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283A -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283A
KR20120066283A KR1020100127539A KR20100127539A KR20120066283A KR 20120066283 A KR20120066283 A KR 20120066283A KR 1020100127539 A KR1020100127539 A KR 1020100127539A KR 20100127539 A KR20100127539 A KR 20100127539A KR 20120066283 A KR20120066283 A KR 20120066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ace
display device
unit
video signal
inte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제이엔지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제이엔지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제이엔지오에이
Priority to KR102010012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66283A/ko
Publication of KR20120066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09G5/006Details of the interface to the display termi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제1인터페이스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제2인터페이스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비디오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는 제1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신호를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본체의 고장 발생 빈도를 최소화하며, 결과적으로 컴퓨터의 관리 비용도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Portable terminal having computing process function and method for computing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가 가능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늘어나고 컴퓨터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도서관, 학교, 학원, 공공기관 등 다양한 공익 단체 또는 민간 단체에도 여러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는 다량의 공용 컴퓨터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공용 컴퓨터를 구비한 단체들 또는 개인들은 사용자들에게 컴퓨터의 기본 사용 능력을 학습시키거나, 무료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쉽게 컴퓨터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다시 말하면, 컴퓨터의 사용이 미숙한 사용자가 수시로 컴퓨터를 사용하거나 여러 사용자들이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일한 컴퓨터를 다수의 사용자가 사용하게 되는 상황에 의해 컴퓨터가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고장이 발생하는 빈도도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개인 컴퓨터의 모니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컴퓨터의 본체 역할을 대체함으로써 공용 컴퓨터의 바이러스 감염률과 고장 발생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개인 컴퓨터의 모니터와 직접 연결되어 소형 컴퓨터 역할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장치의 컴퓨팅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1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비디오신호를 전송하는 제2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의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컴퓨팅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신호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에 의하면, USB 포트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하고 HDMI 포트를 통해 모니터에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나 컴퓨팅이 가능한 동글 타입의 소형 컴퓨팅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각종 교육장소 또는 공중 이용 장소에 USB 포트와 HDMI 포트를 구비한 모니터만 설치한 후 정보처리를 위한 컴퓨팅 장치로서 각 개인이 보유하고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컴퓨팅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컴퓨터 본체와 모니터를 모두 설치한 경우와 비교할 때 개인정보의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고, 컴퓨터 본체의 고장 및 바이러스 감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각각의 교육기관 또는 공공기관 등은 모니터만 보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컴퓨터의 설치 및 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를 포함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에서 유선 USB 규격을 채용한 제1IF부의 내부 단자 라인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USB 장치가 모니터에 연결되는 일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컴퓨팅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한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100)는 통신 규격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 또는 컴퓨터의 본체에 착탈가능한 단말기이다. 휴대용 장치(100)는 다양한 운영체제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소형 컴퓨터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휴대용 장치(100)가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경우, 휴대용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게 오디오신호 및 비디오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장치(100)는 제1인터페이스(IF: Interface)부(110), 전원부(115), 제2IF부(120), 무선 통신부(130), 저장부(140), 신호 처리부(150) 및 제어부(160)를 구비한다.
제1IF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컴퓨터의 모니터, TV 등 영상표시가 가능한 장치이다. 제1IF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유선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연결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직접 착탈될 수 있다.
제1IF부(110)가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경우, 제1IF부(110)와 디스플레이 장치(10)는 무선 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을 송수신하는 기술은 주지된 다양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1IF부(110)는 신호 처리부(150)에서 신호처리된 오디오신호, 명령어 등 다양한 포맷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게 전송한다. 제1IF부(110)는 다양한 통신 규격 중 하나를 채용할 수 있으며, 통신 규격의 예로 유선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 또는 무선 USB 규격을 들 수 있다. 제1IF부(110)가 유선 USB 규격을 지원하는 경우, 제1IF부(1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에 착탈가능하다. USB는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 데 쓰이는 입출력 표준 가운데 하나로서, 대표적인 USB 버전으로서 USB 1.0, USB 1.1, USB 2.0, USB 3.0 등이 있다.
도 2는 유선 USB 규격을 채용한 제1IF부의 내부 단자 라인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IF부(110)의 내부 단자는 전원 라인(111), 데이터 송수신 라인(112, 113) 및 접지 라인(114)을 구비한다. 전원 라인(111)은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수신하며, 데이터 송수신 라인(112, 113)은 디스플레이 장치(10)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며, 접지 라인(114)은 접지 역할을 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전원부(115)는 제1IF부(11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제공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용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충전하며, 휴대용 장치(100)에게 전원을 공급한다.
제2IF부(120)는 신호 처리부(150)에서 표시가능한 형태로 신호처리된 비디오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게 전송한다. 제2IF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와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되거나 또는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유선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선택적으로 제2IF부(120)는 오디오신호도 디스플레이 장치(1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제2IF부(120)는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을 지원하는 단자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HDMI 규격은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오디오 인터페이스 규격 중 하나이다.
무선 통신부(1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 및 외부 전자기기(20)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무선 통신부(130)는 3G 또는 4G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망과, WiBro(Wireless Broadband),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Wi-Fi 등 다양한 무선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외부 전자기기(20)와 통신하거나,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기기(20)와 통신하며, 이는 일 예로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외부 전자기기(2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무선 키보드, 무선 마우스, 무선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개인 컴퓨터 및 운영체제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 등 무선 통신이 가능한 주변기기들 중 적어도 하나이다. 일 예로, 외부 전자기기(20)가 무선 키보드인 경우, 사용자는 무선으로 연결된 키보드를 조작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동영상, 정지 영상의 표시를 요청하며, 무선 통신부(130)는 무선 키보드로부터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또 다른 예로, 외부 전자기기(20)가 개인 컴퓨터이며, 개인 컴퓨터의 사용자는 선생님, 휴대용 장치(100)의 사용자는 학생인 경우, 선생님은 수업에 필요한 자료 컨텐츠를 무선 통신을 통해 휴대용 장치(100)에게 전송한다. 휴대용 장치(100)는 개인 컴퓨터로부터 수신된 자료 컨텐츠를 제2IF부(120)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하며, 이로써, 학생은 수업에 필요한 자료를 확인한다.
저장부(140)는 휴대용 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필요한 제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드라이버, 명령어, 데이터, 동영상, 정지영상 등 다수의 데이터를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메모리이다. 저장부(140)는 다수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복수 개의 저장 매체를 포함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저장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휴대용 장치(100)의 구동을 위하여 비휘발성 메모리와 휘발성 메모리로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할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를 전송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각각 제1IF부(110) 및 제2IF부(120)로 출력한다. 또한, 신호 처리부(150)는 외부 전자기기(20)로부터 제공받은 외부 오디오신호와 외부 비디오신호도 전송가능한 형태로 변환한 후 각각 제1IF부(110) 및 제2IF부(120)로 출력한다.
제어부(160)는 휴대용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60)는 제1IF부(110)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전원부(115)를 제어하여 충전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게 전송하도록 제1IF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2IF부(120)를 통해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10)에게 비디오신호를 전송하도록 제2IF부(12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전원이 공급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비디오신호를 제2IF부(120)를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한다. 전송되는 비디오신호는 예를 들어, 운영체제가 부팅되는 동안 보여지는 부팅 화면, 부팅이 완료되면 운영체제에서 제공하는 바탕 화면, 또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파일 중 그래픽을 구현하기 위한 비디오신호 등 다양하다.
또한, 제어부(160)는 무선 통신부(130)로부터 사용자가 외부 전자기기(20)를 통해 요청한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동영상 파일의 재생을 요청하면, 제어부(160)는 동영상 파일의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를 신호처리하도록 신호 처리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60)는 신호처리된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를 각각 디스플레이 장치(10)로 전송하도록 제1IF부(110)와 제2IF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무선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 전자기기(20)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비디오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게 전송하도록 제2IF부(120)를 제어한다.
한편, 휴대용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7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70)는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점선으로 도시된다. 사용자 입력부(170)는 휴대용 장치(100)의 케이스 외부에 마련되며, 제어부(1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사용자 입력부(170)는 사용자로부터 저장부(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파일의 리스트 표시 요청을 입력받는다. 또는, 사용자 입력부(170)는 전원의 온 오프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70)로부터 리스트 표시 요청이 수신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파일의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게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제2IF부(12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70)의 기능은 소정 개수 내로 제한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170)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70)가 설정된 시간 동안 푸쉬되면,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부(170)에 적용할 수 있는 기능 리스트를 디스플레이 장치(10)에 표시하고, 표시된 기능 리스트 중 사용자가 선택한 기능을 사용자 입력부(170)에 적용할 수 있다. 즉, 휴대용 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70)의 단축 기능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는 휴대가 간편한 소형 컴퓨터로서, 가로, 세로 및 두께가 각각 5㎝, 10㎝ 및 1.5㎝의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가 일반적인 휴대전화기 정도의 크기 정도임을 의미하며, 따라서 컴퓨터로서의 기본적인 성능을 보장하면서 제조원가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USB 장치가 모니터에 연결되는 일 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장치(300)의 제3IF부(310)는 모니터(400)의 제4IF부(410)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며, 제5IF부(320)는 케이블(321)을 통해 모니터(400)의 제6IF부(420)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휴대용 장치(300)의 오디오신호는 제3IF부(310) 및 제4IF부(410)를 경유하여 모니터(400)에 구비된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또한, 휴대용 장치(300)의 비디오신호는 제5IF부(320), 케이블(321) 및 제6IF부(420)를 경유하여 모니터(400)의 화면에 표시된다. 선택적으로, 오디오신호는 휴대용 장치(300)와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출력될 수 있다. 특히, 동영상의 비디오신호는 모니터(400)로 전송되어 표시되고 동영상의 비디오신호는 외부 스피커(미도시)를 통해 출력되는 경우, 휴대용 장치(300)의 제어부(미도시)나 신호처리부(미도시)는 동영상의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동기화한 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장치(300)는 노트북(510) 및 외장 키보드(520)와 무선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노트북(510)의 경우, 휴대용 장치(300)는 인터넷망을 통해 노트북(510)과 통신할 수 있다. 모니터(400)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10), 제3IF부(310)와 제5IF부(320)는 각각 도 1의 제1IF부(110)와 제2IF부(120), 노트북(510) 및 외장 키보드(520)는 도 1의 외부 전자기기(20)일 수 있으므로, 상세한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장치의 컴퓨팅 처리 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에서 컴퓨팅 처리 방법을 수행하는 주체로서의 휴대용 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휴대용 장치(100)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장치는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S400). 제1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유선 또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USB 규격을 지원하며, 제2인터페이스는 HDMI 규격을 지원한다. 제2인터페이스는 케이블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되거나 무선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휴대용 장치는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S410). 휴대용 장치는 부팅하는 동안 부팅신호를 제1인터페이스 및 제2인터페이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한다(S420). 부팅신호가 영상을 포함하는 경우, 부팅신호의 커맨드, 데이터는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되며, 영상은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다. 부팅 동작은 생략가능하다. 부팅이 완료되면, 휴대용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동영상(또는, 정지영상)의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한다(S430). 사용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장 키보드로부터 동영상의 표시를 요청하거나, 휴대용 장치에 마련된 단축키를 통해 요청할 수 있다. 단축키는 도 1의 사용자 입력부(170)일 수 있다.
다음으로 휴대용 장치는 동영상 신호의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를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S440). 신호 처리 후 휴대용 장치는 오디오신호와 비디오신호를 각각 제1인터페이스와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한다(S450).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비디오신호가 표시되며,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가 출력된다. 휴대용 장치의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외부 비디오 신호가 수신되면(S460), 휴대용 장치는 수신된 외부 비디오신호를 표시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S470). 휴대용 장치는 S470단계에서 신호처리된 외부 비디오신호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한다(S480).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된 외부 비디오신호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20: 외부 전자기기
100: 휴대용 장치 110: 제1인터페이스부
115: 전원부 120: 제2인터페이스부
130: 무선 통신부 140: 저장부
150: 신호 처리부 160: 제어부

Claims (15)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제1인터페이스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비디오신호를 전송하는 제2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및 외부 전자기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외부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기기는 무선 키보드, 개인 컴퓨터 및 운영체제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파일의 리스트 표시 요청을 입력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상기 리스트 표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파일의 리스트를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부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부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8. 휴대용 장치의 컴퓨팅 처리 방법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단계; 및
    상기 전원이 공급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비디오 신호를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 및 데이터를 상기 제1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외부 전자기기로부터 무선 통신에 의해 외부 비디오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되는 외부 비디오 신호를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전자기기는 무선 키보드, 개인 컴퓨터 및 운영체제가 탑재된 휴대용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 방법.
  12. 제 8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파일의 리스트 표시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동영상 파일의 리스트를 상기 제2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 방법.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터페이스는 범용 직렬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규격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 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터페이스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규격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팅 처리 방법.
  15. 제 8항 내지 제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컴퓨팅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00127539A 2010-12-14 2010-12-14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 KR20120066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539A KR20120066283A (ko) 2010-12-14 2010-12-14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539A KR20120066283A (ko) 2010-12-14 2010-12-14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283A true KR20120066283A (ko) 2012-06-22

Family

ID=4668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539A KR20120066283A (ko) 2010-12-14 2010-12-14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662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840U (ko) * 2014-01-10 2015-07-20 리앙, 후이-핀 휴대식 통신장치의 프로젝션 키보드
CN105446424A (zh) * 2014-09-19 2016-03-30 鸿庆鑫电声科技有限公司 电脑主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840U (ko) * 2014-01-10 2015-07-20 리앙, 후이-핀 휴대식 통신장치의 프로젝션 키보드
CN105446424A (zh) * 2014-09-19 2016-03-30 鸿庆鑫电声科技有限公司 电脑主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64082B1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02721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ple access to a single hardware data stream
US20180349001A1 (en) Automatic Home Screen Determination Based on Display Device
US2015006752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content using electronic devices
KR101887883B1 (ko) 통합 모바일 데스크탑
US20120081615A1 (en) Remote control
US10298997B2 (en) Methods for uploading file to television set and playing file, television set and user equipment
EP386934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recognizing external de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1300098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device
CN104423922A (zh) 图像显示装置和数据传送方法
US10284909B2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60035396A (ko) 컴퓨터 시스템
JP6031750B2 (ja) 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535644B2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30135177A1 (en)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program for electronic device
CN110177186B (zh) 显示控制装置、显示控制系统及显示控制方法
TWI777230B (zh) 行動裝置橋接平台
CN110768961A (zh) 用于计算和娱乐装置的移动播放接收器
KR20120066283A (ko) 컴퓨팅 처리가 가능한 휴대용 장치 및 그의 컴퓨팅 처리 방법
CN201820213U (zh) 兼容手机显示功能的显示器
KR101484045B1 (ko) 스마트폰용 다중 디스플레이 장치
US20210311693A1 (en) Sound output device, sound output system, output sound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8423684B2 (en) Display apparatus operated in multiple modes and mode changing method thereof
US20190065131A1 (en) Communication system,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 system
US20090262264A1 (en) Display device providing optional independent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