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65672A - Floating suction pile - Google Patents

Floating suction p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65672A
KR20120065672A KR1020100126926A KR20100126926A KR20120065672A KR 20120065672 A KR20120065672 A KR 20120065672A KR 1020100126926 A KR1020100126926 A KR 1020100126926A KR 20100126926 A KR20100126926 A KR 20100126926A KR 20120065672 A KR20120065672 A KR 201200656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suction pile
main body
water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69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205797B1 (en
Inventor
이종구
이종현
임성우
황민오
이대용
이재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001269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5797B1/en
Publication of KR2012006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56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57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57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52Submerged foundations, i.e. submerged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0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in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PURPOSE: A floating suction pile is provided to be easily inserted into the underwater ground without an additional device and to stably maintain the inserted suction pile. CONSTITUTION: A floating suction pile(100) comprises a main body part(101) and a floating body part(102). The main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underwater ground. The top end of the main body part is closed, and the bottom end is opened. The floating body part is installed on the top end of the main body part. A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floating body part, and air, water, or concrete can be injected into the floating body part.

Description

부유식 석션 파일{FLOATING SUCTION PILE}Floating Suction File {FLOATING SUCTION PILE}

본 발명은 석션 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향상된 운반성, 시공성, 구조물 보강성을 갖는 부유식 석션 파일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suction piles, and more particularly to floating suction piles having improved portability, workability, and structure reinforcement.

일반적으로 수중에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하여, 물막이 공사를 통해 바닷물을 막은 상태에서 육지에서처럼 기초 파일이 시공된다. 이러한 기초 파일 위에 구조물이 설치된다. 이런 기초 파일은 수심이 그리 깊지 않은 수중에서 어려움없이 설치될 수 있지만, 수심이 깊은 수중에는 설치되기 어렵다. 게다가, 시공시간과 시공비용이 상당히 소요된다. 이로 인해, 개선된 기술이 제안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석션 파일(suction pile)이다.In general, in order to build structures underwater, foundation piles are constructed as in land with seawater blocked by water barrier construction. The structure is installed on this foundation pile. These basic files can be installed without difficulty in deep water, but they are difficult to install in deep water.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time and the construction cost are considerable. Because of this, an improved technique is proposed, one of which is a suction pile.

석션 파일은 내부의 물이나 공기와 같은 유체들을 배출시킴으로써 발생된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파일이다. 이러한 석션 파일은 수중의 지반에 근입되어 설치되고, 상부에 구조물이 설치되어 이러한 구조물을 지지한다.The suction pile is a pile installed by using the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generated by discharging fluids such as water or air therein. Such a suction pile is installed in the ground of the water, and a structure is installed at the top to support the structure.

또한, 석션 파일은 간단한 설치 장비를 이용하여 수심에 제약없이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로 물을 주입시켜 발생된 양압력으로 인발될 수 있어 손쉽게 제거될 수도 있다. 즉, 석션 파일은 별다른 어려움 없이 설치 및 제거되어 재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ction pile can be quickly removed without limiting the depth by using a simple installation equipment and can be easily removed since it can be drawn out by the positive pressure generated by injecting water into the inside. That is, the suction file can be installed and removed without reuse.

상기와 같은 석션 파일로 인해 다양한 구조물이 용이하게 수중에 설치될 수 있고, 설치 및 제거에 있어서 환경 오염을 거의 유발하지 않기에 환경 친화적으로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Due to the suction pile as described above, various structures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water, and the structures can be installed in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ner because they hardl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in installation and removal.

하지만 석션 파일은 바지선으로 운반되어 크레인을 이용하여 근입하고자 하는 위치로 위치시키고, 기울어진 수중의 지반에 근입될 때 직진도를 유지하는 데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석션 파일과 구조물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별도의 보강 장치가 필요하다.However, the suction pile is transported by the barge and positioned to the position to be entered by using a crane,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straightness when entering the inclined ground. In particular, a separate reinforcement device is required at the portion where the suction pile and the structure are connected.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수중의 지반에 용이하게 관입될 수 있는 부유식 석션 파일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suction pile that can be easily penetrated into the ground of the water without using a separate device.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없이 구조물의 안정적인 설치를 유지할 수 있는 부유식 석션 파일을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ating suction pile that can maintain a stable installation of the structure without a separate device.

본 발명은 지반에 근입되고, 상단면은 폐쇄되고 하단면은 개방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구조물이 삽입설치되고, 내부에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가 주입될 수 있는 부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석션 파일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entered into the ground, the top surface is closed and the bottom surface is an open main body portion made of a columnar shape; And it is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structure is inserted, discloses a floating suction pi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loating portion that can be injected with air, water or concrete therein.

또한, 상기 부체부는, 상기 부체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이 삽입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격벽들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격실부들; 상기 격실부들 각각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전단 연결부들; 및 상기 격실부들 각각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상기 격실부들에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출입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석션 파일을 개시한다.In addition, the floating portion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ating portion, the installation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partitions are formed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installation portion, compartments in which air, water or concrete is injected; Shear connections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of each of the compartments; And an entrance portion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compartments, and having entrances through which air, water, or concrete pass and are inject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compartments.

또한,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부유식 석션 파일을 개시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communication hole discloses a floating suction pi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또한,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부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관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부유식 석션 파일을 개시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communication tube passing through the body portion is form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communication tube discloses a floating suction f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또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부체부는 스틸로 이루어진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석션 파일을 개시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and the floating portion discloses a floating suction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piece made of steel.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은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The floating suction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1)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은 본체부와 부체부를 포함하고, 본체부는 수중의 지반에 관입되고, 부체부는 본체부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필요에 따라 공기 또는 물이 주입된다. 특히, 부체부에 공기가 주입될 때에는 부유식 석션 파일을 수중에 띄워 관입시키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부체부에 물이 주입될 때에는 부유식 석션 파일을 수중의 지반으로 침수시킬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일부에는 물 대신이 공기를 주입하여 수직 방향으로 직진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은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관입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수직 방향으로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기에, 안정적이면서 용이하게 수중의 지반에 관입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1) The floating suction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portion and a floating portion, the main body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ground of the water, the floating portion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portion is injected with air or water as necessary. In particular, when air is injected into the float portion, the floating suction pile can be floated in water and moved to a position to be inserted. In addition, when water is injected into the float portion, the floating suction pile can be submerged into the ground of water, and if necessary, some of the air can be injected instead of water to maintain the straight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the floating suction f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to be penetrated without using a separate device and can maintain the straightness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it can be penetrated into the ground underwater stably and easily. Has an effect.

(2)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의 부체부에는 콘크리트가 주입된다. 콘크리트가 주입된 부체부는 수중의 지반에 관입되는 본체부와 부체부에 삽입 설치되어 본체부 상에 설치되는 구조물 사이의 연결을 보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은 별도의 장치없이 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로 유지시킨다는 효과를 갖는다.(2)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floating portion of the floating suction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loating concrete part is inserted into the body part and the body part is inserted into the ground of the water to reinfor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ructure installed on the body part. Therefore, the floating suction p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structure stably installed without a separat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석션 파일을 선 A-A 및 선 B-B를 절개한 모습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석션 파일의 주입되는 물질에 따른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suction pile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cut lines AA and BB of the floating suction pile shown in FIG. 1, respectively.
3 is a view showing a state according to the injected material of the floating suction pile shown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suction pile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석션 파일(100)을 선 A-A 및 선 B-B를 절개한 모습을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100)은 본체부(101)와 부체부(102)를 포함하고, 수중의 지반(10; 도 3에 도시됨)에 근입되어 설치된다. 이때, 구조물(200; 도 3에 도시됨)은 부유식 석션 파일(100) 상에 설치되어, 수중(20; 도 3에 도시됨)에 설치될 수 있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suction pile 100 according to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ut line AA and line BB of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shown in FIG. 1. These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respectively.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101 and the floating portion 102, and the ground (10; underwater 3) It is installed on the basis of). In this case, the structure 200 (shown in FIG. 3) may be installed on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and may be installed in the water 20 (shown in FIG. 3).

본체부(101)는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면은 폐쇄되고 하단면은 개방된 상태이다. 또한, 본체부(101)의 측면에 연통홀(111)들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101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the top surface is closed and the bottom surface is open.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holes 111 are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101.

본체부(101)는 수중의 지반(10)에 안착되면 자중에 의해 하단부가 수중의 지반(10)에 일정 깊이까지 관입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1) 내부의 물은 연통홀(11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본체부(101)는 하단면을 제외하고는 물의 흐름이 완전히 차단되어 있기에 물은 하단면을 통해서만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배출된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제한되어, 본체부(101)의 내부 압력은 저하된다. 이로 인해, 본체부(101)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본체부(101)에는 구조상 수평 방향으로는 힘이 평형 상태를 이루나, 상하 방향으로는 하부로 누르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힘에 의해 본체부(101)는 수중의 지반(10)에 관입된다.When the main body 101 is seated on the ground 10 of the hand, the lower end portion may be introduced into the ground 10 of the water by a weight to a certain depth. At this time, the water inside the main body 10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11). Body portion 101 is because the flow of water is completely blocked except for the bottom surface water can be introduced only through the bottom surface. Therefore, the water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limited to flow into the insid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main body 101 is lowered. As a result, a press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1 is generated. At this time, the main body 101 is structurally balanc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force, but the downward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enerated. By this force, the main body portion 101 penetrates into the ground 10 in the water.

한편, 본 실시예의 본체부(101)는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 기둥, 사각 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body portion 10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as being made of a cylindrical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it can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triangular pillar, a square pillar.

부체부(102)는 본체부(101)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내부에 필요에 따른 다양한 물질, 예를 들어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가 주입된다. 또한, 본체부(101)가 수중의 지반(10)에 관입된 상태에서, 부체부(102)에는 구조물(200)이 삽입 설치된다. 부체부(102)는 설치부(121), 격실부(123)들, 전단 연결부(125)들, 출입부(127)들을 포함한다.The floating part 102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1, and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air, water or concrete, are injected therein as necessary. In addition, the body 200 is inserted into the ground 10 in the water, the structure 200 is inserted into the floating body 102. The floating part 102 includes the installation part 121, the compartment parts 123, the front end connecting parts 125, and the entrance part 127.

설치부(121)는 부체부(102)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구조물(200)은 설치부(121)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The installation part 121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ating body 102. The structure 200 is inserted into and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unit 121.

격실부(123)들은 설치부(121)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격벽(123a)들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각각의 격실부(123) 내부에는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가 주입될 수 있다.The compartment parts 123 are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partition walls 123a radially around the installation part 121, and air, water, or concrete may be injected into each compartment part 123.

전단 연결부(125)들은 각각 격실부(123)의 내벽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특히, 격실부(123)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주입될 때, 전단 연결부(125)들은 격실부(123)와 격실부(123)에 주입된 콘크리트를 일체화시켜, 격실부(123)와 주입된 콘크리트 사이에 생기는 슬립을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즉, 전단 연결부(125)들은 격실부(123)와 주입된 콘크리트의 경계면에서 상대적인 변위를 저지한다. 이때, 전단 연결부(125)들은 격실부(123)의 내벽에 용접되거나 나사 결합된다.The shear connecting portions 125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wall of the compartment portion 123, respectively. In particular, when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compartment 123, the shear connecting parts 125 integrate the concrete injected into the compartment 123 and the compartment 123, and the compartment 123 and the injected concrete It functions to remove slips that occur in between. That is, the shear connectors 125 prevent relative displaceme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compartment 123 and the injected concrete. At this time, the shear connecting portion 125 is welded or screwed to the inner wall of the compartment 123.

출입부(127)들은 각각의 격실부(123)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는 출입부(127)를 통과하여 격실부(123)에 주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는 출입부(127)를 통해 격실부(123)에 주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다.The entrances 127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compartment 123, and air, water, or concrete may be injected into or discharged from the compartment 123 through the entrance 127. That is, if necessary, air, water, or concrete may be injected or discharged into the compartment 123 through the entrance 127.

한편, 본 실시예의 부체부(102)의 수평 단면은 본체부(101)와 동일한 형상 즉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가능하다. 또한, 부체부(102)의 수평 단면적은 본체부(101)에 근접할수록 점점 증가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cross-section of the floating body portion 102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shown as the same shape as the main body portion 101, but is made of a circular shape, but is not limited to this can be modified in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le, square. In additio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oating body portion 102 increases gradually as it approaches the main body portion 101.

도 3은 주입되는 물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부유식 석션 파일(100)의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100) 특히, 부체부(102)는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가 주입됨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한다. FIG. 3 is a view showing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shown in FIG. 1 according to the injected material. As shown in FIG. 2,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he floating portion 102 functions differently as air, water or concrete is injected.

부체부(102)에는 공기가 주입될 수 있다. 이때, 부체부(102)에 중력이 작용하여, 부체부(102)는 수중(20)으로 가라앉지 않고 본체부(101)만이 수중(20)에 위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따라서, 부유식 석션 파일(100)은 크레인과 같은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관입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도 3(a)에 도시됨)Air may be injected into the floating portion 102. At this time, gravity acts on the body portion 102, so that the body portion 102 does not sink into the water 20, but only the body portion 101 is located in the water 20. Thus,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to be penetrated without using a separate device such as a crane (shown in Fig. 3 (a)).

또한, 부체부(102)에는 물이 주입될 수 있다. 이때, 부체부(102)에 중력이 작용하여, 부체부(102)는 수중(20)으로 가라앉게 된다. 따라서, 부유식 석션 파일(100)은 관입하고자 하는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서 부체부(102)에 물을 주입하여 수중의 지반(10)으로 침수될 수 있다. 한편, 부유식 석션 파일(100)을 관입하고자 하는 수중의 지반(10)이 기울어지면, 본체부(101)도 수중의 지반(10)에 따라 기울어져 관입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1)는 수직 방향으로 직진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 물 대신에 공기가 수직 방향으로 하측에 위치된 부체부(102)의 격실부(123)들 중 일부에 주입된다. 이로 인해, 부체부(102)에 부력이 작용하여, 본체부(101)는 수직 방향으로 직진 상태에 이르게 된다. 즉 부유식 석션 파일(100)은 물과 공기의 주입만으로도 직진도를 유지할 수 있다.(도 3(b)에 도시됨)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2 may be injected with water. At this time, gravity acts on the body portion 102, so that the body portion 102 sinks into the water (20). Therefore,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may be flooded into the ground (10) in the water by injecting water into the floating portion 102 in the state to reach the position to penetrate. On the other hand, when the ground 10 is inclined to penetrate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the main body portion 101 may also be inclined and penetrated according to the ground 10 in the water. At this time, the main body portion 101 needs to maintain a straight stat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tead of water, air is injected into some of the compartments 123 of the floating body 102 located downwar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this reason, buoyancy force acts on the floating body part 102, and the main-body part 101 will go to the straight state to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can maintain the straightness only by the injection of water and air (shown in FIG. 3 (b)).

또한, 부체부(102)에는 콘크리트가 주입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01)는 수중의 지반(10)에 관입된 상태이고, 부체부에는 구조물이 삽입 설치된 상태이다. 이로 인해, 부체부(102)는 본체부(101)와 구조물(200) 사이의 연결을 보강한다. 이때, 구조물(200)의 외부에도 부체부(102)의 전단 연결부(125)와 같은 전단 연결부가 설치될 수 있고, 구조물(200)이 삽입된 상태의 설치부(121)에 콘크리트가 주입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식 석션 파일(100)은 별도의 보강 장치없이 구조물(200)과의 연결을 보강하여, 구조물(200)을 안정적인 설치 상태로 유지시킨다.(도 3(c)에 도시됨)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2 may be injected with concrete. At this time, the main body portion 101 is in a state of intruding into the ground (10) of the water, the structure is inserted into the floating portion. Due to this, the body portion 102 reinforc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body portion 101 and the structure 200. In this case, a shear connection part such as the shear connection part 125 of the floating part 102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structure 200, and concrete may be injected into the installation part 121 having the structure 200 inserted therein. have. Therefore,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reinforces the connection with the structure 200 without a separate reinforcing device, thereby maintaining the structure 200 in a stable installation state (shown in FIG. 3 (c)).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100)은 스틸(steel), 콘크리트, 목재 등 다양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부력에 의해 떠 있고, 수중에서 내식성을 가져야 하기에, 스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부(101)와 부체부(102)는 일체형일 수도 있고, 분리형일 수도 있으나,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loating suction pi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such as steel (steel), concrete, wood, but floating by buoyancy, to be corrosion-resistant in water, preferably made of steel. In addition, although the main body portion 101 and the floating portion 102 may be an integral type or a separate typ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portion 101 and the floating portion 102 are integrally formed to improve resistance to external force.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3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300)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석션 파일(1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연통홀(101)들을 대신하여 연통관(321)들을 포함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ating suction pile 300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the floating suction pile 300 according to the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floating suction pi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communication hole 101 is provided. The communication tubes 321 are substituted in place of).

연통관(321)들은 본체부(301)의 상단면부터 부체부(302)의 격실부(323)를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구조물이 설치되는 설치부(325)와 교차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본체부(301)의 내부와 외부는 연통관(321)들을 통해 연통된다. 즉, 본체부(301) 내부의 물은 연통관(321)들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The communication pipes 321 are formed to penetrate the compartment 323 of the floating body 302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main body 301, and does not intersect with the installation portion 325 where the structure is installed. For this reaso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301 is communic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s (321). That is, the water inside the main body 30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communication pipes (321).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300: 부유식 석션 파일 101, 301: 본체부
111: 연통홀 102, 302: 부체부
121, 325: 설치부 123, 323: 격실부
123a: 격벽부 125: 전단 연결부
127: 출입부 321: 연통관
100, 300: floating suction pile 101, 301: main body
111: communication hole 102, 302: floating part
121, 325: mounting portion 123, 323: compartment
123a: partition wall 125: shear connection
127: entrance 321: communication tube

Claims (5)

지반에 근입되고, 상단면은 폐쇄되고 하단면은 개방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에 설치되어, 구조물이 삽입설치되고, 내부에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가 주입될 수 있는 부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석션 파일.
A main body part in the ground, the upper surface of which is closed and the lower surface of which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And
Floating suction pil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structure is inserted, comprising a floating portion that can be injected into the air, water or concrete there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체부는,
상기 부체부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구조물이 삽입설치되는 설치부;
상기 설치부를 중심으로 복수 개의 격벽들이 방사형으로 배치되어 형성되고,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가 주입되는 격실부들;
상기 격실부들 각각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형성된 전단 연결부들; 및
상기 격실부들 각각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공기, 물 또는 콘크리트가 통과하여 상기 격실부들에 주입되거나 배출되는 출입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석션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loating portion,
An installation part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floating part and into which the structure is inserted;
Comprising a plurality of partitions are formed radially arranged around the installation portion, compartments in which air, water or concrete is injected;
Shear connections protruding from an inner wall of each of the compartments; And
Floating suction pil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compartments, air, water or concrete passing through the inlet or discharge into the compartment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홀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부유식 석션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communication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the communication hole is a floating suction pile, characterized in that for communicating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상단면으로부터 상기 부체부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관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관은 상기 본체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부유식 석션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At least one communication tube penetrating the body portion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body portion is formed, the communication tub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부체부는 스틸로 이루어진 일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석션 파일.
The method of claim 1,
Floating suction p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and the floating portion is an integral unit made of steel.
KR1020100126926A 2010-12-13 2010-12-13 Floating suction pile KR1012057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926A KR101205797B1 (en) 2010-12-13 2010-12-13 Floating suction p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6926A KR101205797B1 (en) 2010-12-13 2010-12-13 Floating suction p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5672A true KR20120065672A (en) 2012-06-21
KR101205797B1 KR101205797B1 (en) 2012-11-28

Family

ID=4668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6926A KR101205797B1 (en) 2010-12-13 2010-12-13 Floating suction p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579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15B1 (en) * 2012-10-05 2013-03-06 (주) 에드벡트 Method for contructing marine wind power supporting structure with suction file at sea
KR101314763B1 (en) * 2012-03-16 2013-10-08 (주)평화엔지니어링 Offshor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445131B1 (en) * 2012-11-13 2014-09-29 현대건설주식회사 Hybrid-type suction pile
KR101529097B1 (en) * 2013-05-02 2015-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Large diameter steel-pipe pile of reclamation type for offshore wind genera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70035271A (en) * 2015-09-22 2017-03-30 한국전력공사 Marine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63B1 (en) * 2012-03-16 2013-10-08 (주)평화엔지니어링 Offshore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240615B1 (en) * 2012-10-05 2013-03-06 (주) 에드벡트 Method for contructing marine wind power supporting structure with suction file at sea
KR101445131B1 (en) * 2012-11-13 2014-09-29 현대건설주식회사 Hybrid-type suction pile
KR101529097B1 (en) * 2013-05-02 2015-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Large diameter steel-pipe pile of reclamation type for offshore wind generation,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20170035271A (en) * 2015-09-22 2017-03-30 한국전력공사 Marine found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5797B1 (en)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5797B1 (en) Floating suction pile
KR101355132B1 (en) Suction Bucket Foundation
US9428876B2 (en) Multi-suction-pile anchor and flat plate anchor having suction piles
TWI804548B (en) Floating liquid intake
KR101707180B1 (en) Suction foundation with enhanced self weight penetr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7011531B2 (en) Groundwater level lowering method
KR100825751B1 (en) Assembly type land-side protection wall of building
CN205276287U (en) Underground continuous wall's attach fitting and underground continuous wall skeleton
JP2015183493A (en) Rainwater storage infiltration facility
JP2007291618A (en) Submerged structure and submerging method
KR101652352B1 (en) Excavation pump device
KR100972225B1 (en) Underwater fountain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KR20170080051A (en) Supporting system for tide generator
JP2019203314A (en) Suction foundation structure
KR101495572B1 (en) Multiple Suction Pile Anchor
KR102191389B1 (en) Bar connect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of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CN107869489A (en) Hydraulic oil container for grab bucket dredger
KR102551818B1 (en) Spiral Bolt For Ground Reinforcement
US11473263B2 (en) Suction pile cofferdam
JP6313533B2 (en) Buried tank and its construction method
JP3039842U (en) Structure used to move caisson
CN211143103U (en) Underground continuous wall with built-in dewatering well
JP2008089094A (en) Conduit liquefaction measure structure
KR20090010950U (en) Block for breast wall construction
JP2017036609A (en) Ground improvement method and improved 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