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7054A -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7054A
KR20120067054A KR1020100128461A KR20100128461A KR20120067054A KR 20120067054 A KR20120067054 A KR 20120067054A KR 1020100128461 A KR1020100128461 A KR 1020100128461A KR 20100128461 A KR20100128461 A KR 20100128461A KR 20120067054 A KR20120067054 A KR 20120067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rch
contact
syllable
initial
syll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필규
김희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28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7054A/ko
Publication of KR20120067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0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8Methods of retrieving data by matching character strings

Abstract

본 발명은 초성과 음절이 혼합된 검색어에 의해 컨택트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에 의한 검색 요청 시 상기 검색어의 초성을 기반으로 초성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초성 검색에 따라 검색된 제1컨택트를 임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의 음절을 기반으로 음절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절 검색에 따라 검색된 제1컨택트를 임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의 교집합에 속하는 컨택트를 검색 결과로 도출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SEARCHING CONTACT IN A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초성과 음절이 혼합된 검색어에 의한 컨택트 검색을 지원할 수 있는 검색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각종 휴대단말들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록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단말들은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통신 단말의 경우에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외에도 TV(Television)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재생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사전 기능, 검색 기능 등 각종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래 휴대단말에서는 전체 검색어 또는 초성 검색어에 의해 컨택트(contact) 검색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단말에서는 "홍길동"의 컨택트에 대한 검색 기능을 지원할 시 전체 검색어인 "홍길동"의 문자열에 의한 일반 검색 또는 "ㅎㄱㄷ"과 같이 초성 문자열에 의한 초성 검색 기능만을 지원하고 있다.
따라서 키보드와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를 사용하기 어려운 휴대단말에서 검색을 수행하기 위해 전체 검색어를 입력하는 것은 매우 불편하다. 이러한 불편을 개선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앞서와 같은 초성 검색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초성 검색의 경우 검색어의 길이가 짧으면 짧을수록 무관한 검색 결과가 너무 많이 검색되어 검색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강남역"을 초성 검색하기 위해 입력된 검색어 "ㄱㄴㅇ"을 통한 검색 시 그 결과로서 "가나용역(ㄱㄴㅇㅇ)", 가나안무역(ㄱㄴㅇㅁㅇ)", "강나영(ㄱㄴㅇ)", "강남역" 등과 같이 검색하고자 하는 "강남역" 외에 전혀 무관한 검색 결과까지 포함되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혼합형 검색어에 의한 컨택트 검색을 지원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단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에서 불필요한 검색 결과를 많이 발생시키는 초성 검색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반 검색과 초성 검색의 장점을 취하고 단점을 줄여 컨택트 검색의 성능 및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절과 초성으로 조합된 혼합형 검색에 의해 최적의 검색 환경을 지원함으로써 휴대단말의 사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에 의한 검색 요청 시 상기 검색어의 초성을 기반으로 초성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초성 검색에 따라 검색된 제1컨택트를 임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의 음절을 기반으로 음절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절 검색에 따라 검색된 제1컨택트를 임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의 교집합에 속하는 컨택트를 검색 결과로 도출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초성 검색은 상기 검색어에서 음절을 이루는 초성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초성을 기반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절 검색은 상기 음절과 상기 초성이 조합되는 형식에 따라 그와 일치하는 컨택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절 또는 초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1컨택트를 실시간 검색하여 나타내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음절과 적어도 하나의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에 따라 검색된 제2컨택트를 나타내는 과정과, 상기 제2컨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최종 검색 요청이 있을 시 상기 제2컨택트에서 상기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형식에 따라 그와 일치하는 컨택트를 최종 검색결과로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방법을 프로세서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컨택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검색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를 검색창에 나타내는 표시부와, 컨택트를 저장하고, 상기 컨택트 저장 시 그의 초성을 함께 저장하는 저장부와,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에 따라 컨택트 검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내용들은 당해 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들 및 기술적인 장점들을 다소 넓게 약술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 및 장점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청구범위의 주제를 형성하는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장점들이 후술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에 의한 컨택트 검색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시 검색어의 입력 횟수를 줄이면서 검색어에 따른 검색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컨택트 검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초성 검색 시 발생되는 불필요한 검색 결과를 최소화하여 그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검색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형태의 휴대단말에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음절과 초성의 혼합형 검색어에 의한 검색 기능을 지원하여 휴대단말에서의 컨택트 검색에 따른 최적의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단말의 컨택트 검색에 따른 사용성, 편의성 및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휴대단말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기능을 운용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검색 기능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기능을 운용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들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즉,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휴대단말에서 검색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휴대단말에서 음절과 초성이 혼합된 검색어에 의한 컨택트 검색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음절과 초성이 혼합된 혼합형 검색에 의한 컨택트 검색 시 음절과 초성의 검색어에 따른 문자열의 글자 수에 맞추어 검색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종래의 초성 검색에 의한 불필요한 검색 결과가 나타나는 것과 일반 검색에 의한 검색어 입력의 불편한 단점을 줄이면서 검색 결과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음절은 "모음"으로 된 음절, "자음+모음"으로 된 음절, "모음+자음"으로 된 음절, "자음+모음+자음"으로 된 음절 등을 대표하는 용어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초성은 글자의 처음에 나타나는 자음을 비롯하여, 무음의 "ㅇ"을 포함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동작 제어 방법에 대하여 하기 도면들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 및 그의 제어 방법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표시부(100), 저장부(200), 그리고 제어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밖에도 상기 휴대단말은 마이크(microphone)와 스피커(speaker)를 구비하는 오디오처리부, 디지털 방송(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의 수신과 재생을 수행하기 위한 디지털 방송모듈,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을 위한 카메라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블루투스 통신모듈, 이동통신 기능 또는 인터넷 통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넷 통신모듈, 터치 기반의 입력을 위한 터치패드, 물리적인 키 입력을 지원하는 입력부,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들에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battery)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그들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휴대단말의 홈스크린(home screen)을 비롯하여, 휴대단말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메시지 기능, 전자메일 기능, 인터넷 기능, 검색 기능, 통신 기능, 전자책(예컨대, e-book) 기능, 사진/동영상 촬영 기능, 사진/동영상 재생 기능, 이동 방송 재생 기능, 음악 재생 기능, 게임 기능 등의 실행화면을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00)는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ED), 능동형 OLED(AMOLED, Active Matrix OLED) 등과 같은 다른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100)는 앞서와 같은 실행화면(특히, 검색 모드에서 입력되는 텍스트 등)을 표시할 때 상기 휴대단말의 회전 방향(또는 놓인 방향)에 따라 가로모드를 제공하거나 또는 세로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앞서와 같은 실행화면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사용자 인터랙션을 입력받아 그의 입력신호를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 기반의 입력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00)는 터치스크린(touchscreen) 구성에 의해 터치 기반의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을 지원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랙션 입력에 따른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실행되고 처리되는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며, 하나 이상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으며, 상기 휘발성 메모리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에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운영체제, 상기 표시부(100)의 표시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상기 표시부(100)를 이용한 입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휴대단말의 검색 기능 제어 동작과 관련된 프로그램과 데이터 등을 지속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저장부(200)는 검색 기능 수행 중 초성 검색에 의해 도출된 제1결과에 따른 제1컨택트와 음절 검색에 의해 도출된 제2결과에 따른 제2컨택트를 임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저장부(200)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컨택트를 저장하는 컨택트 저장부(300)와, 상기 컨택트 저장 시 해당 컨택트에 대한 컨택트 정보(예컨대, 이름, 닉네임 등)에 대해 추출된 초성을 저장하는 초성 저장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500)는 본 발명의 검색 기능 운용과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폰북(phone-book)에서 컨택트 검색 시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혼합형 검색어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혼합형 검색어를 파싱하고 그에 대응하는 컨택트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혼합형 검색어의 문자열에서 초성과 음절을 구분하고, 초성에 의한 검색과 음절에 의한 검색을 각각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상기 음절에 의한 검색 시 검색어의 문자열에 따른 글자 수에 맞추어 검색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500)의 제어 동작에 대해 후술하는 휴대단말의 동작 예시 및 그의 제어 방법에서 설명될 것이다.
그 밖에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휴대단말의 통상적인 기능과 관련된 각종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500)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의 운용 및 데이터 표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터치 기반의 입력 인터페이스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입력 방식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기능 운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00)는 유성통신 기반 또는 무선통신 기반으로 각종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플립 타입 등 모든 타입의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컨택트 검색 기능을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에 대응되는 각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태블릿 PC(Personal Computer), 스마트 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 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게임단말 등의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기능을 운용하는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2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폰북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관련 데이터(예컨대, 다수개의 컨택트들로 이루어진 컨택트 리스트)가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사용자는 참조번호 <201>과 같은 상태에서 컨택트 검색을 위한 소정의 조작을 통해 검색 기능을 활성활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검색창(600) 상에 터치 기반의 인터랙션을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참조번호 <2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컨택트 검색을 위한 검색 모드를 활성화하여 관련 화면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참조번호 <2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색어가 입력되어 나타나는 검색창(600)에 커서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는 가상키패드(700)를 상기 컨택트 리스트 상에 오버레이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203>과 같은 상태에서 소정 컨택트 검색을 위한 소정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전체 검색어, 초성 검색어,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혼합형 검색어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검색어를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홍길동"이라는 컨택트를 검색하고, 검색어로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혼합형 검색어가 입력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205> 내지 참조번호 <2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홍길동"의 컨택트 검색을 위하여 "홍ㄱㄷ", "ㅎ길ㄷ", "ㅎㄱ동"과 같이 "홍길동" 문자열에 대응되는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문자열을 검색어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도 2에서는 "홍길동" 문자열에서 하나의 음절과 둘 이상의 초성이 입력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홍길ㄷ", "ㅎ길동", "홍ㄱ동"과 같이 둘 이상의 음절과 하나 이상의 초성이 조합된 형태로의 검색어 입력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외에도 그의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였으나, 본 발명은 초성 검색, 일반 검색 모두를 지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에에서 음절과 초성의 조합에 의한 혼합형 검색어의 형태는 참조번호 <205> 내지 참조번호 <20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부(예컨대, "홍"의 자리), 중간부(예컨대, "길"의 자리), 종단부(예컨대, "동"의 자리) 중 사용자 편의에 따라 음절 및 초성을 임의대로 입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참조번호 <205> 내지 참조번호 <209>와 같이 사용자가 소정의 검색어를 입력한 후 그의 검색을 요청할 시 해당 검색어의 문자열(예컨대, 참조번호 <205>의 "홍ㄱㄷ", 참조번호 <207>의 "ㅎ길ㄷ" 또는 참조번호 <209>의 "ㅎㄱ동")에서 음절(예컨대, 참조번호 <205>의 "홍", 참조번호 <207>의 "길" 또는 참조번호 <209>의 "동")과 초성(예컨대, "ㅎㄱㄷ")을 기반으로 컨택트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성 추출은 상기 검색어에서 음절(예컨대, "홍")을 이루는 초성(예컨대, "홍"의 초성 "ㅎ")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초성(예컨대, "ㄱㄷ")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미리 저장된 컨택트들의 초성들에서 상기 추출된 초성(예컨대, "ㅎㄱㄷ")에 대응하는 컨택트를 검색 및 추출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일차적으로 초성을 이용한 검색(이하, 초성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초성 검색은 상기 음절(예컨대, "홍")을 이루는 초성(예컨대, "홍"의 초성 "ㅎ")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초성(예컨대, "ㄱㄷ")을 기반으로 검색된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미리 저장된 컨택트들에서 음절(예컨대, 참조번호 <205>의 "홍", 참조번호 <207>의 "길" 또는 참조번호 <209>의 "동")과 해당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열에서 초성들의 형식(예컨대, 참조번호 <205>의 "홍**", 참조번호 <207>의 "*길*", 참조번호 <209>의 "**동")에 대응하는 컨택트를 검색 및 추출하여 일시 저장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500)는 이차적으로 음절과 초성이 조합되는 형식에 따라 그와 일치하는 컨택트를 검색하는 음절을 이용한 검색(이하, 음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음절 검색을 일차적으로 수행하고 초성 검색을 이차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500)는 초성 검색과 음절 검색에 따라 도출되어 저장된 각 컨택트들에서 교집합에 속하는 소정의 컨택트를 최종 결과로서 도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500)는 음절과 초성으로 이루어진 검색어에 대응되는 컨택트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참조번호 <2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와 같은 절차에 의해 도출된 컨택트에 대한 검색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참조번호 <211>에서는 검색창(600)의 검색어를 간소화(예컨대, "ㅇㅇㅇ")하여 나타내었으나, 실제 나타나는 형태는 참조번호 <205> 내지 참조번호 <209>와 같은 형태 중 사용자 입력 방식에 대응하는 어느 하나의 형태가 검색창(600)에 나타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저장된 컨택트들에서 초성 검색 및 음절 검색을 개별 수행하는 형태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초성 검색으로 도출된 컨택트들 내에서 음절 검색을 수행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음절 검색으로 도출된 컨택트들 내에서 초성 검색을 수행하여 최종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검색 기능 운용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특히, 도 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에 따른 검색어가 음절과 초성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혼합형 검색어인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00)는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검색 모드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30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폰북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컨택트 리스트가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컨택트 검색을 위한 검색 모드를 활성화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검색 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검색어의 문자열을 검색창(600)에 입력하여 나타낼 수 있다(303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사용자의 검색 요청을 감지하면(305단계) 상기 검색창(600)에 나타난 검색어를 파싱할 수 있다(307단계).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검색어 파싱에 의하여 상기 검색어의 문자열에서 초성을 추출할 수 있다(309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초성에 의한 검색을 제어할 수 있다(311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폰북의 컨택트들 중 추출된 초성 및 그의 배열(예컨대, "홍ㄱㄷ" 검색어에서 추출된 초성(ㅎㄱㄷ)과 해당 초성의 배열)을 가지는 소정의 컨택트를 검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폰북 기능에 의한 컨택트 저장 시 해당 컨택트의 초성을 추출하여 별도로 저장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홍길동"의 컨택트 저장 시 제어부(500)는 "홍길동" 문자열에서 "ㅎㄱㄷ"을 추출하고 이를 "홍길동"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초성정보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초성 저장부(400)에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초성 검색에 의해 검색된 결과정보를 제1결과로서 임시 저장할 수 있다(31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폰북의 컨택트들에서 초성이 "ㅎㄱㄷ"의 배열로 이루어진 컨택트를 검색하고 그에 따라 검색된 컨택트(제1컨택트)를 제1결과로서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검색어의 문자열에서 음절을 추출할 수 있다(315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음절에 의한 검색을 제어할 수 있다(317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폰북의 컨택트들 중 추출된 하나 이상의 음절(예컨대, "홍ㄱㄷ"에서 추출된 음절 "홍")을 가지는 소정의 컨택트를 검색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00)는 해당 음절이 상기 검색어의 문자열에서의 위치와 상기 문자열에서 초성의 형식을 기반으로 음절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시로, "홍ㄱㄷ"에서 음절 "홍"을 추출할 시 상기 문자열에서 "홍"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절 "홍"이 시작부에 해당함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문자열에서 음절 "홍"을 제외한 초성들의 형식(글자 수 및 위치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글자 뒤로 2개의 글자들로 이루어진 형식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00)는 컨택트들 중에서 "홍"으로 시작하며 "홍**"과 같이 음절 뒤로 2글자로 이루어진 컨택트를 검색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ㅎ길ㄷ"에서 음절 "길"을 추출할 시 상기 문자열에서 "길"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절 "길"이 중간부에 해당함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문자열에서 음절 "길"을 제외한 초성들의 형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간부의 음절을 중심으로 해당 음절 앞에 1개 글자와 해당 음절 뒤에 1개 글자로 이루어진 형식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00)는 컨택트들 중에서 중간 글자로 "길"을 가지며 "*길*"과 같이 음절 앞뒤로 각각 1개씩의 글자로 이루어진 컨택트를 검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검색어가 "홍ㄱ동"과 같은 경우 상기 "홍ㄱ동"에서 음절 "홍"과 "동"을 추출하고, 상기 문자열에서 "홍"과 "동"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절 "홍"이 시작부에 해당하고 "동"이 종단부에 해당함을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500)는 문자열에서 음절 "홍"과 "동"을 제외한 초성들의 형식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작부 음절과 종단부 음절 사이에 1개의 글자로 이루어진 형식임을 인지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00)는 컨택트들 중에서 "홍"으로 시작하여 "동"으로 끝나며 "홍*동"과 같이 음절 사이에 1개의 글자로 이루어진 컨택트를 검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음절에 의한 검색에 따라 검색된 결과정보를 제2결과로서 임시 저장할 수 있다(319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폰북의 컨택트들에서 첫 글자가 "홍"이고 그의 뒤로 2개의 글자들로 이루어진 컨택트를 검색하고 그에 따라 검색된 컨택트(제2컨택트)를 제2결과로서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상기 제1결과에 따른 제1컨택트와 상기 제2결과에 따른 제2컨택트를 비교할 수 있다(321단계). 그리고 제어부(500)는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 비교에 의하여 제3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323단계). 예를 들어, 제어부(440)는 제1컨택트와 제2컨택트에서 일치되는 컨택트(예컨대, 제1컨택트와 제2컨택트의 교집합에 속하는 컨택트)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추출된 제3결과를 기반으로 결과정보를 생성하여 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325단계). 예를 들어, 앞서 도 2의 참조번호 <2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절과 초성으로 조합된 검색어에 의한 검색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3에서는 제1결과의 제1컨택트와 제2결과의 제2컨택트 중 일치하는 컨택트를 입력된 검색어에 대한 결과정보로 제공하는 예시를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도 3에서 제2결과의 제2컨택트 검색 시 제1결과의 제1컨택트에서 음절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여 제3결과를 바로 도출할 수도 있다. 또는 음절 검색에 의해 도출된 제2결과의 제2컨택트에서 초성에 의한 검색을 수행하여 제3결과를 바로 도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검색 방식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기능을 운용하는 다른 동작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 4는 사용자의 검색 기능 편의를 위한 본 발명의 확장된 형태의 검색 기능 운용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참조번호 <40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컨택트들에 대한 컨택트 리스트 상에 컨택트 검색을 위한 검색 관련 화면이 나타난 상태를 가정한다. 이때, 상기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가상키패드(700)는 생략한 상태로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도 4에서는 사용자는 "홍길동"의 컨택트를 검색하되, 검색어로서 시작부로 "홍" 음절을 입력하고, 중간부로 "ㄱ" 초성을 입력하고, 종단부로 "ㄷ" 초성을 순차적으로 입력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1>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홍길동"의 컨택트를 검색하기 위하여 첫 글자로 "홍"의 음절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00)는 폰북의 컨택트들 중 첫 글자가 "홍"으로 시작하는 컨택트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컨택트를 리스트(이하, 제1리스트)로 구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번호 <403>에 나타나 있다. 참조번호 <40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글자가 "홍"으로 시작하는 다수의 컨택트들이 검색되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두 번째 글자로 "길"의 초성 "ㄱ"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00)는 상기 제1리스트의 컨택트들 중 두 번째 글자가 "ㄱ"의 초성을 포함하는 컨택트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컨택트를 리스트(이하, 제2리스트)로 구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번호 <405>에 나타나 있다. 참조번호 <40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글자가 "홍"으로 시작하고 두 번째 글자가 "ㄱ"의 초성을 포함하는 다수의 컨택트들이 검색되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참조번호 <405>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세 번째 글자로 "동"의 초성 "ㄷ"을 입력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500)는 상기 제2리스트의 컨택트들 중 세 번째 글자가 "ㄷ"의 초성을 포함하는 컨택트를 검색하여 추출하고, 추출된 컨택트를 리스트(이하, 제3리스트)로 구성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예시가 참조번호 <407>에 나타나 있다. 참조번호 <4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글자가 "홍"으로 시작하고 두 번째 글자가 "ㄱ"의 초성을 포함하며 세 번째 글자가 "ㄷ"의 초성을 포함하는 컨택트들이 검색되어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40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홍기덕 사장"과 "홍길동"의 컨택트가 검색되어 나타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참조번호 <407>과 같이 "홍길동"의 컨택트를 포함하여 소정의 다른 컨택트가 함께 검색될 시 선택적으로 최종 검색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음절 또는 초성 입력에 대응하여 컨택트들이 실시간 검색되어 나타나며, 사용자의 검색어가 모두 입력된 상태에서도 다수개의 컨택트들이 검색될 시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최종 검색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 4에서는 그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참조번호 <407>과 같은 상태에서 최종 검색 실행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최종 검색 실행은 미리 설정된 터치 기반의 인터랙션 입력에 의해 실행되거나, 또는 미리 정의된 메뉴 조작에 의해 해당 기능 실행을 항목을 선택하는 입력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500)는 앞서와 같이 최종 검색 명령이 입력되면 검색어인 "홍ㄱㄷ"의 형식을 체크하고 상기 제3리스트에서 상기 검색어의 형식과 일치하는 컨택트를 검색하여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00)는 검색어인 "홍ㄱㄷ"에 따라 "홍**" 형식을 만들고, 이를 기반으로 "홍" 음절 뒤로 두 개의 글자들로 이루어진 컨택트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500)는 상기 제3리스트에서 "홍"을 포함하되 세 자리의 글자 수를 가지는 컨택트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종 결정된 컨택트의 결과정보의 예시가 참조번호 <409>에 나타나 있다. 즉, 제어부(500)는 참조번호<407>과 같이 "홍기덕 사장"과 "홍길동"의 컨택트가 나타난 상태에서 최종 검색 요청이 있을 시 상기 "홍기덕 사장"과 "홍길동"의 컨택트에서 적어도 하나의 음절(예컨대, "홍")과 적어도 하나의 초성(예컨대, "ㄱㄷ")이 조합된 형식(예컨대, "홍**")에 따라 그와 일치하는 컨택트(예컨대, "홍길동")를 최종 검색결과로 도출하여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검색 기능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상기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로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표시부 200: 저장부
300: 컨택트 저장부 400: 초성 저장부
400: 제어부 600: 검색창
700: 가상키패드

Claims (12)

  1.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를 입력받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에 의한 검색 요청 시 상기 검색어의 초성을 기반으로 초성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초성 검색에 따라 검색된 제1컨택트를 임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검색어의 음절을 기반으로 음절 검색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음절 검색에 따라 검색된 제2컨택트를 임시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의 교집합에 속하는 컨택트를 검색 결과로 도출하여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성 검색은
    상기 검색어에서 음절을 이루는 초성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초성을 기반으로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 검색은
    상기 음절과 상기 초성이 조합되는 형식에 따라 그와 일치하는 컨택트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 검색은 상기 초성 검색에 따른 제1컨택트에서 상기 음절과 상기 초성의 조합과 일치되는 형식의 컨택트를 검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절 검색을 상기 초성 검색 이전에 수행하여 제2컨택트를 검색하고, 검색된 제2컨택트에서 상기 초성 검색에 대응하는 컨택트를 검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6.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에 있어서,
    음절 또는 초성 입력에 대응하는 제1컨택트를 실시간 검색하여 나타내는 과정과,
    적어도 하나의 음절과 적어도 하나의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에 따라 검색된 제2컨택트를 나타내는 과정과,
    상기 제2컨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최종 검색 요청이 있을 시 상기 제2컨택트에서 상기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형식에 따라 그와 일치하는 컨택트를 최종 검색결과로 나타내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7. 휴대단말에 있어서,
    컨택트 리스트를 표시하고, 검색모드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른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를 검색창에 나타내는 표시부와,
    컨택트를 저장하고, 상기 컨택트 저장 시 그의 초성을 함께 저장하는 저장부와,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에 따라 컨택트 검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컨택트를 저장하는 컨택트 저장부와,
    상기 컨택트 저장 시 해당 컨택트에 대한 컨택트 정보에 대해 추출된 초성을 저장하는 초성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색어에서 음절을 이루는 초성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초성을 기반으로 하는 초성 검색과, 상기 음절과 상기 초성이 조합되는 형식에 따라 그와 일치하는 컨택트를 검색하는 음절 검색의 조합에 의해 컨택트 검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에 의한 검색 요청 시 상기 초성 검색에 의해 제1컨택트를 검색하여 임시 저장하고, 상기 음절 검색에 의해 제2컨택트를 검색하여 임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컨택트와 상기 제2컨택트의 교집합에 속하는 컨택트를 최종 검색 결과로 도출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음절 또는 초성 입력에 따라 실시간 검색된 제1컨택트의 표시를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의 음절과 적어도 하나의 초성이 조합된 검색어에 따라 검색된 제2컨택트의 표시를 제어하며,
    상기 제2컨택트가 표시된 상태에서 최종 검색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제2컨택트에서 상기 음절과 초성이 조합된 형식에 따라 그와 일치하는 컨택트를 최종 검색결과로 도출하여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KR1020100128461A 2010-12-15 2010-12-15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 KR201200670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461A KR20120067054A (ko) 2010-12-15 2010-12-15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461A KR20120067054A (ko) 2010-12-15 2010-12-15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054A true KR20120067054A (ko) 2012-06-25

Family

ID=4668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461A KR20120067054A (ko) 2010-12-15 2010-12-15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705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722B1 (ko) 듀얼 표시부를 가지는 휴대단말 및 그 표시부의 표시 제어 방법
US114612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arch function in touch-sensitive device
KR101921203B1 (ko) 녹음 기능이 연동된 메모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682579B1 (ko) 터치 단말에서 문자 입력기 제공 방법 및 장치
US9348554B2 (en) Managing playback of supplemental information
US1082426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keypad in a portable terminal
KR102039553B1 (ko)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입력 문자를 이용한 지능형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746052B1 (ko) 휴대단말에서 전자책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02362252A (zh) 用于基于触摸的文本输入的系统和方法
KR20110123933A (ko) 휴대단말의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10070338A (ko) 휴대단말의 외부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30034747A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20048886A (ko) 웹 페이지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20057799A (ko) 휴대단말에서 사전 기능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30054229A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multiple recording of data
KR102023157B1 (ko)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음성 녹음 및 재생 방법 및 장치
CN106448702A (zh) 一种录音数据处理装置、移动终端及方法
KR20120054191A (ko) 휴대단말에서 전자책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080068495A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입력방법
KR20120067054A (ko) 휴대단말에서 컨택트 검색 방법 및 장치
EP27171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telligent service using inputted character in a user device
US2015005696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notifications of the electronic device
KR20120075623A (ko) 단어 학습 방법 및 그 장치
KR20110088094A (ko) 휴대단말에서 컬러 설정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