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691A -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691A
KR20120065691A KR1020100126953A KR20100126953A KR20120065691A KR 20120065691 A KR20120065691 A KR 20120065691A KR 1020100126953 A KR1020100126953 A KR 1020100126953A KR 20100126953 A KR20100126953 A KR 20100126953A KR 20120065691 A KR20120065691 A KR 20120065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lower guide
exhibition hall
display device
hal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000B1 (ko
Inventor
윤상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엘
Priority to KR10201001269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000B1/ko
Publication of KR20120065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8/00Dummies, busts or the like, e.g. for display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006Hangers for hanging articles on bars, tringles, bracket arm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5/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al features
    • A47F5/02Rotary display stands
    • A47F5/025Rotary display stands having mechanical drive, e.g.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FSPECIAL FURNITURE, FITTINGS, OR ACCESSORIES FOR SHOPS, STOREHOUSES, BARS, RESTAURANTS OR THE LIKE; PAYING COUNTERS
    • A47F7/00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A47F7/19Show stands, hangers, or shelves,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garments
    • A47F7/24Clothes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네킹 상체부와 마네킹 하체부가 소정 경로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호 대향해서 위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체 및 하체에 설치되는 의류 또는 장치구를 조화시킬 수 있도록 됨에 따라, 대규모 쇼윈도우에서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Show window display system}
본 발명은 의류 또는 장신구를 전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람의 상반신에 구비되는 의류 또는 장신구 등을 입히거나 걸칠 수 있도록 된(설치할 수 있는) 마네킹 상체부와 사람의 하반신에 구비되는 의류 또는 장신구 등을 입히거나 걸칠 수 있도록 된 마네킹 하체부가 소정 경로(폐루프,지그제그)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하 또는 좌우로) 상호 대향해서 위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된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상체부 및/또는 하체부가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서 자전할 수 있도록 된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체부 및 하체부가 가상의 동일 선상에 위치될 때, 상기 이동을 소정 시간 동안 정지하도록 된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마네킹(Mannequin)이라 함은, 의류를 파는 상점의 선전을 위하여 옷을 입혀 놓는 인체모형(매무새, 광고인형)을 말하는 것으로, 현대에는 대량소비를 위하여 상점(매장)의 쇼윈도(Show window: 전시장) 앞에 옷을 입혀 진열하고 있다.
한편, 종래 마네킹은 상체부와 하체부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 하나의 마네킹에 하나의 상의와 하나의 하의만을 입혀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여러가지 상의와 하의를 조화시켜(매칭시켜) 보려면, 각각의 조합에 필요한 갯수 만큼의 마네킹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록특허 제10-0789553호의 마네킹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마네킹은 상의와 하의를 분리되게 입혀 놓을 수 있도록 상체(11) 및 하체(12)가 구별되는 마네킹(1)을 복수 개 설치하며 중앙의 세움봉(211)을 기준으로 각각 공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등록특허 제10-0789553호에 따른 마네킹은, 소규모 쇼윈도우(전시장)용으로, 상기 세움봉(211) 상에 통상, 4개 또는 6개의 상체 및 하체만을 설치할 수 있도록 된다.
한편, 광고 규모 확대에 따라, 마네킹을 이용한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기법이 요구되고 있는바, 대규모 전시장에 있어서, 보다 다채로운 이미지 제공을 위한 디스플이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마네킹 상체부와 마네킹 하체부가 소정 경로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호 대향해서(상하 또는 좌우) 위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체 및 하체에 설치되는 의류 또는 장치구를 조화시킬 수 있도록 됨에 따라, 대규모 쇼윈도우에서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상부 가이드레일이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인체의 상반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인체의 하반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는 옷걸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레일은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단은, 복수의 기어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레일에 계지되어, 상기 기어수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레일의 표면에 구비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하는 본체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상기 기어수단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또는 본체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기어수단의 축 상에 상기 제1 또는 제2바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측면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의 상부에 제2바디 또는 제1바디가 대향해서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운동수단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2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상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상체부와;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하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제2측면에 따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상체부 및 하체부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마네킹 상체부와 마네킹 하체부가 소정 경로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호 대향해서 위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상체 및 하체에 설치되는 의류 또는 장치구를 조화시킬 수 있도록 됨에 따라, 대규모 쇼윈도우에서 광고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부분을 확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운동수단이 하부 가이드레일에 계지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상기 일례에 따른 운동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II부분을 확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운동수단이 하부 가이드레일에 계지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상기 다른 예에 따른 운동수단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 5의 V-V선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 가이드레일의 다양한 배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이 측면도이며,
도 10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로,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예를 들어 전시장의 천정 C에 설치될 수 있는 상부 가이드레일(110)과, 이 상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운동)하는 상체부(115)와, 전시장의 바닥 B에 설치될 수 있는 하부 가이드레일(120)과,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는 하체부(12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110,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체부 또는 하체부(115,127)가 축 결합되어 회전(자전)하도록 하는 운동수단(130)을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운동수단을 통해 상하부 가이드레일에 계지된 상체부 및 하체부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자전하게 된다.
한편, 도 1에 있어서는, 환형상의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110)이 지지대 S를 통해서 천정에 고정되고, 하부 가이드레일(120)이 지면에 놓여져서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 상에 상기 운동수단(130)이 설치되고, 이 운동수단(130)에 대해서 상기 상체부 및 하체부(115,127)가 축 결합된 상태가 도시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상기 상체부(115) 및 하체부(127)는, 아웃웨어(Outwear : 겉옷) 또는 언더웨어(Underwear : 속옷) 및 액세서리(Accessory : 장신구) 등의 판매상품들을 전시하기 위한 것으로, 각각 인체의 상반신 형태 및 하반신 형태의 마네킹으로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상체부 및 하체부는 인체 구조를 닮은 부조(浮彫)형이나, 통상의 옷걸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상하부 가이드레일 상에서 상기 상체부 및 하체부와 운동수단(130)이 복수 개 설치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하나의 상체부 및 하체부와 운동수단만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110)과 하부 가이드레일(120)은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에서 기재되는 용어 "대향하는"은 상기 천정 C 및 바닥 B이 근사적으로 상호 평행한 상태에서 상기 천정 C에 설치된 상부 가이드레일(110)의 직하부에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이 대칭 형태로 위치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보다 넓은 의미로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110) 하부의 소정의 위치에 하부 가이드레일이 위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더욱이,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상호 대향하는 위치가 상부 천정 및 하부 바닥으로 도시되고 있지만, 상기 천정 및 바닥에 수직한 면에 대해서 상호 대향하는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운동수단(130)은,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110,120)에 구성되는 운동수단의 구성이 동일함에 따라, 하부에 구비되는 운동수단(100)을 예로서 설명된다. 또한, 상기 운동수단(130)은, 이하 설명되는 형태 이외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은 일실시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는 상기 도 1의 II부분을 확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상기 운동수단(130)이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에 계지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의 III-III선 단면도이며, 도 4는 상기 도 3의 IV-IV선 단면도로, 하부 가이드레일(120)에 대한 상기 운동수단(130)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은 상기 바닥 B에 위치될 수 있는 평판(121)과, 이 평판의 중심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앙 벽(122)과, 상기 평판(121)의 양단부에서 상기 중앙 벽(122)과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및 타측 벽(123,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 벽(123)과 마주보는 중앙벽(122)의 측면 및 상기 타측 벽(124)과 마주보는 중앙벽(122)의 표면에는 나사산(122a,122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 벽(122)과 상기 일측 벽(123)과의 사이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측면에 나사산(122a)을 갖는 제1요홈(125)이 형성되고, 상기 중앙 벽(122)과 상기 타측 벽(124) 사이에는 상기 제1요홈(125)과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면에 나사산(122b)을 갖는 제2요홈(12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운동수단(130)은, 상기 일측 벽(123)의 외측면에 접하는 일측 브래킷(131)과 상기 타측 벽(124)의 외측면에 접하는 타측 브래킷(132) 및 이들 브래킷(131,132)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평판(121)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평판 브래킷(134)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하우징(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 하우징(135)은, 상기 양측 브래킷(131,132)를 매개로,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 상에 끼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 브래킷(131,132)이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의 양측 벽(123,124)과 접촉하면서 감싸는 한편, 상기 평판 브래킷(134)이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의 평판(121)과 평행하게 상기 제1 및 제2요홈(124,125)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요홈(125) 상에 위치되는 본체 하우징(135)의 평판 브래킷(134)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운동수단(1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136)와 이 모터(136)의 회전력을 하부 가이드레일에 인가하기 위한 주동 및 종동기어(137,13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요홈(126) 상에 위치되는 본체 하우징의 평판 브래킷(134)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운동수단(13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체부(127)가 자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축회전 기어(13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주동기어(137)는 상기 평판(121)을 향해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136)의 회전 축에 축 결합되고, 상기 종동기어(138)는 상기 주동기어(137) 및 상기 중앙 벽(122)의 나사산(122a)에 치합된다. 또한, 상기 축회전 기어(139)는 상기 중앙 벽(122)의 나사산(122b)과 치합하며, 그 중심 축(139a)은 상기 본체 하우징(135)의 평판 브래킷(134)을 관통하여 상기 천정 C를 향해 상부로 연장되며, 그 선단부에 상기 하체부(127)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의 일측 및 타측 벽(123,124)의 외표면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135)를 하부 가이드레일(120)에 유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안내하기 제3 및 제4요홈(123a,124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본체 하우징(135)의 상기 일측 및 타측 벽(123,124)과 마주보는 일측 및 타측 브래킷(131,132)의 표면에는 상기 제3 및 제4요홈(123a,124a)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되는 안내 바퀴(131a,132a)가 상기 요홈(123a,124a)을 향해 표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도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상기 중심 축(139a)을 잡고, 상기 운동수단(130)을 상방향으로 잡아 올리더라도 운동수단(130)은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된다.
더욱이,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의 제1 내지 제4요홈에 대해서, 각각 상기 운동수단(130)의 종동기어(138)와, 회전축 기어(139) 및 안내 바퀴(131a,132a)의 다수의 부분이 계지되어 운동하도록 됨에 따라, 상기 운동수단(130)이 하부 가이드레일(120)에 대해서 기울어지거나, 또는 이탈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하부 가이드레일(120)에 대한 상기 운동수단(130)의 이동 동작을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모터(136) 및 주동기어(137)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기어(137)와 치합된 상기 종동기어(138)은 반시계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중앙 벽(122)의 나사산(122a)과 치합된 종동기어(138)는 상기 중앙 벽(122)을 따라 도면 중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138)는 상기 본체 하우징(135)에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운동수단(130) 역시 도면 중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운동수단(130)이 도면 중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중앙 벽(122)의 나사산(122b)과 치합된 상기 회전축 기어(139)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축(139a)에 축 결합된 하체부(127)는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 축(139a)에 대해서 축 회전(자전)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하부 가이드레일(120) 및 운동수단(130)의 결합 구조는,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110)에도 동일하게 채용된다.
(실시예2)
도 5는 상기 도 1의 II부분을 확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운동수단(130')이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에 계지된 상태를 부분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의 V-V선 단면도로, 하부 가이드레일(120')에 대한 상기 운동수단(130')의 동작 상태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은 상기 바닥 B에 위치될 수 있는 평판(121')과, 상기 평판(121')의 양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측 및 타측 벽(123',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일측 벽(123')의 상기 타측 벽(124')을 마주보는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123b')이 연장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일측 벽(123')과 타측 벽(124')과의 사이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측면에 나사산(123b')을 갖는 요홈(125')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운동수단(130')은, 상기 일측 벽(123')의 외측면에 접하는 일측 브래킷(131')과 상기 타측 벽(124')의 외측면에 접하는 타측 브래킷(132') 및 이들 브래킷(131',132')의 단부를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평판(121')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평판 브래킷(134')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하우징(13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 하우징(135')은, 상기 양측 브래킷(131',132')를 매개로,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 상에 끼워 설치됨에 따라, 상기 일측 및 타측 브래킷(131',132')이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의 양측 벽(123',124')과 접촉하면서 감싸는 한편, 상기 평판 브래킷(134')이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의 평판(121')과 평행하게 상기 요홈(125') 상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요홈(125') 상에 위치되는 본체 하우징(135')의 평판 브래킷(134')에는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운동수단(1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136')와 이 모터(136')의 회전력을 하부 가이드레일에 인가하기 위한 주동 및 종동기어(137',13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운동수단(130')이 이동함에 따라, 상기 하체부(127)가 자전할 수 있도록 하는 축회전 기어(139')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주동기어(137')는 상기 평판(121')을 향해 수직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모터(136')의 회전 축에 축 결합되고, 상기 종동기어(138')는 상기 주동기어(137')의 나사산 및 상기 일측 벽(123')의 나사산(122b')에 치합된다. 또한, 상기 축회전 기어(139)는 상기 일측 벽(123')의 나사산(123b')과 치합되는 동시에 그 중심 축(139a')은 상기 본체 하우징(135')의 평판 브래킷(134')을 관통하여 상기 천정 C를 향해 상부로 연장되며, 그 선단부에 상기 하체부(127)가 결합된다.
한편,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의 일측 및 타측 벽(123',124')의 외표면에는 상기 본체 하우징(135')를 하부 가이드레일(120')에 유지시키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안내하기 일측 및 타측 요홈(123a', 124a')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일측 및 타측 벽(123',124')과 마주보는 상기 본체 하우징(135')의 일측 및 타측 브래킷(131',132')의 표면에는 상기 일측 및 타측 요홈(123a', 124a')에 삽입되어 회전하도록 되는 안내 바퀴(131a',132a')가 상기 요홈을 향해 표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실시예2에 따른 하부 가이드레일(120') 및 운동수단(130')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1에 따른 구성에 비하여 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에 대한 상기 실시예2에 따른 운동수단(130')의 이동 동작을 도 6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모터 및 주동기어(137')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주동기어(137')와 치합된 상기 종동기어(138')은 반시계방향으로 축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나사산(123b')과 치합된 종동기어(138')는 도면 중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동기어(138')는 상기 본체 하우징(135')에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운동수단(130') 역시 도면 중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운동수단(130')이 도면 중 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나사산(123b')과 치합된 상기 회전축 기어(139')는 반시계방향 회전하면서 상기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축(139a')에 축 결합된 하체부(127)는 상기 하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 축(139a')에 대해서 반시계방향으로 축 회전(자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실시예1 및 2에 따른 운동수단 및 가이드레일 구성은 일실시예로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이, 상기 운동수단은 상기 상하부 가이드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상체부 및 하체부가 이동하는 동시에 자전하도록 구성되고 있지만, 상기 모터 및 기어수단의 배치를 조정하여, 상기 이동 및 자전을 분리해서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동 있다.
(실시예3)
본 발명의 실시에3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상기 모터(136)의 온오프 및 회전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40)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모터(136)와 전원 (141) 간에 구비되는 스위치(142)를 온오프하거나 또는 전류 공급 방향을 변경시킴으로써, 상기 모터(136)를 온오프시키고 그 회전 방향을 변경시킨다.
한편, 상기 제어부(140)는, 통상의 마이컴 및 PLC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4)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1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상태로 도시되고 있다.
하지만, 도 7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110, 120)은, 타원형 및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일개소 이상의 직선 구간 a 및/또는 만곡 구간 b를 구비한 가이드레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상하부 가드레일(110,120)은 폐쇄 루프 형태로 형성되고 있지만, 직선 또는 곡선의 개방 루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 밖의 실시예)
이하, 상기 지면(바닥 B)에서 상기 천정을 향하는 수직선 y선 및 이 수직선 y에 직교해서 상기 천정 및 바닥에 수평한 수평선 x가 도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인 도 8 및 도 9를 참조로,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과 하부 가이드레일이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상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110, 120)은 상기 수평선 x선에 대해서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수직선 y선에 대해서 좌우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동일하게 해서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x선 및 y선을 기준으로 상호 축 대칭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상체부 및 하체부에 구비되는 의류 또는 장신구를 대칭적으로 조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천정 및 바닥으로부터의 가이드레일의 거리는 고려하지 않는다.
또한,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110, 120)이 상기 수평선 x선를 중심으로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지만, 상부 또는 하부 가이드레일(110, 120)이 y선에 대해서는 좌우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다르게 되어 상호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110) 및/또는 하부 가이드레일(120)이 상기 수평선 x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배치되지만, 상호 기울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110) 및/또는 하부 가이드레일(120)이 상기 수평선 x를 중심으로 상하부에 배치되면서 기울어져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y선에 대해서는 좌우측으로 연장된 길이가 다르게 되어 상호 어긋나서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도 8(a) 내지 8(d)의 경우를 조합해서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110, 120)이 상기 x선에 대해서 상부 및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y선에 대해서는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110,120)의 일측 단부만이 상기 y선 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y선에 대해서 좌우측으로 상호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110)을 따라 이동하는 상체부(115) 및 하체부(127)는 소정 시점에서 상기 y선 상에서 동시에 위치될 수 있다(즉, 동일한 y선 상에서 상기 상체부(115)의 직하부에 하체부(127)가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y선 상에 상체부(115) 및 하체부(127)가 동시에 위치될 때, 상기 운동수단(130)의 회전 운동을 일시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면, 상기 상체부 및 하체부에 구비되는 의류 또는 장치구를 소정 시점에서 조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기능을 위해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상부 및 하부가이드레일(110,120)의 상체부(115) 또는 하체부(127)에 구비되거나, 또는 운동수단(130) 상에 구비되어(구체적으로는, 운동수단 상의 평판 브래킷(134) 상에 구비되어), 대향하여 위치되는 상체부 및 하체부의 접근(또는 근접)을 감지할 수 있는 포토다이오드 또는 레이저 등으로 구현될 수 있는 광센서(143: 감지수단)을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센서(143)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평판 브래킷(134)의 직상부 또는 직하부 상에서 상기 상체부 또는 하체부가 위치하는 것을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광센서(143)로부터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스위치를 온오프시킴에 따라, 상기 모터(136)의 회전을 소정 시간 정지한 후 동작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가이드레일(110, 120)은 상기 수직선 y선에 대해서 좌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레일(110,120)은 상호 대향하여 배치되는 바, x선에 대해서 상하부로 연장되는 길이가 동일하게 상호 대칭 형태로 배치되거나, 또는 연장 길이를 달리해서 배치되거나, 또는 x선에 대해서 기울어져서 배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다수의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하였다. 한편, 상기 실시예들은 개별 또는 조합해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다수의 조합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 한다.
110 - 상부 가이드레일, 115 - 상체부,
120 - 하부 가이드레일, 127 - 하체부,
130 - 운동수단, 135 - 본체 하우징,
140 - 제어부, 143 - 광센서.

Claims (10)

  1. 제1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제2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운동시키는 운동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레일은 상부 가이드레일이고,
    상기 제2가이드레일은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의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레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인체의 상반신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바디는 인체의 하반신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및 제2바디는 옷걸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가이드레일은 개방 루프 또는 폐쇄 루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수단은,
    복수의 기어수단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레일에 계지되어, 상기 기어수단이 상기 제1 또는 제2가이드레일의 표면에 구비되는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하는 본체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하우징에는, 상기 기어수단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모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본체 하우징 또는 본체 하우징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기어수단의 축 상에 상기 제1 또는 제2바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 또는 제2바디의 상부에 제2바디 또는 제1바디가 대향해서 위치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운동수단을 정지시키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10. 상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상체부와;
    상기 상부 가이드레일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레일을 따라 운동하는 하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00126953A 2010-12-13 2010-12-13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KR101213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953A KR101213000B1 (ko) 2010-12-13 2010-12-13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953A KR101213000B1 (ko) 2010-12-13 2010-12-13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691A true KR20120065691A (ko) 2012-06-21
KR101213000B1 KR101213000B1 (ko) 2012-12-18

Family

ID=46685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953A KR101213000B1 (ko) 2010-12-13 2010-12-13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00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5170A (zh) * 2019-04-26 2019-07-19 河南警察学院 一种平面作品教学展示台
CN111265066A (zh) * 2020-03-24 2020-06-12 中原工学院 一种服装设计用服装样品展示架
KR102475269B1 (ko) * 2022-07-15 2022-12-06 이재완 자기부상 서스펜션 모듈을 활용한 진열장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2518782B1 (ko) * 2022-07-15 2023-04-06 주식회사 디앤지예와가 자기부상 서스펜션 모듈을 활용한 진열장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19736A1 (ja) * 2002-08-29 2004-03-11 Flower Robotics Inc. 駆動部を有するマネキン人形
KR200419937Y1 (ko) * 2006-04-13 2006-06-26 김영수 창호 자동 개폐 장치
KR100789553B1 (ko) 2007-05-03 2007-12-28 윤상웅 상품전시용 회전진열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25170A (zh) * 2019-04-26 2019-07-19 河南警察学院 一种平面作品教学展示台
CN110025170B (zh) * 2019-04-26 2020-11-03 河南警察学院 一种平面作品教学展示台
CN111265066A (zh) * 2020-03-24 2020-06-12 中原工学院 一种服装设计用服装样品展示架
KR102475269B1 (ko) * 2022-07-15 2022-12-06 이재완 자기부상 서스펜션 모듈을 활용한 진열장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102518782B1 (ko) * 2022-07-15 2023-04-06 주식회사 디앤지예와가 자기부상 서스펜션 모듈을 활용한 진열장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000B1 (ko) 2012-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000B1 (ko) 전시장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07868B1 (ko) 진열장의 진열물품 회전장치
JP2007268040A (ja) 遊技機用の可動式演出装置
EP3160604B1 (de) Spielvorrichtung mit einem drehbaren spielrad
KR2013008710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
EP0501727B1 (en) Gaming or amusement machines
ES2333644T3 (es) Puesto del conductor para vehiculos sobre carril.
US20150277584A1 (en) Operation unit
CN105658112B (zh) 用于使家具部件移动的设备
KR20160012374A (ko) 진열대의 회전장치
EP2881931A1 (en) Advertising display stand
CN111081139A (zh) 一种多工位绘画展示装置及方法
KR101960909B1 (ko) 치수 조절 마네킹 시스템
KR100255182B1 (ko) 진열품회전받침대
CN111588239A (zh) 一种电子产品展示装置
IT202100009572A1 (it) Parete di arrampicata motorizzata su 4 assi di rotazione gestita da applicazione mobile
KR200292910Y1 (ko) 자성을 이용한 전시장치
US20220330719A1 (en) Device for presenting an object
CN109862861A (zh) 包括至少一个枢转支持系统的辅助移动机器人
KR0141614B1 (ko) 순환식 옷걸이
KR102501355B1 (ko) 무대소품 전시용 진열대
CN219738365U (zh) 磁场测量演示装置
KR102550902B1 (ko) 전시용 진열대
CN220338060U (zh) 一种人机交互设备用旋转装置
JP7044301B2 (ja) メダルゲーム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