)와 별개의 구성요소로 도시되어 있긴 하지만, 그래피티 회전부(130)에 부속되는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복합 축회전의 경우 그래피티 회전부(130)는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회전에 따른 원근감 변화가 반영되도록 3D 이미지 변환부(140)를 통하여 그래피티를 3D 공간상에서 변형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의 지능형 모바일 장치(10)는 카메라(210)의 위치, 즉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위치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의 사진촬영위치에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 상기 사진촬영위치에 근접하였음을 알리는 화상 또는 음향을 각각 디스플레이부(420) 또는 음향송출부(430)로 전송하는 위치근접 알림부(1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범위는 통상적인 GPS오차를 고려하고 사용자가 비교적 용이하게 그래피티 영상의 사진촬영위치를 찾을 수 있는 범위를 합리적으로 고려할 때 반경 20m 내지 반경 50m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모바일 장치(10)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그래피티에 덧글 형식으로 작성하는 텍스트를 저장하는 텍스트 저장부(35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음을 앞서 언급하였다. 텍스트 저장부(350)에 저장된 상기 텍스트는 통상적으로 그래피티의 원작성자가 볼 수 있도록 외부로 전송되므로, 본 실시예에 따른 지능형 모바일 장치(10)는 상기 원작성자가 상기 텍스트를 수신한 경우 텍스트를 수신했음을 알리는 텍스트수신 알림부(160)를 추가적으로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텍스트수신 알림부(160)는 푸시 알림 방식으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작동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따른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이용하여 실사 벽면에 그래피티를 작성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그래피티를 수신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90도 회전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실사 벽면을 배경으로 그래피티 영상이 생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서 지도화면 위에 커피전문점 위치가 표시된 매쉬업 화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의 그래피티 작성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에 구비된 카메라(210)를 이용하여 그래피티를 작성하고자 하는 곳, 예를 들어 건물의 벽면을 촬영하고, 촬영된 건물 벽면의 사진(710) 위에 사용자가 원하는 그래피티(720), 즉 문자, 그림, 사진 또는 이들의 조합을 입력한다. 그림에는 도안화된 문자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420)는 액정표시장치(LCD)이고, 입력수단(410)은 액정표시장치와 일체로 형성된 터치스크린이다. 사진촬영과 동시에 위치검출부(220)는 사진촬영위치를 검출하며, 사진촬영위치 정보는 촬영된 사진 및 입력된 그래피티와 함께 제1 그래피티 저장부(310)에 저장된다. 입력된 그래피티가 촬영된 사진에 합성되어 하나의 파일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촬영된 사진과 별개의 파일로 저장되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피사체방향 정보를 제1 그래피티 저장부(310)에 함께 저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촬영된 벽면 사진(710)과 작성된 그래피티(720)는 데이터통신부(50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사진촬영위치 정보도 함께 전송되며, 피사체방향 정보를 저장한 경우 피사체방향 정보도 함께 전송된다. 촬영 사진, 그래피티, 사진촬영위치 정보, 피사체방향 정보 등은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IMD)에 직접 전송될 수도 있고, 증강현실 서버(610)로 일단 전송된 후에 증강현실 서버(610)를 통하여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전송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의 그래피티 영상 생성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데이터통신부(500)를 통하여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증강현실 서버(610)로부터 촬영사진, 그래피티 등을 수신한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는 수신된 촬영사진(810), 그래피티(820) 등을 제2 그래피티 저장부(320)에 저장한다.
이어서 영상중첩부(110)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320)로부터 그래피티(820)를 전달받아,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810)에 그래피티(820)를 합성하여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한 다음, 생성된 그래피티 영상을 디스플레이부(42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서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810)은 도 2와 동일한 벽돌 벽면이고, 그래피티(820)는 도 2에서 벽돌 벽면 중 그래피티(720)가 작성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생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다만 지능형 모바일 장치(10)가 세로가 아닌 가로로 놓여져 있는 점만이 다르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10)가 지도데이터 저장부(33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매쉬업 표시부(120)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지도데이터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420)에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작동에 따른 결과물은 아니지만 이러한 매쉬업 화면의 일 예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보면 지도화면(910) 위에 커피전문점의 위치를 나타내는 압침 아이콘들(920)이 표시되어 있고, 압침 아이콘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커피전문점의 명칭이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피전문점 명칭을 한번 더 터치하면 해당 커피전문점에 관한 상세한 정보화면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에서는 사진촬영위치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선택하면 그래피티는 제외하고 촬영사진만을 작은 미리보기 사진 형태로 제공하고, 미리보기 사진을 한번 더 선택하면 촬영사진을 큰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 촬영사진과 그래피티를 수신한 사용자는 사진촬영위치가 매쉬업 되어 있는 지도와 그래피티의 배경이 되는 촬영사진을 참고하여 사진촬영위치를 찾을 수 있으며, 사진촬영위치에서 촬영사진의 배경이 된 곳(벽면)을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카메라로 촬영하면 그래피티의 원작성자가 의도한 배경 위에 그래피티(820)가 보여지게 된다. 사진촬영위치에서 그래피티의 배경을 찾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지도화면에 사진촬영위치 외에 피사체방향 정보를 추가로 매쉬업 할 수도 있다.
사진촬영위치 정보와 피사체방향 정보만으로도 그래피티의 원작성자가 의도한 배경(810) 위에 그래피티(820)가 보여질 가능성이 그리 낮지는 않겠지만, 원작성자가 의도했던 그래피티를 보여주려면 그래피티의 배경을 원작성자가 의도했던 것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할 때도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지능형 모바일 장치의 영상중첩부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과 전체적으로,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때에만 수신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그래피티를 보여주도록 하고 있다. 즉,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배경이 그래피티가 작성됐던 배경과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여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때에만 그래피티를 카메라 영상에 합성하여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촬영사진과 카메라 영상의 일치여부는 알려진 이미지 비교 알고리즘을 영상중첩부에 포함된 고속 DSP에 적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촬영사진에 나타난 그래피티 배경과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영상이 동일한 장소, 예컨대 벽면을 담고 있다고 하더라도, 지능형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로부터 벽면까지의 거리의 차이나 카메라 성능상의 차이(초점거리 등)에 의해 서로 다른 크기로 보여져서 두 배경이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수가 있다. 이러한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하여, 촬영사진에 나타난 그래피티 배경과 카메라를 통해 보여지는 영상이 부분적으로만 일치하는 경우에도 장소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하도록 하고 있다. 부분적으로만 일치하는 경우란 촬영사진을 확대하거나 축소하면 두 배경이 일치하게 되는 상황을 뜻한다. 촬영사진을 확대 내지 축소하여 두 배경이 일치하는 확대/축소배율을 찾았으면, 그래피티 역시 동일한 배율로 확대 내지 축소한 다음 카메라 영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보여준다.
때로는 카메라를 통해 보는 영상에 촬영사진과 동일한 배경이 포함되어 있긴 하지만, GPS 오차 등으로 인해 원작성자의 사진촬영위치와 상이한 위치에서 그래피티 배경을 바라보게 되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그래피티 배경을 보는 방향 또한 원작성자와는 달라지게 될 것이므로, 촬영사진과 카메라 영상의 일치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이러한 각도의 상이함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동일한 그래피티 배경을 보는 각도가 달라지게 되면 원근감이 달라지게 되므로, 촬영사진과 카메라 영상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촬영사진의 원근감을 변화시키기 위한 3D 이미지 프로세싱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원근감을 파악하기 위하여, 영상중첩부는 카메라 영상에 포함된 도로의 선형, 도로의 경계, 지형물의 윤곽, 지형물의 경계, 건물 내부의 윤곽, 건물 내부의 경계, 건물 외부의 윤곽, 건물 외부의 경계, 지평선 윤곽, 또는 수평선 윤곽 중 하나 이상을 인식하여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원근감의 소실점 위치를 도출한다. 이어서 도출된 소실점 위치에 따른 원근감에 대응하도록 촬영사진을 3D 이미지 변환부(140)을 통하여 3D 이미지 프로세싱하며, 변환된 촬영사진을 카메라 영상과 비교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앞서 언급한 촬영사진의 확대/축소가 병행되어야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카메라 영상이 촬영사진과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때에 상기 3D 이미지 변환부(140)는 촬영사진에 적용된 것과 동일한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그래피티를 3D 이미지 프로세싱하며, 이어서 영상중첩부(110)는 변환된 그래피티를 카메라 영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420)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이 카메라 영상과 촬영사진간의 일치여부를 판단한 후에 그래피티를 카메라 영상에 중첩하여 보여주므로, 데이터통신부는 일단 촬영사진을 먼저 수신한 후에 카메라 영상과 촬영사진간의 일치여부가 확인되면 다음으로 그래피티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10)가 심하게 흔들리거나, 사용자가 빠른 속도로 팔을 움직일 경우에는 카메라 영상과 촬영사진간의 일치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10)는 가속도센서(240)를 추가로 구비하고, 가속도센서에서 측정된 가속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일 때에만 상기 일치여부를 판단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상의 일치여부 판단과정에서는 카메라 영상과 촬영사진간의 일치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촬영사진은 직접 디스플레이부(420)에 보여주지 않고 이미지 비교 연산만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촬영사진을 카메라 영상과 중첩하여 보여줌으로써 일치여부 판단과정을 사용자가 직접 눈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데이터통신부(500)는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61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임의로 통신을 시도하는 것 외에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통신을 하여 촬영사진, 그래피티 등을 수신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이는 개인간의 시의적절한 그래피티 송수신에 도움을 줄뿐더러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대상으로 그래피티 송수신을 통한 상업적 광고를 하려는 기업들에게도 광고가 시의적절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주기적 통신과 앞서 언급한 바 있는 위치근접알림부(150)에 의한 푸시 알림이 결합되면 매우 효과적인 광고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그래피티 송수신에 오락적 요소를 더하기 위하여, 그래피티 작성자는 자신이 작성한 그래피티를 타인이 볼 수 있는 다양한 제한조건을 설정하여 그래피티와 함께 제1 그래피티 저장부에 저장하고 이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제한조건으로 설정가능한 것의 예로는 우선 수신인 제한을 들 수 있겠고, 그 외에도 그래피티를 볼 수 있는 시간범위의 제한, 날씨, 요일, 날짜 또는 날짜범위의 제한 등을 들 수 있다. 시간범위의 제한이나 날씨의 제한은 그래피티를 작성한 원작성자가 그래피티 작성시에 느꼈던 감성을 보다 더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눈 오는 밤에 작성한 그래피티를 햇빛이 환한 대낮에 본다면 그 느낌은 사뭇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피티는 문자, 그림, 사진만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문자, 그림, 사진 등과 더불어 음악 또는 동영상을 함께 전달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수신인이 그래피티 작성자가 선곡해준 음악을 들으면서 그래피티를 보도록 할 수도 있고, 그래피티 작성자가 촬영한 동영상이 그래피티 한 켠에서 재생되는 것을 보도록 할 수도 있다. 이는 외부 서버에 저장된 음악 또는 동영상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그래피티에 포함시킴으로써 가능해진다. 그래피티가 디스플레이부(420)에 나타났을 때 그래피티를 터치하면 하이퍼링크된 음악 또는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하이퍼링크된 음악 또는 동영상의 재생에는 스트리밍 재생, 다운로드 후 재생, 수신인 승인 후 재생, 그래피티 영상 표출과 동시에 자동 재생 등 다양한 선택사항이 부가될 수도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그래피티 저장부는 촬영사진, 그래피티 등 외에 사용자 또는 그래피티 작성자의 고유 ID태그를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고유 ID태그는 그래피티를 외부로 전송할 때 수신인을 제한하기 위하여 필요할 수도 있고, 또한 고유 ID태그가 첨부됨으로써 본 발명의 지능형 모바일 장치가 SNS(Social Network Service) 기기로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2 그래피티 저장부(320)에 저장된 수신 그래피티를 참조하여 입력수단(410)을 통해 텍스트를 입력하고,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수신 그래피티를 참조하여 텍스트 저장부(350)에 저장한 후, 데이터통신부(500)가 저장된 상기 텍스트를 그래피티 작성자의 고유 ID태그를 참조하여 외부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PC환경에서 블로그 서비스에 게재한 글에 대하여 타인이 덧글을 게시하는 것과 유사하다.
데이터통신부(500)가 외부로부터 상기 텍스트를 수신한 때에는, 텍스트 수신을 푸시 알림 방식으로 알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락적인 요소를 위하여, 또는 현장감을 살리기 위하여 상기 텍스트는 그래피티가 작성된 곳에서 그래피티가 표출된 때에만 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그래피티가 작성된 사진촬영위치에서 그래피티의 배경을 향하여 카메라(210)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부(420)에서 카메라 영상에 그래피티가 중첩되어 보여지는 때에 비로소 상기 텍스트가 보여지거나, 또는 상기 텍스트를 볼 수 있는 하이퍼링크가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는 그래피티에 중첩되어 그래피티 영상과 함께 보여지도록 할 수도 있고, 예컨대 그래피티 영상을 터치했을 때 하이퍼링크된 텍스트를 호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텍스트는 단순한 문자열(단문, 장문 메시지)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텍스트 작성자가 작성한 또 다른 그래피티의 사진촬영위치 정보 또는 사진촬영위치 정보에 대한 하이퍼링크로 구성하여 SNS에 색다른 요소를 가미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대한 제2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가 포함된 실사 거리영상을 저장하는 거리영상저장부, 상기 거리영상저장부에서 임의로 선택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임의의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제1 그래피티 저장부,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 및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거리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된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중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실시예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위에 작성한 그래피티를 카메라 영상 위에 중첩시켜 보도록 구성된 것인 반면, 제2 실시예는 구글 스트리트뷰와 같은 실사 거리영상 위에 그래피티를 작성하고 그래피티를 볼 때도 그래피티가 작성된 실사 거리영상을 찾아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작성된 그래피티를 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가 포함된 실사 거리영상을 저장하는 거리영상 저장부(340)를 필수적 구성요소로 포함하고 있다. 제1 그래피티 저장부(310)와 제2 그래피티 저장부(320)는 그래피티를 저장할 때 실사 거리영상을 특정하기 위한 GPS좌표데이터와 방위데이터를 함께 저장하며, 다만 실사 거리영상 자체는 거리영상 저장부(340)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별도로 저장하지는 않는다. 그래피티 수신인이 그래피티를 볼 때도 수신된 GPS좌표데이터와 방위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사 거리영상을 거리영상 저장부(340)에서 읽어서 영상중첩부(110)에서 그래피티와 합성한 후 디스플레이부(420)로 전송한다.
영상중첩부(110)에서 실사 거리영상에 그래피티를 중첩하여 그래피티 영상을 최초로 생성한 후에는 실사 거리영상의 특성상 도로를 따라 화면을 이동하거나 정지한 상태에서 시야의 방향을 바꿀 수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거리영상의 변화에 맞추어 그래피티 역시 거리영상에 대응되도록 입체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하여 3D 이미지 변환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 GPS좌표데이터와 방위데이터에 의해 보고자 하는 그래피티가 포함된 거리영상이 특정되고 간단한 조작만으로 바로 그래피티 영상을 볼 수 있으므로 제1 실시예에 포함된 매쉬업 표시부에 대한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그래피티가 여러 개 있는 경우, 이 그래피티들을 예컨대 GPS좌표데이터와 방위데이터로 표현된 목록에서 선택하는 것은 결코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제2 실시예에서도 그래피티가 포함된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를 지도데이터에 표시하여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보여주는 매쉬업 표시부(12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본 제2 실시예의 매쉬업 표시부(120)는 지도상에 표시된 GPS좌표데이터를 선택했을 때, 해당 GPS좌표데이터 및 그 GPS좌표데이터와 연계된 방위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실사 거리영상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그래피티는 보이지 않고 거리영상만 보이도록 할 수도 있고, 그래피티도 함께 보이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매쉬업 표시부에서 특정 GPS좌표데이터를 선택했을 때 미리보기 작은 사진을 보여주되 미리보기 작은 사진에서는 거리영상만 보이도록 하고, 미리보기 사진을 다시 선택하면 그래피티가 포함된 거리영상을 전체화면으로 보여주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데이터통신부(500)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그래피티와 그래피티가 작성된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통신부(500)는 외부에 구성된 지도데이터 서버(630) 또는 거리영상 서버(650)와 통신하여 각각 지도데이터 또는 거리영상을 내려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대한 제3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제2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카메라,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위에 임의의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위치에서 피사체를 향한 방향을 측정하는 방위각센서, 카메라 촬영사진과,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상기 위치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 및 상기 방위각센서로부터 수신한 피사체방향 정보를 저장하는 제1 그래피티 저장부,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카메라 촬영사진과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진촬영위치 정보 및 피사체방향 정보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상기 사진촬영위치 정보 및 피사체방향 정보를 저장하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가 포함된 실사 거리영상을 저장하는 거리영상 저장부, 및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의 사진촬영위치 정보 및 피사체방향 정보와 각각 일치하는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거리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된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중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실시예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위에 작성한 그래피티를 카메라 영상 위에 중첩시켜 보도록 구성된 것이고, 제2 실시예는 실사 거리영상 위에 그래피티를 작성하고 그래피티를 볼 때도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작성된 그래피티를 보도록 구성된 것인 반면에, 제3 실시예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위에 작성한 그래피티를 실사 거리영상 위에 중첩된 그래피티로 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점 때문에,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필수구성요소인 카메라(210), 위치검출부(220)와 선택적 구성요소인 방위각센서(2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고, 제2 실시예의 필수구성요소인 거리영상 저장부(340) 또한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제1 및 제2 그래피티 저장부(310, 320)는 카메라 촬영사진과 그래피티, 사진촬영위치 정보, 그리고 피사체방향 정보를 저장한다. 사진촬영위치 정보 외에 피사체방향 정보도 필수적으로 저장한다는 점에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영상중첩부(110)가 그래피티 영상을 표시할 때는 촬영사진의 사진촬영위치 정보와 피사체방향 정보에 각각 대응하는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에 의해 특정되는 거리영상을 그래피티와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보여준다.
추가적으로 지도데이터 저장부(630)와 함께 매쉬업 표시부(120)를 포함할 수 있음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매쉬업 표시부(120)를 통해서 그래피티가 포함된 실사 거리영상을 볼 수 있다는 점은 제2 실시예와 동일하나, 매쉬업 표시부(120)에서 지도데이터 상에 표시되는 정보는 GPS좌표데이터가 아니라 사진촬영위치 정보인 점에서 제2 실시예와 다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데이터통신부(500)는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촬영사진,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그래피티, 사진촬영위치 정보, 그리고 피사체방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통신부(500)는 외부에 구성된 지도데이터 서버(630) 또는 거리영상 서버(650)와 통신하여 각각 지도데이터 또는 거리영상을 내려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대한 제4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는,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가 포함된 실사 거리영상을 저장하는 거리영상저장부, 상기 거리영상저장부에서 임의로 선택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임의의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제1 그래피티 저장부,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 카메라, 및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된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중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를 제공한다.
제3 실시예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위에 작성한 그래피티를 실사 거리영상 위에 중첩된 그래피티로 보도록 구성된 것이고, 제4 실시예는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작성된 그래피티를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위에 중첩시켜 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카메라는 그래피티를 보기 위한 카메라 영상을 만들어내는 데에 사용되고, 그래피티의 위치는 그래피티가 작성된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와 방위데이터에 의해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3 실시예와 비교할 때 카메라는 기본 구성요소로서 동일하게 포함되지만 위치검출부 및 방위각센서는 기본 구성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제1 및 제2 그래피티 저장부(310, 320)는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그래피티와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각각 저장한다. 영상중첩부(110)가 그래피티 영상을 표시할 때는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그래피티를 카메라에서 입력된 영상에 중첩하여 디스플레이부(420)를 통해 보여준다.
기본적으로 포함하지는 않지만, 위치검출부(220)와 방위각센서(230)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위치가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 각각과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로 일치하는 경우에 영상중첩부가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처럼 거리영상을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과 비교하여 그래피티 작성위치가 맞는지 확인해보는 방법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거리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와 지능형 모바일 장치에 포함된 카메라의 성능이나 규격에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두 영상을 직접적으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또는, 위치검출부(220)만을 추가로 포함하고,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위치가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 근접 사실을 알리는 화상 또는 음향을 송출하는 위치근접알림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위치검출부(220)에 방위각센서(230)을 더욱 추가로 포함한다면, 위치근접알림 외에 지능형 모바일 장치(10)의 카메라(210)가 향하고 있는 방향이 실사 거리영상의 방위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지 일치하지 않는다면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야 하는지를 화상 또는 음향으로 알려주는 회전방향 지시부(17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회전방향 지시부(170)는 회전해야 할 방향뿐 아니라 회전해야 할 각도까지 알려주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4 실시예 역시 이전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지도데이터 저장부(330) 및 매쉬업 표시부(120)를 추가적으로 포함하여 지도데이터 위에 그래피티를 포함하는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고, 지도데이터 위에 실사 거리영상의 방위데이터를 추가로 표시할 수도 있다. 지도데이터에 표시된 거리영상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선택하면 이에 대응되는 거리영상을 미리보기 작은 그림으로 보여주고, 미리보기 작은 그림을 다시 선택하면 그래피티가 포함된 거리영상을 전체화면으로 보여주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전체화면에서도 그래피티가 포함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카메라 영상을 통하여 그래피티를 보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속도 센서(240)를 추가로 구비하여, 가속도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일 때에만 영상중첩부(110)가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데이터통신부(500)는 제2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와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그래피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데이터통신부(500)는 외부에 구성된 지도데이터 서버(630) 또는 거리영상 서버(650)와 통신하여 각각 지도데이터 또는 거리영상을 내려받아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그 실시예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 수정,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변경, 수정,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기재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그 범위는 오직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진다.
100 :제어부110 :영상중첩부
120 :매쉬업 표시부130 : 그래피티 회전부
140 :3D 이미지 변환부150 :위치근접 알림부
160 :텍스트수신 알림부200 :센서부
210 :카메라(화상센서)220 :위치검출부
230 :방위각센서240 :가속도센서
250 :회전각센서부300 : 저장부
310 :제1 그래피티 저장부320 :제2 그래피티 저장부
330 :지도데이터 저장부340 :거리영상 저장부
350 :텍스트 저장부400 :입출력장치
410 :입력수단420 :디스플레이부
430 :음향송출부500 :데이터통신부
610 :증강현실 서버 또는 IMD630 :지도데이터 서버
650 :거리영상 서버

Claims (55)

  1. 카메라,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위에 임의의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카메라 촬영사진과,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및 상기 위치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1 그래피티 저장부,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카메라 촬영사진,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및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및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 및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된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중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터치스크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검출부는 GPS센서 또는 무선랜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위치에서 피사체를 향한 방향을 측정하는 방위각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통신부는 추가적으로 피사체방향 정보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제1 그래피티 저장부 및 상기 제2 그래피티 저장부는 각각 피사체방향 정보를 추가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저장부, 및
    외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에 표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매쉬업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업 표시부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피사체방향 정보를 추가적으로 상기 지도데이터에 표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매쉬업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된 지도데이터 상에 표시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매쉬업 표시부는 지도데이터 상에서 선택된 사진촬영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을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는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 중 하나 이상과 통신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중첩부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때에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중첩부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과 부분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일치하는 때에는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을 확대 또는 축소한 비율과 동일한 비율로 확대 또는 축소하여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화상을 3차원 공간에서 입체적으로 변형시킬 수 있는 3D 이미지 변환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중첩부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과 부분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에 있어서,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포함된 도로의 선형, 도로의 경계, 지형물의 윤곽, 지형물의 경계, 건물 내부의 윤곽, 건물 내부의 경계, 건물 외부의 윤곽, 건물 외부의 경계, 지평선 윤곽, 또는 수평선 윤곽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카메라 영상에 나타난 원근감의 소실점 위치를 도출하고,
    상기 소실점 위치에 따른 원근감에 대응하도록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을 상기 3D 이미지 변환부를 통하여 입체적으로 변형하여 상기 일치여부를 판단하며,
    일치하는 때에는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소실점 위치에 따른 원근감에 대응하도록 상기 3D 이미지 변환부를 통하여 입체적으로 변형하여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는:
    외부로부터 촬영사진을 수신하여 상기 영상중첩부로 전송하고,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일치한다는 신호를 상기 영상중첩부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외부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흔들림 또는 이동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출력된 가속도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일 때에만, 상기 영상중첩부는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이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피티 영상은: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상기 촬영사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15.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회전할 때 회전방향 및 회전각을 측정하는 회전각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센서부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센서부의 측정결과에 기하여 상기 그래피티 영상에 포함되는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회전각만큼 회전시켜 상기 영상중첩부로 전송하는 그래피티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피티 회전부는:
    상기 그래피티 영상에 포함되는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회전시킬 때,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표현된 원근감과 상기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촬영사진의 원근감이 일치하도록 상기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입체적으로 변형시키는 3D 이미지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19.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음성 또는 음향을 송출할 수 있는 음향송출부를 더 포함하고,
    카메라의 위치가 외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의 사진촬영위치에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 상기 사진촬영위치에 근접하였음을 알리는 화상 또는 음향을 송출하는 위치근접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상기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 중 하나 이상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카메라 촬영사진,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및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추가적으로 피사체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는 외부에 구성된 지도데이터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지도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지도데이터 서버로부터 지도데이터를 내려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피티 저장부는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보기 위한 제한조건 설정을 추가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조건은 수신인, 시간범위, 날씨, 요일, 날짜 또는 날짜범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은 음악 또는 동영상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피티 저장부는 사용자의 고유 ID태그를 추가적으로 저장하고,
    상기 제2 그래피티 저장부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의 작성자의 고유 ID태그를 추가적으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래피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텍스트를 상기 제2 그래피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저장하는 텍스트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래피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참조하여 입력된 상기 텍스트가 상기 텍스트 저장부에 저장된 때에, 상기 데이터통신부는 상기 제2 그래피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의 작성자의 상기 고유 ID태그를 참조하여 상기 텍스트를 외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로부터 상기 텍스트를 수신한 때에, 상기 텍스트 수신을 푸시 알림 방식으로 알리는 텍스트수신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텍스트가 참조하는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래피티 영상이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되는 때에, 상기 수신된 텍스트 또는 상기 수신된 텍스트에 대한 하이퍼링크가 상기 그래피티 영상에 중첩되거나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상기 텍스트는 외부로부터 수신가능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의 사진촬영위치 정보 또는 상기 사진촬영위치 정보에 대한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2.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가 포함된 실사 거리영상을 저장하는 거리영상저장부,
    상기 거리영상저장부에서 임의로 선택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임의의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제1 그래피티 저장부,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 및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거리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된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중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3. 제32항에 있어서,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를 상기 지도데이터에 표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매쉬업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매쉬업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된 지도데이터 상에 표시된 GPS좌표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매쉬업 표시부는 지도데이터 상에서 선택된 GPS좌표데이터 및 상기 GPS좌표데이터와 연계된 방위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사 거리영상을 상기 거리영상저장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 중 하나 이상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6.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외부에 구성된 지도데이터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지도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지도데이터 서버로부터 지도데이터를 내려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외부에 구성된 거리영상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거리영상저장부는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거리영상 서버로부터 실사 거리영상을 내려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8. 카메라,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 위에 임의의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카메라로 사진을 촬영한 위치에서 피사체를 향한 방향을 측정하는 방위각센서,
    카메라 촬영사진과,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상기 위치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 및 상기 방위각센서로부터 수신한 피사체방향 정보를 저장하는 제1 그래피티 저장부,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카메라 촬영사진과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사진촬영위치 정보 및 피사체방향 정보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 상기 사진촬영위치 정보 및 피사체방향 정보를 저장하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가 포함된 실사 거리영상을 저장하는 거리영상 저장부, 및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촬영사진의 사진촬영위치 정보 및 피사체방향 정보와 각각 일치하는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거리영상 저장부에 저장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된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중첩부(증강현실 브라우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상기 지도데이터에 표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매쉬업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매쉬업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된 지도데이터 상에 표시된 사진촬영위치 정보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매쉬업 표시부는 지도데이터 상에서 선택된 사진촬영위치 정보 및 상기 사진촬영위치 정보와 연계된 피사체방향 정보와 각각 일치하는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사 거리영상을 상기 거리영상저장부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1.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 중 하나 이상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카메라 촬영사진 및 상기 촬영사진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촬영사진의 사진촬영위치 정보 및 피사체방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외부에 구성된 지도데이터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지도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지도데이터 서버로부터 지도데이터를 내려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3.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외부에 구성된 거리영상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거리영상저장부는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거리영상 서버로부터 실사 거리영상을 내려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4.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가 포함된 실사 거리영상을 저장하는 거리영상저장부,
    상기 거리영상저장부에서 임의로 선택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임의의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와 함께 저장하는 제1 그래피티 저장부,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와 함께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통신부,
    외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저장하는 제2 그래피티 저장부,
    카메라, 및
    카메라로부터 입력된 영상에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중첩된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영상중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 및
    카메라의 촬영위치에서 피사체를 향한 방향을 측정하는 방위각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중첩부는:
    상기 위치검출부로부터 수신한 촬영위치 정보와 상기 방위각센서로부터 수신한 피사체방향 정보가 외부로부터 수신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와 각각 미리 설정된 오차범위 이내로 일치하는 때에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6. 제44항에 있어서,
    카메라의 촬영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부와,
    음성 또는 음향을 송출할 수 있는 음향송출부를 더 포함하고,
    카메라의 위치가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에 미리 설정된 범위 이내로 근접하였을 때 상기 GPS좌표데이터에 근접하였음을 알리는 화상 또는 음향을 송출하는 위치근접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카메라의 촬영위치에서 피사체를 향한 방향을 측정하는 방위각센서를 더 포함하고,
    카메라의 피사체방향을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실사 거리영상의 방위데이터와 일치시키기 위한 카메라의 회전방향을 지시하는 화상 또는 음향을 송출하는 회전방향 지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향 지시부가 송출하는 화상 또는 음향이:
    카메라의 피사체방향을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실사 거리영상의 방위데이터와 일치시키기 위한 카메라의 회전각도 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49. 제44항에 있어서,
    지도데이터를 저장하는 지도데이터 저장부, 및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를 상기 지도데이터에 표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매쉬업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매쉬업 표시부는 상기 외부로부터 수신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이 입력된 실사 거리영상의 방위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상기 지도데이터에 표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상기 매쉬업 표시부를 통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된 지도데이터 상에 표시된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매쉬업 표시부는 지도데이터 상에서 선택된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에 대응하는 실사 거리영상을 상기 거리영상저장부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52.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흔들림 또는 이동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속도 센서에서 출력된 가속도 값이 미리 설정된 값 이하일 때에만, 상기 영상중첩부가 그래피티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53.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다른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또는 외부에 구성된 증강현실 서버 중 하나 이상과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상기 실사 거리영상 위에 입력된 문자, 그림 또는 사진 중 하나 이상과, 상기 실사 거리영상의 GPS좌표데이터 및 방위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54.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외부에 구성된 지도데이터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지도데이터 저장부는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지도데이터 서버로부터 지도데이터를 내려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5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통신부가 외부에 구성된 거리영상 서버와 통신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거리영상저장부는 상기 데이터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거리영상 서버로부터 실사 거리영상을 내려받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KR1020100128804A 2010-12-16 2010-12-16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KR201200674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804A KR20120067421A (ko) 2010-12-16 2010-12-16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804A KR20120067421A (ko) 2010-12-16 2010-12-16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421A true KR20120067421A (ko) 2012-06-26

Family

ID=46686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804A KR20120067421A (ko) 2010-12-16 2010-12-16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7421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65786A1 (en) * 2012-10-23 2014-05-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gmented reality tag clipper
KR101410273B1 (ko) * 2012-09-11 2014-06-20 한국과학기술원 증강현실 응용을 위한 환경 모델링 방법 및 장치
KR101511845B1 (ko) * 2013-08-09 2015-04-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감성 앨범 관리를 위한 방법, 감성 앨범 시스템, 촬영 단말기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50062418A (ko) * 2013-11-29 2015-06-08 (주) 유라시아디지털문화유산연구소 실제 길거리에 어우러진 가상 영상 출력 시스템
KR20150079005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제약없는 시공간 위치 기반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240467A1 (en) 2018-06-12 2019-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generating object
KR102122844B1 (ko) * 2019-05-13 2020-06-15 비전플레이스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간판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0273B1 (ko) * 2012-09-11 2014-06-20 한국과학기술원 증강현실 응용을 위한 환경 모델링 방법 및 장치
WO2014065786A1 (en) * 2012-10-23 2014-05-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Augmented reality tag clipper
KR101511845B1 (ko) * 2013-08-09 2015-04-1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감성 앨범 관리를 위한 방법, 감성 앨범 시스템, 촬영 단말기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20150062418A (ko) * 2013-11-29 2015-06-08 (주) 유라시아디지털문화유산연구소 실제 길거리에 어우러진 가상 영상 출력 시스템
KR20150079005A (ko) * 2013-12-31 2015-07-08 주식회사 케이티 제약없는 시공간 위치 기반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9240467A1 (en) 2018-06-12 2019-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generating object
CN112262364A (zh) * 2018-06-12 2021-01-2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生成对象的电子装置和系统
EP3776158A4 (en) * 2018-06-12 2021-05-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OBJECT GENERATION SYSTEM
US11334230B2 (en) 2018-06-12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system for generating 3D object based on 3D related information
KR102122844B1 (ko) * 2019-05-13 2020-06-15 비전플레이스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간판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WO2020230985A1 (ko) * 2019-05-13 2020-11-19 비전플레이스 주식회사 증강 현실을 이용한 간판 시뮬레이션 방법 및 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7029B2 (en) Media tags—location-anchored digital media fo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CN110168478B (zh) 表面识别镜头
US9710554B2 (en) Methods, apparatus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grouping content in augmented reality
JP6259493B2 (ja) 拡張現実において、一定のレベルの情報を提供する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8619152B2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US85439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first-person world view of content
US88129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first person world view of content
KR20120067421A (ko) 증강현실 지능형 모바일 장치
WO2009112088A1 (en) Device,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data recorded with associated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US20110319130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US8661352B2 (en) Method, system and controller for sharing data
US11030787B2 (en) Mobile-based cartographic control of display content
EP2888634A1 (en) Indicating the geographic origin of a digitally-mediated communication
JP2013539090A (ja) 拡張現実において、提案する情報レイヤを自動的に生成する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409644B2 (ja) 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US11812335B2 (en) Position service to determine relative position to map features
CN110070617B (zh) 数据同步方法、装置、硬件装置
US10944905B2 (en) Creation and display of a 360 degree looping video file
AU2011101085B4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data
US2014031690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adverti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