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6184A - 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6184A
KR20120066184A KR1020100127401A KR20100127401A KR20120066184A KR 20120066184 A KR20120066184 A KR 20120066184A KR 1020100127401 A KR1020100127401 A KR 1020100127401A KR 20100127401 A KR20100127401 A KR 20100127401A KR 20120066184 A KR20120066184 A KR 20120066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erbicid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gapi
paraqu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7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2559B1 (ko
Inventor
이미영
Original Assignee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00127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2559B1/ko
Publication of KR2012006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or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제초제에 의한 세포 DNA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제초제에 의해 유발되는 적혈구의 용혈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이피리딜계 제초제에 의해 유발되는 DJ-1 유전자의 단백질로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SUPPRESSING CYTOTOXICITY BY HERBICIDE CONTAINING ACATHOPANAX EXTRACT}
본 발명은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을 억제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발명이다.
페녹시계 제초제는 전 세계적으로 농업과 원예에서 생산성 증대와 조경을 위하여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들은 환경오염원으로서 식물 호르몬인 옥신(auxin)과 같은 호르몬 성질의 화학제초제로 페녹시계 제초제가 살포된 지역에서 제초제에 노출된 생물체에게 내분비계 장애를 일으킨다. 이들은 난분해성의 인공화합물로 구조적으로 안정하여 자연계에서 분해가 어려워 잔류하거나 생물체 내에 축적되게 된다. 2, 4-디클로로 페녹시아세트산(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는 생분해(biodegradation)에 의해 2,4-디클로로페놀(2,4-dchlorophenol)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클로로페녹시산(chlorophenoxy acid) 류는 주로 호흡이나 피부접촉, 그리고 음식물로 인하여 섭취하는 사이에 체내로 유입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4,5-트리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2,4,5-Trichlorophenoxyacetic acid: 2,4,5-T)는 생물체에 대한 맹독성이 입증되어 사용이 중지되었으나 다른 관련 제초제들은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IARC에서 2B군으로 발암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파라콰트(Paraquat)는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제초제로 식물광합성반응에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ROS)을 생성하여 세포벽과 원형질을 파괴함으로서 제초효과를 나타낸다. 파라콰트는 접촉독력이 높은 비호르몬형 제초제로서 체내에서 SOD 활성저해에 기인한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oxide radical)과 지질 과산화물의 축적, NADPH 의존성 과산화지질의 증가, 생성된 프리 라디칼(free radical)에 의한 헤모글로빈 손상 및 단백질 분해와 세포막과 산화지질의 형성증가로 독성을 나타낸다. 파라콰트는 포유동물 세포 내에서 NADPH와 효소작용에 의하여 파라콰트 라디칼로 환원되어 산소분자와 반응하여 수퍼옥사이드 라디칼을 형성하며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에 의해 촉매되거나 과산화수소로 환원된다. 현재 살충제 등의 환경독소들이 각종 기전을 통하여 도파민성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도하는 것이 증명되고 있다. 또한 가족성 파킨슨병의 원인 유전자 변이와 미토콘드리아 복합체 I 억제제 및 프로테아솜 억제제가 파킨슨병발병에 관여하는 새로운 환경독소로 대두되고 있다.
그래서, 상기 제초제들이 유발하는 세포독성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초제들이 유발하는 세포독성을 억제할 수 있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제초제에 의한 세포 DNA의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고, 제초제에 의해 유발되는 적혈구의 용혈 현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이피리딜계 제초제에 의해 유발되는 DJ-1 유전자의 단백질로의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오가피 원료의 추출 및 분획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2, 4-D 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 DNA 손상에 대해서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오가피 줄기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2, 4, 5-T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 DNA 손상에 대해서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오가피 줄기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파라콰트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 DNA 손상에 대해서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오가피 줄기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오가피 뿌리 추출물에 의한 DJ-1 (PARK 7)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A)는 파라콰트 처리에 의한 DJ-1 단백질 발현 증가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오가피 뿌리 추출물에 의한 DJ-1 단백질 발현 억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2, 4-D에 의해 유발되는 적혈구의 용혈 현상에 대한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오가피 줄기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2, 4, 5-T에 의해 유발되는 적혈구의 용혈 현상에 대한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오가피 줄기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파라콰트에 의해 유발되는 적혈구의 용혈 현상에 대한 에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오가피 줄기 추출물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오가피는 두릅나무(Araliaceae )과의 오가피속에 속하는 낙엽성 활엽관목으로 오가피(Acanthopanax sessiliflorum )와 줄기마다 잔가시가 많이 돋아있는 가시오가피( Acanthopanax senticosus , 일명 'Siberian Ginseng')으로 나뉜다. 오가피속 식물은 세계적으로 주로 동북 아시아와 남아프리카 지역에 분포한다. 대표적인 약리작용으로 진정작용, 항 스트레스작용, 평활근이환 작용, 소염작용, 아나필락시스(anaphylaxis) 억제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신경통, 중풍, 당뇨병, 고혈압, 저혈압, 및 불면증 등에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 애용되어 왔다. 그러나, 제초제에 의한 세포 독성 억제 효과는 본 발명자가 최초로 밝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원료는 두상오갈피 계통의 단경오가피나무, 지리산오가피나무, 서울 오가피나무, 털오가피나무, 참오가피나무, 가시오가피 계통의 가시오가피나무, 왕가시오가피나무, 민가시오가피나무, 개오가피나무, 섬오가피 계통의 섬오가피나무, 오가나무 계통의 당오갈피나무 등의 뿌리, 줄기 및 열매들이 있으며, 이것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가피 추출물은 오가피의 잎, 줄기 또는 뿌리 분획물을 물, 에탄올 및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 중의 어느 하나를 용매로 하여 30분~5시간 냉침 후, 50~120℃에서 추출한 후, 농축 건조하여 얻어질 수 있다. 용매의 중량은 원료 건조 중량의 5~10배이면 좋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초제는 페녹시계 제초제 또는 바이피리딜계 제초제일 수 있다. 상기 페녹시계 제초제는 비제한적인 예로 2, 4-디클로로 페녹시아세트산(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2,4,5-트리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2,4,5-Trichlorophenoxyacetic acid: 2,4,5-T), 4-클로로-2-메틸페녹시아세트산(4-chloro-2-methylphenoxyacetic acid: MCPA), 또는 2-(2,4-디클로로페녹시)프로피온산(2-(2,4-dichlorophenoxy) propionic acid: 2,4-DP) 등을 들 수 있다. 상기바이피리딜계 제초제는 비제한적인 예로 파라콰트(Paraquat)와 다이콰트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업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등의 약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대략 2000mg/kg/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5mg/kg/일 내지 2.5mg/kg/일이다.
유효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오가피 추출물의 제조
오가피를 뿌리, 줄기, 잎으로 분획화한후 각각 물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로 제조하였다. 물 추출시 원료 1kg에 물 7L를 투입하였고 냉침으로 1시간 후 105℃로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그 후 105℃에서 5시간 정도 추출 후 농축기로 농축하였다. 105℃에서 약 16시간 동안 농축한 후 건조하여 오가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도 1).
에탄올 추출시 원료 1kg 당 용매 7L (용매비율 주정 : 물 = 7 : 3)를 투입하였고 그 후 약 3시간 동안 냉침하였다. 냉침 후 65℃에서 5시간 가열하고 65℃에서 약 24시간 농축한 후 건조하여 오가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도 1).
[실시예 2] 코멧 어세이를 위한 림프구 세포 분리
혈액을 채취하여 전혈 400 ㎕와 1×PBS (phosphate-buffered saline) 600 ㎕를 섞어준 뒤 히스토파크(histopaque) 1077 400 ㎕에 underlay하여 원심분리한 뒤 상층의 PBS와 히스토파크의 사이의 림프구 층을 분리하여 1×PBS에 넣고 원심 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뒤 모은 세포에 오가피 줄기를 3,5,8 ug/mL 전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뒤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1×PBS로 세척을 하였다. 2,4-D, 2,4,5-T 그리고 파라콰트 50 uM 넣고 아이스상에 5분 반응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제거하고 1×PBS로 세척을 하였다.
[실시예 3] 코멧 어세이를 이용한 림프구 DNA의 산화적 손상 측정
2,4-D, 2,4,5-T 그리고 파라콰트에 의한 DNA의 손상과 각각의 오가피 처리로 인한 DNA 손상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싱(Singh) 등의 방법을 변형해 코멧 어세이(comet assay)를 실시하였다. 세포를 0.7% 로우 멜팅 아가로스 젤 (LMA) 75 ㎕와 혼합한 후, 1% 노말 멜팅 아가로스 젤 (NMA)로 프리코팅된 슬라이드 위로 세포와 LMA의 현탁액이 잘 분산되게 한 후 커버 글라스로 덮어 4℃에 약 30 분간 보관하였다. Gel이 굳으면 커버 글라스를 제거하고 그 위에 다시 0.7% LMA용액 100 ㎕를 슬라이드 위에 첨가한 후 다시 커버 글라스를 덮어 4℃에서 30 분간 방치하여 젤을 굳혔다. 젤이 굳으면 커버 글라스를 제거하고 암조건에서 냉장 보관해두었던 알칼리 리시스 버퍼(2.5 M NaCl, 100 mM Na2EDTA, 10 mM Tris-HCl, 1% Triton X-100, 10% DMSO, 1% laurylsarcosinate, pH 10)에 담그고, 4℃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켜 세포단백질을 제거하였다. 세포단백질 제거가 끝나면 슬라이드를 alkaline 용액(300 mM NaOH, 10 mM Na2EDTA, pH>13)이 포함된 전기이동 탱크에 넣고 20 분 동안 풀리게(unwinding)시킨 후 25 V, 300 mA에서 20 분간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전기영동 후 슬라이드를 0.4 M Tris-HCl (pH 7.5) 용액으로 3 번씩 세척하여 중성화하였으며 다시 5 분간 고정시켰다.
[실시예 4] 이미지 분석
코멧 이미지 분석을 위해 50 uM 에티디움 브로마이드로 핵을 형광 염색하고 커버 글라스로 덮은 뒤 형광현미경(Leica DM 2000, Germany)을 통해 관찰하였다. CCD 카메라(Hitachi, Japan)로 촬영하여 각 세포의 세포핵 이미지를 Komet 5.5 코멧 이미지 분석 시스템(Kinetic Imaging, UK)으로 분석하였다. 코멧 어세이에 의한 림프구 DNA 손상 정도는 핵으로부터 이동한 DNA 파편의 거리 (tail length, TL) 값에 테일(tail) % DNA를 곱해준 테일 모멘트(tail moment(TM)) 값을 측정하여 나타내었다. 각 시료를 듀플리케이트(duplicate)하여 각 50개씩 총 100 개의 세포에서 DNA 손상 정도를 측정하였다.
독성을 가진 제초제 2,4-D, 2,4,5-T 및 파라콰트 50 uM을 처리 하였을 때 DNA손상이 2,4-D는 약 31로 대조군의 올리브 테일 모멘트(olive tali moment) 7에 비해 약 4배의 손상 증가를 보였고 주정 추출 오가피 줄기를 처리하였을 때 DNA손상의 정도가 3 ug/mL 처리하였을 때는 올리브 테일 모멘트가 약 20, 5 ug/mL과 8ug/mL 약 20과 19로 DNA 손상이 억제되었다 (도 2). 또한 2,4,5-T의 DNA 손상은 약 32로 대조군의 올리브 테일 모멘트 7에 비해 약 4배의 손상 증가를 보였고 주정 추출 오가피 줄기를 3 ug/mL 처리 하였을때는 약 21, 5 ug/mL과 8 ug/mL 또한 DNA 손상이 억제되었다 (도 3). 파라콰트의 DNA 손상은 약 53 으로 가장 손상이 많이 되었고 주정 추출 줄기 3 ug/mL 처리하였을 때는 올리브 테일 모멘트가 약 34 였고, 5 ug/mL 약 30 그리고 8 ug/mL일 때는 약 21 로 DNA 손상이 억제됨을 보였다 (도 4). 이러한 결과는 제초제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을 오가피 줄기 주정 추출물이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5] 파라콰트 처리 및 단백질 정량
세포들을 100 mm 세포 배양 플라스크에 3.0× 106 cells이 되도록 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새 배지에 파라콰트 0.1mM 및 주정추출 오가피 뿌리(0.01%, 0.03%, 0.1%)와 파라콰트 0.1mM을 혼합한 후 파라콰트는 24, 48 시간 동안 산화스트레스를 주었고 파라콰트와 주정 추출 오가피 뿌리 혼합하여 48시간 동안 파라콰트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를 억제 시켰다. 대조군으로 사용된 세포는 파라콰트와 주정추출 오가피 뿌리를 넣지 않은 배지를 넣어주고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를 수확할 때 배지를 먼저 수거한 뒤 세포들을 1× PBS 3ml을 넣고 피펫팅하여 떼어내 수거한 후 e-tube에 넣고 4℃, 10,000 rpm에서 20 분 동안 원심 분리하였다. 수거한 세포에 1% 프로테인 인히비터 칵테일(protein inhibitor cocktail)과 1 mM PMSF가 포함된 RIPA buffer 100 ㎕를 넣어 30 분 동안 얼음에 두면서 10 분마다 약 2 분씩 강하게 볼텍싱하면서 세포를 융해하였다. 융해된 세포 혼합액을 4℃, 12,000 rpm에서 30 분 동안 원심 분리하여 침전된 세포 부산물을 제거한 후 상등액을 얻었다. 얻은 상등액에 대한 단백질 정량은 브래드포드(Bradford) 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표준 단백질로 BSA(bovine serum albumin)를 사용하여 Bio-rad사의 프로테인 어세이 시약 200 ㎕와 BSA를 0-60 ㎎/㎕의 농도로 15 분 동안 반응시킨 후 59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곡선을 작성 후 시료를 동일한 조건으로 측정하여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단백질 농도를 결정하였다.
[실시예 6] 웨스턴 블롯
SDS-폴리아크릴아마이드 젤 전기영동을 각 시료에 대한 단백질 정량 후에 실시하였다. 0.05 M Tris-HCl 완충용액(pH 6.8), 2% SDS, 5% β-mercaptoethanol, 10% glycerol, 0.001% bromophenol blue가 들어있는 샘플 버퍼와 시료를 잘 섞은 후 물에서 중탕하여 5 분간 가열한 후 단백질을 완전히 변성시켰다. 시료와 표준 단백질 시료를 5% 아크릴아마이드로 된 패스트(fast) 겔과 스태킹(stacking) 겔 그리고 10%로 된 세퍼레이팅(separating) 겔을 포함하는 평판 겔에 주입하여 전기이동을 수행하였으며 전개 용매는 192 mM glycine과 10% SDS(w/v)가 포함되어 있는 25 mM Tris-HCl 완충용액(pH 8.3)을 사용하였다. 전압은 100 V로 유지해 주었다. 분리된 단백질을 블로팅 키트에 트랜스퍼 버퍼(192 mM glycine, 25 mM Tris, 20% methanol)를 채운 상태에서 PVDF 멤브레인으로 1 시간 동안 400 mA로 이동시켰다. 이 후 TBST 완충용액으로 5 분간 수세 한 후 5% 탈지용액에 넣어 상온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rabbit anti-human IgG-DJ-1 (1:2,000/5% non-fat milk blocking solution)로 4℃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BST 완충용액으로 10 분씩 3 회 세척 후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anti-rabbit IgG (1:50,000/5% non-fat milk blocking solution)와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BST 완충용액으로 10 분씩 3 회 세척 후멤브레인을 ECL 솔루션 (Amersham)에서 3 분간 반응시킨 후 X-ray 필름에 노출시켜 시그널을 검출하였다. 포지티브 대조군의 검출을 위하여 포지티브 대조군을 이동시킨 또 다른 PVDF 멤브레인에 동일한 수세 과정과 상온에서 5% 탈지용액에 넣어 2 시간 반응시킨 후 anti mouse-human IgG-β-actin(1:3,000 / 5% non-fat milk blocking solution)로 4℃에서 12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BST 완충용액으로 10 분씩 3 회 세척 후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anti-mouse IgG(1:12,000/5% non-fat milk blocking solution)와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TBST 완충용액으로 10 분씩 3 회 세척 후 포지티브 대조군을 ECL 솔루션(Amersham)에서 2 분간 반응시킨 후 X-ray 필름에 노출시켜 시그널을 검출하였다.
제초제인 바이피리딜계 제초제 중의 하나인 파라콰트 사용이 파킨슨병 발병과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져 있긴 하지만, PARK-7으로 알려진 유전자 DJ-1 이 파라콰트에 의해 단백질 발현이 증가하고, 오가피 추출물 처리시 단백질 발현이 억제된다는 것은 본 발명자가 최초로 밝혀낸 것이다. DJ-1은 PARK7 (파킨슨병, 상염색체 열성, 조발성, 7: Parkinson disease, autosomal recessive, early onset,7)으로도 불리며 Gene ID: 11315이다
신경세포에 파라콰트 0.1mM로 24, 48 시간동안 처리하고 주정추출 오가피 뿌리(100, 300, 1000 ug/ml)를 동시에 혼합하여 처리한 DJ-1의 발현 변화를 살펴본 결과 파라콰트를 처리하였을 때 파라콰트 처리 시간에 따라 DJ-1 단백질 밴드가 증가하였다. 반면 주정추출 오가피 뿌리를 파라콰트와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 DJ-1 단백질 밴드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파라콰트에 의한 세포손상이 증가함에 따라 파킨슨 발병과 관련된 DJ-1 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고 오가피뿌리에 의해 DJ-1 단백질의 발현이 감소함을 보여주었다(도 5).
[실시예 7] 적혈구의 분리 및 용혈 활성 측정
실험동물 (쥐,Sprague-Dawley rat, Samtako Co., Korea)로부터 채취한 혈액을 실험에 사용하기 직전에 채취하여, PBS (phosphate bufferd saline, pH 7.4)완충액으로 총 반응 부피인 1ml에 2×108 cell이 되도록 희석하여 100 ㎕ 취했다. 그리고 100~500 ug의 오가피분획과 7 mM의 2,4-D, 2,4,5-T, 그리고 파라콰트를 동시에 첨가하였다. 용혈 활성은 준비된 최종 반응용액은 37℃의 항온 수조에서 1 시간동안 반응하였으며, 용혈현상의 정도는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Hitachi U-2000, Tokyo, Japan)를 이용하여 540 nm에서의 흡광도 감소로서 제초제에 의한 용혈과 오가피분획에 의한 용혈억제 활성을 평가하였다.
제초제인 2,4-D, 2,4,5-T 및 파라콰트에 의해 유발되는 적혈구의 용혈 현상을 오가피 추출물이 억제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실험을 실시하였다. 쥐에서 분리한 혈액을 채취한 후 PBS 완충용액으로 희석하여 1 ml당 2 X 108 cell이 되게 한 후, 100 ㎕ 를 취한다. 오가피를 100~500 ug 처리하고, 동시에 7 mM의 2,4,-D, 2,4,5-T 및 파라콰트를 처리하여 37℃에서 1시간 동안 반응한 후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2,4,5-T가 적혈구에 대한 용혈 현상을 가장 많이 유발하고, 파라콰트가 가장 적게 용혈현상을 유발하였다. 그리고 제초제에 의한 각각의 용혈현상은 처리한 오가피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인비트로(In vitro) 독성분석의 기초결과로 오가피 분획 추출물이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도 6.7.8).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오가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가피 추출물은 오가피의 잎, 줄기 또는 뿌리 분획물을 물, 에탄올 및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 중의 어느 하나를 용매로 하여 30분~5시간 냉침 후, 50~120℃에서 추출한 후, 농축 건조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제는 페녹시계 제초제 또는 바이피리딜계 제초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초제는 2, 4-디클로로 페녹시아세트산, 2,4,5-트리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 4-클로로-2-메틸페녹시아세트산, 2-(2,4-디클로로페녹시)프로피온산, 파라콰트 및 다이콰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제초제에 의한 세포의 DNA 손상 억제용 또는 적혈구 용혈현상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이피리딜계 제초제에 의한 유전자 DJ-1의 단백질 발현 억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20100127401A 2010-12-14 2010-12-14 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KR101282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401A KR101282559B1 (ko) 2010-12-14 2010-12-14 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7401A KR101282559B1 (ko) 2010-12-14 2010-12-14 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6184A true KR20120066184A (ko) 2012-06-22
KR101282559B1 KR101282559B1 (ko) 2013-07-04

Family

ID=4668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7401A KR101282559B1 (ko) 2010-12-14 2010-12-14 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2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9658A (zh) * 2020-04-03 2020-06-16 济南爱新卓尔医学检验有限公司 一种检测血液样品中百草枯和/或敌草快的方法和试剂盒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4817A (ko) * 1986-10-24 1988-06-27 이일웅 농약해독 및 탈취제의 제조방법
KR970009807A (ko) * 1995-08-17 1997-03-27 백재기 식물성 생약을 이용한 해독제 조성물
KR20020082252A (ko) * 2001-04-19 2002-10-31 이동기 오가피와 양파를 주재로한 건강음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89658A (zh) * 2020-04-03 2020-06-16 济南爱新卓尔医学检验有限公司 一种检测血液样品中百草枯和/或敌草快的方法和试剂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2559B1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o-Ngwa et al. Selective activity of extracts of Margaritaria discoidea and Homalium africanum on Onchocerca ochengi
Akram et al. Mentha arvensis Linn.: A review article
Agüero et al. Urban propolis from San Juan province (Argentina): Ethnopharmacological uses an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Candida and dermatophytes
Wang et al. Hepatotoxicity of kaurene glycosides from Xanthium strumarium L. fruits in mice
WO2007098471A2 (en) Parthenolide free bioactive ingredients from feverfew (tanacetum parthenium)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Sheeba et al. Wound healing activity of Cassia occidentalis L. in albino Wistar rats
de Almeida et al. Anticrotalic and antitumoral activities of gel filtration fractions of aqueous extract from Tabernaemontana catharinensis (Apocynaceae)
CN104546821A (zh) 丹酚酸b在制备治疗硬皮病的药物中的用途
Purkon et al. Phytochemical use in Ethnomedicine and Therapeutic Activities of Marchanita Genus
KR101282559B1 (ko) 오가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초제에 의한 세포독성 억제용 약학 조성물
Singh et al. Aconite: a pharmacological update
Deghrigue et al.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gastroprotective activities of Eunicella singularis fractions using in vivo assays
Gasparotto et al. Heart-protective effects of Echinodorus grandiflorus in rabbits that are fed a high-cholesterol diet
Nawwar et al. Phenolics from Caesalpinia ferrea Mart.: Antioxidant, cytotoxic and hypolipidemic activity
CN114588184A (zh) 瓶尔小草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120189651A1 (en) Active agent complex and formulation comprising the active agent complex
Afzal et al. Hepatoprotective effects of Justicia adhatoda L.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CCl4) induced liver injury in Swiss albino mice
KR20140031488A (ko) 굴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Selvam et al. Antioxidant prospective and secondary metabolites in Abutilon indicum at different environment
Yousseu Nana et al. In Vitro and In Vivo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the Hydroethanolic Extract of the Roots of Vernonia guineensis (Asteraceae)
Nunes et al. Antiulcerogenic activity of ethanol extract of the bark from Terminalia catappa in gastric ulcer model induced by ethanol in Rattus norvegicus
Waly et al. Botanical and biological studies of Plectranthus tenuiflorus (Vatke) Agnew.(Lamiaceae) growing in Saudi Arabia
JP4197194B2 (ja) 細胞間接着抑制用経口投与剤
Ananthi et al. Antihyperlipidemic activity of Michelia champaca L. in triton wr 1339 induced albino rats
Youl et al. Acute toxicity, hepato-curative activity of extracts of a combination of plants on CCL4-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and antiradical activ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